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지방교육행정체제 분석 및 카자흐스탄에의 적용

        아스카로바 굴나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86

        본 연구는 한국 지방교육행정의 조직, 과정을 및 형태를 분석해서 카자흐스탄 교육행정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보면, 먼저 지방교육행정의 개념 및 원리의 고찰; 외국의 지방교육행정의 분석 및 비교; 한국지방교육행정의 법적 근거 및 발전 과정, 한국 지방교육행정의 형태와 조직, 구성 및 제도, 지방교육재정, 지방교육행정의 주요 쟁점 및 문제 분석; 카자흐스탄 교육행정의 형태 및 지방교육행정의 조직, 법적 근거, 지방교육재정의 발전과정, 주요문제 및 제한을 분석하였으며, 카자흐스탄 지방교육행정의 발전을 위한 모델을 만들어 보았다. 한 나라의 자율적, 자주적 교육행정제도를 대표하는 교육행정의 하나는 지방교육행정이다. 한국은 많은 개혁을 겪으면서 지방교육자치제도를 제정하였고 현재 지방교육행정제도를 성공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한국 지방교육행정의 법적 근거는 헌법, 지방자치법, 교육기본법 및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며, 한국 지방교육행정의 주요 원리는 헌법 31조에서 표방하고 있는 자주적, 전문적 및 정치적 중립성이다. 한국 지방교육자치의 발전과정은 학자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3개의 발전 과정을 주장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다: 제정기(1945~1960), 발전기(1960~1963), 부활기(1964~1990). 한국 지방교육행정은 시도의 교육 및 학술을 통제하는 의결기관인 교육위원회, 집행기관인 교육감을 두고 있다. 2010년부터 교육위원회가 지방의회의 상임위원회로 변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자주성을 유지하며 외부적 영향으로부터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경우, 1991년에 독립을 얻은 후 교육행정의 분권화를 수행했지만 옛 소련의 매우 중앙집권적인 교육행정제도가 카자흐스탄의 교육행정에 아직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중앙에서 통제하고 있는 지방교육행정은 자주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의 교육행정은 중앙정부(교육과학부)와 지방정부에 의해 운영되고 있는데, 지방정부는 지방의회인 Maslikhat와 지방행정기관인 Akimat로 구성된다. Akimat에 소속된 교육부서의 구성원도 중앙에서 임명되기 때문에 교육의 자주성, 국민 의견의 고려 및 지방교육의 특수성을 살리지 못하고 있다. 지방교육의 운영 및 재정은 중앙정부와 지방행정이 나눠서 책임지고 있는데 중앙정부(교육과학부)의 영향이 더 큰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카자흐스탄과 한국의 지방교육행정에서 비슷한 점은 Akimat과 지방의회 및 교육위원회이며, 두 나라에도 교육위원회가 지방의회에 소속되고 있지만, 카자흐스탄에는 교육감이 없다는 점이 다르다. 또 카자흐스탄 교육위원회가 심의기관이기 때문에 한국처럼 의결기관으로 개정해서 행정에 관한 의사를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교육위원회의 위원 및 교육감도 각 도시에서 주민들이 선출해야 한다. 그리고 한 나라의 교육지방행정이 근거할 수 있는 법률이 있어야 되는데 카자흐스탄에는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한국과 다른 점이다. 하지만 두 나라의 여러 가지 제도적, 문화적, 지리적 및 재정적 차이를 인해서 한국의 지방교육행정제도가 카자흐스탄의 교육행정에 적용할 때 몇 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두 나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나라의 정치적 제도가 다르고 또한 도시군 등 광역, 기초자치 단체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제도를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점이다. 또는 카자흐스탄은 다문화 민족 나라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언어, 문화, 종교 등을 고려해야 하는 점도 있다는 것이다. 지방교육행정제도는 교육의 자주적, 전문적 및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할 필요로 인해 제정되어야 한다. 즉, 지방교육행정제도는 카자흐스탄의 자율적인 교육행정을 확보하면서, 주민의 참여, 자주적 제도의 시행 등을 통하여 카자흐스탄의 지방교육행정과 교육행정제도를 발전시킬 것이다.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to introduce democracy and autonomy to the country’s education system. Korean local educational system has acquired the system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and has been successfully established through many reforms and revivals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bloom of the current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legal found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of Korea are based on such documents as Constitution, Basic Educational Act, Local Government Act and Local Educational Autonomy Act. Korea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gone through several periods of establishment which includes: adoption period (1945~1960), when the release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s resulted in legalizing the ‘Educational Act’ in 1949; development period (1960~1963) and the revival period (1964~1990), during which the system had gone through many reformations. The reforms of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mainly concerned the Local Educational Autonomy Act, Boards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 Offices of Education.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 Korea includes such organizations as the Board of Education as a legislative body,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s an executive body, and other subordinate organizations to assist their functions and responsibility. The Board of Education is a legislative body established in 16 city and province levels in order to guarantee independence of education and variedness of each region. Though the Board of Education has joined the Local Council,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has still remained autonomous and free of outer influences. The Superintendent of Offices of Education is an executive body which represents city/province levels on the matters concerning education, art and sciences. Both the Board of Education and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re elected through public vote. The finance for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subsidized from the general budget and manag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amount of which is dependent on the amount shift of the internal taxes.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of Korea involves several problems concerning the cooperation between general local administration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centralized distribution of authority, relations of the local educational organizations, problems of local educational finance and other important issues which are being solve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ment. The local educational development of Kazakhstan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which was highly centralized during the former Soviet Union and after gaining independence it has adopted the decentralized system, though the traces of the former system still reflect in the curr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ough the decentraliz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established in 2001, the system is still somehow centralized and requires control and manage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egal foundations of Kazakhstan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included in Constitution, Law on Education and National Strategic Plans for Education issued by Presidential or Parliament Decrees. Educational system in Kazakhstan is currently managed by two levels: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at the central level, and local Governments, which include Maslikhat and Akimats, where Maslikhats are local representative bodies, and Akimats are local executive bodies, the members of which are appointed or elected to office by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by the recommendation of the Prime Minister. Department of Education is the standing member of local Akimats, and is accordingly appointed by the latter. Local educational finance in Kazakhstan is subsidized by the Government, regional authorities and private sponsor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re financed from the State’s budget, while the majority of colleges, technical training institutions and kindergartens are funded by regional authorities. In 2000, 86.5% of the financing secondary education was from regional budgets, and this level has been largely sustained in the following years. Problems of Kazakhstan local education include many issues, mainly concerning the lack of freedo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highly centralized system and strong influence from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Therefore the model of embedding the local educational system of Korea to Kazakhstan was the main purpose of the given research paper. The model has shown that the Departments of Education can be substituted by the Board of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as it doesn’t have original or similar organization in Kazakhstan. Accordingly, the subordinate organizations, such as educational organizations, Offices of Education and School Boards also have to be established from the first form. However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might be several hindrances and obstacles in the process of embedding the Korean system due to several differences of two countries, such as cultural, geographical and economic features. The purpose to establish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flects the need to promote independent, professional and politically impartial education in Kazakhsta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decentralize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would guarantee democracy in regions, and eventually in the whole country as well.

      • 그리스 문화관 계획 : 드미트리 파파이오아누의 작품 개념을 기반으로

        이나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그리스문화의 과거와 현재를 분석하고 그리스문화를 표현하는 현대작가 디미트리 파파이오아누의 작품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그리스문화관 설계와 공연문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공연의 변화 등의 공연 트렌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문화관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공연문화와 공연장설계가 추구해야 할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문화 활성화를 위해 향후 공연문화의 새로운 유형을 창출하여 공연문화의 다양성을 제공한다. 드미트리 파파이오아누의 공연작품의 특성에서 나타나는 4가지의 공연유형은 신체 영역공간을 구성하는 다양한 사물들과 신체가 관계를 맺으면서 형성하는 영역을 가지고 사물과 신체 사이에 형성되는 감각적인 관계에서 시작 한다.여러 크고 작은 사물들이 모여 구성하는 공간들과 다양한 사물 들이 감각적으로 관계 맺거나 공간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별성과 집합성은 사물의 생산방식에서 부터 사물과 신체의 관계, 나아가 영역들이 모여 한 건물을 구성하는 방식까지, 다양한 단계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드미트리 파파이오아누의 삶과 작품을 분석하여 새로운 형태의 유형의 재조합을 통하여 문화관과 공연장을 계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존의 공연문화관을 넘어 공간적 체험을 통해 관람자와 공연자의 영감을 주고 더 나아가 공연 기획연출을 통한 퍼포먼스 및 비언어적 공연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장을 마련하는 공간 설계를 제시하고자한다. 비언어적 공연의 부재를 타문화를 통해 그 나라의 과거와 현재를 공간적 입체적 체험을 통해 경험하며 비언어적 공연의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개발하고 공간의4가지유형의 프로그램을 배치하고 계획한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of Greek culture and the works of Demitris Papaioannou who is a modern writer presenting Greek culture, and present the designing of the Greek cultural center and the direction of performance culture. Through that,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f performance trend such as the change of performanc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design of the cultural center, and present ed the direction of the design that the performance culture and cultural center design should pursue. This study provides a variety of performance culture by creating a new type of performance culture in the future for cultural activation. 4 kinds of performance patterns of Demitris Papaioannous' performance works have the areas where the various objects and the body make relationships and form and begin with a sensitive relationship formed between objects and the body. The spaces constituted by various large and small objects and a variety of objects play an active role such as making sensitive relationships and forming the environment of the space. Such individuality and collectivity are found in a variety of stages from the production method of objects to the relationship of objects and the body, and the way of forming a building with the areas being gathered. Therefore, this study has a purpose of analyzing the life and works of Demitris Papaioannou, and planning the cultural center and performance center by a new pattern of recombination, and inspiring the audience and performer by the spacial experience beyond the existing performance culture, and further presenting the space design providing a variety of places for activating the performance and non-verbal performance by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ing. For the absence of non-verbal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experiencing the past and present of other countries by their cultures through the spatial and three-dimensional experiences, developing a variety of culture of non-verbal performance and arranging and planning the program of 4 types of spaces.Subjects : Culture-Creating Culture Types, Performance Culture, Non-verbal Performances

      • 미술교육에서의 자아정체성 탐색에 대한 연구 :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나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71

        청소년기는 자기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하는 동시에 새롭고 다양한 사회와의 만남이 시작되어 자아에 대한 혼란과 갈등을 겪는 시기이다. 그러나 이 시기에 올바르고 가치 있는 자아정체성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개인적, 사회적 문제가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로 하여 올바른 자아정체성 형성의 기회와 방향을 제시하는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된다. 미술교육은 자신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하는 미적 체험과 내면의 표현과 자기 표출로서 자기 표현이라는 독특성에서 자아정체성 탐색을 위한 교육에 있어 그 역할과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논문은 미술교육에서 자아정체성 탐색의 의의와 그 가치를 찾고 미술 교과서 속에서 자아정체성 탐색에 관한 내용을 고찰하여 그 방향성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가치 있는 삶을 추구하는 데 있어 그 기준이 될 수 있는 자아정체성에 대해 새로운 관점으로 재인식하고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 탐색의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자아정체성 탐색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탐색해보고, 다양한 선행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하여 연구의 중요성과 의의에 대해 서술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자아정체성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학자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모더니즘적 관점과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2절에서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공포된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자아정체성 탐색에 대한 논의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3절에서는 미술교육에서의 자아정체성 탐색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현재의 교육과정, 즉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아정체성 탐색교육이 어떻게 반영되고 수행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출판된 중학교 미술 교과서 총 14종 중 7종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근거로 하여 단원 구성과 학습 목표, 도판의 분석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과서에 자아정체성 탐색에 관련한 내용들이 어떻게 다루어 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Ⅳ장에서 Ⅱ장에서 살펴본 자아정체성 이론과 Ⅲ장의 분석 내용들을 종합해 자아정체성 탐색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지도안을 개발하여 미술교육에서 자아정체성 탐색의 실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를 정리하고 그 의의를 찾으며,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여 주체적이고 가치 있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바탕이 되는 자아정체성에 주목하여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고, 우리나라 미술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오고, 또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교육에서 자아정체성 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하며, 앞으로의 우리나라 미술교육 현장에서 자아정체성 탐색의 방향성에 대한 고민의 기회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Adolescence is a period when the perception about themselves begins, as well as new and diverse encounters with the society,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confusion and conflict about the self. However,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can arise in various fields, unless proper and valuable self-identity is established at this tim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hat opportunity for searching and direction of right self - identity formation by adolescence. Art education can have a role and importance in the education for the search of self - identity i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eeing oneself with new recognition, inner expression and self - expression as self express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explore about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for searching and forming self-identity of the art educ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searching self - identity in art textbooks. Perceiving the self-identity from a new perspective, it can be a criterion for pursuing a meaningful life, and to clarify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exploring self-identity.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The section I investigated the necessity for the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and describ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of various kinds. The section II examined various definitions of the self-identit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the categories of modern and postmodern perspectives. The second part looked into the changes in discussion about the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s, from the first to the 2015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e third part looked into the implicit meanings of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in art education. The section III, to examine how the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was adopted and performed under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at i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7 out of 14 secondary school art textbooks currently published were analyze.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examined how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earch for self-identity are handled in the textbooks used in the school field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unit, study goals and content through illustrations. The section IV integrated the theory of self-identity discussed in the section II and the analyses from the section III, and developed a teaching plan consisting of a program for teaching and learning self-identity, thereby suggesting methods for realizing the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in art education. The section V recapitulates the investigations and finds their significance, suggesting future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identity as a foundation of forming a right sense of values and living an independent and meaningful life, which was investiga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was analyzed as to how it has been applied to the art education fields in Korea. This allows a new understanding of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 education for self-identity in art education, having a significance as an opportunity for deliberating on the education for exploring self-identity in art education fields in Korea.

      • 교대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이나라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교대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음주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야간근무(월 평균 60시간 이상)를 포함하여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C도에 소재한 A, B, C 제조업 사업장의 교대근무자 19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 및 음주행위에 대해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8월 1일부터 2023년 8월 31일이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9.0 program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입력(enter)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대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2.49±0.32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평균 점수는 적극적 대처가 4점 만점에 2.80±0.36 점, 소극적 대처는 4점 만점에 2.50±0.29점이었다. 사회적 지지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64±0.67점, 음주행위 총점 평균은 40점 만점에 9.07±6.13점이었다. 2.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음주행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기적인 음주기간(F=13.30,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교대근무자의 음주행위와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음주행위는 사회적 지지(r=-.163, p=.025)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교대근무자의 음주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β=-.146, p=.024)와 정기적인 음주기간(1년 미만)(β=-.478, p<.001), 정기적인 음주기간(3년 이상~5년 미만) (β=-.153, p=.022), 정기적인 음주기간(1년 이상~3년 미만)(β=-.142, p=.031)이 음주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모형에서 변수들에 의한 설명력은 22.7%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F=14.87, p<.001). 따라서 교대근무자들의 음주행위로 인한 부정적인 문제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근로자들에게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점 등을 교육하고 직장 내 상사나 동료의 지지를 통한 올바른 음주문화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들을 낮추면서도 교대근무자들의 긍정적인 직무만족감을 고취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함으로써 음주행위와 같은 부정적인 대처방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ers' job stress, stress coping methods, social support, and drinking behavior, and identifying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on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stress coping, social support, and drinking behavior from 190 shift workers at manufacturing companies A, B, and C located in C City, who are working shifts including night shifts (more than 60 hours per month on averag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 2023, to August 31,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Scheffé post hoc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enter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9.0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for job stress among shift workers was 2.49±0.32 out of 4 points, for active coping methods 2.80±0.36 out of 4 points, and for passive coping methods 2.50±0.29 out of 4 points. The average score for social support was 3.64±0.67 out of 5 points, and the total average score for drinking behavior was 9.07±6.13 out of 40 points. 2.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drink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hift work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gular drinking periods (F=13.30, p<.001). 3. I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behavior of shift workers and job stress, stress coping methods, and social support, drinking behavior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163, p=.025). 4.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drinking behavior of shift workers, social support (β=-.146, p=.024), regular drinking period (less than 1 year) (β=-.478, p<.001), regular drinking period (more than 3 years to less than 5 years) (β=-.153, p=.022), and regular drinking period (more than 1 year to less than 3 years) (β=-.142, p=.031)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rinking behavi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n the final model was 22.7%,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4.87, p<.001). Therefore, to reduce the negative problems caused by the drinking behavior of shift workers, it is necessary to educate workers on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issues that can arise from drinking and establish a proper drinking culture through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at the workplace. Additionally, management strategies are needed to reduce negative coping methods like drinking behavior by actively dealing with job stres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hat lower the factors of job stress while enhancing the positive job satisfaction of shift workers.

      • 한국창작발레 발달 연구

        이나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발레가 소개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별 대표 작품과 대표 안무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창작발레사를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발레는 시대와 환경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해 왔다.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발레가 프랑스로 또 러시아로 옮겨지면서 큰 성장을 이루었고 다시 세계발레로 확산하였다. 이처럼 발레는 각 국가의 환경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변화하였고 특히 러시아는 서구의 발레를 민족발레로서의 성격을 띤 ‘러시아발레’로 발전시켰다. 우리나라 또한 발레를 우리나라만의 발레 예술로 만들어야 하는 소명을 가지고 한국의 것, 한국의 멋을 담은 한국창작발레를 만들어 내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창작발레의 전반적인 맥락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이 시기를 분류하여 발전사를 고찰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한국창작발레의 초기 태동기는 한국발레의 선구자 임성남이 국립발레단의 창단과 함께 시작되었지만, 대부분 작품이 소품 형식으로 한국창작발레의 정립을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홍정희는 대학 안에서 발레 교육의 정착에 힘썼으며 민족적인 성향이 보이는 작품을 안무했다. 둘째, 한국창작발레의 전개 및 부흥기는 대한민국의 메가 이벤트로 86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의 문화축전을 위한 정부의 예산 규모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국립발레단, 유니버설발레단, 광주시립무용단을 비롯한 많은 동문발레단과 개인발레단에서 새로운 한국창작발레를 안무하려는 시도들이 활발했다. 이 시기에는 광주시립무용단의 박금자가 여러 편의 스펙터클한 장편 작품을 안무하여 한국창작발레의 기틀을 완성하였다고 사료된다. 셋째, 한국창작발레의 도약기는 정부의 순수예술에 대한 지원이 적어지고 새로운 한국창작발레를 안무하는 작업이 다소 침체되어 있는 분위기를 지닌다. 이 시기에는 문병남, 문영, 김유미, 이영애가 기존의 작품을 재안무하는 작업을 해왔고, 강효형, 문병남, 유병헌 등 새로운 작품을 안무하는 작업도 있었지만 대부분 일회성으로 그치고 과거에 비해 단순한 형식의 작품들이 창작되었다. 진정한 한국발레는 우리만의 한국창작발레일 때 비로소 가능하다. 각 나라마다 국가를 대표하는 발레가 있듯이 우리도 우리만의 정서가 깃든 작품을 지속적인 기획, 창작, 향유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적으로는 안무가를 양성하는 특성화된 교육과정, 정책적으로는 시·도립 발레단의 확대, 창작적으로는 한국적 소재의 재해석을 통해 한국창작발레 활성화를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Korean creative ballet in a general way, focusing on representative works and choreographers at each era from the introduction of ballet in Korea to the present. Ballet has been ceaselessly changing and evolving with the times and environment. Ballet was born in Italy and grew considerably when it moved to France and to Russia, then spreading to the world. Thus, ballet has changed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in particular, Russia has developed 'Russian ballet' from Western ballet, which is characterized as national ballet. With the mission to make ballet Korea's own ballet art, Korea has also achieved remarkable growth to create Korean creative ballet full of Korean traits and styl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context of Korean creative ballet, this study examined its development history by categorizing the periods as follows. First, the early years of Korean creative ballet began with the founding of the Korea National Ballet by the pioneer of Korean ballet, Lim Sung-nam but most of performances were in the form of short works, which nevertheles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creative ballet. In addition, Hong Jung-hee strived to establish ballet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choreographed works with Korean ethnic leanings. Second, the period of development and revival of Korean creative ballet is marked by an increase in the government's budget for the cultural festivals of the 86 Asian Games and the 88 Seoul Olympics, which were mega events in Korea, and active attempts by many alumni and private ballet companies, including the Korea National Ballet, the Universal Ballet, and the Gwangju City Ballet, to choreograph new Korean creative ballets. During this period, Park Geum-ja of the Gwangju City Ballet choreographed several spectacular long works, which is believed to have completed the foundation of Korean creative ballet. Third, since the Korean Creative Ballet's period of leaps,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 fine arts has dwindled, and the choreograph of new Korean creative ballets has been somewhat stagnant. During this period, Moon Byeong-nam, Moon Young, Kim Yumi, and Lee Young-ae worked on re-choreographing existing works, and Kang Hyo-hyung, Moon Byeong-nam, and Yoo Byung-heon choreographed new works. However, most of them are one-off, and simpler works have been created than those in the past. True Korean ballet is only possible when it is our own Korean creative ballet. Just as each country has its own national ballet, we should continue to plan, create, and enjoy works with our own sentiments. To do so, we propose to revitalize Korean creative ballet through specialized curricula to train choreographers, expansion of city and provincial ballet companies, and creative reinterpretation of Korea's own materials.

      •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이나라 서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하여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진로교육과 진로성숙도의 개념을 정립하고 초등학생에게 적합한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을 능력 영역의 자기이해, 태도 영역의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독립심 등으로 선정하였다. 자기이해 영역을 바탕으로 다른 하위영역들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자기이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 교육연극과 진로성숙도의 자기이해와의 관련성을 탐구하여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6학년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과통합적인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의 담임학급인 경기도 소재의 T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23명의 학생으로 6학년 교육과정 중 진로교육과 관련된 요소들을 추출하여 교과통합을 통한 수업시수를 확보하였다. 프로그램의 목표에 적합한 핵심질문을 선정하여 총 8회기 20차시에 걸친 교육연극을 활용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진로인식단계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의 진로교육 목표(이영대, 임언, 이지연, 최동선, 김나라, 2004)에 근거하여 진로성숙의 태도 영역과 능력 영역 중 자기이해 하위요인만을 포함시켰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을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청소년을 위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고, 통계적 결과에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참가자의 회기별 활동지, 교사일지, 소감문, 꿈일기, 녹음 자료 등 정성적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체 진로성숙도(p<0.01)와 진로성숙도의 하위 영역 중 계획성(p<0.01), 일에 대한 태도(p<0.05), 자기이해(p<0.01), 독립성(p<0.001)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정성적 분석에서는 자기이해를 통한 진로성숙도의 태도 영역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 및 교우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가 개발한 교육연극 활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명주기봉에 나타난 가족 갈등과 그 의미

        이나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명주기봉>은 혼인 적응기에 일어날 수 있는 부부의 심리적 갈등뿐만 아니라 가문 구성원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인 갈등들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 본고는 그 점에 주목하여 인물 간의 대인관계 양상을 살피고 그 관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혹은 단절되는 지점들을 포착하여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부부별 서사 구조를 살펴보고 사회적 측면으로서의 가족의 역할과 관계 맺음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인간은 혈연으로 맺어진 일차적 관계를 벗어나 점차 사회의 일원으로 편입되어 가는데, 특히 혼인은 사회적 관계에 있던 두 사람이 혈연을 전제로 하는 가족 관계를 확립하는 것이므로 보다 성숙한 대인관계 능력이 필요하다. <명주기봉>은 조선시대 사대부 남녀의 혼인 서사를 중심 내용으로 삼는 바, 작품에 나타난 부부의 갈등과 화합 양상은 더 큰 사회로 나아가는 개인적 성숙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명주기봉>에 나타난 대인관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올바른 대인관계의 구축을 위해서는 쌍방 간의 꾸준한 상호작용이 필요한데, 작품 내에서는 상대를 거부함으로써 관계의 악화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거부의 양상을 ‘배우자에 대한 거부(1차적 갈등)’, ‘상대 가문 구성원에 대한 거부(2차적 갈등)’, ‘복합적 거부(갈등의 다변화)’의 측면으로 나누었다. 그 결과 상대방에 대한 선입관이 관계 맺음에 있어서 실패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고, 남녀의 성격적 결합에는 시간적 여유와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원만한 부부 관계를 위해서는 상대 가문 구성원 역시 가족의 범주에서 이해하고 포용하여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친밀감을 바탕으로 형성되어야할 부부 관계가 권위적인 남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지점들을 통해 배우자를 대하는 태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을 바탕으로 부부 관계의 지향과 가족의 의미를 도출해보았다. 그 결과 작품에서는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부부 관계보다는 배려와 이해가 바탕이 된 수평적 관계를 지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성숙한 부부 관계의 확립을 위해서는 스스로 본인들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자발적 노력을 통한 화해가 필요하다 지적하였다. 그 결과 당사자들 간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을 때 개인적 성숙과 함께 근본적으로는 부부 사이가 발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은 사회적 관계와는 달리 유대와 용서, 신뢰와 애정을 기반으로 한 관계임을 확인하고 <명주기봉>에서 이러한 지점이 포착됨을 제시하였다. 악인형 인물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행동에 근거를 마련해주고 결국은 교화되어 가문 내에 포섭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용서와 포용이 가족의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물 간의 화해를 통하여 가족 관계는 이해(利害)와 상하 관계를 초월한 고차원적인 것임을 제시하고, 가족 간에 단결과 유대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을 상기할 수 있었다.

      • 친환경농산물의 그린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살림천안아산생활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이나라 檀國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2000년 이후에 확산된 웰빙과 함께, 최근에 발생했던 광우병, 멜라민 파동 등과 같은 식품관련안전사고의 발생은 우리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소비자들의 가족건강과 식품의 안전성에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친환경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품, 가격, 유통, 촉진 전략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어떠한 요인이 친환경농산물 소비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살림을 이용하는 주요 소비자층의 연령은 30, 40대이며 월소득은 300~400만원 미만, 200~300만원 미만인 집단, 월 구입금액은 10~30만원 미만, 30~50만원 미만 이었다. 소비자들은 품질과 신선도가 좋아서 한살림에서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충성고객과 비충성고객의 월 구매액을 비교한 결과 충성고객의 월 구매액은 42만 9천원, 비충성고객의 월 구매액은 29만 4600으로 13만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에게 한살림의 그린마케팅 전략에 대해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는 제품전략, 유통전략, 가격전략, 촉진전략 순으로 나타난 반면, 인지도는 촉진전략, 제품전략, 유통전략, 가격전략 순 이었다. 4P's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한달구매액과 상관관계가 있는 전략은 제품전략, 세부전략중에서는 제품전략 2와 유통전략 1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략별 집단 내부의 상관관계는 7개의 강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소비자들이 만족하는 전략, 연령, 월소득으로 4가지 전략의 인식 차이와 세부 전략의 인식차이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차이가 없고, 월 구매액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월소득에 따라 월 구매액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월 구매액에 따라 4가지 전략의 인식 차이는 존재하며, 특히 세부적으로 유통전략 1, 2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한살림의 주요 소비자층이 친환경농산물을 구매하는데 있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제품전략이므로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가진 생산물로 인해 한살림이 가지고 있는 제품적 차별성, 우위성,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가공품에 대해서도 식품첨가물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지키고 있음을 홍보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비충성고객들의 친환경농산물 구입처는 45.7%가 다른 친환경전문점이며 한살림에 없는 품목을 구매하러 가는 경우를 고려하여 이를 개선한다면 비충성고객을 충성고객으로 유인하면 소비자들의 구매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살림의 친환경농산물 그린마케팅에 대해 잘못 인식하고 있거나 모르고 있는 소비자들의 인식정도를 높이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4Ps 전략 내부, 전략집단 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는 전략들을 함께 홍보한다면 소비자들의 인식정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Ps 전략의 상관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제품전략은 가격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과 상관이 있으므로 뛰어난 하나의 우수 전략보다 4가지 전략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야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the year 2000, the well-being trend, the food safety issues like BSE and Melamine disturbanc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our lifestyles. Consumer's interests on health and food safety have increased consump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on the effects of 4P's(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strategies) on consumer behavior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For the study, Hansalim-Cheonan · Asan members had been survey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Hansalim's main customers are 30s and 40s,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is 3~4 million won and 2~3 million won, 300,000~500,000 won and the average monthly purchase is 100,000~300,000 won and 300,000~500,000 won. Consumers purchase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because quality and freshness of those is good. The difference in amount of the average manthly purchase between loyal customers and disloyal customers is about 130,000 won. Customer satisfaction measurement and customer awareness measurement on the green marketing strategy of Hansalim were investigated. Customer satisfaction is that the first is product strategy, the second place strategy, the third price strategy and the last promotion strategy. On the other hand, awareness measurement is that the first is promotion strategy, the second product strategy, the third place strategy, the last price strategy. The average monthly purchase is related with product strategy in correlations between the 4P's each other. Especially, there is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 strategy 2 and place strategy 1. And 7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found out within 4P's strategies. And the differences of 4P's awareness and 4P's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by age and monthly income are not. Only there is the difference about monthly purchase by monthly income. There is differences of 4P's awareness by monthly purchase in detail in place strategy 1 and 2. If Hansalim maintains a product strategy, promotes extensively and keeps their product standard, more consumers will purchase Hansalim products because the most important one of effect of green marketing strategies on consumer behavior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is products. About 45% of disloyal customers visit other shopping mall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roducts in order to buy items not to be sold in Hansalim. Considering these cases and then improve that, disloyal customers will be changed into loyal customers. This will increase purchase sum more. Also, Hansalim needs to go into action to increase recognition. Some of consumers have misconcepts or don't know about the 4P's well. If Hansalim promotes positively considering interrelationship about 4P's strategies or other strategies, the consumers awareness will be changed more eff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balanced 4P's is better than only one superior strategy because of the correlation amomg green marketing strategies.

      • 낯선 장소에서 발견한 환상의 공간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이나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Space has been regarded as the basis of human activity for a long time.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variety of meanings in the long history and the context of the times. Today, as technological civilization is highly developed, the concept of space is expanding further. This is no exception to artists, so we look forward to space's possibility of extensions in the works of many artists. My work process is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se spaces. Based on the unfamiliar feeling I felt in everyday places, I create a new illusion of space by adding imagination. First of all, start by capturing an ordinary, everyday place, I put my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ical space on the canvas. In the process, the place that made me experience unfamiliarity becomes an opportunity for the viewer to experience an imaginary space beyond reality through a dreamlike atmosphere. These unfamiliar places are in line with the concept of illusory space, so-called "Heterotopia (Hétérotopie)”, that can be found in reality. In particular, unidentified spaces, such as abandoned buildings in the city, not only serve as spaces that instill a new sense into me but also provide rest in my repetitive daily life. Therefore, it exists as a temporary heterotopia through the time experience of unfamiliarity, not familiarity. In addition, these spaces indicate the possibility of being present as multiple different spaces for each person or spectator, given that they are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subject. This paper illustrates the transition from such an unfamiliar place in reality to space beyond the invisible reality in two ways. The first is a way of developing through "imagination”, which is a way of creating an intermediate state dream activity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fter postulating the dreamy state, I tried to create an unrealistic fantasy space in a painting by consciously and freely changing the appearance of reality. The second is the way to express the strangeness and anxiety that occurred in unfamiliar places in the work. Unfamiliarity is an uncomfortable feeling that leads to an ominous feeling that something is about to happen or disappear. Such factors that cause anxiety and tension are some of the main factors that elicit imaginative narratives of oneself and the audience. Therefore, through the uneasy inner psychology felt in these unfamiliar places, I tried to express the space in the concept of being different from what it originally was. In addition, I analyzed in detail what formative features the illusory space in my work has as a result. I explained the compositions that create the unique tension and the strange atmosphere felt in the work. Also, I looked at the points where objectively recognizable information was omitted through simplified geometric forms and represented the space re-recognized by observers. Finally, through the symbols and meanings of purple, which were mainly used in my work, I explained the important role of this particular color that functions in expressing the illusory space I pursue. With the flow of time, space has had more diverse possibilities, and our experience and perception vary accordingly. However, due to the experience and time we have already accumulated, we have not recognized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spaces, but have only recognized them as ordinary and everyday meanings. Thus, I wanted to create a new illusory space that I pursu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special feelings and imaginations that unfamiliar places evoke. These spaces have their meaning and value as another new and subjective space, not just as a space as a broad and abstract concept. 공간은 오랜 세월 인간 활동의 근간으로 여겨져 왔으며 긴 역사와 시대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의미들로 변모해 왔다. 오늘날 기술문명이 고도로 발달되면서 그 개념은 더욱 확장되고 있다. 이는 예술가들에게도 예외가 아니어서, 많은 예술가들의 작업 속에서 우리는 그 외연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기대하게 된다. 본인의 작업은 이러한 공간에 대한 탐색을 바탕으로 한다. 일상 속 장소에서 갖게 된 낯선 느낌을 바탕으로, 상상을 가미하여 새로운 환상의 공간을 구현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우선 평범하고 일상적인 공간에서 출발하여, 개인적 해석을 투사한 관념적 공간을 캔버스에 담아낸다. 이 과정에서 본인에게 낯섦을 경험하게 한 그 장소는 작품에서 더해진 몽환적 분위기를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현실 너머의 상상적 공간을 경험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이렇게 낯선 장소들을 새롭게 만든 공간은 현실 속에서 발견 가능한 환상의 공간, 이른바 헤테로토피아(Hétérotopie) 개념과 상통한다. 특히 도시 속 방치된 공간이나 버려진 듯한 건물과 같이 정체가 불명확한 공간은 본인에게 새로운 감각을 불어넣는 공간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일상에서 안식을 찾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익숙하고 편안함이 아닌 낯섦이라는 시간적 경험을 통해 한시적 헤테로토피아로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은 주체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개인마다 다르게 지각된다는 사실에서 본인 혹은 관람자 개개인에게 여러 가지 각각 다른 공간으로 존재할 가능성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이처럼 현실 속 낯선 장소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 너머의 공간으로의 이행과정을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했다. 첫 번째는‘상상’을 통해 전개시키는 방법으로, 이것은 의식과 무의식의 중간 상태인 몽상적 활동이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본인은 몽상적 상태를 상정한 후, 현실의 모습을 의식적으로 자유롭게 변화시킴으로써 비현실적인 환상의 공간을 회화에 구현하고자 했다. 두 번째는 낯선 장소에서 발생하는 생경하고 불안한 심리에 주목하여 이를 작품에 표현하는 방법이다. 낯섦은 익숙하거나 편안하지 않은 감정으로, 무슨 일이 발생하거나 무언가 사라질 것 같은 불길한 예감으로 이어진다. 이처럼 불안감과 긴장을 유발하는 요소는 본인 및 관람자의 상상적 내러티브를 이끌어내는 주요 요인 중 하나다. 따라서 본인은 이러한 낯선 장소에서 느낀 불안한 내면심리를 통해 실제 모습과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는 관념 속의 공간을 표현하고자 했다. 또한, 결과적으로 본인 작품에서 나타나는 환상의 공간이 구체적으로 어떤 조형적인 특징을 갖게 되는지 분석하였다. 작품에서 느껴지는 특유의 긴장감과 묘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구성들을 살펴보았으며, 단순화된 기하학적 형태들을 통해 객관적으로 인식 가능한 정보가 생략되며 관찰자가 재인식한 공간을 나타내는 지점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에서 주로 쓰인 보라색의 상징 및 의미를 통해 이러한 특정 색이 본인이 추구하는 공간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점을 살펴보았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간은 더욱 다양한 가능성을 가지며 그에 따라 우리의 경험과 인식도 달라진다. 그러나 우리는 이미 쌓아온 경험과 축적된 시간들로 인해 공간들의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그저 평범하고 일상적인 의미로서의 공간들을 인식해 왔다. 본인은 낯선 장소가 불러일으키는 특별한 감정과 상상에 주목하여 본인의 관념 속에서 만들어지는 환상적인 공간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공간은 광범위하고 추상적인 개념으로서의 공간이 아닌, 새롭고 주관적인 또 다른 공간으로서 그 의미와 가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