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대인관계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이은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갈등해결전략이 이들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과 문제행동 및 대인관계 간에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마산, 창원, 김해 및 밀양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 3학년 20개 학급 7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이들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정도에 부적인 영향을, 대인관계 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을 통제하고 나서 양보와 회피 갈등해결전략은 내재화 문제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배 갈등해결전략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분화를 통제하고 나서 양보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은 대인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대인관계와의 관계에서 갈등해결전략 중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직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하고, 친구와의 갈등장면에서 협력 및 절충 갈등해결전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인관계수준을 향상시키기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관계에서 협력/절충 갈등해결전략이 매개역할을 하는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self-differentiation which was made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friends of the teenagers by behavior problems, personal relations with self-differentiation. For thi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700 male and female students from 20 classes of 5 middle schools in Changwon, Masan, Kimhae and Miryang, Kyungsangnam-do. The research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adolescents' self-differentiat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behavior problems and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Secondly, obliging and avoid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dominat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as positively influenced to thei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Thirdly, obliging strategy was negatively influenced to their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were positively influenced to the personal relations after controlling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Fourthly, integrating-compromising strategy of the teenagers were confirmed by mediation effect of the self-differentiation, personal relations. The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directly improv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and indirectly elevates the validity of 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n sum, this study showed that self-differentiation validity of adolescents influenced to the internalizing,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personal relations, integrating-compromising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urned out mediation effect from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adolescents.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은희 평택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은희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상담학과 상담학 전공 (지도교수: 김 용 수)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베트남 결혼 이주여성의 부부 친밀감 경험의 내용과 관계 구조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하여 「다문 화가족지원법」제2조에 따라 등록되어있는 다문화가족 중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베트남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중 연구 참여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6명을 선정했다. 첫째, 「다문화가족지원법」제2조에 따라 등록되어있는 다문화가족 중 한국인 남편과 결혼한 외국인 아내. 둘째, 결혼 기간 7년 이상의 결혼이주여성. 셋째, 가족생활주기 중 가족확대기에 자녀 1명 이상을 둔 결혼이주여성. 넷째, 결혼이주여성이 부부관계에서 경험한 부부친밀감에 대한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소개받을 때 연구주제와 관련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자신 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결혼이주여성. 다섯째, 결혼이주여성이 부부친밀감 경험을 기술해야 하므로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사용한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Giorgi(1975, 2012)가 제시한 5단계 방법으로 분석한다. 부부친밀감 경험의 - iv - 진술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의미단위 181개, 하위 구성 요소 30개, 구성 요소 7개가 도출됐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이 경험한 부부친밀감 경 험의 내용은 희망, 차이, 갈등, 애정, 지지, 연결, 성장으로 나타났으며, 결 혼이주여성이 경험한 부부친밀감 경험의 구조는 1단계 희망, 2단계 차이와 갈등, 3단계 애정, 지지, 연결, 4단계 성장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 경험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원가족을 도우며 최선을 다한 참여자는 자신의 행복한 삶을 바라 며 국제결혼을 결심하고 자국에서 짧은 만남 동안 남편의 행동에 애정을 느끼며 희망을 품고 한국으로 이주했다. 한국 생활에서 결혼이주여성은 환 경적인 차이와 가족 체계 확대로 인해 대인관계 혹은 심리적인 갈등을 경 험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부부가 함께하면서 쌓아온 애정․지지․연 결은 부부친밀감을 견고하게 해주었다. 참여자는 의사소통이 원활해질수록 행복감이 커지는 경험을 하고, 이를 남편과 미래를 향해 함께 노력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았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부부친밀감 경험의 구조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희망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원가족을 돕는 삶, 국제결혼에 대한 기개, 배우자를 만난 계기, 짧은 만남 속 배우자 결정, 행동에서 애정이 싹 틈, 떠남과 만남의 균형으로 진행됐다. 둘째, 차이와 갈등은 부부친밀감을 방해하고 부부친밀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정, 지지, 연결은 부부친밀감을 보호 요인으로 부부관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다. 부부친밀감 방해요인인 차이와 갈등은 보호요인인 애정, 지 지, 연결을 통해 서로 순환하는 과정을 거쳐 네 번째 성장을 향해 나아가 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미래를 계획하는데 미래에 대한 계획은 부부가 중심이 되어 함께 노력하면서 성장하는 성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이은희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성취동기 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1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 하여 자아개념이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 하여 성취동기가 유의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3-1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개념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2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성취동기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정서적 자아개념을 제외한 학업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전체 자아개념에 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정서적 자아개념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점수는 상승하였다. 따라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 생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성취동기에서 유의 한 향상을 보였다. 실험집단은 과업지향성, 자신감 및 장기적인 미래에 대한 관심도, 정력적 혁신성, 자기책임성, 전체 성취동기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향상 되었다. 적절한 모험성과 결과에 대한 관심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아니었지만 점수의 향상은 있었다. 따라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성별에 따 른 자아개념과 성취동기 변화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서 남녀 두 집단 간에는 자아개념과 성취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성별에 따른 자아개념과 성취 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남녀 동일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거하여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 아개념과 성취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초등학생의 인성교육에 효과가 있으리라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concept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rmulated hypotheses as follows. Hypothesis 1 : The score of the self-concept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pplied to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2 : The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ypothesis 3-1 : The effect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gets to the self-concept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Hypothesis 3-2 : The effect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gets to the achievement motivation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core of the self-concept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the social, the physical and the total of the self-concep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timental self-concept, but the sentimental self-concept was improved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So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dent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self-concep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e score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directivity, the self-confidence, the mind to desire to know a long future, the enthusiastic reformation to improve situation and try to find new works, the sense of self-responsibility, and the total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The proper adventurous mind and the mind to desire to know results were improved between the pre test and the post tes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o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dent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concept scores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ore between gender of the experimental group. So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identified to have positive effect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o improve the self-concept scores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score. In conclusion,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sai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elf-concept a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nfirm possibility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contribute to change personality positively at the educational scene.

      • 초기 우식 열구 삭제 형태에 따른 치면열구전색 후 미세누출 비교

        이은희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우식의 열구 삭제 형태에 따라 전색제 침투도 및 미세누출 차이를 비교 관찰하여 향후 효과적인 치면열구전색술을 임상에 적용하고자 한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 건전한 영구소구치 40개를 대상으로 하여 네 개의group으로 나누어 열구의 삭제 형태별로 V형은 fissurotomy bur로, U형은 round bur로 삭제하였다. 삭제한 치아 열구에 각각 filled sealant와 unfilled sealant를 수복하였다. 수복한 시편은 Thermocycling을 시행 후 meth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보관한 뒤 각각의 치아를 절단하였다. 치아의 절단면을 입체 현미경으로 관찰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열구 내 치면열구전색제의 침투도 비교결과 각 그룹 간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열구 침투도는 높게 나타났다(P >0.05). 2. 미세누출 비교 시 round bur 삭제 후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IV군이 미세누출이 가장 높았으며, unfilled sealant로 수복한 경우 filled sealant에 비해 미세누출도가 높았다(P<0.05). 3. 이상의 결과 열구의 삭제 형태로 인해 전색제 침투도나 미세 누출에는 큰 차이가 없으나 치면열구전색제의 filler 함유에 따라 미세누출의 차이가 나타났다. 초기우식열구에 치면열구전색시 삭제 된 열구 내 공간만큼 전색제가 팽창하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치아와 유사하고 마모저항성이 우수한 filled seala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Obje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icro leakage and penetration depths of after sealing by preparation form of early caries lesion and applies effective sealant on clinic. Method : 40 of extracted premolars for orthodontic purpose were selected and divided them into 4 groups. According to preparation of the fissure form after using by fissurotomy bur with a 1/2 round bur , half of teeth in each were sealed with unfilled sealant and the other half were sealed with filled sealant. And then all of the teeth were thermocycling and immersed in methylene blue. Each tooth was sectioned and observed by using a stereoscopic microscope. Result : 1.Comparison of fissure penetration of each of the experimental result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but showed higher overall penetration(P >0.05). 2.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icro leakage scores in group IV(p<0.05), followed by group I, II, III, but no significant (P >0.05). Unfilled sealant showed higher micro leakage than filled sealant (p<0.05).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paration of the fissure form of sealant penetration and micro leakage significant difference were not found. But according to the containing of filler in seala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 leakage. It is considered to use filled sealant which is remarkable abrasion resistance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s similar to tooth, because sealant is expanded as much as the space of prepared fissure when teeth is sealed by preparation form of early caries lesion.

      • 뇌졸중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 및 수행도

        이은희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뇌졸중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 및 수행도 이은희 지도교수: 고 은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와 재활간호 수행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로,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재활병원에서 입원치료중인 뇌졸중 환자와 이들을 간호하는 간호사로 뇌졸중 환자 136명과 간호사 139명이다. 연구도구는 박지원 등(2009)이 개발한 재활간호 서비스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재활간호 요구도와 수행도를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43문항,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 = .96 ∼ .9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는 3.69 ± 0.47점,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는 3.48 ± 0.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04, p<.001). 뇌졸중 환자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는 입원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입원횟수가 1회인 대상자가 재활간호 요구도가 더 높았다(K=8.54, p=.014). 뇌졸중 환자의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는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월수입이 100만원 미만인 대상자가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가 더 높았다(t=2.32, p=.022).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는 3.84 ± 0.42점, 재활간호 수행도는 3.60 ± 0.45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6.53, p<.001).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는 총 근무경력(F=3.05, p=.050), 지위(M=511.00, p=.026), 뇌졸중 환자 교육경험(t=2.78, p=.006), 교육의 도움여부(K=7.39,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력이 10년 이상이며, 책임간호사 이상, 교육경험이 있고 교육이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한 간호사의 재활간호 요구도 점수가 높았다. 간호사의 재활간호 수행도 역시 지위(M=482.00, p=.026), 뇌졸중 환자 교육경험(t=2.32, p=.022), 교육의 도움여부(K=7.79, p=.02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환자와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와(t=-2.78, p=.006), 환자의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와 간호사의 재활간호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12, p=.035). 간호사가 인지하는 재활간호 요구도와 수행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97, p<.001). 결론 : 본 연구결과 재활간호 요구도 측면에서 간호사가 뇌졸중 환자보다 더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환자의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가 간호사의 재활간호 수행도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문적인 재활간호 교육과정을 통해 간호사의 재활간호 수행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뇌졸중 환자의 재활간호 요구도를 고려하고 지각된 재활간호 수행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간호 요구도, 간호 수행도, 뇌졸중, 재활, 환자, 간호사

      • 자연살해세포를 이용한 종양면역 치료법에서 Axl의 역할

        이은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Natural killer (NK) cells are a subpopulation of lymphocytes that was initially detected by their ability to lyse neoplastic target cells in the absence of additional activating stimuli. NK cell cytotoxicity is selectively regulated by homeostatic prevalence between a repertoire of both activating and inhibitory receptors, and the discrimination of untransformed cells is achieved by recognition of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1 alleles through inhibitory signals. NK cells develop from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in the bone marrow (BM). During development, natural killer (NK) cells acquire a set of surface molecules, which are transiently regulated in a stage-specific manner. To characterize NK cell development including the commitment of HSC to the NK lineage, we performed a genome-wide analysis of gene expression in HSC, pNK, immature NK cell (without stromal cell) and mNK cell (with stromal cell) by using the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SAGE) technique. Based on SAGE data, we estimated the gene expression levels, then we confirmed that the regulatory genes were overexpressed. Axl is origially known as homeostatic regulators for antigen presentation cells. Its ligand, growth-arrest specific gene6(Gas6), is involved in support of hematopoietic stem cells (HSCs) growth, but little is known of the regulatory role in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NK cells. The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s to genital of mucosal tract through sexual contact resulting in development of cervical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PV 16 E6 oncogenesis using proteomic approach to find out the target for therapeutic vaccine. Several differentiated protein groups were found. Proteins involved in oncogenesis, apoptosis, transportation, signaling, energy metabolism, and cell structure and motility were found to be up- or down-regulated, thus indicating that it might be of use as specific targets for HPV therapeutic vaccine. Recent studies suggest that Gas6, Axl receptor functions as a novel chemoattracctant that induces Axl-mediated migration of vascular smooth-muscle cells, and Axl has been found to be highly expressed in a variety of cancer cells, implying that this receptor is involved in cancer invasion and metastasis. Here, an increased gene expression of Axl was also observed in HE6F cells, and it induced the migration of HE6F due to the up-regulation of metastasis-related gene expression. Our results collectively demonstrated that the regulation of Axl in malignant mucosal tracts is an effective way to achieve stable suppression of E6 oncogenesis, and induce inhibition of tumor growth both in vitro and in vivo.

      • 소아 고혈압의 평가와 관리 방법에 대한 한국 소아청소년 전문의 설문조사

        이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urpose : Hypertension(HTN) is no longer viewed as an adult disease, and the prevalence of pediatric HTN is increasing.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childhood HTN in Korea, we investigated how hypertensive children are currently assessed and managed by pediatricians. Methods : We sent a questionnaire on how to manage hypertensive children to 159 pediatricians who registered at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and the Korean Pediatric Heart Association. Results : A total of 75 replies were received (response rate 47%). 46.6% of the respondents were pediatric cardiologists(CA) and 37.3% were pediatric nephrologists(NE). NE checked routine Blood Pressure(BP) more than CA (CA 5.7% NE 25%, P=0.03) but most of respondents did not check BP routinely in outpatient clinics (86% of respondents). A mercury sphygmomanometer was the most commonly used for BP measurements. CA used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more frequently than NE. BP treatment goals were usually set at the 95th percentile for age, gender, and height by 61% of respondents. And most of respondents did not set the different goal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ease present.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was most commonly used as a first choice drug (mean 59%).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ease present, NE prescribe more various drugs than CA. For BP monitoring, self-monitoring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method. Conclusion : In Korea, BP measurement is not a routine examination yet.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primary hypertension is uncommon but adolescents may have more chance to develop primary and secondary hypertension. It may track into adult hypertension which prone to develop secondary diseases in adulthood. So the proper management of hyperten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very important. In our study, pediatricians use ACE inhibitor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antihypertensive drugs as a first choice drug. The second choice drugs are diuretics for CA and calcium channel blocker for NE. But for the appropriat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secondary diseases, a standard guideline and educations would be needed for pediatricians through long-term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