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위학교의 교직 생애 주기별 맞춤형 연수를 통한 교원 전문성 신장에 관한 연구

        윤희정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를 통하여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 지원 체제를 구축하고,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 지원 체제 구축을 탐색한다. 둘째,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프로그램의 운영을 탐색한다. 셋째, 연수프로그램을 적용을 통한 교원 전문성 신장 방향을 탐색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관련 문헌 조사, 선행 연구 분석, 생애주기별 연수 현황과 맞춤형 자율연수 및 교원전문성 신장에 대한 설문 조사 등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자율장학 모델을 구안·적용하고, 수업관련 연수 여건을 조성하여 노력하고 정진하는 교직 풍토를 조성하는 일이 필요하다. 둘째,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들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연수활동이 필요하며 연구 및 연수활동을 내실화할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수업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맞춤형 지원 직무연수와 학교중심 자율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학교 교육력 제고에 힘써야 함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을 토대로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를 실시하여 교원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를 통한 교원 전문성 신장 가능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수관리위원회 조직 및 운영을 통하여 체계적인 연수계획이 가능하고 교직 생애주기별로 꼭 필요한 연수를 합리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조성되었다. 둘째, 개인별 연수이력 관리카드 및 이수현황 분석을 통하여 본인이게 필요한 맞춤형 연수를 신청하여 부족한 연수 영역에 대한 연수를 실시함으로써 교원 전문성이 신장되었다.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생애주기별에 맞는 연수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자율연수에 참여하려는 의지가 높아졌으며, 습득된 연수 내용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수업의 질일 향상되었다. 둘째, 학교중심 자율연수를 통하여 맞춤형 연수활동이 꾸준히 전개되어 교실수업 개선이나 창의적인 학급경영이 이루어졌다. 셋째, 교사 자율동아리 활동을 통하여 교직의 만족도 향상으로 밝은 분위기의 학교풍토가 형성되었다. 넷째, 교과연구회 운영을 통하여 해당교과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 교과전문가로서의 수업기술 능력이 향상되었다. 연수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교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탐색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공개의 날’ 등 공동수업을 통하여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이 함양되고 협동 의식이 발휘됨으로써 교원들 간의 상호신뢰가 구축되었다. 둘째, 연수 마일리지 제도를 통하여 자기능력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됨으로써 더욱 적극적으로 연수에 참여하려는 의욕이 높아졌다. 셋째, 직무연수 운영 및 학교중심 자율 연수 후 평가관리를 통하여 질 높은 차후 연수가 지속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교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연수를 통하여 교원들의 전문성 신장에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변화하는 사회에 맞게 교직 생애주기별 연수프로그램 목록을 선정하여 지원해야한다. 무엇보다 교사 스스로 연수에 참여하여 습득된 내용을 현장에 적용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

      • 기업경영에서의 빅데이터의 인식요인과 활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윤희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하루가 다르게 변화 발전하는 정보기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은 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 조직의 리더는 빅데이터가 나타내는 전략적 위협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기회를 인식하고, 기업과 관련한 빅데이터의 활용과 효과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업경영에서 빅데이터를 도입하여 활용하는데 있어 조직적 측면, 기술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의 주요요인이 기능별 활용성과 비즈니스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모형은 조직적 측면(CEO 및 구성원의 인식, 교육 및 인재육성), 기술적 측면(시스템 도입, 데이터 유형), 환경적 측면(투자환경, 인프라환경), 기능별 활용성(공급망분야, 생산활동 분야), 비즈니스 효과(고객이해, 예측성, 생산성)로 구성되었다. 조직적 측면에서의 가설 검정 결과, ‘CEO 및 구성원의 인식’은 ‘기능별 활용성’에 영향을 미쳤고, ‘교육 및 인재육성’은 ‘기능별 활용성’과 ‘비즈니스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급망 분야나 생산활동 등에 활용하는데 있어 CEO 및 구성원의 인식보다 교육 및 인재육성에 대한 인식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측면에서의 가설 검정 결과, ‘시스템 도입’은 ‘기능별 활용성’과 ‘비즈니스 효과’ 모두에 영향을 미쳤다. 기업의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을 기술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공급망 분야나 생산활동 기능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거나 비즈니스 효과를 기대하는데 있어 정형/비정형과 같은 데이터 유형보다는 분석사례가 풍부하고, 프로그램이 안정적이며, 처리속도 및 제품인지도가 좋은 기술, 개발형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측면에서의 가설 검정 결과, ‘인프라 환경’이 ‘기능별 활용성’ 및 ‘비즈니스 효과’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빅데이터 관련 투자나 실행 정도, 예산 규모보다는 지속적인 지원과 관리를 통해 기업 전반에 걸쳐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인프라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낸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능별 활용성’은 ‘비즈니스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급망 분야(구매 및 조달, 유통 및 배송, 로지스틱스)와 생산활동(원가관리, 공정관리, 품질관리, 제품개발 및 설계)에 대한 활용성이 고객이해, 트렌드분석, 수요예측, 위기관리, 적시성, 매출증대, 생산성 향상과 같은 비즈니스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업종별/규모별/직책별 조절효과 분석을 한 결과, ‘교육 및 인재육성’에서 업종별 조절효과가 나타났고,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이,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이, CEO 및 임원진보다는 일반관리자 및 실무자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더 많이 나타났다. 기업경영에 있어 빅데이터는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 될 것이다. 그러나, 빅데이터에 대한 사회적 관심에 비해 이를 제대로 활용하고 성과를 본 기업들에 대한 사례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빅데이터는 기업에게 있어 또 다른 정보시스템의 도입이 아니라,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세상에 존재하고 있는 방대하고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 속에서 기업에게 필요한 진정한 가치를 찾는 것이고, 그러한 능력을 갖춘 기업이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갖게 될 것이다.

      • Natural Horn과 Modern Valve Horn의 연구 분석

        윤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Horn의 유래가 먼 원시시대에서 사냥으로부터 시작되어 군사용, 나아가서 오케스트라 또는 앙상블을 통하여 Horn만이 가지고 있는 특색을 재활용하는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되어 사용되어졌다. 이에 본 논문은 문헌을 통해서 Horn의 역사적 배경과, 악기구조의 발달과정을 통해 악기의 연주법과 사용 시기를 알아보고 악기 모양의 변화와 관련하여 음정의 폭과 음질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특히 1633년경에 사용되었던 내추럴 호른(natural horn)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현대 밸브 호른(modern valve horn)의 정의와 음역, 폐쇄음을 중심으로 차이점을 비교, 고찰하고 내추럴 호른(natural horn)과 현대 밸브 호른(modern valve horn)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밸브라는 인위적인 변환장치를 개발함으로써 현대까지 발달되어 온 Horn의 모습과 작동원리 그리고 natural horn의 문제점으로 발명된 modern valve horn 역시 배음(over tone)의 원리를 기초를 두고 있으므로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증명하려 한다. 아울러 빈 고전파 음악의 작곡가이며 French Horn의 연주기법에 깊은 관심과 지식을 갖고 있던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가 1781-1786년 사이에 쓴 4개의 호른 협주곡 중 작품성과 연주기교가 뛰어난 Horn Concerto No.4 in Eb Major를 통해 내추럴 호른(natural horn)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현대 밸브 호른(modern valve horn)의 연주하는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내추럴 호른(natural horn)과 현대 밸브 호른(modern valve horn)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려 한다. In the primitive age, horns were used for hunting, and later, they were used for military purpose and after all, began to be used for orchestra or ensemble. In this proces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horns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tructural development of horns through literature, and thereupon, discuss the methods of playing them and their playing time, and thereby, review the width of tone and changes of tone quality of horns depending on their transformation. In particular, the natural horns which began to be used around 1633 and the current modern valve horns are compared in the lights of structures, musical range and closed to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natural horns, an artificial device or valve was invent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focused on developments of horns, their working principle and 'overtone' principle dictating the modern valve horn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 of the natural horn. Especially, the mutually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m was verified. Thus, Horn concerto No. 4 in Eb major, one of the four horn concertos written between 1781 and 1786 by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who represented Wien classical music and who were deeply interested in horn plays was sampl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methods of playing between natural horn and modern valve horn and thereby,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natural horns and modern valve horns

      • Zeolite-SBR을 이용한 고농도의 암모니아성질소 함유 폐수처리의 특성

        윤희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질소의 배출규제가 점차 강화되고 영양염류제거공정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고농도의 암모니아성질소를 포함한 폐수에 대한 처리공정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고농도의 암모니아성질소를 함유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반응조 용량의 증대와 탈질을 위한 외부탄소원의 투입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고농도의 암모니아성질소를 포함한 폐수의 처리공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대상 폐수는 피혁폐수와 수산물 위판장폐수를 선정하였고 공정은 제올라이트 칼럼을 생물반응조인 SBR 앞에 두어 연구하였다. 제올라이트는 이온교환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수중의 암모니아성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물리적 단위공정으로 사용되고 있다. 피혁폐수(Tannery Wastewater)의 원수성상을 분석한 결과, 각 항목의 농도변화가 크고 피혁생산 공정 내 사용하는 약품들에 의해 양이온의 농도와 알칼리도가 높았다. TCODcr(CT) 2,562mg/L, SCODcr(CS) 2,179mg/L인 원수로 생분해능 분석결과 총 유입 유기물 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유기물(XS/CT)은 4.04%, 유입 용존 유기물 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용존 유기물(SI/CS)은 25.54%의 결과를 보여 원수 내 난분해성 유기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혁폐수를 원수로 하여 Zeolite-SBR process의 연속식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기물, 질소, 인, 부유물질의 평균 제거율은 93.7, 69.3, 53.1, 85.2%가 제거 되었다. 원수 내 생분해 불가능한 유기물의 일부가 제올라이트 칼럼에서 여과, 흡착되어 공정을 통한 유기물의 제거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원수 내 유기물, 양이온의 농도와 제올라이트 칼럼의 상태에 따라 이온교환능이 급격히 감소해 일정한 제거율을 유지하기 위해 제올라이트의 잦은 교체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SBR에서는 높은 유기질소와 암모니아성질소의 농도, 높은 알칼리도에 의해 질산화저해가 나타나 질소제거율이 낮았다. 수산물 위판장폐수(Fish Market Wastewater)의 원수성상을 분석한 결과, 각 항목의 농도변화가 크고 염소의 농도가 높았으며 COD/N비가 4.2로 낮은 값을 보였다. CT 600mg/L, CS 328.9mg/L인 원수로 생분해능 분석결과 용존 유기물 중 미생물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용존 유기물(SS/CS) 67.2%, 분해 불가능한 용존 유기물(SI/CS) 12.8%를 차지하였으며, 총 유기물 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 불가능한 입자성 유기물(XS/CT)이 47.9%를 차지하였다. 총 질소 중 암모니아성 질소의 분율(SNH/CTN)은 88.2%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용존 유기질소(SNI/CTN)는 2.3%를 차지하였다. 수산물 위판장폐수를 원수로 하여 Zeolite-SBR process의 연속식 실험을 진행한 결과, 유기물, 질소, 인, 부유물질의 평균 제거율은 85.4, 89.5, 64.2, 90.4%가 제거 되었다. 제올라이트 칼럼에서 원수 내 암모니아성질소의 일부를 제거해 주어 C/N비를 높여주었으며, SBR에서는 추가적인 외부탄소원의 투입 없이 질산화와 탈질이 이루어졌다. In spite of the continual strengthening of the effluent standards of nitrogen and the ongoing development of nutrient removal processes, development of treatment processes for high-strength ammonium wastewater are still lacking. To this meaning, there are two weak points like an increase in capacity and the addition of an external carbon source. It is therefore the intent of the author to suggest a treatment process for high-strength ammonium wastewater that effectively addresses this and other weak points. Therefore, this study employed a zeolite-SBR (sequencing batch reactor) proces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tannery and fish market wastewater. The process consisted of a zeolite column placed in front of a SBR, whereby the zeolite removed ammonia through an ion exchange process. Some quality analysis of raw tannery wastewater revealed not only fluctuations in pollutant load, but a high alkalinity and other cations as well. Biodegradability test of the raw wastewater gave the following values: TCOD_(cr) (C_(T))=2,562mg/L; SCOD_(cr_(C_(S_)=2.179mg/L; X_(S)/C_(T)=4.04%; and S_(I)/C_(S)=25.54%, and confirmed the existence of high-strength,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The zeolite-SBR process was evaluated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tannery wastewater and merited average efficiencies of 93.7% for organic mater, 69.3% for nitrogen, 53.1% for phosphorus and 85.2% for total solid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the zeolite column affected high removal efficiencies of organic matter through filtration and absorption of select,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However, the cation exchange capacity(CEC) of the zeolite column was rapidly decreased by the organic matter and cations of the raw water, requiring its repeated regeneration. In the SBR,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low because of nitrification inhibition from high-strength organic nitrogen, the ammonium concentration, and high alkalinity. Similar quality analysis of raw fish market wastewater showed fluctuations in the loads of pollutants, a high salinity, and a low C/N ratio. The results of its biodegradability test yielded: TCOD_(cr)(C_(T))=600mg/L; SCOD_(cr)(C_(S))=328.9mg/L; S_(S)/C_(S)=67.2%; S_(I)/C_(S)=12.8%; and X_(S)/C_(T)=47.9%. Using the raw wastewater, total nitrogen was 63.5mg/L with S_(NH)/C_(TN)=88.2% and S_(NI)/C_(TN)=2.3%. The zeolite-SBR process continuously adapted to fish market wastewater with average efficiencies of 85.4% for organic mater, 89.5% for nitrogen, 64.2% for phosphorus and 90.4% for total solid respectively. The C/N ratio in the zeolite column increased through the ion exchange of ammonium while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reaction happened without an extraneous carbon source.

      • 포스트 시대의 성담론 : 라캉 이론을 중심으로

        윤희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urports to discuss Lacan's discourse on the sex in terms of the phallus and jouissance with an emphasis on his formulas of sexuation as presented in the seminar XX: Éncore. We should pay a closer attention to the Freudian concept of the Oedipus Complex to understand better Lacanian points of view concerning this theory on sex. In the first stage of the Oedipus complex, the mother is the object, and the father is a rival for both sexes. According to Freud, father and mother are a primary object and rival or threat. Freud's theory of this involves a biological and anatomical sex difference, but he proposes the significance of 'penis' created in the course of the differentiation of two sexes. 'Penis envy' and 'identification' are the main ideas of his theory and Lacan redefined his ideas of 'penis' psychoanalytically. Lacan reconstructs the sexual difference made possible as a result of the subject's confrontation with the symbolic Other; it is a function of the subject's position vis-à-vis the Other. Lacan argues for the term of 'phallus' instead of penis. It is the signifier of alienation in signification and it is the signifier of lack and desire involving the subject's access to the Other. And it can also be referred to as the signifier of the Other's desire. He accounts for this 'sexuation', or sexual difference with his formulas of sexuation through his terms of 'the phallic function,' Φx. On the Masculine structure, ∀xΦx indicates that man as whole acquires his inscription in the symbolic order through the phallic function. Man as whole can be situated as determined by the phallic function. This function is limited due to the existence of an x by which the function Φx is negated: ∃xΦx. ∃xΦx is what is known as the primal father, who is exceptional being and can have the whole women without any limitation. In comparison with those for the masculine structure, ∀xΦx and ∃xΦx on the feminine side show that there is no woman as whole and woman being ex-sists in the symbolic order. The second formula would correspond to the exception on the masculine side. It can be rendered "not all of a woman is subject to castration." This is the sense in which femininity is "not all" inscribed within the law. 'The Woman' is outside the law and something of woman which escapes castration stands as an exception to the law. The man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woman, there is no harmony or complementarity between the two. So, Lacan says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exual relationship and "Woman only encounters Man in psychosis." Lacan argues for the theory of jouissance involving 'phallic jouissance' and 'Other jouissance'. Man is concerned with only the 'phallic jouissance', while woman has access to both. Other jouissance refers to the 'God face' of the Other.

      • 동시통역 학습자들의 한자어 오류 실태에 관한 고찰 : 언어간섭을 중심으로

        윤희정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研究、韓․日日․韓同時通訳の過程で現れる誤謬の分析とその改善策を模索し、正確で自然な同時通訳を実現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そのため、通訳の専門家を目指す通訳․翻訳大学院生の練習過程で現れる誤謬事例に対する実験を行った。その結果、漢字語で現れる誤謬の事例がもっとも多かった。従って、同時通訳を韓․日日․韓に分け、それを再解釈による誤謬、不完全な区別による誤謬、聴取的な言語干渉による誤謬に分けて考察してみた。またその誤謬の内容を大きく分けてみたら、両国の言語をそのまま対応して起る誤謬、意味と用法の差による誤謬があったが、この中でも母国語をはじめ発話している言語の干渉による誤謬事例が一番多かった。それは同時通訳の場合翻訳と逐次通訳に比べ時間的な制約、つまり同時性を要求するため、その特徴による誤謬が多いのである。 同時通訳とは、通訳士に講演者の使っている言語が絶え間なく流れている間、通訳士が発話するのである。それで、本研究では発話する言語による言語干渉の面から考察した。 再解釈による誤謬においては韓国語と日本語の類似性による誤謬、文脈を思わずそのまま移して起る誤謬が最も多かった。特に漢字語の場合、漢字の音だけを変えて日本語化する傾向がある。両国語間の表現の異なる漢字語は別に整理しておいて練習する必要がある。そのため通訳する時、時差をおいて通訳をすれば、再解釈による誤謬がなくなる。 不完全な区別による誤謬においては敬語の誤謬と受け身の使い方による誤謬が最も多かった。これは文法の関わっていて、日本語の学習の基礎段階から重要視されていた部分である。しかし最上級レベルとも言える通訳士の場合も例外ではない。通訳は耳で聞きながら聞いた内容を口で再構成する作業であるため主語と動詞の関係、つまり自動詞と他動詞の使い分けや受け身と使役の使い方、敬語など文章の前後関係を把握して直ちに発話することは非常に難しい。そして敬語は日本語と韓国語の体系が異なるため、不自然な通訳になりがちである。だから尊敬語、謙譲語などを熟知して間違いやすい文型を集中的にサイト․トランスレーション(Sight translation)の練習をして、正しい表現を身につけ、集中力を強化する訓練をすべきである。 聴取的な言語干渉による誤謬においては子音干渉による誤謬と母音干渉による誤謬に分けて、それを濁音·半濁音の誤謬、子音の誤謬、長短音の誤謬、半母音の誤謬、同音異義語の誤謬に分けて分析した。聴覚だけに頼って文章を再構成するという通訳の特性があるため、正確に聞き取る訓練は必須である。従って、聴取的な言語干渉を最小化するにはイヤホンの片方だけを着用して、講演者と通釈士両方から流れている言葉を全部コントロール出来る能力を養うべきである。また同音異義語の意味区別を確実にし、文章の流れに適した語彙を選択すべきである。それで漢字語の正確な意味を把握する訓練と文章の流れに相応しい漢字語を選択する訓練を並行すべきである。 このように同時通訳において多様な誤謬が現れるが、一つ一つ単語を機械的に移さず、文章の流れを把握して前後関係を明確にすれば、誤謬の頻度も少なくなる。また自分の通訳をモニタリングし、常にフィードバックしたり、経済․政治․国際関係など幅広い分野の専門用語の習得と資料の収集も欠かせない勉強方法が必要である。 本研究は以上のような誤謬の実態を体系的に分析し、その改善策を通じて自然で流暢な通訳を目指す一方、ひいて通訳を勉強している学習者の教育においても役立てると思われる。 본 연구는 한·일 일·한 동시통역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과 그 개선책을 모색하고,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동시통역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통역의 전문가를 목표로 하는 통역 · 번역 대학원생의 연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오용사례에 대해 분석을 행했다. 그 결과 한자어에서 일어나는 오류의 사례가 가장 두드러졌다. 따라서 동시통역을 한·일 일·한으로 나눠서, 이를 각각 재해석으로 인한 오류, 불완전한 구별로 인한 오류, 청취적 언어간섭으로 인한 오류의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그 오류의 내용을 크게 나눠 보면, 양국어의 언어를 그대로 대응하여 일어나는 오류와 의미나 용법의 차이에 의한 오류 등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모국어를 비롯하여 발화되는 언어의 간섭에 의한 오류가 많았다. 또 동시통역은 번역과 순차통역에 비교하여 시간적인 제약, 즉 동시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 특징으로 인해 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다. 동시 통역은 통역사의 귀에는 연사가 사용하는 언어가 끊임없이 울려 퍼지고 있는 동안 통역사는 발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화되는 언어에 의한 언어 간섭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았다. 재해석으로 인한 오류에서는 유사어로의 오류나 일대일 대응으로인한 오류가 가장 많았다. 특히 한자어의 경우는 그대로 한자의 음만을 바꿔서 일본어화하는 경향이 있다. 양국어의 표현이 서로 다른 한자어는 특별히 정리를 하여서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통역을 할때 시차를 조금 두어 통역을 하게 되면 재해석으로 인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불완전한 구별로 인한 오류에서는 경어표현의 오류와 수동표현의 오류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이는 문법적인 부분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일본어의 학습자라면 누구나 다 기초 때 습득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최상위 수준인 통역을 하는 통역사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통역을 귀로 들으면서 들은 내용을 말로 재구성하는 작업이므로, 자동사와 타동사의 관계나, 수동태와 사역의 관계, 경어의 관계를 듣는 즉시 파악하여 발화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리고 경어표현은 일본어와 한국어의 체계가 다르므로, 자연스러운 통역을 위해서는 존경어, 겸양어의 표현을 확실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틀리기 쉬운 문형을 집중적으로 sight translation 연습을 하여 바른 표현을 몸에 익히고, 집중력을 강화시키는 연습이 필수이겠다. 청취적 언어간섭으로 인한 오류는 자음간섭으로 인한 오류와 모음간섭으로 인한 오류로 크게 나누어서, 탁음·반탁음의 오류, 자음의 오류, 장단음의 오류, 반모음의 오류, 동음이의어의 오류 등으로 분석해 보았다. 청각에만 의존하여 다시 문장을 재구성하는 통역의 특성상, 듣기훈련을 강화하는 것이 필수이다. 따라서 청취적 언어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이어폰을 한쪽만 착용하여 연사와 통역사 자신의 말을 모두 컨트롤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그래서 한자어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훈련과 문장흐름에 맞는 적절한 한자어의 어휘선택을 할 수 있는 훈련을 병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동시통역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되지만, 하나하나 단어를 기계적으로 옮기지 않고, 문장의 흐름을 파악하여 전후관계를 명확히 하게 되면 오용의 발생빈도도 적어진다. 또, 자신의 통역을 모니터링 하여 항상 피드백을 하거나, 경제·정치·국제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전문용어의 습득과 자료 수집도 중요한 공부방법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오류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책을 통하여 자연스럽고 유창한 통역을 목표로 하는 한편, 나아가서 통역공부를 하고 있는 학습자들의 통역교육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의사소통 전략 지도 : 현장 개선 연구

        윤희정 梨花女子大學交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초등영어교육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 것이다(교육부, 1992).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이 학생 자신이나 상대방의 어휘력 또는 문법적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의사소통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4개월 동안 의사소통 전략을 훈련하고 의사소통 전략 훈련이 실제로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는가와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는 과정 속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를 연구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은 우회적 표현 전략, 신조어 전략, 근접한 표현 전략이다. 이러한 의사소통 전략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기 위해 우회적 표현 게임을 주요 훈련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전체적인 수업 활동은 다음과 같다.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기 전에 이에 대한 준비활동으로 단어 추측하기, 스무고개 등의 활동을 하였고 우회적 표현 게임으로 의사소통 전략들을 훈련한 후에 의사소통 맥락 안에서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을 실제로 사용하여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 그에 알맞은 의사소통 활동을 과업으로 주었다. 본 연구는 자신의 교수활동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자신의 교수활동을 되돌아보고 숙고하며 고찰하여 자신의 교수활동을 발전시키는 의미를 가지는 현장 개선 연구(action research)의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교사인 연구자는 매 수업 후에 교사일지를 작성하였고, 집중 연구 집단 13명을 선택하여 의사소통 전략 관련 수업 때 그들의 발화를 녹음하고 전사하였으며 집중 연구 집단 학생들은 매 수업이 끝난 후에 학습일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인터넷 게시판을 활용하여 학생들로부터 여러 가지 피드백을 받았고 훈련이 끝난 후에 집중 연구 집단 학생 13명과 심층 인터뷰를 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한 후에 학생들은 인지적 측면에서 인지직 유연성이 증가하여 자신이 모르는 단어나 문법이 있어도 그것에 대한 대안을 생각해 내어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의사소통이 상대방의 언어 수준과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말해야 하는 과정이라는 것을 이해하게 되면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깨닫게 되었다. 또 다른 한 가지는 학생들은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의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고 어떤 상황에서 의사소통 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다. 둘째, 정의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말하기에 대한 두려움이 감소하였고 자신감이 향상되었으며 자신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발화도 포기하지 않고 시도하는 모험 시도의 경향도 증가하였다. 아울러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고 영어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가 생겼다. 셋째, 영어 능숙도 측면에서 학생들은 의사소통 전략 훈련 후에 의사소통 활동을 하는 도중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했을 때 훈련한 의사소통 전략을 통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여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어휘력이 향상되었고 단어를 더욱 효과적으로 우회하여 표현할 수 있게 되었고 아울러 학생들이 발화하는 문장 길이가 늘어났으며 문법적 정확성을 자연스럽게 습득한 학생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의사소통 전략 훈련과정 중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는 도중 학생들은 한국 사람이나 자신의 학급 학생들만 이해할 수 집단 코드를 빈번히 사용하였다. 둘째,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하면서 문장을 만들지 않고 단어만을 나열하고 반복하여 설명하여도 의사소통에 성공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우회적 표현 게임을 한 후 문장을 만들어 유창하게 발화하는 능력이 크게 향상되지 못한 학생도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주로 발화하는 시간이 많았기 때문에 동료 집단의 바람직하지 않은 발화도 쉽게 모방하여 사용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넷째, 오류 수정 없이 학생들끼리 발화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이 정확하지 않는 발화를 하고 있다는 생각 때문에 불안감을 보인 학생도 있었다. 다섯째, 너무 큰 영어 능숙도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의사소통에 실패함으로써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학생도 있었다. 이렇게 발견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뤄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위해서 바람직할 것이다.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결론적으로 의사소통 전략 훈련은 학생들 언어 학습의 인지적, 정의적, 영어 능숙도 측면에 여러 가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이 연구를 통해 의사소통 전략 훈련을 하려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연구의 경험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법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언어 능숙도가 높지 않은 초등학생 수준의 학생들에게도 스스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 봄으로써 의사소통에 성공하는 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의 언어 학습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앞으로도 의사소통 전략 훈련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되어 의사소통 전략 훈련이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use English with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ir daily lives by developing their basic communicative abiliti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train elementary students with communicative strategies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that are caused by their own interlocutors' or their own lack of vocabulary or grammar knowledge, to see whether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are helpful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and what problems would occur during the training course. The analysis of the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factors and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by trained communicative strategies were done to find out whether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are helpful in learning a language. This study focused on circumlocution, word coinage and approximation strategy amo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student's strategy competence, a circumlocution game was used as a main training method. The overall classroom activities are as follows: Before the circumlocution game, preparing activities for it, listening to teacher's explanation and guessing what the word is and twenty questions were done in the classroom. After the circumlocution game, appropriate communicative activities were assigned to give them the experience in solving communicative problems through trained communicative strategies. The circumlocution game is a game in which a student explains Korean words, provided by a teacher, iii English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to make the other students guess what they are. Through the game, the students learned how to explain the words, which they don't know or interlocutors can't understand, more easily. The other communicative activities include storytelling about what they've read, speaking about a given animation and describing a given picture in English. This researcher implemented the study in accordance with action research which enables a researcher to discover, to look back on, to contemplate on and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is or her teaching to improve professional action. before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had tried to let the students communicate for themselves by using various assignments but they had hesitated to speak and had even been frustrated and intimidated by a word or grammar they did not know. In such case, they were trained with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o help solve the problem and after training, the changes were reviewed. To collect informatio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wrote a teacher's diary after each class, selected 13 students as a focal research group, recorded, and dictated their speaking; also the students wrote a learning log after each class. Furthermore, they gave feedback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and after training, the students were interviewed thoroughly. The results in analy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re as follows. First, after teach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in the cognitive perspective, trained students' cognitive flexibility increased so that they would not give up communicative words or grammar that they did not know in conveying their intention. In addition, they realized that communication is a process where they should speak differently in accordance to the interlocutor's language level and cultural background. Though they were 5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ey came to know and understand clearly what the concept of communicative strategies is and when they would use the strategies. Second, in terms of affectiveness, inhibition to speaking decreased, but confidence of speaking and risk taking tendency of not giving up trying what they thought was difficult, increased. Interests in learning English and inner motivation increased as well. Third, in the linguistic perspective, after training, when communicative problems occurred during communicative activities, they solved the problems for themselves by us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learned to succeed in communication. Furthermore the ability to express words indirectly through the circumlocution game and vocabulary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training in class. In addition, the length of sentences they speak became longer and there was one student whose grammatical accuracy was improved. Finally, the problems which occurred during training were as follows. During the circumlocution game, they used the circumlocution strategy with the contents that only Koreans or their classmates could understand; this does not follow the original purpose of practically using circumlocution in conversation with foreigners. Furthermore, a student who heard these words spoken mentioned that foreigners might not understand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he would use. There was also a student who had not been improving speaking fluently in complete sentences because she succeeded in communication simply by listing words and explaining them repeatedly. Because much time was spent on students' speaking, they would mimic their friends incorrect speaking, and a student was found to be frightened with the idea that his expression was wrong in spite of his correct expressions. Further research on the method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s found that in this research it would be desirable to teach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more effectively. In conclusion, train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was beneficial to the students' in learning a language in the cognitive, affective and linguistic aspects even though there were some problems in training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It enabled them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for themselves by using communicative strategies in real communicative conditions. To help teachers who intend to train communicative strategies, the effective method of communicative strategies training is suggested in accordance to the researcher's experiences. This research proposes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for even elementary students of low language proficiency to solve communicative problems for themselves so that they may have experience in succeeding in communication. Continuing studies on the method of the communicative strategies training should be done to contribute to the students' language learning.

      • Petri-nets를 이용한 FMS의 컴퓨터통제구조 모델링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

        윤희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Petri-nets are mainly used to model and analyze the DEDSs(Discrete Event Dynamic Systems). As the method for modeling, Petri-nets grasp the systems as events and the related states, thus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such as concurrency, sequential relation, mutual exclusion and conflict. As the method for analyzing, Petri-nets investigate the qualitative properties such as boundedness, reversibility and liveness through structural analysis and quantitative properties such as utilization, throughput rates and mean manufacturing lead times using the performance analysis.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problems and decisions occurring in the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design stage, discuss on the analytical models for evaluating the decision alternatives considered in system design stage and model the FMS computer control architecture according to production information flows between each controllers and execute reliability modeling of physical system. Finally, performance analysis is implemented using DNAnet Petri-nets tool for the analysis and simulation of concurrent and distributed systems.

      • 입체조형에서 유추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윤희정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창의력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지식기반 사회이며, 동시에 디자인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올바른 디자인 교육은 다양한 생각을 서로 존중해 주고 인정해 주며,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정리하는 훈련을 통해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표현능력을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 현행 전문계 고등학교 디자인과에서는 획일적이고 일반적인 디자인 교육에서 벗어나 창의적 사고력과 다양한 표현력을 기를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활동이 이루어 져야 한다. 다시 말해, 단순히 지식을 기억하고, 재생하는 능력보다는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능력과 그것을 조형적으로 표현해 내는 능력이 갖춰져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축이 되는 디자인 교육의 목적은 모든 사람에게 잠재하고 있는 자유로운 사고를 개발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는 것이며, 나아가 사고의 주체인 학생 스스로의 창의적인 발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전문계 고등학교의 디자인 교육은 디자이너로서의 기본적인 디자인 능력을 향상하는 기초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입체조형교육은 표현능력, 입체형상화 능력의 개발과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과정으로서의 입체조형 교육은 3차원적인 조형영역을 대상으로 형태나 색채, 질감 등의 표현과 조형적인 구성을 통한 미적원리의 구현에 접근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기초 감각과 기술을 능동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그러나 디자인 교육의 현실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 발상에 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중요성이 단순 조형교육으로 한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깊이 있고 전문적인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보다 기본적인 것에서부터의 교육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디자인 교과 중 입체 조형 영역에서 유추적 사고의 방법을 통하여 입체조형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 새로운 창의적 가능성을 찾을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유추적 사고는 입체조형 뿐만 아니라 디자인 사고, 타 교과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연구에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연상 프로세스의 중요한 형태이다. 또한 현재 많이 볼 수 있는 건축물이나 조형물들의 아이디어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는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으며 이것은 디자이너들의 아이디어 스케치 등이나 디자인 과정의 습작 등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근거에 토대를 두고 유추의 적용은 디자인 영역 중 공간디자인이나 실내디자인, 건축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것으로 보아 유추는 3차원의 입체를 적용함에 있어 그 형식, 양상이 아이디어의 발상과정에의 적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유추과정을 전문계 고등학교의 입체조형 교과 의 실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실제 수업안과 방법을 고안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현재 제시되어 있는 조형의 프로세스에 유추적 원리를 적용하여 이를 고등학교 입체조형 교과과정에서 체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가 창의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고자 하였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유추적 사고의 아이디어 발상 과정을 조형사고 과정인 탐구 구상 단계, 기술 적용단계, 형태표현 단계에 유추적 사고를 결합한 3단계에 적용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보다 쉽게 유추의 개념에 접근하게 되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산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인 접근 방법으로 무작위 기법, 역유추 기법 등을 사용하였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있게 그 과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유추적 사고를 이용함은 입체조형 수업에 있어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아이디어 발상을 이끌어내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좀 더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이 강구된다면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조적인 문제해결과 형태창출 과정으로서 유추적 사고방식을 살펴보고, 기능적 사고의 한계성을 극복하는 의미를 전달하는 형태 구성 방식의 하나로서 유추의 활용가치를 확인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