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

        이기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효율적인 직무수행에 적합한 수준에 놓여 있는지를 살펴보고, 보다 효율적인 직무수행을 가능케 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부적 관계가 아닌 정적 관계는 나타날 수 없는지, 만약 가능하다면 어느 수준에서 정적 관계가 성립하는지 등을 양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또한 역U자의 곡선적 관계가 가능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모집단은 2015년 2월 현재 서울시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이다. 서울시 교육청 관내 공립초등학교를 90개를 무선 표집하여, 각 학교에 15부씩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1,215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81개 학교에서 650부를 회수하여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연구 방법을 실시하였고, 질문지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만든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2012년에 개정된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의 교사 근무성적평정사항 중 근무실적 및 근무수행능력의 평정내용 문항, 맹미경(2003)의 직무수행 설문지 문항을 바탕으로 하여 학교 현장과 본 연구의 방향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고, 예비 조사를 통해 최종 설문지를 완성하여 사용하였다. 직무수행 수준을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 지각하는 직무수행 수준 외에도 연구 대상자의 2014년 교원 만족도 조사 점수를 수집하여 제시하였다. 서울시 공립 초등학교에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 F검증, 상관관계 분석, 곡선 추정 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전반적인 관계와 더불어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세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위 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4점 중 평균 2.94점(백분율 73.61%)이었다. 특히, 조직의 체제와 직무불안정 영역에서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느꼈으며, 관계갈등과 학교문화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직무스트레스에서는 교직경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직무스트레스 각 영역별로도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보이는 집단은 10~2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었고, 20년 이상 경력의 교사들은 비교적 가장 낮은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영역별로 배경 변인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직무 요구에 의한 직무스트레스는 10~2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가장 높게 느끼고 있었다. 직무자율성 결여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남교사가, 경력이 낮을수록, 일반교사일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계갈등, 직무불안정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교직경력 10~20년 미만의 교사가 가장 높게 느꼈다. 조직의 체제 영역에서는 경력이 낮을수록, 일반교사일수록, 근무하는 학교의 규모가 클수록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하였다. 보상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는 5~10년 미만 경력의 교사들이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 문화에서 겪는 직무스트레스는 남교사가, 경력 5~10년 미만 경력의 교사가 가장 높은 직무스트레스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 수준과 교원 만족도 점수에 나타난 직무수행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 수준은 4점 중 평균 3.65점(백분율 91.25%)이고, 교원 만족도 조사 점수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수행 수준은 5점 중 평균 4.64점(백분율 92.820%)이다.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을 먼저 살펴보면, 전체적인 직무수행에서는 성별, 교직경력, 담임여부, 보직여부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여교사, 담임교사, 보직교사, 그리고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직무수행 수준이 높다고 지각하였다. 직무수행의 각 영역별로 배경 변인에 따른 의미 있는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업지도에 대한 직무수행 수준은 여교사, 경력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생활지도와 학급경영에 대한 직무수행 수준은 여교사, 경력이 높을수록, 담임교사, 보직교사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연구 및 학교업무 영역에서는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보직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 수준이 높았다. 교원 만족도 조사 점수는 담임여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 교과전담보다는 담임교사의 직무수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수행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종속 변수를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수행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uld handle their work-related stress, and to find out the stress level making teachers work more efficiently. We normally think that teachers' stress at work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performance. But, we wondered if there could b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if possible, on what level of stress we could say it has positive effect on teachers' work performance. we wanted to find out this by doing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this preceding research, we assumed that there could be an inverted U cur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ress and work performance.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we set up these 3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tress level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ware of? Second, what is their level of work performance? Third, what kind of relation between the stress they are aware of and teachers' work performan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are teachers who are working now in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Feb.2015) We randomly chose 90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en presented 15 questionnaire to each school. We surveyed 1,215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line, got back 650 questionnaires from 81 schools, and analyze them.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researching method, and the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se things; standards, which is made i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o measure Korean's stress at their work, criteria-work performance/competence-in the public educational official's promotion requirement that was renewed in 2012, and questionnaire about work performance that was made by Mi Kyeong Maeng in 2013. Then, we revised them for this study, did preliminary research, and made the final questionnaires to use. To measure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more objectively, we collected teachers' satisfaction research of 2014 in addition to working on 'work performance'. To analyze the result from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 used t-test, F-test, correlation, curv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le we were doing this processes above, we divided them into 3 parts(sections) according to general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stress and work performance, and the stress level. Then we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stress and work performance from each part. The results we got are like the follows; First, the stress level that teachers are aware of is 2.94 out of 4(73.61%) Especially, the stress level is high in group system, and work insecurity. The level was relatively low in conflict with others, school culture. In the entire stress level, the difference depends on work experience(career). The work experience also had an effect on each categories of stress. We found out that the stress level of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for 10~20 years was the highest while teachers more than 20 years had the lowest figur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factors in each category of work-related stress is like the follows;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10~20 years are stressed out most intensely in job demand. The stress level caused by lack of self-imposed work is high to these people; male teacher, teachers with short experience, and general teachers.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10~20 years have the highest stress level in conflict with others, job insecurity. If teachers have shorter experience(career), are more ordinary, work in smaller size of school, they show higher stress level.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5~10 years show the highest number in stress caused by compensation. Finally,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5~10 experience show the highest figure in work-related stress relevant to school culture. Second, we divided the standards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 performance into two things. One of them is a standard of work performance that teachers are aware of. The other is a level of work performance that we found in teachers' satisfaction. As for work performance teachers are aware o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ntire work performance according to gender, work experience, whether or not he is a home roon teacher/assigned or not. Female teachers, home room teachers, grade head teachers, and teachers with long work experience are aware that their level of work performance is very high. The differenc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in each category of work performance is like this; We got higher number in the level of their teaching skills from female teachers,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longer. As for student guidance work/managing the class, we got the high number from female teachers,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longer, home room teachers, grade head teachers. Lastly, in the categories of educational research/general work at school, as they have been working longer,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that the grade head teachers are aware of is high. The scores of teachers' satisfaction research depends on whether if they are home-room teachers or not. We also found out that the level of work performance of home room teachers is higher than grade head teachers. Third, to analyze the connection between work performance and teachers' stress, we set the standards of work performance that teachers are aware of and the grade of teachers' satisfaction research as a dependent variable. The work-related stress which teachers are aware of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work performance, then we drew U curve to show their relationship. This is the opposite result that we assumed. Teachers' stress could explain about 20.0% of their work performance that they are aware of. According to the result, we found out that we should minimize or maximize the work-related stress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However, we suggest that we minimize the stress rather than maximize it for teachers to work more efficiently. Meanwhile, we could draw an inv

      • 「페르 귄트 모음곡」 감상수업을 위한 지도방법 연구 : 고등학교 감상수업을 중심으로

        이기쁨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등학교 음악 감상 수업에서 「페르 귄트 모음곡」을 중심으로 지도 방법을 연구하였다. 학생들에게 있어서 음악 감상은 아주 흔하게 학습할 수 있는 활동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음악을 감상할 때 음악과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며 음악의 외적인 요소들을 같이 학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단순히 음악 내적인 표현만을 아는데 치중하는 경우가 많다. 감상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는 기초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교과서에 수록된 모음곡을 알아보고 모음곡이 작곡되어진 배경을 충분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페르 귄트 모음곡」을 중심으로 극음악을 이해하여 희곡 「페르 귄트」를 알아보고 「페르 귄트 모음곡Ⅰ,Ⅱ」의 각 악곡의 특징을 분석하여 보았다. 그 분석된 악곡을 바탕으로 「페르 귄트 모음곡Ⅰ,Ⅱ」의 지도방안을 제시하여 보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 학습 활동이 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음악을 이해하고 정확한 감상활동을 위해서는 이론 뿐 아니라 실제적으로 수업에 연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학습에 필요한 구체적인 학습지도안을 감상교육에 도입하여 교사들의 수업 진행의 수월함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현대의 급속히 발전되어 가는 시대에서 학생들의 심리적 요구와 흥미를 고려하여 학생들이 좋아하는 문학과 극을 연관시키는 감상 활동이 필요다고 볼 수 있겠다. 그러므로 창의적인 감상학습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 have been researching teaching methods for appreciation class in high schools based on 「Peer gynt suite」, and will show my results through the following thesis. For students, apprecia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methods that they can meet in class. However, they usually have a set value on simply knowing internal expression in music through appreciation, although they need to know external factors and related knowledge at the same time. In appreciation class, since text books generally play a basic role, students need to know a suite in the textbook and the backgrounds of it. In the following thesis, I will analyze drama「Peer gynt」and each musical piece 「Peer gynt suiteⅠ,Ⅱ」through the understanding that the operas are based on 「Peer gynt suite」in the textbooks. Also, I will show some teaching methods with the analysis for more effective appreciation activitie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music and to have better appreciation, they should not only know theories but also make them related with real class activities. I have tried to apply detailed teaching methods for real activities to appreciation in order to make easier for the teachers to manage classes and lead students’ participation. With consideration of mental demand and interests of students is rapidly changing , I have also tried to make a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dramas) and appreciation activities. For the previous reasons, the research activities and developments must be done constantly.

      • 근로장려세제 확대개편의 효과에 대한 연구

        이기쁨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로장려세제의 확대개편이 저소득 근로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한국복지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론은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분분석을 결합한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근로장려세제가 노동공급과 소득을 증가시키기는 하지만 확대개편이 항상 정책의 효과를 증가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장려세제의 확대개편을 통해 효과를 증가시키고자 하면 근로장려세제의 특성과 수혜대상이 되는 여러 연령대들의 특성을 잘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주제어 근로장려세제, 확대개편, 성향점수매칭, 이중차분분석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the EITC(Earned Income Tax Credit) reform on low income workers. Analysis methodology is MDD(matched difference in difference) in which DID(difference in difference) and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EITC increases labor supply and labor income, but the reform does not increase the effect of the policy. It can be concluded that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policy expansion, the important thing is that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ITC and various age groups that are eligible for the policy.

      • 직장 가정 갈등이 직무소진과 가정소진에 미치는 영향: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기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job burnout and family burnout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work family conflict,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burnouts. A total of 209 adult employees aged over 2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sponded to Work-Family Conflict, Maslach Burnout Inventory – General Survey, family burnout and goal orientation scales. A total of 200 data were analyzed. First, the more participants experienced work family conflict, the more they perceived job burnout and family burnou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job burnout was verified.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had high learning goal orientation, job burnout was low, even in situations where work family conflict was high. In the case of those who had low prove-performance goal orientation, job burnout was low, even in situations where work family conflict was high. Participants with low avoid-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lso experienced less job burnout in situations where work family conflict was high.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family conflict and family burnout was partially confirmed. In the case of participants who had high learning goal orientation, family burnout was low even in situations where work family conflict was high. Participants with low avoid-performance goal orientation also showed low family burnout in case of high work family conflic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prove-performance goal orient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job burnout and family burnout can be changed by the level of work family conflic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 and burnout can be changed by goal orientation. Finally, ways to reduce burnou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직장-가정 갈등의 수준에 따라서 직무소진과 가정소진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또한 목표지향성이 직장 가정 갈등과 직무소진, 가정소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직장인 2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참가자들은 직장 가정 갈등, 직무소진, 가정소진, 목표지향성 척도에 응답하였다. 총 2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장 가정 갈등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직무소진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소진 또한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장 가정 갈등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목표지향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직장 가정 갈등이 높은 상황에서도 직무소진이 낮게 나타났다.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이 낮은 사람의 경우 직장 가정 갈등이 높은 상황에서도 직무소진을 덜 경험하였고,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낮은 사람 또한 직장 가정 갈등이 높은 상황에서 직무소진을 덜 경험하였다. 직장 가정 갈등과 가정소진의 관계에서는 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가 일부 확인되었다. 학습목표지향성이 높은 사람의 경우 직장 가정 갈등이 높은 상황에서도 낮은 가정소진을 경험하였다. 성과회피목표지향성이 낮은 사람 또한 직장 가정 갈등이 높은 상황에서 낮은 가정소진을 보였다. 그러나 성과증명목표지향성의 경우 조절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무소진과 가정소진이 직장 가정 갈등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갈등과 소진의 관계가 개인차 변인인 목표지향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진을 줄이는 방안과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놀이중심의 음악 요소와 개념 학습지도방안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기쁨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들에게 음악은 정서적 안정감을 주고 불안감을 해소시켜주며 감수성을 풍부하게 발달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음악을 사고하는 방식을 통해 지적 능력을 높여준다. 그래서 불안정한 청소년 시기에 음악은 아주 중요하고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는 음악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학생들의 음악 선호도는 대부분 대중음악에 편중되어있고, 학생들은 학교에서 시행되는 음악수업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음악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음악이론 수업은 음악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고 모든 음악활동에 기초적인 지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높은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가창, 악기연주 등 실기위주의 음악수업에서는 심도있는 음악 이론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교육적 여건을 해결하기 위해선 일주일에 단 1시간의 음악수업이라도 재미있고 다양한 음악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여주면서도 음악적 개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음악 지도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놀이를 통한 음악학습, 바로 음악놀이이다. 음악놀이는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의 의욕과 흥미, 관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학생들이 자발적인 학습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음악교육은 다양한 활동과 즐거운 환경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음악놀이를 하면서 학생들은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신체로 표현하면서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음악놀이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음악에 친숙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음악 체험을 통해 음악에 대한 감정이 풍부해지게 된다. 어렵고 딱딱한 수업이 아닌, 단순히 즐기고 노는 것 같은 음악활동을 통해 학생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음악을 구성하는 기본요소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인지하게 되면서 잠재되어 있는 음악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학생들이 음악 요소와 개념을 학습하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음악수업 시간에 활용 가능한 놀이중심의 음악 요소와 개념 학습지도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 요소와 개념체계의 변천, 음악 요소와 개념 학습의 중요성, 놀이 학습과 음악놀이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청소년기 발달단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2015 음악과 개정교육과정에서 중학교 1-3학년이 배워야 할 음악 요소와 개념체계 중 음악놀이 활동을 통해 가르치기 적합한 음악개념 10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10개의 음악개념을 중학생의 수준에 맞춰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놀이들을 연구자가 변형하여 재구성하거나, 새롭게 제작하여 음악놀이 활동을 만들었다. 10가지 음악놀이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음악놀이 분류’에 의해 총 3가지 ‘탐색놀이’, ‘발견놀이’, ‘창작놀이’로 분류되어 나눠진다. ‘탐색 놀이’는 학생들이 배운 음악 개념을 바탕으로 음악놀이를 하면서 해결방법을 찾는 활동이다. ‘발견 놀이’는 음악놀이를 통해 음악개념, 지식을 찾고 발견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창작 놀이’는 음악 지식이 확실하게 내면화 되어있을 때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지는 놀이이다. ‘음악놀이 분류’ 3가지는 유동적이며, 수업의 상황이나 교사의 재량에 따라 바뀔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분류의 놀이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개발된 10가지의 음악놀이를 바탕으로 수업을 구성하였으며, 2015 음악과 개정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에 실려 있는 여러 악곡들을 중심으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음악놀이 학습은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생들의 주도적인 참여와 긍정적인 호응을 이끌어낼 수 있으며, 동시에 모든 음악활동에 기초적인 음악개념을 적립할 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에 음악수업에서 놀이중심의 음악 요소와 개념 학습지도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이다. 또한 음악놀이 활동이 학교 음악수업에서 자리 잡을 수 있게 놀이를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가 개발 되고 활성화 되었으면 한다.

      • 박래현 회화에 나타난 선, 면을 활용한 추상표현 연구

        이기쁨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향 박래현은 일제 치하와 6.25 동란 후 서구문물의 도입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의 시기에 서양의 양식과 사조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끊임없이 독자적으로 실험적인 작품세계를 이루어 나가 한국전통화단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 작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향 박래현의 작품세계 속에 나타나는 선과 면을 활용한 추상표현을 중심으로 시기과정과 작품세계에서 추상양식의 변천과정과 다양한 기법에 대하여 분석하며 우향이 서구의 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고 한국 화단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박래현의 생애와 추상표현의 본격적인 시작점인 1950∼1960년대 시대적 상황과 근대 한국화단의 배경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추상회화의 개념과 동양회화에서 선의 기원, 동양과 서양의 선에 대한 의식 비교를 연구하였다. 다음으로 선과 면을 활용한 추상양식의 변천으로 큐비즘의 수용기를 거쳐 반추상에서 추상으로 변해가는 앵포르멜적인 경향, 후기의 독자적인 추상작업으로의 변천해가는 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박래현이 서구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받았고 현대 한국동양화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동양화라는 한계에 머물러 있지 않고 풍부한 감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성을 가지고 서구양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 창조적인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박래현의 독자적인 예술관을 조명하였다. Uhyang (pen name) Park Rae-hyun is a writer who played a role in connecting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from accepting the Western styles and trends positively and realizing the experimental world of his artworks independently in the period of social chao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culture after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 Korean War. In this paper, focused on abstract expressions using lines and sides which appear in his artworks’ world, from analyzing courses of the periods, change processes of abstract styles, and diverse techniques, it was examined and studied that what things of the Western painting affected him and what influence he had on Korean art circles. Therefore, first of all, the paper intends to examine his life, situations of the time from the 1950s to the 1960s as a full-scale starting point of his abstract expressions, and backgrounds of modern Korean art circles. And, the concepts of abstract painting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origin of lines in the Oriental painting, and awareness of lines of the Orient and the Occident were compared. Then, passing through the period of accepting Cubism from the transit of abstract styles using sides and lines, the Art Informel trend changing from semi-abstract to abstract and the course which was changed into his independent abstract work in his late time were considered. So, it was examined that what influence he received from the Western painting and what effect he had on the modern Korean Oriental painting. This study illuminated independent artistic views of Park Rae-hyun who tried creative diverse changes and developed the Korean paining further from accepting the Western styles positively with Korean tradition based on his various emotions and experiences without staying at the limit of the Oriental painting.

      •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이기쁨 나사렛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시에 소재한 A센터를 이용하는 6세-7세의 발달장애유아 3명을 선정하였다. 이 연구의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across participants design)를 적용하였고, 매 회기마다 20분을 녹화하여 관찰자와 함께 대상 유아의 주의력 행동을 관찰하였다. 또한 심리운동 프로그램 중재의 종결 2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상황에서 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관찰을 통한 주의산만행동 및 주의집중행동 발생률의 평균 및 범위를 단계별로 제시하고 그래프 작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산만행동을 감소시켰다. 둘째,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집중행동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주의산만행동이 감소되었고 주의집중행동이 증가된 것으로 보아, 이 연구에서 실시한 동화를 활용한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유아의 주의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 연구 :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기쁨 한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을 탐색하고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상담과 다른 직무를 5년 이상 수행했으며, 상담자로 전환한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고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상담 관련 자격증을 소지하며 유급으로 상담활동을 하고 있는 5년 미만의 경력의 상담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로 진로전환의 과정에 대한 모든 활동을 탐색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둘째, 진로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과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상담자로 진로전환과정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07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의 중심현상은 ‘상담자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함’이었다. 이를 발생시키는 인과적 조건은 ‘상담이라는 분야를 다양한 경로로 알게 되고 불안과 기대감 속에 자신의 진로로 선택함’, ‘심리상담공부를 시작함’ 이었으며, 사회·문화적 배경을 포함한 맥락적 조건은, ‘이전 직업을 계속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들이 등장함’, ‘여성으로 직업유지의 한계를 느낌’, ‘직업단절을 경험함’, ‘수련과정에서의 고충’이었다. 참여자들은 중심현상에 대처하기 위해 ‘이전 직업 경력으로 인해 상담직에서 다양한 영향을 받게 됨’, ‘상담자로서 나만의 진로를 모색함’, ‘상담자로서의 자질에 대해 의심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성장시키려 애씀’의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였다. 앞의 전략들을 조절하고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의 사회적 지위와 현실을 자각함’, ‘이전 직업을 병행하다가 정리함’으로 드러났으며,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참여자들에게 나타나는 결과는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확신이 생김’, ‘상담자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됨’, ‘상담자는 계속적으로 학습하고 성장해야 하는 존재임을 수용함’ 이었다.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명한 과정은 입문(入門)단계, 고민과 갈등 단계, 습득과 조율 단계, 재정립(再正立)과 확립 단계로 4단계로 설명된다. 상담자로 진로 전환한 참여자들이 사회·심리적으로 어떠한 전환의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자신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며 상담자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지속해서 나타난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며 유형 분석결과,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과정은 ‘행동형’, ‘숙고형’의 두 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상담자로 직업전환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의 실제와 특성을 구체화했고,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상담자 발달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career transition of counselor based on the substantial theory.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12 different women, who work for counseling departments and other major duties for more than five years, were participated and interviewed by the in-depth interview methodology. This research have explored all kind of activities, related to the career transition as a counselo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a counselor, what do you experience in the course of your career transition? Second, what are the conditions and factors that affect participants' decision on career transition? Third, as a counselor, what kind of changes do you experience in the course of career transition? The research resulted in 107 concepts, 36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in open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career transition process as a counselor was ‘trying to get used to being a counselor'. The causal conditions that caused this were ‘acknowledge the field of counseling in various ways and choose the career with anxiety and expectations', ‘starting psychological counseling study'.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ing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were ‘the appearance of situations where it was difficult to keep the previous job', ‘the sense of limitations of career as a woman', ‘the experience of career break' and ‘the hardship in the training process.' To cope with the central phenomenon, participants applie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previous career experiences various affect of counseling job.', ‘seeking my own career as counselors', and ‘trying to grow deficiencies while questioning my qualifications as counselors'. The mediating conditions for regulating and promoting these strategies were ‘cognition of the social status and reality of the counselor' and ‘closing from the previous profession'. These indicators resulted that participants acknowledge conditions such as ‘new awareness and confidence of themselves', 'enabling them to perform various tasks of the counselor' and ‘accepting that the counselor has to continue to learn and grow.' The course of career transition to a counselor over time is described in four stages: introduction, worry and conflict, acquisition and coordination, redefining and establishment. The core category of participants social and psychological processes for the process of career conversion is ‘extended self-awareness and efforts to adapt to the counselor'. Through exploring category, this research analysis identified the relevance between the categories that have been consistently exhibited centering on this core category. As a finding, there are two types of career conversion process as counselors ‘behavior type' and ‘deliberation type'. Throug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embodied the actuality and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 in the course of career transition as a counselor. This finding can be applied to identified a factor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