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이경석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국내 거주 고려인 이주민들의 현실적인 문제와 기대를 통한 선교 접촉점 연구 이 경 석 지도교수 성 남 용 박사 이주민 선교는 한국교회에 놀라운 부흥과 성장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이주민교회의 상황은 이전에 없었던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교회의 침체와 신뢰도가 낮아지고 이러한 위기 상황은 교회가 선교를 힘들게 하는 요인이다. 따라서 이주민 선교의 미래를 위한 연구와 방안의 제시가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들로 정하였으며, 자료수집에 참여한 두 장소는 인천 연수구의 다사랑 문화센터와 경기도 광주의 세계선교교회에서 43명을 심층 인터뷰한 내용을 조사하고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선교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선교 접촉점을 4가지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한국말을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필요하다. 고려인 1.5세대 이후 태어난 사람들은 한국어를 들어도 본인이 필요한 말을 하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정부도 복지기관을 통해 한국어학당을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우리 합동 교단의 총신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 개설을 요청하며, 지역교회도 현실에 맞는 한국어 교육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둘째, 성경의 교육이 필요하다. 구원에 대한 확신이 희미한 것은 구원의 뼈대인 복음의 선명함을 가르치는 것이 약하기 때문인데 이를 위해 대. 소요리 문답이나 기독교강요를 쉽게 풀어서 가르치는 것입니다. 셋째, 전문사역자가 필요합니다. 이들의 언어나 문화를 수용하고 복음의 사람을 만드는 것은 열정만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케어하고 소속감을 심어주는 사역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넷째는, 지역교회와 지속적인 연합입니다. 지역교회는 이주민들의 생활과 문화를 서로 나누며 이해하며 살아가는 공생하는 공동체이므로 효과적인 사역을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적용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들에게 바른 복음을 전해야 한다. 율법의 신앙생활이나, 구원받았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완전한 복음을 가르치며, 이단 방지 교육도 필요하다. 둘째, 사랑의 심방을 해야 합니다. 차별받고 있는 저들을 포용하고 눈높이를 맞추며 적극적인 만남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한 교회의 책무가 아니라 지역교회와 연합으로 보듬어야 합니다. 셋째, 고려인 동포들의 의료비용을 낮추고 혜택을 주어야 한다. 한민족의 동포임에도 직업의 제한을 받으며 원하는 직업 선택보다는 육체의 고된 3D 업종의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만성적인 피로와 질병, 고통받는 이들에게 의료혜택은 꼭 필요합니다. 넷째, 고려인 선교는 교단 차원의 한국어 교육기관이 필요합니다. 이제는 총신에서 동포들에게 모국어 사용을 확대하는 한국어 백일장을 만들고 장학금의 수혜를 주어 문을 넓혀야 합니다. 이러한 교육을 다른 기관에 맡기고 미루는 것보다 시급히 만들어 복음을 듣도록 해야 합니다. <Abstract> A Study of Mission Contact Point of Korean Immigrants in the Country through Their Practical Issues and Expectations Witten by Kyung-Seok Lee Advising Professor Nam-Yong Sung, ph.D. Immigrant mission has become a great renaissance and growth within Korean churches. At the same time, however, it’s facing an unprecedented problem. Local churches are struggling with stagnancy and decreasing faith, and such issues are hindering missions. Consequently, further research and measures for immigrant mission are in demand. This research method uses speculation and qualitative measures. The targets of the research are immigrants residing in Korea, and the research studied personal interviews with 43 individuals from two places used for collecting data: Da SaRang culture center in Incheon and World Mission Church in Gwangju, Gyeonggid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I aim to suggest implementing a sense of importance of mission for Koreans residing in the country and to suggest the mission contact point as four parts. First, an educational center for teaching Korean is necessary. While 1.5 generation Korean immigrants can somewhat understand what they hear, they have a highly difficult time speaking what they need to say in Korean. Although the government tries to use public welfare institutions to teach Korean, results are extremely short of improvements. As a result, local churches should execute Korean education. Secondly, bible study is needed. The reason why faith in salvation is fading is that definite education of the Christian fundamentality, the gospel, is weak. In order to solve this, we can use simplified versions of Christian questionnaires and lectures to teach more effectively. Thirdly, professional minister is in need. To understand their language and culture and transform them to people of gospel, one needs more than simply passion. We need a minister who gives consistent care and a feeling of belonging to its members. Fourth is consistent union with the local church. Local churches coexist with immigrants and share their culture and lives, making their effective ministry is highly important. The following is the suggested application of the research. Firstly, we need to spread proper gospel to Korean immigrants. We need to teach them how to live as Christians and help their faith become stable through complete knowledge of gospel. Education in eliminating and defying heresy is also needed. Secondly, we need to visit these individuals with love. These immigrants who are facing discrimination in this country need understanding more than anything else. We need to build an active relationship that matches their eye level. Thirdly, medical costs should be lowered and certain benefits should be given. While citizens of one nation, most of these immigrants take so-called “3D” jobs that expose them to severe fatigue and illnesses. These individuals suffering from physical difficulties absolutely need medical benefits. Lastly, Korean immigrant mission needs a platfor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ow on, usage of Korean language should be expanded through establishment of scholarships and institutions. Instead of relying on others to take on this responsibility, it is crucial that we begin this ourselves and help them listen to gospel.

      •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이경석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 아동의 조기교육과 통합교육은 최근 특수교육의 대표적인 이슈이며 논란의 여지가 상당히 많고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장애복지 분야의 중요한 일부분 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령기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의 성공적인 성과와 장애의 위험이 있는 아동들을 위한 조기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유아기 통합교육에 대한 시도 또한 증가하였다.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잠재력을 개발시켜 사회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일반 사회에서 독립된 인간으로 적응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차원에서 볼 때, 장애아동의 유아기 통합교육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지난 20~30년 동안 한국의 특수교육 분야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었던 주제는 '통합교육'이다. 1971년 특수학급이 처음 개설된 이래로 물리적인 통합을 이루어낼 수 있는 환경인 특수학급은 양적으로 확대가 되었다. 1999년 현재 일반학교 내에 총 3,764개의 학급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설치되어 26,178명의 학생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교육부, 1999). 특수학급 운영의 유형도 3,764개의 학급 중 악 84%인 3,157개의 학급이 시간제 운영을 하고 있다. 특별지도의 운영 형태(1.4%)까지 합하면 90% 가까이 되는 학급이 전일제 운영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반 학교의 한 건물 안에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이 함께 물리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원적학급인 일반학급의 교과수업 및 생활지도 시간에도 통합되어 있으므로 사회적인 통합, 교육과정의 통합도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은 일반 아동교육과 특수교육 분야의 원활한 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성공적인 통합에서 교사의 인식과 역할이 결정적임을 생각할 때,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이나 태도는 통합교육의 실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장애 아동의 통합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통합교육의 실행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학령 전 아동의 경우의 노력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일반 보육기관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도와 현장 교사들이 생각하는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필요 사항들을 알아봄으로써,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협력해야 하는 일선 교사들의 인식도 개선과 통합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대책과 방안을 강구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극소수를 차지하고 누구보다도 현재 장애아동들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잘 인식하고 있는 특수교사집단을 배재하고 통합교육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덜 인식되어져 있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그들의 인식도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충청지역에서 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일반 보육기관의 일반교사와 현재 보육과정을 배우고 있는 이들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에 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와 two-way ANOVA, 상관도를, 그리고 문항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환산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교사들의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분석 결과, 일반 교사들 역시 장애아동들의 통합교육에 대하여 상당히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통합에 대한 하위영역별 인식의 차이에서 「통합의 개념」영역에서는 일반교사들 역시 특수교사들과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교사 노력의 요구」 영역에서 일반교사들의 의식은 그들의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교사의 전문성」, 아동에 대한 「학업적 기대」, 「행동적 기대」, 「유아기 통합교육」의 영역에서는 다소 부정적인 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교직경력, 통합교육 경험여부에 따라 통합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특수교육 관련 과목 및 연수 경험에 따라 통합의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경험한 일반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통합교육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배경 변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이 높을수록 통합에 따른 교사 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5. 이들 일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에 필요한 요인을 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교사의 훈련부족',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지원 미비',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의 순으로 방해요인을 인식하고 있었다. 6. 교사들의 통합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통합교육에 가장 어려운 부분을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에 대한 훈련경험과 지식부족'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부모님들의 태도와 인식' 그리고 '유아의 비율이 너무 높다'는 순서로써 조사가 이루어 겼다. 즉 통합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아동수 과다',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교사의 훈련 부족'을 지적하였고, 통합경험이 없는 교사들은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교사의 훈련 부족', '부모님들의 태도와 인식' 면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교사 노력의 요구에 대한 측면에서는 일반적으로 자신들의 노력이 더 필요하다는데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며, 통합교육에 따른 장애아동의 학업적, 행동적 기대와 일반교사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조사된 교사의 배경변인 중에서, 교사연령, 교직경력, 아동의 연령, 통합교육 경험 유무는 통합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그들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은 인식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의 방해하는 어려운 점에 대해서 그들은 '장애아동교육에 대한 교사의 훈련부족', '일반아동 부모님들의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를 지적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아동과 비 장애아동을 교육하고 있는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그들이 제기한 통합의 방해요인들은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우선적으로 극복해야 하는 조건들로 인식할 수 있다. 우선, 통합교육의 여건 조성을 위해 일반교사의 인식도 개선이 필요하며 이는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육 관련 연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현직 일반 보육기관 교사들을 위해 통합과 관련된 교육의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관련 교사인수의 대상과 내용 측면에 대해 제안을 한다면, 대상 면에 있어서 통합에 노력이 더 요구된다는 인식도를 보인 교직경력이 2-3 년 된 교사들에게 우선적인 교사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내용면에 있어서 교사들이 통합의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 측면을 강조하고, 통합을 통한 교사 노력의 감소를 위해 장애아동 교수기술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양질의 교육과 통합된 환경의 교사 노력의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해 특수교육 전문가들이 자문을 줄 수 있고, 장애아동에게 필요한 여러 가지 관련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하며, 각 기관단체들과의 활발한 교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the acknowledgement of successful achievement in main-streaming of school-aged children with handicaps and early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danger of handicaps have spread out, the attempt at childhood main streaming has also increased. The final object of special education is to develop potentiality of children with handicaps so that they may adapt themselves as independent individuals to the member of general society. For this reason, childhood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is very important.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may be achieved by active coope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ields. And considering that teachers' attitude and role is crucial in a successful integratio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eachers educating in the front lines is very important in main- streaming. As the importance of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has been emphasized, discussion on practicing mainstream- ing is becoming lively in our country, but in case of young children, institutional aid, the effort to improve general teachers' attitude, and educational outcome is weak. Therefore this study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earching improvement in attitude of teachers cooperating in order to achieve successful integrity, and searching effective device for teacher-training program related to main streaming, by studying the attitude of general teachers toward general preschool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and wat the field teachers consider as barriers of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In order to find out 'general teachers' attitude toward main streaming, this study gave questionnaire to 210 general teachers serving in 25 early education center of children in Chung-Buk area, on 'teachers' attitude toward main streaming'. In order to examine the study issue, this study managed the data by using t-test and two-way ANOVA, in both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attitude toward general preschool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of general teachers. The results show us that most of all general teachers have positive mind for integration education of children with handicaps. 2. In each subdivisional difference of attitude toward mainstream- ing, in division of 「the concept of main streaming」, general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 too. And in the division of 「demand for teacher's effort」, general teachers acknowledged that there needed to be more effort of teachers in main streaming. Other than that, in the divisions of 「the professionality of regular teachers」,「expectation of academic toward children」, 「behavioral expectation」, and 「main- streaming in early childhood」, there were no signi- ficant differences. 3.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attitude toward main streaming concerning the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general teach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spite their age, experience in teaching, and whether they experienced main streaming or not. And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in attitude toward main streaming concerning special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it proved that general teachers that experienced training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recognized more positively that those who have not, of main streaming. 4. The result of analysis in relation of background variables is following general teachers, higher the teachers' age it was recognized that the efforts of teachers were more needed in main streaming. 5. The results of examining what the general teachers recognized as harriers of main streaming are following : 'lack of teachers' training'; 'lack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negative attitude of children with handicaps'. 6. As the result of comparing barriers of main streaming between th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ain streaming, and those with no experience, both groups of teachers recognized 'negative attitude of children with handicaps' as the most disturbing factor. And besides the abov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ain streaming thought the barrier as 'too many children in the class', 'lack of teachers' training' and teachers with no experience in main streaming as 'lack of teachers' training', 'lack of legal regulation', in this order. Synthesizing the results above, it can be seen that general teachers have more improved their positive attitude about general preschool main streaming of children with handicaps than the past da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before practicing actual main streaming of young children with handicaps, there needs to be an improvement in general teachers' attitude; and concrete study and effort to solve factors teachers recognized as an impediment in main streaming.

      • TFT-LCD 확산 필름 용 UV경화 코팅제 및 공정

        李庚錫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Diffusion film for TFT-LCD has been developed for last 10 years along with expension of TFT-LCD industry. While the function of diffusion film has been improved greatly, the productivity of diffusion film has had a limit due to the unstable gelling nature of current IR cure formulation and relatively long post curing time. In this paper UV curing back coating formulation for diffusion film and corresponding with the newly synthesized UV oligomers. The UV curable formulation was applied to Gravure roll coating system to get optimum process con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ted layer was analyzed from the view point of transmittance, surface resistance and antistatic property. Som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ing. 1. New urethane acrylate type UV oligomer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isophrone diisocyanate, polytetramethylene glycol (Mw=1000) and polycaprolactone (Mw=1000) in the first step and introducing acrylate end group with 2-hydroxy ethyl acrylate in the second step. 2. Molecular weight of UV Oligomer could be controled by the control of the molar ratio of Diisocyanate(Isophrone diisocyanate) and Diol(Polytetramethylene glycol (Mw=1000). 3. UV curable coating formulation for diffusion film of TFT-LCD were developed with the synthesized UV olicomer, UV monomer(pentaerythritol triacrylate), Photoinitiatior, acrylate beads, antistatic agent. 4. The Effect of UV coating Formulation and Reverse Kiss Gravure Roll coating Process on UV Cured Film were analyzed. And the coated film was characterized. 5. The effect of UV Cure Condition on the Migration of Anti-static additive to the contacted test with glass panel under the high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condition could be controlled by the crosslink density and it was optimized at the film formation process of Gravure coating. 6. It could be possible to replace Unstable Thermal Cure System regarding the Back Coating of Diffusion Film for TFT-LCD with UV Cure Coating.

      • 허혈성 뇌손상 백서에서 길경 사포닌 platycodin D의 STAT3/Pim-1 조절 및 항산화 활성을 통한 신경보호 효과

        이경석 대구한의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effects of Platycodin D (PD), a saponin isolated from Platycodi Radix, in the severe rat stroke,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pMCAO) model with its possible action mechanisms – neuron anti-apoptotic potentials and antioxidant defense system. METHODS: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Three different dosages of PD were administered orally by using Sonde, once daily for 28 continuous days from 24 hrs post-pMCAO, and body weight changes, sensorimotor function (limb placing and body-swing tests) and cognitive motor behavior (water maze test) were serially observed. With changes of infarct/defect volumes after autopsy, mRNA expression of anti-apoptotic markers, STAT3/Pim-1 was evaluated. In addition, the immunoreactivities of cerebral apoptotic markers (caspase-3 and PARP)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Nitrotyrosine and 4-HNE)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Lastly, MDA for lipid peroxidation, and GSH contents, catalase and SOD activities for antioxidant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cerebral cortex after pMCAO with histopathological changes. Donepezil 10 mg/kg, palliative treatment of various dementia, was used as a reference drug. RESULTS: pMCAO related ischemic damages in peri-infarct cortex, disorders of sensory and cognitive motor function, neuron apoptosis, and destroys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s were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inhibited by treatment of PD 400, 200 and 100 mg/kg,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PD accelerated cognition and motor function recovery in the rat pMCAO model, mediated by neuroprotection via an anti-apoptotic role through up-regulation of the STAT3 signaling pathway and the augmentation of cerebral antioxidant defense systems. The overall effects of PD 200 mg/kg were similar to those of donepezil 10 mg/kg, but less toxic. Therefore, PD is determined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ascular dementia caused by cerebral ischemia. 실험목적: 본 연구에서는 길경에서 분리 정제한 길경사포닌인 platycodin D (PD)의 허혈성 뇌손상에서 인지 및 운동기능 회복효과와 그 작용 기전 (신경 세포 자멸사 억제 및 항산화 활성)을 severe stroke 모델인 영구적 중대뇌동맥 폐쇄술 (pMCAO)을 실시한 백서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방법: 실험군을 6그룹으로 나누고 세 가지 농도의 PD를 멸균증류수에 녹여, 각각 pMCAO 24시간 후부터 Sonde를 이용하여 매일 1회씩 28일간 경구 투여하고, 체중, 감각기능 (limb placing 및 body swing test) 및 인지적 운동 검사 (water maze test)를 연속 실시하였다. 최종 부검후 세포자멸사 조절에 관여하는 STAT3/Pim-1 mRNA 발현 양상을 RT-q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infarct/defect volumes과 주변부위의 대뇌 위축 및 신경세포 변성을 관찰하였 다. 또한 세포자멸사 (caspase-3, PARP) 및 산화스트레스 지표 (nitrotyrosine, 4-HNE) 면역반응 뉴런의 수적 변화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뇌경색 주변 피질에서 항산화 방어 시스템 (MDA, GSH 함량, SOD 및 catalase 활성)의 변화 역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치매 치료 및 증상완 화에 다용되는 donepezil 10 mg/kg과 비교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pMCAO에 의해 체중 감소, 신경학적 및 인지적 운동 장애, Infarct/defect volume과 주변부 조직병리학적 소견, 세포자멸사 및 항산화 방 어 시스템의 파괴가 관찰되었다. 한편 pMCAO로 유발된 상기 허혈성 손상은 PD 400, 200 및 100 mg/kg 투여에 의해 용량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 다. 결 론: 이상으로부터, PD는 허혈성 뇌손상으로 인한 신경인지장애에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기전을 살펴본바 STAT3/Pim-1 mRNA 상향조절을 통 한 세포자멸사 억제 및 항산화 방어시스템 활성을 통한 신경보호 효과가 관찰 되었다. 특히 PD 200 mg/kg은 donepezil 10 mg/kg 투여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 타내었으며, 증체량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PD는 뇌허혈로 유발된 혈 관성 치매의 치료 및 예방에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평면상에서의 코시의 평균치정리에 대한 연구

        李炅錫 단국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시의 평균치정리는 x와 y가 [a, b]에서 연속이고 (a, b)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라면 x'(t_0)[y(b)-y(a)]=y'(t_0)[x(b)-x(a)]를 만족하는 (a, b)에서의 t_0가 존재한다. 이것을 기하학적으로 해석하면 Ω(x(t), y(t))가 평면상에서의 path라면 몇 가지 가정아래, 어느 시점에서의 속도벡터는 그 path의 양끝점을 잇는 벡터와 평행하다. 이러한 결론을 개선시킬 수 없을까? 특히 시점에서 종점까지의 벡터와 반드시 평행하지는 않고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속도벡터를 취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Ω(1/2 t^2, 1/4 t^3), -1≤t≤1와 Ω(4-t^2, t^3-3t), -2≤t≤2는 코시의 평균치정리를 만족하지는 않는다. Ω(1/2 t^2, 1/4 t^3), -1≤t≤1(Figure1)에 대해 생각해보자. 이것은 코시의 평균치정리가 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x(t)=1/2 t^2와 y(t)=1/4 t^3라 하자. 그러면 x(1)-x(-1)/y(1)-y(-1)=0이지만 x'(c)/y'(c)=0을 만족하는 c∈(-1, 1)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말해서, 속도벡터 Ω'(t_0)가 Ω(a)에서 Ω(b)로의 벡터와 같은 방향을 갖도록하는 t_0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Ω(4-t^2, t^3-3t), -2≤t≤2 (Figure 2)도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두 path는 구간상에서 y'(t)≠0이라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y'(t)=0이라 하더라도, t_0∈(a, b)인 t_0가 존재해서 그점에서의 속도벡터가 양끝점을 잇는 벡터와 같은 방향이면서 평행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y'(-□)=0=y'(□)이지만 t_0∈(-□, □)인 t_0가 존재해서 그 점에서의 속도벡터가 Ω(4-t^2, t^3-3t), -□≤t≤□의 양끝점을 잇는 벡터와 평행하고 같은 방향을 가르킨다. 따라서 R^2상의 path위에서의 코시의 평균치정리를 적용하기에는 충분치 않다. 우리의 주 관심사는 코시의 평균치정리를 개선하는데 있다. 또한 로피탈정리와 다복스정리의 유사한 형태를 연구할 것이다. 주정리는 다음과 같다. 정리1. Ω;[a, b]→R^2가 평면상에서 미분가능하고, nonstop인 arc라 하면, Ω'(t_0)=μ[Ω(b) - Ω(a)]를 만족하는 양수 μ와 구간 (a, b)에서의 t_0가 존재한다. 즉, 어떤 t_0에서 속도벡터 Ω'(t_0)는 Ω(a)에서 Ω(b)로의 벡터와 같은 방향을 가리킨다. 즉, 같은 이치로, Ω'(t_0)/∥Ω'(t_0)∥=Ω(b)-Ω(a)/∥Ω(b)-Ω(a)∥ 정리2. Ω;[a, b]→R^2가 평면상에서 미분가능하고, nonstop인 arc라 가정하자. 더욱이 Ω가 a와 b, 두 지점에서 영벡터를 갖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Ω'(t)/∥Ω'(t)∥는 Ω'(a)/∥Ω'(a)∥와 Ω'(b)/∥Ω'(b)∥ 사이의 두 원모양의 호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호 위에서 값을 반드시 갖는다. (이 정리는 실해석학에서의 다복스 정리를 의미하고 있다.) Cauchy's Mean Value Theorem states that if x and y are functions that are continuous on [a, b] and differentiable on (a, b), then there is a t_0 in(a, b) such that x'(t_0)[y(b)-y(a)]=y'(t_0)[x(b)-x(a)]. One geometric interpretation if this is that if Ω(x(t), y(t)) is a path in the plane, then, under certain hypotheses, there must be an instant at which the velocity vector is parallel to the vector joining the endpoints of the path. Can this conclusion be improved? In particular, can we get a velocity vector to poin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from the first endpoint to the last and not just be parallel? For example. Ω(1/2 t^2, 1/4 t^3), -1≤t≤4 and Ω(4-t^2, t^3-3t), -2≤t≤2 do not satisfied Cauchy's Mean Value Theorem. Let us consider Ω(1/2 t^2, 1/4 t^3), -1≤t≤1 (Figure 1). This shows the impossibility of the Cauchy's Mean Value Theorem. Let us x(t)=1/2 t^2 and y(t)=1/4 t^3. Then x(1)-x(-1)/y(1)-y(-1)=0, but there is not c∈(-1, 1) such that x'(c)/y'(c)=0. In other words, there does not exist a t_0 such that the velocity vector Ω'(t_0)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from Ω(a) and Ω(b). So does Ω(4-t^2, t^3-3t), -2≤t≤2 (Figure 2). There two paths fail to notice a condition y'(t)≠0 on the interval. But, although y'(t)=0, can be there t_0∈(a, b) such that a velocity vector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from the first endpoint to the last and is parallel? For instant, althogh y'(-□)=0=y'(□), there is a t_0∈(-□. □) such that the velocity vector is parallel to the vector joining the endpoints of the path Ω(4-t^2, t^3-3t), -□≤t≤□ and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as it. Thus, it is not sufficient to apply Cauchy's Mean Value Theorem on the path in R^2. We will be interested in improving Cauchy's Mean Value Theorem. Also we will invextigate analogs of L'Hospital's Rule and Darboux's Theorem. Main theorems are as follows : THEOREM 1. If Ω;[a, b]→R^2 is a differentiable nonstop are in the plane, then there are a positive number μ and a t_0 in (a, b) such that Ω'(t_0)=μ[Ω(b) - Ω(a)]. That is, at some instant t_0, the velocity vector Ω'(t_0) point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ctor from Ω(a), to Ω(b), or, what amounts to the same thing, Ω'(t_0)/∥Ω'(t_0)∥=Ω(b) Ω/∥Ω(b)-Ω(a)∥ THEOREM 2. Suppose that Ω;[a, b]→R^2 is a differentiable, nonstop are in the plane. Suppose further that Ω has a nonzero derivative at both a and b. Then Ω'(t) takes on every value on at least one of the two circular arcs between Ω'(a)/∥Ω'(a)∥ and Ω'(b)/∥Ω'(b)∥.(This theorem implies Darboux's Theorem)

      • 한일사전 내 표제어에 따른 대역어의 대응관계 분석 : ‘2자 한자 어근 + 접미사’를 중심으로

        이경석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2자 한자 어근 + 접미사’로 이루어진 한국어의 용언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한일사전의 표제어 및 대역어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와 동시에 코퍼스를 이용한 빈도조사를 통하여 대역어와 용례의 문제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본고에서 알게 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사전에서 용언의 수록방식이 한자 어근의 명사형으로만 제시되어 있어 한국어의 용언에 해당하는 일본어 동사나 형용사 및 형용동사의 제시를 표제어가 제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역어에 일본어능력시험 1, 2급에 해당하는 고급단어와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비교적 낮은 한자대역어의 제시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례에 있어서는 일본인이 자주 쓰는 표현이라고 할 수 없는 공기(共起)경향이 낮은 연어나 작례(作例)가 제시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부터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부적절한 한자어의 사용이나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한자어 사용의 원인에 한일사전의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용언에서 단편적인 부분만을 다룬 것으로 한자어로 이루어진 용언 이외의 한국어 고유어 및 다른 품사에서도 본고의 조사결과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에서 그 한계가 있다. 그러나 표제어와 대역어 간의 코퍼스 조사를 통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에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한국어 고유어에 대한 표제어와 대역어와의 관계 및 표제어의 선정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그 외의 다른 품사에서도 표제어와 대역어와의 관계와 더불어 용례의 타당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바탕으로 일본어 학습자를 배려한 한일사전의 고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headwords and target words in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focusing on Korean predicates consisting of ‘Chinese roots in two letters + suffix’.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problems of target words and examples according to a frequency questionnaire from the Corpus. The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presentation of Japanese verbs, adjectives or adjective verbs equivalent to predicates in Korean was constrained by headwords because predicates were included in the dictionary only in a way of nouns of Chinese roots. Second, this study showed that advanced words equal to the first and second levels of JLPT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and Chinese target words with a comparatively low frequency in daily life were greatly presented as target word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dictionary puts top priority on words with a low priority for Japanese leaning not on basic vocabulary which should be first provided for Japanese learners. In addition, this problem can also be caused by the way the dictionary includes headwords; when it presents Korean target words for headwords, the target words are described first. In the corresponding relation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re was no a one-to-one correspondence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means that even though the same Chinese characters are spoken by the Korean and Japanese, meanings are used differently in both countries. Third, when it comes to examples, collocations or cases with a low co-occurrence disposition, which the Japanese did not usually use, were mainly displayed. According to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dictionary has an impact on the inappropriate use of Chinese characters by many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not actually spoken by Japanese. As this study shows a fragmentary part of Korean predicates, there are limits that it does not investigate whether or not native Korean words and other word class except predicates in Chinese characters have also the same result as this research. However, it can be significant that the important results come out through the Corpus-based analysis on headwords and target words. It is also essential that a following study shoul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words and target words not only for native Korean words but for other word class, and the selection method of headwords. Moreover, the Korean-Japanese dictionary should also be analyzed considering Korean Japanese learners based on the in-depth discussion on the validity of examples.

      • 공동육아를 위한 활동적 공간 연계형 임대아파트 건축 구상

        이경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주거 문화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는 현재 아파트의 공용공간은 공동체를 확장시키는데 문제점이 있고 아파트의 단지의 높은 벽과 담장은 주변의 주민들과의 community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파트의 공용공간의 활용성과 아파트의 공동체가 회복 가능하도록 하는 공간의 분석과 필요한 program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아파트 공동체회복을 위한 공간구성을 제안한다. 현재 한국 아파트공동체에 필요한 공간과 program을 공동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에서 도출한다. 공동체를 위한 주거 형태인 셰어하우스(share house)와 코하우징(co-housing)의 국내, 국외의 사례조사를 통한 실제 사용되는 공간의 사례와 그 특성을 조사하여 4가지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파트 공동체 공간을 설계한다.

      • 철도신호 현장시스템 및 관제시스템 분석 기반 도시철도 관제센터의 효율적 통합 연구

        이경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4년 5월 2일 서울지하철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열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추돌 원인은 신호기 고장으로, 곧바로 서울시는 지하철 사고를 분석하여 안전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그 방안 중에서 중·장기 대책으로 기관별, 호선별로 분리된 관제센터를 SMART 통합관제센터로 추진했다. 현재, 서울교통공사 관제센터는 기관별, 호선별로 분리 운영에 따른 효율성 저하와 설비의 노후화 등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간적 및 기능적 통합을 목표로 수립해야 한다. 분야별로 신호, 전력, 통신, 차량 등 다양한 부서들이 존재하는데, 상왕십리역 사건 원인이 신호 분야였던 만큼 신호시스템을 중점적으로 보고자 한다. 현재의 신호시스템은 궤도회로 기반으로 외국의 신호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의 신호시스템은 통신 기반의 차상신호 방식으로 CBTC 열차제어시스템을 사용할 것이다. 그리고 KRTCS 신호시스템이 상용화되어가고 있는 만큼 최신 기술들이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신 기술들을 적용하고, 호환이 가능하도록 개량해야 한다. 또한, 열차의 모든 것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시스템도 구축해야 한다. 그래서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을 접목한 지능형 관제시스템을 구성하여 열차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SMART 통합관제센터를 설립해야 한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가 23년 만에 통합하여 서울교통공사 하나의 회사로 출범하였다. 그러나 관제센터는 아직도 1호선∼4호선, 5호선∼8호선, 그리고 9호선으로 분리해서 관리하고 있다. 그래서 관제센터를 하나로 통합하여 설비와 시스템이 합쳐진다면, 중복업무는 줄어들고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표준 운영체계는 열차 감시의 성능향상과 제어의 일원화로 열차를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핵심이 될 것이다. 따라서, 신호 분야의 현장시스템 및 관제시스템을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서울교통공사 SMART 통합관제센터를 위한 효율적인 방안과 함께 궁극적으로 열차의 안전 운행에 기여하고자 한다. On May 2, 2014, a train crash occurred at Sangwangsimni station on Seoul subway line 2. The cause of the crash was a signal failure,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mmediately analyzed the subway accident and announced 10 improvement plans of subway operation systems to prevent a re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mong them, the control center separated by institution and line was promoted as the SMART integrated control center as a medium and long-term countermeasure. Currently,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control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with a goal of spatial and functional integration, as there are several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efficiency and aging of facilities due to separate operation by institution and line. There are various departments such as signal, electric, communication, and vehicle in each field, as the cause of the Sangwangsimni station incident was the signal field,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signal system. The current signal system applies a foreign signal system based on the track circuit. However, the future signal system will use the CBTC train control system as a communication based on vehicle‘s signal method. And the latest technologies are rapidly developing as the KRTCS signal system is being commercialized. Accordingly, the latest technologies should be applied and improved to be compatible. In addition, standardized systems should be constructed to allow remote control of all trains. Therefore, the SMART integrated control center should be established to efficiently manage trains by forming an intelligent control system that combines the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oul Metro and Seoul Metropolitan Rapid Transit Corporation merged for the first time in 23 years and launched as one company of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However, the control center is still separately managed by lines 1 to 4, 5 to 8, and 9. So if the control center is integrated into one and the facilities and systems are combined, overlapping work will be reduced and efficiency will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standard operating system will be a very important key for citizens using trains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rain monitoring and unifying control. Therefore, by analyzing the field system and control system in the signal field in detail, I ultimately intend to contribute to the safe operation of trains along with efficient measures for the SMART integrated control center of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