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atir 의사소통이론의 한국가족치료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신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급속한 산업화 및 경제성장과 과학적인 지식, 정보의 급증 등과 같은 현상으로 인해 사회 구조 전체에 크나큰 변화가 생겼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현대사회는 가정으로 하여금 많은 어려움과 문제를 갖도록 하여 전통적인 가정이 무너지고 위기에 직면한 가정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가족의 형태도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되어 가족의 크기, 역할분담, 가족의 기능 등의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 가족문제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족관계는 해체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가족 해체의 요소로는 비행청소년 문제, 아동문제, 노인문제, 부부간의 갈등, 이혼, 부모 자녀간의 갈등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가족문제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 중 상당 부분이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에 있다.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어떠한 의사소통을 하느냐에 따라서 가족관계가 약화될 수도 있고, 강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가족의사소통의 실태와 척도를 조사함으로써 많은 직장인들이 가정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가족문제들을 제거하고 가족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을 통한 가족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가족을 치료하는 Satir의 의사소통이론을 제시하였다. Satir는 가족 상호간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을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혼란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4가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유형은 우리가 생존 위협을 느낄 때 사용하는 생존 유형이다. 이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순기능적인 의사소통으로 바꿀 때 가족치료가 이뤄지고 가족관계가 강화될 수 있으며, 가족의사소통 유형을 순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숙과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Satir의 의사소통이론은 핵가족의 가족구조와 개인지향적인 측면들을 바탕으로, 솔직한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가치를 둔 서양문화를 배경으로 하여 발전하였다. 반면 한국의 가족은 직계가족이며 가부장제 가족으로, 현재는 표면상으로 많은 가족들이 핵가족의 형태 속에서 살고 있지만 일상생활과 관, 혼, 상, 제 시의 부모, 형제, 친척과의 관계를 볼 때 한국인은 아직도 실제적 확대가족의 의식구조 속에서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의사소통이론은 한국의 가치관, 정서, 가족문화에서 상충되는 부분들도 있지만, 가족구성원 전체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을 중시하여 가족을 돕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관점은 한국의 가족치료 관점에서도 일치하는 것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Satir의 접근은 올바른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의 해결과 예방을 동시에 가르치기 때문에 특히 예방차원에서 앞으로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사회 내의 사회기관들은 이러한 지식과 기술들을 주민들을 위하여 활용하는 봉사의 장을 만들어서 일상생활 속의 가족생활교육과 훈련으로 연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surg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data and other phenomena have caused great changes to the overall social structure of modern society. Such rapid social changes in modern society have given rise to a number of difficulties and problems within the families. This has caused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families and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of families in crises. The extended family structure has changed to a nuclear family. Along with these changes, the family size, the role of its members and function of the family,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within the family. Due to these problems, family relationships are faced with the crisis of disorganization. Some of the factors for family disorganization includ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related to children and the elderly, conflict within couples, divorce, and conflict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Among the major factors that cause such family problems,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plays a pivotalrole. Family relations can be weakened or strengthened depending on how memb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on office workers, we examined the realityand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ies of these workers. In this survey we found out that many of them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s within their families. As a solution for eliminating the many family problems that arise from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 I took interest in the interaction of famil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presented Satir's communication theory as a way for treating the family. Satir classified the dysfunctional types of communications that obstruct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into four categories: placate, blame, super-reasonable, and confusion. These four dysfunctional types of communication are used when we feel threatened by our survival. When suc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are changed to a functional type, family therapy can occur thus,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 In order to make this conversion, it is vital to enhance the level of maturity and self-existence of the family members. Satir's communication theory developed based on the nuclear family structure and individual-oriented tendency and on the background of western culture that places value in expressing one's honest emotions and opinions. Contrary to this, Korean families emphasize the direct lineage of a family and its patriarchal system. Currently on the surface, many families live in the form of nuclear families. Yet when we observe thei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siblings, and relatives on ceremonial occasions, we can see that Koreans still live within the frame of mind of that of an extended family. In this way, communication theory do in some ways conflict with the Korean value system, sentiments, and family culture. Yet in terms of its view of seeing all the family members as one system, and attempts to help the family and solve problems based on its emphasis on the family, we can see that it conforms to the viewpoint of family treatment in Korea, thus implying the possibility for its application. Satir's approach teaches us to solve problems and prevent them through the correct mode of communication. In regards to prevention, this can be widely used in the future. Social organizations with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create opportunities to serve its citizens by utilizing such knowledge and skills. It should also connect these endeavors towards education and training on family life in the daily lives of the citizens.

      • 축제경영시대와 축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지역축제 핵심 요소 파악에 관한 연구

        이신혜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local festivals are facing changes. Most of local festivals have exhausted every budget to operate the festivals within their fixed budgets through government-funded programs as the institution-led type. However, The festival management era that the various elements get to be explored and attempt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recruitment of professionals, attraction of sponsorship, and payment of programs is now upon us. In addition, the movement for environmental change surrounding local festivals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cluding the changeover to the mobile era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had an great and minor effect on the festival industry. The importance of hybrid festival models that online and offline festivals are mixed with each other, crisis and safety management, and being eco-friendly and carbon neutrality has been on the rise. This study set the temporal scope of key elements which have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Korean loc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festival management era and change of festival environment like this from the viewpoint of the mid term (5 years) and compos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components of domains of EMBOK (Even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the festival management era, environmental change of festivals,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festival management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which investigated and analyzed festival experts have found that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according to the festival management era are organizations with expertise, communication with the interested parties,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festivals, and connection to local attractions. Environmental change of festivals was grasped to be digital marketing, night festivals,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and consumer-oriented food services. 4 factors of environmental change management, festival management control, festival marketing management, and local resources management were drawn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result which conduct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of festival expert groups by dividing them into organizations (professional foundations, research foundations, and local government) and work experience (Less than 3 years, 4 to 9 years, and more than 10 years) was analyz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among groups. It was mostly grasp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average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in professional foundations of the organizations and in groups with work experiences of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s is higher than other groups. Utilizing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e enactment for promoting festival industrialization, fostering night festivals combined with global trends, the realization of professional management with operational knowhow of organizations which are exclusively responsible for festivals, building the certification system of festival education for fostering festival experts, and the growth of festivals by utilizing local resources as the way forward by grasping the key elements which have an effect on Korean local festivals from the viewpoint of the mid term. However, in case of the festival experts who are the subjects of the study, it is impossible for the several results drawn from it to be applied to festivals in a lump. Therefore, next studies are judged to need to set exact samples of targeted local festivals. And the study is judged to be able to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of key elements that professional and stable festival management and coping with change of festival environment become the central axis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of local festivals.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comparative studies on key elements of local festivals in terms of the long term of more than 5 years are required as next research direction. 한국의 지역축제가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축제는 관주도형으로 그동안 정부 재정지원을 통해 정해진 예산안에서 축제운영을 위해 예산을 모두 소진해왔다. 그러나 이제는 전문적인 조직의 설립과 전문인력의 채용, 스폰서십 유치, 프로그램의 유료화 등 다양한 축제 경영적 요소를 탐색하고 시도하게 된 축제경영시대가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해 지역축제를 둘러싼 환경변화의 움직임도 가속화되고 있다. 모바일시대로의 전환과 4차산업혁명 등 기술의 발달과 함께 축제산업계는 크고 작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코로나 19 발생 이후 등장한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축제모델, 위기 및 안전관리, 친환경·탄소중립 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축제경영시대와 축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지역축제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핵심 요소에 대하여 시간적 범위를 중기적(5년) 관점으로 설정하고 이벤트지식관리체계인 엠복(EMBOK: Even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의 도메인(Dmains)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축제경영시대 도래배경과 축제환경변화, 축제경영의 국내외 사례들을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고, 축제전문가를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축제경영시대에 따른 지역축제 핵심 요소로는 전문성을 갖춘 조직과 이해관계자와의 의사소통, 지역주민의 축제 참여, 지역관광지 연계 등으로 나타났으며, 축제환경변화에서는 디지털마케팅, 야간형축제, 안전·위기관리, 소비자 지향적 음식 서비스 등으로 파악되었다. 요인분석을 통해 환경변화 경영, 축제 경영관리, 축제마케팅 경영, 지역자원 경영 등 4개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축제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조직(전문재단, 연구재단, 지방자치)과 경력(3년이하, 4년-9년, 10년이상)으로 나누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을 실시한 결과 그룹간 요인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부분 조직에서는 전문재단 그룹이,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의 그룹이 지역축제의 핵심 요소에 관한 중요도 평균이 다른 그룹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기적 관점에서 한국의 지역축제의 영향을 끼치는 핵심 요소 파악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축제산업화 촉진을 위한 법률 제정, 세계적 트렌드와 결합 된 야간형 축제의 육성, 축제전담 조직의 운영 노하우가 담긴 전문경영 실현, 축제전문가 육성을 위한 축제교육 인증시스템 구축,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축제 성장 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대상인 축제전문가의 경우 문화관광축제 및 지역의 경쟁력 있는 지역개발형 축제 담당자들이 모두 참여한 것으로 아니므로 도출된 여러 결과를 축제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축제의 정확한 표본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문적·안정적인 축제경영과 축제환경변화 대처가 중심축을 이루기 위한 핵심 요소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향후 연구 방향으로는 5년 이상 장기적 측면에서의 지역축제 핵심 요소에 관한 비교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본다.

      • 과잉 양육태도 및 자아탄력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

        이신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과잉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에 따라 어떠한 자연발생적인 군집이 형성되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군집 간에 학업적 자기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허묘연(2000)이 제작한 부모양육행동 척도, Atsrshi, Hitoshi, Shinji, Motoyuki(2002)의 청소년 자아탄력성 척도(Adolescent Resilience Scale)를 정은옥(2006)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척도, 김아영, 박인영(2001)이 개발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정진영(2012)이 사용한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잉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과잉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과잉기대와 과잉간섭 중 과잉간섭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부정상관을 나타내었다. 또, 과잉 양육태도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와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을 나타냈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은 과잉 양육태도와 유의하게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들의 과잉 양육태도의 과잉기대, 과잉간섭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감정조절형, 긍정미래형, 유연형, 불안형 등 4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넷째, 군집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하위군집에 따라 학업적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흥미와 관심의 다양성, 감정조절, 긍정적 미래지향성의 자아탄력성이 높고, 특히 감정조절을 잘하는 ‘감정조절형’집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과잉 양육태도로 인한 과보호를 많이 받고 자아탄력성이 낮은 집단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의미를 종합해 보면,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우리나라의 과잉 양육태도에 대한 개념의 명확성과 과잉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집단별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형성이 다를 수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를 확장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 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 학업문제를 호소할 경우 어떠한 하위집단에 속하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라 차별적으로 개입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전통 자장가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한국-베트남 상호문화이해를 중심으로

        이신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갈등과 어려움을 상호문화적 이해를 통해 스스로 원인을 찾고 소통할 수 있도록 한국과 베트남의 전통 자장가를 활용하여 상호문화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의 과정을 간략하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증가하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선행연구를 통하여 살펴보고 연구 내용과 방법을 밝혔다. Ⅱ장에서는 상호문화교육과 전통 자장가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살펴보았다. 상호문화교육에서는 개념에 따른 목표와 방법을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어 내용을 구성하였다. 전통 자장가 연구에서는 그 특성을 기능적, 형식적, 내용적, 음악적 특징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호문화교육에서 전통 자장가의 가치를 언어적이고 문화적이며 정서적인 장점과 더불어 문화의 상호성을 들어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선정된 한국의 전통 자장가와 베트남의 전통 자장가의 전문을 싣고 그 내용과 문화적인 부분을 밝혔다. 특히 상호문화교육적 측면에서 전통 자장가의 특성이 가사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에 중점을 두고 인간관, 남녀관, 사회관 및 대인관, 인생관으로 나누어 한국과 베트남의 상호문화적 요소를 비교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에서 설정한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활용하고 Ⅲ장에서 비교한 상호문화적 요소를 내용으로 하여 상호문화교육의 방안을 구상하였다.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큰 목표로 두고 지식, 기능, 태도로 세분화 하여 세부 목표를 설정하였고 방법도 그에 따라 진행하였다. 1차시에서는 타문화 이해와 자문화 정체성을 인지하고, 2차시에서는 상호비교 및 연관성을 찾고 문화중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장가의 상호문화적 요소를 비교하고 경험과 관련하여 이해하는 활동을 넣었으며, 상호문화적 특징을 아는 것이 상황 대처 및 극복의 실마리가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3차시는 상호문화적 태도인 다양성 수용과 감정 이입을 기르며 적극적인 참여와 협동을 유도하는 것으로 전통 자장가 가사를 바꿔보고 자유롭게 생각을 이야기하는 시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과 함께 방향 및 한계점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결혼 이주여성들이 자문화를 새롭게 인식하여 정체성을 회복하고, 상호문화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하여 문화 차이로 인한 갈등이 최소화되며,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심리적 정화가 일어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 통증관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 태도, 중재에 미치는 효과

        이신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통증관리교육이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중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시차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 일개 대학병원 간호사로 실험군 10인, 대조군 21인 이었으며, 실험군에게는 1회 120분, 1개월에 1회, 총4회에 걸친 통증관리교육을 실시하였다. 통증관리교육에 따른 통증관리지식, 통증관리태도, 통증중재행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 3시점에 따라 반복 측정하였고, 연구도구로는 남미숙(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Friedm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통증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통증관리지식은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 통증관리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통증관리지식은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63). 2. 통증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통증관리태도는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4), 통증관리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통증관리태도는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46). 3. 통증관리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통증중재행위는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19), 통증관리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의 통증중재행위 역시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90). 본 연구를 통해 통증관리교육이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중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위해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통증관리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 漢文小說의 敎育的 讀法과 敎育內容 硏究 : 愛情傳奇小說을 대상으로

        이신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현행 교육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문소설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피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행 한문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문학작품으로서 한문소설을 교육하지 않고, 한문 독해를 위한 텍스트로 한문소설을 수용했을 뿐이다. 또한 현장의 한문수업에서 한문소설 교육은 문법 중심의 독해 교육, 한시 중심의 한문학 작품 교육의 틈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의 한문소설 교육에 관한 연구는 주로 교과서 분석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고, 교육내용 선정이나 교수-학습 설계 등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로 이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한 층위에서 한문소설 교육의 문제점을 치밀하게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한문소설 교육의 방향성을 찾기 위해 한문소설의 교육적 독법과 교육내용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한문소설 교육의 실태와 제 문제는 교사 층위와 교육과정·교과용 도서 층위로 나누어 살핀다. 교사 층위에서는 고등학교 한문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현장의 한문소설 교육 실태를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부족한 수업시수와 어려운 독해 수준 등의 현실 속에서도 많은 교사들이 한문소설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한문소설 교육내용에 만족하고 있지 못함이 드러났다. 교육과정·교과용 도서 층위에서는 먼저 5차에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해설서 분석을 통해 한문소설이 독자적인 내용 영역을 확보하지 못함과 산문의 정의와 전기소설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서술되어 있지 못함이 드러났다. 교과용 도서 층위에서는 한문소설을 수록한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크게 네 가지 측면에서 문제가 드러났다. 첫째, 교육과정별 교과용 도서의 한문소설 단원 수록의 감소이다. 5~7차 교과서의 한문소설 단원 수록을 분석한 결과 7차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한문소설 단원을 수록하지 않는 교과서들이 늘어나고 있고, 교과서 내의 소단원 비중과 본문 텍스트의 게재 분량 또한 줄어들고 있었다. 둘째, 서사구조를 무시한 파편적 텍스트 제시이다. 교과서는 작품의 극히 일부분만을 본문으로 삼았기 때문에 한문소설의 올바른 독법이 이루어지기 힘든 상황이다. 이에 대한 문제는 작품의 이해·감상과는 상관없는 지엽적인 학습목표를 통해서도 드러난다. 셋째, 장르적 특성에 대한 피상적 설명이다. 장르에 대한 부족하거나 일관되지 못한 설명, 그리고 장르적 특성을 배제한 교과서의 학습활동은 한문소설 독법의 오류를 가져오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는 시대와 작가에 대한 이해 공간이 부족하다. 시대적 상황과 작가에 대한 이해 없이 지금의 관점에서 작품을 이해하는 학습활동을 제시한 경우도 많다. 한문소설의 실태와 제 문제를 살핀 결과 새로운 한문소설 교육을 위해서 한문소설의 교육적 독법 마련이 우선임을 알 수 있다. 한문소설의 교육적 독법의 전제로 주제론적 접근의 가능성과 교육제재로서 전기소설의 적합성을 찾았다. 따라서 애정전기소설을 대상으로 주제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한 한문소설의 교육적 독법을 시도한다. 첫 번째 교육적 독법으로 모티프의 발견을 통한 창작기제의 확인을 위해 애정전기소설의 ‘담[牆]’ 모티프에 주목하고자 한다. 애정전기소설 작품 속에서 ‘담’ 모티프가 어떻게 반복·변이·전개 되는가를 통해 1차적인 담 모티프가 재가가인형 인물들의 만남에서 그들의 외로움을, 2차적인 담 모티프가 거대한 세계와의 대결에서 패배하는 자아의 고독함을 드러냄을 알았고, 이를 통해 전기소설의 창작기제인 자아와 세계의 대결과 자아의 고독을 읽어낼 수 있다. 두 번째 교육적 독법으로 서사구조의 탐색을 통한 장르적 특성을 살폈다. 애정전기소설의 이합반복 서사구조의 형성과 그 의미, 이합반복 서사구조의 변화와 특징, 담 모티프의 변용과 한국 애정전기소설의 독자성을 통해 애정전기소설의 교육적 독법을 마련하였다. 한문소설의 교육적 독법을 토대로 한문소설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이생규장전」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한문소설 교육의 선결 과제로 텍스트 제시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학습목표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한문소설 단원의 본문 텍스트를 1안과 2안으로 나누어 예를 들었고, 학습목표는 한문소설의 일반적인 학습목표와 「이생규장전」의 차시별 학습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두 가지 선결 과제의 해결을 전제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인 읽기·이해·문화를 한문소설 교육에 적용하여 ‘서사구조를 활용한 한문소설의 읽기’, ‘모티프의 의미화를 통한 한문소설의 이해’, ‘비평적 감상을 통한 문화의 수용’의 세 단계로 나누어 교육내용을 설계하였다. 각각의 방안을 예시로 제시하여 한문소설의 다양한 교육내용과 학습활동을 모색하였다. 실제 교수-학습에서는 이를 재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current condition and issues regarding curricula on Chinese writing, and propose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In current school textbooks on Chinese writing, Chinese novels are not approached as literature but merely as a text to learn how to read Chinese characters. The current curricula fail to provide proper education on Chinese writing and novels as they emphasize grammar-oriented reading method, focusing on poem. The issues regarding education of Chinese novel can be identified from two sources: teachers and textbooks. A survey was conducted for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result shed light on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on Chinese writing. Despite insufficient class hours and difficulty of learning Chinese characters, many teachers felt a ne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f Chinese writing. The survey participants expressed discontent with the current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In terms of a textbook, the instructional version published between the 5th national revision of curricula and the revision in 2007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inese novels in the textbook were not given much weight as an independent learning topic, and the textbooks lacked explanation on definition of prose or romance novel. The analysis focused on high school textbook for the 7th national revision of curricula, and the following four issues were identified. Firstly, the amount of learning materials on Chinese novels decreased. Secondly, the texts were often taken out of the original text without considering overall context. Thirdly, explanation on genre of Chinese novel was mostly superficial. Lastly, information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r writers of a novel was insufficient. ed. The analysis of current education on Chinese writing demonstrated that it is of urgent need to establish a proper reading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subject by different 'themes,' and examined adequacy of Chinese romance novel as educational material. The study examined romance novels with a thematic approach for educational reading. Firstly, to identify motive of a novel and creation mechanism, the significance of 'wall‘ was examined in a romance novel. The 'wall' motive is repeated, transformed and played out in a romance novel. It reveals loneliness of protagonists, as well as deflated self-ego in a struggle against worldly force. By establishing this relationship, the antagonism between the world and the protagonist and the solitude of the protagonist's inner world could be construed as a creative mechanism for a romance novel. In addition, genre characteristics of romance novel was examined by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Instructional method to read a romance novel was proposed through formation of narrative structure that alternates between separation and encounter of protagonists, it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use of wall motive and development of Korean-style romance novel. The study suggests a new way to read Chinese novels with a case of 'The Story of Lee Saeng Who Spied Over the Wall (Lee-Saeng-Gyu-Jang-Je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extbook materials and reestablish educational goal. Acknowledging this point, the study applied principle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cultural understanding as proposed in the revised curricula of 2007, and designed learning materials in three parts: reading Chinese novel along a narrative structure, understanding Chinese novel by interpreting motive, and accepting culture through critical appreciation. Each proposal was specified in examples to encourage further explo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activities in studying Chinese novel. Teacher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proposed method to optimize for the actual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 연구 :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이신혜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아기 자녀를 위한 신앙교육은 부모에게 달려있다. 부모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교회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만 관심을 집중하였고 신앙의 부모를 세우는 부모교육에는 크게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과 상호 연계성이 없었다. 그러나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해서는 반드시 부모를 위한 교육이 함께 가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교회의 신앙 교육이 연계되어 있지 못하는 현실적인 시대 속에서 유아기 자녀의 전인적인 신앙교육을 위하여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신앙 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이론적 배경과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절기교육, 그리고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요소들인 이야기, 예전, 공동체 등의 핵심요소들을 살펴보고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가정과 교회를 연계하는 유아부모교육의 모델로서 ‘절기교육을 중심으로 한 유아부모교육’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 民畵에 나타난 花鳥畵에 대한 硏究 : 本人 作品을 中心으로

        이신혜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화는 집 안팎의 장식과 민속에 따른 관습에 맞추어 사용된 그림이다. 오랜 시간 동안 이어져 내려온 민화는 자연히 한 틀을 갖게 되었고 대부분의 그림들은 이 틀 안에서 거의 유사한 내용으로 제작되었다. 한국의 민화가 언제부터 있었는가를 정확하게 알려 주는 문헌은 없다. 그러나 민화와 같은 내용과 양식을 가진 그림과 무늬는 비단 과거의 유물과 유적 속에만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문헌에서 민화적인 그림을 연상하게 하는 글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한국 민족의 미의식과 조형감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종합 예술로서의 한국건축에 있어 그림은 집을 만드는 가장 큰 요소 중의 하나였다. 그림과 글씨는 건조물(建造物)과 사람을 하나로 맺어 주는 매체이며 생명체였다. 지금 우리 앞에 남아 있는 여러 민화를 놓고 보면 거기에는 두 개의 다른 양식이 있다 빈틈없이 완벽한 한국 도화서 및 중국화원 풍으로 된 그림과 제멋대로 자유스럽게 그린 순수한 민화 맛이 나는 그림의 대립 현상이 나타난다. 순수한 민화란 한국회화사의 주류에서 벗어난 비전문적인 화공 장인들이 대중의 그림에 대한 욕구를 채워 주기 위해 멋대로 그린 어수룩하고, 소박하고, 꾸밈 없는 허드레 그림, 그리 대단치 않은 그림을 가리킨다. 그러나 참다운 민화의 맛은 서툴고, 어수룩하게 보이면서 전혀 꾸밈이 없는, 멋대로 자유롭게 그린 그림에 있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원화 풍의 민화도 좋지만 민화의 멋은 어수룩한 그림 쪽에도 꼭같이 있는 것이다. 민화는 옛날 그림들이 아니라, 바로 오늘의 우리에게 인생을 아름답게 살 수 있는 용기와 슬기와 희망과 기쁨을 안겨주는 생명의 예술양식이다. 민화는 상류계층의 감상용 그림이 못 된다고 해서 회화사의 일반적인 범주에서 제외되는 것이 지금까지의 통례였다. 일단 민화라고 불리면 정통회화와는 구별되는 회화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민화를 일반적인 회화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게 되면 민화가 가진 예술적 의미나 역사적 의미는 크게 퇴색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현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이제 `민화는 단지 소박하고 꾸밈없는 민중의 그림`이라는 단편적인 정의에서 벗어나 민화의 형성과정이나 유통과정 그리고 내용을 형성하게 된 당시의 미의식과 전체 미술사적 맥락을 폭넓게 해석하고 이해해야만 할 때이다. 본 논문은 조선시대 민화 가운데 화조화를 중점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나타난 예술성과 사상성을 연구 고찰한 것이다. 민화에 나타난 화조화를 여러 자료를 통해 살펴봄으로 화조화가 갖는 의미가 무엇이며, 화조화의 발생과 전개를 통해 화조화에 대한 시원 및 근원적 사상의 발전단계, 화조화의 상징성, 장식성과 조형성 등 화조화가 어떤 표현방식으로 전개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화조화를 통해 민화의 미적, 전통적 가치의 규정과 함께 조형적 특성을 분석 재조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