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도 운영 중 변경 위험관리에 필요한 중요 영향인자 도출

        이광재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Under recognition system of local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in 2012, railway operators or managers of railway facilities (hereafter railway operator) should be equipped with organic system on railway and railway facility safety management (hereafter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such as on workforce, train, equipment, operation procedure, education and training and emergency response plan. A railway operator should establish its own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railway safety act designated by the country and receive state approval. The country requires operators to carry out change risk assessment should there be any changes to an approved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due to various change factors in railway operation. However, the target of change risk assessment set under current technical standards for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vague and there lacks procedure and method on change risk assessment. There is an issue with carrying out change risk assessment that reflects subjective opinion of a railway worker in charge of change risk assessment. Thus, this research has proposed change risk assessment subject of review essential for change management in the advent of changes in railway operations by railway operator by drawing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necessary in change risk management in railway operations. As part of undertaken research, the research studied inadequate examples on change management of local railway operator and explained theoretical background on risk assessment. Also, the research proposed study direction based on collected opinion on change management by local risk management professional institutions and local railway operators. Opinions showed that the purpose of risk management on change factors in railway operation is a drop in railway accident and driving disability. The research analyzed major risk elements based on railway accident and driving disability to draw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for change risk assessment. As for railway accident and driving disability analysis target, the research looked into 7 years of data from 2014 when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introduced to 2020 and studied whether it can be reflected as an influential factor when carrying out change risk assessment. The research worked out risk level by drawing frequency and severity of railway accident and driving disability. It also analyze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n final failure driving disability on major risk elements of major railway accident and driving disability to draw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of change risk assessment. It applied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FMEA) method that explains influence on disorder (accidents, disability) occurring during railway system operations. To come up with major influential factors essential for change risk management, the research utilized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and gathered opinions of railway workers carrying out railway safety operations on field and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inspectors for major accident and disability risk elements analyzed in FMEA. The research also came up with a graph on importance and adequacy as well as importance and severity on major influential factors essential for change risk management based on IPA method to come up with 13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compliance with driver regulations), worker safety measure compliance, unauthorized work by workers, and poor interaction between train and track so that change risk management is carried out in realistic and efficient way. Railway worker that carry out change risk management operations should put out efforts to analyze all risk elements on change factors in railway operations and establish alleviation measures. However,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present a clear standard and analysis target is too wide, which is why important influential factors presented in this research should be analyzed fundamentally and the target sh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operation environment of each railway operator. This is judged to help prevent railway accident and operation disorder. The research result is expected to help railway operator to smoothly carry out change risk management operations on continuously changing railway operation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reducing railway accident and operation disorder. 2012년 국내 철도안전관리체계 승인제도가 도입되면서 철도를 운영하거나 철도시설을 관리하려는 자(이하 “철도운영자등”)의 경우 인력, 시설, 차량, 장비, 운영절차, 교육훈련 및 비상대응계획 등 철도 및 철도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유기적 체계(이하 “철도안전관리체계“)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철도운영자등은 국가에서 정한 철도안전법령에 따라 기관에 맞는 철도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여 국가로부터 승인을 받는다. 철도 운영 중 여러 가지 변화요인으로 승인받은 철도안전관리체계의 변경사항이 발생된다면 변경 위험도평가를 시행하도록 국가에서 정하고 있다. 하지만, 현행 철도안전관리체계 기술기준(국토교통부 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변경 위험도평가 대상이 모호하고 변경 위험도평가에 대한 절차 및 방법 등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변경 위험도평가를 담당하는 철도종사자의 주관적 의견이 반영된 변경 위험도평가를 시행하는 등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철도운영자등은 변경 위험도평가를 위한 변경관리 절차서가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고 있더라도 변경관리 적용에 있어 동일한 변경관리 사례임에도 각각 다른 검토항목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철도 운영 중 변경 위험도평가를 위한 중요 영향인자를 도출하여 철도운영자등이 철도를 운영함에 있어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변경관리에 중요한 변경 위험도평가 검토대상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수행 내용으로 위험도평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국내 철도운영자등의 변경관리에 대한 미흡사례를 조사하였다. 미흡사례는 철도안전관리체계 검사 중 발생된 변경관리 관련 시정조치서이다. 또한 국내 위험관리 전문기관 및 국내 철도운영자등으로 하여금 변경관리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실제 변경 위험도평가 업무를 담당하는 철도종사자들에게 질문을 통한 답변으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여러 의견을 수렴한 결과, 철도운영자등이 철도를 운영하면서 변경되는 사항에 대한 변경 위험도평가는 결국 철도사고와 운행장애 감소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변경 위험도평가를 위한 중요 영향인자 도출을 위해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를 기반으로 한 주요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분석 대상은 철도안전관리체계 도입 시기인 2014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이를 변경 위험도평가 시행 시 중요 영향인자로 반영될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우선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의 발생빈도와 심각도를 산정하여 위험도 등급을 산정하였다. 변경 위험도평가의 중요 영향인자 도출을 위해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주요 위험요인에 대하여 최종 고장(사고·장애)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때 철도시스템 운영 중에 발생하는 고장(사고·장애)에 대하여 원인의 관계를 계열적으로 해석하는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주요 위험요인을 도출하였다. 변경 위험관리에 필요한 중요 영향인자 도출을 위해 FMEA로 도출된 사고·장애 주요 위험요인을 철도안전관리체계 검사관 및 현업에서 철도안전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철도종사자들의 의견을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IPA 기법은 여러 항목중에서 중요한 항목을 도출할 때 전문가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중요 항목을 도출하는 기법으로 중요도 검증 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석 기법이다. IPA 기법을 활용하여 변경 위험관리에 필요한 중요 영향인자에 대하여 중요도와 적합도 및 중요도와 심각도를 그래프화하여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변경 위험관리 업무가 수행될 수 있도록 13개의 중요 영향인자(운전자 규정 준수, 작업자 안전대책 준수, 작업자 무단작업, 차량·선로 간 상호작용 불량 등)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변경 위험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철도종사자는 철도운영 중 발생되는 변경사항에 대하여 모든 위험요인을 분석하고 경감대책을 수립하는 노력을 해야 한다. 하지만, 분석대상이 너무 광범위하고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기에 매우 어렵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요 영향인자를 기본으로 분석하고 각 철도운영자등의 운영환경에 따라 검토 대상을 확대하여 시행하면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철도운영자등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철도운영환경에 대하여 변경 위험관리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고, 철도사고 및 운행장애 저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The effect of Morus alba extracts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李光宰 全南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yrosinase는 melanogenesis나 멜라닌 합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효소로서, 포유류의 melanocyte에 있는 tyrosinase의 활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조절하는 수많은 억제제들이 발견되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상백피 추출물에 의한 tyrosinase의 발현 억제효과를 측정하기위해 B16 mouse melanoma cell을 이용하여 tyrosinase의 전사와 번역에 있어서의 저해효과를 실험하였다. 상백피 추출물을 B16 mouse melanoma cell에 처리한 결과, tyrosinase 프로모터의 활성이 약 80% 감소하였으며 카페인을 처리한 세포의 프로모터 활성은 처리하지 않은 것과 비교했을 때 약 l3 배의 증가된 활성효과를 보였다. Tyrosinase 프로모터의 활성화에 더 하여, cAMP에 의해 활성화된 세포에서는 tyrosinase 프로모터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 의 발현량도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tyrosinase 프로모터에 대한 cAMP의 활성효과가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를 거쳐일어나고 있다는 보고들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카페인과 상백피 추출물을 동시 처리하였을 경우, 카페인의 활성효과는 상백피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었다. 카페인이 세포내 cAMP 농도를 증가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상백피 추출물이 cAMP관련 경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반면에 protein kinase C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알려진 TPA는 tyrosinase의 발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백피 추출물에 의한 tyrosinase의 전사 억제는 tyrosinase 단백질 발현량에 영향을 주었다. 상백피 추출물을 세포에 처리시,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단백질 양이 감소하였으며, 카페인에 의한 발현량의 증가도 상백피 추출물에 의해 감소되었다. 그러나 상백피 추출물은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arbutin, kojic acd, ascorbic acid 처럼 tyrosinase의 효소활성을 억제시키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상백피 추출물이 전사수준에서 tyrosinase의 발현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또한 tyrosinase의 효소활성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는 것으로 여겨진다. The biosynthesis of melanin is mainly controlled by tyrosinase. Tyrosinase (E.C 1.14.18.1) is the rate-limiting enzyme in the control of melanogenesis or synthesis of melanin. Various melanogenic inhibitors that regulate melanin synthesis in mammalian melanocytes or melanoma cells in vitro and in vivo by modulating tyrosinase activity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gene expression by the Morus alba extracts, the effects of extracts were tested on tyrosinase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using B16 mouse melanoma cells. When Morus alba extracts were treated to B16 melanoma cells, the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was decreased about 80%, and promoter activity of B 16 melanoma cells treated with caffeine were stimulated about 13-fold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In addition to the tyrosinase promoter activity, the microphthalmia was activated in cAMP-stimulated B16 mouse melanoma cells, and it is consistent with the reports that the stimulatory effect of cAMP on tyrosinase promoter is occurred through microphthalmia transcription factor. However, when caffeine and Morus alba extracts were co-treated to B16 mouse melanoma cells, the stimulatory effect of caffeine was reduced by Morus alba extracts. Because caffeine was known to increase the intracellular cAMP level, this result suggested that Morus alba extracts block the cAMP-related pathway. In contrary to caffeine, TPA, a protein kinase C activator, did not stimulate the tyrosinase promoter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nslation of tyrosinase affected by Morus alba extracts also decreased following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transcription, the amounts of tyrosinase were determined. As a results, the amounts of tyrosinase were decreased by the extracts with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the stimulatory effect of caffeine on tyrosinase expression was also reduced by the extracts. However, Morus alba extracts did not affected the enzymatic activity of tyrosinase like other common inhibitors such as arbutin, kojic acid, ascorbic acid. The results of these study lead to suggesting that Morus alba extracts used in this study may inhibit the tyrosinase expression at the level of transcription and not affected enzymatic activity of tyrosinase.

      • 기업회생절차 조기 진입 유도를 위한 회생신청기업의 재무적 특성 연구 : 중소제조기업을 중심으로

        이광재 국립부경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계기업의 증가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이른바 3고 현상으로 일컬어지는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로 인해서 사업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코로나19 펜데믹 이후에 정부의 기업에 대한 금융지원 정책 종료로 한계기업의 요건을 갖춘 기업이 늘어나면서 회생 신청기업의 증가추세가 이어진다. 자생력을 잃은 기업이 국가의 관리하에 갱생의 기회를 갖도록 지원하는 것은 중요한 국가적 책무이다. 본 연구의 1차적인 목적은 기업회생을 신청하는 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재무적 특성을 통계기법을 통해서 파악하는 데 있다. 인지된 부실 징후를 관리함으로써 회생 신청을 하는 상황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하거나 회생 신청을 하게 되더라도 적기(適期)를 놓치지 않음으로써 회생 성공률 향상 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회생신청기업들 의 회생신청 전 5년간의 재무성과 변화에서 정상기업과 다른 특징들을 발견하고 그 특징들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규칙성을 갖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앞서 시행한 통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회생 절차 조기 진입을 유도함으로써 회생절차 성공률 제고에 기여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의 재무적 현실을 객관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재무상황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고안하였다. 그것이 ‘재무자가진단표’이다. 회생신청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53개 재무비율 변수들로 독립변수를 구성하고 회생신청기업(회생)과 정상기업(정상)을 종속변수로 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한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 하기에 앞서 상관분석을 통해서 변수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1(정상기업과 회생신청기업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회생신청기업과 정상기업 간 재무변수의 차이는 회생신청 시점에 근접할수록 그 차이가 더 분명해질 것이다.) 가설3(재무변수에 따라 회생신청기업과 정상기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시점이 다를 것이다)은 모두 지지 되었다. 회생신청기업의 경우 타인자본에 의한 과도한 시설투자가 재무상황을 악화시키는 원인이라는 것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현금창출 능력에 비해서 무리한 시설투자, 특히 타인자본에 의한 시설투자일 경우 사업위험이 확대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설투자 후속조치로 투자효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상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재무 자가진단표의 활용을 제안한다. 재무자가진단표는 본 논문이 최초로 시도한 자가평가도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재무자가진단표를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될 것이다 첫째, 회생신청 단계에 도달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조치를 강구하기 위한 용도. 둘째, 회생신청을 위한 적절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조기 회생절차 진입을 촉진하기 위한 용도가 그것이다.

      • 전파 Theragnosis를 위한 마이크로파 영상화

        이광재 충북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A microwave imaging(MWI) technique for MWI guided Focused microwave thermotherapy(FMT) is presented. The proposed MWI guided FMT was applied for a microwave(MW) focusing based on MWI, and it could be provide realizing the moderately elevated temperature at the selective tissue while maintaining ordinary temperature in normal tissue. The moderate temperature provided physiological benefit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 treatment. To find the focusing parameters for the targeted focusing, we calculated multi-static data(MSD) matrix by using a numerical program for MWI reconstruction, MSD matrix is converted the focusing parameters by using singular value decomposition(SVD). We developed computational solver to predict Power Loss Density(PLD) based MW focusing. The operating frequency is 434MHz and the source antenna was modeled electrical dipole, and a circular array of 16 sensing antenna was used to calculate the scattered fields in a background profile.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array was 180mm. The source antenna providing totally 135W sinusoidal microwave. And a Bio-Heat Equation(BHE) solver was utilized to solve thermal analysis and to calculate temperature distribution. For anatomically realistic simulation, the computational solvers are applied to a numerical calf model by using patient`s MRI. As a results, the thermal dose well focused in the deeply targeted point (3cm depth from skin surface). Also, the proposed MWI guided MW focusing are very selective, as the temperature (above 43.7℃) which provide therapeutic benefits is achieved in an area surrounding the targeted point not larger than 40mm. The thermal dose can be localized at the targeted position while unwanted hotspot are avoided. It shows that the proposed technique is to moderately elevate the temperature at the targeted tissue while maintaining ordinary temperature in normal tissue. We proposed differential microwave imaging (DMWI) technique for the monitoring and feedback of thermotherapy systems. The DMWI for temperature monitoring is predicated on the change in dielectric properties of tissue with temperature. Real-time DMWI is accomplished with a precomputed matrix by using linear inversion. To verify the proposed technique, we have developed a real-time DMWI test-bed. The test-bed consist of a focusing and imaging tank with antenna array, MWI module and MW focusing device made by ETRI. The test-bed is experimented on honeycomb phantom with thermochromic color liquid. Differentially heated target is successfully imaged in focusing environments. 본 연구를 통해 전파 영상기반의 전파 집속 열 치료 기술인 전파 Theragnosis를 제안하며, 이를 위한 마이크로파 영상화에 대해 논한다. 기존의 집속 마이크로파 열 치료(FMT: Focused Microwave Thermotherapy) 기술은 사전에 확보된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생체 내부의 원하는 목표 부위에 집속할 수 있는 집속 파라미터를 구하나, 본 제안 기술은 마이크로파 영상화를 통해 전파 영상기반으로 집속 파라미터를 구할 수 있어 MRI 영상을 대체할 수 있다. 불량(ill-pose) 상태인 전파 영상복원 조건에서 Gauss-Newton 반복법을 이용하여 전파 영상 복원하였고, 이때 얻어진 비균질 Green 함수 특성이 포함된, 다중 상태 데이터(MSD: Multi-static Data)를 특이점분해(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하여, 집속 파라미터를 얻었다. 개발된 해석기(solver)를 통해 운용주파수 434MHz, 정현파 형태의 인가 전력 135W의 마이크로파를 다이폴안테나로 모델링 된 지름 180mm의 원형배열에서 종아리 수치 팬텀을 대상으로, 이전 획득된 집속 파라미터로 전파 집속을 모의 연산한 결과, 의학적으로 실용적이며, 의료적 실효성이 높은 심부 깊이(피부 표피로부터 3cm)에서 높은 전력손실밀도(PLD) 범위가 형성되었다. 또한, 집속 결과로 얻어진 전력손실밀도 분포는 목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발생 되었다. 모의실험을 통해 얻은 PLD를 근거로 Bio-Heat Equation(BHE)을 모의 연산하는 해석기를 개발하여 PLD에 의해 열 발생과 생체 내부의 온도변화 결과를 예측하였다. BHE 해석 결과, 5분 경과 후 생체 초기온도 36℃에서 목표 영역 최고 온도 43.7℃의 +7.7℃ 온도상승 결과를 얻었다. 목표 부위 중 온도가 +4.0℃ 상승한 영역은 지름 40mm 정도이며, 이는 주파수 434MHz, 근육의 유전특성(비유전율 약 57) 전파 환경에서 약 반 파장의 크기이다. 또한, 목표 부위에 선택적 집속 결과를 얻었음을 분석할 수 있는 CEM 43 수치 분석을 통해 정확한 목표 위치에 3분(minute)의 CEM 43 수치를 얻었다. 이는 근육에서 혈류량의 증가, 염증 등의 독성물질 배출, 건의 확장성 증가 등의 근골격계 질환 온열 치료(1~10분의 CEM 43 정도가 유효)에 적합한 유효 수치이다. 150~200W의 전력을 다양한 분위에 대한 전파 영상유도 집속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근육 대상 1.5~5cm까지의 심부 깊이에서 정확한 목표 부위에서 평균 6.3분의 유효한 CEM 43 수치를 얻었다. 또한, 여러 계획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강인성 분석을 위해, 대상 모델의 유전특성에 강제적으로 30%의 오차를 주입하여, 모의 집속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시술 중 대상 체의 움직임을 모델링 한 위치 오차주입 모의실험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유전특성의 오차에 대해서는 상당히 높은 강인성을 보여 거의 집속 위치의 변동이 없었으나, 위치 오차에 대해서는 결과적으로 움직인 만큼 집속되는 위치가 변동하여, 실용시스템 설계에서 대상 체 움직임에 대한 대비 설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 영상기반의 차분 영상화 기법을 통해 전파 집속에 의한 생체 내부의 온도변화를 영상화하고자 하였다. 실시간 차분 영상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수행결과 BHE 해석기의 온도변화 분포와 거의 유사한 온도 영상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모의실험을 근거로, 마이크로파 영상화의 실제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기술 검증용 실험 장치를 구현하였다. ETRI에서 개발한 925MHz 배열안테나를 사용해야 하는 환경에 맞춰, 프로그램을 925MHz 재설계하여 온도 영상화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 장치는 캐비티(cavity)형태의 집속 수조에 16채널 원형배열안테나 집적된 구조이며, 안테나 소자는 전면 방향성 방사 패턴를 보이는 고이득 방향성 다이폴로 설계되었다. 또한, 16채널의 교차 산란 신호를 2포트 백터네트워크분석기(VNA)로 기록하기 위해 16-2분기 스위칭 매트릭스(switching matrix)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영상화 모듈과 ETRI에서 개발한 전파 집속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파 집속에 의한 열 집속 및 온도변화에 따른 영상화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성능실험을 위한 시각적으로 특정 온도의 지시가 가능한 시온 용액이 주입된 벌집 팬텀을 제작하여 925MHz 운용주파수에서 5분간 10℃의 온도상승 결과를 얻었고, 온도상승으로 –0.5%/℃, 도전율 –1.7%/℃의 변화량을 보이는 시온 용액의 유전특성변화를 영상화한 결과, 목표지점에서 정확한 온도변화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 석회석 폐광산의 골프코스 활용방안 : 오스타 단양G.C 골프코스 조성사례 중심으로

        이광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의 노천채광방식의 석회석 광산개발에 따르는 대규모 산림경관 훼손지역에 대한 생태적 활용방안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퍼블릭 골프코스 시공사례를 통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폐광산 복구의 일환인 산림복구예치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단순한 복구의 차원이 아닌 골프코스 조성계획을 통해 폐광지대의 비생산적 토지활용방안을 비교, 분석코자 하였다.최근 급증하는 환경 친화적 건설 사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에 부응하고자 생태적인 복원목표를 설정하고 복원목표에 따라 골프코스시공을 통한 복원설계 및 시공방안을 연구 하였다.본 연구는 문헌조사 및 국내외 석회석광산의 개발 후 복원에 관한 사례연구와 현장조사 및 채광 후의 지형분석을 통해 골프코스로의 활용을 위한 코스설계를 하였다.골프코스 조성 후 환경적 변화의 경우 공사단계부터 운영단계별 분석수치를 비교 분석하고 인문 사회적 변화 경우 골프장운영에 따른 종사원, 이용객현황 및 골프장 고용인원의 지역별 분포 파악을 통해 지역경제의 기여도를 간략히 제한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본 연구대상지인 단양 폐광산의 경우 산림복구예치금 납부 대상지에 대한 활용사례로서 단순한 복구행위가 아닌 별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모범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본 연구부지는 개발이 끝난 시멘트 광산부지를 복구차원에서 환경 친화형 조경계획을 수립하여, 골프코스설계 시 절토면에 발생된 암반을 절취하지 않고, 존치시켜 폐광지역을 슬기롭게 다른 용도로 개발한 것이라는 교육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설계하였고, 자연과 인공의 조화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계획 및 시공함으로서 건설로 인한 주변생태계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골프코스 조성결과 환경적 변화의 주요 환경요인인 지형·지질, 동·식물상, 수질, 토양, 소음 및 진동 등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한 결과 본 골프코스 조성공사 및 운영에 따라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경미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인문·사회적 변화의 경우 골프장 운영에 따른 활동인구의 변화 및 골프장 고용인원의 지역별 분포 비교분석 결과 골프장 개발 사업으로 인한 주변 지역주민 고용창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활용사례는 토지 개발의 효율성은 물론 해당지역의 경제적효과, 레저시설확충 및 국민보건향상 효과가 기대된다.그러나 연구결과 석회석 폐광산 활용 시 급경사지 등의 지형적 한계 및 인허가상의 높은 법적기준 등의 한계점이 있으며, 석회석 폐광지를 경제적 가치를 지닌 지역으로 되살리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

      • 老人 長期療養保護制度에 관한 福祉國家 類型別 比較硏究 : 스웨덴·獨逸·英國·日本을 中心으로

        李光宰 忠南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in our country rapidly increases. Despite the serious problems of the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caused by the high rate of chronic diseases, rapid growth of nuclear families and female employment, the function of social protection is extremely weak partly because of the government’s adhesion to "first home care, later social security". Therefore, the policy in national and social level is urgently requested to secure the quality of the elderly life and positively to cope with long-term care problems. First, I classified welfare state into four groups : Social democratic welfare state, Corporatist welfare state, Liberal welfare state and Confucian welfare state by Esping-Andersen. Sweden stands for social democratic state, UK for Liberal state, Germany for Corporatist state, Japan for Confucian state. and then I considered these advanced countries’ long-term care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 criteria of welfare state patterns go through with the long-term care systems or not and to suggest the suitable model of long-term c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with the discussion of Korea’s welfare state pattern. Besides, I considered their medical coverages, the allowance, the delivery system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systems (including the policy-determinded factors : demographic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on the basis of framework made by Gilbert and Specht. And I analyzed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g-term care systems in welfare state patterns could be found into five categories. At the result of a comparative study, I analyzed that in gener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long-term care system in welfare state patterns had been revealed, although they had not been revealed in principle, and had mixed with othe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te adequately. Under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long-term care systems not being enforced in the systematic frame,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advanced countries’ long-term care systems give us many suggestions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 The suggestions o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hat socialization of care cost and formalization of care be developed at the same time urgently. Second, the development of both institutional care and home care. Third, what need to be considered seriously are the maintenance of a well-developed service infra-structure for the home care and the introduction of allowance for long-term care supporters in home by public payment, if we adopt the policy of utilization of the family positively. Fourth, a broaden discussion about financial resources system of long-term care. Fifth, this study is suggestive to the benchmarking of the advanced countries’ long-term care theoretically afterward and we have to extend the coverage and service range by stages and in a long period time.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odel of long-term c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Korea that can basically and efficiently be responded to the long-term care needs which will be on the rise in the future.

      • 연동도표 작성 및 검토를 위한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광재 우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동도표는 정거장구내의 열차운전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연동장치가 어떤 내용인가를 도표로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표시한 것으로서 구내에서 열차운전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운전기본계획 및 원칙을 나타내고, 신호설비간 연동관계를 규정 하고 있어 연동장치 취급과 유지보수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것이다. 본 연구과제인 연동도표 작성 및 검토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목적은 위와 같이 열차운전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연동도표를 작성하고 검토함에 있어서 최종 승인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연동도표를 수작업으로 작성하고 검토함에 따른 휴먼에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연동로직 시뮬레이션을 구현함으로써 작성된 연동도표의 완벽한 검증으로 연동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켜 고품질의 신호제어설비 건설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연동도표 자동 작성 프로그램은 철도시설공단의 연동도표 작성 기준에 의하여 연동도표를 손쉽게 그릴 수 있는 작화 기능, 특수조건을 검색 삽입 할 수 있는 기능, 작화기능에서 작성된 연동도 및 기 입력된 특수조건을 자동 연동조건으로 생성하는 기능, 연동조건을 추가 또는 제거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 급만성간질환에서 IgM Anti-HBc의 진단적 의의

        이광재 朝鮮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agnostic value of IgM anti-HBc was evaluated by enzyme immunoassay in 125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liver diseases, in 23 healthy hepatitis 13 virus(HB virus) carriers and in 40 normal contro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84 patients with acute viral hepatitis, 69 cases (82.l%) were IgM anti-HBc-positive (67 with and 2 without HBsAg), confirming true acute HB virus infection, 5 cases(6%) were hepatitis A and 8 cases(9.576) were HBsAg-positive, but IgM anti-HBc-negative, suggesting chronic HB virus carriers state, 2) Only 3 cases (7.3%) among 41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were weakly IgM anti-HBc-positive and none was positive among HB virus carriers and controls, 3) IgM anti-HBc level(signal to cut off ratio) was 3.02±0.83 (mean±S.D.) in patients with acute HB virus infection,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 P<0.001 ). 4) In serial follow up, IgM anti-HBc level gradually declined and became negative within 6 months after the onset of sympto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M anti-HBc by enzyme immunoassay is very useful in differentiating acute from chronic HB virus 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