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북지역 학교급식소의 급식운영 형태별에 따른 식품구매 및 품질관리 실태조사

        이미화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학교급식이 전면 확대 시행되기 이전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사항은 학교급식의 실시이었다. 그러나 학교급식이 전면 시행되자, 학생과 학부모는 학교급식의 질적 향상이라는 새로운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학교급식은 장기적으로 미래 사회를 위한 건강한 인간을 육성한다는 투자적 목적에서 국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사업으로 시행되고 있어, 다른 급식 유형과는 차별되는 특성을 가진다. 학교급식은 성장 발육기의 학생들에게 신체발달에 필요한 영양공급과 합리적인 식생활에 관한 지식 및 올바른 식생활 습관을 키우고자 하는 목적 하에 학교에서 일정한 지도목표를 설정하여 계획적으로 실시한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Lee JS 1999). 학교급식은 위생관리 부문, 시설, 설비관리부문, 영양교육부문, 식단관리부문, 교육·훈련관리 부문, 서비스관리 부문, 재무관리 부문 등의 여러 요소들이 하부 기능으로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라는 측면에서, 학교급식 관할 부서의 일관성 있는 감독 및 지원을 통해 학교급식의 질적인 면에서 그 수준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JR 2002). 그러나 학교급식 운영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요자의 적은 부담으로 질 높은 급식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학생과 학부모가 희망하는 학교급식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책수립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학교급식 운영의 내실화로 양질의 우수 식재료의 선정과 구매가 대두되면서 식재료 선정과 조달과정의 효율성 및 투명성 확보를 위한 생산자 단체 직거래 및 지역별 공동구매 등 식재료 조달방법의 다양화가 시도되고 있다. 각 학교에서는 급식소위원회를 구성하여 대상업체 선정 시 방문평가를 통하여 심의할 수 있으며, 입찰참가, 업체설명회 개최 등을 통하여 업체를 선정할 수가 있다. 또한 허가증, 품목제조보고서, 자가품질 검사성적서 등을 업체로부터 받아서 영업소의 안정성관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학교급식용 축산물에 대하여서는 식품검수 시에 ‘도축검사증명서’ 및 ‘축산물등급판정확인서'를 확인하여 사본을 첨부·보관하고 있다. 검수 시에도 이전처럼 영양(교)사 혼자 검수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관리자, 영양(교)사, 조리원, 학부모 등 다양한 참여를 통해 보다 안정한 식품을 납품받고자 노력하고 있다. 적합한 품질의 식재료가 구매되지 않는다면 그 다음의 생산과정에서 품질문제를 수정할 방법은 없고 원재료의 품질상태는 최종 생산품의 품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학교급식 운영의 내실화와 수요자 중심의 학교급식 운영을 위해 학교급식의 식재료 선정 및 구매, 검수가 포함된 구매관리(공급업체선정/시장조사/발주/검수/저장 및 출고/원가관리)부분을 효율화하는 것이 학교급식 질 향상과 안정성 확보의 선제조건이 될 것이다(양일선 2004). 그러나 HACCP의 운영체제가 적용되었지만 식중독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식재료 품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품질검사 제도가 도입되고 품질표시 및 인증제도가 실시되고 있으나 영양(교)사의 인식과 학교급식에서의 활용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더욱이 식재료 품질기준 설정은 학교급식의 질적 관리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임에도 임경숙 (2004)의 조사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이 부족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의 초·중·고등학교 급식소의 식재료 구매관리 및 품질관리 실태를 급식운영 형태별로 조사하고자 한다. 본 조사에서는 학교급식 구매담당자인 영양(교)사의 식재료 품질기준 인식 및 활용정도, 구매관련 조직간 협력체계에 대한 인식 정도 등 식재료 구매 관련 품질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급식 품질 향상을 위한 구매관리 효율화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od purchasing management practices and dietitians' awareness on food quality standards, use of food purchasing guidelines(food quality guidelines, supplier selection criteria), and organizational collaboration related to purchasing at school food service. A total of 256 dietitians working at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were surveyed and 205 in Jeonbuk area responses were returned. Excluding responses with significant missing data, 205 responses(8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nd commissary's food purchasing management practices or dietitians' awareness on food quality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 1. Number of co-chef and total meal cos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onventional than those in commissary foodservice way(p<0.001). 2. Type of suppli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by type of foodservice with a processed items(p<0.01) and Kimchi(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type of foodservice with a number of suppliers(p<0.001). 4. Contract period showed not significantly about 'fresh produce', 'meat/poultry', 'seafood', 'processed items' and 'Kimchi' by type of foodservice. 5. Methods of market studies was used mostly performed individually both conventional and commissary foodservice way. 6. In general, use of food purchasing guidelines in school foodservice were used well at the schools ; 'manufactures' permits before purchasing' and 'production permits for food items before purchasing' were significant difference(p<0.01) by type of foodservice. For improving food procurement management, standardized food quality and purchasing criteria need to be developed. As the demands on high quality standards and implement effective and creative purchasing methods.

      •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이미화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이미화 동신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지도교수 : 최진아)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알아보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따라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가 차이가 있는지, 더 나아가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학교폭력 피해경험,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의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데이터 중 7차년도(2017), 15∼19세 고등학생 1,253명을 대상으로 t-검증, 상관관계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ㆍ무에 따라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에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이들 변인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삶의 만족도와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다문화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에 개인의 내적 요인인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이 상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신체적 자아개념,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통제한 상태에서 분석하였다. 이때 삶의 만족도에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상담 및 개입에서 신체적 자아개념 및 자아존중감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상담 시 자아존중감, 신체적 자아개념을 증진시켜 준다면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relationship among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physic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Lee, Mi hwa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Dong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dvisor Professor: Choi, Jin A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among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physic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2017).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1,253 multicutural youth attending high school.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s,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eenagers with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had lower physical self-concepts, self-resp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an teenagers who had no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Second, we looked at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respect on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s in their lives. First, after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life,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respect.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teenagers' lives is related to the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respect, which are internal factors of individuals. Next, the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was controll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esteem on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s' lives. At this tim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respect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Therefore, vari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mote physical self-concepts and self-respect in counseling and intervention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youths' lives. In particular, if self-respect and physical self-concepts are promoted when counseling multicultural teenagers with experience in school violence, they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in life.

      • 스키지도자의 지도유형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미화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struction efficiency (instruction satisfaction and internal motivation) of ski instructors according to instruction types and effects of instruction types on instruction efficiency. To achieve such study objective, first this study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instruction types that reflec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ki instructors. Second, it analyzed differences in instruction efficiency between instruction types. Third, it def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 type and instruction efficiency. Total 234 subjets were pauticipated in the study. They answered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ning SPSS win ver.12.0. Based on such analysis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extracted: First, instructors showed partly different instruction type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That is, age influenced on the differences in training behavior and income level was related to their compensational behavior, training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Second, person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on the differences in instruction efficiency. That is, gender was related to the differences in internal motivation, perceived feeling of competence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Income level had an influence on coach satisfaction and instruction satisfaction. Third, instruction types of ski instructors had an influence on instruction efficiency. That is, internal motivation interesting-pleasure and effort-importance influenced on compensational behavior and masterful behavior. Coach satisfaction effected on compensational behavior and training behavior while instruction satisfaction effected on compensational behavior, training behavior and social behavior. Technical satisfaction effected on compensational behavior and masterful behavior. 이 연구는 스키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지도효율성(지도만족과 내적동기)와 지도유형이 지도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현장에 적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키지도자의 지도유형의 차이,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지도효율성의 차이, 셋째, 지도유형과 지도효율성의 관계 등을 분석 : 규명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강습을 의뢰한 강습생으로 총2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tiful Regression Analysis)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연구가설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스키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즉 연령은 훈련적행동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소득수준에서는 보상적행동, 훈련적행동, 민주적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지도효율성에 차이를 보였다. 즉, 성별에서는 내적동기, 지각된 유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지도만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에서는 코치만족, 지도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키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지도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내적동기인 흥미-즐거움, 노력-중요성에는 보상적행동, 권위적행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도만족인 코치만족에는 보상적행동, 훈련적행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지도만족에는 보상적행동, 훈련적행동, 사회적행동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술만족에는 보상적행동, 권위적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완화와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이미화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의 경향성은 변화하는가? 둘째,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자기조절력은 변화하는가?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A초등학교 3학년 21명, B 초등학교 3학년 1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A 초등학교 3학년 21명, 통제집단은 B 초등학교 3학년 17명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은 A, B 초등학교의 학교특성상 3학년이 한 개반으로 이루어져 같은 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참여한 아동들에게는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주간 8회기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저학년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을 참고하여 연구에 맞게 재구성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Kendall과 Wilcox(1979)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척도(Self Control Rating Scale : SCRS)를 김문신(2002)이 자기보고식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한 총 33문항 중 권효정(2006)이 채택하여 사용한 척도 20문항을 재사용하였다.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는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아동용(만9~12세)으로 게임중독을 특징짓는 핵심요소를 추출하여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간편형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계수를 산출하고, T-test로 통계적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의 경향성이 완화된 것으로 효과적이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보다 자기조절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인터넷 중독예방 프로그램이 아동의 인터넷 게임중독의 경향성을 감소시키고, 자기조절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한 특정지역의 일부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표집의 대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없으므로 통계적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for an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after performing the program, analyze the effect and set up 2 study issues as following. First, are there any tendency changes could be found among the subjects after their participation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Second, are there any self-regulation changes shown among the subjects after their participation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From Schools in Gapyeong-gun, Gyeonggi-do, School "A" : 21 of 3rd grader for the experiment group, School "B" : 17 of 3rd grader of B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s are consisted of students from the same class of 2 schools. For the experiment group, given 8 sessions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in 4 weeks during the school free activity hours. The given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is revised from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s of "a Korean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7" to meet needs of the study. I reused the criteria 20 question among the total 33 questions of Gwon Hyo-Jeong (2006) using Gim Mun-Sin's (2002) measuring tool as modified own adjustment ability that Kendall and Wilcox (1979) developed for school children (Self Control Rating Scale : SCRS). And for the game addiction measuring, simple measuring tool with 20 question are used which was developed by Korean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and Promotion, 2006 for the children aged 9-12. Along the study,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rocessing collected data with SPSS 13, Cronbach' used for the verification, and T-test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 conclusion to have brought dow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a discussion by a foundation is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s, after participate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shown tendency changing as a result of the program participation. Second, there are self-regulation changes showing among the subjects than the control groups as a result of their participation of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Consequently,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ve program decreases tendency of the Internet game addiction of the children, and improves self-regulation.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e statistical results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of the specific region that I selected voluntarily.

      •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장식문양 분석 : 동, 식물 문양을 중심으로

        이미화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specializes in Plant decoration patterns and Animal decoration patterns among the ancient tomb murals of Goguryeo revealing the commencement of Korea's decoration. This research not reproduces myth and religion of those ancient or unrealistic superstitious art, but finds a significant symbol factor of nation after understanding the essence and meaning of culture included in that. After aesthetic sense of ancestors had had a new understanding through the ancient tomb murals, it approached the research finding consciousness which sublimated it in art. Patterns not only were a method of communications and a role of phrase but also became a source of all formative arts that the mankind accomplished during the time. Because patterns are similar to language or letter, they have been peculiarity language following environment in which that nations have lived for a long time. Namely Traditional patterns were 2nd nature that collective value and sentiment of one nation presented by a common idea or arts which is expressed by symbolic sign. The old tomb arts of Goguryeo were a part of Goguryeo's history that gives a vivid description of ancient life and Large complete encyclopedia of ancient times society. We examined carefully the society customs, culture developmental level, architecture style of Goguryeo and Goguryeo's religion, faith. As being deepened constantly in history research of Goguryeo, the value and influence of the old tomb arts will increase as time goes by. I'd like to inform the world of ancient patterns in the future. Never finishing it, I hope, ancient pattern will be progressive.

      •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이미화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effect of it on all fields and sub-fields of Career Maturity and when the Holl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used in Middle school class. The hypotheses of the study were followed. The Holl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would affect on enhancing all fields and sub-fields of career matur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 students of the 3rd grade students of "C" middle school in Uljoo, Ulsan. Among them, 20 students belong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0 students belong to a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Holl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was performed 10 sessions by instruction method but the control group was not.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was; 'Career Maturity Inventory"(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al & training, 2001). To test hypotheses, ANCOVA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ed. First, the level of all fields of the career maturity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ntrol. Second, the level of the attitude of career maturity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ntrol. Third, the level of the ability of career maturity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ntrol. Fourth, the level of the behavior of career maturity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est score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ntrol.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e Holland Career Exploration Program can be used as an effective way in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본 연구는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창의적 재량 수업시간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였을 때 진로성숙도 전 영역 및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진로성숙도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인가? 이 연구 문제에 따라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총점과 그 하위영역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재 C중학교 3학년 중에서 두 학급을 선정(각각20명)하여 각각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만 총 10시간의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당해 학교 교실에서 연구자가 직접 수업형식으로 실시하였고, 그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은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 수정된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전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행동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학생들이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경험함으로서 진로에 대한 태도, 능력,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본 연구는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창의적 재량 수업시간에 중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였을 때 진로성숙도 전 영역 및 하위영역인 태도, 능력,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진로성숙도 전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인가? 이 연구 문제에 따라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총점과 그 하위영역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위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울산광역시 울주군 소재 C중학교 3학년 중에서 두 학급을 선정(각각20명)하여 각각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만 총 10시간의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당해 학교 교실에서 연구자가 직접 수업형식으로 실시하였고, 그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은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고,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 수정된 사후검사 점수에 대한 공변량분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실험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전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태도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능력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행동 영역에서 평균의 상승과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학생들이 Holland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경험함으로서 진로에 대한 태도, 능력,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치원 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미화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영어유치원과 일반유치원 유아 영어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에 관한 정의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영어유치원 2곳과 일반유치원 2곳, 총 4개의 유치원의 부모 102명과 유아학습자 11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부모의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 등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와 유아의 정의적 특징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유치원의 부모들과 일반유치원의 부모들 모두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매우 높은 반면, 가정에서의 지도 방법에 대한 인식은 그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유아를 상대로 영어를 교육하고 있는 유치원에서는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에서의 영어 지도 방법에 대한 교육이나 안내서를 활용한다면 더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영어유치원과 일반유치원 유아의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특징을 비교해 본 결과, 두 유치원의 학습자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유치원의 영어수업시간이 아동의 정의적 영역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즉 유아 영어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단순히 학습시간을 늘리는 것보다 유아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를 반영한 수업방법과 내용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f early English education and children's level of interest, attitude, anxiety, and self-esteem in English and general kindergarte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was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ir expectation, interest, and support for early English education. The questionnaire for children included items that measured their level of affective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one hundred two parents in four different kindergartens and also to a total of one hundred seventeen children in two English kindergartens (fifty three students) and two general kindergartens (sixty four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in both English kindergartens and general kindergartens showed high expectation about English education at an early age. However, they did not seem to know how to provide proper help for their children at hom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ldren of the English kindergartens and those in the general kindergartens in terms of their interest, attitude, anxiety, and self-esteem in learning English. It suggests that the amount of class time may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children's level of affective facto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quality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and the teacher's teaching methods might play a far more important role in children's learning proces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parents need to be aware of English learning strategies so that they can provide proper support for their children's lear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