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차세대 Co 배선을 위한 자가형성 확산방지막 Cr2O3의 형성에 대한 열역학적 예측 및 전기적 신뢰성
최근 반도체 산업은 소자 미세화의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여 새로운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존 Cu/low-k 배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배선 지연 문제는 차세대 반도체 성능 향상의 주요 장애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Co 배선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Co가 미세 구조에서 Cu 대비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신뢰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Co 배선의 실제 적용을 위해서는 고온 및 고전계 조건에서 발생하는 확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한 혁신적 방안으로 자가형성 배리어(Self-Forming Barrier, SFB) 기술이 제시되었다. SFB는 얇고 강한 배리어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의 장점도 가지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Co-Cr 합금의 열처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Cr2O3 SFB 층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일렉트로마이그레이션 저항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Co-Cr 합금에서 Cr 농도가 SFB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열역학적으로 예측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FactSageTM을 이용한 열역학 계산 결과, 450°C 조건에서 Cr2O3 형성량은 Cr 농도 0.6at.% 부근에서 변곡점을 보였다. 이는 Co-Cr 합금의 FCC에서 HCP로의 결정구조 전이와 관련이 있으며, Cr의 화학적 포텐셜이 확산 및 산화물 형성의 핵심 인자임을 시사한다. 특히 이러한 결정구조 전이점에서 관찰되는 Cr2O3 형성량의 변화는 SFB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VRDB 실험을 통한 검증 과정에서 SFB 성능은 Cr 농도 1.2at.%에서 최적화되었으며, 이는 열역학적 예측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Cr 농도 조절을 통해 SFB 형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저농도 영역에서의 최적화는 공정 경제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를 바탕으로 순수 Co, Co-1.2at.%Cr, Co-7.5at.%Cr 시편을 제작하여 포괄적인 전기적 신뢰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C-V 측정 결과는 각 시편의 계면 특성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었으며, BTS-VRDB 평가에서는 Co-1.2at.%Cr 조건의 우수한 확산 방지 성능이 입증되었다. 특히 TDDB 평가에서는 전계 수명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이루어졌다. Power-law 모델에 피팅하여 200°C에서의 수명을 예측한 결과, 전계 가속 인자(m)의 차이를 통해 베리어 형성 조건에서 전계 의존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제 사용 환경(1.5MV/cm)에 가까운 전계 조건에서는 Co-1.2at.%Cr 조건이 순수 Co 대비 수 차수 이상 긴 수명을 보여, 실용화 가능성을 높였다. 미세구조 분석을 위한 TEM 및 EELS 연구에서는 Co-1.2at.%Cr 시편에서 1.2nm 두께의 균일한 SFB 층이 관찰되었으며, 산화된 Cr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나노스케일 수준의 균일한 배리어 형성은 미세 배선 구조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반면 Co-7.5at.%Cr 시편에서는 결정구조적 요인으로 인해 SFB 형성이 제한적이었다. 고농도 Cr 조건에서의 이러한 한계는 향후 SFB 설계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 배선용 SFB 개발에 있어 Cr 농도의 최적화가 핵심임을 입증하였다. 특히 열역학적 예측과 실험적 검증의 일치성은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는 동시에, 향후 다른 합금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노미터 수준의 SFB가 보여준 우수한 확산 방지 성능과 신뢰성은 Co 배선의 실용화 가능성을 한층 높였으며, 이는 차세대 반도체 배선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확립된 방법론과 결과는 미세화가 가속화되는 반도체 산업에서 새로운 배선 시스템 개발의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Cr 농도 조절을 통한 SFB 형성 메커니즘의 이해는 공정 최적화와 신뢰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과는 향후 더욱 복잡해지는 반도체 배선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The semiconductor industry currently faces physical limitations in device scaling, necessitating innovative solutions. In particular, the interconnect delay issues in conventional Cu/low-k systems have emerged as a major obstacle to improving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performance. Co interconnects have gained attention as a potential solution due to their superi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reliability compared to Cu in fine structures. However, implementing Co interconnects requires addressing diffusion issues under high-temperature and high-field conditions. Self-Forming Barrier (SFB) technology has been proposed as an innovative solution, offering the advantages of forming thin yet robust barrier layers while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Previous research has confirmed the formation of Cr2O3 SFB layers during heat treatment of Co-Cr alloys, which also contributes to improved electromigration resistance. This study thermodynamically predicted and experimentally verified the effect of Cr concentration on SFB formation in Co-Cr alloys. Thermodynamic calculations using FactSageTM showed that Cr2O3 formation at 450°C exhibited an inflection point near 0.6at.% Cr. This correlates with the crystal structure transition from FCC to HCP in Co-Cr alloys, indicating that Cr's chemical potential is a crucial factor in diffusion and oxide formation. The variation in Cr2O3 formation observed at this crystal structure transition point provides key insights into the SFB formation mechanism. VRDB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SFB performance was optimized at 1.2at.% Cr concentration, showing correlation with thermodynamic predict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FB formation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through Cr concentration adjustment. Additionally, optimization in the low-concentration region carries positive implications for process economics. Based on these findings, comprehensive electrical reliability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pure Co, Co-1.2at.%Cr, and Co-7.5at.%Cr specimens. C-V measurements clearly revealed interfac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specimens, while BTS-VRDB evaluation confirmed superior diffusion barrier performance in the Co-1.2at.%Cr condition. Notably, TDDB evaluation provided in-depth analysis of field lifetime characteristics. Lifetime predictions at 200°C using Power-law model fitting showed increased field dependence under barrier formation conditions through differences in field acceleration factor (m). Particularly, under field conditions approaching actual usage environments (1.5MV/cm), the Co-1.2at.%Cr condition demonstrated lifetimes several orders of magnitude longer than pure Co, enhancing practical viability. TEM and EELS analyses for microstructure investigation revealed a uniform 1.2nm thick SFB layer in the Co-1.2at.%Cr specimen, with confirmed presence of oxidized Cr. This nanoscale uniform barrier formation carri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ine interconnect structures. Conversely, the Co-7.5at.%Cr specimen showed limited SFB formation due to crystallographic factors, highlighting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future SFB design in high Cr concentration condition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r concentration optimization is crucial in developing Co interconnect SFBs. The correlation between thermodynamic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verification not only enhances research reliability but also presents a methodology applicable to other alloy systems. The excellent diffusion barrier performance and reliability demonstrated by nanometer-scale SFBs have significantly advanced the practical viability of Co interconnects, marking important progress in next-generation semiconductor interconnect system development. Furthermore, the methodology and results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form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new interconnect systems in the increasingly miniaturized semiconductor industry. The understanding of SFB formation mechanisms through Cr concentration control can directly contribute to process optimization and reliability improvement. These achievements are anticipated to serve 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advancement of increasingly complex semiconductor interconnect technology.
CrossFit Training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이금성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국문 초록 CrossFit Training이 중년 여성의 신체구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rossFit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s of Middle-Aged Women 본 연구는 CrossFit training이 중년여성의 신체 구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피험자는 J gym에서 지난 3개월간 운동 경험이 없는 40 50대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크로스핏 실험군(n=12)과 운동을 하지 않는 비교군(n=12)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지난 9주간(60분/일, 3회/주)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훈련강도는 Karvonen의 목표심박수 공식을 이용하여 설정 하였다. 9주 훈련 전후에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을 측정하여 훈련전·후간 차이(대응표본 t-test)와 집단간 차이(독립표본 t-test)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체구성 변인에서 체중 및 체지방량은 크로스핏 트레이닝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집단간의 차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육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집단간의 차이도 없었다. 2. 혈중지질 변인에서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모두 변화는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간 차이도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면 체중과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를 보여 크로스핏 트레이닝이 중년여성의 신체활동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목회(기독)상담 정체성으로서의 전인치유 : 영성을 기반으로 한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논의
이금성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국문요약 임상 실제에서 가장 강력하게 도전 받은 문제는 기독상담의 정체성이 과연 무엇인가란 질문이었다. 기독상담학은 학문의 특성상 정체성 구현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 먼저 하나님과 관련된 문제이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임상 임재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또한 보이지 않는 하나님과 함께 상담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더불어 하나님과의 역동의 장(場)에서 상담자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이다. 다음 신학과 심리학이란 두 학제를 사용한다는 면이다. 이 둘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임상에서 주로 심리학을 적용했다면 그것은 기독상담을 하지 않은 것이 되는가? 그렇다고 지금까지 목회 돌봄에서 해오던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기독상담이라면 구지 심리학을 동반학제로 손잡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심리학을 동반학제 삼는다 하여도 부닥치는 문제가 있다. 인간을 바라보는 근본 철학부터 다른 이 학문을 어떻게 동반학제 삼을 수 있는가이다. 인간을 기계론, 진화론 그리고 심리적 존재로 한정 짓는 심리학과 인간을 영 육 혼의 하나님 형상 닮은 존재로 바라보는 신학이 어떻게 조우할 수 있단 말인가? 다음 신학이란 학제를 사용하는 데서 나오는 한계들이 있다. 기독상담은 신학을 접목하기에 기독인만이 상담대상이 되는 것일까?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들을 ‘영성’을 통해 풀어가고자 했다. 영성은 인간의 앎과 삶을 구성하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를 철학적 물음이 되며 세계관을 이루는 시대사조와 기독영성의 비교를 통해 논의하였다. 본 고(考)는 시대사조를 기독영성과 대조를 이루는 영성의 측면으로 보았다. 삶의 자리가 주어지는 모든 인간은 누구나 할 것 없이 신적인 것, 궁극적 질문들을 하게 되는데 이것을 ‘영적’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를 ‘신-앎-삶’의 형태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기독영성은 무엇인가란 질문을 영성관련 논의의 중심으로 삼았다. 본 연구는 영성을 기반으로 한 기독상담 통합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곧 영성의 두 방향 곧 ‘위로부터의 영성’과 ‘아래로 부터의 영성’을 심리학과 신학에 접목하는 것이다. 이를 학제 간 대화를 통해 논의하였다. 또한 임상 실현의 구체성을 위해 학내 간 대화를 도모하였다. 이로써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기독상담 정체성을 전인치유라 하였다.
In recent years, power demand has soared every year due to continued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of new industries, and since domestic energy environment is highly dependent on foreign situations and very influenced by oil price fluctuations, it becomes important to find the ways for stable energy control. Responding to growing power demand, it is necessary to make accurate estimations of power demand for investment in the facilities used in power systems, or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existing facilities and stable energy supply. Since electric energy is consumed at the same time as it produced, once started the production, it has the property to be difficult in storing and being wasted immediately, so that the overestimated demand of power will increase the production costs, while the underestimated demand will cause the instability in the supply. Therefore, accurate demand forecast of power should be made for optimal operation of power system. However, responding to fast-growing power demand, power grid is gradually expanding on a large scale to be more complex, and the patterns of power consumption are diversifying, making it difficult to secure adequate reserve margin or to forecast power demand. This paper aims to find the most suitable forecasting method by applying to power demand forecasting an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which have recently shown excellent performances in various fields. It implemented a forecasting model throug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such as logistic regressions, decision tree, and support vector machine algorithm as well as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as a deep learning technique and compared it. In addition, it applied the results from the learn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to deep neural networks for the implementation of complex forecasting models, and as the results from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s, a complex forecasting model with decision tree and deep neural networks was found the most outstanding, and also as the results from comparison of the data forecasted by the KSLF (KPX Short-Term Load Forecaster) program, which is currently used by Korea Power Exchange, for 100 days from January 1, 2019 to April 10, 2019, an improvement by 0.87% in the performance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 foundation can be provided for the ways to reduce the waste of electric energy, as well as distribute and utilize the energy efficiently by close connection with the smart grid technology.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ventional consolidation methods like pre-loading and vertical drains. In the study, Two different mechanism, i.e., increasing of permeability and evaporating of pore water were studied. The marine clays excavated in Incheon were heated to increase the permeability. Also, high-temperature electric heater were used for pore water evaporation. To fix them, the electric heating system was revised to upgrade the field application and drain efficiency of pore water, and the marine clays were heated by revised electric heater at high temperature. As it was showe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high-temperature heater induced the pore water evaporation and displayed the excellent consolidation behavior. In addition, the suggested that electric heating system could be applied for ensuring the trafficability of heavy equipments. Also, This paper developed the method of surface soil improvement by electric heating equipment, namely the electric heating systems were invented to apply at the in-situ soil. The laboratory tests were done to study the behaviors of sea clays by it. Ouring lab tests, several different heating temperatures were applied to the saturated clay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poration and compaction. In addition, trafficability was analyzed to the heated clays by cone penetrometer. Furthermore, in-situ test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range of soil improvement and strength variations. The temperature changes in field were measured and the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mmercial program(Temp/W). Also, the bearing capacities of electrically heated field were tested by PBT(plate bearing test). Several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analysis and tests(lab and field). The improvement ranges and strength variations of electrically heated soil were dependent on the heating temperature and time. If evaporates the ground water within the heating temperature more then 100℃, the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of it were increased rapidly. The bearing capacities of in-situ soil were increased, and heated soil emitted a lot of vapors. The soil around electric heater was sintered completely. To study the heating procedure of surface soil, three different mechanisms : line source model, commercial program(Temp/W) and filed test were used to analyse the thermal behavior of soil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in-site test were similar to line source model and program, the results were graph showed by log pattern curves. After 3 days of soil heating, the vapor emission whose radius is about 1m was continuous with increased range of temperatures. The ground was excavated to examine with naked eyes where about 20cm range from pipe heater was completely sintered. Therefore, the soil heating through pipe in ground could be used to soil improvement successfully. In addition, the vapor caused by soil heating was emitted to upward and the most heat was transferred to horizontal direction. Also,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electric heating equipment and applied for deep soil improvement. The developed heat pipe is 4 m-length and consumes 1 kW/m, which is consisted of Ni-Cr wire. It was installed in 3.5 ~ 4.5 m below ground surface and heated for 96 hours(48 hours, 2 times). The temperature variation and vapor pressure caused by electric heating was measured by the thermometer and pressure gauge which were installed in the ground(5.0 m), and the tip resistances were measured by static electronic piezo-cone penetration test(CPT). As it was showed in the results of experiments, 2-order polynomial curve was shown to adjust the variation of tip resistance an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with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electric heater, whose R2 value is close to 1. In addition, in-situ pore-water pressure and water content was de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ithin the discipline through the way the discipline system of North Korean universities works. North Korean universities are establishing a discipline system similar to that of military organizations to train college students who will grow into major groups such as prospective executives as system-friendly talent. In universities, discipline is operated as a tool of controlling ideology in which the interests and purposes of groups take precedence over individuals under the slogan "One for the whole, the whole for one." Discipline is a process of repetitive training accompanied by coercion, and in the field of education called school, it works as a repetitive discipline for students. Organizational life in universities operates in a similar way to the military, and the hierarchy and hierarchy within students work for discipline. However, those who have become university students under the strict conditions required by the state are subject to discipline,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subtle cracks in the discipline system behind the scenes. The discipline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method of discipline operation and practical aspects in daily life. First of all, there were the following systems as a method of discipline operation. The first was the operation of official discipline, which involved cleaning. Cleaning is a continuation of collective labor in North Korean universities and is an official curriculum to establish a discipline system. Cleaning is a repetitive learning process that educates students and requires an obedient attitude. Second, it requires a spirit of collectivism from college students and limits and controls individual freedom through roll call so that they cannot escap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discipline. Third, it is a summary of life to remove old ideas, including individual selfishness of college students. Life summarization was operating as a self-monitoring role with self-control and binding power. In addition, it was necessary to focus on political thought subjects such as "Rozac" and "Revolutionary History" and receive good grades to be advantageous for hiring executives and arranging workplaces after graduation. There were two types of "mobilization," military mobilization and effort mobilization. Military mobilization is a university student Kyodo University training and is an essential completion education among the requirements for college graduation. You can complete it after six months of training, and you cannot receive a college diploma if you do not finish it. Effort mobilization is a combination of education and production labor, and it is dual education, and it was done every afternoon by external work. Looking at the daily practic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in terms of ideology, life summarization was only operated by ritualized discipline, and the actual binding force was weakened. College students did not feel the need for political ideology subjects, and they showed a confrontation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ducational discourse in ideological culture. He flew in search of his own buffer zone due to excessive discipline and physical fatigue, and sometimes showed non-socialist behavior such as drinking and contact with South Korean pop culture as a member of a "gang" organization.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and mobilization, it was semi-disciplined to find an appropriate point of compromise called "backward project" and leave the mobilization or pay for points. University students are suspicious of the legitimacy that was justified and taken for granted in the discipline system, and they are obeying the rules in the university, but forming their own anti-regulation culture to the extent permitted. 본 연구는 북한 대학 내 규율체계의 작동 방식과 대학생들의 규율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서 규율은 ‘하나는 전체를 위하여, 전체는 하나를 위하여’라는 구호 아래 개인보다 집단의 이해와 목적이 우선되는 통제적 이념의 도구로 작동되고 있다. 규율은 강제성을 동반하는 반복 훈련의 과정이며, 학교라는 교육의 장에서는 학생들에게 반복적인 훈육으로 작동한다. 북한의 대학은 향후 예비 간부와 같이 주요한 집단으로 성장할 대학생을 체제 친화적인 인재로 양성하기 위해 군대 조직과 비슷한 방식의 규율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리고 학생 내 서열과 위계가 규율체계를 위해 작동한다. 하지만 국가가 요구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거쳐 대학생이 된 이들은 규율에 순응하면서도 동시에 이면에서 규율체계에 미세한 균열을 만들어 내는 일상적 실천을 하고 있다. 대학생의 규율 경험을 규율 작동의 방식과 일상에서 실천적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규율 작동의 방식으로는 세 가지 체계가 있다. 첫째, 공식적인 규율인 청소이다. 청소는 북한의 대학에서 집단 노동의 연속이며, 규율체계를 세우기 위한 공식 교육과정이다. 반복적인 학습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청소를 통해 학생들을 교육하며 순종적 태도를 요구하고 있다. 둘째, 대학생들에게 집단주의 정신을 요구하며 규율이라는 제도적 틀에서 벗어날 수 없도록 점호를 통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고 통제한다. 셋째, 대학생들의 개인 이기주의를 비롯한 낡은 사상을 제거하기 위한 생활총화이다. 생활총화는 자아 통제와 구속력을 가지고 자기감시로서의 역할로 작동된다. 이 밖에도 정치사상 교과목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조직 활동에 학생들을 동원한다. 대학생들은 ‘로작’, ‘혁명력사’와 같은 정치사상 교과목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야 졸업 이후 간부 등용과 직장 배치에 유리하다. 동원에는 군사동원과 노력동원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군사동원은 대학생 교도대 훈련으로 대학 졸업 요건에 해당하는 필수 이수 교육이다. 6개월의 훈련을 거쳐 수료할 수 있으며 미이수 시 대학 졸업장을 받을 수 없다. 노력동원은 교육과 생산노동이 결합된 이원적 교육이며 매일 오후 외부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대학생의 일상적 실천 경험을 살펴보면 사상적 측면에서 생활총화는 의례화된 규율로만 작동되고 있었으며, 실질적 구속력은 약화되고 있다. 대학생들은 정치사상 교과목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했으며, 사상 교양에 있어서 북한 당국의 교육 담론과 대치되는 모습을 보였다. 더 나아가 지나친 규율의 작동과 육체적 피로감으로 자기만의 완충지대를 찾아 비행하며, ‘패거리’ 조직원으로 때로는 음주나 남한의 대중문화 접촉 등의 비사회주의적 행동을 보였다. 공교육과 동원의 현장에서는 ‘후방사업’이라는 적절한 타협의 지점을 찾아 동원에서 빠지거나 돈을 주고 점수를 사는 반규율적 모습을 보였다. 대학생들은 규율체계 속에서 정당화되고 당연하게 받아들였던 정통성을 의심하며 대학 내 규율에 순종하면서도 허용된 범위 안에서 자신들만의 반규율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이금성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e measured ground water behavior by TDR sensors are analyzed by the data filtering technique such as moving average method and Fourier transform, and the ground water level and unsaturated zone were tried to be determined numerically. At first, the variation of TDR data according to the saturation degree were measured by lab test, which is translated as a function of saturation degree. Then, changes of ground water level and lateral seepage are simulated by the field conditions with lab experiments using acrylic pipe, the measured data are analyzed to makr calibration curve. Furthermore, TDR sensors were installed into the in-situ embankment to insure the field application. The saturation degree, unsaturated and dried zones were determined from the measured data.
쟁점 기반 역사학습을 통한 독립운동사 교육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사례로
이금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인식할 수 있는 학습방안을 개발하는데 있다. 특히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주요 쟁점을 바탕으로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사와 한국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미를 탐색하고 인식할 수 있는 학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독립운동사 연구와 교육 동향을 분석하여 쟁점 학습을 통한 독립운동사 교육의 필요성을 밝혔으며, 임시정부와 관련된 주요 쟁점을 추출하였다. 임시정부에 대한 주요 쟁점은 대략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독립운동 단체로서의 위상이다.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항일투쟁에서 거둔 성과, 임시정부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정 등이 포함된다. 둘째, 대한민국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계승했는지 여부이다. 헌법적 연계성, 인적 계승, 임시정부 계승에 대한 해방 직후 인식이 쟁점의 요소이다. 셋째,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독립운동을 통해 인류가 지향하는 보편적 가치와 사회적 공공성 등을 추구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역사논쟁 학습 및 쟁점기반 학습 모형을 검토하여 쟁점 기반 독립운동사 학습 절차 초안을 구안하였다. 역사교육 전문가, 역사 교사, 그리고 연구자 자신의 삼각검증을 통해 이를 검토하여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한 쟁점 기반 독립운동사 학습절차는 문제인식 → 쟁점추출 → 논점분석 및 결론도출 → 역사해석 및 역사적 사실의 재구성 단계를 거친다. 문제인식 단계에는 ① 학습주제 제시, ② 논쟁 개요 소개, ③ 쟁점이 내포된 자료 제시, ④ 쟁점 이해를 위한 발문을 통해 학습 주제와 쟁점 사항 파악이 들어간다. 쟁점추출 단계에서는 ① 자료 분석 및 주요 쟁점 파악, ② 발문을 통한 쟁점 확인 활동을 한다. 논점분석 및 결론도출 단계에서는 ① 자료 분석 및 해석, ② 대안 추출 및 논거의 타당성 검토, ③ 결론 도출의 활동을 한다. 역사해석 및 역사적 사실의 재구성 단계에서는 ① 학습주제에 역사적 의미부여, ② 역사적 사실의 해석, ③ 역사적 사실의 재구성을 한다. 이렇게 개발한 학습 절차를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적용하여 쟁점 기반 역사학습의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시정부의 주요 쟁점을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여 임시정부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힌다. 둘째,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재구성하는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셋째, 역사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읽고, 추론 및 해석하는 활동을 통해 역사의 해석적·논쟁적 본질을 체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