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적 거리감과 서법 조동사

        이정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natural language the speaker doesn't only describe the utterance, but expresses his or her delicate psychological state, i.e. permission, necessity, conviction, and probability about the statements by using the grammatical methods. Modality is the linguistic domain that covers the speaker's attitudes and opinions towards what he or she is saying. There is a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people. The psychological distance which people feel in the discourse acts is the situation in which they aren't granted in a friendly way or don't considered affirmatively towards someone or something. It also conveys the speaker's lack of conviction. Modal verbs which represent modality, the speaker's attitude or opinion, can express th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contexts and situations. In this study, I will examine the various meanings of modal verbs. Moreover I will show the meanings of might,could, would, and should - hypothetical meaning, tentative permission, tentative volition, and tentative possibility - used to express the speaker's psychological distance about the realized situations. My point of view has the crucial generalized explanations to understand the various aspects of modal verbs in English.

      • 리듬, 가락 중심의 리코더 주법 지도방안

        이정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 활동 중에서 특히, 리코더를 통한 기악학습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적 표현기회를 제공하고, 여러 가지 주법을 통해 음색들간의 조화로움과 독특한 색채감을 맛볼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음악적 표현활동에 가장 적합한 필수악기라 생각되나 대부분이 가창 제재곡을 리코더로 표현하는 비체계적인 리코더 기악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리코더주법연주를 통하여 단순한 멜로디만을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더 세밀하고 정교한 음악적 표현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제재곡을 편곡한 자료들을 제시하였고, 음악적 표현에 맞게 프레이징 하는 방법과 다이나믹(셈여림)이나 아티큘레이션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들을 단계적이고 구체적 다루므로써 아동들의 주법 향상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의 실제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번째에서는 리코더 주법에 따른 가락향상으로서 다양한 주법의 적용을 통해 좀 더 음악적인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교과서 제재곡들을 음악적으로 분석, 가장 어울리는 주법들을 적용시키는 방법들을 제시함으로서 아동들이 각기 다른 주법에 따라 각기 다른 가락의 음색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실제에서는 교사가 아동들에게 다양한 음악적 체험들을 실습시키고 접할 수 있게 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특히 리코더의 지도에서는 자신이 느끼는 정확한 음악적 느낌을 가장 음악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아이들의 음악적 표현력을 기르게 해주어야 한다 생각되어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몇 가지 적절한 연습곡들을 제시하고 어울리는 주법의 예들을 적용시킴으로서 아동들의 리코더를 통한 음악적 표현을 돕도록 하였다. 두 번째에서는 리듬 개념을 학습하기 위한 놀이 학습 방법의 제안과 리코더로 리듬이 분할된 변주곡들을 과정별로 연습함으로서 리듬감 형성 뿐 아니라 리듬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작 학습으로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리듬을 어렵다고 느끼는 아동들을 위해 재미있는 놀이와 익숙한 가락을 접목함으로써 아동들의 리듬훈련에 대한 흥미를 돋구고, 몸 또는 악기로 리듬을 반복적으로 따라함으로서 아동들이 다양한 리듬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악기로 직접 리듬을 연주하고 변주된 곡들을 차례로 연주함으로서 음악적 흥미는 커질 것이며 아동들의 자연스러운 음악적인 창의력의 발달에도 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앙상블을 통한 리코더 주법 지도 내용은 아동들에게 가락과 리듬을 동시에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모든 학습과정의 총체이며 자신의 음악적 느낌을 함께 연주하는 연주자들과 하나의 음악으로 완성해가는 과정을 통해 단선율에 그쳐서 제한적이었던 리코더 주법이 함께 어우러질 때 아름다운 하모니와 주법들을 통한 풍성한 표현을 체험하게 될 것이며 더불어서 리코더가 가지는 음악적, 기악적 가치를 알게 될 것이다. 아동들은 이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가락, 리듬, 화성 주법을 익히면서 음악적 표현의 향상이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특히 변주된 곡들이나 리코더 합주를 위한 곡들은 실제적 수업시간에서 다뤄질 수 있는 실용적인 자료, 요소들이 될 것이며 더불어서 아동들에게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학습자료로서 적용되어 질 것이고 아동들이 교과서에 제재된 여러 가지 곡들을 다룰 때에 가장 적합한 연주 주법들을 스스로 찾아내게 하기 위한 악곡의 실습과정들을 다루는데 초점을 두어 연구 하였다. 리코더주법지도의 다양한 측면이 초등 교육에서 효과적으로 지도되어 학생들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느끼는 정확한 음악적 느낌을 가장 음악적으로 전달함으로서 아이들의 음악적 표현력을 기르게 해주어야 한다 생각되어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몇 가지 적절한 연습곡들을 제시하고 어울리는 주법의 예들을 적용시킴으로서 아동들의 리코더를 통한 음악적 표현을 돕도록 하였다.

      • CoRe를 활용한 초등교과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위한 실행연구

        이정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래교육을 위한 새로운 학력관, 핵심역량, 역량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최신이론을 바탕으로 CoRe를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성과와 난점을 살펴보며 바람직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운영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계획-실천-반성-공유의 실행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학생설문, 교사설문, 관찰, 심층면담, 학생 꿈하나노트, 교사 성찰일지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3차에 걸친 실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성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첫째,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교사의 수업 전문성 회복의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사태로 갑작스럽게 시작된 온라인 수업에서 예상과는 다른 많은 경험으로 동료교사들은 협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교육의 본질적인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익숙함의 차이, 바람직한 수업 방향에 대한 고민은 ‘동학년이 함께 간다’ 는 방향성만으로도 교사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었고, 이는 곧 동료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이 향상되는 효과로 이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학생 모두가 교육과정 설계자이자 실행자가 되었다는 점이다. 교사는 교육과정문해력 역량을 갖춘 교육과정 설계자 및 개발자가 되어야 하며, 학생들도 주체적으로 교육과정 설계자 역할에 참여시켜야 한다. 학생들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때 적극적인 교육과정 실행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학생참여형 수업이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SWOT 분석을 통해 학습자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뤄지고 PCK 배움원리와 배움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했을 때 학생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수업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온라인 원격수업 상황에서의 위기가 과정중심평가 실시에 있어서 오히려 기회가 되었다는 점이다.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를 다각적으로 반영하면서 온라인 플랫폼(패들렛, 구글설문지, 잼보드)을 활용한 점이 다인수 학급에서 과정중심평가 실시 어려움을 해결하기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통한 교사-학생 간의 행복한 연결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있어서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배움중심수업 설계로 연결하였고 학생들은 수업에 대한 만족감이 높았다. 또한 매시간 수업이 평가로 연결된다는 것을 인지시키고 평가의 주체가 되면서 학생들은 수업 자체에 의미를 느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난점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해 본 적이 없는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의 체감도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에 대한 역량 기르기가 선행이 되어야 하며, 혼자 힘으로 하기에는 버거우므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한 집단지성의 힘을 발휘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급당 많은 학생 수, 개인별 수준차로 인한 적절한 피드백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협력교사를 활용한 수업지도, 구글설문지 등의 다양한 플랫폼의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교사의 즉각적인 피드백과 개인 맞춤형 지도를 하기에는 교사의 부담감이 가중된 현실적인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젝트 수업 경험 부족을 들 수 있다. 프로젝트 수업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를 실현하기에 최적화된 수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해 보지 않은 교사들의 공통적인 걱정거리는 프로젝트 수업 설계가 어렵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교사 대상 연수를 활성화하여 체계적이고 쉽게 설계할 수 있는 노하우 전수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학부모들의 과정중심평가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학부모들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신뢰와 협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한 줄 세우기를 위한 경쟁이 있는 평가관이 아니라 모든 학생에게 적절한 피드백과 지원이 이뤄질 때 학생들의 성장이 있는 발달이 이뤄지는 평가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뤄질 수 있는 학부모 교육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CoRe 질문요소를 토대로 역량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배움 중심 프로젝트 수업-과정중심평가-학생 성장 중심 기록의 일체화의 모습을 구현하면서 초등교과수업의 전문성을 신장시킴은 물론 공교육의 내실화를 꾀하면서 학생들의 성장 발전의 결과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 국립대학의 법인화에 따른 국립대학 자치경영의 효과

        이정애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wave of neo?]liberalism introduced in the late 20th century is sweeping throughout the world. In our society as well, the trend is expanding its influence over every area including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Education is not exceptional. To cope with this new trend, discussions are being made on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as a method for casting off the stiff bureaucratic structure and to break through the situation of infinite competition in the age of internationalization resulting from the opening of the education market. Those who advocate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suggest developmental prospects such as enhanced autonomy of universities, strengthened capacities in education and research, and consequent growth into world?]class universities. Nevertheless, there are also formidable oppositions to incorporation. According to their opinions,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causes many side effects, putting universities under the rule of market, impairing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sciences, drying out the roots of basic disciplines, and aggravating the ordering of universities. Despites these controversie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its incorporation ahead in December 2011. Beginning with this, incorporation will obviously spread to other national universities. The effect of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will not be limited to the involved universities but bring general changes in the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ies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effects of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n its introductory stage so that we may clarify the causal relation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s an effective system for the self?]manage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in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and, ultimately, set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First of all, as an effort to forecast the direction of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for the self?]management of universities,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see the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the self?]management of universities and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self?]management of universities, Second,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foreign cases of self?]management in the U.S., France, Germany, Japan, etc. and examined how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s correlated with the self?]management of universities. Third, based on the results above, we discussed the objectives and basic directions of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n Korea. Fourth, we investigated the existing systems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including decision?]making systems and the structures of organization, finance and personnel management through experiential approaches such as field experiences and direct observations, and examined the structures of organization, finance and personnel management after incorporation using related laws and forecast data. Lastly,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national universities by presenting problems and solutions related to the effects of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on the self?]management of universitie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s not the only way to the self?]manage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guarantee the expansion of financial support to national universities, the democratization of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autonomy of personne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autonomy and transparency in budget operation in order for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to contribute to the self?]manage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As th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has not introduced yet, we need to take time and examine the system thoroughly so that incorporation may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universities.

      • 成人敎育 參與者의 學習動機와 滿足度의 關係

        이정애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adult education and th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to education satisfaction.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ver 301 people who took extension courses from university social education center in the city of Taej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8.0 program,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First, the most common learning motivation of the adult education attendees was learning-orien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those who were male, in their thirties, single, and graduated from college or school of higher grade, were more driven by learning-oriented motivation than the others. Second, as to adult education satisfaction, the participants weren't contented a lot with adult education in general. By personal characteristics, those who were in their forties or older, single, or graduated from college or school of higher grade, showed more satisfaction at adult education, but no difference was made by their past experience to take that course.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pattern to education satisfaction, it's found that a higher activity- oriented or learning-oriented motivation led to greater satisfac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re was a need for the persons in charge of adult education to prepare diverse events associated to adult education to raise learning motivation, especially, activity-oriented motivation. To give more satisfaction to adult education attendees, adult education institute needs to make more investment in not only primary education setting but education service and facilities. Specifically,the people concerned should try to meet the learning-oriented and activity-oriented need of adult learners.

      •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전문성 연구

        이정애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현장에서 학생평가에 관한 관심은 매우 높으며 최근 학생평가 활동은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수행평가의 도입으로 수업과 평가를 통합하며 다양한 평가방법이 등장하였다. 이 변화과정 속에서 교사들은 학생평가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평가환경 속에서 학생 평가 활동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학생평가 전문성의 수준은 어떠한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학생평가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인식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어떠하며 교사 배경변인에 따른 평가전문성의 영역별 차이는 있는가? 셋째,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와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는 학생평가의 최근 동향과 바람직한 평가(sound assessment)의 구성요소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구성요인을 고찰하였다. 질문지를 통해서는 중학교교사의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과 평가 전문성의 수준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경기도 안양시 인근의 중학교 16개 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450부(수율 93.5%)중 402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으며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x^(2)(Chi-Square) 검정, 독립표본 t 검정 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에 관한 인식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71.4%) 학생평가 능력을 교직의 전문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근의 교육평가의 변화 영역에 대한 인지에서는 '평가방법의 다양화(61.3%)'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학생평가 목적에 대한 질문에서는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교육목표의 성취 여부 확인','수업의 개선','교육의 질 관리' 순으로 응답하여 교육과정에 초점을 둔 평가를 중시하였다. 셋째, 학생평가 내용 선정기준은 '수업 목표와 교과 내용의 특성에 대한 교사의 판단'(80.2%)을 가장 우선시하고 있으며 교사들은 수행평가 도입 후 '학생평가 소요시간이 늘었다'(86%)와 '교실평가 장면이 늘었다'(77.1%)에 응답률이 높아 평가관련 업무 부담과 변화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평가 방법의 선정기준에서는 '성취수준 파악의 정확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며, 평가방법의 종류는 과제 및 연구보고서법(33.1%), 수행능력 관찰법(24.8%), 구술시험(16.3%), 서술형 주관식 시험(11.9%), 포트폴리오법(9.3%), 논술형 시험(4.7%) 순으로 나타났다. 평가방법 선정과 종류에서는 과목별, 최종학력별로 차이를 보여 교과 특성을 반영하였고 현직교육과의 연관을 나타냈다. 다섯째, 성적산출 이외의 목적으로 평가결과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부정적 반응이 높았으며 평가연수 경험교사가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성적산출 이외의 목적으로 평가결과를 활용하지 않는 이유 중 '활용의 의미를 몰라서(28.4%)'에 응답한 경우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연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평가활동을 할 때 학생과의 의사소통 관계는 중간 수준이며, 응답자 77.1퍼센트가 학생평가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있어 평가 전문성의 필요를 간접 적으로 말하고 있다. 여섯째, 학생평가 활동의 어려운 점은 '수행평가 채점의 일관성 유지','평가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평가 후 결과 활용','평가 후 학부모 상담','동료 교사와의 협의','평가문항 공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출신학력별로 어려움이 달랐다. 교사들의 31.4퍼센트가 학생평가의 오류 경험이 있어 이를 예방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위한 필요사항에서는 '교과 협의회의 활성화','연수 강좌개설','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를 소개하는 홈페이지 개설' '교사교육 중 평가교육의 강화','평가전문 상담교사의 배치',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별로 전문적인 학생평가를 위한 필요사항이 달라 교사발달 단계를 고려한 평가 전문성 신장방안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평가관련 연수에 대한 요구 조사에서는 '수행평가 방법의 실제'를 가장 많이 원했으며 '문항제작의 원리','진로지도와 관련된 교육평가 활용법','문항분석법','교육평가의 이론','컴퓨터화 검사법','교육통계학' 순으로 원했다.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연수내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교사 경력별로 차이를 보였다. 학교 현장에서 평가연수의 기회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드러나 평가관련 연수 기회의 확대가 필요함을 표출했다.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은 '윤리적 문제의식' 영역은 가장 높은 수준이었으나 '결과에 대한 의사소통' 영역은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은 61.58점(100점 기준)으로 전문성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교사의 배경변인 중 경력에 따라 '결과에 대한 의사소통','윤리적 문제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영역의 전문성은 경력에 따라 비례하지 않았다. 과목별로는 '평가방법의 선정','평가방법의 개발','평가의 실시','결과의 활용','성적 부여' 영역에서 차이를 보여 교과 특성과 연관이 높았다. 최종학력과 출신학력에 따른 평가 전문성의 영역별 차이는 없었으며 평가연수 경험에 따라 '평가방법의 선정','평가방법의 개발','결과의 활용','결과에 대한 의사소통'에 차이를 보여 평가연수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생평가에 관한 인식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태도면에서 학생평가에 관한 관심과 책임감을 높이는 적극적인 자세로 건전한 평가 가치관을 함양해야 한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평가와 학습을 연계시키고, 학생들에게 충분한 학업수행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동시에 자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각 영역을 정확히 인지하고 평가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어야 한다. 타당한 평가방법의 선정, 수업과 연관된 평가방법의 개발, 공정한 평가의 실시, 적절한 결과의 활용, 올바른 성적부여, 결과에 대한 의사소통 강화, 윤리적 문제의식을 지녀야 한다. 셋째, 단위학교 내의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확보를 위한 질 관리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평가업무의 공정화와 효율화, 교사공동체 속에서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들은 학생평가 결과의 활용 정도를 높이고, 학생 및 학부모들과 평가에 대한 신뢰감을 높일 수 있도록 의사소통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정책 속에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강화하는 지원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 및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있어 평가 전문성 개발을 위한 종합적인 연수체제가 수립되어야 한다. 질적 관리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평가 능력 및 기술을 함양해야 하며 관련된 태도를 증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과목의 특성과 교사의 직업발달에 따른 단계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실제적인 현장의 욕구를 수용하여 효율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다양한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사이트를 운영하여 교사들에게 학생평가 전문성 신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At schools there exists a strong interest in student assessment, an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made in terms of assessment methods. However, teacher competenc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falls short of keeping pace with the recent changes. Against such a backdrop,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how teachers at middle schools perceive student I assessment; how strong teacher competenc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really is, and if there is any gap according to variables; and will examine ways to enhance teach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a study that adopted philological research combined with survey techniques. Through the philological study, we discovered the components of sound educational assessment, as well as the factors that comprise teach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we also investigated how teachers perceive student assessment and evaluated how strong their competence i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at 16 middle schools in and around Anyang City, Gyeonggi Province. Of the 4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we used 402 that were collected (collection rate: 93.5%). To process the data, we used FREQUENCY, DESCRIPTIVES, CROSSTABS, TABLES, ANOVA, and T-TEST by applying SPSS for Windows. In the survey on how middle school teachers perceive student assessment, first of all a majority of teachers(71.4%) were found to consid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as educational professionalism, and thus reflected their own value judgment in this process. Also, they were found to notice more than anything "the diversification of student assessment methods"(61.3%) among recent changes in student assessment. Secondly, as the priority purposes of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nsidered "educational procedures to attain educational goals" to be most important, followed by "confirmation of the achievement of educational goals," "improvement in teaching methods," and "management of educational quality." Thirdly, as to the criteria by which to select the fields of student assessment, teachers replied that they put priority on "teachers ' judgment on the goals of a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80.2%). They were also found to feel an increased burden concerning student assessment, and recognized changes after the introdu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eachers, as most of them believed that "the time required for student assessment increased(86%), and "class-based assessment expanded." Fourthly, as to the criteria by which to choose student assessment methods, teachers y t priority on "exactitude in performance measurement."Among assessment methods, teachers preferred assignments most, followed by research reports(33.1%), observations of . student performance(24.8%), oral examinations(l6.3%), written exams of subjective questions(11.9%), portfolios(9.3%), and essay writing(4.7%). In regard to the categories of the criteria by which to select assessment methods and the type of method they prefer, teachers ha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ubject they teach and their educational level. Fifthly, 41.7% of teachers replied that they utilize assessment results for the purpose of solving students' problems(70%) rather than for calculating grade points, and teachers who underwent student assessment training use the results more frequently than others. As to the question of why they do not use the results for purposes other than calculating grade points, they replied "because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assessment results," and "because I do not know the significance of their utility,"which leads us to believe that we need do foster training to reinforce teacher competence in assessment. Sixthly, among the difficulties faced in carrying out student assessment activities, teachers considered the issue of maintaining consistence in grading performance assessment to be the most serious. This was followed by securing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queries, ensuring proper utilization of the results after assessment, counseling students' parents, entering into consultation with colleagues, and securing the disclosure of queries. Teachers expressed different levels of the magnitude of such difficulties (in assessment) depending on the universities they graduated from. And 31.4% of them were found to have made errors in student assessment, which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prevent mistakes. As for the factors necessary to boost teach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respondents picked "the activation of the curricula regulation council," "opening of training courses," and "launching of an Internet website that introduces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student assessment." The requirements for professional student assessment vari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implying that there is a need for remed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levels of experience among various educators. As for the requirements needed for training courses concerning student assessment, teachers targeted the needs for "practices of student assessment methods" more than anything, followed by "principles for query making," "methods to utilize educational assessment for counseling of students' future courses," "query analysis," "theory of educational assessment," "computerized measurement," and "educational statistics." Teachers had a strong interest in training courses that can be applied in real situations, although they demonstrated different preferences depending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opportunities to take assessment training courses at school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in general.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for policies to increase, and effectively operate, training courses on student assessment, and to encourage self-motivated participation by teachers. In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showed the highest level from the aspect of "understanding of ethical issues", reflecting that they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ethics. However, they showed a low level of competence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of results." Middle school teachers acquired a total of 61.58 points out of the possible 100 points in terms of their competence in making student assessments, which means their competence is not particularly strong. In the level of competence in light of their background, teachers showed a meaningful disparity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assessment results, and their level of recognition of ethical issu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ir experience. Meaningful disparity was largest in the category of subjects regarding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s, execution of assessment, utilization of results, and the areas to give grade points. There was no disparity (in teacher competence) in the category of the highest degrees the earned and the universities they graduated from. There was disparity in the category of teacher experience for training received in the selection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methods, and in the utilization and communication of those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Firstly, teachers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student assessment. In terms of attitude, teachers should build up a sound value judgment and take I a more active stance toward student assessment by increasing their interest and accountability in this regard. From a practical aspect,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link assessment with education, and provide students with adequate information on their Educational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able to improve their teaching. Secondly, teachers should correctly understand various components of achieving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and should reinforce their own competency. They should select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develop assessment methods that are consistent with teaching in the classroom, conduct fair assessments, utilize assessment results properly, give fair grades, enhance the communication of these results, and understand ethical matters. Thirdly, teachers at each school should establish a quality management mechanism to secure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To this end, they need to make an effort to utilize assessment activities that are fairer and more efficient, and to realize educational values by sharing a wide variety of information among the educators' community. The channels of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parents also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ty of student assessment results, and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assessment. Finally, there should be measures to help teachers reinforce competence in terms of student assessment in educational policies. To this end, there should be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enhance their skill at student assessment by setting up a comprehensive mechanism for boosting competence in teacher re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Programs to enhance teache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for various levels, which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and operated efficiently, so as to accommodate practical demands from teachers. Finally, there is a need for an Internet website that can more actively provide teachers with easier access to diverse information, so that they can work to improve their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