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남 천안시 주민자치센터 음악 프로그램 실태 및 수강자 만족도 조사

        이예린 성신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충남 천안시 주민자치센터 16곳에서 실행중인 음악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평생 교육 차원에서 음악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수강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수강중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주민자치센터의 개념과 기능을 살펴봄으로써 평생교육 시설로서의 주민자치센터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남구는 7개 동에서 17개, 서북구는 9개 동에서 24개의 음악 프로그램을 개설하였다. 동남구 보다 좀 더 많은 수의 서북구 주민자치센터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나, 인구 비율로 비교해보면 동남구, 서북구가 큰 차이는 없었다. 음악 프로그램은 크게 국악과 서양음악 두 가지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개설된 프로그램은 국악 프로그램보다 서양음악 프로그램이 많았다. 국악 프로그램은 풍물놀이, 사물놀이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서양음악 프로그램에서는 노래교실의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통기타, 기타교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뒤로는 오카리나, 하모니카 순으로 나열할 수 있었다. 둘째, 주민자치센터의 수강생들이 주로 50-60대의 여성이고 대부분이 주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다른 교육기관에서의 교육경험에 대해 50대 여성의 참여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민자치센터를 선택하게 된 동기는 ‘지역적으로 가까워서’, ‘수강료가 저렴해서’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접근성과 수강료의 비중이 다른 이유에 비해 큰 관심으로 비춰졌다. 주민자치센터를 이용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에는 ‘자기개발에 도움이 된다.’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강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노래교실 프로그램, 서양악기연주교실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수강자들이 음악 프로그램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는 ‘여가활동을 위해서’, ‘평소 음악분야에 관심이 많아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악 프로그램으로 인해서 기대되는 정도에 대해서는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95% 이상이었다. 다섯째, 음악 프로그램의 이상적인 수업 횟수는 주 2회로 비교적 선호도가 높았다. 수강료 만족에 있어서는 월 1-3만원으로 응답하였다. 새로 개설되었으면 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합창교실, 음악 감상교실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여섯째, 음악교육을 받는데 어려운 점을 묻는 질문에는 ‘어려운 점이 없다.’, ‘수업 받을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다.’ 순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방안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환경 및 기자재’, ‘교육비 부담’, ‘교?강사의 자질’등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민자치센터 음악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음악 프로그램의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주민자치센터의 활성화와 음악 프로그램의 개발과 성장을 위해 본 연구의 논문이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조현병 환자의 신경인지기능 : 개정된 지능, 기억, 관리기능검사를 중심으로

        이예린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조현병 환자집단과 정상대조집단에서 6개의 인지요인으로 분류된 신경인지기능을 비교하고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에 위치한 H병원과 A정신건강증진센터에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20-50세 사이의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상대조집단은 조현병 환자 집단의 연령, 성별, 학력에 맞게 짝짓기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K-WAIS-Ⅳ, Rey-Kim 기억검사-Ⅱ, Kims 전두엽 관리기능 신경심리검사-Ⅱ를 사용하여 6개의 인지요인(언어이해, 지각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 MQ, EFQ)을 산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병 환자집단은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지능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조현병 환자집단은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기억기능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셋째, 조현병 환자집단은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관리기능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넷째, 분류된 6개의 인지요인을 비교하였을 때, 조현병 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관리기능이 가장 큰 점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조현병 환자집단은 전반적으로 일반지능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특히 관리기능과 기억기능에서 보다 심한 결손을 보였다. 따라서 조현병 환자집단에게 관리기능이 가장 취약한 인지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neurocognitive function categorized into intelligence factors in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and normal controlled group and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35 persons of schizophrenia patients aged among 20 to 50 years old at H hospital and A mental health improvement center in Daegu city and Koungbuk province were the research participants. Normal controlled group is 30 people who are matched with the age, sex, education level of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Using research tools of K-WAIS-Ⅳ, Rey-Kim Memory test-II, Kims frontal executive function neuropsychology test-II, 6 factors(language understanding, perception inference, work memory, handling speed, MQ, EFQ) were calculated. The main results are as next. First,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shows low records in intelligence compare to normal controlled group. Second,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appears notably low records in memory function compare to normal controlled group. Third,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shows attentively low scores in executive function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led group. Forth, when compared to sorted 6 cognitive factors,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described the largest score gap on executive function than normal controlled group. All these results show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appeared low performance in general intelligence in total, and especially showed severe deficit in executive function and memory function. Hence, executive fun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weak cognitive factor for schizophrenia patients group.

      • 업사이클링 창작자를 위한 창작스튜디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방산종합상가 리노베이션 공간 계획안

        이예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ecent increase in awareness of environmental issues, the number of consumers aiming for green consumption is increasing by combining "value consumption," that is, a purpose-conscious consumption method that actively reveals their beliefs and values through consumption. While the existing green consumption was mostly consumers of naturalistic sensibility, the current green consumption is changing to the same type as "Green-summer," which feels responsible for environmental issues and wants to consume in a way that helps the global environment. Upcycling is a new concept that begins to attract attention in modern society by reflecting these consumer trends. However,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new creators is mostly poor, so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proceed with production, sales, and promotion.Public institutions in each region operate upcycling creative studios in the form of complex cultural spaces, but there are cases that do not help creators' continuous creative activities due to problems such as "lack of context", "lack of access", "difficulty in using space and connecting movement lines", and "not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s in program composition and space division". In addition, upcycling creative studios are not suitable for upcycling creators because they process and use raw materials that were existing wastes, so there is a difference from existing creative studios in that they need a space to clean and process waste. Based on these problems, in order to become a space for continuous creative activities considering upcycl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reator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propose a place and space considering the changes and context of architectural elements that solve existing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recreate by identifying the value and necessity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case analysis, using the spati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and providing an openness inside and outside the closed and inefficient space show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target site and upcycling creation studio.Through the proposal of a space with various openness, the upcycling creation studio was planned to not only propose a smooth working environment for creators of the upcycling creation studio, but also to actively communicate and exchange with defense industry workers and visitors to the creation studio. It is expected that upcycling creators will be able to fully develop their creative capabilities by proposing a new space composition of an upcycling creative studio with a combination of distribution and sales platform and cultural space to form a space where continuous creative activities are possible.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과 함께 ‘가치소비’, 즉 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목적의식적 소비 방식이 결합되어 그린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그린소비가 자연주의식 감성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이 주를 이루었다면 현재의 그린소비는 환경문제에 책임감을 느끼고 지구 환경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그린슈머(Green-summer)’와 같은 유형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업사이클링은 이러한 소비자 경향이 반영되어 현대사회에서 주목받기 시작하는 새로운 개념이다. 그러나 신생 창작자 개인의 작업환경은 대부분 열악하여 제작과 판매, 홍보를 진행하기에 공간이 부족하다. 각 지역의 공공기관에서 업사이클링 창작 스튜디오를 복합문화공간의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창작자 및 방문자를 고려하지 않은‘맥락성이 부족한 지리적 위치 선정’, ‘접근성의 부족함’, ‘공간 활용과 동선 연결의 어려움’, ‘프로그램 구성 및 공간 구획에서 사용자 특성을 고려하지 않음’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창작자의 지속적인 창작활동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사례들이 존재한다. 또한 업사이클링 창작스튜디오는 창작자들이 기존 폐기물이었던 원재료를 가공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폐기물을 세척하고, 가공할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기존 창작스튜디오와의 차이점이 존재하여 업사이클링 창작자에게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업사이클링과 창작자의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위한 공간이 되기 위해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건축적 요소의 변화와 맥락성을 고려한 대상지와 공간을 제안하며 창작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에서 그 가치와 필요성을 파악하고 공간 구성 및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대상지의 장소적, 맥락적 가치를 활용하고 기존 대상지와 업사이클링 창작스튜디오 사례에서 보여지는 폐쇄적이고 비효율적인 공간의 내외부에 개방감을 부여하여 재창조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개방성이 적용된 공간의 제안을 통해 업사이클링 창작스튜디오의 창작자의 원활한 작업환경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방산 산업종사자, 창작스튜디오에 방문하는 방문자가 적극적으로 소통 및 교류할 수 있는 업사이클링 창작스튜디오를 계획하였다. 지속적인 창작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유통 및 판매 플랫폼과 문화 공간이 결합한 형태를 가진 업사이클링 창작스튜디오의 새로운 공간 구성안을 제안하여 업사이클링 창작자가 본인의 창작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산화전분 식이 공급이 아토피 피부염 동물모델 표피장벽개선에 미치는 영향

        이예린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표적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인 아토피 피부염은 표피장벽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으며, 혈액 및 피부에서 Immunoglobulin E (IgE), Interleukin-4 (IL-4)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되어 있다. 또한, 표피의 주요 구성지질인 세라마이드 및 주요대사체인 스핑고신 일인산의 함량이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병변에서 정상 피부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내미생물 균총의 다양성 혹은 특정 유익균/유해균이 아토피 피부염 발병 및 표피장벽기능 저하에 관여함이 보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내미생물 균총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산화전분 혹은 옥수수전분이 다량 함유된 식이 공급에 의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기초피부기능성 지표인 표피수분손실량(Tranepidermal water loss, TEWL)의 수치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옥사졸론의 반복적 처리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 피부염 동물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고산화전분 식이 공급 시 증가된 TEWL의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 동물군에서 증가된 혈중 IgE 및 IL-4의 수준 역시 고산화전분식이 공급에 의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사전 보고와 유사하게 아토피 피부염 유발 시 감소된 피부 스핑고신 일인산 및 단쇄지방산의 함량은 고산화전분 식이공급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고옥수수전분 식이 공급에 의해서는 단쇄지방산의 제외한 TEWL, IgE, IL-4, 스핑고신 일인산의 수준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아토피 피부염 동물 장에서 아토피 피부염 감염의 주 원인균인 Staphylococcus aureus 의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유산균의 일종인 Bifidobacterium pseudolongum의 수준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고산화전분식이 공급 시 아토피 피부염에 기인하여 특이적으로 변화한 균총의 수준이 정상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고산화전분식이 공급에 의해 야기된 아토피피부염 장 균총의 정상화는 장내 단쇄지방산의 함량 증가에 기인하였으며, 혈중 IgE, IL-4 및 표피 구성지질(스핑고신 일인산) 수준을 정상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추후 연구를 통해 단쇄지방산에 기인한 아토피 피부염의 회복의 구체적 기전 연구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topic dermatitis (AD) is the most common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of the skin in which the Th2 cytokine interleukin-4 (IL-4) and immunoglobulin E are significantly elevated. In addition, prior studies revealed that ceramide and/or sphingosine-1-phosphate (S1P), major structural lipids of the epidermis, a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lesional skin and blood of AD. More recent studies discovered that indigestible diet, such as dietary fiber, indigestible starch could alleviate AD by normalizing gut microbiome, while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me and/or specific species of bacteria are tight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D pathogenesis.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dietary administration of oxidized starch, an indigestible starch, improves AD. To address this question, an animal model of AD was induced by 4-ethoxymethylene-2-phenyl-2-oxazolin-5-one (oxazolone) repeated application, and AD mice were administrated with oxidized starch (OS)- or digestible starch, corn starch-enriched diet (CS) for 4 weeks. OS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whic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esional skin of AD induced by oxazolone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group. The levels of serum IgE and IL-4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OS. Similar to the previous findings, oxazolone-mediated decreases in the contents of epidermal lipids, ceramide and sphingosine-1-phosphate (S1P), were reversely upregulated in mice fed the oxidized starch-enriched diet. The level of Staphylococcus aureus, the main bacterium that causes AD infection, and Bifidobacterium pseudolongum, a type of lactobacill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r decreased, respectively. Moreover, total amounts of short-chain fatty acids (SCFAs,C2-C4) were dramatically increased by OS administration. However, no change in TEWL, IgE, IL-4, ceramide, S1P, and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was found in mice fed corn starch-enriched diet.

      • 생성형 인공지능과의 협업을 위한 순환 구조 기반 문제해결 모형 개발

        이예린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tGPT를 필두로 생성형 인공지능이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ChatGPT는 대화형 챗봇으로, 가상의 인물과 대화하듯 친숙하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타당한 답변을 내놓아 사회 전반에 깊숙이 침투하였다. ChatGPT를 활용한 플러그인 서비스도 많이 개발되고 상용화되었다. 또 대화형 챗봇뿐만 아니고, 이미지 생성을 위한 MidJourney와 Dall-E, 음성 합성을 위한 Magenta 등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 속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 이해 및 활용이 교육과정에 포함되기 시작되었다. 초등학교 ‘실과’와 중학교, 고등학교 ‘정보’에 인공지능이 포함되었으며, ‘인공지능 기초’와 같은 과목이 개설되었다. 하지만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인공지능이 사회에 미친 영향과 인공지능 윤리가 강조되지만, 어떻게 해야 인공지능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올바른 활용과 인공지능의 문제해결 사례 분석이 강조되지만 실제로 인공지능을 어떤 방법과 절차로 활용해야 하는지 또한 제시가 필요하며, 생성형 인공지능과 협업하는 방식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생성형 인공지능과의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인공지능을 인간과 협업하는 상대로 보고, 생성형 인공지능과 인간이 함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문제해결 과정을 체계화하여 효과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문제해결 모형을 제작하였다. 기존의 문제해결 모형과 인공지능 및 생성형 인공지능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해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인공지능을 협업 상대로 바라본 연구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문제해결 사례도 분석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협업 상대로 봤을 때 어떤 절차로 문제를 해결해야 할지 도출하였고, ASIR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둘째, 문제해결 모형의 전문가 타당화 문항에 대해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했다. 모형의 적절성을 검토하기에 효과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었는지, 문항의 표현이 정확한지, 모형을 이해하기 적절한지 등 설문지의 전반적인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셋째, 문제해결 모형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문제해결 모형 내 단계 간 핵심적인 순위, 단계명과 하위 단계 및 구성 작업의 적절성, 모형의 타당도에 관한 문항 20개를 만들고 컴퓨터 교육 및 인공지능 교육 분야의 전문가 6인을 선정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모형을 수정했으며, 3차 타당화까지 실시하여 초기 모형에서 개선 모형, 2차 개선 모형을 도출하였고, 모든 문항에서 적절성 기준을 만족하였다. 2차 개선 모형을 구체화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논문은 생성형 인공지능과 협업하여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연구하는 데에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개발한 모형을 적용하면 문제해결의 효과성과 체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as introduced to the public, led by ChatGPT. ChatGPT is an interactive chatbot that penetrates deeply throughout society by providing answers that can be used familiar and naturally as if talking to a virtual person. A lot of plug-in services using ChatGPT have also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addition to interactive chatbots, various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MidJourney and Dall-E for image generation and Magenta for voice synthesis are widely used throughout the industry and in everyday life. As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as emphasized,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egan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rtificial intelligence was included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ours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formatics", and subject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s" were opened. However,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are emphasized, but there is no content on how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lthough the right use and analysis of problem solving ca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mphasized, it is also necessary to present what methods and procedures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actually be used, and it seems necessary to present how to collaborate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ystematically propose a method for solving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e saw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partner to collaborate with humans, and developed a model that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must follow to solve problems together. If this model is properly used, the effectiveness can be improved by systematiz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process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problem solving model was crea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Key element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existing problem solving models and prior studi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that looked at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ollaborative partner and problem solving ca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also analyzed to derive what procedures to solve the problem when looking at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collaborative partner, and named it the ASIR model. Second, expert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question of expert validation of the problem solving model. The overall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reviewed, such as whether it was composed of effective question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question was accurate, and whether it wa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model. Third, expert validation of the problem solving model was conducted. Twenty questions were created about the key ranking between steps in the problem solving model, the appropriateness of the step name and sub-step and composition work,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and six experts in computer educ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were selected. The first improved model and the second improved model were derived from the initial model by conducting the validation three times, and the appropriateness criteria were satisfied in all questions. The final model was derived by specifying the second improved model. This paper could be the basis for researching systematic methods and procedures that enable effective problem solving in collaboration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pplying the developed model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systematicity of problem solving.

      • 발달장애인 직업생활 사례연구 : 마을공동체 기반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이예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안심마을 기반 협동조합에서 일하는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했다. 연구결과, 3가지 상위범주 ‘일하면서 느끼는 자부심’, ‘서로 도우며 함께 일함’, ‘마을에서 더불어 성장함’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는 일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냈다. 조합원과 이웃들의 격려와 칭찬, 나아가 스스로에 대한 신뢰와 믿음으로 조합에서 자신의 필요성을 확인했고, 직원과 조합원으로서 소속감을 나타내며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고 자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동료, 더 나아가 조합원들과 서로 도우며 함께 일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협동하며 힘을 보탰고, 조합이 어려울 때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조합의 어려움을 함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서로 도우며 일하는 과정에서 서투름, 어려움을 헤아리고 살펴주는 동료와 조합원들이 있었다. 셋째, 연구참여자와 동료, 이웃들은 함께 더불어 성장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연구참여자는 마을에서 자라나 마을에서 일했고, 이웃과의 관계 속에서 발달장애인이나, 이곳에서 일하는 사람이 아닌 또 다른 누군가로 자신의 존재가 확장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는 조합과 오랜 시간을 함께하며 조합원과 이웃들에게 익숙하고 자연스러운 존재가 되어갔으며, 연구참여자의 이웃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본보기가 되어 당사자 직원을 우리의 평범한 이웃으로 대하는 법을 일상에서 행동으로 배워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하면서 느끼는 자부심’의 범주를 통해 마을 조합에서의 직업생활이 단순히 직장이나 일터에서의 반복되는 일상을 넘어서며,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게 만드는 활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서로 도우며 함께 일함’의 범주를 통해 동료와 조합원의 협력으로 발달장애인 당사자 개인의 손상에 따른 어려움과 서투름이 상쇄될 수 있음을, 더 나아가 발달장애인 당사자 역시 조합의 어려움을 함께하고 힘을 보태는 조합의 주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마을에서 더불어 성장함’의 범주를 통해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전문가의 전적인 직업재활이나 훈련 없이도, 지역사회 내 통합된 환경인 마을 조합에서 주변 이웃들과 서로 상호의존하며 일하고, 이웃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회적, 복합적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exploring the occupational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king in an Ansim Village-based cooperative.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high-level categories were derived: ‘pride you feel while working’, ‘cooperation by helping each other’, and ‘mutual growth’ in a villag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pride in their work. Through encouragements and praises from members and neighbors, as well as trust and belief in themselves, they confirmed their value in the union, and showed a sense of belonging as an employee and a member while they confirm their presence and showing pride.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dedication started as helping and working together with their colleagues but it expanded to union members at the end. They worked cooperatively and added strength, and when the union was in difficulty, They showed how to deal with the hardships in their own ways. In the process of helping each other, there were colleagues and union members who showed understanding and care in their clumsiness and difficulties. Third, research participants, colleagues, and neighbors grew together. The study participants grew up in a village and worked in the village, they showed that their existence was extended from someone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who was just working for the union to someone with their own unique identity. Research participants have been with the union for a long time and have become familiar and natural with the union members and their neighbors. Neighbors of the study participants set an example for one another and showed how to treat their employees as ordinary neighbors in their daily live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ategory of ‘pride you feel while working', it was confirmed that occupational life in the village cooperative is an activity that affirms their own existence, going beyond the simple daily routine at workplace. Second, through the category of ‘cooperation by helping each other', the cooperation of colleagues and members can offset the difficulties and clumsiness accompanied by the impair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y themselves have the potential of becoming a helpful and understanding owner of the union. Third, through the category of ‘mutual growth' in a village, it was confirmed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ocial and complex beings working interdependently with their neighbors through the space of the village union, an integrated environment within the local community, without any professional rehabilitation or training.

      • 치과의료기관 유형별 감염관리 이행실태

        이예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April 1, 2020 to May 10, 2020, dental institutions were classified into regions and institutions and 35 university hospitals, general hospitals, 41 dental hospitals, 121 dental clinics were recruited through a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o investigate status of infection control by type. Each item constituting the infection control system by dental institution type, treatment room environment and facility management, personnel safety management, sterilization management of equipment, dental waste and laundry management were analyzed a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After summing up each items and converting them into 100 points for each area,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level of infection control system establishment and operation by type of dental institution was 89.0 points for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75.6 points for dental hospitals, and 34.4 points for dental clinics(p<.001). In the environment and facilities of treatment room, air(p<.001), dental unit waterline(p<.001), surface(p<.001) and operating room management levels were 76.1 points, 72.5 points, 73.0 points, and 74.0 points for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similar to 77.2 points, 75.1 points, 71.0 points, and 73.8 points for dental hospitals, while 61.1 points, 40.0, 37.0 points and 45.6 points for dental clinic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taff infection exposure(p<.001),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05), hand hygiene(p<.001) levels were 90.7 points, 75.5 points and 88.5 points for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79.8 points, 79.5 points, and 80.4 points for dental hospitals, and 50.2 points, 88.0 points and 61.5 points for dental clinics. The sterilization management system was 90.8 points for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79.5 points for dental hospitals, and 64.6 points for dental clinics(p<.001). The institutions that abide by the rules of a high-risk, semi-critical and medical disposable devices management were 69.7%, 63.4%, 51.4% of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66.7%, 68.7%, 41.0% of dental clinics, and 48.7%, 41.9%, 27.7% of dental hospitals. The majority of dental institutions had autoclaves but the level of retention by type and the sterilization monitoring had many differences(p<.001). The dental institutions using all three methods were 71.4% of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48.8% of dental hospitals, and 11.6% of dental clinics(p<.001). Medical waste management(p<.01) and laundry management(p<.001) had 92.0 points and 83.4 points for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82.9 points and 74.1 points for dental hospitals, while 77.1 points and 40.3 points for dental clinics. Efforts were required to become aware of and improve areas of insufficient infection control in order to provide safe medical services and Infection control level should be raised overall,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dental clinics were urgently needed. To this end, efforts to establish and practice the infection control system of the dental medical institution itself should be prioritized but it is considered that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to provide and manage various information and monitor the system is needed. 치과의료기관 유형에 따른 감염관리체계와 이행실태를 파악하고자 2020년 4월 1일부터 5월 10일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과 기관유형을 분류하여 대학·종합병원 치과 35개소, 치과병원 41개소, 치과의원 121개소를 층화무작위표본추출법으로 모집하였다. 기관유형별 감염관리 체계, 진료실 환경 및 시설관리, 인력 안전관리, 기자재 멸균관리, 의료폐기물 및 세탁물 관리 실태를 구성하는 각 항목은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영역별 항목을 합산하여 100점으로 환산한 후 one way analysis of variance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치과의료기관 유형별 감염관리체계 구축과 운영 수준은 대학·종합병원 치과 89.0점, 치과병원 75.6점, 치과의원 34.4점이었다(p<.001). 진료실 환경 및 시설에서 공기(p<.001) 및 수관(p<.001), 표면(p<.001), 수술실 관리(p<.001) 수준은 대학·종합병원 치과가 76.1점, 72.5점, 73.0점, 74.0점으로 치과병원의 77.2점, 75.1점, 71.0점, 73.8점과 유사하였으며, 치과의원은 61.1점, 40.0점, 37.0점, 45.6점이었다. 인력의 감염노출 예방과 관리(p<.001), 개인보호장비 착용(p<.05), 손 위생(p<.001) 수준은 대학·종합병원 치과 90.7점, 75.5점, 88.5점, 치과병원 79.8점, 79.5점, 80.4점, 치과의원 50.2점, 88.0점, 61.5점이었다. 멸균관리시스템은 대학·종합병원 치과 90.8점, 치과병원 79.5점, 치과의원 64.6점이었다(p<.001). 고위험과 준위험 및 일회용기구 관리 수칙은 대학·종합병원 치과 69.7%, 63.4%, 51.4%, 치과의원 66.7%와 68.7%, 41.0%, 치과병원 48.7%, 41.9%, 27.7%가 준수하였다. 멸균장비는 고압증기멸균기가 많았으나 종류별 보유 수준(p<.001)과 멸균감시법(p<.001)은 기관유형별 차이가 많았다. 3종류 멸균감시법을 모두 실시하는 대학·종합병원 치과는 71.4%, 치과병원 48.8%, 치과의원 11.6%였다(p<.001). 의료폐기물 관리(p<.01)와 세탁물 관리(p<.001)는 대학·종합병원 치과가 92.0점과 83.4점, 치과병원 82.9점과 74.1점이었고, 치과의원은 77.1점과 40.3점이었다.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감염관리수준을 전반적으로 높여야 하므로 미흡한 영역에 대한 자각과 개선의 노력이 요구되었으며, 특히 치과의원의 관리가 시급하였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 자체의 감염관리체계 구축과 실천에 대한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하며, 감시를 병행하는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과 효과

        이예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이 외갓집 방문에서 체험한 것과 얻게 된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에 담긴 교육적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의 그림과 이야기를 사례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이 외갓집 방문에서 체험한 것은 무엇인가? 2. 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의 효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베트남 다문화가정 10가정에 속해있는 만 2세부터 만 8세까지의 어린이 19명이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14년 9월 15일부터 29일까지 어린이들의 국내 가정 방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한 가정 당 1회씩 총 10회에 걸쳐 10가정을 방문해 참여관찰하며 어린이들의 그림 40장을 수집하는 한편 어머니들과 심층면담하고 사진촬영 및 오디오 녹음, 문서자료 수집의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자는 현장약기와 녹음 내용으로 현장일지와 면담 전사본을 만들었고 그림을 스캔하여 그림에 대한 설명을 정리함과 동시에 주제에 따라 분류했다. 수집된 자료는 Glesne(2008)이 제시한대로 의미를 찾아 분석하고 부호관계를 체계화하는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 체험은 베트남의 가족 체험, 베트남의 문화 체험, 베트남의 자연 체험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의 가족 체험은 다양한 외가식구들과 함께 지내기, 또래 사촌형제들과 놀이하기였다. 베트남의 문화 체험은 의식주 생활, 언어와 풍습, 어린이들의 생활, 이동수단 체험하기였다. 베트남의 자연 체험은 다양한 동물 관찰하기, 열대식물과 과일 즐기기, 자연에서의 놀이 즐기기, 스콜현상 체험하기였다. 어린이들의 그림과 이야기를 통해 베트남의 여러 가지 현상과 문화, 가치가 어린이들의 관점에서 반영되어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 효과는 엄마의 능력 확인 및 엄마에 대한 자부심 형성, 외가식구들에 대한 유대감 형성, 베트남에 대한 지식과 이해 형성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들은 엄마의 언어적, 문화적 능력을 확인함으로써 엄마에 대한 자부심을 느꼈고 외가식구들과의 상호문화적 소통을 통해 관계를 형성했으며 베트남에 대한 사회문화적 지식과 이해를 획득했다. 이는 어린이들의 상호문화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그들의 내적 성장과 변화를 가져왔다.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 체험과 엄마 나라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에 다양한 국적의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외갓집 방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들이 외갓집 방문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외갓집 방문에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이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ㆍ발전시킬 수 있도록 정기적인 외가방문 및 사회적 연결망 구축 지원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effects that Korean-Vietname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get from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Vietnam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the visit. The study analyzes the children's drawings and stories using a case study research method. For that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kinds of experiences do the Korean-Vietnamese children get from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2. What effects does their visit to maternal homeland have on the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19 children aged between 2 and 8 from 10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living in Korea. The data for this research have been collected through the researcher's visit to the 10 families, from September 15th, 2014 to September 29th, 2014.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40 drawings of the children through 10 participating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photo shooting, audio recording and documentation. The contents of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transcribed in field notes. Collected drawings were scanned and classified based on the theme of the children’s drawings. Collected data were encoded, categorized, and analyzed as Glesne(2008) suggested.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that the children get from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family, that of Vietnamese culture, and that of its nature.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family includes getting along with maternal family and playing with similar aged cousins.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culture includes experiencing its food, clothing, and housing, its language and its customs, the life of children, and public transportation. Observing diverse animals, enjoying tropical plants and fruits, playing outside in nature, and having an experience of squall belong to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nature. Second, the effects of the children’s visit are that they came to think highly of their mothers, formed a bond with their maternal families and they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Vietnam. With witnessing their mothers’ being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confident in their home country, the children became proud of their mothers. Thei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eir maternal families produced a valuable relationship, and their better understanding and better knowledge of Vietnam. All these improvements led to their higher self-esteem and growth. The children’s visit of their maternal homeland and the ensuing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ir mothers’ home country prove itself to be crucia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hildren. Thus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study visit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their maternal homeland. The educational support is essential for the best outcomes from multicultural children’s visit to their maternal homeland. Finally, the children’s regular visit to their maternal homeland and studies to provide them with social network for a strong bond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re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eir cultural identity.

      • 매칭과 샘플링을 이용한 실시간 BEV 영상 분할

        이예린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research on autonomous driving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autonomous driving i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environment for 360° around the vehicle. Existing autonomous driving systems use various computer vision algorithms to recogniz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when using camera sensors. The results from computer vision algorithms is represented in the image space, and autonomous driving requires an additional process of converting the results represented in the image space into a 3D space using estimated depth. However, since the estimated depth from the RGB image is not an accurate value,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convert the result recognized in the image space into a 3D space. To solve this problem, studies have been started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of the robot though BEV segmentation. BEV segmentation is a task that predicts a BEV semantic segmentation map represented in a 3D space from RGB images. The BEV segmentation task allows us to predict the results represented in the 3D space without the exact depth value.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more quickly and accurately, autonomous driving systems require a model for BEV segmen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BEV segmentation model that has high accuracy and operates in real time. To convert a feature map represented in image space into a feature map represented in 3D space, we propose a Matching And Sampling(MAS) module that complements the weaknesses of the two modules by using the BEV feature map from the attention module as a query for the deformable attention module.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has an accuracy of 76.37% for the road class and 40.60% for the vehicle class on the nuScenes validation dataset, and inference time is 44.68 fps (frames per second) when measured with NVIDIA GeForce RTX 3090 GPU This corresponds to the SOTA performance among existing models operating in real time, and has comparable with models does not operate in real-time.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formable attention module in the MAS module, we find that the (x, y) locations sampled in the feature maps represented in image space are not meaningful locations. Through this, we find that th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is difficult to learn the location for sampl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deformable attention module found in this pap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how to learn the sampling location in deformable attention. Al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models that do not use deformable attention with higher performance. 최근 자동차 산업계를 중심으로, 자율 주행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 주행 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은 차량 주변 360°에 대한 환경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이다. 카메라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 자율 주행 시스템은 다양한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들을 사용해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들을 사용해 출력한 결과는 이미지 공간에 표현되어 있는데, 자율 주행을 위해서는 추정된 깊이(Estimated Depth) 값을 사용해 이미지 공간에서 표현된 결과를 3D 공간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추가로 필요로 한다. 하지만, RGB 이미지로부터 추정된 깊이 값은 부정확하기 때문에, 이미지 공간에서 인식된 결과를 3D 공간으로 정확하게 변환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EV 영상 분할(Bird’s-Eye-View Segmentation)을 통해 로봇의 주변 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연구들이 시작되었다. BEV 영상 분할이란 여러 장의 RGB 이미지들로부터 3D 공간에 표현된 BEV 영상 분할 맵(BEV Semantic Segmentation Map)을 출력하도록 하는 태스크(Task)이다. 이를 통해, 정확한 깊이 값이 없더라도 3D 공간에서 표현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로봇의 주변 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는 BEV 영상 분할 모델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정확도를 가지며,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BEV 영상 분할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공간에서 표현된 특징맵을 3D 공간에서 표현된 특징맵으로 변환하기 위해, 어텐션 모듈로부터 출력된 BEV 특징맵을 디포머블 어텐션 모듈의 쿼리로 사용함으로써 두 모듈의 단점을 서로 보완해주는 MAS(Matching And Sampling) 모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nuScenes 검증 데이터셋[30]에서 로드(Road) 클래스는 76.37%, 비히클(Vehicle) 클래스는 40.60%의 정확도를 가지며, NVIDIA GeForce RTX 3090 GPU를 사용해 속도를 측정한 결과 44.68 fps의 속도를 가진다. 이는 실시간으로 동작하는 기존 모델 중 SOTA 성적에 해당하며, 실시간으로 동작하지 않는 모델들과도 비슷한 성적을 가진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한 MAS 모듈의 디포머블 어텐션 모듈을 분석한 결과, BEV 특징맵을 생성하기 위해 이미지 공간에서 표현된 특징맵에서 샘플링 하는 (x, y) 좌표들이 의미있는 좌표들이 아니라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디포머블 어텐션 모듈에서 샘플링 하기 위한 위치를 학습 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 했다. 향후 본 논문에서 발견한 디포머블 어텐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샘플링 하기 위한 위치를 학습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 또는 디포머블 어텐션을 사용하지 않으며 좋은 성능을 가지는 모델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필요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