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계소화설비의 자체점검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

        윤혜경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s an element that puts out fires, water carries a wide range of benefits as well as being easy to obtain and cost effective. Water boasts superior cooling effect, protects structural foundation of a building and keeps fire from spreading. Single operation of a sprinkler, one of the basic installations of automatic water fire-extinguishing system, is known to suppress more than 80% of fire and is still regarded as the most effective and reliable fire-fighting equipment. Indoor fire hydrants are used as a measure of initial response to fire by management personnel or the building residents, and then as primary fire-fighting equipment by fire fighters once the fire has been spread out.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keep the indoor fire hydrants functional at all times, in order to keep fire from escalating. Installation of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was initialized based on the "Fire Investigation Regulations" in 1950. Since then the regulation has been revised and reinforced on numerous occasions as we’ve experienced several grand fires (Sea Land Youth Training Center fire in 1999, Icheon warehouse fire in 2009, Pohang nursing home fire in 2010, Busan Woosin Gold Suite fire in 2010) to become as it stands today.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s are installed proportionally to the size, usage and the maximum occupancy of the building, to protect human lives and their properties with a timely operation in emergency. As a result, it is crucial to 1) verify the functionality of a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on regular basis through self-inspection, and 2) repair any defects in the system as soon as they are found.  There are challenges howev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deterioration of the system resulted by aging and by frequent modifications of the building’s internal structure, limitations of on-site inspection due to ambient conditions, lack of the inspection manual, difficulties with on-site inspection after the start of construction. Such undesirable conditions often lead to inadequate readiness in case fire breaks out, or inability to suppress fire in its early stage thus allowing it to escalate into a massive blaz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adverse condition and poor management of the system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the field, and to look for ways to constantly improve the system’s safety management practic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try to identify the principles that are not yet being observed, as well as their cause, in the field of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fire inspection engineers. Key words: water-based fire extinguishing system, fire, self-inspec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소화약제로서 물은 광범위하게 구하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장점과 동시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냉각효과가 우수하며, 화재로부터 건축물의 구조요소를 보호하고 화재의 확대를 막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수계소화설비 중 자동식 소화설비의 기초형식인 스프링클러설비는 화재 발생시 80%이상이 스프링클러헤드 1개의 작동만으로 자동진압 되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아직까지 개발된 소화설비 중 가장 효과적이고 신뢰 있는 설비로 인정받고 있다.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 초기에는 건물내의 관리자체요원이나 거주자에 의한 초기대응의 수단으로 사용하나, 화재 성장이후에는 소방대가 사용하여 본격적인 화재 진압위한 소화설비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성장이후까지 소화설비로서 신뢰성 확보가 중요하다. 건축물의 수계소화설비의 설치는 1950년 「소방조사규정」의 설치기준이 있었으며, 그 이후 국내의 대형화재사건(1999년 씨랜드 청소년 수련원 화재, 2009년 이천물류창고 화재, 2010년 경북 포항 인덕노인요양원 화재, 2010년 부산우신골드스위트 화재 사건)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관련법규의 강화된 개정을 통해 오늘날 수계소화설비의 설치대상 및 설치기준이 마련되었다.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 용도, 수용인원에 따라 설치된 수계소화설비는 평상시에 사용되는 설비가 아닌 위급한 상황에서 조속히 동작하여 화염으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므로 평상시 System의 정기적인 자체점검을 통해 System 성능 및 작동여부를 확인하고, 불량사항이 발견 될 경우 즉각적인 보수를 통해 정상적으로 소방시설을 유지·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건축물의 빈번한 내부 구획의 변경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설비의 노후화, 현장 점검 시 주변여건의 한계, 점검 메뉴얼의 부족, 소방시설 시공이후의 현장에서 관련설비 점검의 어려움 등의 이유로 신뢰성 있는 수계소화설비의 점검이 실시되지 못함으로 System의 성능 부족, 점검이후 불량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보수가 이뤄지지 못해 화재시의 관련된 소방시설이 작동 불량상태가 되거나 유효한 성능 확보에 실패할 경우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고 대형화재로 발전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현장에서 수계소화설비의 점검을 통해 수계소화설비의 관리상태 및 불량의 원인을 파악하여 지속적인 안전관리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아본다. 또한, 소방점검기술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계소화설비의 현장점검 실시에 있어서 미실시 되는 항목과 그 원인을 파악하여 효율적이며 신뢰성 있는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동기 및 교육요구 분석

        윤혜경 한국교통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의 목적은 충북의 4개 기초자치단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와 만족도를 알아보고, 프로그램 참여 이후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가 이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분석함에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참여동기, 참여 만족도, 참여 성과, 참여 후의 계획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충청북도의 4개 시·군 학습자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측정도구는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참여동기, 만족도, 성과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지이다. 설문지는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문항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일반적 배경특성 문항,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를 측정하는 문항,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 성과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문항,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종료 후의 계획을 측정하는 문항 등 4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기관 관계자들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각 문항을 읽고 설명한 다음 학습자들이 응답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회수하였다.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 참여 동기, 참여 만족도, 참여 성과, 이수 후의 계획에 대해서는 구조화된 설문지에 대한 반응이므로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과거에 배우지 못한 한을 풀고 자신감을 얻기 위해서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과거 많이 배우지 못한 이유로 자신감의 결여, 열등감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으며, 그동안 학교를 다니고 싶었지만 다니지 못한 이유는 가정형편이 안 좋아서였다. 성인문해교육을 알게 된 경로는 주변의 지인이나 친구, 정보지, 시청이나 군청의 소식지, 자녀의 권유 등이다. 둘째, 현재 성인문해교육기관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있는 학습자들은 학교생활을 통해 행복감과 성취감을 느끼게 됨으로써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대해 크게 만족하고 있다. 교재를 활용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지만, 교재가 학습자 수준에 맞지 않아서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에 대해서는 불만 정도가 다소 높은 편이다. 교육내용, 교육강사, 교육행정 지원, 강의실 공간과 주차장 등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 정도가 높다. 그러나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거리가 멀어서 통학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 본인의 체력적인 문제, 등교와 하교 시간을 포함하여 학교일과시간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셋째, 현재 학습자들은 성인문해교육기관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배움에 대한 열망 충족을 가장 큰 보람으로 느끼고 있다. 학습자들은 성인문해교육에 참여하는 동안 이루고 싶은 목표로서 자신감 기르기, 언어능력 향상, 기본상식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다. 넷째, 학력인정 성인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고 있는 학습자들은 과정 수료 후에도 상급학교 과정에서 계속 공부하기를 원하고 있다. 일부 학습자들은 교통비나 교재비 등 경제적인 비용부담과 고령으로 인해 학업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계속 공부하기를 희망하지 않고 있다. 물리적인 거리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들에게 배우고자 하는 열망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교통편의를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학령기의 학습자들이 아닌 성인학습자들임을 고려한 다양한 수업 방식과 지원정책이 요구된다.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살린 교육내용으로 실생활에 적용시키는 학습내용이 필요하다.

      • 중학교 1학년 시창·청음능력 향상을 위한 단계적 지도방안 연구

        윤혜경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usic is the Zeitkunst that beautifully expresses human's thinking and emotion to use a sound so musical act is started by hearing. To begin with, I would like to talk about improvement of ability on the Sight-Singing and Ear Training. Sight-Singing is to read a music score loudly. Ear Training is also one of the ability to write down a music score when someone hear the musical sounds. Thus they are the most significant basic ability for a music study to all of the musical act. Such as a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ppreciation of music, creation. However, In the real school field, the Looking at Musical Scores and Listening to Musical Sound education is not used as those of it are needed regarding the time pretty long so that they are a lot of students who have never learned, and also they are not able to write down a simple melody of rhythm when they hear a song from both a radio and children's song. Middle school music of special quality of guidance is to develop the ability base on creative expression through the high quality understanding for musical notion and musical act. It is important that someone who is in the middle of adolescent is provided concerning a opportunity that is the creative musical act.

      • 치료적 악기연주(TIMP)를 적용한 음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하지 정적·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윤혜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악기 연주(TIMP)를 적용한 음악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하지 정적·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치료적 악기 연주를 적용한 음악치료가 하지 정적 균형에서 발바닥의 압력 점수·균형감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와 "하지 동적 균형에서 발의 각도·보행 패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Y병원 재활 의학과에 뇌졸중으로 입원 중인 좌측 혹은 우측의 편마비를 가진 5명의 환자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9월 3일부터 10월4일까지 4주간에 걸쳐 총 12회(주 3회, 35분간)로 음악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다른 치료(물리치료, 작업치료)들만 적용되는 음악치료 비 중재기간 3일(A)과 음악치료 중재기간 3일(B)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ABABABAB’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신경학적 음악치료 방법의 하나인 TIMP를 적용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각 세션을 ‘준비운동(PSE), TIMP를 적용한 악기연주, 정리/완화 운동, Feed back’으로 구성하였다. A와 B 각각의 중재 후 바로 하지 균형을 측정하였고,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Foot Sca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중재에 대한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발바닥의 압력 점수’와 ‘균형 감각’, ‘발의 각도’와 ‘보행 패턴’의 측정 결과를 Microsoft Excel 20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와 그래프·그림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의 발바닥 압력 점수는 음악치료 비 중재(A)와 음악치료 중재(B)의 관계는 불규칙하게 나타났지만, 사전 측정(A¹)보다 사후 측정(B⁴)에서 감소되었다. 둘째, 대상자들의 균형 감각은 A와 B의 차이값이 불규칙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에 음악치료가 대상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셋째, 대상자들의 발의 각도는 발바닥 압력 균형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전제하에 발의 각도 또한 일직선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상자들의 보행 패턴은 입각기에서 유각기로의 패턴을 훈련하도록 하였다. 대상자들의 경직된 상태에 따라서 다르지만, 뇌졸중 환자의 보행 특성상 건측으로 빨리 이동하고자, 환측의 입각기와 건측의 유각기가 짧아짐을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건측 발은 발 뒤꿈치가 지면에 닿지 않고 발끝으로 닿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임상 연구 기간이 짧고, 치료적 악기연주로 쓰인 악기의 안정성 고려와 악기의 배치가 일관성이 없었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시행된 TIMP를 적용한 음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균형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 치료로서 TIMP를 적용한 악기연주가 하나의 적용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한데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에서는 재활치료로서의 음악치료가 다양한 악기를 사용하여 접근해 보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using therapeutic instrument performance (TIMP) on cerebral apoplexy patients’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the lower limbs. For this purpose, we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Does music therapy using therapeutic instrument performanc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sure score and balance sense of the sole of the foot in the static balance of the lower limb?” and “Does music therapy using therapeutic instrument performance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t angle and walking pattern in the dynamic balance of the lower limb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patients with hemiplegia on the right or left side who were admitted for cerebral apoplexy to the Rehabilitative Medicine Department of Y Hospital at Songpa?gu, Seoul. Music therapy was executed a total of 12 sessions (3 a week and 35 minutes per session) during four weeks’ research period from the 3rd of September to 4th of October, 2007. This research was designed ‘ABABABAB’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days’ music therapy non?intervention periods (A) when only other treatments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were applied and 3 days’ music therapy intervention periods (B). This study planed a music therapy program adopting TIMP, one of neurological music therapy methods, and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warming?up exercise (PSE),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IMP, finishing/relaxing exercise, and feedback. After each intervention of A or B, lower limb balance was measured immediately, and ‘foot scan’ was used for accurate measuring.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pressure score of the sole of the foot,’ ‘balance sense,’ ‘foot angle’ and ‘walking pattern’ in table, graph and picture using Microsoft Excel 20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pressure score of the sole of the foot changed irregularly in music therapy non?intervention (A) and music therapy intervention (B) but it decreased in the posttest (B⁴) compared to that in the pretest (A¹). Second, the subjects’ balance sense changed irregularly in A and B, so it is hard to assert that the music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Third, subjects’ foot angle was not straight on the assumption that the pressure balance of the sole of the foot was not normal. Fourth, subjects’ walking pattern was trained to be changed from the stance phase to the swing phase. Although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s’ stiffness, the stance phase of the affected side and the swing phase of the unaffected side were shortened for fast switch to the unaffected side as a characteristic of cerebral apoplexy patients’ walking. Therefore, the foot on the unaffected side landed on its tiptoe before the heel touched the grou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a short period of clinical research, the instability of instruments used in therapeutic instrument performance, and inconsistency in the arrangement of instruments. However, the music therapy using TIMP executed in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cerebral apoplexy patients’ lower limb balance.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IMP as a rehabilitative treatment for cerebral apoplexy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subsequent research approaching music therapy as a rehabilitative treatment using various instruments.

      • 한국고등학생의 사회인지요인과 학업만족의 관계 및 학업목표과정 군집 : Lent의 학업만족모형을 중심으로

        윤혜경 인천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업은 청소년에게 가장 중요한 발달 과제로 생활의 중심이 되며, 학업과 관련된 문제는 청소년의 삶 전반에 관련되어 있어 학업에서의 부적응이나 어려움은 생활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Lent 등의(2007)의 사회인지요인의 학업만족모형에 근거하여 학업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의 사회인지요인을 선정하여 이러한 요인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학업만족을 유발하는지를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학업만족과 전반적 삶의 만족의 경험에서 주요한 변인인 학업목표과정의 세 하위요인 목표 효능감, 목표지지 신념, 목표관련 긍정적 정서에 의해 생기는 자연발생적 군집양상과 군집에 따른 학업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의 각 하위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및 신뢰도검증, 측정변수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성별, 학교 계열별에 따른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 학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이 사회적 지지와 학업만족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넷째, 연구모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학업목표과정의 세 하위요인인 목표 효능감, 목표지지 신념, 목표관련 긍정적 정서에 따라서 어떤 자연발생적인 하위집단 또는 군집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각 하위집단에 따라 학업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요한 부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지지에서 학업만족도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를 제거한 수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이 사회적 지지와 학업만족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Lent 등(2007)의 학업만족모형이 한국의 고등학생들에게도 잘 지지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고등학생의 학업만족은 부모, 교사, 친구의 사회적 지지를 기반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결과기대, 학업목표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특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학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인 학업목표과정의 목표 효능감, 목표지지 신념, 목표관련 긍정적 정서의 세 가지 하위요인들에 의해 생기는 자연발생적인 군집에 따른 학업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목표 효능감, 목표지지 신념, 목표관련 긍정적 정서 수준에 따라 구성된 5개의 군집들이 학업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학업만족도는 군집 5(고목표형 집단)이 군집 4(강한신념형 집단)보다 높았고, 군집 4(강한신념형 집단)은 군집 1(부정정서형 집단)보다 높았고, 군집 1(부정정서형 집단)은 군집 3(저목표형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한편, 군집 2(취약신념형 집단)은 군집 3(저목표형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군집 5(고목표형 집단)보다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상담개입의 치료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one of the most important development task for the teenagers, is the center of their livings.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study are associated with all of their lives, so the maladjustment and trouble can influence on their daily life whole. This study, based on Lent(2007)’s academic satisfaction model, adopted social cognitive factors of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goal progress as the factors forecasting academic satisfaction and I set up a model for explaining how these factors cause academic satisfaction after going through what kind of process and tried to verify thi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urthermore, I tried to figure out spontaneous cluster and the difference of academic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lusters. First, I execut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escriptive statistic, verification confidence and observed variables to understand the general tendency of the each sub factor of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goal progress that our country’s highschool students perceive. Second, I executed t-test to se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goal progress according to the sexual difference and school affiliation. Third, I verified observed model and structure model to confirm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goal progress tha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atisfactions. Fourth, I investigated which spontaneous subordinate group or cluster exists according to the most influential three sub factors ; goal efficacy, goal support belief and positive emotion related to goal, and examined whether there are distinctions between academic satisfaction according to each sub factor. The important part of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it was proved that the correction model that removed direct route from social support to academic satisfaction was appropriate.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goal progress influence, mediating completely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ademic satisfaction. The result of Lent(2007)’s academic satisfaction model was well supported by Korean highschool students. That is, highschool students’ academic satisfaction was fulfilled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goal progress on the basis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teacher and friends. I examined the difference of academic satisfaction according to spontaneous group that was formed by three sub factors, goal efficacy, goal support belief and positive emotion related to goal which was most influential to academic satisfaction in order to search concretely the groups whose academic satisfaction is high and low.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at 5 clusters which were compo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goal efficacy, goal support belief and positive emotion related to goal had significant distinctions in academic satisfaction, in the case of academic satisfaction cluster 5(high goal group) was higher than cluster 4(strong belief group), cluster 4(strong belief group) was higher than cluster 1(negative emotion group), and cluster 1(negative emo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luster 3(low goal group). Whereas, cluster 2(weak belie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luster 3(low goal group), significantly lower than cluster 5(high goa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study, I discussed the ind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y.

      • 천연약용식물의 생리기능성과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윤혜경 고신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천연약용식물의 생리기능성을 조사하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동시에 항노화, 항산화성 식품에 대한 천연물의 이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열수추출 한 삼백초, 헛개나무 열매, 어성초, 두충 및 황기를 시료로 이들의 항산화성, 라디칼소거능, 금속착체형성능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을 DPPH법으로 조사한 결과,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라디칼 소거활성도 점차 증가하였으며, 삼백초의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시료에서 나타났으며 삼백초, 헛개나무 열매, 어성초, 두충, 황기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헛개나무 열매의 경우에는 1,000㎍/mL 농도에서 거의 100%에 가까운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둘째, 시료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에 사용된 5가지 천연약재 중에서 페놀화합물을 가장 많이 함유한 시료는 삼백초로 59.39㎎/g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어성초, 헛개나무, 두충 및 황기의 순이었다. 특히, 삼백초의 경우는 다른 시료보다 약 2배 이상의 총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시한 천연약재시료를 고등어 어유와 반응시키고 어유 산화에 대한 억제능을 조사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뚜렷한 항산화능이 나타났는데, 그 중에서도 삼백초와 헛개나무 열매의 추출물이 가장 컸으며, α-tocopherol 보다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른 시료는 α-tocopherol과 비슷하거나 다소 낮은 항산화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조사한 천연약재시료의 금속착체 형성능에 있어서는 5 가지 시료 모두에서 분명한 peak가 1개 이상씩 나타나 공시한 모든 시료가 금속착체 형성능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시료마다 금속을 결합하는 성분의 구성은 약간씩 다를 수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공시한 시료의 모두는 금속을 결합한 물질의 용출범위가 거의 동일한 영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이들 시료의 항산화기구가 동일한 류의 화합물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섯째, 원자흡광계를 통하여 구리와 철에 대한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철과 구리의 흡착률은 삼백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두충, 어성초의 순으로 높았으나 황기와 헛개나무 열매의 경우에서는 금속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시한 모든 시료추출물은 뛰어난 금속착체 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five kinds of Natural medical Herb and check up their utility as the functional food material.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it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metal-chelating ability of the samples, such as Saururus chinensis, Hovenia dulcis, Houttuynia cordata, Eucommia ulmoide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were experimen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the samples were shown to have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ch it was the strongest in Saururus chinensis, follwed by Hovenia dulcis, Houttuynia cordata, Eucommia ulmoide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Especiall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Hovenia dulcis was appeared to be almost 100% in the concentration of 1,000㎍/mL. 2. The highest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59.39mg/g) among 5 natural herbs was shown in Saururus chinensis, which was two times as other samples. 3. The antioxidation activity against mackerel oil peroxidation was clearly appeared in all samples, and the activity was the greatest in Saururus chinensis and Hovenia dulcis, which it was stronger than α-tocopherol. 4. Through the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y, all the samples was shown to have one or two peak, which meant the generation of the metal-chelating complex with the extracts from natural medical herbs. And from the almost same peak positions, their antioxidativity was considered to appear by some similar mechanism and similar kinds of phenolic compounds. 5. The chelating ability of Saururus chinensis with ferrous and cupric ion was the greast among the samples, which was followed by Eucommia ulmoides and Houttuynia cordata. The metal-chelating ability was some different from the samples, but all the samples appeared to have a great metal-chelating ability.

      •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윤혜경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분노조절, 낙관성, 대인관계 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A시의 B센터에 다니는 장애아동 어머니들 중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장애아동 어머니 12명을 실험집단 6명, 통제집단 6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주 2회, 120분씩, 총 12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척도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검사하여 점수를 비교하였고, 실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사이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인 Mann-Whitney의 U 검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ㆍ사후 검사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분노조절, 낙관성, 대인관계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라는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인을 촉진하는 집단미술치료 연구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MBTI 선호경향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의 관계

        윤혜경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BTI 선호경향과 학습유형 그리고 학습전략의 관련성 규명을 통해 학습의 개별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MBTI 선호경향과 학습유형, 학습유형과 학습전략 그리고 MBTI 선호경향과 학습전략의 관련성을 확인한 후, MBTI 선호경향, 학습유형, 학습전략의 세 가지 변인이 서로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자료는 서울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중인 90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MBTI 성격유형검사, 학습유형검사, 학습전략검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를 이용한 상관분석과 AMOS를 통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첫째, MBTI 선호경향과 학습유형의 관계에서는 MBTI 선호경향 중 에너지 방향의 외향형 및 내향형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방식인 인식기능의 사고형 및 감정형은 학습유형의 표층형, 심층형, 성취형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판단기능의 감정형은 학습유형의 성취형과 부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삶의 양식의 인식형도 학습유형의 표층형, 심층형, 성취형과 부적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유형과 학습전략의 관계는 학습유형의 표층형, 심층형, 성취형학습에 대한 선호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 전략의 시연, 정교화, 조직화, 상위인지전략의 사용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BTI 선호경향과 학습전략의 관계에서는 MBTI 선호경향의 에너지의 방향과 인식기능의 감각형 및 직관형은 학습전략의 시연, 정교화, 조직화, 상위인지전략과 관련이 없었으며, MBTI 선호경향 판단기능의 감정형은 학습전략의 조직화와 부적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삶의 양식의 인식형도 시연, 조직화, 정교화, 상위인지전략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MBTI 선호경향과 학습유형 및 학습전략의 관계는 정확합치 관점에서는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았으며, 근사합치의 관점에서는 이들 간의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편집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의 공감 특성

        윤혜경 한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3년에 발표된 DSM-Ⅴ에서는 성격장애 진단에 대한 차원적 접근인 대안적 모델의 진단기준을 함께 수록하였다. 대안적 모델은 공감의 결함과 같은 부적응적인 성격기능을 예측요인으로 제시하였지만, 편집성 성격장애의 경우 경험적 지지와 임상적 관련성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구체적인 진단기준이 마련되지 않았다. 공감이 편집성 성격장애 진단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예측요인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편집성향과 공감 간의 관계는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편집성향과 공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편집성향 수준에 따른 공감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편집성향에 따른 공감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 총 476명이었으며, 자기보고 설문을 통해 편집성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집단 구분은 편집성 척도(Paranoid Scale)을 사용하였으며, 45명이 편집성향 수준을 구분하는 대상으로 선정되었는데, 24명(53%)이 편집성향이 높은 수준으로 분류되었다. 두 집단 비교에서 편집성향 수준에 따른 인지적 공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정서적 공감에서는 편집성향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적 공감 중에서도 자기관련 정서 공감에서만 편집성향 수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편집성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개인적 고통과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불안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두 집단의 구분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불안, 정서전염, 각성으로 구성된 판별함수가 97.8%의 판별정확률을 보였다. 연구 결과 편집성향이 높은 경우 자기관련 정서 공감의 경향이 높을 것이 시사되었으며 특히 편집성향이 높은 경우 타인에게서 받는 자비조차 불편해하는 경향이 매우 높게 나타나 대인관계적 어려움과 치료개입 시 유의할 점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 및 제한에 따른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주용어: 편집성향, 자기관련 정서 공감, 개인적 고통 The DSM-Ⅴ suggests empathy as a criterion for maladaptive functioning in identifying personality disorders. But the relation between paranoia and empathy is little know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empathy and paranoia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total of 476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the a self-report questionnaire. Two groups of participants, those high(24 persons) and low(21 persons) in paranoia, were identified based on extreme scores on the Paranoia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group differences in level of paranoia and cognitive empathy, but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emotional empathy. Among emotional empathies, self-relaed emotional empathy did differ two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anoia. In particular, high level paranoia group had higher personal distress,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than low level paranoia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for finding factors discriminating the two groups, the discriminant function consisting of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emotional contagion’ and ‘arousal’ showed a discriminative value of 97.8%.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ersons high in paranoia had great self-related emotional empathy, in particular,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indicating interpersona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rapeutic intervention. Last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Key words : paranoia, self-related emotional empathy, personal di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