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남분지 하조층의 퇴적상 분석 및 분지의 초기 지구조적 진화

        이신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ajo Formation is the lowest stratigraphic unit in the Chungnam Basin formed during Late Triassic. Outcrops of the Hajo Formation are distributed at several localities such as Baekjegol, the incised slope near Boryeong Dam, Yongsuri and Ocheon areas. The Hajo Formation composed mainly of conglomerate and breccia, and sandstone and mudstone are interbedded. Breccias occur at about 45m of lowermost portion of the stratigraphic section. The Hajo Formation is composed of 13 facies, which include (1)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2) clast-supported massive breccia, (3)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 or conglomerate, (4) matrix-supported graded conglomerate, (5) massive pebbly sandstone, (6)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7) massive sandstone, (8) graded sandstone, (9) inversely graded sandstone, (10) planar cross-bedded sandstone, (11) trough cross-bedded sandstone, (12) low angle cross-bedded sandstone, and (13) massive mudstone. These facies are grouped into 5 facies associations (FA). FAⅠ consists of clast-supported and matrix-supported massive breccia and is interpreted to have been deposited by subaqueous debris flow and high density flow in the fault slope/talus environment. FAⅡ consists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and horizontally stratified clast-supported conglomerate of cobble size and seems to have been deposited by stream flow and cohesive debris flow in the proximal fan-delta environment. FAⅢ consists of matrix-supported massive conglomerate of pebble siz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and is thought to have been deposited by debris flow and laminar flow in the middle fan-delta environment. FAⅣ consists of massive pebbly sandstone, horizontally laminated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and is thought to have been deposited by high density stream flow and high viscosity debris flow in the distal fan-delta environment. FAⅤ consists of horizontally sandstone and massive sandstone and might have been deposited by concentrated density flow and mud flow in the braided plain. The geologic feature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the Hajo Formation suggest that the Hajo Formation might have been formed as a basin associated with strike-slip fault and a series of separated half grabens associated with sinistral strike-slip zone. Development of strike-slip faults and grabens to form the Chungnam Basin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oblique subduction of the Izanagi Plate beneath the Eurasia Plate at 210Ma. The Hajo Formation was initially formed at fault slope/talus environment and then developed as a fan-delta system. In early stage the Hajo Formation was deposited in a proximal fan-delta and in late stage it was deposited in a distal fan-delta environment. Low-grade metamorphism of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Hajo Formation suggests heavy load of thick sedimentary sequence. The thick sedimentary sequence in turn suggests a transtensional fault origin of the Chungnam Basin. The geologic and sedimentologic features found in the Hajo Formation suggest the origin of the basin. Megabreccias at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formation may be associated with rotation of the basement due to strike-slip shear. The strike-slip shear of the area might have been maintained during the deposition of breccia at the lower portion of stratigraphic section of 45m as suggested by the occurrence of breccias at Younsuri area. The occurrence of tuff at the Oseosan area suggests volcanism associated with sinistral shear during oblique subduction of the Izanagi Plate beneath Eurasia Plate. Structural features suggesting rotation due to simple shear are asymmetric tails and mylonitized structures which are found at Baekjegol and Ocheon areas. The development of the Chungnam Basin can be explained with strain ellipse associated with simple shear. Based on the occurrence pattern of structural features in the study area, the master fault caused by simple shear of the Boryeong area at 210Ma is thought to have been formed at the present Boryeong Dam and Yongsuri areas. Normal faults were seemed to have been developed at Baekjegol, Yongsuri, Boryeong-Dam, and Oseosan areas during early stage of the basin development. Volcanism in association with normal fault seems to have occurred at Oseosan area. Dextral shear and compressional movement were found at Baekjegol and Oseosan areas.

      • R&D 투자의 수익률과 R&D 사업의 생산성, 효율성,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추정 연구

        이신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comprehensive implications for national R&D activities in Korea. In particular, it provides policy-making direction by measuring returns to R&D for the efficient use of government R&D expenditure. In addition, comprehensive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measuring productivity, efficiency,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for national R&D programs. First, the returns to R&D were estimated using industry-level data.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06 to 2017. Second, the productivity of the national R&D program was analyzed using a metafrontier approach that was assumed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technology convexity. The target of analysis was 6T groups, a promising future technology group, and analyzed using data from 2009 to 2018. Finally, efficiency,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were measured using the input distance function based o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returns to R&D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as 11.5 ~ 31.9%, and it was verified that it h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However, the returns to R&D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has produced positive results, which can be seen as a profit effect from R&D investment. In addition, in the low-tech industry, returns to R&D decreased very rapidly during the analysis period, but in the case of the high-tech industry, it was confirmed that returns to R&D increased or maintained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national R&D productivity conducted in the 6T groups was measured to increase by about 13.78% per year on average. This could be seen as a result of advances in metatechnolog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ent R&D productivity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productivity of each group was improved. The R&D efficiency was measured at about 0.56, and about 72% of the programs had a low efficiency of less than 0.8. Most R&D programs were in the diseconomies of scale, and economies of scale emerged from programs that invested more than 40 billion KRW in government research funding. Also, most R&D programs have demonstrated economies of scope. This shows that government funding is more efficient when diverse outputs are generated through R&D.

      • 초임계 압력에서 탄화수소 연료의 코킹에 대한 연구

        이신우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Jet A-1 is currently used as aviation engine and liquid rocket engine fuel. However, Jet A-1 has low thermal stability, and when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a solid material with a high carbon content is formed and deposited on the wall surface, causing coking. Hydrocarbon fuels can be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or various reasons. Liquid rocket engines and high-speed aircraft adopt regenerative cooling methods that use fuel as a coolant to protect components from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which can cause the fuel to rise to high temperatures. In the case of an aircraft engine, the temperature of the fuel pipe may rise due to air heated by com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hermal stability of hydrocarbon fuels which replace the Jet A-1 and analyz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uel in more detail. If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uel is low, the coking phenomenon is more likely to occurs. Through previous studies, it is known that various factors are involved in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fuel and the generation of coking. Representatively, there are heteroatoms such as sulfur and oxygen, aromatic hydrocarbons, materials of walls in contact with fuel. In this study, we paid attention to sulfur, aromatic components, and wall materials, and tests were planned to occur coking of hydrocarbon fuels under various conditions. In general, hydrocarbon fuel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supercritical pressure to prevent vaporization inside the tube. Therefor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condition. For coking occurrence test of various hydrocarbon fuels, four hydrocarbon fuels with different sulfur and aromatic contents were heated in an environment simulating the regenerative cooling channel of a liquid rocket engine. The coking occurrence test of Jet A-1 and low sulfur low aromatics kerosene is simulating the regenerative cooling channel environment of a liquid rocket engine, but it is designed to be closer to the actual environment by adding a fuel preheating process, so that the wall temperature and preheating temperature was set as a condition. The coking occurrence test of the simulated environment of the gas turbine fuel pipe is simulated the fuel pipe inside the gas turbine combustor and changed the heating condition of the Jet A-1 fuel flowing inside the stainless steel pipe. In all three experiments, the residual and detection of coking material were investigated by separating the specimen and the filter after the test, and the resul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Jet A-1을 항공용 엔진과 액체로켓엔진의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Jet A-1은 열안정성이 낮고, 고온으로 가열될 경우 탄소 함량이 높은 고체 물질이 생성되어 벽면에 퇴적되는 코킹 현상이 발생한다. 액체로켓엔진과 고속항공기 등은 고온의 환경으로부터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연료를 냉각제로 사용하는 재생냉각방식을 채택하며, 이로 인해 연료가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다. 항공기 엔진의 경우 압축으로 온도가 상승한 공기에 의해 가열되어 연료관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Jet A-1을 대체하는 탄화수소 연료의 열안정성을 개선하고, 연료의 열안정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연료의 열안정성이 낮을수록 코킹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며, 기존에 수행된 연구를 통해 연료의 열안정성과 코킹 생성에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으로 황과 산소 등의 헤테로 원자, 방향족 탄화수소, 연료와 접촉한 벽면의 재질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과 방향족 성분, 벽면의 재질에 주목하였고, 다양한 조건에서 탄화수소 연료의 코킹을 발생시키는 실험을 기획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온으로 가열된 탄화수소 연료는 관의 내부에서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임계 압력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세 실험은 이 조건을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다양한 탄화수소 연료의 코킹 발생 실험은 액체로켓엔진의 재생냉각채널을 모사한 환경에서 서로 다른 황과 방향족 함량을 갖는 4종의 탄화수소계 연료를 가열하였다. Jet A-1과 탈황탈방향족 케로신의 코킹 발생 실험은 액체로켓엔진의 재생냉각채널 환경을 모사하는 점에서 동일하나, 연료의 예열 과정을 추가하여 보다 실제 환경에 가깝도록 설계하여 벽면 온도 외에도 예열 온도 조건을 추가하였다. 가스터빈 연료관 모사 환경의 코킹 발생 실험은 가스터빈 연소기 내부의 연료관을 모사하며, 스테인리스 관 내부를 흐르는 Jet A-1 연료의 가열 조건을 변화시켰다. 세 실험은 모두 실험 이후 시편과 필터를 분리하여 코킹 물질의 잔류 및 검출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 Auditory display of fluorescence image data in living tumor model

        이신우 울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분자 영상(molecular imaging)은 기존의 해부학적 영상이 발견할 수 있는 구조의 변화가 있기 전, 즉 조기에 암 조직 또는 기타 표적 질환을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는 동물 실험에서 실제 임상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야에 다양한 영상 기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중 형광 광학 영상기법(fluorescence optical imaging)은 가장 민감도가 높고 표적 물질을 이용한 진단도 가능하여 소 동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임상적으로 임파선 전이 등의 조기 진단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보고되고 있다. 형광 영상기법 중 근적외선 형광(near infrared fluorescence, NIRF)을 이용한 분자 영상은 단파장의 형광물질과 비교하여 조직 내 빛의 흡수가 작아 깊은 부위의 암 조직 등에서 영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인체에도 응용될 가능성이 높으나, 산란된 배경 형광 또는 자가 형광 등 혼재하는 배경소음을 제거하여야 실제 살아있는 개체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인지할 수 있다. 다파장 영상(hyperspectral imaging) 기법을 활용하면 한 점에서 여러 파장의 데이터를 얻은 후 배경소음에 해당하는 성분을 수학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실제에 근접한 신호를 얻을 수 있으나, 여전히 영상으로 표현된 결과만으로는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파장 영상 데이터(hyperspectral image data)를 분석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음향화(sonification), 즉 데이터의 청각적 디스플레이(auditory display)를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동물 실험으로 얻은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암 조직에서 나오는 형광 신호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를 소리를 통하여 쉽고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음향화 규칙을 설정한다. 실험에서는 먼저 면역 억제된 쥐(nu/nu)의 피하조직에PC3 전립선 암세포를 주사하여 종양(tumor xenograft) 모델을 만든 후 형광물질이 부착된 포도당(cy5.5-labeled deoxyglucose)을 꼬리정맥을 통해 정맥 주사하고, 두 시간 후 전신마취 하에서 형광 영상(fluorescent image)을 얻었다. 또한 이러한 형광영상의 다파장 정보를 소리로 변환할 수 있도록 가공 및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고, 최종적으로 청각적 디스플레이로부터 얻은 음향 정보를 종양과 종양 외 조직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상으로는 기타 조직과 시각적인 구분이 어려운 종양 조직의 경우에도 소리 정보로 변환된 결과에서는 충분히 구분이 가능한 차이를 인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음향화 기법을 활용하면 분자영상 중 가장 뛰어난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배경 소음 등에 의해 사용이 제한되던 형광영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더 넓은 범위의 실험과 임상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또한 청각과 시각적 분석을 병행하는 접근 방법은 상호 보완적인 새로운 분자영상 탐촉자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

      •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중밀도 섬유판의 공정최적화

        이신우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목질판상재료인 MDF(medium-density fiberboard)의 공정최적화를 위하여 실험에 영향을 미치는 압력조건, 함수율, 프레스 roll 온도를 주요 제어인자로 선정하고, 주요품질 지수인 백색도, 표면흡수도, 접착력을 반응값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제어인자를 낮은점, 중심점, 높은점 으로 하여 MINI-TAB 의 다중 반응 최적법을 통하여 최적공정조건을 설계하였다. 제어인자 이외에 잡음인자에 대해서도 도출하였으나 잡음인자의 변경은 제품 품질을 크게 변동시킬 수 있는 인자이므로 제외하였다. 실험설계는 반응 표면 설계에서 중심합성법을 적용하여 설정한 요인들이 반응값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고, 최적화할 반응 변수인 백색도, 표면흡수도, 접착력의 목표값을 설정하고 이를 최대로 만족시킬 수 있는 요인들의 값을 합성만족도를 통해서 찾았다. 합성만족도 결과값을 바탕으로 등고선도를 통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가장 제어가 쉬운 상태조건에서 최적조건을 확인해본 결과 초기압력, 후기압력, 함수율, 프레스 roll 온도를 각각 147 Bar, 10 Bar, 9.3 %, 219 ℃ 로 설계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백색도, 표면흡수도, 접착력에 가장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확인해 본 결과 백색도와 표면흡수도는 초기압력과 프레스 roll 온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접착력은 초기압력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준공진 스위칭과 무손실 스너버가 적용된 단일단 브릿지리스 AC-DC 역률 보상 컨버터 연구

        이신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준공진 스위칭과 무손실 스너버가 적용된 단일단 브리지리스 AC-DC 역률 보상 컨버터를 소개하고 정상 상태에서의 동작 모드 분석과 및 설계 절차를 제시한다. 제안된 컨버터는 기존의 2-단 브리지리스 부스트-플라이백 AC-DC PFC 컨버터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컨버터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 한다.제안하는 컨버터는 PFC단에서 전파 다이오드 정류기를 제거하여 전도 손실을 줄인다. 역률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부스트 컨버터를 PFC단으로 사용하며 부스트 인덕터는 불연속 전도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복잡한 추가 회로 없이 높은 역률을 달성한다. 또한, 전기적 안전을 위한 입력-출력 전기 절연과 안정된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플라이백 컨버터를 DC-DC단으로 사용한다. 준공진 스위칭으로 인해 DC-DC단의 결합 인덕터는 경계 전도 모드로 구동하여 낮은 RMS 전류를 가져 도통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저전압에서 스위치가 켜져 낮 은 턴온 스위칭 손실을 갖는다. 제안하는 무손실 스너버 회로로 인해 스위치의 높은 서지 전압이 낮은 전압으로 고정되고 누설 인덕터 에너지가 재활용된다. 스너버 커패시터는 DC 버스 커패시터로 사용되며 두 개의 커패시터로 나뉜다. 또한 일부 입력 전원은 출력으로 직접 전도되고 나머지 전원은 DC 버스 커패시터에 저장된다. 따라서 DC 버스 커패시터로 저전압 정격 커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 전송 효율이 향상된다. 제시된 이론적 분석은 출력 48 [V] 및 60 [W] 실험 프로토 타입에서 검증된다. This doctoral dissertation introduces the single-stage bridgeless AC-DC PFC converter using quasi-resonant switching and a lossless passive snubber and presents the analysis of its operation mode and design procedure. The proposed converter is based on a conventional two-stage bridgeless boost-flyback AC-DC PFC converter. In the PFC stage, the conduction losses are reduced by removing an input full-bridge diode rectifier. The boost inductor is designed to be operated in the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for achieving high power factor. In the flyback DC-DC stage, the coupled inductor (or transformer) that provides input-output electrical isolation for safety is designed to be operated in the critical-conduction mode for low RMS current and low turn-on switching loss by using valley-switching operation. Because of the lossless snubber circuit, the voltage spike of a switch is clamped, and the leakage inductor energy is recycled. The snubber capacitor is used as a DC-bus capacitor, which is divided into two capacitors. In addition, some input power is directly conducted to the output, and the remaining power is stored in the DC-bus capacitor. So, low voltage rating capacitors can be used as the DC-bus capacitor and power transfer efficiency is improved. The presented theoretical analysis is verified on output 48 [V] and 60 [W] experimental prototype.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집행부와 의회 근무의 선호도 인식에 관한 비교분석

        이신우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자치시대 지방자치단체의 집행부와 의회에 근무하는 공무원의 업무추진과 관련하여 '1인당 업무량', '업무 난이도', 보람, 책임성, 상하관계(의원포함)의 어려움, 승진 등과 의회직 신설에 대한 찬반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집행부가 의회보다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의회의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상하관계의 어려움' 한 항목(의회 40.8%, 집행부 35.8%) 뿐이었다. 나머지 항목에 있어서 그 비율을 보면 집행부가 의회보다 '1인당 업무량'이 많다가 75.8%, '업무 난이도'가 높다가 69.2%, 평가 감사 등 책임성'이 크다가 80%, '보람'이 크다가 62.5%, '수상'이 더 유리하다가 62.5%, '처벌'의 가능성이 크다에도 85.8%로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의회직 신설에 대해서는 찬반의 차이가 크지않게 나타났다.

      • 분무성형법으로 제조된 과공정 Al-25Si계 합금의 고온 변형 거동 및 전산모사

        이신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behavior of spray-formed and subsequently extruded hypereutectic Al-25Si based alloy containing fine Si and ultra-fine intermetallic phases was examined by compressive tes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developed processing maps. this approach was coupled to the fracture criteria generated from finite element simulation. In the compressive tests, cylindrical compressive specimens were compress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23~743K and strain rate range of 1.0x10-3~1.0x100/s. The true stress-true strain curves obtained from the compressive tests revealed a peak stress at the initial stage of deformation. The peak stress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or decreasing strain rate. A clos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peak stress and the constitutive equation for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In the deformed specimens, fine equiaxed grains were observed with a mean grain size of 330~590 nm, which was much finer than that measured prior to deformation (1.4 µm). A dislocation structure within the grains was also observed in the deformed specimens, indicating the occurrence of dynamic recrystallization during high temperature deformation of the present alloy. The occurrence of dynamic recrystallization was also supported by the existence of a peak stress in the flow curve. Based on true stress-true strain curves obtained from the compressive tests, processing map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and instability parameter of the flow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deformed specimens tended to be fractured with increasing strain rate or decreasing temperature. In the processing maps, cracks were observed in the instability domains and did not occur where the power dissipation efficiency was high. Optimum processing parameter of the studied alloy was 743K and 1.0 x 10-3/s having efficiency of 86%. As a result of the finite element simulation with four fracture criteria, the fracture criterion expressed by the Cockcroft & Latham criterion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