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매설가스배관의 비탄성 내진해석을 통한 지진취약도 평가

        이두호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세계 각국에서의 지진 및 자연재해로 인해 구조물의 내진성능평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지진의 주요특성인 불확실성을 반영한 확률론적 내진성능평가 방법인 지진위험도 해석이나 지진취약도 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이중 지진취약도 해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진취약도 해석은 1980년대 초 원전구조물의 확률론적 지진 안전성 분석을 위해 개발되었으며, 최근에는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일반 토목구조물에도 적용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매설가스배관인 API X65의 내진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API X65 매설가스배관에 대해 지진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3가지 경우의 배관 해석모델에 대해, 12본의 다양한 지진파를 0.1g 등간격으로 스케일링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한후,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으로 얻어진 매설가스배관의 단부에서의 최대변형률을 이용하여 지진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취약도 해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 지반조건, 단부지점조건, 매립깊이, 배관 두께, 배관 길이, 배관의 크기, 및 배관형태 등을 변수로 고려하여 지진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취약도 해석결과, 지반조건, 단부지점조건, 매설배관길이 및 매립깊이는 매설가스배관의 지진취약도 해석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설가스배관의 내진성능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지반조건이나 매설배관의 길이가 미치는 영향은 다른 변수에 비해 다소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두 변수특징에 대해서는 시공 시 내진설계에 더 많은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배관형태나 배관두께가 취약도 곡선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매설가스배관의 지진 취약도 해석과 관련된 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 결과는 매설가스배관의 지진취약성 평가해석에 초석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고, 추후 관련분야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paper, inelastic seismic analyses have been comparatively time-history carried out for 23 different analytical models of a buried gas pipeline in terms of the selected 12 sets of earthquake ground motions with 0.1g of scaling interval. Then, earthquake fragility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using the maximum axial strain of the pipeline obtained from the nonlinear time-history analyses. Parameters under consideration for subsequent earthquake fragility analyses are soil conditions, end-restraint conditions, burial depth, pipe size, pipe length, pipe thickness and a type of the pipeline. Comparative analyses reveal that whereas the first three parameters influence the fragility curves, particularly soil conditions and pipe length amongst the five parameters, the last parameter has a little effect on the curves. In all, the present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benchmark fragility analysis of a buried gas pipeline in the absence of earthquake fragility analysis of the pipeline and thus is expected to be a useful source regarding earthquake fragility analysis of the buried gas pipeline.

      •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 자세가 심폐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두호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urpos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ositions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on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15 healthy male subjects aged 20 to 29 were participated in experiment. Depending on positions(supine, sitting, and forward-leaning trunk) randomly arranged after maximal exercise, the cardiopulmonary function was assessed until returning to a steady state by using metabolic gas analyzer and sphygm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e oxygen uptake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forward-leaning trunk,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pos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Second, The minute ventilation decreased in the order of the forward-leaning trunk,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In particula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ward-leaning trunk position at a 5-minute recovery perio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pos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piratory frequency according to positions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pos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Fourt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rt rate according to positions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each position at the time of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forward-leaning trunk position decreased in VE and VO2. Especially, forward-leaning trunk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E at a 5-minute recovery period. This result means that forward-leaning trunk position helps the capability of ventilation for cardiopulmonary function during the recovery period after maximal exercise, so it can make a quick recovery of the pulmonary system after maximal exercise.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a load of the respiratory function, correct positions need to be applied after a variety of high-intensity exercises. Also, in terms of the clinical approach to recovery after exercise, a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time period of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자세에 따른 심폐기능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의 효과적인 자세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20대 남학생을 대상으로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바로 누운 자세, 앉은 자세, 앞으로 기댄 자세 방법으로 무작위 배치하여 안정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호흡가스대사분석기와 맥박측정기를 이용하여 회복기 심폐기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자세에 따른 산소섭취량에서 앞으로 기댄 자세, 앉은 자세, 바로 누운 자세 순으로 감소가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측정시점에 따라서는 각 자세마다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2.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자세에 따른 분당환기량에서 앞으로 기댄 자세, 앉은 자세, 바로 누운 자세 순으로 감소가 나타났으며, 회복기 5분에서 앞으로 기댄 자세가 앉은 자세와 바로 누운 자세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측정시점에 따라서는 각 자세마다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3.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자세에 따른 호흡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점에 따라서는 각 자세마다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4.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동안 자세에 따른 심박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측정시점에 따라서는 각 자세마다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앞으로 기댄 자세는 회복기동안 분당환기량과 산소섭취량의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회복기 5분에 분당환기량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기댄 자세가 최대부하운동 후 회복기 심폐기능 중 환기능력에 영향을 끼치어, 강도 높은 운동 후 호흡계의 빠른 회복을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강도 높은 운동 후 호흡기능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자세를 위하여 적용되어야 할 것이며. 운동 후 회복에 대한 임상적 접근에서 앞으로 기댄 자세의 기간이나 제공되는 환경 등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옥상녹화 표면의 온도 분포 분석 및 단열성능에 관한 연구

        이두호 세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solution for climate changes and global warming is being emphasized as years go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foresaw that the sea level would rise to 60 to 90 cm around 2100,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Arctic ice on February 2013 measured by the NASA, over half of Arctic ice which even covered Alaska in the early 1980s, has disappeared. Under this background, currently, it is urgently required in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ield to reduce the use of fossil energy which is the leading cause of global warming and to expand and use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green roof is being suggested as one of alternatives. Seoul City has also implemented the 'Green Roof Support Project' to cut carbon emissions in the city and create green spaces, and energy saving and green city planning of the whole city has been established in cooperation with industries, buildings, transportation, water circulation project and greening project. Nevertheless, global warming is still getting more serious and damage by natural disasters is increasing and the destruction of natural ecosystem caused by urban development is leading climate changes in cities in addition to the shortage of green area and urban heat island. In particular, urban heat island makes the tropical night in the summer lasts, and it is causing a vicious cycle by falling the quality of life and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For such reason, the government has been enforcing a system which makes it mandatory to apply new and renewable energy to buildings, to lower the temperature. It has been known that a green roof installed in a building of the downtown area brings various effects such as relaxation of urban heat island, reduction of indoor temperature, protection of a building and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by lowe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a building roof more than a building without a green roo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reen roof on the reduction in temperature around the building, when it is applied, and isn't applied,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reducing cooling and heating ener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of the indoor ceiling, the floor surface of the roof and the top of the roof, based on the actual measurement of green roof and non-green roof, and conducted a simulation to analyze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and the wall joints and the changes in heat transmittance of each region. The results are as below. - The analysi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graph showed that the green roof reduced the temperature of the roof by 1 degree to 2 degrees, and the atmospheric temperature decreased by 1 degree to 3 degrees. As a result,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cutting the surrounding temperature. -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heat transmittance got lower at 0.02∼0.03W/m²K, and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d by 1 degree to 2 degrees. As a result, this prevented that temperature lowered due to cool air outside even in the winter, and the indoor temperature rose because of the low heat transmittance. -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the walls and the wall joints was respectively, 13.2 degrees, 9.11 degrees and 12.5 degrees, and in the case of the flat roof(non-green roof), it was respectively, 11.56 degrees, 8.63 degrees and 11.60 degrees. As a result, the green roof increase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op roof, the walls and the wall joints by 1.64 degrees, 0.48 degrees and 0.9 degrees, respectively. - Moreover, the result of the measured simulation revealed that when the green roof was appli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Sungkyunkwan University and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lative humidity was respectively, 65%, 50% and 62%, the dew point temperature was respectively, 13.2 degrees, 9.3 degrees and 12.5 degrees, and the mold growth value was respectively, 0.78, 0.65 and 0.76. As a result, the green roof showed a higher performance than the non-green roof. The results of the actual measurement demonstrated that the green roof cut cooling and heating energy of buildings by lowering the surrounding temperature, maintaining the indoor temperature and declining heat transmittance.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green roof would bring positive results by relieving urban heat island, reducing carbon emissions and expanding and develop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ere would be a need of long-term actual measurement of various kinds of green roof systems in order to obtain more specific and objective data. 기후변화 문제 및 지구온난화의 해결 문제는 해가 거듭 될수록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는 2100년경의 해수면 상승을 60∼90㎝로 예견했고,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측정한 2013년 2월 겨울 북극 얼음 크기를 분석한 결과 1980년대 초 알래스카까지 얼어 있던 북극 얼음이 절반 이상 줄었다고 한다. 이러한 배경아래 건물 및 도시 분야에서도 온난화 주원인인 화석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및 이용이 시급해진 현실로 옥상녹화도 그 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바, 서울시의 경우도 도시 내의 탄소발생을 줄이고 부족한 녹지공간을 만들기 위한 ‘옥상녹화 지원 사업’을 시행하여 산업, 건축물, 교통, 물 순환, 녹화 등의 복합적인 공조 아래에 도시 전체의 에너지 절약과 녹색 도시 계획이 확립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지구온난화의 심각성이 더해지며 자연재해 피해가 늘어나고 있으며, 도시 개발에 의한 자연생태계 파괴로 녹지대의 부족, 도시 열섬현상 등의 도시지역 기후변화라는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는 열섬현상으로 인해 여름철 열대야 현상이 지속되어 삶의 질 저하와 에너지 소비 증가의 악순환이 계속된다. 이에 정부는 건축물에 신·재생에너지 적용을 의무화 등의 제도를 통하여 온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도심지 건축물에 옥상녹화를 조성한다면 녹화에 의해 건물의 옥상 표면온도가 비 옥상녹화보다 낮아지면서, 그에 따라 도시 열섬화 현상 완화 및 실내 온도 저감, 건축물 보호, 미관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건축물에 옥상녹화를 적용 할 경우와 그렇지 않을 경우의 건물 주변 온도 저감효과와 그에 따른 냉·난방에너지 절감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목적 수행을 위한 연구 내용은 녹화 및 비 녹화 지붕에 대한 실측을 바탕으로 실내 천장부와 옥상 바닥면, 옥상상부 대기온도를 비교·분석하고, 아울러 옥상층과 벽체 접합부 표면온도 그리고 그에 따른 부위 열관류율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시행 하였다. - 온도분포그래프 분석으로 옥상녹화의 적용 시 옥상 부는 1∼2℃의 낮은 온도로 온도저감효과를 보이고, 대기 온도 또한 1∼3℃ 낮게 측정되어 주변 온도 저감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열관류율의 경우 옥상녹화 적용 시 0.02∼0.03W/m²K의 열관류율 값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온도 또한 실내 1∼2℃ 만큼의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겨울철에도 실외 찬 공기로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며 실내는 낮은 열관류율 값을 통해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옥상층과 벽체의 접합부위의 표면온도로 옥상녹화는 각각 13.2℃, 9.11℃, 12.5℃로 나타났고, 비 옥상녹화(평지붕)도 각각 11.56℃, 8.63℃, 11.60℃의 온도를 나타나며 옥상녹화를 적용했을 때 1.64℃, 0.48℃, 0.9℃의 온도 상승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또한 측정된 시뮬레이션 분석한 결과 헌법재판소, 성균관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각각 상대습도 65%, 50%, 62%, 노점온도 13.2℃, 9.3℃, 12.5℃, 곰팡이 발생 수치 계산 값은 0.78, 0.65, 0.76으로 비 옥상녹화 지붕일 때 보다 성능 향상을 보였다. 실측을 통하여 옥상녹화를 적용한 건축물에서 주변 온도 저감과 실내 온도 유지, 열관류율 값이 낮아져 냉·난방에너지 절감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옥상녹화의 확대 보급으로 도시 열섬현상 완화, 탄소 저감,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발전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의 구체적이며 객관적 데이터 확보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옥상녹화 시스템에 대해 장기간에 걸친 실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세운상가에 대한 도시·건축적 재해석

        이두호 경기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운상가’는 1960년대 한국 근·현대사회로의 전환기에 박정희의 ‘조국근대화’에 대한 열망과 김현옥의 ‘불도저식 사업 추진력’ 그리고 김수근의 ‘새로운 건축적 실험정신‘이 일궈낸 한국 최초의 도시형 복합건축물이다. 1967년 건설 된 세운상가는 당시 급변하는 한국적 상황 속에서 시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평가를 받았으나, 오늘날에는 도심의 흉물스런 건축물로서, 도시를 단절시키는 원흉으로서 최악의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세운상가에 대한 평가는 주로 1970~1980년대 한국사회의 도시적 상황과 건축적 패러다임을 위주로 평가되어 세운상가의 역사적 가치평가에 대해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1960년대 말 한국의 경제 성장기에 삼일고가도로, 삼일빌딩과 함께 한국 근대 도시화의 상징이었던 ’세운상가‘에 대한 도시․건축적 가치평가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을 통해 세운상가의 가치를 도시·건축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두호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 두 호 (지도교수 양 영 애) 인제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에 종사하고 있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설문지를 통하여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수준을 파악하고, 두 요소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에 대한 예방 및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부산·경남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설문지를 작성하여 2015년 7월 10일부터 2015년 9월 10일까지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 하였으며, 배포된 300부의 설문지 중 미수거 또는 미완료된 항목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회수된 203부(67.67%)를 독립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직무스트레스를 적으면 작업능력은 높아지는 것으로 결과가 분석되었다. 반대로 직무스트레스가 높으면 작업능력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만을 가지고 정확한 결론을 입증하는 데는 부족하지만 이 결과는 추후 직무스트레스와 작업능력의 상관관계 연구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주제어 : 직무스트레스, 작업능력, 작업치료사 Abstract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Lee Doo-Ho (Advisor: Yang Yeong-A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Research Objective : In this study, job stress and work ability of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were investigated based on a relevant questionnaire and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was examin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relevant issues. Research Method : From July 10 2015 until September 10 2015, occupational therapists who are registered in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work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related to job stress and work ability via post and e-mail. For the survey, 3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except uncollected or incomplete copies, 203 copies(67.67%) were finally analyzed based on Independent-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In other words, when job stress was low, work ability was high. By contrast, when job stress was high, and work ability was low. Conclusion : Alth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insufficient for drawing a definitive conclusion, it can provide positive help for future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Key words : Job Stress, Work Ability, WAI, Occupational Therapist

      • 자동차 통신을 위한 광대역 커넥터 최적화 연구

        이두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용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동차 안전제어용 무선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WAVE 통신 표준에서는 5,850~5,925MHz의 고주파 대역을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 통신모듈을 연결하는 파크라 커넥터는 삽입손실 증대로 인하여 사용이 불가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파크라 커넥터에 추가적인 수동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손실을 줄일 수 있는 나선형 구조의 신개념의 파크라 커넥터를 제안하였다. 나선형 구조의 파크라 커넥터의 설계인자 변경을 통하여 커넥터의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능동적 제어가 가능하였기 때문에 커넥터 삽입손실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신 개념의 나선형 파크라 커넥터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WAVE 주파수 대역까지 적용 가능한 6,000MHz에서 삽입손실이 -0.76dB로서 19%이상의 성능향상을 확인하였다.

      • 풍수관산기 작성방법론 연구 : 鄭夢周·李石亨 墓所의 事例를 中心으로

        이두호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Pungsu Gwansan-gi/風水觀山記 reports(Examination reports of Mountains' figures created from the Geomantic topographical point of view) have been created in various ways for a long time. It is by no means a negative thing for those reports to be made in a number of fashions. But basic elements must be included in those Pungsu Gwansan-gi reports, and certain rules must be abided by. In this thesis, suggesting a new methodology of creating a Pungsu Gwansan-gi report is attempted, as in today's atmosphere where the area of geomantic topographical studies are not regarded with respect and are not considered as a legitimate area of studies, it is important to launch an effort to reestablish and redefine the perimeters of Pungsu studies. And in order to secure details to make the discussion fruitful, the grave sites of Joe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which are generally regarded as Myeongdang/明堂 places, are examined in great details. First, the existing Gwansan-gi reports created for the grave sites of Jeo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a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upon such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in many cases some or many of the basic elements that should have been included in creating an appropriate Gwansan-gi report is actually missing. In order to establish new ways to create a Gwansan-gi report, basic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must be clarified beforehand. First, historical facts regarding the person in question should be verified and included. Second, the person's bloodline(家系圖), within the range of 10 generations(from the 5th ancestral grandmother[5代祖母] of the person to the person's descendants as far as 5 generations away[5世孫]) should be included. Third,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the geographic feature of the area(地形判讀) should be described in details. Fourth,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ed persons' lives(人事解釋) should be included.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our listed above should be the third, detailed geographical evaluation, and it is regarded with utmost importance in this study as well. There should be rules in assessing and evaluating the details of the geographical feature in question. The changes in mountain lines, Rae-Yongmaek/來龍脈 figure, areal figures(局勢), figure of the water lines(水勢), figure of the Hyeoljang(穴場勢) should all be examined and analyzed. They should all be displayed in detailed illustrations and pictures. During the analyzing process, changes that occurred in the Rae-Yong/來龍 figures, whether an Ibsu Dunwae/入首頭腦 figure exists or not, whether a Seonik/蟬翼 figure exists or not,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Jeonsun/纏脣, whether Gwisa/鬼砂, Yosa/曜砂 and Gwansa/官砂 exist or not, and the level of concentration of the Ansan/案山 figure and the Cheongryong/靑龍 & Baekho/白虎 figures, should all be examined and evaluated. Also, the influence that the flow of the water(rivers and streams) has or could have upon the Hyeoljang/穴場 should be assessed as well. In this thesis, all these matters will be examined, and represented in drawings and pictures. Geomantic topography, the Pungsu studies, should involve the interpretation of human lives(人事解釋) which tends to directly influence the people. In order to do such interpretation, 10 generations of bloodline of a person with the person in question at the center is required in creating a Pungsu Gwansan-gi report. The position or site of the grave of one's great grandfather and even great-great grandfather should affect the person's life, and the person's grave site and its position should hugely affect the lives of the person's descendants for generations to come. In this study,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human lives only basic principles are suggested, and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lives of beings related to Jeong Mong Ju and Lee Seok Hyeong are not presented. One of the reasons that geomantic topographical knowledges are neither regarded with enough respect nor treated as legitimate understanding of things is the aspect of Good luck/Bad luck(吉凶論) perspective inside the interpretation process and its outcome. Such interpretation could directly affect the descendants' lives who may be still alive, and naturally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life of a person who lived in the past could cause many problems in other (related) persons' lives in the present. Therefore, interpretations of human lives tend to be kept in secret and delivered rather secretly from one person to another('秘傳'). Overcoming this dilemma is crucial in reestablishing the academic boundaries of geomantic topographical studies. If the Pungsu Gwansan-gi reports could be created in various forms yet equipped with the rules and basic elements mentioned above, geomantic topography should be regarded as a field of studies in which scientific approaches, meticulous analyses and solid verification are all possible. 風水觀山記는 다양한 형태로 쓰여지고 있다. 다양한 형태라는 것이 반드시 부정적인 것만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풍수관산기라고 하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구성원칙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풍수연구가 아직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풍수학의 재정립을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풍수관산기 작성방법론을 모색해 본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내용의 구체성을 갖기 위하여, 흔히 明堂이라고 회자되는 정몽주, 이석형묘소를 중심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먼저 정몽주, 이석형 묘소에 대한 기존 관산기의 사례를 제시하고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검토를 통하여 관산기가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이 대단히 많이 생략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관산기의 모색으로 먼저 기본 구성요소는 1)대상 인물에 대한 역사적 사실 2)대상 인물의 家系圖(5代 祖母 - 5世孫까지) 3)구체적인 地形判讀 4)人事解釋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지형판독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도 이 점을 가장 중시하여 작성하였다. 구체적인 지형판독도 원칙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것은 山의 변화와 來龍脈, 局勢, 水勢, 穴場勢로 나누어 분석되어야 하며, 그것들이 각각 구체적인 지형도와 사진을 통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과정에는 반드시 山의 來龍 變化, 入首頭腦 존재 여부, 蟬翼의 여부, 纏脣의 응축 정도, 鬼砂 曜砂 官砂의 존재여부, 案山과 靑龍 白虎의 웅축 여부 등이 자세히 제시될 것이다. 아울러 물의 흐름이 穴場에 미치는 영향도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각각 분해하여 자세히 그림과 사진으로 제시해 보았다. 끝으로 풍수의 연구목적은 그것이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人事解釋 여부가 될 것이다. 이것을 위해 풍수관산기에는 위로 5代, 밑으로 5世까지의 家系圖가 필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高祖, 曾祖의 무덤영향이 나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역시 나의 무덤은 曾孫, 高孫에게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人事解釋의 경우 기본적인 원칙만 제시하였고, 정몽주, 이석형 묘소에 대한 구체적인 인사해석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사실상 풍수지식이 오늘날 정식 학문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인사해석의 吉凶論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지금 현재 살아있는 후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해석은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사해석은 秘傳으로 전수되는 경향이 많다. 앞으로 이 점의 극복 여부 또한 풍수학의 재정립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풍수관산기가 본 연구에서 제시된 원칙에 따르면서 다양한 형태를 갖춘다면 풍수지리는 분명히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해석됨으로써 학문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의 인체조각에 관한 연구

        이두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 1950-)는 당대 미술가 중 드물게 활동하는 인체조각가이다. 안토니 곰리의 작품은 현대미술의 다양한 특성을 모두 담고 있으면서도 전통적인 범주에서의 조각으로 분류되는 매우 독특한 위치의 인체조각이다. 안토니 곰리는 재현 중심의 전통적 인체조각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몸을 실물뜨기로 작업하였다. 실물뜨기를 한 조각은 세부형태를 제거하여 일반화된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내었다. 자신의 몸을 석고로 뜨는 과정에서 작가의 경험이 자리하게 되고, 인체조각을 통한 관람객의 경험까지도 작품에 끌어들인다. 또한 그의 작품은 놓이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인체조각의 새로운 흐름을 전개한 영국 조각가 안토니 곰리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연구하며, 작품을 통해 미술사적 의의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내용으로는, 우선 2장에서는 안토니 곰리의 작품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시대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환경, 신체, 관객의 참여를 통해 작품이 완성되는 모더니즘 미술의 주요이론들을 안토니 곰리의 작품과 연결시켜 알아보았다. 특히 안토니 곰리의 인체조각은 기존의 인체조각이 보여주던 것과 다른 특징이 있는데, 바로 서구 인간중심사상과 동양사상을 동시에 담고 있다는 것이다. 안토니 곰리의 인체조각이 새로운 의미로 나타날 수 있게 된 서구의 인간중심주의(Anthropocentrism) 및 위빠사나(Vipassana) 명상수련의 영향에 대해서 연구해보았다. 3장에서는 안토니 곰리 작품의 주요 특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안토니 곰리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신체용기(body-case)인데, 그는 자신의 몸을 석고로 뜬 후 석고형상의 외부에 납을 이용하여 신체의 세부형태가 사라진 인체조각을 만들었다. 여기에서 자기 자신의 몸을 뜨는 이유와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신체용기가 지니는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본다. 또한 납이 지니는 상징적 의미와 세부형태의 제거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또한 안토니 곰리는 관객들과의 직접적인 소통의 장을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몸을 몰딩한 작품을 통해 몸을 바깥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라고 여기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과 그 자신의 관계를 탐구하고 실험한다. 미술관 밖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인체조각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며, 관람자의 경험과 결합하여 완성된다. 또한 안토니 곰리의 인체조각은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장소에 들어가 장소의 역사성을 환기시킨다. 인체조각이 자리하고 있는 환경, 그 환경 속에 속해있는 관람자 사이에서 맥락화되는 작품들에 대해 다양한 해석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미니멀리즘과 모방전통의 인체조각에 의해 관념적이고 형식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던 조각의 흐름에서 관람자의 경험과 내적 성찰을 부각시키며 새로운 조각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안토니 곰리 작품의 미술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 전자투표 수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인, 공무원, 일반인 영향경로 비교분석

        이두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e era of information age, electronic voting (e-voting) is expected to work as a mechanism to realize advanced democracy. In terms of technology and social infrastructure required to adopt e-voting system, South Korea, an information technology power, is not behind any country that has already adoptede -voting. Korea's e-voting projects launched during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an attempt to introduce e-voting in public elections, have not made much progress due to lack of trust in e-voting system, lack of social consensus and disapproving attitude of politicians and civic organizations. In order to establish impact factors in adopting e-voting in public elections, this study polled politicians (congressmen, local councilme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and analyzed the survey to establish the dynamics of multi-dimensional aspects of policy acceptance,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that combines rational behavioral theory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lassifies e-voting policy impact factors into politico-social aspects and technological aspects, identifies the magnitude and pathways of impacts to establish differences between them, thus exploring th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voting policy.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organized a questionnaire to test the study model and conducted an empirical research using the survey results. The survey data used in this study are from three categories of subjects: politicians,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The statistical tools used in analyzing the data were SPSS 19.0 and AMOS 19.0, and the analytical results are as summarized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analytical results of technological statistics on selected variables of acceptance factors of e-voting,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olitical tendency, computer literacy, mobile literacy and innovative tendenc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mediator variables such as political trust, judicial trust, technological trust and cognition of usefulness of e-voting. Institutional trust (political trust, judicial trust),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the trust in the leaders of major state agencies, shows that, while judicial trust (trust in the Court, Constitutional Court and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was relatively high, political trust (trust in the President,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was low. Moreover, when compared with the trust in the ministr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the president and local government entities, the trust in the prosecution, police, the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turned out to be low. Techn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consensus were suggested as prerequisite conditio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voting, Second, for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the more conservative they are in their political attitude, the higher their trust in the politics and judiciary; the more liberal they are,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In addition, liberal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showed higher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due to their higher technological trust but showed lower judicial trust in the judgment and operation agent and lower political trust in the politicians. Third, considering the relatively high trust in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the operation agent of e-voting, it is fair to say that fairness and accountability, the key stones of e-voting operation, are already in place. Fourth, while many people responded that touch-screen voting system was easy to use, they also responde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dopt the internet or mobile voting system. In addition, concerning the adoption of e-voting, it turned out that they thought it more desirable to adopt an e-voting system tailored for the Korean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consensus. Fifth,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voter turnout,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in favor of combining both conventional paper voting and an e-voting system and chose touch-screen voting system as acceptable. Concerning the main cause of decreasing voter turnout, they chose political distrust and apathy; concerning the measures to increase voter turnout, they chose better-qualified candidates and enhanced civic awareness. Sixth, of all the population (politicians,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the higher the level of computer literacy, it turned out the higher their level of cognition of usefulness of e-voting; for politicians, the higher their level of mobile literacy, the higher their level of technological trust; for the general public, the higher their level of mobile literacy, the higher their level of cognition of usefulness of e-voting. Seventh, for politicians, the more innovative they are, the higher their trust in technology, cognition of usefulness, political and judicial trust; for government officials, the more innovative they are, the higher their trust in technology, cognition of usefulness, political and judicial trust and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for the general public, the more innovative they are, the higher their cognition of usefulness and political trust. Eighth, for politicians, the higher their technological trust and cognition of usefulness,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for government officials, the higher their judicial and technological trust and cognition of usefulness,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for the general public, the higher their political trust and cognition of usefulness, the higher their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Ninth, regarding the pathway that political tendency have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for the general public, political tendency showed to have mediation effect, while there seem to be no mediation effect on the part of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Concerning the pathway that political tendency has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for government officials, political tendency showed its mediation effect. Concerning the pathway that political tendency has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it turned out that technological trust has on mediation effect on all the politicians,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pathway between literacy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technological trust showed mediation effect for politicians only. Concerning the pathway between the innovativeness and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technological trust showed mediation effect for politicians and government officials, while showing no such effect for the general public. Regarding the pathway between the literacy in information technology/innovativeness and the willingness to accept e-voting, it turned out that cognition of usefulness has mediation effect. Theore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character of e-voting initiative is not simply a part of e-government policy but a state constituting initiative with strong political nature, thus e-voting acceptance model requires a new consolidated model that includes policy acceptance factors, because it cannot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oting acceptance factors between politicians and the general public, and so were in their pathways. These facts can be the evidence that shows the validity of this study that analyzed the implementation e-voting initiative in two-dimension of voluntary acceptance and involuntary acceptance. These facts also imply that, while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f politicians can be examined along the continuity of policy decision, for the general public, their compliance with a policy depends ultimately on their trust in politic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for politicians, major impact factors in accepting e-voting turned out to be political tendency of conservatism and liberalism, technological trust and their cognition of usefulnes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achieve politicians’ consensus on accepting e-voting, it is important to achieve trust in the technological stability of e-voting, social consensus on the usefulness of e-voting and trust in the agency in charge of operation of e-voting system. Second, for the general public, their political trust (president, National Assembly and political parties) and cognition of usefulness of e-voting (its convenience, easiness and trust in the expectation on increased voter turnout) turned out to be decisive factors in accepting e-voting. For this reason, it is important to realize trustworthy political culture. In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and adoption of e-voting,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publicize advantages of e-voting, including voter convenience (location of voting place and flexibility of voting time), so that people could feel the usefulness of e-voting. 전자투표는 정보화 시대에 걸맞는 선진민주주의의 실현 기제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강국인 우리나라는 전자투표의 도입에 필요한 기술적인 면이나 사회적 인프라의 측면에서 이미 전자투표를 도입한 국가에 비하여 결코 뒤지지 않는다. 그러나, 참여정부 이래 공직선거에 전자투표를 도입하기 위하여 추진해 오던 전자투표사업은 전자투표시스템에 대한 신뢰부족과 사회적 합의부재, 그리고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의 부정적인 시각이 크기 때문에 진전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직선거에 전자투표를 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정치인(국회의원, 기초자치단체의원, 광역자치단체의원), 공무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후, 합리적 행동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결합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여 정책수용의 역동성을 다차원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투표 정책수용의 영향요인을 정치사회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그 영향력의 크기와 경로를 파악하고 차별성을 규명하여 전자투표의 정책수립 및 집행과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모형 검증에 필요한 설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실증연구는 연구대상을 정치인, 공무원,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19.0 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투표의 수용요인으로 선정된 변수와 관련된 기술통계 분석결과를 보면, 독립변수인 정치적 성향, 컴퓨터 활용능력, 모바일 활용능력, 혁신성은 매개변수인 정치신뢰, 사법신뢰, 기술신뢰, 전자투표의 유용성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국가 주요기관 등의 리더에 대한 신뢰도 확인을 통하여 제도신뢰(정치신뢰, 사법신뢰)를 파악한 결과, 연구대상 모두의 정치신뢰(대통령, 국회, 정당에 대한 신뢰)는 낮았고, 사법신뢰(법원, 헌법재판소, 선관위에 대한 신뢰)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중앙정부부처, 대통령,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검찰ㆍ경찰, 국회, 정당에 대한 신뢰가 낮았다. 전자투표 제도화의 선결과제로는 기술적 안정과 사회적 합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정치인과 공무원의 경우,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 일수록 정치신뢰와 사법신뢰가 높았고, 진보적 일수록 전자투표의 수용도가 높았다. 또한, 진보성향의 정치인과 공무원이 기술신뢰가 높아 전자투표의 수용에 적극적이었으나, 전자투표제도의 심판ㆍ운영주체에 대한 사법신뢰와 정치권에 대한 정치신뢰는 낮았다. 셋째, 전자투표제도의 운영주체인 선관위에 대한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향후 전자투표제도 운영의 관건이라 할 수 있는 공정성과 신뢰성은 상당부분 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많은 사람들이 터치스크린방식의 전자투표가 용이하다고 하였지만, 실효성 있는 전자투표의 도입을 위해서는 인터넷투표나 모바일투표로의 제도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아울러 전자투표의 도입은 기술적 안정과 사회적 합의를 토대로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전자투표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다섯째, 투표율 제고를 위하여 기존의 종이투표와 전자투표를 병행하자는 의견에 대하여 연구대상자의 과반수 이상이 찬성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도입 가능한 전자투표방식은 터치스크린 투표를 들었다. 투표율 감소의 주된 원인은 정치 불신과 정치적 무관심을 들었고, 투표율 제고방안으로는 후보자의 자질향상과 국민의식 개선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연구대상(정치인, 공무원, 일반인) 모두 컴퓨터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전자투표가 유용하다고 인지하였고, 정치인의 경우 모바일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기술신뢰도 높았으며, 일반인의 경우 모바일 활용능력이 높으면 전자투표에 대한 유용성인지가 높았다. 일곱째, 정치인의 경우 혁신성이 높으면, 기술신뢰, 유용성인지, 정치신뢰, 사법신뢰가 높았고, 공무원의 경우 혁신성이 높으면, 기술신뢰, 유용성인지, 정치신뢰, 사법신뢰, 전자투표의 수용도가 높았으며, 일반인의 경우 혁신성이 높으면, 유용성인지, 정치신뢰가 높았다. 여덟째, 정치인의 경우 기술신뢰와 유용성인지가 높으면, 전자투표의 수용도가 높았고, 공무원의 경우 사법신뢰, 기술신뢰와 유용성인지가 높으면, 전자투표의 수용도가 높았으며, 일반인의 경우 정치신뢰와 유용성인지가 높으면, 전자투표의 수용도가 높았다. 아홉째, 정치적 성향이 전자투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일반인의 경우에는 정치신뢰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정치인과 공무원에게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정치적 성향이 전자투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공무원의 경우에는 정치신뢰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정치적 성향이 전자투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기술신뢰는 정치인, 공무원, 일반인 모두에게 매개효과를 가지지 못했고, 정보기술 활용능력과 전자투표의 수용도 경로에서 기술신뢰는 정치인만이 매개효과를 가졌다. 혁신성과 전자투표의 수용도의 경로에서 기술신뢰는 정치인, 공무원의 경우에 매개효과를 가졌으나, 일반인의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정보기술 활용능력과 혁신성이 전자투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용성인지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보여준 이론적 시사점은, 첫째, 전자투표정책의 특성은 국가체제의 구성정책으로서 단순한 전자정부정책이 아니고 정치적 성격이 강한 정책으로 평가할 수 있었고, 전자투표제도의 수용모형은 기존연구에서 제시한 정책수용과 기술수용모형으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기존 연구모형을 응용한 통합연구모형의 구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치인과 일반인의 전자투표 수용요인에는 상당한 차이점이 나타났고, 그 경로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이는 전자투표정책의 집행을 자발적 수용과 비자발적 수용의 이론에 의해 2차원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방향이 타당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정치인들의 정책집행과정은 정책결정의 연속선상에서 규명될 수 있었고, 일반인의 경우는 결정된 전자투표제도를 단순히 수용하게 되지만, 궁극적으로 정치권에 대한 신뢰수준에 따라 순응여부가 결정됨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정치인의 경우 전자투표 수용의 중요한 영향요인은 보수 진보의 정치적 성향과 기술신뢰 및 유용성 인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자투표제도의 도입에 있어 정치권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자투표의 기술적 안정성에 대한 신뢰와 전자투표의 유용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그리고 전자투표 시스템을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주체에 대한 믿음이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일반인의 경우 정치신뢰(대통령, 국회, 정당)와 전자투표의 유용성(전자투표의 편리성, 용이함, 투표율 제고 기대 등에 대한 믿음)을 인지하는 것이 전자투표의 수용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정치문화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자투표의 유용성에 대하여 국민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투표의 편리성(투표장소의 자유화, 투표시간의 유연화) 등의 장점을 중점적으로 부각시켜 홍보하는 것이 사회적 합의 기반조성과 전자투표의 도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