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동형 AIoT 디바이스를 활용한 개인형 이동장치 위반사항 검출 시스템

        이영우 한신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ecent increase in personal mobility (PM)sharing services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M accidents. According to the Korea Road Traffic Authority’s annual PM accident statistics, 897 accidents occurred in 2020, rapidly increasing to 2,386 in 2022. Accordingly, PM-related deaths and injury accidents also tended to increase. In addition, PM’s illegal parking, careless and reckless driving, failure to wear protective gear, and non-compliance with the ridership quota are causing situations that harm the environment and safety of the roads. As a related study to solve this problem, a system was implemented to detect PM passengers’ failure to wear helmets, violations of the riding quota, PM’s parking status, and normal driving conditions in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video-based image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CCTV, it was not fixed. The problem is that it can only be detected at a location, so it cannot be detected if it is outside the shooting range. Personal mobile device detection based on drone video data was proposed. However, since drones are used, there are problems with the drone’s flight restriction area and flight time depending on the battery. Many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detect whether a passenger is wearing a helmet. However, these methods ha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etect other violations, such as non-compliance with the riding quota other than wearing a helme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proposes a personal mobile device violation detection system using mobile AIoT devices. This system solves the problem of only being able to detect a fixed location and the flight restrictions of drones by install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AIoT) device on the PM, which has a longer travel time than a drone, to provide mobility. Other detection items other than not wearing a helmet were added. The proposed personal mobile device violation detection system consists of a mobile AIoT device for detecting violations of PM passengers, a mobile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 for measuring location and network signal field strength, and an IoT server for data transmission and storage and violation. It comprises a web monitoring application for information and signal field strength. First, the mobile AIoT device transmits image and text data that detects conditions such as not wearing a helmet, non-compliance with the riding quota, and parking conditions to the IoT server through the PM violation detection model. Next, the mobile IoT application collects location, network, weather, and air quality data, such as PM passengers’ latitude and longitude, from the smartphone and transmits it to the IoT server. The IoT server stores all received data and uses a server that complies with the international IoT standard oneM2M. Lastly, the web monitoring application requests violation detection images and text data from the IoT server, the location at the time of violation detection, and the network receives field strength data at that location and receives the response data in real time through the map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Mark it on the map. In particular, to implement a PM violation detection model in a mobile AIoT device, 3,301 image data were generated using image data collected by a camera. Three images were used: normal, which corresponds to the normal driving state of the PM rider, no helmet, which corresponds to the state of not wearing a helmet, and two or more people. A dataset of 7,990 objects was constructed by labeling the generated image data into four classes, including two persons, which corresponds to non-compliance with the passenger capacity due to abnormal boarding, and parking, which corresponds to the parking state. Through the constructed dataset, a PM violation detection model was learned using you only look once (YOLO)v5 structures. As a result of learning, we implemented a violation detection model with a training performance of 98% for test data in mean average precision (mAP), 97% for YOLOv5-n, and 99% for YOLOv5-x. Examples of how to utilize this system and its expected effects include PMsharing service providers, local governments, and police. First, PM-sharing service providers can encourage users to drive safely by providing mileage or rewards. Second, local governments can use it to install and reinforce parking infrastructure in areas where PM parking problems frequently occur. Lastly, police can be used to strengthen patrols in areas where violations are frequently detected.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Mobile, Personal Mobility, Safety Violation, 이동형 AIoT 디바이스를활용한 개인형이동장치위반사항검출시스템 한신대학교일반대학원 IT영상데이터융합(협) 이영우 지도교수 : 서정욱 최근개인형이동장치(PM, personal mobility) 공유서비스의증가는 PM 사고 건수의상승과연관되어있다. 대한민국도로교통공단의연도별PM사고통계에따 르면, 2020년에는 897건의사고가발생하였으며,이수치는 2022년에는 2,386건으로 급증하였다. 이에따라PM관련사망및상해사고도증가하는경향을보였다. 또한 PM의불법주차, 부주의및난폭운전, 보호장구미착용, 승차정원미준수등으로 인해도로의환경과안전성을해치게되는상황이발생하고있다. 이러한문제를 해결하기위한관련연구로Closed-Circuit Television (CCTV)영상기반의영상에서 PM 탑승자의헬멧미착용,승차정원위반사항과 PM의주차상태,정상적인주행 상태 검출 시스템을 구현하였지만, CCTV 특성상 고정된 위치에서만 검출할 수 있어촬영범위에서벗어나면검출할수없다는문제있다. 드론영상데이터기반의 개인형이동장치탐지가제안되었다. 하지만드론을사용하므로드론의비행제한 구역문제와배터리에따른비행시간을문제로갖는다. 탑승자의헬멧착용여부를 검출하는방법도다수제안되었지만, 이는헬멧착용외의승차정원미준수등과 같은다른위반사항을검출하지못하는문제를갖고있다. 이러한기존연구의한계 를극복하기위해본논문에서는이동형AIoT 디바이스를활용한개인형이동장치 위반사항검출시스템을제안한다. 이시스템은지능형사물인터넷(AIoT, Artificial Intelligence of Things) 장치를 드론에 비해 긴 주행 시간을 가진 PM에 설치하여 이동성을부여함으로써고정된위치만검출이가능한문제점과드론의비행제약을 해결하고,헬멧미착용외의다른검출항목을추가하였다. 제안한개인형이동장치위반사항검출시스템은 PM 탑승자의위반사항검출 을위한이동형AIoT디바이스,위치및네트워크신호전계강도측정을위한모바일 Internet of Things (IoT) 애플리케이션,데이터전달및저장을위한 IoT 서버,위반 사항및신호전계강도감시를위한웹모니터링애플리케이션으로구성된다. 먼저, 이동형 AIoT 디바이스는 PM 위반사항검출모델을통해헬멧미착용, 승차정원 미준수, 주차 상태등을검출한이미지와텍스트데이터를 IoT 서버로전송한다. 다음으로모바일 IoT 애플리케이션은스마트폰에서 PM 탑승자의위도, 경도와 같은위치, 네트워크, 날씨, 공기질데이터를수집하여 IoT 서버로전송한다. IoT 서버는전달받은모든데이터를저장하고사물인터넷국제표준 oneM2M을준수 하는서버를사용한다. 마지막으로웹모니터링애플리케이션은 IoT 서버로부터 위반사항검출이미지와텍스트데이터,위반사항검출시점의위치와해당위치의 네트워크수신전계강도데이터를요청하고응답받은데이터를지도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통해실시간으로지도에표시한다. 특히이동형AIoT디바이스에서PM위반사항검출모델을구현하기위해카메 라로수집한영상데이터로 3,301장의이미지데이터를생성하고PM탑승자의정상 운행상태에해당하는 normal, 헬멧미착용상태에해당하는 no helmet, 2인이상 탑승으로인한승차정원미준수상태에해당하는 two persons,주차상태에해당하는 parking 등총 4개의클래스로생성한이미지데이터를레이블링하여총 7,990개의 객체들을가진데이터셋을구축하였다. 구축된데이터셋을통해 You Only Look Once(YOLO)v5 구조들을활용하여 PM 위반사항검출모델을학습하였다. 학습 결과테스트데이터에대한mean average precision (mAP) 훈련성능이 YOLOv5-s 는 98%, YOLOv5-n은 97%, YOLOv5-x는 99%인위반사항검출모델을구현하였다. 본시스템의활용방안및기대효과로 PM 공유서비스제공업체,지자체,경찰 등에서의예시를들수있다. 첫번째, PM 공유서비스제공업체의경우마일리지나 리워드제공을통해이용자의안전운전을유도할수있다. 두번째, 지자체의경우 PM의주차문제가자주발생하는지역의주차인프라를설치및보강하는데이용 할수있다. 마지막, 경찰의경우위반사항이자주검출되는지역의순찰을강화에 활용할수있다. 핵심단어: 인공지능,사물인터넷,이동형,개인형이동장치,안전수칙위반

      • 상표 애호도의 유형구분에 따른 스포츠마케팅에 관한 연구

        이영우 경기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상표애호도 유형구분 분야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그 주된 목적들이 행동과 태도가 결합되었을 경우 그 유형을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그리고 그 유형별로 소비자들이 어떻게 분포되고 있는가?, 그 유형별로 어떤 변수들이 관련되는가? 등에 연구목적을 두기 보다는 행동과 태도 모두가 상표 애호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분야에서는 이들 모두를 고려한 좀 더 타당성있는 상표애호도 유형구분이 필요하며 실제로 유형별 소비자들의 분포정도 그리고 각 유형들에 관련 변수들의 적용 등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므로 태도와 행동을 고려한 상표 애호도를 그 유형별로 구분하여 실제로 스포츠 참여자들이 이러한 유형들에 대하여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가를 조사하고, 부가적으로 스포츠 참여요인들이 스포츠 용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상표 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도 규명하여 상표 애호도가 특정 상표에 전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가를 알아 보기 위하여 그 분포 정도를 연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에게 <스포츠용품 사용에 따른 상표 애호도>에 관한 설문지를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표집하였으며, 이를 SAS 6.2 프로그램을 이용한 χ^(2) 검증을 교차분석한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화(靴)의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상표 애호도들 간에 그 분포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스포츠웨어와 골프클럽의 경우에도 감정적 상표애호도 보다는 상황적 상표 애호도나 非상표 애호도에 좀 더 많은 분포를 보였다. 둘째, 감정적 애호집단은 관여(인지된 위험, 제품의 중요성, 자아 이미지), 정보탐색, 제품지식, 상표간의 차이인식, 기업 이미지 등에 있어서 좀 더 높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지적 애호집단은 다양성 추구, 점포애호도, 준거집단의 영향 등에 더 높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구매의 편리성은 상표애호도 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간적 여유와 현실성 추구 등은 상표애호도 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신감의 경우에는 인지적 애호집단이 비교적 높게 반응하였다. 넷째, 스포츠화(靴)의 경우에는 결혼여부와 연령 그리고 직업에 있어서만 유의적인 상표 애호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스포츠웨어의 경우에도 결혼여부·연령·직업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프클럽의 경우에는 성별·결혼여부·직업·수입정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모든 용품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로 볼 때 본 연구는 마케팅 계획수립 또는 전략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특히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에 표적시장(target)선정의 기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e existing studies on (fields about the grouping of the type of) brand loyalty, the purposes of which were mainly to verify the fact that consumers behavior and attitude both affect significantly brand loyalty, rather than stress their purposes on finding things as follows: what groups should the type of brand loyalty be sorted of when the individuals behavior and attitude are combined, how are consumers distributed according to type, and which variations are related due to type, etc. In this area, therefore, there needs to be more reasonable grouping the type of brand loyalty considering all the elements and a more concrete study concerning customers distribution by these types and their application of the variations of the types and so on. Consequently,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a consumers brand loyalty could be formed exclusively on a certain brand name, I studied and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onsumers in this study, For this purpose, I categorized brand loyalty by type considering consumers behavior and attitudes, and researched what kind of distribution can be formed among individuals participating in sports according to type. In addition, I examined how the customers brand loyalty on sportswear would be influenced by the reason of their participating in sport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 questioned the subjects regarding brand loyalty in the use of sportswear with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as statistic methods, I used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frequency analysis, which crosstabulates the chi-square Test with the SAS 6.2 program. The results test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above,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sports sho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tribution among 4 types of brand loyalty suggested in this study, and in the cases of sportswear and golf clubs, there is a little more distribution in the situational brand loyalty and the non-brand loyalty than emotional brand loyalty. Second, groups having emotional brand loyalty were considered to be more responsive in the variables such as involvement (e.g. recognized danger, importance of products, self-image), intelligence searching, product knowledge,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 among brands, company image and so on. Groups having recognitional brand loyalty showed more responsive in the variables such as their pursuit of variety, their loyalty to shops, influence of reference group, etc. However, regarding the convenience of buying, there was found to be no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brand loyalty. Third, variables such as seeking of spare time, pursuit of pragmatism, etc. resulted in no difference among the types of brand loyalty. And regarding self-confidence, recognitional brand loyalty groups showed higher response. Fourth, in the case of sports shoes, only the variables of marital status and job position were found to represen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ypes of brand loyalty, and in sportswear,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age, and job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of. Regarding golf clubs, variables of gender, marital status, job, and incom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of, too. The variables of academic background portrayed no difference in all items that I studied. On the grounds of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ve, I think that this study suggests quite important criteria in marketing planning and strategies, especially in market segmentation, a criterion for selecting target.

      • 김영삼 정권과 김대중 정권의 정치개혁에 관한 연구

        이영우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치개혁에 대한 국민적 여망은 지금이나 예나 모두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정치가 바로 되고, 정치권이 투명해야 국민들의 삶의 질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민주화 된 사회에서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이전의 정권과는 달리 문민적 정통성을 함유한 김영삼 정권과 김대중 정권의 정치개혁에 대한 연구는 과거와 현재의 상황을 살펴보고, 미래를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김영삼 정권에 들어서 일차적으로 과거의 군부 권위주의 정권이 종식되고, 계획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행된 강력한 정치개혁은 사회전반적인 분야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김대중 정권에 들어서는 이러한 정치개혁이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 많은 과제가 있는 것이고, 국민들의 기대 또한 실망으로 이어져 정치개혁의 성공에 기대를 하지 않고 있는 것이 실재일 것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다면, 김영삼 정권과 김대중 정권의 정치개혁을 분석하여 비교한다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김영삼 정권과 김대중 정권의 정치개혁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미래 한국정치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가를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잘한 것은 잘했다고, 못한 것은 못했다고 있는 그대로 평가함으로써 미래 지향적인 의도를 가지고 접근했다는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논문의 구성은 제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범위를, 제2장에서 정치개혁 평가를 위한 분석틀을 제시한다. 이에 변수로 설정한 것은 민주주의 평가, 개혁으로 인한 효율성 평가, 정치개혁과 정치문화의 관계, 정치개혁과 리더십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틀을 설명한다. 이는 정치개혁을 통해서 얻어지는 정치적, 행정적, 사회핵심계층과 기층계층의 문화적, 지도자 개인적 측면을 모두 평가하고자 하는 선행작업인 것이다. 제3장에서는 정치개혁의 내용분석과 비교를 하였는데, 개혁의 목표, 선거제도, 지방자치, 행정조직, 권위주의 청산과 의회제도의 개혁에 초점을 맞춰서 정치개혁의 전반적인 분야를 분석과 비교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4장에서는 제2장에서 제시한 평가를 위한 분석틀에 맞추어서 평가를 한 후 제5장에서 결론을 맺는다. 이러한 연구를 한 결과 내린 결론은 김영삼 정권이나 김대중 정권 모두 집권 초기에 나름대로 개혁 지향성을 띠면서 정치개혁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김영삼 정권의 정치개혁은 어느 정도 완수되었고, 또 그 실효성을 거두었으나 김대중 정권에 있어서는 정치개혁에 있어서 이루어 진 것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정치개혁 분야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개혁해야 할 부분이 산적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선거제도의 개혁이 정치 개혁에 있어서 물론 중요하지만, 선행과제는 아니다. 무엇보다도 국회와 정당이 개혁된다면 민주주의는 발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선진민주정치를 위한 제일 과제인 선진정치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 의회주의가 확립되어야 하고, 국회의 통제기능이 강화되고, 헌법적 권능이 충실히 수행되어야 한다. 이는 국회가 전문성이 결여되어, 행정부의 법률안에 거수기 역할만 하는 현재 국회의 모습으로는 참다운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은 요원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당제도에 있어서는 소수 독점적 정당체제를 보다 개방적이고 경쟁적인 정당체제로 개편해야 하며, 당내 민주화가 무엇보다도 요구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당내 민주화를 위해서는 민주적 공천제도가 반드시 법제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고비용 정당운영을 하지 않기 위해서는 지구당의 득표동원 조직을 해체하고, 지구당을 여론수렴과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정치참여의 장으로 재편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들이 있다고 해서 김영삼 정권의 정치개혁과 지금까지 보인 김대중 정권의 개혁이 무용지물인 것은 아니다. 두 정권 모두 문민우월에 입각한 정통성 있는 정권을 수립했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이다. 과거 정권에서 보여주지 못한 결단력 있는 개혁을 실행한 것은 한국정치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미완의 정치개혁이 제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소아적 행태를 모두 버리고, 다가오는 21세기에 맞는 정치문화와 정치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권력 핵심부의 특단적 조치와 아울러 국민 모두의 협조가 필요한 것이다. 개혁민주주의의 완성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서구 사회에서 200여 년에 걸쳐서 완성해오고 있는 민주주의를 불과 50여 년만에, 그것도 오랜 권위주의 통치체제를 걸쳐서 불과 10여 년만에 이루려고 하는 데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개혁의지를 분명히 갖고 권력핵심에서 정치개혁을 추진하고, 국민이 이에 부응할 때, 한국민주주의의 발전은 성공하리라고 본다. Poeple expect great things from political reform in the old and present time. This reflects thoughts that politics being right and the political machinery being clean make people's life quality higher. Because people can give full play to personal ability in the democratic society. So a study on the political reform in Kim Young-Sam government and Kim Dae- Jung's containing people's legitimacy is meaningful. Because this is able to look around the past and the present political phenomenon and to predict development direction un the future. The military authoritarian government ended in Kim Young-Sam's government first, this government work powerful political reform by the program planned well and tjese reforms give rise to the surprising wind all over the society. But in situation, political reform go at a snail's pace in Kim Dae- Jung ' s government, people's expectation convert disappointment. For this reason, most people don't expect the successful political reform. Kim Dae-Jung's government is imposed a heavy burden in parts of political reform. In this perspective, there are limits of this stuuudy that analysis, compare with and evaluate the political reform between two governments. However, by analysising, comparing with and evaluating the political reform as it stands. this article intend to suggest themes the present government should perform. There are the purpose, the scope and methods of this article in chapter 1. Chapter 2 shows analysis frameworks for evaluating two governments political reform obviously. The analysis frameworks contains several variables. these are the analysis framework for evaluating democracy, the efficiency of reform, the relations the political reform with political culture, the relations the political reform with leadership. The aims of these variables are pre-work to evaluate political, administrative, social core-class, cultural, leader's himself comprehensive. Chapter 3 is consisted of the analysis and comparing with the political reform between two governments. The contents of this chapter are focused on the goal of reform, the election system, the local self-government, the government organization, the liquidation of authorritarianism and the parliamentary reform. Chapter 4 evaluates the political reform in two governments by work explained above. As the result of evaluating, both Kim Young-Sam's government and Kim Dae-Jung's are said that two governments perform the political reform with oriented reform in the early period. Kim Young-Sam's political reform was completed somewhat, Kim Dae-Jung's has performed few. This means there are many parts being having to reform in the present. Of course, the reform of election system mentioned now is important in progressive democracy. But above all, when the parliament and political parties is reformed, real democracy can development. For advanced democracy, ① parliamentary political culture must set, ② the control function of parliament must be strengthed, ③ the constitutional competency must operate honestly. These reason are that the present parliament condition being lack of professionality and functiong the rubber-stamp for an administration policy is impossible for the true political reform. Also, in the political parties system, a small number dominant party system change into open and compatitive system and the democratization is asked to political parties internally. For the democracy of political parties, democratic nomination must be fixed by law.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우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질서는 유일한 초강대국인 미국의 일극과 러시아, 중국, 일본, EU 등 다극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펼쳐지고 있다. 재편된 신국제질서는 동북아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특히 소련과 동구권의 몰락이후 이념에 의한 대결은 이미 종식이 되었고 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중시하면서 새로운 질서 속에서 자국의 역할 및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념의 퇴색, 경제 제일주의, 그리고 비군사적 요소들이 중요한 요인들로 등장하였지만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는 탈냉전 이후에도 여전히 분쟁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의 현 질서는 탈냉전기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과도기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의 남북정상회담과 함께 동북아 지역 국가들이 대내 경제발전을 위해 지역안정과 평화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데 공감함으로써 어느 때 보다도 평화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지만, 강대국간 지역 주도권 장악을 위한 대립과 9.11 테러 이후 급변하는 국제환경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 문제 등은 여전히 지역 안정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안정 저해요인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 21세기 동북아의 새로운 정치 및 경제 질서의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21세기 동북아에서 평화와 경제적 번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강대국간의 양자관계 진전이 필요하고 나아가 지역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지역 다자안보협력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동북아 질서는 미국의 패권적인 지위가 유지되는 가운데 중, 일이 지역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미, 일 對 중, 러 간의 느슨한 경쟁구도로 형성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결 구도는 냉전 시대의 대립 구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미, 일은 중국을 더욱 개혁, 개방의 길로 유도하고 중국과 정치, 안보적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 동반자관계 구축을 선언하면서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러시아 및 중국과 전략 핵무기 불겨냥 협정에 합의하였고, 이는 냉전시대와의 관계와는 다른 관계임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일본은 중국, 러시아와 과거사 문제 및 영토문제 등으로 갈등을 보이면서도 이들 양국과 신뢰회복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경제발전을 위해 미, 일과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역 안정문제에 있어서 협력 자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도 대내문제 해결에 전념해야 할 입장이므로 미, 일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동북아시아 관련 주변 강대국들은 동북아 질서가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구축되도록 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면서도 동북아 질서가 안정되어야 한다는데 있어서 공감하고 있으며, 상호의존성의 심화와 함께 서로의 협력이 필요함을 또한 인식하고 있다. 더욱이 안보개념이 포괄적 안보개념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문제해결에 있어 어느 일국의 힘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동북아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북아에서 안정적인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자안보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몇가지 전제조건과 단계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먼저 강대국간의 양자관계의 진전이 필요한데 이는 당사국간의 불신을 해소하고,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분쟁발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동북아 신 질서 구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양자관계는 남북한 관계이외에 미·중, 중·일 및 미·일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관계는 각국의 국익차이에 의해 갈등과 협력이 교차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동북아에서 다자안보협력체제가 구축된다 하더라도 처음에는 느슨한 형태의 다자안보협력대화체가 될 것이며 이후 신뢰가 형성되면 보다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다자안보협력 체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다자안보협력 체제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역국가들이 적극적인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지지해야만 가능하다. 현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각국의 입장이 다소 다르지만 공감하고 있는 상태이나, 신뢰성 면에서는 역사적인 문제, 영토문제, 강대국간의 경쟁 등으로 불투명한 상태이다. 그러나 지역 내에서의 공동번영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자안보협력 논의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불신을 해소하고, 역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분쟁발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논의 및 진행되고 있는 동북아시아와 관련된 다자안보협력 방안과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OSCE에 기초하여, 동북아시아의 안보환경과 특성 등을 고려한 상정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보면, ① 현재 논의 및 진행중인 동북아관련 다자안보협력체(ARF, NEACD, NEASED, CSCAP)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안, ② 현 다자안보협력체를 변화 및 발전시켜 적용하는 방안, ③ 새로운 다자안보협력체를 창설하는 방안 등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방안 중에서 어느 방안으로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가 구성될 것인가는 남북한 관계의 진전과 북한의 개방 속도 및 미국, 일본의 대북수교 등을 포함한 동북아 안보정세의 발전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방안으로 구성이 되든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는 동북아 6개 국가가 모두참여하고, 또한 모든 참여국의 합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형태를 띨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방안은 세가지 방안 어느 것이 되든 NEASED형에 근접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체제는 처음부터 다른 지역의 다자안보협력체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렵겠지만, 상기와 같은 신뢰가 형성되고 단계를 거쳐 나가면 동북아 국가들이 염원하는 경제적 공동번영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자안보협력체제로 점차 구축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항원 유전자 제작과 당근 형질전환

        이영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돼지소모성질환의 1차 병원체로써 병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모돈의 유산, 사산, 자돈의 이유 전후 폐사 등의 번식장애와 호흡기 질환을 통한 2차 복합감염을 일으키는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 PRRS) 바이러스는 국내 양돈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에 대한 식물 형질전환 백신 항원을 만들고 그 항원을 통해 농가방역 대책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PRRSV의 변이가 주로 발생하는 부위이며 병원성을 결정하는 GP5 항원과 이와 결합하여 바이러스 표면에 특정 돌출부로 동물세포 진입에 관여하는 M 항원을 융합하여 만든 유전자에 돼지 내부에 백신 항원의 흡수를 도와주는 점막 면역 보조제인 cholera toxin B subunit(CTB)를 추가로 융합하여 항원 유전자(CTB::M::GP5)를 합성하였다. 이 유전자를 식물형질전환용 벡터인 pK2GW7.0에 클로닝하고 Agroba -cterium tumefaciens GV3101에 형질전환하였다. 항원 유전자가 형질전환된 agrobacteria를 당근 하배축에 형질전환하였고 항생제 저항성을 통해 총 165개의 형질전환된 세포주를 선발하였다. 형질전환된 세포주는 genomic DNA PCR을 통해 항원 유전자의 도입 여부를 확인하였고, 확인된 세포주 중 qRT-PCR을 통해 전사체 발현 여부를 확인하여 재선발하였다. 두 번째로 선발된 세포주는 western 분석을 통해 단백질 발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백신 항원의 사용에 적절한 세포주(CMG 9-1)를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확립한 PRRSV 형질전환 당근 세포주는 PRRSV 점막면역을 위한 경구백신 항원으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nerate a transgenic plant antigen against PRRS virus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inflicting enormous damage due to the wasting diseases on the domestic pig industry. GP5 is a membrane protein mostly responsible for an epitope of PRRSV determining the pathogenicity. This, combined with the M is known to involve in entering host cell via an interaction with the specific factors in animal cell surface. The fusion gene with ectodomains of both GP5 and M was synthesized as antigen gene and then a CTB gene was also fused to it to enhance an antigenicity. The resulting CTB:M:GP5 fusion gene was constructed into an expression vector pK2GW7.0 and transformed into Agrobacterium tumefaciens GV3101. The transgenic carrot cell producing the PRRSV antigen was generated by carrot hypocotyl transformation using the Agrobacteria. The cell lines selected from antibiotic resistance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the CTB:M:GP5 fusion gene by the genomic DNA PCR and an expression at the level of transcription by the qRT-PCR. The selected cell lines are used further to determine whether the CTB:M:GP5 fusion protein expressed by western.

      • 단양 민요의 지역성 연구

        이영우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요는 전통사회 민중의 삶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성, 구전되어 온 소리이다. 따라서 민요에는 그 시대 민중의 생활이 수용되어 있으며, 지역에 따른 특수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양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를 통해 지역민들의 생활 모습과 지역성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단양지역은 충청북도 최북단에 위치하고 강원도, 경상북도와 접해 있는 삼도 접경지역이다. 그리고 지역의 문화는 산간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관계로 산간문화가 존재한다. 이와 더불어 남한강이 지역의 한 가운데를 가로지르고 있고 이 곳을 중심으로 살아가는 지역민들에 의해 수계문화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지역은 삼도의 문화가 어울리고 산간문화와 수계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영향이 민요에도 영향을 미치고 수용되었다. 단양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는 강원도의 아라리권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물길 교류 때문에 상류 쪽에서 하류 쪽으로 이행하면서 아라리계에서 경기도 선소리계의 성향으로 변화하며 드러난다. 이러한 연유로 강원도 민요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데 충북의 동북민요권이라고 설정한다면 아라리계와 메나리계가 결합하여 이른바 남한강 아라리의 부드러운 가락이 형성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전승양상은 민요의 기능에 따라 지역성을 나타낸다. 노동요에는 삶의 현장이 산악지대와 남한강 주변으로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산간문화와 수계문화가 수용되었다. 산간문화의 중심에는 소백산이 자리하여 화전문화를 형성한다. 곧 산간문화는 화전문화라고 볼 수도 있다. 산간지역에서 전승되는 노동요에는 화전민의 가난한 삶의 모습이 반영된다. 반면 수계문화에서는 소금배가 민요 전승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따라서 수계문화를 대표하는 민요는 대부분 소금배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민요에는 남한강을 중심으로 한 교류문화가 엿보인다. 의식요는 강원도 영월지역의 영향과 경상도 지역의 영향으로 삼도의 요소가 접목되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단양지역이 교역문화의 중심에 있음으로 해서 생겨난 의식요가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양지역이 삼도의 접경지역이고 남한강이 교역의 중심에 있었음을 통해 볼 때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요를 통해 단양지역민들은 가난한 삶 속에서도 행복에 대한 기원의식이 강하였으며 여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자연과 신앙의 대상에 무사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이 나타난다. 유희요는 지역의 놀이문화와 유흥문화의 총체를 보여준다. 산간문화와 수계문화가 단양을 대표하는 문화라고 한다면 이곳에서 발생한 유희요는 이들 문화권 내에서 형성된 놀이문화와 유흥문화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단양지역에서 전승되는 유희요는 아이들의 시각에서 전통사회의 생활모습을 노래하고 즐기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그러한 노래들은 놀이감으로써 지역민들에게 기능한다. 단양지역 민요에 나타난 이러한 모습들은 산간문화와 수계문화를 양면으로 유지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여느 지역보다 기층문화에 대한 보수성도 온전하게 유지하였다. 곧 남한강 유역과 백두대간 소백산문화의 특성을 가장 총괄하여 보여주는 곳이다. 이곳에서 살아가는 지역민들의 생활은 남한강과 소백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남한강 유역의 수로 근접 마을에서는 교역문화가 주를 이룬다. 반면 소백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에서는 화전 짓기와 사냥, 소 키우기 등이 강조되었다. 이 글에서는 민요의 현장적 연구가 중심이 되지 못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글에서 드러난 단양지역 전승민요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 본격적인 조사와 총체적 연구를 기대한다. 앞으로 단양을 비롯한 특정지역의 민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folk song from life inside of the traditional social populace nature occurrence creates and is informed by word of mouth and it is all sound. To folk song the life of that time populace is accommodated consequently, the peculiarity which it follows in the area is included. The folk song which wins a tradition from Tanyang area a place objective which reveals the life features and an area characteristic of the field where it pushes it leads from the research which it sees and the area there is. Tanyang area Chungchong-Bukdo most is located in the northern end and with Kangwon-Do and Kyongsang-Bukdo it is three degree border line area which is coming in contact. And culture of the area the mountain for culture exists with the relationship the among the mountains-culture reverse most hold. With this it joins in and the Nam han gang(Ri.) is putting across one middle of the this region and this place the area where it lives in the center by the field where it pushes the water system-culture exists. This region three moral cultures match consequently and it is an area where the among the mountains-culture and water system-culture coexist there is a possibility of knowing. Like this culture effect went mad to also a folk song and it was accommodated. The folk song which wins a tradition from Tanyang area receives Arari-circle effect of Kangwon-Do. And flow because of the waterway from the high-level piece it executes with the downstream piece and Arari-system it changes it becomes known with propensity of Kyonggi-Do former song-system. If as northeast folk song-circle of the place Chungchong-Bukdo which with like this reason it does not escape a lot from Kangwon-Do folk song volume sets Arari-system and Menari-system taking count of crosses it combined and the what is called the Nam han gang(Ri.) Arari soft tune was formed, it sees. Like this tradition-aspect follows in function of folk song and it shows an locality. To the labor fork song the mountain for culture and water system-culture were accommodated with the relationship where the site of life is limited with the mountain area and Nam han gang(Ri.) circumference. To the center of mountain for culture the Sobaeksan(Mt.) do and the place they form an ground burnt off for cultivation culture. At once the mountain for culture as ground burnt off for cultivation culture is a ball water service. To the labor fork song which wins a tradition from among the mountains-culture reverse of fire-field farmers the features of the life which is poor is reflected. It took charge of the role which salt boat folk song tradition is important from the other side water system-culture. Consequently the folk song which represents a water system-culture is indirectly relating the most salt boat and Directness.. And to like this folk song the Nam han gang(Ri.) one flow culture the wheat gluten is visible in the center. The a ceremony fork song effect and Kyongsang-Do of the Kangwon-Do Yongwol area three area elements became grafting with effect of the area. Even from in that there is Tanyang area but on the center of trade culture and with to do the ceremony folk song which originates it is winning a tradition. Like this actual condition when Tanyang area three area border line area and the Nam han gang(Ri.) there is trying to lead on a center of trade, is possible. And like this a ceremony fork song it leads and Tanyang area the field where it pushes with the ordinary area and the sameness the era ceremony against a happiness even from the life inside which is poor to be strong nature and safety peace the ceremony which it supplicates appears in the object of shoes Ang. The merrymaking fork song shows the whole of playing culture and pleasures culture of the area. If as the culture where the mountain for culture and water system-culture represent Tanyang it does and the merrymaking fork song which occurs from this place as the whole of the playing culture which is formed from inside these cultural area and pleasures culture is a possibility of doing. The merrymaking fork song which wins a tradition from Tanyang area song does the life features of the traditional society from time of the children and the fact that it enjoys are most. And the such songs with playing an instrument the area function do in the field where it pushes. Appears in Tanyang area folk song and the features it maintains a mountain for culture and a water system-culture there is a place questionable matter in the both faces. The ordinary area compared to also the conservativeness against a flag layer culture maintained soundly. At once the Nam han gang(Ri.) basin and Beacdudeagan Sobaeksan(Mt.) culture most and it is a place which it shows. The area where it lives from this place the life of the field where it pushes the Nam han gang(Ri.) and the Sobaeksan(Mt.) became accomplished in the center. The trade culture accomplishes a week from the waterway neighboring village of the Nam han gang(Ri.) basin. Ground burnt off for cultivation farming and hunting, cattle breed it was emphasized from the village which is formed the other side Sobaeksan(Mt.) in the center. From this writing the an on-the-spot survey research of folk song the center does not become the point remains with inconvenience. Quality of Tanyang area tradition folk song which becomes known from this writing it expects a grudge real investigation and the whole research with character. The folk song research of the specific area which begins the next Tanyang is active more and must become accomplished.

      • 벼에 있어서 proteomics를 利用한 glufosinate 作用機作 解析에 대한 硏究

        이영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Glufosinate는 아미노산 생합성 과정에서 글루타민 합성 효소(glutamine synthetase)를 경쟁적으로 저해하여 질소동화 과정을 억제하고, 여기서 축적된 암모니아에 의해 광합성이 억제된다고 밝혀져 있다. 그러나 암모니아가 어떤 작용을 통하여 광합성을 저해 하는가와 생체반응의 중심인 효소 차원에서 글루타민 합성 효소(glutamine synthetase)의 억제로 인한 생체내의 변화는 연구된 바가 미비하다. 이에 glufosinate 살포 후 식물체내에서 일어나는 생체반응의 양상을 분석하여 1차 또는 2차 작용점을 찾아내어 총체적인 glufosinate의 식물체 대사 저해과정을 구명하고자 대규모의 단백질 분리와 동정기술을 바탕으로 총체적인 단백질을 분석하는 단백체학(proteomics)을 접목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농약을 비롯한 각종 화합물의 작용기작 또는 식물체내 대사경로 저해양상에 대한 해석이 단백체 분석법에 의해 가능할 것 인지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공시식물로서 벼(Oryza sativa. L. cv. Ilpumbyeo)를 이용하였고, 4엽기까지 생장상에서 기른 다음 제초제 glufosinate를 소정의 농도로 엽면살포하였으며, 경시적으로 생리적 현상과 단백체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Glufosinate 처리 후 식물체는 48시간 후에 잎이 시드는 현상이 보였고 72시간 후에는 잎이 황화되었다.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형광은 약제처리부에서 아주 빠른 시간인 4시간 이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으며, 약제농도가 높을수록 심하였다. 광합성량도 약제처리 후 곧바로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고, 약제처리 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또 시간이 경과될수록 심하게 감소되었다. 단백체학적 분석결과를 통해 식물체내에서의 방어기작과 광합성 관련 단백질합성의 저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광합성 암반응의 중심인 Rubisco의 대단위(Large subunit)와 소단위(Small subunit)가 약제처리 후 4시간부터 감소를 보였고, 특히 약제처리농도가 높았을 때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약제처리 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생성되는 할성산소의 소거계 효소인 Ascorbate peroxidase와 dihydroascorbate reductase는 4시간 후부터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반면 72시간 후부터 catalase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경향은 약제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약제처리 후 시간이 지날수록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glufosinate 처리에 의해 정상적인 아미노산 합성이 저해되고, Rubisco와 같은 효소의 합성이 저해 되었으며, Rubisco 합성저하는 광합성의 저해, 나아가서 활성산소의 생성과 ascorbate peroxidase와 같은 활성산소 소거계 효소의 유도를 초래하고, 엽록소 함량 및 엽록소 형광의 저하를 일으켰다고 볼 수 있다. 단백체학의 도입을 통하여 glufosinate의 미지의 대사과정을 해석할 수 있는데 유의하여 농약연구에 있어서 단백체학은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fact that glufosinate inhibiting irreversibly the glutamine synthetase in the amino acid biosynthesis accumulates ammonium in the plant bodies and affects the reduction of photosynthesis has been reported so far. However, it has not been elucidated how the photosynthesis and the biochemical processes occurred after inhibition of glutamine synthesis are affected by glufosinate treatment. Therefore, proteomics analyzing the overall proteins by the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techniques was introduced to clarify the inhibitive processes of glufosinate and to determine its mode of action. Rice(Oryza sativa L. cv. Ilpumbyeo) seedlings grown until the 4th-leaf stages in a growth chamber were utilized as the test plant. The seedlings were treated with glufosinate as the foliar treatment at the designated concentration and then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phenomenon and proteomes were investigated by the time-course. Rice seedlings were withered in 48hrs and the chlorosis in their leaves was observed in 72hrs after glufosinate treatment. The reduction in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he leaves were started very quickly in 4hrs after glufosinate treatment, which became more severe with the time in the higher concentration of glufosinate. The rate of photosynthesis decreased at the same trend(Fig. 5., 6., 7.). The inhibition of protein synthesis related to the photosynthesis and the protective mechanism was observed through the proteome analysis(Fig. 8). The spot area of both large and small subunit of Rubisco catalyzing the CO₂ introducing in the dark reaction of photosynthesis decreased in 4hrs after glufosinate treatment, especially in its higher concentration. Furthermore, this trend became more clearly with the time after glufosinate treatment(Table 11.). However, the enzymes scavenging the reactive oxygens produced under the oxidative stresses, ascorbate peroxidase and dihydroascorbate reductase, increased in 4hrs after glufosinate treatment whereas the catalase decreased in 72hrs after treatment. These phenomena became clearer at the later time and 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glufosinate(Fig. 9., 13., Table 11.).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normal synthesis of amino acids and proteins such as the photosynthetic enzymes including Rubisco is inhibited by glufosinate, which in turn affected the increase in the reactive oxygens, the induction of their scavenging enzymes such as ascorbate peroxidase, and the reduction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photosynthesis, resulting in the chlorosis of leaves and the death of seedlings. Our experiments also demonstrate that the proteomics is a useful method to elucidate the unknown biochemical processes of the agrochemicals as shown in glufosinate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