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운율 경계를 통한 한국어 말하기 학습안 연구 : TV 뉴스를 활용한 쉐도잉 방법을 중심으로

        이단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실제 한국 TV 뉴스를 활용해 6급 이상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TV 뉴스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안 모형은 TTT 모형을 바탕으로 변경시키고 ‘훑어 읽기(survev)', '내용파악’, ‘리스닝(Listening)', ‘쉐도잉(shadowing)’의 학습 순서대로 학습하게 한다. TV 뉴스 선정 기준대로 7편 TV 뉴스를 선정하고 나서 TV 뉴스를 학습자료로 진행하는 학습안을 검증하기 위해서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 5명을 대상으로 35일 동안의 실험을 한다. 음성분석 프로그램으로 분석해 낸 운율 경계에 의하여 발화의 휴지, 억양, 강약 등 바탕으로 된 운율단위대로 학습자들이 리듬감 있게 발화할 수 있도록 쉐도잉 훈련법으로 연습을 많이 하고 나서 학습자의 변화를 대조한다. 실험 후의 설문조사, 한국어 교사의 전문적인 평가 결과 및 온라인 채팅방의 토론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을 알 수 있다. 본고의 학습안대로 공부하면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한국어 원어민처럼 리듬감 있게 발화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online learning method that can improve the speaking ability of Korean by using Korean TV news. The Korean learner model using TV news is changed based on the TTT model, and it is learned in order of learning of 'survev', 'content grasp', 'listening', and 'shadowing' . In order to validate the lecture to select the TV news as the TV news selection criteria and then to use the TV news as the learning material, the experiment is conducted for five days for 35 Chinese advanced learners. By contrasting the learner 's changes with the rhythmic shadows training method so that learners can rhythmically speak according to the rhythm of utterance, intonation, and intensity based on the rhythm boundaries analyzed by the speech analysis progra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een based on the questionnaire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professional evalu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discussion contents of the online chat rooms. By studying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possible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o speak rhythmically like native Korean speakers.

      • 韓·中 유아다문화교육의 최근연구 동향

        이단 한국침례신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과 근접한 중국의 다문화 교육 동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과 중국의 상호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육에 대한 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통해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최근 5년 동안(2016년~2020년)의 논문을 한국교육학술 정보원(http://www.riss.kr) 및 중국의 知网에서 검색을 활용했다. 먼저, ‘다문화’와 ‘유아’ 또는 ‘유아 다문화 교육’을 주제어로 검색하였으며, 상세검색으로 2016-2020 키워드로 검색하여 총 석·박사 학위논문 230편과 학술지 152편 1차로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제목과 초록을 모두 검토한 후 연구대상 중 ‘영아(0-2세)’, ‘유아 6세 및 이상’ 대상을 포함하고 있는 논문을 제외하고 총 석·박사 학위논문 78편과 학술지 65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주제별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에서는 철학 및 발달에 관한 연구가 총 83편(76.15%)으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중국에서는 교수방법에 관한 연구가 총 29편(85.29%)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대상별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유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중국은 문헌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방법별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양적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유아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한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중국은 질적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과 중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자료분석 방법별 동향을 비교해 보면, 한국은 양적 자료분석 연구가 86%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반면 중국은 문헌 자료분석 연구가 57%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첫째, 한국과 중국 두 국가 모두 연구주제에서 보다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하며, 특별히 정책 및 평가에 관한 연구가 국가적 차원에서 보다 거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중국은 연구대상에서 문헌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유아, 교사 등과 같은 사람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며, 한국과 중국 두 국가 모두 다문화 교육에 관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지역사회와 국가 등 연구범위가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과 중국 두 국가 모두 연구방법에 있어 보다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한국은 자료분석 방법에서 양적연구에 편중되어 있고, 중국은 문헌연구에 편중되어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자료분석 방법을 사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change of education on earl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by looking at the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ina close to South Korea.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is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establishing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olicies for children in South Korea and Chin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i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papers for the last 5 years (2016-2020) in the South Korea Riss(http://www.riss.kr) and the CNKI in China. First, ‘multicultural' and ‘young children' 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earched as the main words, and a total of 230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152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by searching with 2016-2020 keywords. Among them, after reviewing both the title and abstract, a total of 78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65 academic journals, excluding thesis containing the subjects of ‘Infants (0-2 years old)' and ‘6 years old and older than 6' The piece was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studies on philosophy and development were the most active in South Korea, with a total of 83 articles (76.15%), while studies on teaching methods in China. A total of 29 films (85.29%) were the most active. Second, when comparing the trends of research subjec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and China, studies on young children were the most in South Korea and literature studies were the most in China.

      • 明代 문인의 차문화공간 연구 : 詩·書·畵에 나타난 人·物·景을 중심으로

        이단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명대 차시(茶詩), 차서(茶書), 차화(茶畵)을 통해 명대의 차문화를 이해하고, 차를 음미하는 차문화공간의 디자인 및 심미 취향을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차문화공간 설계에 중요한 참고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차문화의 역사는 긴 역사를 거치면서 동양문화속의 유교· 불교· 도교 사상을 융합하며 우수한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어 인류의 문화생활 속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오늘에 이르기까지 차는 건강 음료로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을 뿐 아니라 정신적 사상과 문화서도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중국은 차의 고향으로, 세계 차문화 연구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한다. 그래서 중국의 차문화를 분석하고 탐구하는 것은 차 연구자의 중요한 과제이다. 중국의 차는 약· 식· 음료 세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하였다. 중당(中唐)시기에 육우(陸羽, 733~804)의 『차경(茶經)』이 나왔을 때, 당대 승려와 사대부(士大夫)가 적극적으로 차회(茶會)와 연회를 추진해서 음차는 예술 및 정신적 방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중국의 각 시대마다 음차 방식이 제차(制茶) 공예의 방법에 따라 변화되고 왔다. 당송시대는 단차(團茶)·병차(餅茶)를 마셨고, 명대 이후 에는 산차(散茶)·엽차(葉茶)를 마셔왔다. 이 음차방법의 다양한 변화 속에서, 차 마시는 방식은 예전보다 복잡하지 않게 변하여 왔고, 상류사회의 황족, 귀족, 스님 등에서부터 서민으로까지 차문화가 보급시킬 수 있었다. 이로써 차를 마시는 것은 생활필수품으로, 독서, 교우, 여행, 대화, 명상 등 여러 활동과 장소에서 출현하였다. 명대 중엽 이후 자본의 축적에 의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부유함을 가져오게 되어 각 계층의 사람들은 나름대로의 개성의 표현을 추구하게 되였다. 특히 명대의 문인들의 주도로 새로운 시대적 특징을 지닌 차문화를 형성하였다. 즉, 음차환경과 분위기의 조성을 매우 중시하게 되었던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사람들의 삶에서 ‘차문화공간’이란 말이 사용되는 빈도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즉, 사람들은 음차의 환경과 분위기를 점점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람들이 음차 생활에 관하여 추구하는 방식이나 격식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차의 맛과 효능적인 측면뿐 만 아니라 음차 환경 및 정신작용 또한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명대 역시 閒雅한 차문화공간과 정신작용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시기로 이전 시대와 달리 황실이나 권력층이 아닌 문인들에 의해 차문화가 발전했던 시대이다. 특히 문인들은 늘 대자연 맑은 기운을 담은 산수를 통해 자신들의 문학적 심경을 토로하며 수많은 詩, 書, 畫 등의 작품들을 남겼다. 그 중 상당한 부분이 차사(茶事)와 관련이 있다. 그래서 명대의 차문화 관련 참고 자료들이 많이 남겨져있으니 후세 사람들의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This paper is through the book, poetry and painting of tea to understand the tea culture in Ming Dynasty, and insights into the design thought of Ming Dynasty tea culture space and aesthetic taste, so as to give the tea culture space design of an important reference value. In the long history, tea culture merg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many excellent cultures. Today, tea is not only popular as a healthy drink, but also as a spiritual support to people's beliefs. China is the hometown of tea an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research of world tea culture.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ask for tea researchers to analyze and explore Chinese tea culture. Chinese tea has gone through three stages: medicine, food and drink. When <the classic of tea> by Lu Yu, in the middle Tang Dynasty, was published, the monks and scholars in the Tang Dynasty actively promoted tea parties and banquets, making tea tasting artistic and spiritual. The way of drinking tea in the past dynasties of China has changed with the evolution of tea-making technology. I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tea was made into regiments and cakes, and after the Ming Dynasty, Chinese drunk the loose tea and leaf tea. This revolutionary change made tea drinking no longer complicated, from the upper class of the Royal family, nobility, monks and other popular to the common people. Since then, tea as a necessity of life, appeared in reading, making friends, traveling, chatting, sit-in and other occasions. Since the mid-Ming Dynasty, the sprout of capitalism has brought prosperity to people's lives, and people of all strata have pursued individualized expression. Especially the literati of Ming Dynasty, under their advocacy and drive,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tea drink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which was a characteristic of The Times. In recent years, an ever-growing frequency of ‘tea culture space’ appears in the people’s lives, which is growing on the tea standard, not only the pursuit of tea taste and efficacy but also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and the spiritual realm of drinking tea. That is to say, people are paying more and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and atmosphere of tea drinking. The Ming Dynasty was the period of concerned with the elegant tea space and spiritual enjoyment. Therefore, it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that the tea culture development is not the royalty or bureaucratic privilege stratum, but the literati estate. Especially, the literati often bared their soul by full of nature’s breath of landscapes, and left many poems, books and paintings. In addition, this is a considerable part of works related to tea matters. Therefore, many reference materials of tea culture in the Ming Dynasty were left, which is very helpful to later generations' research.

      • 白光勳과 李商隱의 漢詩 比較硏究

        이단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researching and comparing the Jue-ju poetry of poets Baek Gwang Hoon of the mid-Joseon dynasty and Lee Sang Eun of the late Tang era, and finding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oets and their Chinese poetr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lives and creation backgrounds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The two poets didn’t get the opportunity on their difficult paths as government officials, and expressed their deep thoughts and meanings that they couldn’t fulfill and unfold through their work. Next, this study took a look focused on the Jue-ju poetry of the Chinese poetry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A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categories; the contents per type of Chinese poetry, figure of speech and technique, and style. In the first part, the contents per type of Chinese poetry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Youngsa, Gyungmool, Youngmool, Gyoyu, and Eunil, and were analyzed in chapters and verses. Regarding Youngsa poetry, Baek Gwang Hoon usually used the leader of the dynasty for his poetry subjects, while Lee Sang Eun wrote about innocent and poor scholars or objects related to such scholars. Although the two wrote about different subjects, they both well express their concerns about the country by comparing their current era with past dynasties and satirizing leaders or events through citing quotes or events of the past. Baek Gwang Hoon’s Youngsa poems appear to have been influenced by Lee Sang Eun. As for Gyungmool poetry, both poets wrote poems by combining both ‘scenery’ and ‘affection’, where the atmosphere was created by ‘scenery’ to then describe one’s ‘affection’, but Baek Gwang Hoon portrayed the scenery using simple words, while Lee Sang Eun relatively using fancy words. In Youngmool poetry, both poets sang about objects to reflect their situations. Both of them was reminiscent of their lives and situations through Gyungmool poems, and wondered at life by comparing ideal and reality. When looking at Gyoyu poetry, Baek Gwang Hoon’s subjects were teachers, Buddhist monks, writers, companions, and courtesans, while Lee Sang Eun wrote about companions, taoists, writers, politicians, and courtesans. When comparing the Eunil poetry of the two poets, Baek Gwang Hoon’s poems of when he was living in the countryside sang about a harmony of abundant life and peaceful pleasures, while Lee Sang Eun who wrote about his true country life expressed an unstable inwardly heart through his Eunil poetry. In the second part, the figure of speech and techniques of the two poets were divided into categories such as references of other past writings, metaphors, contrast, and symbols and compared their poems. Baek Gwang Hoon used past record of historical facts while Lee Sang Eun’s work showed records of historical facts as well as legends and myths. Both poets used references of other past writings to indirectly express their inwardly worlds. In the works of Baek Gwang Hoon only some of them used referencing techniques but used Lee Sang Eun’s difficult references to make the reader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poems. When looking at the poems of both the poets overall, they both used timely and spatial contrasts. There are not much differences considering that they both created Chinese poetry using contrast.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used various symbols in each of their poems, such as the sun, moon, apricot blossoms, bamboo, and so 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ir understandings of the symbols. Finally, when comparing the two poets’ styles, Baek Gwang Hoon’s poems are of an old tale style which is plain while Lee Sang Eun’s poems contain a hazy style in his expressions. The two poets each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but there are similarities.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s poems illustrates a picture in front of the readers’ eye. And they focus on handling their own meaning in their poems. This illustrative property is the commonness of the works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When comparing the Chinese poetry of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both show a late Tang style, but it can be said that Baek Gwang Hoon’s work was influenced by the work of Lee Sang Eun, however he does have his own styles. This study is hoped to be utilized in other researches on Baek Gwang Hoon and Lee Sang Eun. 이 논문은 조선 중기 때의 시인 백광훈과 만당 때의 시인 이상은의 한시 중 절구시를 고찰하여 비교하여 두 시인의 차이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백광훈과 이상은의 생애와 창작배경을 살펴보았다. 백광훈은 7세에 글을 지을 줄 알았다.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서자로 태어나 출사하지 못하고 산수를 즐기면서 시작에만 전념하고 은거생활을 하였다. 은거 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과 교유를 하면서 학문을 도야하였다. 집안 경제가 곤궁에 빠지면서 옥봉은 벼슬의 길을 택하여 벼슬살이를 하면서 좌절과 고통을 느꼈다. 이상은은 5살에 경서에 통하였고 7세 때 붓과 연에 능하였다. 어린 나이에 귀향한 이상은은 16살까지 당숙의 가르침을 받아 따라 경문을 학습하고 문학을 배워서 고문방면이 뛰어났다. 하지만 이러하여, 이상은은 자기의 스승이자 은인인 영호초를 배신하는 자로 오해받고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하였다. 어머니의 상에 3년 정도 은거생활을 하다가 다시 벼슬길로 나섰다. 두 시인은 모두 평탄하지 않은 벼슬길에서 기회를 얻지 못하여 마음속에 품은 뜻을 이루어 펴지 못하는 정서를 작품을 통하여 드러냈다. 다음에 백광훈과 이상은의 한시 중 절구시를 중심으로 비교해봤다. 두 시인의 한시의 유형별 내용, 수사 및 기교와 풍격 세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첫 부분에서는 한시의 유형별 내용을 영사시, 경물시, 영물시, 교유시, 은일시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장절에서 시를 분석하였다. 영사시에서는 백광훈은 주로 왕조의 지도자를 대상으로 시제를 정하였으나 이상은은 조대, 혹은 어느 조대와 관련된 사물을 시제로 하였다. 비록 제재는 다르지만 두 시인의 작품은 전고를 인용하여 왕조의 지도자나 어떤 사건에 대해 풍자하고 시인이 살고 있던 당시의 왕조와 대비하면서 나라에 대한 우려를 작품을 통해서 잘 표현하고 있다. 백광훈의 영사시를 보면 이상은의 영향을 다소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경물시에서는 두 시인은 모두 ‘경’과 ‘정’을 융합하여 시를 지었는데 ‘경’을 통하여 분위기를 만들고 이런 분위기에서 자기의 감정을 서술하였지만 백광훈은 소박한 언어로 경물을 묘사하였으나 반면 이상은은 상대적으로 화려한 언어를 사용하였다. 영물시에서는 두 시인은 모두 사물을 노래하면서 자신의 처지를 사물을 통하여 반영되었다. 두 시인은 경물시를 통하여 자신의 인생과 처지를 연상시키고 이상과 현실사회를 비교하여 인생을 감탄하였다. 교유시를 보면 백광훈 교유시의 대상은 스승, 승려, 문인, 벗, 기녀 등 있었고 이상은은 벗, 도사, 문인, 정치인, 기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시인의 은일시를 비교해보면 백광훈은 전원에 파묻혀 살던 시기의 시는 유족한 삶과 한적한 흥취를 즐기는 조화로운 삶을 주제로 노래한 반면 이상은은 진실한 전원생활을 노래한 시가 있으나 이런 생활을 한 그의 내심은 안정되지 못하여 내용이 은일시에서 드러났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두 시인의 시에서 나타난 수사 및 기교 비교를 용사, 은유, 대비, 상징 등으로 나누어 그 들의 시를 비교해보았다. 백광훈은 역사사실의 전고를 사용하였고 이상은의 작품에서는 역사사실의 전고와 신화전설의 전고가 있다. 두 시인은 용사를 통하여 내심세계를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백광훈의 작품에는 일부 시에만 용사의 수법을 활용했으나 이상은의 어려운 전고를 잘 이용하여 독자들의 시의 뜻을 파악할 수 없게 했다. 두 시인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보면 모두 시간적인 대비와 공간적인 대비를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두 시인이 대비로 한시를 창작하는 것을 보면 큰 차이가 없다. 백광훈과 이상은은 각자의 시에서 다양한 상징의 수법을 사용하였는데 두 시인의 작품을 일, 월, 매화, 죽 등 상징물을 활용하여 시를 창작하였다. 두 시인이 상징물에 대한 이해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마지막 부분은 두 시인의 풍격을 비교해 봤는데 백광훈의 시는 꾸밈없는 언어로 메마르고 담담한 고담 풍격을 지니고 이상은은 시구의 표현에서 몽롱한 풍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시인은 각자 자기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두 시인의 시에는 유사성이 있다. 백광훈과 이상은의 시에는 그림이 그려 있는 듯이 독자가 시를 읽을 때에 눈앞에 그림을 보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두 시인은 각자의 사상을 표현하는데 초점을 두고 ‘경’과 융합하여 작품을 창작했다. 백광훈과 이상은의 한시를 비교해보면 두 시인은 모두 만당풍을 지니고 있지만 백광훈은 다소 이상은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지만 자신만의 개성이 있다. 이 논문이 이 후의 백광훈과 이상은에 대한 연구에서 조금이라도 유용되기를 바란다.

      • N포트 브릿지를 이용한 서브네트워크의 상호연결과 성능해석

        이단 광운대학교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본 논문은 N-포트 브릿지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 토큰링 LAN의 각 노드에서 발생한 인터네트워크 패킷의 평균 대기시간을 해석한 것이며 브릿지의 프로세스 시간도 고려하였다. 이 해석은 상호연결을 필요로 하는 LAN들이 밀집된 환경에서 N-포트 브릿지를 사용하여 상호연결된 LAN과 IEEE 802.1 MAC 브릿지와 기간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 LAN의 인터네트워크 패킷의 평균 대기시간을 비교한 것이다. 이 해석에서 N -포트 브릿지의 포트에 연결된 각 LAN의 스테이션 큐는 전처리 (exhaustive)서비tm의 대칭적 순환 큐잉 시스템으로 가정하였으며 메시지의 도착분포는 포아송 분포, 메시지의 길이는 지수분포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브릿지는 N개의 수신큐와 한개의 전송큐로 모델링하여 처리시간을 고려하였다.

      • 한.중 이음절 동자이의어 대조 연구

        이단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 · 중 2음절 동자이의어(同字異義語)의 차이, 특히 의미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는 역사적 유연성으로 인하여 형태 · 통사 · 의미 특성에 있어서 공통점이 많다. 그러나 서로 다른 역사적 변천을 겪고 다른 사회 환경에서 발달해 온 두 언어의 현대어는 문법적 특성, 특히 의미적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동기로 하여 한 · 중 동자이의어를 대조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립국어원 2002년 <현대 국어 사용 빈도 조사 결과>의 58,437 개 어휘를 대상으로 사전에 등재된 의미를 기준으로 동자이의어를 추출하였다. Ⅱ장은 한자어의 범위를 한자로 적힐 수 있고 한국 한자음으로 읽힐 수 있는 단어로 규명하고, 동자이의어의 판별 기준을 제시하였다. 동자어(同字語)는 같은 글자를 가진 단어의 대립쌍이다. 현대어를 대조하는 연구이므로 현대어에 쓰이지 않는 어휘는 대조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그리고 이의어(異義語)에 대한 판별을 논의하였는데 의미가 다른 부분이 물론 있어야 되지만 의미가 일치하는 부분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의미를 대조할 때에는 사전에 등재된 의미를 중심으로 하였는데 중국어는 ?現代漢語詞典?, 한국어는 ?표준국어대사전?의 의미를 중심으로 대조하였다. Ⅲ장은 한 · 중 동자이의어의 품사를 중심으로 대조였다. 한국 2음절 한자어는 주로 명사로 나타나고 일부 부사나 대명사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중국어는 형태의 변화 없이 품사 전환이 가능하므로 품사가 유동적으로 나타난다. 이에 한국어 2음절 한자어가 명사인 경우와 부사인 경우로 나누어 각각 대응되는 동자이의 중국어와 품사를 대조하였다. Ⅳ장은 동자이의어의 의미를 대조하였다. 의미 영역에 따라서 동자 완전이의어(同字 完全異義語)와 동자 부분이의어(同字 部分異義語)로 나누었다. 먼저 1절에서 완전이의어를 대조하였다. 완전이의어는 의미가 일치하는 부분이 없이 완전히 다른 동자어를 말한다. 동자 완전이의어의 의미 차이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특징적인 어휘들의 부류를 묶어서 지시 대상의 차이와 지시 행위 · 상태의 차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동자 부분이의어의 대조는 의미 영역에 따라 한국어의 의미 영역이 더 큰 경우, 중국어의 의미 영역이 더 큰 경우, 그리고 한국어와 중국어 의미 영역이 교집합을 이루는 경우를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앞의 두 부류는 같은 상하관계에서 지시 대상의 차이, 지시 행위 · 상태의 차이와 의미 확장 양상의 차이로 유형화를 해서 대조하였다. 3절은 한 · 중 동자이의어의 가치 의미(價値 意味)를 대조해 보았다. 이는 주로 어휘의 결합관계와 문맥에 따라 긍정적 가치 의미나 부정적 가치 의미인지를 판단하였다.

      • 겨울축제 이벤트 행사장의 안전에 대한 방문객의 만족도에 관한연구 : 중국 심양 국제빙설축제를 중심으로

        이단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날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관광산업에서 이벤트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1979년부터 개혁개방이 실시된 이후 우리나라는 이벤트관광 대국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각 지방의 이벤트 개최횟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0년대부터 겨울 여행 문화가 발생되고, 이제 활기찬 발전단계에 있다. 특히 활발히 발전하고 있는 북쪽지역은 겨울축제 활동이 고요한 겨울 여행시장을 위해서 하나의 공백을 메웠다. 그러나 겨울축제는 특별한 환경, 기후, 시설 때문에 다른 축제 보다 행사장에서 사고가 비교적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안전사고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가 학계와 산업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벤트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행사의 안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심양 국제 빙설축제는 1993년부터 개최했는데 매년 많은 국내·외 관광객을 유치하였다. 특히 2009년 빙설축제의 주행사장은 기반산(棋盘山) 빙설대세계 이외 관동(关东)영상시티도 추가하였다. 그러므로 올해 외지 관광객을 45%까지 유치했고, 지난해에 비교해서 15%가 증대되었다. 이제 심양 국제 빙설축제의 행사장 면적은 중국 빙설축제에서 제일 방대하다. 따라서 밝은 장래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축제의 관리자가 축제의 투자예산, 프로그램의 개발, 홍보 등 방면에 대한 많이 중시하지만 축제기간의 안전문제에 대한 중요도가 모자란다. 매년 축제기간에 관광객이 활동에 참여했을 때 상처를 받는 상황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안전을 경시해서는 안됩니다. 이제 중국에서 이벤트행사장의 안전에 대한연구가 미흡한 것이다. 특히 겨울축제 안전문제에 대한 연구가 이제까지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겨울축제의 이벤트 행사장 안전성을 위해 선정한 "2009중국 심양 국제 빙설축제’를 중심으로 참가한 국내방문객 대상으로 행사장에서의 안전만족도에 대한 조사·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심양 국제 빙설축제 국내방문객들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통한 중국 심양 국제 빙설축제의 주요대상자를 묘사한다. 둘째, 안전요인을 명확하게 하고 국내 방문객이 안전에 대한 만족도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안전요인에 만족도의 유의한 차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안전만족도 분석연구에 통하여 겨울축제 이벤트행사장의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Beginning from last 90 century, there has emerged a high trend on winter cultural tourism. Especially for the north area of China, the winter festivals have filled the gaps in the tourism market caused by the off-season. However, as the special result of winter festivals on environment, climate and facilities, there are more prone to accidents than any other themed festival. Although the research of security management for activities has risen in academic and industry market, the safety management research is not full in the field of festival activities. Shenyang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opened in 1993 ushered a considerable number of Chinese and foreign tourists every year.The Ice and Snow Festival in 2009, for this session, the main venue of the festival in addition to the Qipanshan Snow World and has expansion to the Movie and Television City. And the main venue of Shenyang Ice and Snow Festival of this session has reached the maximum among the winter festival venue areas in North China. However, the governments, as well as festival organizers have focused on the budget for investment, development of festival events, publicity and benefits. But not placed enough emphasis on security issues. Especially the special studies have not ye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winter festivals. Therefore, for the sake of observ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the safety management in winter festival scenes, this study make the 2009 Shenyang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as the center, a survey has been conducted by the domestic participates on the security satisfaction in the winter festival.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The first objective is to learn the main target tourists by analyzing their socio-demographics. The second objective is to specify the safety and to learn the tourists' Satisfaction on them. The third objective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to the Safety, based on the touris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g. gender, age, residence of place, income). The final objective is to propos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winter festival according to the previous analysis. Through the research, several research findings were worked out. First, Shenyang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have some deficiencies on the safety management. In particular, the aspects which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ce and snow, and tourists have shown low satisfaction on. Second, Shenyang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have done better on fire prevention, the security of recreation facilities, and maintaining order at the scene. On these aspects, tourists have shown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Third, Festival organizers and managers are lack of experience and expertise on safety management.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 through the results of survey. First, Strengthen the education and guidance on risk management for the organizers and managers of the festival. Second, Grasp and master the requirements and needs of the tourists, and then work out the improvement measures. Third, Study and learn good program of security management from successful cases domestic and abroad. key words: winter festival, Shenyang international ice and snow festival, safety, visitors' satisfaction

      • 중국 여성 유방암 검진행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앤더슨 의료서비스 이용 예측모형 및 건강신념모형 중심으로

        이단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여성 유방암 검진행위와 향후 검진의도를 파악하고, 앤더슨 의료서비스 이용 예측모형 및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모형에서 제시된 각 요인과 더불어 추가된 사회적 요인에 따른 유방암 검진행위 및 향후 유방암 검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거주하는 30세이상 유방암 예방 검진서비스를 무료로 받지 못한 여성을 대성으로 2016년 10월 14일부터 23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90명 대상자의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성 요인, 건강신념 요인, 사회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유방암 검진행동 및 검진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은 기술통계, t 검증, 로지스틱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방암 검진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 간 각 독립변인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독립변인에서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직업여부, 거주지역, 월경여부, 의료보험 여부, 본인 및 주위 사람 유방에 관련 질환 여부, 내적 행위단서,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단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단서, 경제적 수준, 지각된 이익, 자아효능감,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와 남성의료인에 대한 태도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여성의 유방암 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결혼상태, 거주지역, 의료보험여부, 경제적 수준, 지각된 취약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자아효능감, 내적 행위단서,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남성의료인에 대한 태도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유방암 검진의도를 분석 시, 지난 2년 간 유방암 검진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유방암 검진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향후 유방암 검진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여부,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자아효능감,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중국 의료기관에 대한 신뢰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유방암 검진 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향후 유방암 검진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이익, 자아효능감, 내적 행위단서,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행위단서, 중국의료기관에 대한 신뢰 및 남성의료인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한 요인이었다. 위에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국여성 대상으로 유방암 검진의 중요성과 검진방법, 지식에 대해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포스터, 안내 책자 등을 통한 적극적인 교육과 권유가 필요할 것으로 입증되었다. 중국에서 유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중국여성의 특성을 맞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며, 중국여성들은 유방암 검진 수행률이 올바른 형성시킬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and Health Belief Model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screening rate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 screening rate,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order to increase breast cancer screening of Chinese Wome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October 14 2016 to October 23 2016. Out of the entire respondents,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confined to the 490 women currently living in China with ages of 30 or older that do not receive regular breast cancer examination welfare, including mammography and breast ultrasonography, from their workplaces. They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experience with breast cancer screening and influential factor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analysis. Conclusions drawn by the research are: First, the two groups that have or have not experienced breast cancer examin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following independent factors: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career status, menstruation status, location of residence, economic level, medical insurance status, I or the people around whether or not they had breast disease, internal cues to action, cues to act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mass communication, perceived benefit, self-efficacy, faith in the Chinese medical institutions, and attitude towards male health care providers. Second, factors that affected the execution of breast cancer examination among Chinese women were: marital status, location of residence, medical insurance status, economic level,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 perceived barrier, self-efficacy, internal cues to action, cues to act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mass communication, attitude towards male health care providers. Third, in analyzing intentions for sceening behavior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at have or have not experienced breast cancer examination within the past two years.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intentions for sceening behavioral in the group that have experienced breast cancer examination were: career status,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benefit, self-efficacy, cues to act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mass communication, attitude towards male healthcare providers.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intentions for sceening behavioral in the group that have not experienced breast cancer examination were: perceived benefit, self-efficacy, internal cues to action, cues to action in personal communication, cues to action in mass communication, faith in the Chinese medical institutions, and faith in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listed above, it has been proven that active education and encouragement on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breast cancer examinations among Chinese women through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posters, brochures, and etc. are required. If a breast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in China, the program must be fit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women, and it is considered that many efforts are required to form an adequate breast cancer examination execution rate among women of China.

      • 개항기 서양인의 눈에 비친 조선의 경제제도 : 재정, 화폐, 상업 부문을 중심으로

        이단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개항기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들이 남긴 견문록의 한국어 번역본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견문록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서양인의 눈에 비친 개항기 조선의 재정제도, 화폐제도, 상업관행의 특성을 밝히고, 기존 연구와 사료(史 料)와의 비교·대조를 통해 서양인 기술한 내용의 객관성과 편향성을 분석하였다. 서양인 견문록의 객관성과 편향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서양인의 조선 방문시기와 방문동기 등을 참조하였고, 견문록 번역본과 원문의 내용을 대조 하였다.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기 조선을 방문한 서양인의 눈에 비친 당시 조선의 경제상황은 전반 적으로 낙후된 모습이다. 이는 개항 당시 조선의 경제 상황에 대한 진실한 반영이 기도 하지만 서양인들이 당시 조선 경제에 대한 깊은 이해의 결여와 주관적인 평판도 담겨 있다. 서양인들의 조선인의 본위화폐관에 대한 객관적이지 못한 인식과 상인의 판매태도에 대한 피상적인 평가는 바로 그들의 인식 부족과 주관적인 판단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서양인의 기술 중 선세와 인두세에 대한 기술은 객관적이지 못하고, 세금 종류와 전환국에 대한 기술은 세금의 전반적인 모습이나 전환국 변천의 전 과정을 반영하지 못한 부분적인 기술만이 나타나고 있다. 이 외에 토지세의 수취법에 대한 서양인의 기술은 제도상의 규정과 현실 실행상에 괴리가 존재했다는 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상업관행에 대한 서양인의 기술 중 객주·여각에 대한 기록은 결여된 상태다. 이 모든 것은 개항 당시 서양인의 조선 경제에 대한 인식은 아직 기초적인 수준에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셋째, 방한(訪韓) 목적의 차이는 서양인들이 조선을 보는 시각과 기술하는 내용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러시아 정부에서 격동기의 조선에서의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보낸 러시아인의 기술 중 "무역활동에서 경쟁상대로 삼아야" 할 대상 보부상에 관한 기술을 많이 하였고, 선교의 목적으로 조선을 방문한 제이콥 로버트 무스는 복음을 전파하는 데 적합한 장소로써 5일장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기술을 많이 하였다. 넷째, 서양인의 견문록 중 기록자 본인의 직접적 경험을 바탕으로 견문록 내용을 작성한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기존 문헌을 인용하여 기술한 경우도 많이 존재한 다. 기존 자료를 인용하는 기술 방식은 서양인 견문록의 객관성과 현실성에 영향을 미친다. 이외에 견문록 저자의 전문성이나 저자의 조선에서의 경력과 조선(인) 에 대한 애정도 서양인 견문록 내용의 객관성에 영향을 미친 요소이다. 本论文以1876年开港以后访问朝鲜的西方人所写的朝鲜见闻录的韩文译本为研究对 象,分析西方人眼中当时朝鲜的财政制度、货币制度、商业制度的特点。同时,结合 见闻录作者的国籍、职业、经历、访问朝鲜的目的,以及在朝鲜的滞留时间等信息, 通过对西方人见闻录与既有研究进行比较分析的方式,对西方人的朝鲜见闻录中所记 述的朝鲜经济制度的内容进行批判性研究。本论文的结论主要有以下几点。 首先,西方人见闻录中所描述的开港期朝鲜经济是全面落后的面貌。这既是对开港 当时朝鲜经济状况的真实反映,也包含了西方人的主观评判,同时也反映出西方人对 当时朝鲜经济的理解仍然处于初级阶段。西方人见闻录中对朝鲜人的本位货币观的主 观评判,以及对商人销售态度的表象记述,都是西方人对朝鲜经济的理解仍处于初级 阶段的实例。 其次,西方人见闻录中关于开港期朝鲜经济制度的记述中存在的问题较多。财政制 度中,对税收种类的记述并不全面;认为船税或人头税是当时朝鲜最重要的税收,这 与当时的现实明显不符;对土地税的收取方法的记述没能反映出当时在土地税的收取 上制度上的规定与现实施行中的背离。对货币制度的记述中,对当时朝鲜流通的多种 货币的记述较为混乱;对开港期的造币机构―典圜局的记述则是片段式的,没能反映 出典圜局从建立到变迁的整个过程。对商业部门的记述中,西方人见闻录中对开港期 批发商性质的客主·旅阁的记述极为少见。 第三,访问目的的差异会对西方人观察朝鲜的视角及见闻录的内容产生影响。例如,在作为俄罗斯政府派出的国家探险队的一员,为寻求国家利益而访问朝鲜的的俄 罗斯人的见闻录中,对于“在贸易活动中会成为竞争对手”的褓负商着墨较多,而在以 传教为目的访问朝鲜的传教士的见闻录中,对朝鲜的传统市场—5日场着墨颇多,其 原因便在于在传教士看来,5日场是适合传教的场所。 第四,西方人对于开港期朝鲜经济制度的记述,大多数是作者本人根据自己的亲身 经历进行的记述。但同时也有很多内容是见闻录作者以引用既有文献的方式进行的记 述。引用既有文献的记述方式对西方人见闻录内容的客观性和现实性会产生一定的影 响。此外,见闻录作者的专业性,作者在朝鲜的经历及其对朝鲜(人)的感情,也会 对见闻录内容的客观性产生影响。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