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Quinidine, hycrocinchonine 및 cinchonine의 다약제내성 억제 효과
This study aim i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quinidine and its derivatives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on multidrug resistance (MDR). The overexpression of P-glycoprotein (Pgp), a transmembrane drug efflux pump, is a major mechanism of MDR. Quinidine, hycrocinchonine and cinchonine did not show any cytotoxicity up to 30 uM in Pgp-negative MES-SA and Pgp-positive MES-SA/DX5 and HCT15 human cancer cells. These quinidine derivatives potentiated the cytotoxicity of paclitaxel or doxorubicin but not 5-fluorouracil in MES-SA/DX5 and HCT15 cancer cells but not in MES-SA cancer cells in vitro. In addition, these quinidine derivatives enhanced the accumulation and residue of rhodamine-123, a fluorescent substrate of Pgp, in the Pgp-positive cells but not in Pgp-negative cel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se quinoline derivatives can be MDR reversal drug candidates for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anticancer drugs such as paclitaxel or doxorubicin.
지방 흡입 수술은 그 뛰어난 결과로 인하여 최근에 미용성형 분야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수술 중의 하나이다. 지방 색전 증후군은 지방 흡입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지만 그 증상이 특이하지 않아서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흔하지는 않지만 다량의 지방 입자와 조직 파편이 손상된 혈관을 통하여 폐, 뇌, 그리고 신장과 같은 장기에 유입되어 호흡 장애나 의식 소실이 발생하고 나아가 사망과 같은 치명적 상황에 이르게 하는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전격성 지방 색전증이 일어나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전후까지 시간대별 체내 지방 입자와 장기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방 흡입 수술 후 2일 간에 혈액, 폐, 그리고 뇌에서 유입된 지방 입자와 장기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여 지방 색전 증후군의 경과와 전격성 지방 색전 증후군으로의 진행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 되었다. 실험동물로는 생리적으로 인간과 유사한 점이 가장 많다고 여겨지는 Sprague Dawley rat(12weeks age, 500-628g, 562g on average)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대조군(3 rats)과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라 3 그룹의 실험군(15 rats)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복강 내 케타민 주사를 통해 전신마취를 하였고 내경 3mm medical-grade stainless steel liposuction cannula를 이용하여 지방을 흡입하였다. 실험동물의 요부와 복부에 체중의 10%에 해당하는 50-60 mL의 tumescent를 주입하고 30분 기다린 후에 -50 kPa의 음압으로 1시간 동안 지방흡입을 시행하였다. 각 군당 5마리로 나누어진 실험동물에서 지방흡입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 후에 혈액과 폐, 뇌 조직 내의 지방 입자의 양과 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혈액 내의 평균 지방 입자 수는 대조군은 정상이었으나, 1시간 군에서 25,960/dL, 24시간 군에서 111,100/dL 그리고 48시간 군에서 21,780/dL로서 24시간 군에서 타 군의 약 4배에 해당하였다. 각 군간 지방 입자 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 (1시간 군과 24시간 군 P<0.05, 24시간 군과 48시간 군 P<0.05) 조직 소견은 실험동물 15마리 전체의 폐의 혈관내외 모두 지방입자가 발견되었다. 폐렴의 염증 소견들 역시 전체에서 보였으며 특히 48시간 군에서 현저하였다. 뇌 조직 표본에서는 지방입자로 의심되는 소견이 24시간 군에서 2건 있었으나 명확하지 않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색전증의 치료와 전격성 색전증으로의 진행을 예방하는 데는 수술 후 첫 24시간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지방흡입술 후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지방입자의 이동과 지방색전증에 관한 첫 연구 사례로서 향후 더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iposuc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frequent operations among the aesthetic surgical fields because of its excellent results. However, fat embolism syndrome can occur after liposuction, and it is not easy to make a diagnosis in early stage because of the unspecific nature of symptoms. Although it is not common for large amounts of fat emboli to flow into major organs(e.g. lung, brain and kidney) through injured vessels,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 can develop respiratory distress, loss of consciousness and even death. Although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are important because all fulminating fat embolism syndromes occur in this period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changes in fat emboli amount and histology with time during this period.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fat emboli and histologic findings in blood, lung and brain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irst 48 hours after liposuction to predict fat embolism syndrome.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18 male Sprague Dawley rats aged 12 weeks and weighing 500-628 g (562 g on average). Fifteen rats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 and three as a control group. Blood, lung and brain tissue specimens were obtained at 1 hour, 24 hours and 48 hours after liposuction procedure.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under general anesthesia using intraperitoneal injections of ketamine HCl. Total of 50-60 mL tumescent (10% of bodyweight) was injected into flank areas and abdomen of the rat. Liposuction was then conducted about 30 min after application of the tumescent. The average number of fat particles in the blood specimen was 25,960/dL for the 1 hour group, 111,100/dL for the 24 hour group and 21,780/dL for the 48 hours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study groups were significant between 1 hour and 24 hours (p<0.05), 24 hours and 48 hours (p<0.05), 1 hour and 48 hours (p>0.05). Both intravascular and extravascular fat particles with inflammatory findings were seen in lung specimen of all 15 rats in the three study groups, as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hemorrhage and consolidation with shrinkage of the lung alveoli. Moreover, these conditions increased with time, and the most severe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the 48 hours group.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first 24 hours after liposuction was the most important time point to make a diagnosis of fat embolism syndrome and prevent fulminating state. This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the fat embolism of major organs with systemic fat mobilization after liposuction. Further large scale studies with more subdivided study groups are needed to ob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is process.
도시개발에서의 기반시설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이상윤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도시지역 외 지역의 난개발 방지와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국토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하여 종전 『도시계획법』과 『국토이용관리법』 을 통폐합하고 2003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제2종 지구단위계획, 개발행위허가제, 기반시설연동제 등 종전의 국토정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는 개발행위를 기반시설의 용량과 연계시키고 그 용량범위 안에서 개발행위를 허용하여 "선계획·후개발"의 국토계획 패러다임을 이행할 수 있는 제도로서, 화성시, 용인시 등 수도권의 7개 지자체에서 시행하였다. 그러나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과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 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 등 기반시설연동제의 여러 가지 이유로 많은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부담계획을 수립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2005년 8·31 부동산종합대책을 발표함과 동시에 토지의 합리적 이용 촉진이란 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의 기반시설부담금제 도입방안을 발표하였다. 2006년 7월 12일부터 시행된 기반시설부담금제는 기반시설연동제에 비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 및 기반시설부담계획의 수립의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기반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비용을 징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용량확보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지역별, 규모별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부담금을 전국에 걸쳐 획일적으로 부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유형의 기반시설연동제인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종전의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이 폐지됨에 따라 2008년 9월 1일부터 실시될 예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외 기반시설 관련제도의 부담금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발부담금에 대한 종합적인 이론적 고찰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기반시설부담계획을 기 수립하였던 화성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동시에 적용하고 기반시설 비용부담 측면과 용량확보 측면에서 비교·검토하여,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실증분석을 통해 새롭게 거론되고 있는 기반시설부담구역제의 제도적 측면과 운영적 측면에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제도개선방안으로는 도시관리계획 수립시 기반시설설치계획의 의무화방안, 기반시설부담금제의 용지환산계수, 기반시설유발계수 고도화에 의하여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와 기반시설부담금제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방안, 지방자치단체에서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는 방안, 기반시설연동제의 기반시설부담계획과 부담비용의 산정 관련 기법을 사용하여 기반시설부담금제에 알맞게 접목하는 방안이며, 계획과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운영개선방안으로는 기반시설설치계획 수립시 최소한 7개 기반시설에 대해서는 필수 의무화하는 현행 제도의 유지와 그 외의 기반시설 대상 추가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재량권 부여의 필요성을 통한 장기적인 부담금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2008년 9월부터 시행될 기반시설부담구역제가 기반시설부담금제의 단점인 부담금의 이중부과와 지역간 형평성의 문제를 보완하고 성공적인 제도로 시행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제언을 하였다. 첫째, 기반시설부담구역 결정시 보다 면밀한 사전검토가 요구된다. 둘째, 기반시설의 설치를 유발하는 개발행위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 셋째,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기준과 절차요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넷째, 기반시설설치계획의 내용 및 수립절차의 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용지환산계수가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기반시설설치비용 산정지표의 점검 및 조정이 필요하다. 일곱째, 각 지자체에서는 기반시설설치비용 관련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향후 추가연구에서 대표성이 있는 몇 개의 수도권 및 비수도권 도시를 대상으로 기반시설 용량에 따른 차등화 된 용지환산계수와 기반시설 표준시설설치비용을 사용하여 기반시설 용량과 설치비용을 확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In order to prevent unplanned development outside urban area, establish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and pursue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the government combined 『The Urban Planning Law』and 『The Land Use and Management Law』into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Law』in 2003, introducing new planning systems such as the second unit planning, development permit system, and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so on.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hich fulfills basic rule of national planning paradigm, "plan followed by development," linking development activities to its capacity and allowing development activities within the excess capacity of infrastructure, was applied to seven local governments such as Hwa-sung city, Yong-in city and ot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However, most local governments could not implement the system successfully due to various reason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requiring excessive fee and time in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s a solution to these practical problems, the government announced introduction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on August 31st 2005, submitting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for promoting reasonable land use of real estate. This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which was enacted on July 12th, 2006, had many advantages over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ssigning infrastructure expense easily without selecting infrastructure bearing zone and establishing infrastructure bearing plan. Yet,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has weak points of deficiency in achieving adequate infrastructure capacity and uniform infrastructure expense around the country without considering regional and indigenou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a new types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on September 1st, 2008 in the wake of the abolishment of 『The Infrastructure Expense Law』. In this context, after categorizing infrastructure-related expense system inside the country and abroad by the type, this study had comprehensive and theoretical review of tax system and other taxes. The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the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were applied to Hwa-sung city, and result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in the view point of bearing expense and capacity of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newly mentioned from the view point of system and management. Suggested several system improvement alternatives are making obligatory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ity management plan, improving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by the advancement of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inducement coefficient, implementing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and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t the same time,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by local governments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making use of infrastructure bearing plan and development impact fee method of infrastructure linkage fee system in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and at last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system for effective plan and management. As a management improvement alternative dur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or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is study suggested maintaining the current system including at least 7 necessary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a discretionary power to act to local governments so as to properly reflect the diverse local conditions and adequately satisfy specific needs in a long run for other additional infrastructure. Accordingly, for the infrastructure bearing zone system that will be enacted from September, 2008, this study suggested policy suggestions in order to make up for shortcomings of infrastructure rolling system such as dual-impose and regional inequality and make a successful system. Firstly, more comprehensive pre-inspection is required in the selection of infrastructure zone. Secondl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boundary of development activities of induc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Third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uthorization standard and requirement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bearing zone. Fourthly, it is necessary to scrutinize contents and proceeding procedures of infrastructure installment plan. Fifthly, it is to use land conversion factor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Sixth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djust indicators in counting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Seventhly, each local government needs to build a system related with infrastructure installment costs. Further research i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securing infrastructure capacity and installment expenses by utilizing land conversion factor and infrastructure standard costs for representative capital area and rural area.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선문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사회복지 활동에 관한 의식과 참여 연구 이상윤 신학과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본 연구는 가정연합 목회자와 식구를 대상으로 사회복지 참여 의식과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참여 의식 그리고 교회의 지역사회복지 활동 실태와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가정연합이 사회복지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과 문제점을 개 선하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정연합 충청지역에 속한 목회자와 식구 2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빈도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이면서 20년 이상의 신앙을 한 40대에서 60대까지의 연령이 교회 활동에 주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의 필요성에 긍정하고 공감하며 교회의 사명과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해 충분한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를 비롯한 타 종단 및 사회단체와의 강한 연대와 협 력에 매우 개방적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자원봉사자와 관련 인적자원 확보가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복지 활동 수행에 가장 큰 장애는 사회복지 인식 부족, 교 회재정 부족과 전문인력 부재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회에서 시행하는 사회복지 활동은 다문화 분야가 가장 많았던 반면 목회자와 식구들이 앞으로는 청소년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사회복지 활동은 지역사회와 주민들에게 교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 줄 것이며, 지역사회 관계 유지와 신뢰 강화에 도움을 주어 교회성장과 발전의 결과를 가져올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분석을 토대로 가정연합이 지역복귀를 위해 수행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복귀 활동을 위한 내부 환경 분석과 이를 통한 중장기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식구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사회와 주민이 필요로 하는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다.
이상윤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그 동안 대중문화에 대한 연구는 수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한국 재즈음악의 생산 환경에 관한 연구는 아직 역사가 짧고 전문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분야의 특성상 현장 전문가의 연구 환경이 열악하고, 현장을 연구하기에는 이론적 연구만으로 이를 대체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재즈음악의 상설공연을 해온 ‘재즈파크(Jazz Park)’를 중심으로 한국 재즈음악의 발전을 위한 상설공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 재즈음악에 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현장전문가들의 심층인터뷰와 참여관찰을 통한 질적 방법으로 조사, 분석을 하였다. 그 동안 재즈음악에 관한 연구는 국내환경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고, 현재 생존한 재즈1세대부터 다양한 전문가를 상대로 질적 연구를 시도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의 생산시스템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 재즈음악공연의 대중화와 상설공연에 관한 미래지향적인 방안을 제안하게 되었다. 문제제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재즈음악의 발전과 대중화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재즈파크의 사례를 통한 재즈음악 상설공연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결과, 한국 재즈음악공연은 다음과 같은 특징과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재즈음악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공연의 기회를 넓히고 현장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전문 인력의 양성이나 생계 등과 관련된 환경개선을 위해서 메세나와 재즈협회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재즈파크의 역할과 의미 그리고 현장전문가들에 의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즈파크를 통한 한국 재즈음악의 상설공연은 국내 뮤지션들의 연주기회제공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공연의 질적 향상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재즈빅밴드의 제작과 신인 뮤지션 발굴, 지원 사업은 재즈음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다른 장르와의 융합 등을 통하여 한국형 재즈음악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재즈음악이 해외음악이고 사뭇 난해한 음악임을 감안할 때, 대중음악으로서 널리 확산되기 힘든 환경임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마니아층 외에도 대중의 관심이 늘어나는 추세를 볼 때, 공연의 활성화를 통한 한국 재즈음악의 발전을 위하여 메세나와 대중문화정책의 측면에서 보다 다양한 지원과 관심이 요구된다. Research on popular culture has usually been focused on users, not on producers. In particular, studies of the environment of Korea's jazz production have only a short history, and no in-depth research exists yet. That is because the conditions of onsite research are unfavorable and theoretical research cannot replace onsite one. Focusing on Jazz Park which has run regular jazz performances for the past ten years, this research elaborates on such performances designed to develop Korean jazz. To be more specific, I approached Korean jazz from a theoretical point of view. I also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by asking detailed questions to onsite experts and having them participate in my research as observers. As mentioned before, research on Korea's jazz environment is still insufficient and no researcher attempted a qualitative study by inviting a great number of experts, starting from Korea's first generation of jazz artist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research studies and analyzes the onsite production system of Korean jazz in order to come up with future-oriented suggestions regarding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jazz and permanent performances. I started my study with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jazz? Second, what is the meaningfulness of permanent jazz performances run by Jazz Park and what are their problems and solutions to them?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Korean jazz performance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First, considering the nature of jazz music, more performance opportunities should be given to artists while also improving the onsite system. Second, support from businesses and the activities of jazz associations should be encouraged so as to improve the overall jazz environment encompassing the training of experts and their livelihood. Here are the role and meaningfulness of Jazz Park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to be made by onsite experts. First, permanent Korean jazz performances at Jazz Park hav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of providing Korean musicians with opportunities to be on stage. Nevertheless, investment and support are still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s. Second, Jazz Park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jazz by creating Jazz Park Big Band and by finding and supporting new musicians. Such efforts will also lead to the development of Korea's own jazz music by blending jazz and other genres. Considering the fact that jazz originated in a foreign country and that it is rather a difficult genre, it would be undeniable that it is not easy to popularize it in Korea.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not only big jazz fans but also the general public is increasingly interested in jazz in Korea. Therefore, more support and attention are needed to further develop Korean jazz by revitalizing jazz performances. In particular, support from businesses and policies on popular culture should be strengthened. * Key Words: jazz music, jazz performances, regular performances, mecenat (support from businesses), Jazz Park
高分子 複合材料로 橫補强된 鐵筋콘크리트 기둥의 力學的 特性에 관한 연구
이상윤 仁川大學校 一般大學院 2000 국내석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 시공상의 결함이나 시공완료후의 증축 및 노후화 등의 재료, 시공, 환경, 구조적 요인에 의해 성능저하가 일어날 수 있으며, 과하중이나 지진 등에 의해 손상을 받아 구조물 자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절한 보수·보강 대책에 의해 구조물의 성능을 보강하여야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에 있어 단면 증설법이나 강판보강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기존의 보강공법이 갖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고분자 복합재료를 이용한 보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건축물이 고층화, 대형화되고 특수구조물이 출현함에 따라 구조물의 경량화, 대형화 및 고층화를 가능케 하고 구조 부재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적인 이점을 갖는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422, 672, 974, 1148㎏/㎠)와 횡보강복합재료(탄소섬유쉬트, 유리섬유쉬트, 아라미드섬유쉬트)를 변수로 하여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보강효과 및 역학적 특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철근콘크리트 기둥 시험체는 길이 120×120×520㎜의 정방형 기둥으로 세장비가 15인 압축단주이고, 기둥의 양단부에 응력집중으로 인한 조기파괴를 방지하고 중앙부의 파괴를 유도하기 위하여 헌치를 제작하였다. 일련의 실험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비교·고찰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심 축하중을 받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내력 (1)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는 증가하나,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증가에 대한 기둥 강도의 증가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2) ACI에서 제시하고 있는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럭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서는 유효하지만, 고강도 콘크리트에서는 기둥의 내력을 과대평가 한다. (3) 기둥 시험체의 실험결과를 현행 규준 및 수정 등가 직사각형 응력블럭과 비교해본 결과, Azizinamini, Bing, CSA, MacGregor와 Ibrahim, ACI의 순으로 일치한다. 2. 고분자 복합재료의 보강 효과 (1) 복합재료로 횡보강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은 강도와 변형능력이 일반적으로 크게 증가하여, 에너지 흡수능력과 연성의 확보에 유리하다. (2)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강 기둥의 강도증진효과는 증가하며, 초고강도에서는 보강효과가 다소 둔화된다. (3)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강 기둥의 변형능력은 감소된다. (4) 연성지수(Ductility Index)는 보통강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며,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크게 감소된다. (5) 연성효과는 유리섬유쉬트와 아라미드섬유쉬트가 탄소섬유쉬트에 비해 효과적이다. (6) 복합재료를 1겹 보강할 경우 보강효과는 서로 비슷하며, 내력과 연성 면에서 아라미드섬유쉬트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난다.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could be deteriorated and damaged by various effects such as defects of design or construction, its enlargements, abnormal loading, earthquake, etc. In this case, the structure requires proper method of rehabilitation and strengthening to complement its structural capacity. Recently, study has been conducted on rehabilitation and strengthening with fiber composite materials even though majority still prefers to those with steel plate and sectional enlargement. Nowadays, there are emerging interest and demand on high strength concrete since buildings are getting higher and larger. By using this high strength concrete, section of structure can be reduced so that we enable buildings to be larger and higher effectively. This paper is focused on strengthening effect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confined by fiber composite materials such as carbon, aramid and glass fiber sheet. Experiments are made with four selected values of concrete strength(422, 672, 974, 1148 ㎏/cm²) and three kinds of fiber composite materials(carbon, glass, aramid fiber sheet) as experimental variables. In total, 16 square tied columns 12O㎜ × 12O㎜ in cross section, and 520㎜ high are tested under concentric axial compression to failur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se tests: 1. Load carrying capacity of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1) when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strength of columns dose not increase at the same ratio. (2) ACI equivalent rectangular stress block is conservative for normal strength concrete, but it tends to overestimate strength of columns for high strength concrete. (3) Equivalent rectangular stress block from results of column specimens shows the agreement in sequence of that proposed by Azizinamini et al., Bing et al., CSA, MacGreor & Ibrahim and ACI. 2. Strengthening effect of fiber composite materials (1)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hen confined with fiber composite materials around the columns, exhibit a very significant strength gain as well as increased deformability. Thus, it indicates that fiber composites wrapping excels in both energy absorption and ductility. (2) As the concrete strength increases, strength enhancement of confined columns i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it slows down incremental ratio in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3) As the concrete strength increases, deformability of confined columns reduces. (4) Ductility index shows maximum level in normal strength concrete, but it lowered remarkably when the concrete strength increases. (5) GFS and AFS appears to be efficient compared to CFS in terms of ductility. (6) When column is confined with 1 wrap of fiber composite materials, strengthening effect dose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each fiber composite material. (7) AFS is most superior among others with respect to strength and ductility.
감기환자의 구강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pneumoniae 59에 대한 官桂附子理中湯의 효과
李尙潤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본 실험연구는 감기환자의 구강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neumoniae 59에 대한 官桂附子理中湯의 항균효과에 대하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항균 활성의 측정결과 官桂附子理中湯 추출물의 inhibition zone은 inhibition zone은 9.83 ± 0.11 ㎜ 였다. 官桂附子理中湯 추출물의 MIC(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는 12 ㎕ 였으며, 고압 증기 멸균한 시료가 더 큰 inhibition zone ( 10.4 ± 0.11 ㎜ )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이 추출물은 열에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pH에서도 inhibition zone의 크기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이 추출물은 다양한 범위의 pH에서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으로 감기환자의 구강에서 분리 동정된 Streptococcus pneumoniae 59에 대한 官桂附子理中湯의 추출물은 높은 항균효과를 보여 주었다. Objectives:I want to exa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wankeibujalijungtang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59 isolated from the mouth of a common cold patient. Method:Antimicrobial activity was assayed through the hot water extract from Gwankeibujalijungtang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59 isolated from the mouth of a common cold patient. Results:The size of inhibition zone of Gwankeibujalijungtang extract was 9.83 ± 0.11 ㎜. The optimal pH and temperature for the growth of isolated Streptococcus pneumoniae 59 were 7.0 and 37℃, respectively.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of Gwankeibujalijungtang extract was 12 ㎕ an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wankeibujalijungtang extract was not destroyed by the heat (121℃ for 15 min) and not affected by pH. Conclusion:Reviewing this experimental result, it appeared that Gwankeibujalijungtang had efficacy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59 isolated from the mouth of a common cold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