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ognitive buffers against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 reasons for living

        이유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8 국내석사

        RANK : 187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tective effect of reasons for living on three subtypes of suicidal behavior that may lie on a continuum: suicidal desire, suicide preparation, and suicide attempt. A total of 277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by completing questionnaires on depression, hopelessness, reasons for living, and suicidal behavi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a mean comparison through ANOVA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ix clusters of reasons for living, Survival and Cop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main effect on suicidal desire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and hopelessness. Moral Objections and Fear of Suicide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suicide preparation beyond the effect of suicidal desire. Finally, among participants with greater-than-zero preparation levels, those with history of suicide attempt reported significantly less Survival and Coping Beliefs and Moral Objections than those without such history.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reasons for living may differentially predict various types of suicidal behavior. The implications on suicide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행동의 세가지 하위유형 - 자살 욕구, 자살 준비, 및 자살 시도 - 에 대한 여러 가지 삶의 이유의 보호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총 277명의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여, 우울, 절망감, 삶의 이유, 그리고 자살행동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작성하였다.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ANOVA를 통한 평균차 비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통계분석 결과, 여섯 가지 종류의 삶의 이유 중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이 우울과 절망감의 주효과를 넘어서서 자살 욕구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과 자살에 대한 두려움은 자살 욕구를 넘어서서 자살 준비 수준에 유의미한 주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0 이상의 자살 준비 수준을 보고한 사람들 중 과거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참가자들은 그렇지 않은 참가자들보다 유의미하게 적은 생존 및 대처에 관한 믿음과 자살에 대한 윤리적 거부감을 보고하였다.위 결과들은 자살 행동의 여러 하위유형에 따라 각기 다른 종류의 삶의 이유가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닐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자살 위험 측정 및 예방 전략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남성 탈모자의 헤어라인 디자인에 따른 이미지 분석

        이유란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vestigate, analyze, and systematize images based on the hairline design of males experiencing hair loss, and through thi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effective design selections by customers and workers. In the theoretical study, prior research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concepts and methods of hair loss, male images, and hairline design. In the empirical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20s to 50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regions, and 326 valid questionnaire data were receiv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first, male image factors were "neat" (M = 4.10, SD = .75), "comfortable" (M = 3.99, SD = .76), "active" (M = 3.78, SD = .77), "sensual" (M = 3.70, SD = .75), and "strong" (M = 3.31, SD = .90) in the order of preference factors. Second, in the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male image, "male image affects social life" (M = 4.03, SD = .88)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 while "male image is related to actual personality" (M = 3.52, SD = .89) and "it is worth spending money" (M = 3.49, SD = .90) all showed a high average value. Third, among the 66 respondents (20.2%) who had undergone hairline correction, 49 respondents (74.2%) were satisfied with the correction, and as to the preferred hairline correction method, they were in the order of "hair transplantation” by 119 people (36.5%), "scalp makeup” by 93 people (28.5%), "scalp tattoo" by 89 people (27.3%), and "wig” by 25 people (7.7%). As to the reasons for preferring the correction method in question, 289 people rated it as "reasonable cost" with 58.9% of the respondents (491 people), followed by 90 people (18.3%) who said it was "natural," 54 people (11.0%) for "convenient", 46 people (9.4%) for "good retention", and 12 people (2.4%) for "no pain." Fourth, among the male image factors according to the six hairline designs, the "sensual" factor was high with 132 people (40.5%) for "round" and 109 people (33.4%) for "angular" types. The factors for "strong" were evaluated highly with "angular M-shaped" and "angular monkey-type" with 93 people (28.5%), respectively. The factor of "comfortable" was significantly high with 229 people (70.2%) for "round" and 57 people (17.5%) for "angular shape." As for the factor of "neat," 159 people (48.8%) were rated as "round" and 95 people (29.1%) were rated as "angular type." The factors of "active" were high with 80 people (24.5%) for "angular formation" and 38 people (11.7%) for "round M-shaped." The preferred image was 160 people (49.1%) for "round shape" and 107 people (32.8%) for "angular shape.” Fifth, examining the satisfaction and impact of hairline, the average of "hairline is important for image formation" and "hairline design affects male image" was close to "yes." Sixth, examining the images by type of hairline design provides that the "round type" is effective for comfortable, neat and sensual images. The “round M-shape” is effective when men want sensual image-making. “Round monkey type” is best suited for active images following “angular type.” The “angular type” is the one with the least likes and dislikes, an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the most stable recommendation when the customer wants a recommendation from the worker. The “angular M-shape” is the most powerful and active type suitable for creating an image. The “angular monkey type” is the second strongest and most active type following “angular M-shaped” and the type that showed the lowest preference, but is the most robust type in the eyes of wome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bove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male hairline design, and the difference also exists in the male image and hairline type according to gender, age, and occupation. This research is believed to help customers and workers make effective design choices at a time when the physical hair loss cover market is developing and the importance of hairline design is steadily increasing, and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the physical hair loss cover market. In follow-up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in-depth research on image changes and subsequent factual studies resulting from hairline correction. 본 연구는 남성 탈모자의 헤어라인 디자인에 따른 이미지를 살펴보고 조사·분석하여 체계화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과 작업자의 효과적인 디자인 선택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탈모와 남성 이미지, 헤어라인 디자인에 대한 개념 및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실증적 연구에서는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20∼5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6명의 유효 설문자료를 회신받아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남성 이미지 요인은 ‘단정한’(M=4.10, SD=.75), ‘편안한’(M=3.99, SD=.76), ‘활동적인’(M=3.78, SD=.77), ‘감각적인’(M=3.70, SD=.75), ‘강인한’(M=3.31, SD=.90)의 순으로 선호 요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이미지에 따른 관계에서는 ‘남성 이미지는 사회생활에 영향을 미친다’(M=4.03, SD=.88)가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남성 이미지는 실제 성격과 관계가 있다’(M=3.52, SD=.89), ‘비용을 지출하는 것은 아깝지 않다’(M=3.49, SD=.90) 모두 평균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헤어라인 교정을 받아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 66명(20.2%) 중 교정에 만족하는 응답자는 49명(74.2%)이었으며 선호하는 헤어라인 교정방법으로는 ‘모발이식이 119명(36.5%)’, ‘두피메이크업이 93명(28.5%)’, ‘두피문신’이 89명(27.3%), ‘가발’이 25명(7.7%)의 순이었다. 해당 교정방법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비용이 합리적이다’가 289명으로 복수응답(491명)의 58.9%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자연스럽다’ 90명(18.3%), ‘간편하다’ 54명(11.0%), ‘유지력이 좋다’ 46명(9.4%), ‘고통이 없다’ 12명(2.4%) 순이었다. 넷째, 6가지 헤어라인 디자인에 따른 남성 이미지 요인 중 ‘감각적인’의 요인은 ‘둥근형’이 132명(40.5%), ‘각진형’이 109명(33.4%)으로 높았다. ‘강인한’의 요인은 ‘각진M자형’과 ‘각진원숭이형’이 각각 93명(28.5%)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편안한’의 요인은 ‘둥근형’이 229명(70.2%)으로 크게 높았고 ‘각진형’이 57명(17.5%)으로 높았다. ‘단정한’의 요인은 ‘둥근형’이 159명(48.8%), ‘각진형’이 95명(29.1%)으로 평가되었다. ‘활동적인’의 요인은 ‘각진형’이 80명(24.5%), ‘둥근M자형’이 38명(11.7%) 순으로 높았으며 선호 이미지는 ‘둥근형’이 160명(49.1%), ‘각진형’이 107명(32.8%) 순이었다. 다섯째, 헤어라인의 만족도와 영향을 살펴보면 ‘헤어라인은 이미지 형성에 중요하다’와 ‘헤어라인 디자인은 남성 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의 평균이 ‘그렇다’에 가까웠다. 여섯째, 헤어라인 디자인의 유형별 이미지를 분석하면, ‘둥근형’은 편안하고 단정하며 감각적인 이미지에 효과적이다. ‘둥근M자형’은 남성이 감각적인 이미지메이킹을 원할 때 효과적이다. ‘둥근원숭이형’은 ‘각진형’ 다음으로 활동적인 이미지에 가장 적합하다. ‘각진형’은 가장 호불호가 적은 유형으로 고객이 작업자의 추천을 원할 때 가장 안정적인 추천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각진M자형’은 가장 강인하면서도 활동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기 적합한 유형이다. ‘각진원숭이형’은 ‘각진M자형’ 다음으로 강인하면서 활동적으로 보여지는 유형이며 가장 낮은 선호를 보였으나 여성들의 시각에서 가장 강인하게 보여지는 유형이다. 상기 내용의 분석을 바탕으로 남성의 헤어라인 디자인에 따른 이미지에는 차이가 있으며 성별, 연령, 직업에 따른 남성 이미지와 헤어라인 유형에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물리적인 탈모 커버 시장이 발전하고 헤어라인 디자인의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는 시점에서 고객과 작업자의 효과적인 디자인 선택에 도움을 주고 물리적인 탈모 커버 시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헤어라인 교정술에 따른 이미지 변화와 그에 따른 실태조사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6학년 분수의 나눗셈 수업의 실제

        이유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여 분수의 나눗셈을 지도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을 위한 교과용 도서 분석틀을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분수의 나눗셈 단원을 분석 및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요소가 실제 수업 중 어떻게 구현되는지 그 양상을 분석하고, 수업에서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분수 나눗셈 수업에서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여 지도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가.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1) 수학적 표현의 이해 측면에서 살펴본 수업의 구현 양상은 어떠한가? 2)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측면에서 살펴본 수업의 구현 양상은 어떠한가? 3) 자신의 생각 표현 측면에서 살펴본 수업의 구현 양상은 어떠한가? 4) 타인의 생각 이해 측면에서 살펴본 수업의 구현 양상은 어떠한가? 나.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에서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토대로 교과용 도서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분수의 나눗셈 단원을 분석 및 재구성하였으며, 광역시 소재 2개 초등학교의 6학년 담임교사 2명과 각 학급의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재구성한 교수·학습방안을 수업으로 구현하였다. 총 20차시의 수업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학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분수 나눗셈 수업의 구현 양상 및 수업에서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을 질적으로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의 분석을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의 4가지 하위 요소 측면에서의 수업 구현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학적 표현의 이해 측면에서는 다양한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을, 수학적 표현의 개발 및 변환 측면에서는 수학 공책 활용 양상과 말·글·그림·식·수직선 등 여러 가지 표현의 시도를, 자신의 생각 표현 측면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한 이유를 기록하고 점검 및 선정 그리고 계열 지어진 순서대로 과정과 결과를 발표하는 것을, 타인의 생각 이해 측면에서는 친구의 생각을 평가하고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여 아이디어 사이의 연결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은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및 교육과정에 제시된 하위 요소 구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의사소통 활동을 경험하였으며, 한 단원에 걸쳐 지속해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업에 참여하였다. 그 결과, 차시가 진행될수록 더욱 활발한 수학적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은 수학적 표현의 필요성을 깨닫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교사는 일반적인 의사소통 관련 수업과는 차별화된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에 더욱 최적화된 수업을 구현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교과용 도서에 구현된 의사소통 능력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하위 요소에 따라 분석틀을 개발하여 구체적인 교사 발문과 활동을 재구성한 결과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상의 긍정적인 측면들을 통하여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이 학생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및 하위 요소 구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여러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본 사례를 통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의 한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수학적 표현 자체에 대한 어려움으로 인한 학습 참여 제한, 수정한 표현을 공유하는 교실문화 형성의 제한, 의미 있는 표현에 대한 교사의 민감한 반응의 어려움 등이 본 연구 결과 드러난 대표적인 한계점이라 하겠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 확인된 여러 긍정적인 측면들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였을 때,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은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 신장을 지속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다. 따라서 더 보편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수학 수업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학급 내 절차 및 규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수학적 표현의 연습 과정, 수학적 논의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 하위 요소별 맞춤 지도를 위한 교사의 노력 등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연구가 교과 역량으로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한 분수의 나눗셈 수업을 구현하는 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 후속 연구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아동의 발성 발달과 부모의 구어적 반응성

        이유란 한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음절성 발성이 안정적으로 산출되는 9-11개월과 첫 낱말이 산출되기 시작하는 12-14개월로 나누어 자연스러운 가정 환경 내에서 아동의 월령이 증가하고 발성유형이 달라짐에 따라 부모의 구어적 반응성과 세부적인 반응유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9-14개월 아동과 부모 16쌍을 대상으로 LENA를 이용하여 아동의 발성과 부모의 반응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9-11개월 녹음자료와 12-14개월 녹음자료는 LENA pro를 사용해 5분 단위로 나누어 아동의 발성이 많은 상위 20개의 음원파일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아동의 발성은 하나 이상의 자음과 모음이 포함된 음절성 발성과 자음과 모음 구조가 포함되지 않은 비음절성 발성으로 나누었다. 아동의 발성 이후 나타나는 부모의 반응성은 무반응, 이어지지 않는 반응, 이어지는 반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중 이어지는 반응은 8가지 반응 유형으로 나누었고, 8가지 유형은 크게 언어를 기대하는 반응과 언어를 기대하지 않는 반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아동의 발성 유형은 두 월령 모두 비음절성 발성이 더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나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음절성 발성만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부모의 반응성은 아동의 발성 유형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지 않았으나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무반응의 비율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이어지는 반응의 비율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부모의 세부적인 반응유형을 살펴보면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인정하기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명명하기, 명령하기, 발성놀이는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부모는 아동의 음절성 발성에는 모방하기로, 비음절성 발성에는 질문하기, 속성하기, 명령하기, 발성놀이, 유희적 반응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월령과 관계없이 아동의 비음절성 발성에는 언어를 기대하지 않는 반응으로, 음절성 발성에 언어를 기대하는 반응으로 반응하였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아동의 음절성 발성이 증가하는 시기에 부모의 무반응 비율은 줄어들고 이어지는 반응의 비율은 높아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부모는 아동의 언어 및 신체 발달에 따라 반응 유형을 달리 하며, 아동의 음절성 발성에 언어를 기대하는 반응으로 반응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실험실 상황이 아닌 자연스러운 가정 환경 내에서의 아동의 발성 이후의 부모의 반응성과 반응 유형을 종단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조기 언어중재 프로그램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longitudinally examine how parents’ responsiveness and response’s type change as infants get older and vocalization types change in natural home environments. Methods: Infant’s vocalizations and parent’s responsiv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16 pairs of infants and parents at their home at the age of 9-11 and 12-14 months using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system. The recorded data were divided into 5 minutes using LENA pro, and the top 20 files with high infant’s vocalizatio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fant vocalizations were classified into non-canonical and canonical vocalization types. Parents’ responses were classified into no-reponse, non-contingent response, or contingent response. The contingent responses were categorized into eight types, which comprise language non-expectant responses and language expectant responses. Results: Infants produced non-canonical vocalization occupied a higher frequency in both ages, but only canonical vocaliz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ge increased. Parents showed parents’ responsiveness did not differ depending on the infant’s vocalization types, but the proportion of no-respons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proportion of contingent response increased significantly as age increased. Among the parents’ response types, acknowledgment decreased significantly and naming, directive, play vocaliz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ge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arents responded to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 with imitation, and non-canonical vocalization with question, attribution, directive, or play vocalization. Regardless of age, parents responded with language expectant response to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no-response decreased and contingent response increased as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 increased. In addition, parents showed different types of responses according to the infant’s language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responded to infant’s canonical vocalization with language expectant responses. This study has clinical implication for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s by longitudinally examining the responsiveness and response types of parents after infant’s vocalization in a natural home environment.

      • 사회지향성 및 자율지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유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elf-efficacy and gener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among sociotropy, autonomy and depression. Korean version of PSI-Ⅱ, Soci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Gener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and CES-D were administered to 473 undergradua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t was found each sociotropy and autonomy has a effect on posi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Second, each social and general self-efficacy has a effect on nega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Third, the relation between sociotropy and depression was partly mediated by general self-efficacy. But social self-efficacy had not a medit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 and depression. Fourth, the relation between autonomy and depression was partly mediated by social self-efficacy and general self-efficac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of verifying general self-efficacy appeared partial mediating in terms of the effect of sociotropy and autonomy on depression.

      • 고등학교 수학에서의 극한개념의 지도

        이유란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과학기술사회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는 현대 수학의 해석학 분야는 극한개념을 바탕으로 모든 이론이 전개된다. 하지만 현행교육과정의 극한문제 해결은 아직 많은 어려움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교과 과정에서 효율적인 극한개념을 지도하기 위하여, 극한 개념의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극한개념의 기초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극한의 기본개념에 바탕을 두고 ε-δ논법을 중심으로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을 직관적인 방법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이를 토대로 수열, 함수의 극한, 연속함수 등으로 제기되는 극한개념을 고찰하고 지도방안과 지도상의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Analytics province of modern mathematics that is largely adopted in science technology society of today, was develop all theory based on limits concepts. However, there are existed many treble-things where curriculum in force for solution of limits problem. Therefore, it was discussed historical backgrounds and foundation of limits concept in this study, for efficient guidance of limits concept in high-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nd, it has understood limits and continuance of function through eidetic method, with ε-δ argument based on limits concept as the center. Followed by that, progression, limits of function and continuity function were discussed and it was proposed curriculum and point which deserves our attention in this thesis.

      • 1960년대 유현목 작품에 나타난 현실인식 연구

        이유란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는 195,60년대라는 당대적 맥락에서 유현목 감독이 그려간 영화적 궤적을,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유현목은 한국영화 위기 극복의 방안으로 코리안 리얼리즘이 제기되던 1950년대 후반 데뷔했다. 그는 자기의 영화언어를 개발하기 위해 소비에트 몽타주와 표현주의에서 할리우드 장르영화까지, 다양한 서구 영화언어들에 대한 전유를 시도했다. 이러한 전유를 통해 그는 자기 현실 파악에 이르려고 했으며, 이때 그가 현실을 바라보는 인식틀은 실존주의였다. 요컨대, 그는 서구 영화언어의 전유와 실존주의적 인식틀을 경유해 새로운 리얼리즘을 모색했으며, 이러한 모색이 가장 두드러졌던 영화가 바로 <오발탄>이었다. 그러나 실존주의에 내재된 한계로 말미암아 <오발탄> 또한 현실의 구체적 모순을 인식하는데 이르지 못했다. <오발탄> 이후 유현목은 60년대 내내 장르영화를 만든다. 장르영화는 유현목에게 법적, 제도적 제약에 따른 현실적인 타협인 동시에 그가 추구하던 예술성과 주제의식을 실현할 수단으로 여겨졌던 듯하다. 유현목 영화는 이러한 ‘시스템과의 길항’의 결과물이었다. 그 일단은, 1960년대 후기작에 나타난 스타일의 양극화 현상에서 짚어볼 수 있다. 곧 그의 후기작들은 할리우드 고전체계를 답습하거나 형식에 대한 자의식의 과잉을 드러내거나 하는 식으로 양극화되어 나타난다. 보다 문제적인 것은 후자의 경우로, 박정희 군사정권의 독재 심화로 현실 발언이 어려워졌던 상황에서 <오발탄>에서 보여주었던 리얼리즘적 주제의식을 더욱 밀고나가기보다는 형식실험에 집중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현목의 형식 추구는 ‘한국영화의 전근대성’을 고민했던 비평계의 문제제기와 상통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당시 평론가들은 일종의 열등감에서 유럽 예술영화의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한국영화의 과제로 상정했으며, 이러한 전근대성 극복의 추구는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이데올로기와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여겨진다. 근대화 정책과 궤를 같이 해 전근대성의 극복을 한국영화의 주요과제로 상정했던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예술영화의 추구를 통해 한국영화의 전근대성을 극복하려던 유현목의 시도에서 박정희 근대화 정책과의 타협의 징후를 엿볼 수 있다. 이러한 타협의 여지는 주제의식을 살펴볼 때 보다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유현목의 영화는 호명에 대한 거부를 통해 근대화 이데올로기의 억압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현실비판의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나 남성주체가 나르시시즘으로 퇴행, 냉철하게 현실의 모순을 인식하기보다는 억압적인 현실로부터 도피해 관념의 세계로 침잠해버림으로써 그의 영화는 현실감각을 상실하고 강한 관념성을 띠게 된다. 한편, 이러한 나르시시즘적 남성주체는 여성에 대한 지배를 통해 자기동일성을 유지한다. 여기에서 여성의 훼손이 발생한다. 이와는 정반대로 공모자로써의 여성 역시 등장하는데, 이러한 상반된 여성 묘사는 여성을 은유화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여성의 은유화는 여성을 배제한 남성 동일성 사회로써의 국가 민족주의 건설이라는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전략과 일치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유현목이 국가 민족주의 담론에 편승했을 가능성을 제기해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공모의 가능성은 공간 묘사에서 보다 잘 드러난다. 유현목의 영화에는 근대화, 서구화된 공간이 대거 등장하거니와, 이는 근대화의 이상을 환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박정희의 근대화 프로젝트를 정당화하고 있다. 또한 박정희 정권과의 공모성은 <태양은 다시 뜬다>와 <아리랑>에서 보다 선명하게 드러난다. 박정희를 은유한 민족영웅을 중심인물로 내세운 이 영화들은 민족지도자를 중심으로 온 국민이 단결하면 가난을 극복할 수 있다는 유토피아적 환상을 설파하고 있다. 이렇듯 유현목 영화의 현실인식은 통상의 평가와는 상당한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박정희 정권의 근대화 담론과 공모의 가능성까지 지닌 것을 알 수 있다.

      • Ag 표면에 흡착한 biphenyl-4,4’-dithiol (BPDT)와 biphenyl-4,4’-dicarboxylic acid (BPDC) 분자의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연구

        이유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분자소자 분야에 응용되는 biphenyl-4,4’-dicarboxylic acid (BPDC)와 biphenyl-4,4’-dithiol (BPDT) 분자들의 은 필름에서의 흡착 배향 및 구조를 표면 증강 라만산란 (SERS) 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측정된 분자들의 SERS 스펙트럼들은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 계산 결과와 고체상과 염기성 용액에서의 분자들의 정규 Raman 스펙트럼들을 참조하여 진동 피크들을 배정하였다. BPDC 분자는 분자 내 두 페닐기의 carboxyl groups이 carboxylates 형태로 은 표면에 흡착함으로서 carboxylates 진동 모드들의 큰 선폭 증가로 나타났다. 염기성 용액에서 BPDC 분자의 정규 Raman 스펙트럼에서 3,074 cm-1에 나타나는 C-H 신축 모드가 SERS 스펙트럼에서 소실된다는 점은 electromagnetic enhancement (EM) 이론의 표면 선택 규칙으로 부터 분자가 은 표면에 평행하게 흡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ring breathing 진동 모드의 약간의 red-shift와 선폭 증가는 BPDC 분자의 π-시스템과 은 표면의 상호 작용의 결과로 해석된다. BPDT의 경우 정규 Raman 스펙트럼에서 2,557 cm-1에 나타나는 S-H 신축 진동 피크가 없어지고, 547 cm-1의 C-S 신축 진동 피크가 SERS 스펙트럼에선 red-shift와 선폭 증가가 관측된다는 점은 두 페닐기의 thiol groups이 thiolates 형태로 은 표면에 평행하게 흡착함을 보여준다. 또한 3,068 cm-1에서 나타나는 C-H 신축 진동 피크의 SERS 스펙트럼에서의 소실과 페닐기 관련 진동 모드 크기 변화로 부터 BPDT 분자는 은 표면에 페닐기 역시 평행하게 흡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pectra of biphenyl-4,4'-dicarboxylic acid (BPDC) and biphenyl-4,4'-di thiol (BPDT) adsorbed on chemically prepared Ag island film have been measured by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 respectively. Absence of C-H stretching bands in both SERS spectra reveals parallel orientation of biphenyl rings against the Ag surface and broadened, red-shifted ring bands suggest that adsorption should take place through interaction of π-systems of the phenyl rings with Ag. In addition, the adsorption of BPDC on Ag through both carboxylate groups has been identified from investigation of the carboxylate vibrational bands in the spectra. Similarly, for biphenyl-4,4'-dithiol, vibrational bands of S-H stretching and C-H stretching at 2,557, 3,068 cm-1 in solid state are absent in SERS spectra and the observed indicates the adsorption on Ag through the two S-Ag bonds with flat orientation via π-system of two phenyl rings.

      • 드라마 경험을 통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유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Underachieved students have low self-esteem due to various difficulties that they have faced from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failure experiences. Since low self-esteem has negative impacts on the general aspects of their life,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m to enhance their self-esteem. Under this situation, the investigator discovered that drama with it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was fit for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d students and could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The investigator thus set out to organize a drama program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nd analyze its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participa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can a drama program be organized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B. What kind of effects does drama have on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The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with a self-esteem scale, as well. A total of ten underachieved students that were in the fifth-grade and participated in ‘Kidarisaem’ took part in a program, and four of them that met the research requirem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seven 80-minute sessions in total. Sessions 1~2 dealt with home-parents self-esteem; Sessions 3 social-peer self-esteem; Session 4 school-academic self-esteem; and Sessions 5~7 global self-esteem.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general ones of underachieved students were reflec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program. In its implementation process, the investigator gathered lesson transcriptions, individual interviews, observation logs, reviews after the program, and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to figure out their self-esteem. Data analyse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drama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they changed their self-perceptions. After experiencing drama, underachieved students conducted an inquiry into themselves actively with interest in themselves or accepted themselves as able and valuable beings in a positive viewpoint. Based on these,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drama structures of ‘aesthetic engagement’ and ‘critical detachment’ and the drama characteristics including ‘self-spectator’, ‘mantle of the expert’, ‘achievable drama tasks’, and ‘drama events were effective for underachieved students making positive meanings about themselves. Secondly, drama was also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they helped them recognize others positively. A person's self-esteem depends on his or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at he or she finds meaningful and the attitudes that they have toward him or her. Drama offered underachieved students proper situations and roles, creating an opportunity for them to have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m and change their perceptions amicably. As a consequence, the underachieved students were able to form satisfying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friends, and teachers and increase their home-parents, social-peer, and school-academic self-esteem. Finally, drama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d students, as well, by providing them with experiences in the subjects of learning. In a common lesson scene, underachieved students would be left as the objects of learning due to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difficulties. The ‘multimodality’ and ‘aesthetic engagement’ of drama, however, provided specific contexts and diverse communication methods, helping even underachieved students with low verbal skills and thinking abilities explore and express their ideas actively. As a result, they participated in drama with an active and voluntary attitude and perceived themselves to be independent and abl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By connecting drama to underachieved students in a way not tried a lot in the nation, the study validated the value and usefulness of drama as a measure to support underachieved students.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d a need to maintain and develop projects and policies to support underachieved students consistently and implied the possibilities of participant expansion to apply drama to students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may serve as a specific case to provide underachieved students with emotional support at the site in school. Various follow-up studies proposed in the study will hopefully advance the study further. 학습지원대상학생은 누적된 학습실패 경험에서 비롯된 다양한 어려움으로 인하여 낮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한다. 낮은 자아존중감은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드라마의 구조와 특성이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에 적합하며,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드라마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것이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드라마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가? 나.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실행되었으며, 자아존중감 척도 검사지를 활용한 양적 분석도 함께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에는 ‘키다리샘’에 참여하는 5학년 학습지원대상학생 10명이 함께하였고, 그중 연구 조건에 부합하는 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7회기(회기당 80분) 분량이며, 1∼2회기는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3회기는 사회적 자아존중감, 4회기는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5∼7회기는 총체적 자아존중감을 다룬다. 프로그램 구성 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일반적 특성과 참여자의 개별적 특성을 모두 반영하였고, 실행 과정에서는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을 파악할 수 있는 수업 전사 자료, 개별 면담 자료, 관찰일지, 사후 소감문, 학급담임 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이 자아에 관한 인식을 변화시킴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드라마를 경험한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자신에게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자기탐색을 하거나, 긍정적인 관점에서 자신을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로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몰입’과 ‘거리두기’로 이루어지는 드라마 구조와 ‘자기-관객’, ‘전문가의 망토’, ‘성취 가능한 드라마 과제’, ‘드라마 이벤트’ 등의 드라마 특성은 학습지원대상학생이 자신에 관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구성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이 타인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한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그가 의미 있게 여기는 타인과의 관계와 그들이 보이는 태도에 따라 달라진다.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에게 적절한 상황과 역할을 제시함으로써 그들이 자연스럽게 타인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고, 그들에 대한 인식을 우호적으로 변화시키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지원대상학생은 가족, 친구, 교사와 만족스러운 관계를 맺을 수 있었고, 그들의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향상되었다. 셋째, 드라마는 학습지원대상학생에게 학습 주체의 경험을 제공하여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일반적인 수업 장면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인지적·정의적 어려움으로 인해 학습의 객체로 남겨지곤 했다. 그러나 드라마의 복합양식성와 미적 몰입은 구체적인 맥락과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언어능력과 사고력이 낮은 학습지원대상학생도 자신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표현하도록 도왔다. 덕분에 학습지원대상학생은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자세로 드라마에 참여하며 자신을 주체적이고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살펴보면 본 연구는 국내에서 많이 시도되지 않았던 드라마와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연계함으로써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방안으로 드라마의 가치와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학습지원대상학생 지원 사업 및 정책의 지속적인 유지와 발전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드라마를 적용할 수 있다는 참여자 확장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교 현장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구체적인 사례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언에서 제시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본 연구를 더욱 발전시키고 확대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산화환원 조절단백질-1의 세포 외 배출 기전 연구

        이유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Apurininc/apyrimidic endonuclease 1/redox factor-1(APE1/Ref-1)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which is regulated in subcellular localization via several localization signals. We hypothesized that APE1/Ref-1 could be secreted by th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such as intracellular acetylation. HEK293 cells were incubated with trichostatin A, an inhibitor of histone deacetylase, for various concentration and periods. In some experiments, the cells were transfected with p300, APE1/Ref-1, EGFP-tagged APE1/Ref-1. APE1/Ref-1 in cell culture supernatants was detected by Immunoblot after immunoprecipitation. and acetone precipitation. And the cytoplasmic translocation of APE1/Ref-1 was visualized with fluosencence microscopy. transfected with p300 and trichostatin A showed intracellular acetylation, which was assessed with anti-acetylated lysine antibody. Although undetectable at basal state, APE1/Ref-1 was present in supernatants in p300-transfected cells, and trichostatin A increased APE1/Ref-1 secretion in the p300-transfected cells. However, trichostatin A-induced APE1/Ref-1 secret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transfection of histone deacetylase (HDAC) in HEK293 cells. To develop the easy and economic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APE1/Ref-1 in supernatants, we compared two protein precipitation techniques, immunoprecipitation and acetone precipitation. Our data showed that acetone precipitation technique would be more easier and economic technique to detect APE1/Ref-1 in supernatants, compared with immunoprecipitation. By using acetone precipitation, we confirmed that APE1/Ref-1 in supernatants were increased by the exposure with trichostatin A (1 μM) within 30 min and persisted its level in 12 h. Also tichostatin A increased APE1/Ref-1 in supernatants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out any change of cell viability. As established that APE1/Ref-1 is secreted by trichostatin A, the possible inhibition of APE1/Ref-1 secretion by histone deacetylase was investigated. Acetylation of APE1/Ref-1 at the N-terminal K6/K7 residues is one of a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Furthermore, double lysine mutants of APE1/Ref-1 (K6R/K7R) were not affected by trichostatin A, suggesting APE1/Ref-1 secretion is required the acetylation of K6/K7 of APE1/Ref-1.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APE1/Ref-1 can secret into the supernatant in the response to intracellular acetylation in HEK293 cells. Acetone precipitation technique is recommended for the detection of APE1/Ref-1 in supernatants. The detection of APE1/Ref-1 in supernatants or extracellular medium would be very helpful to understand the cellular signals or pathophysiology of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