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감성 언어를 통한 한국 禮式용 花卉디자인 선호도 연구 : DCPS 분석의 감성 언어를 中心으로

        김록영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화훼산업이 발달하고 예식용(禮式用) 화훼디자인의 변화와 역할이 다양해지면서 인간의 삶과 죽음에서 필연적으로 거치는 통과의례인 혼례와 장례용 화훼디자인 변천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 및 전문가가 인식하는 禮式用 화훼디자인 감성 언어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향후 화훼디자인의 트렌드를 연구하는데 초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혼례용 화훼디자인과 장례용 화훼디자인에 대한 감성 언어와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며, 이러한 감성 언어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화훼디자인의 감성 언어를 측정하기 위해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개발한 DCPS 감성 언어 중 화훼디자인 전문가가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가장 적합한 12개의 감성 언어를 추출하였고,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대한 감성 언어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설문자료는 데이터 크리닝 작업을 거쳐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혼례용 화훼디자인(신부 부케)에서 추출된 감성 언어는, 일반인의 경우 ‘사랑스러운’ 감성 언어를, 전문가는 ‘순수한’, ‘아름다운’ 감성 언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혼례용 화훼디자인(꽃길) 일반인의 경우 ‘아름다운’ 감성 언어를 선호함에 따라 아름다운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가의 경우 ‘감동적인’ 감성 언어를 선호하고 있으며, 신랑과 신부가 만나는 장소로서 감동적인 상황을 연출하기 위한 꽃장식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혼례용 화훼디자인은 부드럽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례용 화훼디자인(관장식) 일반인의 경우, ‘편안함’ 감성 언어를 선호하고 있으며 편안함의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해야 한다. 또한, 전문가의 경우 일반인과 동일한 ‘편안함’의 감성 언어를 선호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과 전문가가 느끼는 감성 언어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례용 화훼디자인(제단장식)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 간의 감성 언어의 차이가 없었으며, 점잖은, 편안함, 감동적인 이미지를 갖도록 디자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장례식장의 화훼디자인은 점잖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일반인과 화훼디자인 전문가가 느끼는 선호도에는 일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예식용 화훼디자인의 경우 전문가에 의해 구성되므로, 전문가는 전문가적 지식 및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을 하되, 추후 일반인 결혼식 하객 및 장례식 조문객들의 감성 이미지나 선호도를 고려한 디자인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혼례 및 장례의 예식용 화훼디자인에 대해 일반인이 인지하는 감성 언어와 선호도를 하객 및 조문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감성 언어와 선호도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미래의 혼례 및 장례 등 예식용 화훼디자인의 방향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수치지도에서 건물레이어의 일반화에 관한 연구

        정수호 仁川大學校 一般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수치지도는 지형공간정보체계 공간데이터베이스로서 1990년대 중반부터 국가지리정보체계(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되고 있으며 각종 응용 시스템에 이용되는 기초자료로 그 활용성이 광범위하다. 지금까지의 수치지도제작은 그 축척이 1:1,000, 1:5,000, 1:25,000의 세가지의 단축척으로 제작되어 활용되었으며 이와 다른 축척의 공간자료를 원할 경우 독립적으로 다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축척 수치지도를 원시데이터로 하여 다양한 소축척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지도 일반화(Map Generalization)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많은 일반화 처리 요소 중 건물 레이어의 선택 및 삭제, 건물의 단순화, 건물의 집단화, 건물의 과장화 연산자를 적용하여 건물 레이어의 소축척 변환 특성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건물 레이어의 일반화 처리를 위한 연산자 및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1:5,000 수치지도의 1:25,000 수치지도로의 변환에 이를 적용, 건물 레이어의 일반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After the midway of the 1990s, the digital map has been builded as a part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o, it is very useful to the basic data which used to the various kinds of application system. Up to now, the digital map was generated and utilized only three types such as, 1:1,000, 1:5,000, 1:25,000 in Korea. Therefore, whenever we want to obtain the spatial data which builded on other scale, we have to generate the digital map independently. Also, it always brings about time-consuming and economical loss.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for the map generalization to make the various digital map of small scale from the master data of large scal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small scale convers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layer using the operators map generalization such as, selection and elimination of building, exaggeration of building, simplification of building and aggregation of building. For this purpose, It is proposed the algorithms of building layer for the generalization process. Finally, It could be investigated the generalization characteristic of building layer through the transferring the digital map of 1:5,000 scale into 1:25,000 scale.

      • 지역활성화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부천시를 중심으로

        이수일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47

        ABSTRACT Regional Revitalization and Urban Regeneration for Community's Residential Satisfaction : Focused on Bucheon City Lee, Soo Ill Dept. of Urban Planning and policy, graduate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s an active spac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functions,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ing to urban regeneration to recove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w functions, breaking away from the framework of new city development and urban maintenance projects. Considering that this is a series of processes to increase residential satisfaction through regional revitalization in cities that have been stagnant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effect of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specific analysis of this was insufficient.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nd substantially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local revitalization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s urban regeneration studies to revitalize the region and improve community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ly, based on practical empirical analysis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according to regional revitaliza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effici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 policy direction and policy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specifically set as follows to understand these factors, as regional revitalization will lead to improvement of residential satisfaction in the framework of restoring local communities and improving residential satisfaction. First,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hich is a parameter. Second,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which is a parameter. Third, it was attempt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 would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Fourth, residents' participation was intend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f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resident participation will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 particip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Sixth, we tried to verify this by judging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will affect residence satisfaction du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venth, community consciousness was intended to be verified by judging that the parameters would be effective in the process of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by local revitalization factors. Finall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each route was judged to differ according to the general neighborhood and economic-based area.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to comple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fter discussing and theoretically examining regional vitalization factors, resident participation, community spirit, and residence satisfaction i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Chunui-dong, Wonmi 1-dong area, of Sosabon-dong and Sosabon-3-dong, Wonmi-2-dong and Simgok-2-dong, Bucheon city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designed and proposed in the Chunui-dong, Wonmi 1-dong area, a survey method was used for each region to the residents of the target area. The survey period was from August 20, 2022 to October 20, 2022.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5 residents in each dong, 6 dongs, 420 copies were collected, 398 copies were used as valid samples,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wanted to secure. In addi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questionnaire of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of 39 people were analyzed by data.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underst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activation factors, community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 model was tested after going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measurement model validity test for valid research model test. In this study, variables consisted of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data analysis col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was used by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or each variable,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use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or research model test. Looking at the main researc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hypothesis test, 14 out of a total of 17 path hypotheses were adopted, and 3 hypotheses were rejected. Based on th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d residents' particip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lso has a meaningful influence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at increasing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also increases community consciousness. Third,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was foun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confirming that increasing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meaningful effect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that high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increased resid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test fo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oci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activation on resident satisfac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cultur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activation and residence satisfactio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confirming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 and the economic-based area. First, it was found that resident participation increased by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nd there was no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creases resident particip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but there i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in economic-based area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creasing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also increased community consciousness, but there was no meaningfu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Third,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social activation in economic-based areas lowered residential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ocial activation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n general neighborhood area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 physical activation in general neighborhood-type areas increased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re was no change in resident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economic-based areas. Summarizing the above analysis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are emphasized because they are found to affect resi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Therefore, public roles are important to improve resident satisfaction, bu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are analyzed as important factors that have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 satisfaction, indicating that cooperative governance is needed based on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this, continuous residential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only when the local community is centered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improve sustainable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ddition, both neighborhood regeneration and economic base have a policy commonality of urban renewal New Deal projects, so even if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regardless of the type of project, the local community must lead the project. Keywords : Urban regeneration project, regional revitalization factors,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consciousness, residential satisfaction. 국문초록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 부천시를 중심으로 도시는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으로 중추적 기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동공간으로서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를 거치는 과정에 신도시개발과 도시정비사업으로 전면철거방식인 물리적 측면의 활성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이러한 수단을 수반하는 틀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기능의 거주환경을 회복하고자 도시재생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있다. 이는 거주환경 악화로 침체 된 도시에 지역 활성화를 통하여 거주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라고 볼 때,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와 공동체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연구로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실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역 활성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 실질적인 실증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도시재생의 정책적 방향과 정책과정 연구에 참고자료로서 효율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재생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지역공동체 회복과 거주만족도 향상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지역 활성화가 곧 거주만족도 향상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주민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이 매개변수인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지역활성화요인이 종속변수인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넷째, 주민참여는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주민참여와 주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주민참여는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공동체 의식과 거주만족도와의 관계로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일곱째, 공동체 의식은 지역활성화요인이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수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서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각 경로에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목적을 완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시재생사업의 지역활성화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고찰 후 연구대상지인 부천시 소사 본동·소사본3동 일원, 원미2동·심곡2동 일원의 일반근린형 권역과 춘의동·원미1동 일원의 경제기반형 권역에서 설계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대상지 지역주민들에게 권역별로 설문방식을 활용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2년 8월 20일부터 2022년 10월 20일까지 동별 주민 약 75명씩 6개 동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지는 총 450부를 배부하여 420부를 회수 398부를 유효표본으로 하고 최종분석하여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의 부족한 설문을 보완하기 위하여 39명의 심층 면담한 조사내용을 자료화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지역활성화요인과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이용하였으며, 타당성 있는 연구모델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모델 분석, 측정모델 타당성 검정 과정을 거친 후 연구모델을 검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변수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응답자의 특성과 같은 빈도분석과 변수별 기술통계분석결과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모형검정을 위한 SEM 분석은 AMO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설정한 가설검정 결과 총 17개의 경로 가설 중 14개의 경로는 채택되었고, 3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를 토대로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주민참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주민참여 또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지역활성화요인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는 공동체 의식에도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는 거주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이 높으면 거주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문화적 활성화가 거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 효과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부분 매개 효과가 있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주민참여는 완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적·문화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사회적·물리적·환경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은 완전 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은 일반근린형 권역과 경제기반형 권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 주민참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주민참여 간에는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가 높아지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공동체 의식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물리적 활성화와 공동체 의식 간에는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없었다. 셋째,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를 높여주면 거주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근린형 권역에서는 사회적 활성화와 거주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근린형 권역에서 물리적 활성화가 높으면,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이 높아지고, 경제기반형 권역에서는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지역활성화요인은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에 대한 지역공동체 결속력에 따라 거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그 역할과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거주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주민참여와 공동체 의식은 거주만족도 향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적극적인 주민참여와 지역공동체를 기반으로 민·관이 서로 노력하는 협력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거주만족도 향상 차원에서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지역공동체가 중심이 되어야 지속적인 거주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근린재생형과 경제기반형 모두 도시재생 뉴딜사업이라는 정책적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업유형과 관계없이 사업추진과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더라도 민간, 기업, 행정이 협업하는 가운데 지역공동체가 주도하여야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주제어: 도시재생사업, 지역 활성화 요인, 주민참여, 공동체 의식, 거주만족도]

      •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 구성에 대한 연구

        옥정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세계화와 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된 외국인들은 우리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기관인 지역사회 공공도서관에서는 양질의 다문화서비스에 필요한 다문화장서보유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문화장서는 양과 유형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도서관 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다문화장서의 관한 연구도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의 현황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광역시의 특성을 살린 다문화장서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장서구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장서를 구비하여 제공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구·군의 대표격인 12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다문화장서보유현황을 분석하고, 다문화인구대비 다문화장서구성 비교 및 국가별 1인당 장서수를 분석하였다. 이를 SPSS 23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으로 도서관이 위치한 지역의 국가별 등록외국인 비율과 국가별 장서비율의 상관성을 피어슨 상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평구와 중구가 특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구도 0.7이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의 구·군의 대표도서관격인 12개 도서관의 다문화장서보유현황을 조사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영미자료 및 중국어자료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각 도서관의 다문화장서의 수집방안 및 장서구성기준이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장서구성에 대한 예산편성이 정례화 되어있지 않았다. 넷째, 다국어 능력을 갖춘 전담인력의 부족으로 다문화장서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관련법과 시행령에 다문화인들을 지식정보취약계층으로 지정하여다문화장서구성과 다문화서비스의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인천광역시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다문화장서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서관과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정확한 장서구성기준을 갖춰야 한다. 셋째, 다양한 다문화장서를 구성하기 위해서 국제도서전참여, 국제도서교류, 도서기증, 인터넷서점 등 수집방안을 통해 양질의 장서를 폭넓게 구성하도록 한다. 넷째, 부족한 인적자원을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전문사서의 배치가 필요하며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다문화인력을 활용하여 정체성확립에 도움을 주는 자료선정을 하도록 한다. 다섯째, 다문화장서의 구입예산의 부족함을 해소하고자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간의 협동수서정책을 마련하도록 한다. 여섯째, 인천광역시의 다문화대표도서관을 설립하여 모든 도서관을 컨트롤하며 이용자와 다문화장서를 연결하고 각 도서관들의 정보교류를 통한 협력으로 지속적으로 다문화장서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들의 양질의 다문화장서를 구성함으로써 다문화인들과 우리 국민이 함께 우리나라를 이끌어나가는 사회구성원으로 서로 발전적인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도시공원녹지 접근성 및 연결성에 따른 1인 가구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김기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has continuously increased by up to 30.2% of all households (2019). In line with the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related policies and services have been provided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However, Incheon Metropolitan City is the only locality among the entire special and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that does not have an ordinance to support single-person households. Generally, single-person households consider various factors in choosing their living place compared to other household group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diverse factors, such as social economy, housing, and convenience facilities affect their choice of living. Due to COVID-19, parks have been recognized as safe spaces and the preference of parks increased. Thus, the need of strengthening the ecological connectivity of parks and green spaces to create a resilient city from infectious disease has been raised. This study first measured the connectivity index of park and green spaces that can be felt from the perspective of actual park user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park/green space characteristic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examined. Until now, most of the methods that analyzed the accessibility have limitations in assessing the realistic accessibility. Moreover,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exami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them and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e API was used to derive the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constraints of actual walking distance, such as stairs and crosswalks. The connectivity indices were derived through Conefor 2.6 in this study. While previous studies mainly targeted Seoul City as the study area, Incheon was not fully investigated by existing research. Thus, the gap of previous studies can be filled through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23 variables of three characteristics, including park and green spaces, housing, region was identified. dBC_IIC (park and green spaces characteristics), apartment, studio, 85㎡ above (housing characteristics), welfare facility, population density (regional characteristic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Park accessibility, dNL, dBC_PC( park and green spaces characteristics), sales price (housing characteristics)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Meanwhile, variables showing differences by age group were also identified. Park accessi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age groups. Regarding the park and green spaces’connectivity, dBC_PC showed a negative effect while dBC_IIC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10s~20s. 30s~50s showed the same results as the entire single-person households. The entire connectivity indice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60s and older. dNL and dBC_PC commonly derive higher values as the number of links increases. That is,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urrently living in places where there are not enough park and green spaces. The value of dBC_IIC gets higher as the number of links is smaller and the patch size is large. This means that it is effective to create parks and green spaces with a certain size in core areas to enhance the connectivity of overall parks/green space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veral measures are suggested to strengthen the connectivity of green spaces in the short- and long-term. In the short term, parks and green spaces larger than certain size should be established in important core areas. In the long term, small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be created to enhance the role of nod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policies to improve the park accessibility considering the different age group. However, some limitations still exist while interpre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some neighborhood parks and children’s parks were excluded in the sample selected due to inaccurate park data. Second, the accessibility of liv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was derived by euclidean distance rather than using the network distance. Third,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di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distribu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age group of 60s and older. Fourth, i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parks/green spaces because parks and green spaces were derived by excluding mountain areas with the NDVI values. Finally, generalization issue needs to be further considered in the future study since the study area is limited to Incheon for this study. 최근 1인 가구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2019년에는 전체 가구의 30.2%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1인 가구의 증가 추세에 맞춰 지자체 차원에서 관련 정책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인천광역시의 경우 특별·광역시도 중 유일하게 1인 가구 지원조례가 제정되어 있지 않아 관련 정책이 미흡한 상황이다. 1인 가구는 일반적으로 다인 가구에 비해 거주지 선택에 있어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기에 이를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사회경제, 주택, 편의시설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해 공원이 안전한 공간으로 인식되면서 공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공원녹지의 생태적 연결성을 강화할 필요가 제기됨에 따라 공원녹지 요인에 초점을 맞췄다. 그렇기에 실제 공원을 이용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공원 접근성과 생태적 연결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공원녹지의 연결성 지수를 도출한 뒤 이들과 1인 가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접근성을 분석한 방법들은 대부분 현실적인 접근성을 도출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그리고 생태적 연결성을 파악할 수 있는 공원녹지 연결성 지수를 고려하여 이들과 1인 가구의 분포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하였다. 그렇기에 API를 활용해 계단, 횡단보도 등 실제 보행의 제약 요소들을 고려한 접근성을 도출하고, Conefor 2.6을 통해 도출된 연결성 지수를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주로 서울시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지역별 특성이 다르므로 유일하게 1인 가구 지원조례를 제정하지 않은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공원의 접근성, 공원녹지 연결성을 포함한 공원녹지 특성과 주택 특성, 지역 특성 등 3가지 특성의 23개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한 결과, 1인 가구의 분포와 관련해 공원녹지 특성의 dBC_IIC, 주택 특성의 아파트, 오피스텔, 85㎡ 이상, 지역 특성의 복지시설, 인구밀도 변수가 양(+)의 영향을 보였으며, 공원녹지 특성의 공원 접근성, dNL, dBC_PC, 주택 특성의 매매가격 변수가 음(-)의 영향을 보였다. 한편,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이는 변수 역시 파악하였는데, 공원의 접근성은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공원녹지의 연결성과 관련해 10~20대는 dBC_PC가 음(-)의 영향을, dBC_IIC가 양(+)의 영향을 보였다. 30~50대는 1인 가구 전체와 같은 결과를 보였고, 60대 이상은 어떠한 연결성 지수도 유의하지 않았다. dNL과 dBC_PC는 공통적으로 링크의 수가 많을수록 높게 도출되므로 현재 1인 가구는 공원녹지가 충분하지 않은 곳에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dBC_IIC는 링크의 수가 적고, 면적이 클수록 높게 도출되므로 공원녹지의 연결성에 있어서 중요한 핵심지역에 일정 규모 이상의 공원녹지를 조성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단기적인 측면과 중장기적인 측면에서의 연결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령대별로 밀집 지역 및 요인이 다른 만큼 지역의 인구학적 특성인 연령대를 고려한 생활밀착형 공원녹지 조성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공원 데이터의 경우 불명확한 내용이 존재해 일부 근린공원과 어린이공원을 제외하였으며, 지역 특성 변수 중 경찰관서, 복지시설 등은 단순한 직선거리를 고려하였기에 현실적인 접근성과는 거리가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60대 이상 1인 가구와 관련해 고려한 변수가 충분하지 못했으며, NDVI 결과를 활용해 공원녹지를 도출하였기에 실질적인 공원녹지를 연구에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만을 대상으로 하여 모든 1인 가구의 공간적 분포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 음폐수의 혐기성소화 상징액처리를 위한 생물막여과 장치의 처리특성 연구

        온광석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Different from other wastewater, the food wastewater's main feature is to possess high amount of moisture and salt. In general, it contains more than 80% of moisture, so provokes a stench during remover and transportation, moreover, it is difficult to handle and manage it in the follow-up and final processes, due to its fast corruption. High level of salt in the food wastewater i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causing waste water in feedstuff, compositing and resource recovery plants, since the washing processes for desalinization are required. Given the high concentration of salt in the wastewater, if it does not undergo the desalinization pretreatment by wash in water, it cannot be used as animal feed, because of salt concentration. And the salt concentration of compost is stipulated as 1%, by fertilizer management law In Korea, occurrences of high concentration of wastewater seem to be inevitable. Thus, about average 39% of food wastewater (wastewater discharged from food waste) occurs, compared with actual treatment amounts,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properly treat it with general treatment method, due to its high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SS, nitrogen and phosphorus. Although 65.9% of all wastewater were disposed into ocean, but it has been entirely prohibited, since 2011. In the past, the food wastewater was merely treated with ground reclamation. However, today, the resource recovery can be accomplished through feedstuff and compositing in terms of recycle of resources; 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effective reduction of organic matters as well as recovery of a large quantity of methane gas, in the process of anaerobic digestion. The domestic food wastewater process generally consists of crushing, selective dehydrate, the first precipitation, anaerobic digestion, centrifugation, DAF, biological treatment (floating bioreactor or MBR (membrane separation bioreactor) and activated carbon filtration. While the anaerobic digestion needs long reaction time, it is very difficult to treat aerotropism due to limit of oxygen transference, caused by very high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s, so the anaerobic digestion process is planned. In the existing treatment plants, the most problematic process is the biologic one involving reductions of microorganism activities caused by salt contents, nitrification, denitrification and its efficiency, due to low C/N of DBP, leading to higher T-N concentration of treatment water, because of low removal efficiency of T-N.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vailability of biofilter process, an alternative of previous MBR biological process, for treating the food wastewater undergoing anaerobic digestion process, centrifugation and DAF treatment. The biofilter process consists of lab-scale of three-stage laboratory equipments and is operated to remove nitrogen with aeration tank(one-stage) and anoxic reactor(two- and three-stage), and treatment characteristics is understood by reducing inflow(EBCT increase), in order to draw the optimum EBCT. The findings show that the removal rates of SS and turbidity on the whole operation condition for EBCT changes are very stable: each average rate is 89.6∼91.3% and 91.4∼92.3%, respectively. The average removal rate of COD increases up to 58.3∼84.4%,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EBCT, because as the duration of operation lapses, the biofilm is stably formed on the surfaces of pollutants, the EBCT increases, so the contact time of microorganisms also increases. The removal rate of BOD appears to be average 88.0∼98.7%, indicating that biological oxidative degradation stable occurs due to microorganisms attached and formed on the surface of pollutants. Average removal rate of the chromaticity is 60.14∼86.66%, with its inflow at 2,294∼2,750° and outflow 302∼1094°, and i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EBCT at operating conditions (1-4), but EBCT's influences on it are insignificant following average 77.26hr. In addition, the longer the residence time of NH4+-N, T-N, the higher the effects of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hus, it may be possible to resolve violations of water quality standard of total nitrogen in effluents, due to high nitrogen ingredient(ammoniacal nitrogen) which has been problematic in transference·combination process, if the food wastewater can be treated by associating with nearby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since the biological advanced treatment becomes available. 음폐수는 다른 폐기물과 달리 수분이 많고 염분을 지닌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80% 이상의 높은 수분량을 포함하고 있어 수거․운반 시에 악취를 유발시키며, 또한 빠른 부패 특성으로 인하여 후속처리 공정과 최종처분과정에서 취급 및 관리를 어렵게 한다. 음식물류폐기물의 높은 염분은 사료화와 퇴비화 등 자원화 시설에서 폐수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탈염을 위한 세척공정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이다. 음식물류 폐기물의 높은 염분농도를 감안할 때 수세에 의한 탈염 전처리를 거치지 않으면 건조사료의 경우 염분의 농축으로 인하여 동물사료로 이용이 불가능하며, 퇴비의 경우 국내 비료관리법에서 염분농도를 1%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고농도의 폐수 발생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음폐수(음식물류폐기물폐수)는 평균적으로 실 처리량 대비 약 39% 정도가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특히 유기물의 농도가 높고, SS, 질소, 인 등의 농도가 높아 일반폐수처리 방법 등으로는 적절히 처리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전체 발생량의 65.9%가 해양투기 되고 있는 실정이나, 2011년부터 전면 투기금지 되었다. 과거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단순히 육상매립에 의해 처분하였지만, 오늘날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사료화와 퇴비화를 통하여 자원화가 가능하며, 또한 혐기성 소화 처리 시 효과적인 유기물 감량화와 동시에 다량의 메탄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 음폐수처리공정은 일반적으로 파쇄, 선별탈수, 1차 침전, 혐기성소화, 원심분리, DAF, 생물학적 처리(부유상 생물반응조 또는 MBR(막분리 생물반응조), 활성탄여과로 구성된다. 혐기성 소화는 긴 반응시간을 필요로 하지만 유기물질 농도가 매우 높아 산소 이전의 제한 때문에 호기성 처리가 매우 어려우므로 혐기성 소화공정을 계획 한 것이다. 현재 기존 처리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공정은 생물학적인 처리공정으로 염분으로 인한 미생물 활성도 저하문제, 질산화와 탈질산화저하 그리고 유입원수의 낮은 C/N로 인한 탈질산화효율 감소 등의 문제로 T-N 제거효율이 낮아 처리수 T-N 농도가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소화공정, 원심분리, DAF 처리를 거친 음폐수 처리를 위해 기존 MBR 생물학적처리공정을 대체한 생물막여과공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이때 적용된 생물막여과공정은 lab-scale 규모의 실험장치를 3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질소제거를 위해 호기조(1단), 무산소조(2, 3단)으로 운전되었으며 최적의 EBCT를 도출하기 위해 유입유량을 감소(EBCT 증가)시키면서 처리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EBCT변화에 대해 전체 운전조건에서 SS와 탁도의 제거율은 각각 평균 89.6∼91.3%, 91.4∼92.3%로 매우 안정적인 제거율을 보였다. COD는 EBCT 증가에 따라 평균 58.3∼84.4%로 제거율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운전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재표면에 생물막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EBCT가 증가하면서 미생물 접촉시간 증가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BOD 제거율은 여재표면에 부착형성된 미생물에 의해 생물학적 산화분해가 안정적으로 일어나 평균 88.0∼98.7%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2,294∼2,750°로 유입되어 302∼1094°로 유출되어 평균 60.14∼86.66%로 제거되었으며, 운전조건 (1∼4)에서 평균 색도제거율은 EBCT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평균 77.26hr 이후에는 색도제거에 대한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H4+-N, T-N은 체류시간이 증가 할수록 질산화와 탈질산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생물학적 고도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인근 공공하수처리장과 연계처리를 할 경우 현재까지 이송·병합처리에서 문제가 되었던 높은 질소성분(암모니아성질소)으로 인한 방류수수질이 총질소 수질기준 초과 현상을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수술후 안정화 운동이 체중분배, 신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주영재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31

        국문초록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수술 후 안정화 운동이 체중분배, 신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주 영 재 본 연구는 안정화 운동프로그램과 걷기 운동프로그램이 체중분배, 신근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요추간판 탈출증 진단을 받고 수술경험이 있는 성인여성 30명을 선정하였다. 피험자를 안정화운동프로그램과 걷기 운동프로그램 집단에 무선 배정하고 12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운동 전·후의 결과는 첫째, 체중분배에서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걷기 운동프로그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신근력에서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걷기 운동프로그램보다 모든 각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차이가 가장 큰 각도는 0°이다. 셋째, 신체구성에서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걷기 운동프로그램보다 제지방량, 체지방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좌·우 하지균형의 차이는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걷기 운동프로그램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걷기 운동프로그램보다 추간판 탈출증 수술한 환자들에게 체중분배와 신근력 및 신체구성에 보다 효과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산업재해 장애인의 특수재활 교육을 위한 사용 도구디자인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중심으로

        이현정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urvey (2019), the number of deaths from industrial accidents decreased by 0.4 percent year-on-year, but the number of fatalities increased by 8.5 percent year-on-year. This indicates that the death rate has decreased due to the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but the number of people suffering from lifelong disabilities such as accidents and industrial accidents is increasing. People with moderate disabilities who suffer from acquired disabilitie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may feel depressed due to self-reliant living restrictions, anxiety about returning to society, and hopelessness to live with disabilitie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In order for people with industrial accidents to regain their motivation for life and restore their confidence, multidirectional treatment such as mental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social vocational education is needed. This study is aimed at improving the mouse design of wooden design classrooms and computer classrooms, which show high inconvenience in tools used for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on rehabilitation and disability, the research method reconstructed the five principles of fairness, manipulation intuition, convenience, safety, and aesthetics for universal design grafts, and proposed training tool design through a User Coded Design (UCD) process. The questions in the survey for design derivation and user opinion survey consisted of seven inconveniences and nine design improvements for tool use through interviews with special rehabilitation teachers, and were based on a five-point scale for writers to easily understand and answer the survey. As a survey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27,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objectively interpreted through interviews with trainees in special rehabilitation wooden classes and computer classroom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oposed a tool design used in training and conducted a Product Performance Program (PPP) evaluation based on the five principles reconstructed in this paper to demonstrate objective universal design achievement for improving the use tool design. The study found that physically constrained industrial disabled people generally have difficulty using distributed tools reliably in special rehabilitation training, and that they cannot use the tools in the right posture. The results of a survey of 80 special rehabilitation trainees to improve tools are linked to related items of form, exercise, and sensory discomfort and design improvement elements. The inconvenience of usability (motor factors) in group A of wooden classrooms classified based 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Disability Assessment Criteria can be linked to safety (motor factors) and intuition (motor factors), and inconvenience (motor factors) can be linked to convenience (motor factors). The inconvenience of lack of consideration (motor elements) in Group C can be proposed by linking the improvement factors, intuition (motor factors) and convenience (motor factors). Slippiness (sensory factors) of a tool can be linked to physical strain and injury, thus improving safety (motor factors). The inconvenience of Group A's feeling (morphological factors) and lack of consideration (motor factors) in computer classrooms can be linked to convenience (motor factors), which is an improvement factor, and usability (motor factors) to intuition (motor factors). The discomfort with Group B's usability (motor factors) can be linked to the improvement factors convenience (motor factors) and aesthetic (morphological factors), and the discomfort with coldness (sensory factors) can be linked to the material (sensory factors). The direction of design improvement, which combines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 elements of the product, is to relieve the physical burden, make up for various forms of disability and physical discomfort without complications in use. In order to evaluate the achievement of universal design of tools designed through research, the PPP evaluation conducted on two special rehabilitation teachers and 20 trainees (10 trainees in each classroom with high disability discomfort) showed high scores in convenience (4.93), safety (4.73) and mouse intuition (4.87). This confirmed that educational use tools were improved to design in compliance with universal principles, and based on this study, guidelines were presented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assistive tools for the disabled so that they can be used for research on assistive tools for the disabl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medical rehabilitation and special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with industrial accidents and accelerate their return to society by increasing the rehabilitation effect of industrial accidents through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고용노동부 조사(2019)에 따르면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 수는 전년 대비 0.4% 감소하였지만, 재해자 수는 전년 대비 8.5% 증가하였다. 이는 의료기술 발달로 인한 수명 연장으로 사망률은 감소하였지만, 각종 사고나 산업재해 등으로 평생의 장애를 앓고 살아가야 하는 인구는 증가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산업재해로 후천적 장애를 얻게 되는 중도장애인은 자립적 생활 제약에 따른 우울증, 사회 복귀에 대한 불안감, 장애를 평생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는 막막함을 느끼며 치료 종결에 대한 두려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산업재해 장애인이 다시 삶의 의욕을 되찾고 자신감 회복을 위해서는 정신적·심리적 치료, 사회 직업 교육 등 다 방향 치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인천 소재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특수재활의 산업재해(이하 산재)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인 전문 직업 교육에 사용되는 도구의 불편도가 높게 나타난 목조형 디자인 교실의 조각칼과 컴퓨터 교실의 마우스 디자인 개선을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재활 및 장애에 대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접목을 위해 공평성, 조작의 직관성, 편리성, 안전성, 심미성의 5원칙을 재구성하였으며 UCD(User Cetered Design) 프로세스를 통해 교육사용 도구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디자인 도출과 사용자 의견 조사를 위한 설문조사의 문항은 특수재활 교사 인터뷰를 통해 도구 사용에 대한 불편요소 7문항과 디자인 개선요소 9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작성자가 본 설문 내용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답변할 수 있도록 리커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설문조사 분석방법으로는 SPSS 통계 프로그램 27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고 특수재활 목조형 디자인 교실, 컴퓨터 교실 교육생 인터뷰를 통해 분석 결과를 객관적으로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에 사용되는 도구디자인을 제안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재구성한 5원칙을 바탕으로 PPP(Product Performance Program) 평가를 시행하여 사용 도구디자인 개선에 대한 객관적인 유니버설디자인 달성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사된 바로는 신체 제약이 있는 산재 장애인이 특수재활 교육에서 요구하는 기술 수행에 있어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도구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올바른 자세로 도구를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신체의 부담감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으며 도구 일부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치며 늘 안전과 사용성에 대한 미흡함이 따른다. 도구의 개선을 위해 특수재활 교육생 8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형태적, 운동적, 감각적 불편요소와 디자인 개선요소의 관련 항목끼리 연계하면 다음과 같다. 보건복지부 「장애 정도 판정 기준」을 바탕으로 분류된 목조형 교실의 A그룹에서 느끼는 사용성(운동적 요소)의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안전성(운동적 요소)과 직관성(운동적 요소)과 연계하고, 배려부족(운동적 요소)에 대한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편리성(운동적 요소)과 심미성(형태적 요소)을 연계할 수 있다. C그룹에서 느끼는 배려부족(운동적 요소)에 대한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직관성(운동적 요소)과 편리성(운동적 요소)을 연계하여 디자인을 제안할 수 있다. 도구의 미끄러움(감각적 요소)은 신체의 부담과 상해로 연결될 수 있기에 개선요소인 안전성(운동적 요소)과 연계할 수 있다. 컴퓨터 교실의 A그룹의 느끼는 크기(형태적 요소)와 배려부족(운동적 요소)에 대한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편리성(운동적 요소)과 연계하고, 사용성(운동적 요소)에 대한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직관성(운동적 요소)과 연계 할 수 있다. B그룹의 사용성(운동적 요소)에 대한 불편함은 개선요소인 편리성(운동적 요소)과 심미성(형태적 요소)과 연계하고, 차가움(감각적 요소)에 대한 불편도는 개선요소의 소재(감각적 요소)와 연계할 수 있다. 조사 내용과 제품의 요소 간 연계성을 종합한 디자인 개선 방향은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사용에 복잡함이 없으며 다양한 장애 형태와 신체 불편도를 보완하는 것이다. 조사 연구를 통해 디자인된 도구의 유니버설디자인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특수재활 교사 2명과 교육생 20명(장애 불편도가 높은 각 교실의 10명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PPP 평가를 진행한 결과 조각칼은 편리성(4.93), 안전성(4.73), 마우스는 안전성(5.00)과 조작의 직관성(4.87)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로써 교육사용 도구가 유니버설 원칙에 부합한 디자인으로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장애인 보조도구와 관련된 연구를 위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장애인을 위한 보조도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활 치료의 한 분야로써 산재 장애인의 의료재활과 특수재활 교육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사고 후 꾸준한 재활 치료 및 전문 직업 교육을 통해 산재 환자의 재활 효과를 높여 사회 복귀를 가속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인천 차이나타운 관광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관광객과 중국관광객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입함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관광객의 인천 차이나타운에 대한 관광만족도를 알아봄으로써, 한국과 중국 관광객의 어떤 요인들이 관광만족도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인천 차이나타운 관광객의 개인특성을 고려하여 선행변수로 하였다. 중국관광객의 인바운드관광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가치를 가진 젊은 층의 관광트랜드를 흡입하여 향후, 지속적인 한·중 관광객에게 새로운 관광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객기반의 경쟁우위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관광인프라와 관광서비스 두 가지 차원에서 변수들을 구분하여 관광객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관광인프라는 관광활동인프라, 기본인프라로 구성하였으며 관광서비스는 인적서비스, 정보서비스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관광객은 인적서비스가, 중국관광객은 정보서비스가 관광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인천 차이나타운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광인프라에 대한 추가적인 개발이 필요하며, 한국관광객에 대해서는 인적서비스의 개선, 중국관광객에게 정보서비스의 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to affect Korean and Chinese tourism satisfaction in Incheon Chinatown. Namely, by showing the tourism satisfaction of Korean and Chinese to examine which factors affecting tourism satisfaction each of both. With the number of Korean and Chinese tourists increasing continually, it is necessary for Incheon Chinatown to provide better sightseeing tourists facilities and service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petitiveness and attract more young tourists. This paper aims at describing correlation of tourist satisfaction in respect to tourism infrastructure and tourism service. Tourism infrastructure has sub factor of foundation infrastructure and tourism activity infrastructure. Tourism service was divided into two sub factors, human service and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proceed this study, Korean students and Chinese students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who visited Incheon Chinatown have been investigated.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have also been conducted by SPSS18.0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ourism infrastructure affected the tourism satisfaction of two countries tourists. Second, human service affected Korean tourism satisfaction but not to Chinese. Third, information service affected Chinese tourism satisfaction but not to Korean. In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Incheon's Chinatown, it is necessary to expand diverse facilities; tourism resources, convenient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Related-agencies should provide Korean tourists with high quality human service and China tourists with a variety of mobile service to gather information.

      • CI컬러를 적용한 컬러마케팅의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강태환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31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Maketing on Brand Awareness,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the Products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ocused on Smartphone- In the present society, technological differences between products have been reduced due to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has intensified as products are capable of mass production. This change in the environment has increased consumers' emotional needs, and companies need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s a way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Companies competed in perception rather than technological competition for products as a way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other brand products, and color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recognition.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color marketing is now being highlighted in smartphone brands where technology is important in addition to products such as fashion and jewelry where design is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when color marketing with CI color is applied to smartphone brands where technology is important, we looked at how identification, symbolism, association, and focus of color marketing are relatively different in terms of brand recognition,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In addition, color marketing refers to marketing that uses color functions by utilizing colors that represent brands, and we looked for differences in effect when applying CI color, which is a color that represents the brand, and other colors than CI. For three weeks from November 24, 2020 to December 15, 2020,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120 university students(postgraduate) and graduates of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n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103 people, excluding 17 who did not respond. Analysis methods for research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color marketing was done by Samsung and Apple smartphone brands, it was found that only the focus of color marketing characteristics such as identification, symbolism, association, and attention had a low impact or no effectively on brand recognition. Through this, we found that color marketing of Samsung and Apple smartphone brands is not effective in raising brand awareness. Second, when color marketing was done by Samsung and Apple smartphone brands, attention was shown to have the most impact on brand attitud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marketing. Through this, we found that the focus has a lot of influence on Samsung and Apple's smartphone brands to form a positive brand attitude. Third, when color marketing is done by Samsung and Apple's smartphone brands, only atten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marketing is shown to affect the intention of purchasing. Through this, we found that focu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Samsung and Apple's smartphone brands. Fourth, when color marketing is done by Samsung and Apple smartphone brand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effect of color marketing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s and purchasing intentions. Fifth, In the case of Samsung smartphone brands, color marketing that does not apply CI color is effective, and in the case of Apple smartphone brands, color marketing that applies CI color is effective.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based on smartphone brands, CI color marketing has an effective smartphone brand and it is effective to not apply CI col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s a way to have competitive advantage in competition among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decide color marketing through whether or not CI color is applied according to brand and to consider ways to increase the attent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market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Samsung and Apple's smartphone brands are familiar smartphone brands. The impact of color marketing on brand recognition cannot be seen as a result of color marketing of smartphones. The study is conducted for college students a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nd graduates in their 20s and 30s, and thus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samples of all age group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needs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color marketing in various areas. Keywords: Color Marketing Characteristics, identification, symbolism, association, Focus CI컬러를 적용한 컬러마케팅의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제품 간의 기술적 차이가 줄어들었고 제품은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면서 기업 간의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가 높아졌고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방법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기업에서는 다른 브랜드 제품과 차별화를 위한 방법으로 제품의 기술적 경쟁보다 인식경쟁을 하였고 컬러는 인식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 컬러마케팅은 디자인이 중요한 패션, 쥬얼리 등의 제품 브랜드 외에도 기술적 부분이 중요한 스마트폰 제품 브랜드에서도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부분이 중요한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CI컬러를 적용한 컬러마케팅을 하였을 때 컬러마케팅의 특성인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 컬러마케팅의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컬러마케팅이란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컬러를 활용함으로써 컬러의 기능을 구사하는 마케팅을 말하는데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컬러인 CI컬러를 적용한 경우와 CI이외컬러를 적용한 경우 효과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0년 11월 24일부터 2020년 12월 15일까지 3주간 인천대학교 대학생(대학원생) 및 졸업자를 대상으로 120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였고 응답하지 않은 17명을 제외한 103명의 설문을 활용하여 최종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과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컬러마케팅을 하였을 때 컬러마케팅의 특성인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 중에서 주목성만 브랜드 인지도에 낮은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두 번째,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컬러마케팅을 하였을 때 컬러마케팅의 특성 중에서 주목성이 브랜드 태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긍정적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 주목성이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세 번째,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컬러마케팅을 하였을 때 컬러마케팅의 특성 중에서 주목성만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구매의도를 높이는데 주목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네 번째,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에서 컬러마케팅을 할 때 컬러마케팅의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삼성 스마트폰 브랜드의 경우 CI컬러를 적용하지 않은 컬러마케팅이 효과적이고,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의 경우 CI컬러를 적용한 컬러마케팅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폰 브랜드에 따라서 CI컬러를 적용한 컬러마케팅이 효과적인 스마트폰 브랜드가 있고 CI컬러를 적용하지 않는 것이 효과적인 스마트폰 브랜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기업 간의 경쟁에서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한 방법으로는 브랜드에 따라서 CI컬러 적용유무를 통한 컬러마케팅을 결정하고 컬러마케팅의 특성 중에서 주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 봐야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브랜드는 친숙한 스마트폰 브랜드로 컬러마케팅의 특성이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가 스마트폰 브랜드의 컬러마케팅 효과로 보기 어렵고, 인천대학교 대학생(대학원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20대와 30대가 가장 많기 때문에 모든 연령의 표본을 대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컬러마케팅의 중요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주제어: 컬러마케팅의 특성,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