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통사고에 있어서의 형사책임에 관한 연구

        이보영 단국대학교 1980 국내석사

        RANK : 247647

        Traffic accidents increase in an unprecedented rate. ''This is partly becauae of the increasing amount of transportation and inflow of tremendous number of vehicles. However,the factual figure and the underlying reason or reasons, for it is not yet fully explo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feasible means, if any, of curbing the traffic accidents. Traffic accidents in three countries are studied and compared, namely, Germany, Japan and Korea. Germany and Japan are the countries where the rapid increase of vehicles has brought a common agony. In other words, those who countries have more or less the same experience as we are having now. Exampl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found unwarranted due to its enormous difference of conditions from other countries. The New system of "Fahrlassigkeit" is the sphere of "Tatbestandmassigkeit" and "RechtswIdrigkeit" and "Sohuld".New system of "Fahrlassigkeit" is asked to criminal law. As it is, the theory of "causal Handlung" and "finale Handlung"is outmoded. And the "prinsip.das Vartrauan "and" erlaubtes Riskio" as the foundary of "sorgfalt verpflicht" contribute to the theory of "Verkehrs unfaIle". Legal questions following the traffic accident is expounded. EspeciaIly, the regulating of the "escaping car" is imporant. Not only for the purpose of sanctioning but for the purpose of restraining the accident many ensuing legal questions should be settled unequivocally. Main legal sources of regulating traffic accidents are criminal law and Road and Traffic law and an aggravation act of specified crime law and an oridance etc. In criminal law there are crime of the death or injury of occupational and gross negligence. Main legal source of regulation traffic accident is Road and Traffic law. But the law itself, established after the Japanese law, is somewhat, outmoded. CrIminal responsibility In relation to mens rea is especially important judicial cases are guated and legal opinion of the writer is set out. Traffic accidents, as a whole, is examined as an objectof criminal policy. Indoingso, first of all, definition of traffic accident is made clear. What is most important is the preventive measure, so, special preventive measure as well as general preventive measure is emphasized. Naturally, absolutely effective measure is not attainable, but meaningful practical counter measure can be divised. Due to limited resource and time satisfactory statistics could not be provided. However, fundamental opinion of the writer is tersely expressed. The write hopes the regulation of drinking driver and installment of traffic court, and the use of enforcemant index, Conclusively, the writer hopes this paper could be used as a step stone for further research by other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 조선후기 민화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보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Folk paintings in Chosun Dynasty which are the most Korean pictures and have distinctively independent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nected with our lives enough to say they are one part of our lives. So folk paintings have vitality in themselves, are national pictures that we can feel our people's thoughts as they are rooted in our spiritual soil and life and can be the most important object for considering new forms of our people's emotion, spirit and beauty. Especiall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17th~19th century, the period of Youngjo·Jungjo) when those folk paintings are the most prevalent, the activities of the humble classes were expressed outstandingly all over the society while realistic problems became a critical object for studying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practical thought. That period was the time folk art was adding the strongest flavor historically and folk paintings treated in this study were also produced the most actively in that ideological background. If summarizing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first, the majority of folk painting works were produced at that time The second, the public sense of sovereignty was appeared strongly while folk paintings expressed thoughts and emotions of people And finally, they are free paintings expressing people's correct ideology for life through humor and satire while strong critical atmosphere for toadyism by social changes at that time was formed. Therefore, by collecting 260 folk paintings, their composition, form, color, material and standpoint were analyzed intensively for examin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by material. For compositions, there are symmetrical·enumerated compositions and beside them, plural method unfolding standpoint variously and freely, inverse perspective ignoring perspective, simultaneous expression expressed past·present·future or day and night in one scene, complexity, repeatability, etc. And the others are s type, △ type, horizontality, verticality, etc. Also, for materials, there are various materials such as tiger, deer, dragon, phoenix, magpie, crane, carp, peony, pine, stone, etc. For form of those objects, very natural and unique forms are showed through distortion and simplifying sometimes by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not realistic reappearance. And for color, there were usually five colors such as red· blue· yellow· white· black which based on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ory and drastic ink method was appeared with strong colors enhancing decorative effects by adding various colors derived from five colors. Although general feeling appeared in folk paintings of that period was childish and unskilled because expressive treatment for each material was somewhat immature, they have particular charms like an innocence felt in only folk paintings at that time and it played a role opening the way of their own creative expression depart from the existed frame of traditional painting method. And the content was giving deep affection for simple and light nature of ordinary people's culture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loved till today. So, by revealing superiorities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we must to establish aesthetic consciousness and identity of our folk paintings, furthermore, succeed and develop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in positive sector and make an effort to make our own creative painting form.

      • 노인일자리 사업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마포구를 중심으로

        이보영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소위 「압축적 고령화」라는 이름으로 축약되는 전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저출산 비율과 고령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2000년 7.2%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였고, 2005년 현재 총인구중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9.1%에 해당된다. 2018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14.3%로서 고령사회, 2026년에는 20.8%의 초고령 사회에 도달하게 될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고령화 양상은 노인들에 대한 보건, 의료, 복지 등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고령화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안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2004년부터 국가정책으로 본격적으로 노인일자리 사업을 추진하기에 이르렀으며 노인일자리 사업추진을 위한 전반적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점차 안정화 되어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고, 둘째, 노인일자리에 참여하고 계시는 노인분들의 참여실태를 확인하고, 셋째, 노인일자리에 참여한 노인분들의 참여만족도를 알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에서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분들의 참여실태를 확인하고 참여자의 만족도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을 파악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의 발전에 기여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Korean society shows so-called "Compressed aging"; the highly low birthrate proportion and rapid aging speed which have not ever existed all around the world. In 2000, Korea entered into the aging society with 7.2%, and the total population ratio of the elderly was 9.1% in 2005. In 2008 it is the aged society as the proportion of people over 65 years old is 14.3% and it is expected to become the super aged society with 20.8% of the elderly proportion. This aging aspects bring a large range of serious social problems as the medical care and welfare for the elderly.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rted in earnest to promote the elderly Employment Project for the alternative plan of the aging society problems and to arrange the overall organization for the project promotion and it is gradually stabilizing. In this study, First, searc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employment project participants, Second, search the elderly's participation situation of the employment project, Third, find out aged participants' participation satisfaction.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elderly employment project to provide basic data verifying the elderly's participation situation at Mapogu Seoul metropolis and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other factors.

      • 신원생대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의 임진강대와 당진-해미 지역의 지구조 진화사

        이보영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1장. 국문초록 임진강대의 데본기 퇴적 및 화성작용과 그 지구조적 의미 다비-수루 충돌대의 연장선으로 제시되었던 임진강대는 낭림육괴와 경기육괴 사이에 위치하며, 북쪽의 진곡층과 남쪽의 미산층(삼곶층)으로 나뉜다. 미산층은 각섬암, 변성사질암, 석회질 규산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섬암은 주로 각섬석, 석류석, 사장석, 석영으로 구성되며 투휘석과 티탄철석, 금홍석, 티탄석 등을 포함한다. 변성사질암내에는 흑운모, 사장석, 석영, 석류석으로 구성된 흑운모 사질편암과 각섬석, 사장석, 석영, 석류석으로 구성된 각섬석 사질편암이 호층으로 나타난다. 각섬암은 650-620 ℃/13-12 kbar에서 740-710 ℃/11-8 kbar로 전진변성작용을 받은 후 600-580 ℃/7-6 kbar로 후퇴변성작용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흑운모 사질편암은 710 ℃/11 kbar의 변성작용을 받은 후 670-660 ℃/10 kbar로 후퇴변성작용 받았다. 이는 미산층이 시계 방향의 변성 진화과정을 겪었으며 최대 변성조건은 740-710 ℃/11-8 kbar을 지시한다. 이 결과는 미산층 북쪽의 나타나는 진곡층에서 변성도가 북쪽에서 남쪽으로 석류석대, 십자석대 (586-558 ℃/8.1-5.5 kbar), 남정석대 (710-665 ℃/9 kbar) 순으로 증가하는 것을 밝힌 기존연구와 함께 임진강대는 고압 변성작용을 받은 것이 아니라 북쪽에서 남쪽으로 변성도가 증가하는 중압형의 변성작용을 받았다는 것을 지시한다. 각섬암과 변성사질암으로부터 추출된 저어콘들에 대한 SHRIMP U-Pb 연대 측정 결과, 각섬암으로부터 약 370-361 Ma의 관입연대를 얻었으며, 변성사질암 가장 젊은 쇄설성 저어콘들로 부터 약 380 Ma의 연대를 얻었다. 그리고 각섬암 내 티타나이트에 대한 SHRIMP U-Pb 연대 측정 결과, 약 229-214 Ma의 변성 연대를 얻었다. 각섬암의 전암 성분은 V-Ti/1000과 Ti/Zr- Zr의 두 지구조 분류도에서 back arc basin basalt 영역에 도시된다. 이는 미산층을 포함한 임진강대가 데본기에 back arc basin 내에 퇴적된 퇴적암과 이를 370-361 Ma 경에 관입한 염기성 화성암으로 구성되었으며 임진강대가 트라이아스기에 일어난 대륙 충돌시 대륙 충돌 경계부가 아니라 대륙 충돌대 연변부에서 중압변성작용을 받았음을 지시한다. 2장. 국문초록 임진강대 주변과 경기육괴 서남부의 신원생대 화성작용 대비: 그 지구조적 의미 로드니아 초대륙 형성 및 분열과 관련된 신원생대 암석이 북중국과 남중국 그리고 한반도에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대 주변 고남산 지역과 경기육괴 서남부에 있는 당진-해미 지역에서 신원생대 화성암이 연구되었다. 당진-해미 지역의 신원생대 화성암은 지화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Type A, B, C 각섬암과 Type A, B 흑운모 편마암으로 분류된다. Type A 각섬암은 833-793 Ma 화산호 환경에서 형성되었으며, Type B 각섬암은 797 Ma에 후배호 환경에서 형성되었다. 그리고 Type C 각섬암은 판내부 환경에서 형성되었다. Type A 흑운모 편마암은 833 Ma 화산호환경에서 관입하였고, Type B 흑운모 편마암은 837-809 Ma 충돌 후 환경에서 관입하였다. 기존연구 함께 이번 연구는 당진-해미-홍성 지역이 900-833 Ma 동안 화산호 환경이었으며, 837-809 Ma 동안에는 화산호를 형성하는 섭입작용과 충돌이 공존하는 환경이었음을 지시한다. 최종적으로 이 지역은 774-703 Ma 경 열곡대 환경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일부 440 Ma의 변성 연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신원생대 화성암은 238-216 Ma에 변성 받았다. 이 자료들은 홍성지역과 함께 당진-해미 지역은 890 Ma 이전에 화산호 환경이 800-760 Ma 열곡과 관련된 화성암 관입이 일어난 남중국의 북쪽 가장자리와 대비된다는 것을 제시한다. 고남산 각섬암은 판내부 환경에서 873-851 Ma 경에 관입하였으며 221 Ma경에 변성 받았다. 이 자료는 고남산 지역이 당진과 해미 지역과는 달리 상원계와 함께 925-810 Ma 경에 열곡대 환경이 형성되었던 북중국판의 남쪽 경계에 대비됨을 지시한다. Chapter 1. Abstract The Devonian igneous activities and sedimentation in the Imjingang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The Imjingang belt, which was suggested as an extension of the Dabie-sulu collision belt, locates between Nangrim and Gyeonggi Massifs, and is divided into the Jingok formation in the north and the Misan formation (Samgot formation) in the south. The Misan formation consists of amphibolite, metapsammitic rock, and metacalc silicate rock, etc. Amphibolite is composed mainly of hornblende, garnet, plagioclase and quartz with minor diopside, ilmenite and rutile. Within the metapsammitic rock, biotite psammitic schist is interlayered with amphibole psammitic schist: the former consists of biotite, plagioclase, quartz and garnet and the latter consists of hornblende, plagioclase, quartz and garnet. Amphibolite experienced a prograde metamorphism from ca. 650-620 ℃/13-12 kbar to 740-710 ℃/11-8 kbar and then was retrograded to ca. 600-580 ℃/7-6 kbar. Biotite psammitic schist underwent retrograde metamorphism from ca. 710 ℃/11 kbar to ca. 670-660 ℃/10 kbar.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Misan formation had undergone a clockwise prograde metamorphism with a peak metamorphism of 740-710 ℃/11-8 kbar.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reported that, in the Jingok formation, the metamorphism increases southwards from the garnet zone through the staurolite zone (ca. 586-558 ℃/8.1-5.5 kbar) to the kyanite zone (ca. 710-665 ℃/9 kbar). This and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the Imjingang belt underwent intermediate-P/T metamorphism instead of high-P/T metamorphism. The SHRIMP U-Pb ages dating on zircons from amphibolite give intrusion ages of ca. 370-361 Ma. From metapsammitic rock ca. 380±20 Ma is obtained from the youngest detrital zircons. In addition, the SHRIMP U-Pb age dating on titanite from amphibolite gives metamorphic age of ca. 229-214 Ma. The whole-rock chemistry of amphibolite is plotted in the back arc basin basalt field both in the V-Ti/1000 and Ti/Zr-Zr tectonic diagrams.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Imjingang belt including the Misan formation consists of Devonian sedimentary rocks deposited in the back arc basin and was intruded by mafic igneous rock at ca. 370-361 Ma. The Imjingang belt was not a continental collision boundary but had undergone intermediate-P/T metamorphism during Triassic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continental collision belt. Chapter 2. Abstract The correlation between Neoproterozoic Igneous activities around the Imjingang belt and those in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its tectonic implication The Neoproterozoic rocks related to the amalgamation and break-up of the Rodinia supercontinent were reported in the North China Craton, South China Craton and Korean Peninsula. We studied the Neoproterozoic igneous rocks in the Gonamsan around the Imjingang belt and in the Dangjin-Haemi are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of Korea Peninsula. The Neoproterozoic igneous rocks in the Dangjin-Haemi area can be classified into Type A, B and C amphibolites and Type A and B biotite gneisses. Type A amphibolite formed at 833-793 Ma in the arc tectonic setting and Type B amphibolite formed at 797 Ma in the back arc tectonic environment. Type C amphibolite formed in the within plate tectonic environment. Type A biotite gneiss intruded in the arc tectonic setting at 833 Ma while Type B biotite gneiss intruded in the post collision tectonic setting at 837-809 Ma. This study together with the previous studies indicates that the Dangjin-Haemi-Hongseong areas were arc environment during 900-833 Ma and then changed into tectonic environment in which collision and subduction coexisted during 837-809 Ma. Finally the area was changed into rift tectonic setting during 774-703 Ma. Most of these Neoproterozoic igneous rocks metamorphosed at 238-216 Ma except one with 440 ma metamorphic ag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Dangjin-Haemi area together with the Hongseong area can be correlated to the northern margin of the South China Craton in which arc-and rift-related igneous rocks intruded at age older than 890 Ma and during 800-760 Ma, respectively. The Gonamsan amphibolite intruded in the within plate tectonic setting at 873-851 Ma and metamorphosed at 221 Ma. These data are different from the age and tectonic setting of the amphibolite and biotite gneiss in the Dangjin-Haemi and Hongseong areas. This and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the Gonamsan area together with the Sangwon system can be correlated with the Qingbaikou system which formed during 925-810 Ma within the rift along the southern margin of North China Craton.

      • 소비자의 CATV 홈쇼핑 충동구매와 충동구매 후 평가

        이보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부소비자들의 CATV 홈쇼핑 구매실태 및 이용실태와 충동구매 성향을 살펴보고, 충동구매성향이 충동구매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그에 따라 소비자에게는 충동구매의 위험성을 제고시키고 CATV 홈쇼핑 시장에서의 합리적인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여 뚜렷한 목적과 계획을 통해 올바른 구매 행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고, 기업에는 마케팅 믹스 개발에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 3개월간 CATV 홈쇼핑 구매경험이 있는 서울시 및 전국 광역시의 20대 이상의 주부소비자 4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DMR검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연구의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ATV 홈쇼핑 구매 실태를 살펴본 결과 CATV 홈쇼핑 시청시간은 평균 94분이었으며, 시청시간대는 많은 주부소비자가 일정한 시간 없이 아무 때나 시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간 CATV 홈쇼핑을 통해 구매한 제품과 충동구매한 제품은 화장품/미용품, 생활/주방/침구, 의류/패션/속옷 등의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개월간 CATV 홈쇼핑을 통해 구매한 횟수는 평균 3.99회, 구매 금액은 평균 34.93만원, 충동구매 횟수 평균은 1.53회 충동구매 금액은 평균 17.17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용채널을 살펴본 결과 CJ홈쇼핑, GS홈쇼핑, 롯데홈쇼핑, 현대홈쇼핑, 농수산홈쇼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편리성에서는 ‘이용경험이 있는 경우 개인정보를 다시 등록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결제수단이 다양하다’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구매요인은 가격자극요인, 제품자극요인, 마케팅자극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부소비자들의 충동구매성향은 암시충동, 상기충동, 계획충동, 순수충동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른 충동구매 성향을 살펴본 결과 월평균가계총소득,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평균가계총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구매 관련 변수에 따른 충동구매성향은 시청시간, 이용채널, 구매제품(화장품/미용품, 생활/주방/침구, 잡화, 의류/패션/속옷, 장신구/시계/귀금속), 구매횟수, 구매금액, 충동구매제품(화장품/미용품, 생활/주방/침구, 잡화, 의류/패션/속옷, 장신구/시계/귀금속), 충동구매횟수, 충동구매금액, 이용편리성, 구매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청시간이 길어질수록, 채널 사용이 많아질수록 충동구매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제품을 구매한 집단이 비구매한 집단보다 충동구매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충동구매 횟수가 많을수록, 충동구매금액이 많을수록, 이용편리성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충동구매 후 평가를 살펴본 결과 배송, 제품, 방송, 주문 평가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 변수에 따른 충동구매 후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과 월평균가계총소득, 최종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월평균가계총소득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구매 관련 변수에 따른 충동구매 후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시청시간, 시청시간대, 이용채널, 구매제품(화장품/미용품, 생활/주방/침구, 잡화, 완구/아동/출산, 의류/패션/속옷, 장신구/시계/귀금속, 기타), 구매횟수, 구매금액, 충동구매제품(화장품/미용품, 의류/패션/속옷, 장신구/시계/귀금속, 기타), 충동구매횟수, 충동구매금액, 이용편리성, 구매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시청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용채널이 많아질수록 시청시간대가 오후 12시~오후 9시에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고, 제품을 구매한 집단이 비구매한 집단보다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구매금액이 많을수록, 충동구매 횟수가 많을수록, 충동구매금액이 많을수록, 이용편리성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충동구매 성향에 따른 충동구매 후 평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암시충동, 상기충동, 계획충동, 순수충동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충동구매성향이 높을수록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충동구매 후 평가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충동구매성향이 높을수록, 이용편리성이 높을수록, 이용채널 중 CJ홈쇼핑, 현대홈쇼핑 사용이 많을수록 제품구매 금액이 낮을수록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청시간대는 오전6시~오후12시보다 오후12시~오후9시인 경우 충동구매 후 평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서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집단보다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집단일수록 배송에 대한 충동구매 후 평가가 낮게 나타났고, 직업은 취업주부보다 전업주부가 충동구매 후 평가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harmacotherapy an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이보영 울산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s prevalent and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death. COPD is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pharmacotherapy in COPD aims to relieve symptoms, improve quality of life and prevent acute exacerbations. Inhaled bronchodilators, such as ß-agonists and anticholinergics, are being recommended as major medications. ß-agonists cause relaxation of the smooth muscle of the bronchi, but they also stimulate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leading some side effects such as arrhythmias, tremor, agitation and hypokalemia. In case of inhaled anticholinergic agents, the stimulation of the 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 is inhibited which can also lead to diverse side effects. Many patients with COPD have cardiovascular disease as a comorbid condition. And bronchodilators may have side effects on cardiovascular disease because of the action mechanism mentioned above.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 of inhaled bronchodilators on cardiovascular events in patients with COPD. Methods: A 2% sample cohort database from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was used to identify drug prescription patterns. And nested case-control study was done to assess effect of inhalers on cardiovascular events. We compared the patients who had admission or emergency department visits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with the matched control group. Cases and controls were matched by sex, age (±2years), and the number of cardiovascular events in the previous year in 1: 4 ratio. The use of inhaled bronchodilator was identified retrospectively within 1 year from index date (the first date of cardiovascular events). Results: Prescription of inhaled bronchodilators is increasing over the decade. However, about 90% of patients diagnosed as COPD received methylxanthine or systemic ß-agonist at first prescription. Nested case-control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inhaled bronchodilators on cardiovascular events showed conflicting results depending on the target cohort. In current new users of LABA or LAMA, OR was decreased to 0.2 (95% CI, 0.05 - 0.87) and 0.59 (59% CI, 0.38 - 0.91), respectively if target cohort included only inhaled bronchodilators. Conversely, if the target cohort is defined as those prescribed with either oral or inhaled bronchodilators, th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was found to be increased in LABA and LAMA current new users (OR, 3.12 and 6.31 respectively) Conclusions: Despite studies in the same population, the effect of inhaled bronchodilators on the risk of emergency room visits or hospitalizations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was conflicting. This may be due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n severe COPD, control of COPD may protect patient from cardiovascular events because these two diseases interact each other. On the contrary, in mild COPD, physicians need to be cautious and monitor for possible adverse events, because the use of new bronchodilators may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연구 배경: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유병률이 높고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주요 치료 방법으로는 약물치료가 있는데 약물치료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급성 악화를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약물치료제로는 베타 작용제와 항콜린제와 같은 흡입 기관지 확장제가 권유되고 있다. 베타 작용제는 기관지의 평활근의 이완을 가져오지만 자율신경계를 자극하여 떨림, 불안감, 저칼륨혈증 및 동성빈맥과 같은 부정맥을 유발하기도 한다. 항콜린제의 경우에는 부교감 신경의 자극을 막아 그 효과를 낸다. 많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심혈관 질환을 동반질환으로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고 기관지 확장제는 위와 같은 작용기전이 있어 심혈관 질환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흡입 기관지 확장제가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한국의 국민건강보험 청구 자료 중 표본 코호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여 약제 처방 패턴을 확인하고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구축된 코호트에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이 있었던 환자군과 이에 성별, 나이, 이전 1년감 심혈관 질환력으로 1:4의 비율로 짝을 맞춘 대조군을 비교하였다.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입원이나 응급실 방문이 있었던 시점을 기준으로 1년이내의 흡입 기관지 확장제 사용여부를 확인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약제 처방 패턴을 분석한 결과 흡입 기관지 확장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약 90%의 환자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 진단받은 후 첫 처방으로 경구약제인 메틸잔틴이나 전신 베타 작용제를 처방받았다. 흡입 기관지 확장제의 심혈관 질환에의 영향을 보기 위하여 시행한 환자-대조군 연구에서는 대상 코호트를 정의하는 것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만성폐쇄성 폐질환의 진단과 함께 전신 베타 작용제와 메틸잔틴과 같은 경구약제를 제외한 속효성 및 지속성 기관지 확장제를 처방받은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는 경우 흡입 지속성 베타작용제나 흡입 지속성 항콜린제를 30일 이내에 처방받아 새로 시작한 경우 오즈비가 각각 0.2와 0.59로 유의하게 심혈관 질환 부작용 발생의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는 반대로 전신 베타 작용제와 메틸잔틴과 같은 경구약제와 흡입 기관지 확장제 중 하나라도 처방받은 환자들을 대상 코호트로 정의하는 경우 흡입 지속성 베타 작용제를 30일 이내 새로 시작한 경우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및 입원 확률이 3.12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입 지속성 항콜린제의 경우에도 베타작용제와 비슷하게 위험도가 6.3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동일한 인구집단에서 연구가 시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의 정의에 따라흡입 기관지 확장제가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또는 입원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상 환자들의 특성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주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중증도가 심한 경우에는 약제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조절로 인한 심혈관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며 반대로 경도의 만성폐쇄성 폐질환에서는 심혈관 질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약제 시작 시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겠다.

      •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고등학교 영어 교수 활동과 학업 성취도 및 학습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보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평가와 교육은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따라서 교사가 제대로 된 평가를 계획하고 실시한다면 교사와 학생 모두 바람직한 교육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는 평가를 통해 학습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학습자 또한 평가를 통해 본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학습 방향을 효율적으로 모색할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교육과 평가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꾀하고, 교사와 학습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로서 진단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진단평가는 채점 및 분석에 대한 교사의 부담이 크고, 학습자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저부담시험이라는 등의 이유로 비실용적인 평가로 간주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사의 교수활동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과 컴퓨터기반 진단평가가 기존에 존재해왔던 지면기반 진단평가의 한계를 감소시키고 평가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83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7주 동안 실험이 진행되었다. 진단평가를 보지 않는 반을 통제집단, 지면기반 진단평가를 보는 반을 실험집단 A, 컴퓨터기반 진단평가를 보는 반을 실험집단 B로 선정하여 총 18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후, 각 집단 별로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수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영어 수업과 진단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4차시 분량의 진단평가지, 사후 평가지, 녹음자료, 설문지, 교사 저널 등에서 얻은 내용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바탕으로 연구 질문에 대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수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사의 설명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내 진단평가의 정답률과 교사의 개별 항목에 대한 설명시간은 부적 상관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사가 진단평가의 결과를 수업에 반영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수활동을 꾀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답률이 비교적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오랜 설명시간이 할애된 경우가 있었는데, 이것은 교사가 오로지 정답률에만 근거하여 설명시간을 조정한 것이 아니라 학생이 저지른 오류를 정정하는데도 시간을 할애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답률에 따른 세 집단 간 설명시간을 비교했을 때, 정답률이 낮은 항목에 있어서는 통제집단보다 두 실험집단에서 교사가 훨씬 더 긴 설명시간을 할애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답률이 높은 항목에 있어서는 세 집단 간 교사의 설명시간은 비교적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진단평가를 실시하지 않았을 때, 많은 학생들이 교사의 설명이 불충분하거나 부족하다고 느낄 가능성이 높음을 암시한다. 다음으로는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사의 교수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진단평가의 실시는 교수전략의 질적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다. 교사는 정답률이 낮은 항목에 대하여 두 실험집단에서 통제집단보다 더 많은 강조를 하였으며, 더 많은 교수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두 실험집단에서 교사는 진단평가의 결과를 언급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고, 학습자가 저지른 오류나 오답을 정정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교사의 채점 및 분석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교사 저널을 분석한 결과 컴퓨터기반 진단평가를 실시했을 때 채점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면기반 진단평가를 실시했을 때보다 평균 30분정도 짧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에게 있어 컴퓨터기반 평가의 실용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두 실험집단의 성취도 점수가 통제집단의 성취도 점수보다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실험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단평가의 실시 유형과는 상관없이 진단평가 실시 자체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진단평가 실시 유형이 영어 수업과 진단평가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진단평가의 실시가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두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수업에 대해 더 만족스러워 했으며, 특히 많은 학생들이 진단평가가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진단평가 실시에 대한 긍정적 의견으로는 나의 현재 실력과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다, 진단평가를 본 후 수업시간에 이를 다시 복습하게 되어서 좋다, 수업을 더 열심히 듣게 되고 학습동기가 생긴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진단평가 실시에 대한 부정적 의견으로는 모르는 내용이 많아서 자신감이 떨어지고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컴퓨터기반 진단평가에 대한 실험집단 B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퓨터 기반 진단평가 실시에 대한 의견으로는 편리하다, 채점 결과를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좋다는 긍정적 의견과 컴퓨터실 이동이 번거롭다, 컴퓨터로 딴 짓을 하게 된다 등의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지금까지 논의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실험집단에서의 학업 성취도 점수 및 수업에 대한 만족감이 통제집단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봤을 때 앞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진단평가가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단평가 실시에 따른 교수활동의 질적 향상은 컴퓨터 활용으로 인해 훨씬 더 극대화될 가능성이 있다. 교사 저널에 따르면 컴퓨터기반 평가는 지면기반 진단평가에 비해 채점 및 분석 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반가량 줄여주며, 교사 스스로도 컴퓨터기반 평가의 효율성과 편리함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셋째, 교사는 정답률이 낮은 항목에 대해, 즉 학생들이 어려워하거나 잘 모르는 항목에 대해 진단평가의 결과를 활용하면 특히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넷째, 컴퓨터기반 진단평가를 실시 할 때 컴퓨터실 활용에 따른 문제점을 잘 보완한다면 컴퓨터기반 진단평가는 학습자에게 훨씬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섯째, 교사는 혼자 진단평가를 제작하고 개발하기보다는 다른 교사와 협력하는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지면기반 진단평가를 실시하되 OMR 답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도 있다. 앞으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같은 전반적인 언어 능력에 대해서도 지면기반 및 컴퓨터기반 진단평가를 실시한다면 큰 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ementation and types of diagnostic tests on teacher instruction and the achievement and perceptions of English learners at Korean high school. It also aims to investigate whether a computer-based diagnostic test can relieve the limitation of paper-based diagnostic tests and increase its practic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3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groups: a control group, who did not take the test, an experimental group, A, who took a paper-based diagnostic test and an experimental group, B, who took a computer-based diagnostic test. Two experimental groups took a diagnostic test four times with paper and pencil and with a computer, respectably. Each group was given 18 instructions for 7 weeks with the same learning objectives while the teacher incorporated the results of the test into her instruction for two experimental group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and types of diagnostic tests, teacher instruction, the achievement and attitudes of learne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with the following instruments: four diagnostic tests, a post test, a post-experiment questionnaire, teacher's journal, and MP3 files of the less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s for the effects of types of diagnostic tests on teacher instruction, first of all,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a length of the time teacher spent on each item. It indicates that learners were taught rather efficiently as the teacher reflected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s in her instruction. Even though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quite high, however, there were several cases where students were given a long explanation. It shows that the teacher did not adjust the time allotment based solely o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but spent some time correcting students' wrong answers. In addition, when comparing the length of explanation of each of three groups with one another, it was shown that the teacher spent much more time in two experimental groups, explaining about items which had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a control group.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tems which had a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e length of the teacher instruction of each of three groups was similar to one another. These results show that when a teacher does not conduct a diagnostic test, students would probably feel unsatisfied with the teacher’s explanation about the item that they consider difficult or don't know well. Besides, it was identifi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diagnostic tests helped a quality of teaching strategies to improve. For example, the teacher made more emphasis on the item which had a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gave more supplementary materials in two experimental groups than a control group. Moreover, as the teacher mentioned about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s to the experimental groups and made a correction on their errors or mistakes, she raised their awareness of the item which they felt difficult.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acher's journal, the time spent in sco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diagnostic tests was much less in computer-based group than paper-based group. The teacher also mentioned many advantages of using the computer-based tests. These prove that computer-based diagnostic tests are very efficient and practical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compared to paper-based tests. Secondly, it was proved that the implementation and both types of the diagnostic tes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post-test revealed that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these experimental groups achieved much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regardless of the types of the diagnostic tests, the implementation of the diagnostic tests itself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tudents’ achievement. Third, as for the effects of the implementation and types of the diagnostic tests on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the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two experimental groups felt satisfied with the teacher instruction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s means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diagnostic tests helped the learners to feel more positive about the teacher instruction. In addition, many of the students replied that the diagnostic tests helped them study for following reasons. Firstly, it enabled them to recognize the current level of their learning ability and their weaknesses. Secondly, it gave them a chance to review the items during the class once more. Third, it led them to have a learning motivation. Fourth, it allowed a teacher to notice their weaknesses or a certain item which they considered confusing. On the other hand, some students mentioned the negative side of the diagnostic tests such as it made them less confident and put pressure on them. Finally,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uter-based tests,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Specifically, they replied that it was very comfortable to take a test using a computer and it was good to receive the feedback immediate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everal negative responses such as it was inconvenient to move to the computer lab every time they had to take a test and it was possible to do something irrelevant to the class with computers. Based on th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mplement a diagnostic test on the classroom because it was proved that it enhanced both students’ achievement and their satisfaction towards the teacher instruction. Second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er use of the computer in diagnostic tests would maximize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ies since it was revealed that computer-based diagnostic tests considerably reduced the burdens of the teachers to score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e test. Thirdly,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diagnostic tests is particularly helpful for a teacher’s explanation about the items students feel difficult. Fourth, if some problems with using of the computer lab are solved, the computer-based diagnostic tests will bring about much better educational attainments. Fifth, teachers need to negotiate with other teachers when designing and developing the diagnostic tests. If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computer-based tests, it could be a good idea to make use of OMR answer sheet while using paper-based te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hed further light on the effects of diagnostic tests on the other various areas from reading, listening, writing, to spe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