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essment of Correlation between Time Period and Risk of Fat Embolism after Liposuction : An Ex Vivo Study : 이상윤

        이상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지방 흡입 수술은 그 뛰어난 결과로 인하여 최근에 미용성형 분야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수술 중의 하나이다. 지방 색전 증후군은 지방 흡입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그 증상이 특이하지 않아서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흔하지는 않지만 다량의 지방 입자와 조직 파편이 손상된 혈관을 통하여 폐, 뇌, 그리고 신장과 같은 장기에 유입되어 호흡 장애나 의식 소실이 발생하고 나아가 사망과 같은 치명적 상황에 이르게 하는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전격성 지방 색전증이 일어나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전후까지 시간대별 체내 지방 입자와 장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간에 혈액, 폐, 그리고 뇌에서 유입된 지방 입자와 장기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여 지방 색전 증후군의 경과와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으로의 진행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 되었다. 실험동물로는 생리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점이 가장 많다고 여겨지는 Sprague Dawley rat(12weeks age, 500-628g, 562g on average)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대조군(3 rats)과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라 3 그룹의 실험군(15 rats)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복강 내 케타민 주사를 통해 전신마취를 하였고 내경 3mm medical-grade stainless steel liposuction cannula를 이용하여 지방을 흡입하였다. 실험동물의 요부와 복부에 체중의 10%에 해당하는 50-60 mL의 tumescent를 주입하고 30분 기다린 후에 -50 kPa의 음압으로 1시간 동안 지방흡입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5마리로 나누어진 실험동물에서 지방흡입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 후에 혈액과 폐, 뇌 조직 내의 지방 입자의 양과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액 내의 평균 지방 입자 수는 대조군은 정상이었으나, 1시간 군에서 25,960/dL, 24시간 군에서 111,100/dL 그리고 48시간 군에서 21,780/dL로서 24시간 군에서 타 군의 약 4배에 해당하였다. 각 군간 지방 입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1시간 군과 24시간 군 P<0.05, 24시간 군과 48시간 군 P<0.05) 조직 소견은 실험동물 15마리 전체의 폐의 혈관내외 모두 지방입자가 발견되었다. 폐렴의 염증 소견들 역시 전체에서 보였으며 특히 48시간 군에서 현저하였다. 뇌 조직 표본에서는 지방입자로 의심되는 소견이 24시간 군에서 2건 있었으나 명확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색전증의 치료와 전격성 색전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는 수술 후 첫 24시간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방흡입술 후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지방입자의 이동과 지방색전증에 관한 첫 연구 사례로서 향후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posuc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 operations among the aesthetic surgical fields because of its excellent results. However, fat embolism syndrome can occur after liposuction, and it is not easy to make a diagnosis in early stage because of the unspecific nature of symptoms. Although it is not common for large amounts of fat emboli to flow into major organs(e.g. lung, brain and kidney) through injured vessels,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 can develop respiratory distress, loss of consciousness and even death. Although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are important because all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s occur in this period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changes in fat emboli amount and histology with time during this period.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fat emboli and histologic findings in blood, lung and brain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to predict fat embolism syndrom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8 male Sprague Dawley rats aged 12 weeks and weighing 500-628 g (562 g on average). Fifteen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as a control group. Blood, lung and brain tissue specimens were obtained at 1 hour, 24 hours and 48 hours after liposuction procedur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using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ketamine HCl. Total of 50-60 mL tumescent (10% of bodyweight) was injected into flank areas and abdomen of the rat. Liposuction was then conducted about 30 min after application of the tumescent. The average number of fat particles in the blood specimen was 25,960/dL for the 1 hour group, 111,100/dL for the 24 hour group and 21,780/dL for the 48 hours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s were significant between 1 hour and 24 hours (p<0.05), 24 hours and 48 hours (p<0.05), 1 hour and 48 hours (p>0.05). Both intravascular and extravascular fat particles with inflammatory findings were seen in lung specimen of all 15 rats in the three study groups, a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hemorrhage and consolidation with shrinkage of the lung alveoli. Moreover, these conditions increased with time, and the most severe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48 hour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rst 24 hours after liposuction was the most important time point to make a diagnosis of fat embolism syndrome and prevent fulminating stat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the fat embolism of major organs with systemic fat mobilization after liposuction. Further large scale studies with more subdivided study groups are needed to ob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is process.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신학과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가정연합 목회자와 식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 참여 의식과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 의식 그리고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활동 실태와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가정연합이 사회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과 문제점을 개 선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정연합 충청지역에 속한 목회자와 식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이면서 20년 이상의 신앙을 한 40대에서 60대까지의 연령이 교회 활동에 주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하고 공감하며 교회의 사명과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충분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를 비롯한 타 종단 및 사회단체와의 강한 연대와 협 력에 매우 개방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자원봉사자와 관련 인적자원 확보가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 활동 수행에 가장 큰 장애는 사회복지 인식 부족, 교 회재정 부족과 전문인력 부재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회에서 시행하는 사회복지 활동은 다문화 분야가 가장 많았던 반면 목회자와 식구들이 앞으로는 청소년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에게 교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 줄 것이며, 지역사회 관계 유지와 신뢰 강화에 도움을 주어 교회성장과 발전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을 토대로 가정연합이 지역복귀를 위해 수행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복귀 활동을 위한 내부 환경 분석과 이를 통한 중장기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식구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와 주민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다.

      • Quinidine, hycrocinchonine 및 cinchonine의 다약제내성 억제 효과

        이상윤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 i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quinidine and its derivatives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on multidrug resistance (MDR).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a transmembrane drug efflux pump, is a major mechanism of MDR. Quinidine,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up to 30 uM in Pgp-negative MES-SA and Pgp-positive MES-SA/DX5 and HCT15 human cancer cells. These quinidine derivatives potentiated the cytotoxicity of paclitaxel or doxorubicin but not 5-fluorouracil in MES-SA/DX5 and HCT15 cancer cells but not in MES-SA cancer cells in vitro. In addition, these quinidine derivatives enhanced the accumulation and residue of rhodamine-123, a fluorescent substrate of Pgp, in the Pgp-positive cells but not in Pgp-negative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quinoline derivatives can be MDR reversal drug candidates for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anticancer drugs such as paclitaxel or doxorubicin.

      • 도시개발에서의 기반시설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상윤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도시지역 외 지역의 난개발 방지와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종전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 을 통폐합하고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제2종 지구단위계획, 개발행위허가제, 기반시설연동제 등 종전의 국토정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는 개발행위를 기반시설의 용량과 연계시키고 그 용량범위 안에서 개발행위를 허용하여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이행할 수 있는 제도로서, 화성시, 용인시 등 수도권의 7개 지자체에서 시행하였다. 그러나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과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 등 기반시설연동제의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부담계획을 수립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2005년 8·31 부동산종합대책을 발표함과 동시에 토지의 합리적 이용 촉진이란 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의 기반시설부담금제 도입방안을 발표하였다. 2006년 7월 12일부터 시행된 기반시설부담금제는 기반시설연동제에 비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 및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징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용량확보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지역별, 규모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부담금을 전국에 걸쳐 획일적으로 부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유형의 기반시설연동제인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종전의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이 폐지됨에 따라 2008년 9월 1일부터 실시될 예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기반시설 관련제도의 부담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발부담금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기반시설부담계획을 기 수립하였던 화성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동시에 적용하고 기반시설 비용부담 측면과 용량확보 측면에서 비교·검토하여,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실증분석을 통해 새롭게 거론되고 있는 기반시설부담구역제의 제도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제도개선방안으로는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기반시설설치계획의 의무화방안,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용지환산계수, 기반시설유발계수 고도화에 의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안, 지방자치단체에서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의 기반시설부담계획과 부담비용의 산정 관련 기법을 사용하여 기반시설부담금제에 알맞게 접목하는 방안이며, 계획과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운영개선방안으로는 기반시설설치계획 수립시 최소한 7개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필수 의무화하는 현행 제도의 유지와 그 외의 기반시설 대상 추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재량권 부여의 필요성을 통한 장기적인 부담금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2008년 9월부터 시행될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단점인 부담금의 이중부과와 지역간 형평성의 문제를 보완하고 성공적인 제도로 시행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였다. 첫째, 기반시설부담구역 결정시 보다 면밀한 사전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기반시설의 설치를 유발하는 개발행위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기준과 절차요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기반시설설치계획의 내용 및 수립절차의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용지환산계수가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기반시설설치비용 산정지표의 점검 및 조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각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설치비용 관련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향후 추가연구에서 대표성이 있는 몇 개의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 용량에 따른 차등화 된 용지환산계수와 기반시설 표준시설설치비용을 사용하여 기반시설 용량과 설치비용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unplanned development outside urban area, establish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and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e government combined 『The Urban Planning Law』and 『The Land Use and Management Law』into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Law』in 2003, introducing new planning systems such as the second unit planning, development permit system, and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so on.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hich fulfills basic rule of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linking development activities to its capacity and allowing development activities within the excess capacity of infrastructure, was applied to seven local governments such as Hwa-sung city, Yong-in city and ot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most local governments could not implement the system successfully due to various reason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requiring excessive fee and time in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s a solution to these practical problems, the government announced introduction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on August 31st 2005, submitting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for promoting reasonable land use of real estate. This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which was enacted on July 12th, 2006, had many advantages over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ssigning infrastructure expense easily without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Yet,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has weak points of deficiency in achieving adequate infrastructure capacity and uniform infrastructure expense around the country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and indigenou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a new type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on September 1st, 2008 in the wake of the abo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 In this context, after categorizing infrastructure-related expense system inside the country and abroad by the type, this study had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 review of tax system and other taxes. The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ere applied to Hwa-sung city, and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in the view point of bearing expense and capacity of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newly mentioned from the view point of system and management. Suggested several system improvement alternatives are making obligatory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ity management plan, improving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advancement of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inducement coefficient, implementing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t the same time,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by local governments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making use of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nd development impact fee method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at last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ystem for effective plan and management. As a management improvement alternative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or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is study suggested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7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a discretionary power to act to local governments so as to properly reflect the diverse local conditions and adequately satisfy specific needs in a long run for other additional infrastructure. Accordingly, for the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at will be enacted from September, 2008, this study suggested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make up for shortcomings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such as dual-impose and regional inequality and make a successful system. Firstly, more comprehensive pre-inspection is required in the selection of infrastructure zo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boundary of development activities of induc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Third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uthorization standard and requirement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contents and proceeding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ifthly, it is to use land conversion facto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ixth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djust indicators in count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Seventhly,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build a system related with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Further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securing infrastructure capacity and installment expenses by utilizing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standard costs for representative capital area and rural area.

      • 스크린골프 열정척도와 몰입경험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

        이상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y people are fascinated by screen golf and enthusiastic about that among passionate scale, flow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revealing the processes and reasons why people participated in screen golf, and contributed baseline data to be a golf-culture. To accomplish of this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played screen golf at least one time so far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the 300 questionnaires, 50 were eliminated because of missing information, which left us with a total of 250 final, usable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 program Window Ver. 18.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Scheffe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creen golfer passionate scale, flow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continuous inten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econd, passionate scale of screen golf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experience. Third, passionate scale of screen golf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Fourth, flow experience of screen golfer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Lastly, there was a connection passionate scale, flow experie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of screen golf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when people play screen golf with enthusiasm, they would most likely participate consistently. Thus, there was significant effects harmonious and compulsive enthusiasm, which are sub-factors of enthusiasm scales, on immers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However, I believe that if the harmonious enthusiasm might be increased, more positive and effective immers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will be increased because there is a limitation that compulsive enthusiasm might cause obsession, which is a sub-factor of the enthusiasm scales.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be focus on finding ways increasing harmonious enthusiasm screen golf participants. 이 연구는 대중들이 왜 스크린골프에 매료되고 열광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스크린골프 열정척도와 몰입경험 및 참여지속의도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대중들이 스크린골프에 참여하는 이유와 과정을 규명하고 스크린골프가 하나의 골프문화로 정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스크린골프장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약 30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무응답 설문지와 불성실하게 응답하여 항목이 누락된 설문지 50부를 제외한 25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t-test 분석, 일원변량분석, 사후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특성에 따른 열정척도와 몰입경험 및 참여지속의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열정척도가 몰입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열정척도는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몰입경험이 참여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스크린골프 이용자의 열정척도와 몰입경험 및 참여지속의도의 인과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중들이 스크린골프를 이용함에 있어 열정을 갖고 몰입하게 한다면 지속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열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조화로운 열정과 강박적인 열정이 몰입과 참여지속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열정척도의 하위요인 중 강박적인 열정은 집착과 중독 등의 한계점이 있어 조화로운 열정을 더 높일 수 있다면 보다 더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몰입과 참여지속을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스크린골프 이용자들에게 조화로운 열정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유연인쇄전자소자 생산 공정에서 인쇄패턴 전극저항 최소화 및 선폭 인쇄성 최대화를 위한 실험계획법 적용 인쇄조건 최적화

        이상윤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sistance of patterns is one of important items of circuit characteristics, the printed pattern resistance changes depending on the printing conditions in the roll-to-roll continuous printing system. Also, for dense circuit design, the result of the spread ratio, which is the ratio of the line width to the line width of the designed line, is also important. To optimize printing conditions, minimizing pattern resistance and spread ratio 100 %, in this study the drying temperature, wind speed, and linear velocity of printing are selected as effective factors to the objectives. Then experimental design method is used to minimize the number of experiments and to obtain optimum condition. Finally the prediction results produced from the optimum condition were verified by the reproducibility test. As a raw material, PG-007 Silver nano ink, and SKC PET film is used as conductive silver ink and web film, respectively. The printing result is a pattern line having a width of 500 ㎛ and a length of 80 mm. The resistance is measured with a multimeter, pattern line width and height are measured with ITPlus and 3D surface profiler, then it is analyzed by MATLAB Imag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EC 62899-402-1) method. As a result of pretest, factors & levels for main experiment are decided to establish the main experimental conditions by factorial design method. The effective factors that minimize the resistance value are printing speed, wind speed, temperature, and ink viscosity in order. Th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n the spread ratio are the printing velocity, ink viscosity, and, temperature, and wind speed in order. This result is analyzed from the ANCOVA & ANOVA. Based on the ANOVA result, using response optimizer of 100 % spread ratio & minimized resistance the optimum condition is selected that drying temperature 160 ℃, wind speed 40 Hz, printing velocity 15 mm/s, ink viscosity 30000 cP. Those optimum conditions for gaining objectives of this thesis predicts the results of 42.09 Ω resistance and of 100.15 % spread ratio. In the result of reproducibility test for verifying the prediction value from the optimum conditions, the resistance mean data comes out 41.35 Ω and every data marks within –2.6 % from the prediction value. The resistance trend line has 0.02 of slope and 0.28 % of probability of error. The spread ratio mean data comes out 103.79 % and every data marks within +6.75 % from the prediction value. The spread ratio trend line has 0.06 of slope and 0.69 % of probability of error. Overall Capability Ppk of resistance & spread ratio data is 8.27 and 3.82, respectively. However, the result value of 2.11 at Z-bench analysis of spread ratio shows that more manufacturing factors affecting to spread ratio are necessary to be found for stabilizing the long term manufacturing.

      • 동화댐의 환경용수량 산정

        이상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는 등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용수, ‘환경용수’ 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환경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대상지구의 여유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환경용수로 판단하여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환경용수는 하천의 정상적인 기능 및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해당 하천에 흘러야 할 최소의 유량인 하천유지용수와 구분하였다. 또한, 환경용수는 농촌지역 수변공간의 경관 및 기능보전 또는 수변공간 중의 산책, 스포츠, 물놀이, 낚시 등 레크리에이션을 통한 심리적, 정서적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용수로 판단하였다. 댐 건설당시 계획된 관개수량과 기타용수량 이외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여유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동화댐의 최소 확보 저수위를 사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가공급 가능량을 산정하였다. 생활ㆍ공업용수와 하천유지용수의 이용률을 높여 동화댐의 물수지 분석결과, 1998년부터 2005년까지 평균 15,297×10³m³ 의 추가공급 가능량이 발생하였다. 강우량이 가장 많았던 2003년에 36,581×10³m³ 로 가장 많은 추가공급 가능량이 발생하였고, 극심한 가뭄해인 2001년과 2002년에는 용수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용수의 대표적인 사례인 청계천을 간접비교하여 추가공급 가능량의 가치를 측정한 결과, 1998~2005년까지 총 8개년의 평균 추가공급 가능량은 41,910m³/일로 하루 83만원, 연간 약 3억3백만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농촌공사 전국지사 평균 용수단가 68.81원/㎥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연간 약 10억 5천만원, 수자원공사 댐용수 단가 47.7원/㎥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는 약 6억 4천만원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화지구는 2010년을 목표연도로 하여 수변공원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변공원조성사업의 각 시설물에 공급할 동화댐의 추가공급 가능량은 모두 환경용수량이라 할 수 있으며, 댐에서 환경용수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용수 개념의 정립과 소규모 댐에서 환경용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re is a recent surge in national expectation of establishing environment-friendly urban spaces or ecological parks and aquatic environments, as part of the needs to implement using water, i.e., "environmental water," to improve natur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considering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water shortage, maximization of utilizing water stored in current water facilities is crucial, corresponding to efficient use of the insufficient resou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define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water and estimate water storage (allowance) of the target area where water resource is relatively sufficient.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raise water usage rates, i.e., regarding not only the planned supply but also the additional supply available as environmental water, designing and evaluating ways to utilize such for the targe area. This researcher differentiated environmental water from the river management flow referring to the minimum amount of water flow to be present in a river to maintain its normal functioning and condition. Environmental water was also regarded as the water, utilization of which includes agricultural areas' aquatic space aesthetics and functioning preservation or recreation activities including walking, sports, water activities, fishing, etc. to ensure resident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To estimate the additional water storage generated in addition to the irrigation water and the water for other purposes planned at the time of the dam construction, the minimum water level guaranteed of the Dongwha Dam was calculated, upon which the additional water supply available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am's water balance by increasing the usage rates of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and water management flow showed that from 1998 to 2005, mean additional supply available was 15,297×10³m³, with 36,581×10³m³ in 2003, where the largest rainfalls were present, demonstrating the largest amount of additional water supply availabl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with water supply in 2001 and 2002, where severe drought took place. Via indirect comparison of the Cheonggyecheon River, a representative case of environmental water, and calculation of the value of the additional supply available, this researcher found out that from 1998 to 2005, mean additional supply available for the eight-year period was 41,910m³/day, corresponding to 830,000 won per day and approximately 0.303 billion won per year. In addition, based on the mean water fee of 68.81won/㎥ adopted by national offices of the Korea Rural Community and Agricultural Corporation, the analysis resulted in the estimation amounting to about 1.05 billion won per year, and using 47.7won/㎥,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s dam water fee, to approximately 0.64 billion won. The Dongwha area, which is planning a waterside park installation project by 2010, all additional water supplied available to be provided for each facility of the project can be regarded as environmental water, with the percentage of environmental water for the Dam operation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Therefore, for future studies, establishment of specific standards is recommended that will allow for clear definition of environmental water and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water in small-scale d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