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타운 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원당의 공원녹지 조성을 중심으로

        이상명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71

        뉴타운 사업이란 종래의 민간주도 개발이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주택중심으로만 추진돼 난개발로 이어진 점에 착안,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재개발과 차별되는 개발방식을 취하고자 하는 ‘기성 시가지 재개발 사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뉴타운 사업은 다양한 사업방식을 통한 주거환경의 개선이라는 최초의 목적에서 벗어나서 전면철거를 통한 고층·고밀의 대단위 아파트단지 위주의 획일적인 정비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고 사업 시행 결과물이 없이 동시 다발적인 계획으로 인한 시행착오와 특색 없는 도시난계발이 예상되며 주택을 비롯한 시설의 양적 공급과 물리적 환경정비에만 치중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 상실과 주민들의 삶과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불러일으키는 등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타운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성공적인 지구개발을 위해 환경분석에 따른 공간 및 시설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광역적 계획과 함께 기성시가지의 효율적인 개발을 통해 주거환경의 개선과 도시 기능의 회복, 지역간의 불균형 해소, 특성화계획을 통한 뉴타운계획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행되어온 뉴타운의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주거중심형 뉴타운 사업지구 중에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뉴타운 사업지구의 정비구역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종합·분석하였다. 대상지로 선정된 원당 뉴타운의 경우 고양시청이 위치하고 있고 중·저층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이 밀집된 인구 37,527명의 주거중심의 지구로 2015년을 기점으로 50%에 가까운 노후도가 예상되어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지역이다. 지역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역 고유의 특색과 다양한 도시기능의 부재, 서울교외선으로 인한 생활권 단절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주변이 개발보호구역으로 자연환경이 양호하며 서울과 주변 지역과의 교통이 양호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도시재정비 방안을 모색하고 주거중심 지역의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공원·녹지를 중심으로 도시공간구조에 녹지순환체계를 계획함과 동시에 테마요소를 도입하여 문화와 예술, 인간이 어우러진 주제가 있는 뉴타운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etting apart from the conventional private-sector propelled development susceptible for reckless development together with little consideration over the infrastructure sticking to housing construction, the conceptual new-town project underlines 'the streamlined regional re-development' far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re-development. Nevertheless, the newtown businesses by Seoul metropolitan city by far are likely to deviate their genuine objectives being fallen into stereotyped restructuring based on high-rise, high-density and large-sized condominiums through sweeping-out type of demolition, accordingly, due to concurrent project implementation, giving rise to unthoughtful city development, while resorting to quantitative housing supply and physical/visual remodelling with decaying city identity and in little accord to residents' quality life and community.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at providing envisioned new-town planning through effective city/street development coupled with broad-sphere idea-settings by investigating spatial and facility development based on environmental analysis with an outlook for improvement of residence affordability, rehabilitation of city functions, correct regional imbalance and induction of differentiated plans. For the purposes, it carried out analytical case studies over local and foreign examples including city imaging, while selecting a case of dwelling-based new town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ject area. The Wondang Newtown selected for the study has low- and mid-rise apartment houses and single houses, having Goyang City Hall with a population of 37,527 people, which is nominated as bound-for-restructuring area owing to the expectation of up to 50% of deterioration degree around 2015. The result from analysis on territorial characteristics proved that it has not-so-bad natural environment thanks to its circumferential green zoning nomination along with good traffic accessibility to other cities including Seoul, though admitting that there exist no regional uniqueness and isolated city functions caused by its nearby belt way.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o seek for city remodelling alternative, the study aims to offer the suitable newtown planning way with a theme in harmony by culture, art and humans by planning green belt system within the configuration of city space centered on parks and greens places that play the biggest role in representing city image as a residential area.

      • 뉴타운 지역의 공원녹지조성에 관한 연구 : 고양시 원당지역을 중심으로

        이상명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71

        뉴타운 사업이란 종래의 민간주도 개발이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주택중심으로만 추진돼 난개발로 이어진 점에 착안,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재개발과 차별되는 개발방식을 취하고자 하는 ‘기성 시가지 재개발 사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서울시가 시행하고 있는 뉴타운 사업은 다양한 사업방식을 통한 주거환경의 개선이라는 최초의 목적에서 벗어나서 전면철거를 통한 고층 고밀의 대단위 아파트단지 위주의 획일적인 정비사업으로 진행되고 있고 사업 시행 결과물이 없이 동시 다발적인 계획으로 인한 시행착오와 특색 없는 도시난계발이 예상되며 주택을 비롯한 시설의 양적 공급과 물리적 환경정비에만 치중함으로써 지역의 정체성 상실과 주민들의 삶과 커뮤니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불러일으키는 등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타운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성공적인 지구개발을 위해 환경분석에 따른 공간 및 시설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광역적 계획과 함께 기성시가지의 효율적인 개발을 통해 주거환경의 개선과 도시 기능의 회복, 지역간의 불균형 해소, 특성화계획을 통한 뉴타운계획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행되어온 뉴타운의 국내사례와 해외사례를 분석하고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주거중심형 뉴타운 사업지구 중에서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뉴타운 사업지구의 정비구역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종합·분석하였다. 대상지로 선정된 원당 뉴타운의 경우 고양시청이 위치하고 있고 중·저층의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이 밀집된 인구 37,527명의 주거중심의 지구로 2015년을 기점으로 50%에 가까운 노후도가 예상되어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지역이다. 지역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역 고유의 특색과 다양한 도시기능의 부재, 서울교외선으로 인한 생활권 단절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주변이 개발보호구역으로 자연환경이 양호하며 서울과 주변 지역과의 교통이 양호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도시재정비 방안을 모색하고 주거중심 지역의 도시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공원·녹지를 중심으로 도시공간구조에 녹지순환체계를 계획함과 동시에 테마요소를 도입하여 문화와 예술, 인간이 어우러진 주제가 있는 뉴타운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Setting apart from the conventional private-sector propelled development susceptible for reckless development together with little consideration over the infrastructure sticking to housing construction, the conceptual new-town project underlines 'the streamlined regional re-development' far beyond the traditional simple re-development. Nevertheless, the newtown businesses by Seoul metropolitan city by far are likely to deviate their genuine objectives being fallen into stereotyped restructuring based on high-rise, high-density and large-sized condominiums through sweeping-out type of demolition, accordingly, due to concurrent project implementation, giving rise to unthoughtful city development, while resorting to quantitative housing supply and physical/visual remodelling with decaying city identity and in little accord to residents' quality life and community.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at providing envisioned new-town planning through effective city/street development coupled with broad-sphere idea-settings by investigating spatial and facility development based on environmental analysis with an outlook for improvement of residence affordability, rehabilitation of city functions, correct regional imbalance and induction of differentiated plans. For the purposes, it carried out analytical case studies over local and foreign examples including city imaging, while selecting a case of dwelling-based new town in an attempt to ident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ject area. The Wondang Newtown selected for the study has low- and mid-rise apartment houses and single houses, having Goyang City Hall with a population of 37,527 people, which is nominated as bound-for-restructuring area owing to the expectation of up to 50% of deterioration degree around 2015. The result from analysis on territorial characteristics proved that it has not-so-bad natural environment thanks to its circumferential green zoning nomination along with good traffic accessibility to other cities including Seoul, though admitting that there exist no regional uniqueness and isolated city functions caused by its nearby belt way.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to seek for city remodelling alternative, the study aims to offer the suitable newtown planning way with a theme in harmony by culture, art and humans by planning green belt system within the configuration of city space centered on parks and greens places that play the biggest role in representing city image as a residential area.

      • The effect of boron nitride on the processability of metallocene based LLDPE plastomer

        이상명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1871

        다양한 형태의 melt fracture와 용융된 고분자 흐름의 instability에 의해서 Fiber spinning, film blowing, extrusion, coating 등과 같이 상업적으로 중요한 고분자 가공 공정의 가공속도는 제한을 받는다. 그러므로, melt fracture가 발생하는 임계의 가공속도 이상에서는 melt fracture로 인하여 제품의 품질과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업적으로 많이 쓰이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소량의 질화 붕소를 첨가하여 가공속도를 증가 시키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또한, 순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질화 붕소를 포함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대해 온도, 전단속도, capillary die의 L/D가 가공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질화 붕소의 첨가에 의한 실험은 매우 작은 입자크기를 갖는 질화 붕소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다양한 함량(0.05, 0.1, 0.5, 0.75, 1.0wt%)으로 혼합하여 광범위한 전단속도와 120℃에서 180℃까지 다양한 온도에서 수행하였다. 고분자의 가공에서 온도, 전단 속도, L/D와 같은 공정 변수와 용융된 고분자의 불안정한 흐름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기 위하여 가공성의 정도에 대한 실험은 Geottfert사의 Reograph 2003 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질화 붕소의 첨가가 수지의 유변학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하여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은 parallel-plate rheomet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기계적 특성에 관한 실험은 universal testing machine(UTM)을 사용하였다. 실험의 결과, surface melt fracture 즉, sharkskin은 주어진 전단속도에서 capillary die의 L/D가 증가 할수록 melt fracture의 정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공온도를 증가 시킬수록 melt fracture가 발생하는 임계의 전단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세관 흐름에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가공성은 질화 붕소의 함량에 의존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질화 붕소의 함량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swelling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연구를 하였다. 부가적으로, apparent characteristic relaxation time과 melt fracture 및 slip이 발생하는 임계의 전단속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토론되어졌다. Melt fracture of a various shapes and related processing instabilities continue to limit processing rate in many commercially important polymer processing industries such as fiber spinning, film blowing, extrusion, and various coating flows. Therefore, over the critical processing rate occurring melt fracture or flow instability, melt fracture was fallen off in quality and mechanical property of final product. In this study, to increasing processing ra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final product, a commercial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was modified by adding a small amount Boron Nitride during extrusion at moderate processing temperature. Also, processability of capillary flow was investigated as a functions of temperature, applied shear rate and the length to diameter (L/D) ratio for the neat LLDPE and LLDPE containing BN (boron nitride). Experiments by the addition of BN were tested in a wide range of shear rate and various temperatures from 120℃ to 180℃ by adding BN (Boron Nitride) of various contents from 0.05 to 1.0 wt % (0.05, 0.1, 0.5, 0.75, 1.0 wt %) to the neat resi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unstable flow and processing variables such as the factors of the temperature, shear rate and the length to diameter (L/D) ratio in the processing of polymer melts, experiment for a degree of processability was tested using a capillary rheometer of Rheograph 2003 (Geottfert). Also, to evaluation for the effects the addition of BN content on rhe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y of the resin, experiment for rheological property was tested using a parallel-plate rheometer at various temperatures from 120℃ to 180℃ and experiment for mechanical property was tested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t room temperature. In result of experiment, the severity of surface melt fracture such as sharkskin was reduced when high L/D dies were employed at a given shear rate. We found that the critical shear rate for the onset of melt fractur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The degree of processability in the capillary flow was found to depend on boron nitride concentration. Also, the influence of the boron nitride concentration on the extrudate swell ratio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pparent characteristic relaxation time and the critical shear rate for the onset of melt fracture and slip is also discussed.

      • Compositions and Processing Parameters of Ag Based Photoimageable Paste

        이상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For miniaturization and precision of electronic device, the new technologies such as photoimageable thick film process were combined with conventional thick film process, and constrained sintering having near zero shrinkage in the x, y direction have been proposed.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Ag paste compositions for photoimageable thick film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photoimageable Ag paste was optimized as formulation, such as 70wt% Ag powder content for good resolution, spherical shape and proper size Ag powder for matching with substrate, acrylated binder substituted with 2-hydroxyethylmethacrylate (HEMA) and n-butyl-meth-acrylate (nBMA), trifunctional monomer added 4-function groups, 30wt% loading of photoinitiator TPO, additive dispersed by electrostatic repulsion and added glass powder to reduce mismatching with substrate during sintering. Afterwards by optimizing paste formulation, formation process of fine line and sintering method, miniaturized LTCC components especially embedded fine line inductors were fabricated and their properties such as printing ability, resolution, surface morphology and yield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formulated photoimageable Ag paste was able to acquire embedded fine line inductor having a high resolution line width of 20um with yield over 90% formed via constrained sintering method.

      • 역사기념시설의 ‘한국전쟁’ 전시 서사 분석 : 외른 뤼젠(Jörn Rüsen)의 역사서사 유형을 활용하여

        이상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Abstract) In recent history education, interest in civic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and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nfluence of the form and contents of exhibition narratives of museums or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that are delivered to visitors in the context of citizens’ social memories and memory culture. Among the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war memorial facilities have great social influence. In particular, memories of the “Korean War” have been deeply involved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torical culture of members of post-war Korean society. Thus, the “Korean War” as a theme of history learning or exhibition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e context of history education oriented toward citizen educatio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nalyzed the potential wartime history of The Warmemorial of Korea, Patriot and Peace Memorial, DMZ Museum, and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and social role of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and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Korean War. The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ype of narrative (traditional type, typical type, critical type, and genetic type) of Jörn Rüsen was borrowed to analyze the exhibition narrative of the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Using Rüsen’s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tool to analyze the history of the Korean War, Rüsen analyzed the exhibition narratives of each historical memorial facility by linking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a way that embodies the past. After reviewing and analyzing the large narrative of the exhibition and the ‘Narrative abbreviation’,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showed overlapping narrative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ypes. Meanwhile, traditional and typical types of wartime narratives stood out at the War Memorial of Korea and Patriot and Peace Memorial. In particular, the Patriot and Peace Memorial wanted to convert traditional and typical narratives into memories for local identity. The War and Women’s Human Rights Museum showed critical and genetic exhibition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approaching the 'war' itself, although it is not a memorial facility directly related to the Korean War. While revealing typical and traditional war narratives and their corresponding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DMZ Museum attempted various angles of narrative, conscious of critical discourse. We learn history and t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our lives through understanding history. As historical memories are valued, the impact of memories other than textbooks on our perception of history is growing. The memory of war is stronger in that character. In particular, war memories by monuments are typical. Since it is an interface between knowing about war and learning how to remember wa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historical educational meaning of developing the power to analyze the exhibition history of historical memorial facilities.

      •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조직문화의 매개효과

        이상명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esis is to recognize how teachers aware of servant leadership in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in Gyeongbuk area have an effect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lso, do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ve organizational efficacy for develop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the result, the thesis results are used to database for showing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principal's ability and improving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llowing thesis topics are selected to achieve the thesis objective. Firstly, How does the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on the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ly, How does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influence on the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ly, When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s effect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does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ve an organizational efficac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to 350 teachers who works at 18 commercial specialized high school in Gyeongbuk a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April 6 in 2017. Among the returned 297 volumes(84.8%), All 288 volumes(82.2%) except for inappropriate 9 volum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Consequently, there are three drawn conclusions. Firstly,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positively effect on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herefore, servant leadership's subordinate factors, bond of sympathy elements, such as listening attentively, sympathy, persuasion, treatment. And, specific direction elements such as recognition, insight, providing visi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and guidance to the growth were positively related to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s factors such as conservative, adventurous, friendly, rational culture. Thus, in order to ge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s advance, school principle strives to listen school member's opinion attentively and is required to empathize with them. Besides, It is advisory that school members are offered various opportunities for self-improvement. Secondly, It proved that principal's servant leadership had crucial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servant leadership's subordinate factors, bond of sympathy elements, such as listening attentively, sympathy, persuasion, treatment, and specific direction elements such as recognition, insight, providing vision, the formation of community, and guidance to the growth positively influenced on emotional, continuous, normative commitment. Accordingly, principle's servant leadership is sincerely needed to enhance school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Besides, school principals have belief that they have a strong will to sympathize and cooperate with school members. Thirdly,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had partial organizational efficacy in relation to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proved that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s subordinate factors such as conservative, adventurous, friendly, rational culture had partial organizational efficacy. Thus, to exert school'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fluence, it is necessary that not only servant leadership but also change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is needed. Especially, members in school organization are need to create respectful and friendly ambience. When making a decision, members are required to find a solution to a problem based on rational criterion. 본 연구는 경북지역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학교조직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조직문화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학교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조직문화는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연구대상은 경북지역에 소재하는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18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3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지의 배포와 회수는 우편 및 직접 방문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7년 3월 22일∼4월 6일(16일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97부 (84.8%)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응답이 누락되는 등 분석에 적절치 못하다고 판단되는 9부를 제외한 총 288부(82.2%)에 대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학교조직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학교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학교장에게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연수 기회를 부여함과 동시에 학교장의 마인드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은 교사의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서번트 리더십 마인드 변화에 대한 중요성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교장의 마인드 제고를 통하여 공감대 형성인 경청·공감·설득·치유, 구체적 방향인 인지·통찰·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의 성장 유도 등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조직문화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경영에 있어 교사가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교장이 발휘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더불어 학교조직에서 인화단결, 창의성, 효율성, 권리와 책임 등 다양한 문화를 조성할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이, 연구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학교조직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공감대 형성인 경청·공감·설득·치유, 구체적 제시인 인지·통찰·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의 성장 유도는 학교조직문화의 하위영역인 보존적 문화, 진취적 문화, 친화적 문화, 합리적 문화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학교조직문화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교장의 마인드 제고를 통한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공감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구성원의 성장 유도를 위해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영역으로 공감대 형성인 경청·공감·설득·치유, 구체적 제시인 인지·통찰·비전 제시, 공동체 형성, 구성원의 성장 유도는 조직몰입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학교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하여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절실히 필요하며, 교장은 구성원들과 함께 학교 공동체를 구축한다는 차원에서 서로 공감하고 협력하려는 의지가 중요할 것이다. 셋째,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조직문화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교조직문화의 하위영역인 보존적 문화, 진취적 문화, 친화적 문화, 합리적 문화는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학교조직의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장의 서번트 리더십도 중요하지만 상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현실을 고려한 학교조직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학교조직에서는 구성원들 간에 서로 존중하고 친화력을 높이려는 풍토를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구성원들 간의 의사결정 시 합리적 기준을 바탕으로 진취적으로 의견 개진을 통하여 발전적인 방안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고객가치, 고객만족, 구매행동간의 구조관계

        이상명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고객가치, 고객만족, 그리고 구매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구청 및 관할 행정처에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는 특별시 및 광역시 지역구별 골프연습장, 용품점 이용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에 의해 표본을 선정하였다.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400명을 표집하여 응답내용이 부분적으로 누락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응답(47명; 11.7%)은 제외한 35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 따른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대한 구매의사결정 요인과 고객가치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골프용품 소비자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재나 기능이 우수한 품질과 색상과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별 제품홍보나 광고모델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골프용품에 대한 고객가치가 높게 인식됨을 보여주었다. 둘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구매결정 요인과 고객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관련한 구매의사결정 요인에 신중한 탐색과 중요성을 높게 인식할지라도 골프용품에 따른 고객만족이 직접적으로 향상되는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소비자의 골프용품에 대한 구매결정 요인과 구매행동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소비자들이 골프용품에 대한 품질이나 디자인 그리고 광고내용에 긍정적이고 중요시하는 인식이 클수록 골프용품에 대한 타인권유나 구매행동이 보다 많이 나타난 결과였다. 넷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고객가치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골프용품 소비자들은 골프용품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이 우수하여 믿음이 가는 브랜드 신뢰도, 그리고 상징이나 로고를 바탕으로 널리 알려진 브랜드 인지도가 높게 인식될수록 사용하는 골프용품을 통해서 보다 큰 즐거움이나 자신의 높은 가치를 느낀다는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고객만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관계가 없었다. 즉, 골프용품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나 신뢰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해도 실제 구매 후 체험을 토대로 한 고객만족은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여섯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과 구매행동 간에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었다. 즉, 소비자가 느끼는 골프용품의 브랜디 이미지나 신뢰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재구매 의도나 타인권유의 행동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결과를 보였다. 일곱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가치와 고객만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선호하는 골프용품 사용이 가격에 비하여 자신의 가치를 높여준다고 생각하고 편안하고 즐거움을 갖게 하는 경험으로 느낄수록 품질이나 구매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가치와 구매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였다. 즉, 소비자가 골프용품에 대해 갖는 믿음과 신뢰가 가치를 높이고 자신에게 적합함을 높게 지각할수록 구매에 관한 의사결정 및 실행행동은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아홉째, 골프용품 소비자의 고객만족과 구매행동 간에는 정적인 인과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즉, 골프용품에 대한 품질이나 만족수준은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customer-based brand equity, customer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golf products. The subject of study was to select a sample of convenience samples based on a population of local golf practice areas and supply store customers. The survey included 400 people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353 respondents with the exception who(47; 11.7%) found that the response was partially missing or insinc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factors for golf products and customer value. In other words, consumers of golf products showed that the more important a material or function i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o purchase products, the better the quality, color and design, and the more product promotion or advertising model by brand, the higher the customer's value for golf produc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although careful exploration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related to golf products by consumers did not directly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with golf products. Third, there wa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ing decision factors and the purchase behavior of the consumers for golf products.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and important consumers are to the quality, design, and advertising of golf products, the more human rights abuses and purchasing behaviors are to be found. Fourth, there wa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based brand equity and customer values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consumers of golf products showed that the more they perceived as a brand with a differentiated brand image and product excellence, the more reliable the brand is, and the more well-known brand recognition based on symbols or logos, the more enjoyment or self-worth is felt through the golf products they use.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consumers of golf product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mpany recognizes positive image or credibility of the golf product brand, customer satisfaction based on actual experience after purchase did not show high results. Sixth, there was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based brand equity of consumers of golf products and the purchas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brand image or reliability of golf products that consumers feel, the more they intend to buy back or act on other human rights. Seventh, there was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value of golf products consumers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more comfortable and enjoyable experience you feel, the more satisfied you are with quality or purchase, the more you think the use of your preferred golf product increases your value compared to the price. Eighth,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 value of golf products consumers and their purchasing behavior.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value of the trust and confidence consumers have in golf products and the higher they perceive fit, the more likely decisions and actions they make regarding purchases are to be affected. Ninth, there was no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of golf products consumers. In other words, the quality and level of satisfaction for golf products did not affect purchasing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