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치보철사업에 따른 구강건조증 및 구취발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상숙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생활 수준향상 및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구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는 열악한 수준이고 노인의료비는 급증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치아의 결손으로 음식물 섭취가 곤란한 저소득층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치보철을 보급하여 구강기능회복에 기여하고 건강생활을 영위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의치장착에 따른 노인들의 구강건조증과 의치세척이나 잇솔질등 구강위생관리 능력의 부족으로 구취의 증상을 많이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의치장착 노인들의 의치장착 전,후의 타액량조사와 구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고 의치보철에 따른 구강건조증과 구취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향후 노인구강보건사업의 정책반영에 기여하고 의치장착자에 대한 구강위생관리에 도움을 주기위한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남구에 거주하고 있으며 2006년 1월에서 2009년 12월 사이에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의치보철사업으로 의치보철을 장착한 65세이상 노인 57명(남자 14명, 여자 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대상자에 대하여 개별 전화 통화를 실시하여 보건소 내소 1-2시간 전에 의치를 빼서 의치통에 담아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보건소 내소토록 하고 보건소 도착한 후에는 순서되로 번호표를 배부 후 1차 타액량 조사와 구취 측정을 실시하였다. 1차 타액량 조사와 구취 측정을 완료한 즉시 의치를 의치통에서 꺼낸 후 바로 구강에 장착하게 하였으며 의치장착 1-2시간동안 개별면담법에 의한 설문조사와 함께 구강내 현존하는 잔존치수를 조사하였다.&nbsp;의치장착 후 1-2시간이 경과하여 다시 순번대로 2차 타액검사 와 구취 측정을 1차와 동일한 방법으로 재차 실시하여 측정치를 기록하는 순서로 조사되었다. 자료분석은 조사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Excel 통합문서에 입력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였으며 SPSS 17.0을 이용하여 의치장착 전후의 구강건조와 구취의 비교차이를 대응표본의 t-검정을 실시하였고 의치장착 전후의 구강건조, 구취 측정치간의 상관관계를 피어슨(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의치 장착 전후의 구강건조 상태는 설배나 설하 모두에서 의치 장착 전에 비하여 의치장착 후에는 구강이 더욱 건조해 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기에(설배, p<0.05,&nbsp; 설하 p<0.01 ) 의치 공급 시 구강건조 예방 교육을 필히 하도록 함이 권장되며, 의치 장착 전·후의 구취는 의치 사용 전에는51.82±20.58ppb로 나타났으나 의치 사용 후에는 58.98±18.78ppb 로 나타나서 의치사용 후 구취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의치공급사업 시 구취 예방 교육과 훈련도 필히 개발 운영함이 권장되었고 구강건조 상태와 구취 상태에 대한 상관성은 설배나 설하의 의치 장착 전·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으로부터, 이제까지 보건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전국 보건소를 통한 저소득층 노인에게 무료 의치 공급 사업에 주력하여 왔던 "노인의치보철사업" 을 "노인의치보철 및 적응 교육 훈련 사업"으로 그 내용을 전환하는 보건정책이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른 예산과 행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유튜브(YouTube) 이용동기에 대한 장년층과 청년층 간 상호 인식 차이 연구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이상숙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튜브(YouTube) 이용하는 동기에 대한 장년층과 청년층 사이의 상호 이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세대는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통해 각기 다른 가치관이 형성되고 이는 세대 갈등을 유발하는 한 원인이라고 여겨져왔다. 하지만 최근 뉴 미디어의 한 유형인 유튜브를 청년층보다 장년층이 더 많이 사용하는 사회적 현상이 나타났고, 세대 갈등의 완화가 시작된 것인지 확인하고자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서로 다른 세대 간의 인식 차이가 줄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 일치도,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이용동기에 대해 장년층과 청년층의 객관적 일치도에서는 일치성 보다는 불일치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집단 간의 유튜브 이용동기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나타낸다. 둘째, 주관적 일치도 측면에서 또한 불일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은 서로 다른 동기로 유튜브를 이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정확도에서도 상대에 대한 예측과 실제 동기와의 비교를 통한 일치성 보다는 불일치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관계추구 동기에서 큰 인식 차이가 나타났다. 두 집단은 유튜브를 이용하는 동기로써 대인관계를 지속하기 위함이라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정 반대의 결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서로에 대한 오해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장년층과 청년층은 각기 다른 가치관을 기반으로 유튜브를 이용하고 있으며, 표면적으로 세대 갈등을 해결되고 있는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는 본연의 가치관에는 변동이 없이 유튜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각 세대는 스스로의 주류 미디어를 이용하는 방식을 유튜브에서도 동일하게 이용하는 것이므로, 유튜브를 통해 세대 통합 및 갈등 해결이 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영월 Y파크를 중심으로

        이상숙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영월 Y파크를 중심으로- 이 상 숙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전공 본 연구는 영월군의 Y파크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적 재생을 위해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사회적 자본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공적인 유휴공간의 재생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월 Y파크를 1회 이상 방문 경험이 있는 영월군민을 대상으로 구조화한 설문지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적 재생요인의 세부요인은 문화조성시설, 문화이벤트, 지역커뮤니티로 설정하고 사회적 자본의 세부요인은 신뢰, 참여, 네트워크로 하였다. 문화적 재생요인과, 사회적 자본과 상호작용을 통해 궁극적으로 종속변수인 주민만족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재생요인 중 문화이벤트나 지역커뮤니티보다 문화조성시설이 주민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재생을 실현하는 장소와 공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장소의 혁신을 바탕으로 문화이벤트와 지역의 문화커뮤니티가 양성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유휴공간은 발생 원인에 따라 유형이 다양하기 때문에 창조적 공간 창출의 구상 방안도 장소성과 부합되어야 한다. 둘째, 문화적 재생요인 중 문화이벤트는 참여와 신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축제의 기획과 참여는 구성원간의 신뢰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지역커뮤니티는 신뢰와 네트워크에는 영향을 주고 있으나, 참여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가와 지역 주민을 연계할 수 있는 체험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되 단순한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이며 현실성 있는 프로그램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문화적 재생이 주민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유휴공간의 재생사업 추진 시 문화조성시설에 대한 문화재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창의적인 공간 창출에 집중하고 사회적 자본과 같은 무형의 자산도 고려한 종합적인 사업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ultural Regeneration on Social Capital and Residents’ Satisfaction of Unused Area: Y-Park Project in Yeongwol-gun Lee, Sang-Suk Department of Real Estate,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 and Public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to disentangle whether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have meaningful effects on social capital and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in the case of Y-park in Yeongwol-gun as a successful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of unused area. For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Yeongwol Y Park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Yeongwol-gun residents who have visited it more than once. The detailed factors of cultural regeneration were set up as cultural creation facilities, cultural events, and local communities, while the detailed factors of social capital were established as trust, participation, and network. The impacts on the dependent variable, residents‘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factor and social ca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cultural cre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have more positive impacts on the satisfaction of residents rather than cultural events and local communiti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laces and spaces that realize cultural heritage.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for cultural events and local cultural communities based on innovation in places. Since the types of unused areas var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ir occurrence, the idea of creative space creation should also be consistent with placeability. Second, cultural events among cultural regeneration factors have been confirmed to affect participation and trust. It can be seen that the planning and participating the festival i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of reliability among members.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local communities are affecting trust and networks, but not participation. We need to operate experience programs and cultural programs but it is necessary to operate continuous and realistic program that can link artists with local residents so that they do not end up as a simple one-off event. This study found that cultural regeneration of unused area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s' satisfaction. It is needed when promoting the regeneration business of unused area that comprehensive business approach that focuses on creative space and intangible assets such as social capital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ultural regeneration on unused area regeneration projects. Keywords: Urban Regeneration, Unused Area, Cultural Asset, Cultural Regeneration, Social Capital, Resident Satisfaction

      • 요양기관 입원 노인환자들의 간호서비스 만족도

        이상숙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draw basic data for offering high quality nursing services and to provide nursing services satisfying patients by examining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of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senior care facilities. It selected 150 elderly patients over 60 years old and hospitalized in the regional senior care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from June 10 to 30, 2008. It interviewed those subjects using questionnaires. As for research tools, it used 36 items in questionnaire which was revised and reconstructed tools in the preliminary study of Yang Eun-jin (2002), Choi Eun-joo (2007), and Kim Kwang-yeon (2004). Then, data was collected. To analyze the data, it used the SPSS program and performed error,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1) I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in nursing service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religion, marital status, residing family and monthly income. For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by areas, physical nursing service is their most satisfied service, followed by nursing and emotional services, and educational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is relatively lowest. 2) In the analysis of facility service satisfactionin the senior care facilit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at, i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the elderly patients werehospitalized three times for internal treatment, and that, by health status, they are unhealthy and mostly with attendants by their side, and their hospitalization is longer than 6 months. With regard to facility service satisfaction, patients are pleased with cleaned conditions of patient's gown and bed, followed by appropriate room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easy access to bathroom, and cleaned condition of the ward. They are not satisfied with parking facility, followed by exercise facility, and laundry facility. 3)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and facility service satisfaction in the senior care facilities, it 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satisfaction and age and hospitalized period. As the result, physical nursing satisfaction had correlation with age (r=.464), hospitalized period (r=.346), emotional nursing satisfaction (r=.752), educational nursing satisfaction (r=.529),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r=.687) and facility satisfaction (r=.458).Emotional nursing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r=.596) and hospitalized period (r=.458). Satisfaction in educational nursing, nursing, and facilities als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4)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 patient's satisfaction in nursing service, factors influencing on physical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re age (ββ=.290) and marital status (ββ=-.179). In other words, as the patient is getting older, he or she is satisfied with physical nursing service more and more, and having a spouse nega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emotional nursing satisfaction are sex (ββ=.210) and age (ββ=.460). Namely, the male and older patient is more pleased with the services. Factors on educational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re age (ββ=.327) and education level (ββ=-.288). In other words, the older patient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is satisfied more. Factors o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are age (ββ=.390) and hospitalized period (ββ=.328). The older patient with longer hospitalization is pleased with nursing services. In 4 kinds of subordinate nursing services satisfaction, the common influencing factor is age.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s the patient is older, he or she is positively satisfied with overall nursing service. 이 연구는 요양기관에 입원한 노인환자들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도출하고 환자들이 만족 할 수 있는 간호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 일부 요양기관에 입원중인 60세 이상의 연령층 150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8년 6월 10일부터 30일 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방문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양은진(2002)과 최은주(2007), 김광연(2004)의 선행연구에서 수정. 보완한 도구 36개 문항으로 재구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노인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의 만족도 분석에서 노인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적서비스의 만족도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종교, 결혼상태, 동거가족, 월수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각 영역별 간호서비스의 만족도에서 신체적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고, 간호적, 정서적 간호서비스 순이며, 교육적 간호서비스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다. 2) 노인환자들이 입원하고 있는 요양기관의 시설서비스 만족도 분석에서 건강관련특성으로 입원 횟수가 3회에서, 입원과가 내과 일 때, 건강상태별에서 건강하지 못한 그룹에서, 수발자와 같이 있는 편일 때, 입원기간이 6개월 이상 일 때 집단 간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병원시설 만족도에서는 환자복과 침구의 청결상태, 적정한 병실 온도(냉방 및 난방), 화장실 이용의 편리성, 병실의 청결상태 순이었고, 반대로 만족도가 낮은 것은 주차시설, 운동시설, 세탁시설 순으로 나타난다. 3) 노인환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간호서비스의 만족도, 시설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연령, 입원기간과 각 만족도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간호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연령(r=.464), 입원기간(r=.346), 정서적간호만족도(r=.752), 교육적간호만족도(r=.529), 간호적간호만족도(r=.687), 시설만족도(r=.458)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 정서적간호만족도는 연령(r=.596), 입원기간(r=.458)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다른 하위 만족도들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교육적간호만족도와 간호적간호만족도, 시설만족도는 다른 요인들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4) 노인환자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로 신체적 간호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β=.290), 결혼상태(β=-.179)이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신체적 간호만족도가 높으며, 배우자가 있는 것이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서적 간호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β=.210), 연령(β=.460)이다. 즉 남자일수록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고, 연령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다. 교육적 간호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β=.327), 교육(β=-.288)정도이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다. 간호적 간호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β=.390), 입원기간(β=.328)이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입원기간이 길수록 간호적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간호만족도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4개의 하위 간호서비스 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이 연령이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전체적인 간호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 중학교 기술 · 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의 내용분석

        이상숙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about the career education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All 10 types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tudy, “Construction of Objective and Content Criteria for Career Education in Korea” suggested the purpose and content of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which is analyzed with Delphi method. This was based on the selected as the basic framework for this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comparison standard, the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puts emphasis on certain areas. None of 10 textbooks cover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planning” areas. On the other hand, “work-based learning” is the most covered area. Second, the content of career education in ten type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turned out to be similar in those textbooks. Third, each textbook places different weight on the component of career education covered in each chapter. From the above results, in order to vitalize career education through Technology ․ Home Economics class in middle school,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s. First, teachers should develop reliable and available teaching plans(guidances) related to authentic career areas after thorough understanding with possibilities of the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 ․ Home Economics. Second,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types of occupational guidance materials as additional illustrative instances to help learners to meet their goals when teachers instruct students on career education with textbooks.

      • 욕망을 상징하는 주거공간에 관한 회화 연구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상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inner world of self was to be reinterpreted through the desire expressed and the image of the inner world of the space was destroyed in the painting of the residential space expressing desire. To this end, based on the theory of Lacan and Fromm, the subject's desire was approached with a wider range of thinking, and the mental image expressed in the work was analyzed through the formative interpretation of Benjamin's allegory theory. The residential space has not only the safety of the family and the function of a shelter, but also the place of a small universe in which it is expressed and expands the life of existence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However, as the materialistic age of capitalism enters its age, housing forms are being packaged with a variety of functionalities, and are becoming an object of expanding the possessive desire that makes them obsess by providing attractive benefits. Therefore, housing space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value of residence to the value of goods, thus promoting material desire. We are expressing our desire by encouraging constant consumption in the society's atmosphere where collective consciousness is dominated by individuals, being absorbed as members of modern society. This desire has been extended and changed into various forms, and has been continuously chosen as the subject of painting. It reflects the secular desire of human beings, who have evolved into social animals, to gain compensation by acquiring material desires and social desires. In addition, human social and material desires are the recurring processes of overcoming in human life, and can also cause them to wander in search of objects. In this study, the vertically expressed space and plane divisio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was symbolized by different colors as an extension of desire. In addition, the popular sofa tried to express the loneliness and lonelines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shape that emptied the inner psychological image with an allegorical expression technique. The plant in the vase, in particular, represents a temporary property of desire, and the latter work, in which the plant disappeared, shows an attitude toward the life of the self that defends the conflict coming from the outside world and embraces it with the right desire. Thus, in this study, works are presented as images that are repeated in the reduction and extension of desire. These processes are expected to further emphasize symbolic expression, material selection and subject content amid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grounds, forming the basis of the senses in future work activities. In addition, the desire expressed in the painting of residential space represents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and unconscious thinking, which causes the placement of various modelling elements. The mental image expressed in the course of the work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lf-provides and a beginning for creative work. 본 연구에서는 욕망을 표현한 주거공간의 회화 속에서 공간에 관한 심상적 이미지를 파악하고, 표출된 욕망을 통해 자아의 내면세계의 모습을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라캉과 프롬의 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주체의 욕망을 보다 폭넓은 사고로 접근하며 벤야민의 알레고리이론으로 조형적 해석을 통해 작품에 표현된 심상적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주거공간은 가족의 안위와 쉼터의 기능뿐 아니라 자신이 표현되고 존재의 삶과 타인과의 관계를 확장시키는 작은 우주의 장소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물질 만능시대로 접어들면서 주거의 형태는 다양한 기능성으로 포장되고 있고, 매혹적인 편익성을 제공하여 집착하게 하는 소유 욕망을 확장하는 대상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주거공간은 거주의 가치에서 상품의 가치로 변모되어 물질적 욕망을 촉진시키고 있다. 우리는 현대사회의 구성원으로 흡수되어 개인보다는 집단의식이 주도를 이루는 사회의 풍속에서 끊임없는 소비를 부추기며 욕망을 표출하고 있다. 이러한 욕망은 다양한 모습으로 확장되고 변화되어 회화의 소재로서 지속적으로 선택되어 왔다. 그것은 사회적 동물로 진화되어온 인간은 물질적 욕망과 사회적 욕망 등을 획득해 보상을 얻으려는 세속적 욕망을 반영한다. 또한 인간의 사회적 욕망과 물질적 욕망은 인간의 생에서 극복과정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며, 대상을 찾아 헤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ⅰ 본 연구에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수직으로 표현된 공간 및 평면 분할은 색채를 달리하여 욕망의 확장된 모습으로 상징되었다. 또한 대중적인 소파는 알레고리적 표현기법으로 내면의 심리적 이미지를 비워있는 형상을 통해 현대인의 고독과 쓸쓸함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화병 속의 식물은 욕망의 한시적 속성을 보여주며 무상함을 의미하고, 식물이 사라진 후기 작품은 외부세계로부터 오는 충돌을 방어하며 올바른 욕망으로 수용하는 자아의 삶에 대한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작품들은 욕망의 축소와 확장이 반복된 이미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그 경계에 머물고 있는 나의 내면세계와 자아 정체성의 상징으로 일상 속의 대중적인 의미를 함유하고 있는 소파를 통해 재구성되고 평면 속에 상징적인 서술 공간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차용된 조형 요소들은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상징적 의미와 결합시켜 소외된 주체의 욕망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은 미학적 근거의 전개 속에 상징적 표현과 소재선택, 주제 내용을 더욱 강조하여 앞으로의 작품 활동에 감각의 토대를 형성해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거공간의 회화 속에서 표현된 욕망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무의식적 사고를 대변한 것으로 여러 조형 요소를 배치하게 만들어 준다. 그 작업과정 속에서 표현된 심상적 이미지는 자아성찰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창조적 작업의 단초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전주국제영화제의 활성화 방안

        이상숙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elf-governing bodies respectively are making their efforts to activate regional economy through a cultural image industry known as a high value-added industry.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unctions as an urban cultural event. A film festival functions as a subject of the film festival when civilians and local cities are linked each other by participating in the festival as volunteers or spectators.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epares for the 10th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fter completing the 9th festival, which began in 2000 to develop national cultural level and film industry, secure cultural entity, and develop Jeonju-si into a cultural commodity.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to a regional festival as well as at finding away to inform Jeonju of the world markets. This study performed precedent works of analyzing systematically various materials and theses published by related organizations and academic associations, periodical journals published by self-governing bodies, and professional books published in our countries. Basing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made 「questionnaires on the 9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performed an interview investigation on the system of and satisfaction wi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argeting on participants(except tourists, regional inhabitants) in the film festival from May 1th to May 9th, 2008 when the 9th Jeonju International Festival was held. This study leaded to the way to activate Jeonju Internal Film Festival summarized as bellow. This study drew out three factors; film festival system factor, Jeonju tourism infrastructure factor, and film view factor, targeting on the viewers of the 9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irst, as for the film festival system satisfaction, seven factors were drawn out; 'precedent publication', 'information facility', 'guide', 'work level', 'subsidiary event', 'participant event, and 'ticketing system'. The 'precedent public relation' factor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nd 'information facility' factor satisfaction was the lowest. Second, as for the Jeonju tourism infrastructure satisfaction, three factors were drawn out; 'food price', 'food kind', and 'lodging facility'. The 'food price' factor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and 'lodging facility' satisfaction was the lowest. Third, as for the film view infrastructure satisfaction, three factors were drawn out; 'approach', 'show schedule', and 'view charge'. There were the most affirmative responses and negative responses on 'approach' factor satisfaction. General analysis of the study says three problems in Jeonju Internal Film Festival. First, the absence of business model brings about excessive dependence on the self-governing body because of insufficient film festival assets. Second, the participant ratio of the other provincial tourists is low. The ratio of Jeonju-si and Wanju-gun inhabitants(Jeonju living area) participating in the 9th Jeonju Internal Festival was 36.1%, more than 1/3 of all participants. Though Jeonju Film Festival carries the banner for internal film festival, the distribution of viewers doesn't transcend regional limitation. Third, the identity of independent counterproposal art with whic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tarts leads to confusion, even though the festival expresses its slogan, 'liberty', 'dependence', and 'community'. Fourth, tourism system is insufficient. Important hotels are Libera Hotel, Core Hotel, and Tourism Hotel. Furthermore, there are only 10 lodging facilities located at Film Street where theaters are located. The lodging charges of the lodging facilities were expensive for the season of Film Festival Various efforts have to be made to solve the problems. First,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Jeonju International Festival is low and Jeonju International Festival should secure the business model to get financial resources. Like Manheim International Film Festival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to induce cooperative companies through various methods and secure business models through the interchange and circulation of contents in order to create added values in the film industry structure. Second,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public relation in order to induce many tourists from other regions as well as from the Jeonbuk province and make others give attention to the public relations of speech through various events and content development. Third, identity has to be specialized and tourist industry data has to be built.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s to secure the identity through sure regulations to make itself independent, countermoving films and to develop and secure public traits through public programs and event opening. 각 지방자치단체들도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알려진 문화영상산업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제영화제는 도시의 문화행사로서의 기능을 한다. 영화제는 관객의 형태로든 자원봉사자의 형태로 참여하든 간에 상관없이 시민들과 지역시와 연결이 되어 있을 때 비로서 주체로서의 영화제가 가능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문화적 수준과 영화산업을 발전시켜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전주 도시 자체를 문화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 시작된 2000년 시작된 전주국제영화제가 올해로 아홉 번째 축제를 마치고 열 번째 국제영화제를 준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열 돌을 앞둔 전주국제영화제를 돌아보고 관객들의 만족도를 파악함으로써 전주국제영화를 지역적인 축제뿐만 아니라 세계 시장에 전주를 더 잘 알릴 수 있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원활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관련기관 및 학회에서 발행한 각종 자료와 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정기간행물, 국내 전문서적 등에 나타난 영화영상산업 및 국제영화제 관련 이론과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선행연구 작업을 거쳤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설문지」를 작성하여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기간인 2008년 5월 1일부터 5월 9일 사이에 영화제에 참가한 사람들(관광객, 지역주민 제외)을 대상으로 ‘전주국제영화제 시스템 및 만족도’ 등에 관한 면접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달한 전주국제영화제 활성화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 결과, 영화제 시스템 요인과 전주관광 인프라 요인, 영화관람 인프라 요인 등 세 가지 요인을 추출했다. 첫째, 영화제 시스템에 관한 만족도에서 ‘사전홍보’와 ‘안내시설’, ‘안내요원’, ‘작품수준’, ‘부대행사’, ‘참여행사’, ‘발권시스템’ 등 7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사전홍보’ 요인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안내시설’ 요인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둘째, 전주관광 인프라에 관한 만족도에서 ‘음식가격’과 ‘음식종류’, ‘숙박시설’ 등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음식가격’ 요인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숙박시설’ 요인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영화관람 인프라에 관한 만족도에서 ‘접근성’과 ‘상영스케줄’, ‘관람료’ 등 3개 요인일 추출되었다. ‘접근성’ 요인 만족도가 긍정적 응답과 부정적 응답이 가장 많았다. 종합적 분석 결과 전주국제영화제의 세 가지 문제점을 발견했다. 첫째, 비즈니스 모델의 부재로 영화제 재원이 너무 지방자치단체에 의존하고 있다. 둘째, 타시도 관광객의 참가율이 부족하다. 제9회 전주국제영화제를 참가한 관람객 가운데 전주시와 완주군(전주와 같은 생활권) 거주자가 36.1%로 3분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전주국제영화제는 국제영화제를 표방하고 있지만 관람객 분포에서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자유, 독립, 소통’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독립대안예술 영화의 정체성을 표방하고 출발한 전주국제영화제의 정체성이 혼돈을 야기하고 있다. 넷째, 관광 시스템이 부족했다. 호텔은 크게 리베라, 코아, 관광 호텔 정도 이고, 영화관이 밀집되어 있는 영화의 거리에 밀집된 숙박시설은 고작 10개 안팎이다. 또한 영화제 기간 동안 영화의 거리 내 숙박업소 등의 숙박료가 비쌌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자체 재정 자립도가 낮은 전주국제영화제는 재원 마련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해야 한다. 전주국제영화제도 만하임 국제영화제처럼 다각적인 출구를 통한 협찬사 유치와 콘텐츠 교류·유통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을 확보하여 영화산업 구조 내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둘째, 전주국제영화제에 더 많은 전북을 제외한 타 지역 관람객을 유인하기 위해서 홍보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다양한 이벤트와 콘텐츠 개발을 통해 언론 홍보의 주목을 이끌어야 한다. 셋째, 정체성 특화 및 관광 산업 데이터 구축이 필요하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독립, 대안영화제로서의 확실한 규정을 통한 정체성 확립과 대중적인 프로그램과 행사의 마련을 통한 대중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 일부 대학병원 5년 이하 경력간호사들의 조직사회화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이상숙 충남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on nurses with experience of 5 years or less to verify co-relation between organization socialization and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Survey was conducted on 285 nurses working in three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from August 1 to 30 in 2013 by using the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organization socialization and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Main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Out of 285 respondents, 75 or 26.3% said they have intention to change jobs, while 210 or 73.7% said they do not. Among those who wanted to change jobs, 17 were from 113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15.0%), 33 were from 100 with 1 to 3 years of experience(33.0%), and 25 were from 72 with 3 to 5 years of experience(34.7%). When it comes to monthly income, 47 were from 204 with monthly income of 1 to 2 million Korean won(23.0%) and 28 were from 81 with 2 to 3 million Korean won(34.6%). As for the average score of organization socializa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all respondents,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group of nurses who chose the job as an opportunity to go abroad, another group with experience of changing department, and the other group with monthly income of 2 to 3 million Korean won. Organization socialization depending on working perio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 group with 3 to 5 years of experience, compared to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When it comes to various factors, personal relations, cohesiveness, hospital administration, intention to change jobs, and burnout factors were higher in a group with 3 to 5 years of experience, while knowledge and skill factors were higher among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what affects a single question about turnover intention, the intention increased 1.023 times after every one month after joining a hospital(p=0.025), 1.646 times as personal relations were adversely affected(p=0.029), and 3.099 times as nursing professional value weakened(p=0.000). As a result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organization socialization factors that affect intention to change jobs, the intention increased as respondents were more exhausted, and with weaker professional value, less cohesiveness, and less desirable personal relation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was 31.9%. In conclusion, organization socializ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ith experience of 5 years or less in some university hospitals have meaningful relations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it was revealed that working period after joining a hospital, exhaus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cohesiveness, and personal relations determine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ir efficient organization socialization and prevent them from leaving their work places,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t is required to develop orientation programs customized to characteristics of nurses when they first join a hospital, as well as training programs constantly provided step by step based on their career for them to adapt to their work pla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to enhance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and provide vision for the job by repeatedly analyzing the organization socialization process at each career step. Third, since various members compose each department and hospital, differentiated organization socialization strategie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ir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