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윤지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정보화 사회에서는 다양하고 창조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과 매일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양의 정보에 압도당하지 않고 자신이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이에 교육 또한 정보화 사회에 맞춰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급변하는 사회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인간을 육성해야 한다. 이런 교육을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이론이 바로 구성주의 이론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구성주의 이론의 바탕이 되는 배경과 유형을 살펴보고 구성주의와 수학 교수·학습론을 연계시켜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을 고찰해 보았다.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한 수학 교수·학습은 교사가 안내자가 되어 학생이 수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구성주의에 근거한 수업이 실제 수업 현장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몬순기후에 따른 한강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변화

        윤지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study,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of main stream and tributaries(Cheonggye, Seoul forest) of Han river. In addition, we were investigate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every 4 years. Sampling was conducted 8 times in total, including 4 seasons, at 1 month interval from July 2016. A variety of leisure activities are taking place downstream and a lot of tributaries are joined in the upper stream of Han river. Rainfall was consider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biomass, primary productivity, biologica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amount were observed as physicochemical factors. As a basic items of water quality survey, BOD, COD, SS and nutritive salts were also investigated to grasp the water pollution level.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were observed using a microscope(Olympus BH2) and were identified through 9 references. Th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main stream of the Han river is influenced mainly by the discharge of Paldang Lake determined by concentrate rainfall, which is a summer monsoon climatic phenomenon.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distribution pattern due to the desorption by intensive rainfall. Therefore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the Paldang Lake, which is located upstream in the summer, has increased, resulting in changes in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downstream as well as the phytoplankton community. 본 연구에서는 한강 본류 및 지류(청계천, 서울숲)의 환경요인과 이화학적 요인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또한, 4년마다 조사된 결과를 통하여 한강의 식물플랑크톤 동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시료채취는 2016년 7월부터 약 1개월 간격으로 사계절 포함하여 총 8회 실시하였다. 한강의 하류에는 다양한 레저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강 상류에는 많은 지천들이 합류된다. 환경 요인으로 강수량을 고려하고 이화학적 요인으로 생물량과 일차생산력 그리고 생물학적 요인으로 종조성, 현존량을 관찰하였다. 또한, 수질기본항목 BOD, COD, SS 및 영양염류를 조사하여 수질 오염도를 파악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현미경(Olympus BH2)을 이용해 관찰하였으며 정(1993) 등 9개의 참고문헌을 통해 동정하였으며 종조성과 현존량을 통해 생태지수를 파악하고 집괴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를 확인했다. 한강 본류의 식물플랑크톤 분포는 대체로 여름철 몬순기후 현상인 집중강우에 의해 결정되는 팔당호의 방류량에 영향을 받음으로 인해 분포양상의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몬순기후의 집중호우로 인해 여름철 상류에 위치하는 팔당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해 하류의 영양염 농도를 비롯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에 변화가 생기고 또한, 중랑천 등의 지천에서 유입되는 생물종과 오염물질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윤지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conferred in August 201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through Risk Governance : Focusing on a case study about the conflicts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t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Ji-hyun Yoon (尹智鉉)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Young-che Yoon Radioactive waste has become a representative issue of risk in the nuclear industry causing social conflicts.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seemed to be solved in the manner of participation. However, the conflict reemerged when the unauthorized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was discovered in 2016,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ublic safety and trust issu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identify what types of govern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conflict over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which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precedent research. The current manner of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which is classified as a type of technocratic risk governance with the way of non-democratic and non-interactive, cannot become an appropriate alternative. Accordingly,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which is involved in the transfer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way of civil participation and transparent information release, should be carried out since the public is classified as an object of directly exposed to the risk of radioactive waste. In particular, the issue of radioactive waste is closely related to a risk governance, so that it is also required to have a type of governance which participation-based partnerships between civil and the related institutes are included. Thus, the management of radioactive should be understood as a type of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that combines civil participation with the experti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setting the model of relations among the actors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tors and tries to analyze it by substituting the model into the relations among the government, experts, and civic groups. Based on this method, this research identifies the relationship of actors regarding the management case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types of risk governa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why the cooperative risk governance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risky situations of radioactive waste. In this paper, the type of risk governance is presented on two criteria as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The participation is divided into not only a form of civil participatory but also a government-oriented hierarchical form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by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Additionally, the relations between experts and civil society are classified as expert-oriented scientific form and practical form that reflects social concerns depending on how uncertain risks are addressed within each group. Based on these types of rick governance classification, this research i that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types of not only technocratic governance, but also instrumental governance, and should move toward gradual cooperative governance. Keywords :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Risk Governance, Collaborative Risk Governance, Risk Communication, radioactive waste, Nuclear Power, Participation 국문초록 위험 거버넌스를 통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처리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방사성 폐기물은 대표적인 위험 문제로 그동안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였다. 그동안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참여의 방식으로 해결되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2016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사건을 중심으로 시민 안전과 신뢰의 문제를 둘러싸고 갈등이 재현되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대부분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의 입지 선정을 다룬 갈등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아직까지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갈등 문제는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 문제는 비민주적이고 소통이 없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는 적절한 대안이 되지 못했다. 참여와 투명한 정보공개, 과학 지식의 전달을 통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는 시민은 방사성 폐기물이라는 위험에 노출된 당사자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이런 면에서 방사성 폐기물 관련 거버넌스는 위험 거버넌스로서 참여를 기반으로 한 협력 관계가 추가되어야 하는 거버넌스의 조직을 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방사성 폐기물 관리는 참여와 과학기술의 전문성이 결합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먼저 행위자들의 관계를 보며 행위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행위자 관계 모형을 정리한 후 그에 근거해 정부-전문가-시민단체로 대입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방사성 폐기물 관리 사례에 대한 행위자 관계를 파악하고, 시기별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파악하여 방사성폐기물과 같은 위험상황에서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야하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참여와 전문성이라는 두가지 기준으로 위험 거버넌스 유형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정부와 시민사회의 참여정도를 기준으로 시민사회 중심인 참여적 양식과 정부 중심의 위계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두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사이의 관계를 기준으로는 불확실성한 위험상황을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서 전문가 중심의 과학주의적 양식과 사회적 우려를 반영하는 실천적 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위험 거버넌스의 유형적 분류를 통해 위험 상황에서 기술관료적 거버넌스와 도구적 거버넌스 유형을 극복하고 점차 협력적 거버넌스로 나아가야 함을 밝혔다. 방사성 폐기물 문제의 갈등 전초기에서는 공릉동 연구로 해체에 따른 방사성 폐기물 유입, 월성고리에서의 폐기물 반입, 연구원 내 건물 내진 미 설계 등과 같은 문제가 정부-전문가-시민사회 간의 주요 쟁점이었다. 갈등 전초기에서는 방사성 폐기물과 관련되어 모두 전문가와 정부 주도로 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나 상호소통이나 참여에 있어서 예견된 안전하다는 결론으로 답하였던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갈등 전초기는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후 갈등 심화기에서는 이전에 의혹으로만 남아있었던 방사성 폐기물 무단 폐기 의혹에 대한 문제들이 사실로 드러나게 되었다. 갈등 심화기에서는 여러 시민단체를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보여졌고 시민들과 지역주민이 직접적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는 시민검증단이 출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방사성폐기물과 관련한 문제에 있어 아직까지 시민들의 의사결정과정은 큰 영향력이 없다는 점에서 기술관료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과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의 혼합적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이후기에서는 갈등기 심화기에서 보다는 시민사회의 활발한 참여와 정부의 적극적인 감시역할과 현장 안전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며 점차 협력적 유형의 위험 거버넌스로 나아가고 있는 것을 보여 주었다. 하지만 여전히 직접적 정책결정에 있어서 지역주민이나 시민단체가 결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갈등 이후기 시기에서도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공통적으로 도구적 위험 거버넌스 유형에 속하지만 갈등 심화기와 갈등 이후기는 정부가 시민사회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안전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핵심어 : 위험 거버넌스, 협력적 위험 거버넌스, 위험 커뮤니케이션, 방사성 폐기물, 원자력발전

      •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mong adults in local communities in South Korea. Methods: Of adults aged 5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 2018), a total of 4,324 participants who underwent the oral examination and completed the mental health questionnaire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Using dental status records from the oral examinatio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Good (≥20)', 'Fair (11-19)', and 'Bad (≤10)'. Differences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ral health status, dental examination indicators,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Finally, the in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mental health indicators (depressive symptoms,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experience of planning suicide, psychological counseling related to planning suicide) was evaluated using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3,117 participants (72.1%) were classified as Good (≥20), 594 (13.7%) were classified as Fair (11-19), and 613 (14.2%) were classified as Bad (≤10). After adjusting for major variables, the odds ratio of 'high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participants’ scores for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 points) (OR, 1.60; 95% CI, 1.08-2.3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whose remaining number of teeth were classified as Good.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classified as Fair compared to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OR, 2.03; 95% CI, 1.21-3.41). On the other hand, the Poor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odds ratio (OR, 0.41; 95% CI, 0.17-0.98) of' experienced in mental counseling. Furthermor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all mental health indicators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Bad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erceived stress levels, sleep dur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between the group classified as Normal and the group classified as Good. Conclusi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erience of suicide plan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Korean adults with a lower number of remaining teeth. Active oral health management efforts are therefore needed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through managing the number of remaining functional teeth, and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우리나라 성인의 잔존치아와 일부 정신건강 지표와의 관련성 윤지현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지도교수 이 영 훈)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성인을 대상으로 잔존치아 수에 따른 정신건강 지표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제7기(2016, 2018)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50세 이상 성인 중 구강검진과 정신건강 설문조사 문항에 모두 응답한 4,324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는 구강검진에서 치아상태를 조사한 기록을 이용하여 ‘양호군(20개 이상)’, ‘보통군(11-19개)’, ‘불량군(10개 이하)’ 으로 분류하였다. 잔존치아 수의 분류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 구강건강 상태, 구강검진 지표, 정신건강 지표의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잔존치아 수의 분류와 정신건강 지표(우울 증상 수준,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경험, 자살 계획 정신상담)와의 독립적 관련성을 평가하여 교차비(odds ratio; OR)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잔존치아 수 분류에 따라 양호군 3,117명(72.1%), 보통군 594명(13.7%), 불량군 613명(14.2%)이었다. 주요 변수를 보정한 후, 잔존치아 수 양호군을 기준으로 보통군인 경우의 ‘높은 우울 증상(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10점)’ 교차비(OR, 1.60; 95% CI, 1.08-2.36)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잔존치아 수 보통군인 경우의 ‘자살 계획 유경험’ 교차비(OR, 2.03; 95% CI, 1.21-3.41)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스트레스 인지수준, 수면시간, 자살 계획 정신상담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잔존치아 수 양호군에 비해 불량군은 ‘정신상담 유경험’의 교차비(OR, 0.41; 95% CI, 0.17-0.98)가 유의하게 낮았지만, 우울 증상, 자살 계획 경험, 스트레스 인지 수준, 수면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우리나라 성인에서 잔존치아 수가 적은 경우에 우울 증상과 자살 계획 유경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적절한 구강기능이 가능한 잔존치아의 관리를 통해 정신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구강건강 관리 노력이 필요하겠다.

      • 무용전공 대학생의 플로리시 수준과 마인드셋의 관계

        윤지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 전공 대학생의 플로리시 수준을 파악하고 마인드셋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행복한 대학 무용 생활 유지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플로리시 수준과 마인드셋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 대전, 부산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9.0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통계 방법은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마인드셋과 플로리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성장마인드셋과 플로리시는 정(+)적, 고정마인드셋과 플로리시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성장마인드셋이 증가하면 플로시시 수준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고정마인드셋이 증가하면 플로리시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마인드셋 하위요인인 고정마인드셋은 플로리시 수준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고정마인드셋은 플로리시 하위요인(긍정적 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정마인드셋 성향이 높을수록 플로리시 하위요인 5가지의 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뜻한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플로리시 하위요인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 즉, 성장마인드셋이 증가하면 플로리시 하위요인(긍정적 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 수준이 같이 높아진다. 성장마인드셋과 플로리시 하위요인 간 부(-)적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성장마인드셋이 증가하면 플로리시 하위요인 중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하위요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전공 대학생의 평균 플로리시 수준은 대체로 높다는 것을 확인하고, 성장마인드셋이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행복의 증진을 위해 성장마인드셋을 키워준다면 대학에서의 전공 생활이 보다 더 행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the relation between a flourish level and a mindse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find the way to keep a happy university life of dance major. The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flourish levels and mindset tendencies of 269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Daejeon and Busa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nd processed with a statistical program SPSS 29.0. The statistical methods are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zed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 between mindset and flourish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 growth mindset and flourish, and a negative one between a fixed mindset and flourish. This indicates as a growth mindset increases, the level of flourish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more a fixed mindset increases, the more the level of flourish decreases. Second, a fixed mindset as s sub-factor of mindse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flourish level. A fixed mindse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mindset including positive emotion, immersion, relationship, meaning and achievement. It means the more a tendency of fixed mind set gets, the more the levels of 5 sub-factors for flourish decrease. Third, a growth mindset influences the flourish level of sub-factors. As a growth mindset increases, the levels of sub-factors for flourish(positive emotion, immersion, relationship. meaning and achievement) increase. There is no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 growth mindset and sub-factors of flourish. This proves when a growth mindset increases sub-factors of flourish does not decrease. This study clarified that the averag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is generally high. Also, a growth mindset influences flourish. Thus, if a growth mindset is cultivated for the enhancement of happiness, a university life as a major would be happier.

      •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 참여동기에 따른 만족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윤지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수련활동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겠으며, 청소년 수련활동의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육의 일환으로 끝나지 않고 청소년기의 정서발달과 사회성을 기르는데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 3개 중학교 여자중학교 100명, 남자중학교 100명, 남녀공학중학교 100명 총 30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최종 284부의 설문지를 실증 연구에 사용하였다. 조사기법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게 하였고 설문지 구성은 배경변인에 인구통계적 특성, 독립변인에 참여동기, 종속변인에 만족, 교우관계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을 사용하였고, 인구통계적 특성의 평균과 분포,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인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만족도, 교우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참여동기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과시 그리고 만족과 교우관계는 여학생이, 사교는 남학생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남학교, 여학교의 학생보다 남녀공학중학생들이 참여동기, 만족, 교우관계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 수련활동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의 수련활동 프로그램 참여욕구를 높여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고 수련활동의 의무적 교육이 아닌 청소년들의 사회성 증진 및 교우관계 개선, 학교생활의 활력소 등 가치 있는 문화의 장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 수련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청소년들의 취향에 맞게 재구성해야 하겠으며, 능동적 행동으로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 일 종합병원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

        윤지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병원에서 항암제를 주로 취급하는 종양간호사를 대상으로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자가보고 이행도를 확인하고 관찰 이행도와 비교하였으며, 이는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을 구체화하고 교육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A 상급종합병원 종양내과, 혈액내과 병동 간호사와 외래 암병원주사실 간호사 186명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보고에 의한 설문지 조사와 이중 일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관찰조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0월 1일부터 2014년 11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미국의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미국종양간호사회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과 연구기관의 항암제 안전관리 관련 규정 및 실무환경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개발하였으며, 전문가의 자문을 받았다.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항암제 준비, 투약, 폐기 과정에서의 환경관리, 노출 예방전략, 개인보호장구 착용의 16개 항목이며, 자가보고 이행도와 관찰 이행도는 항암제 준비, 투약, 폐기 과정에서의 안전관리 23개 문항이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version 22.0(IBM SPSS statistic)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ukey 사후검정, 카이제곱 검정,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 79.74점이며, 항암제 안전관리 대상, 항암제 노출 예방, 항암제 폐기와 관련된 문항에 대한 인지도는 90%이상으로 높았다. 개인보호를 위한 적정 개인보호 장구와 손위생 제재에 대해서는 각각 69.9%, 39.8%의 정답률을 보였으며, 오염된 린넨처리, 항암제가 남아있는 경우의 폐기 방법에 대한 환경 관리는 각각 79.6%, 29.6%로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2) 항암제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자가보고 이행도에서 장갑착용은 항암제 투약 후 폐기할 때, 정맥내 주사 또는 근육주사, 피하주사 할 때, 항암제 주입구에 수액세트를 꽂을 때, 불출된 항암제를 확인할 때 각각 평균 4.87±0.41점, 4.85±0.59점, 4.73±0.63점, 4.66±0.72점이었으며, 항암제를 경구 투약을 할 때는 3.53±1.70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항암제 노출 최소화를 위한 환경관리 실무는 전반적으로 높은 이행도를 보였으나, 항암제에 수액세트 꽂을 때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흡수지 사용은 3.03±1.63점으로 이행도가 낮았다. 3) 항암제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관찰 조사결과, 장갑착용은 불출된 항암제를 확인할 때 80.6%, 항암제에 수액세트를 꽂을 때 93.9%, 정맥 주사 또는 근육이나 피하 주사할 때 100%, 항암제를 폐기할 때 100%로 높았으나, 경구 투약에서는 40%의 이행도를 보였다. 또한, 항암제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실무도 전반적으로 높았으나, 항암제에 수액세트 꽂을 때 흡수지를 사용하는 경우는 30.6%로 낮게 나타났다. 4)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자가보고 이행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5, p=.001). 5)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자가보고 이행도가 높을수록 관찰 이행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항암제에 수액세트를 꽂은 후 장갑을 벗고 손위생 이행은 자가보고와 관찰조사 간 차이를 보였다(p=.001).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인증평가가 2차례 이상 시행된 후 항암제 안전관리에 대한 정책과 규정이 정착된 시점에서 종양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에 대한 인지도와 이행도를 파악한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 여성근로자의 감정노동 강도 및 빈도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윤지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tensity and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stress among women employe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women employees aged 15 to 64 using the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14(KWCS).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n influence of intensity and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and various variables abou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working conditions. The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sis affecting factors of Job Stress. Among the subjects, low-frequency general emotional labor group was 8.7%, middle-frequency general emotional labor group was 18.2%, high-frequency general emotional labor group was 33.6%. And people who do severe emotional labor were 25.1%. Job stress showed more high-frequency general emotional labor group than non-exposed group. By contrast, job stress showed more severe emotional labor group than non-exposed group regardless of frequency. The strongest predictors of job stress were high frequency of general emotional labor and severe emotional labor. And work life balance and degree of occupation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reducing job stress. As working conditions were same, people who had more work life balance and high job satisfaction got less stress. If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s firstly necessary to make a education and policy of general emotional labor with high frequency and severe emotional labor on all occasions. And various approaches about working conditions are necessary so as to reduce stress in work pla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nsity and frequency of emotional labor influencing job stress of women employees should be evaluated and controlled.

      • 캐릭터 팬시상품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블루베어(Blue Bear)를 중심으로

        윤지현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의 문화 산업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자본주의가 발달하고 대중매체가 널리 보급화ㆍ다각화됨에 따라 부가가치를 지닌 하나의 캐릭터 상품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그 캐릭터 산업의 경제체제에서 자본과 노력을 투자하여 상품가치를 높여 그 가치를 재창조해내고 있는 실정이다. 팬시상품에 있어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캐릭터로서 상품에 디자인적 요소를 더하여 생명력을 불어 넣음으로서 새로운 가치를 지닌 상품으로 재창출되게 하며 이것을 위주로 소비자의 구매 활동이 이루어지므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물질문명의 소산인 상품에 아름다운 시각적 가치를 넣어 풍요로운 정서 제공과 함께 소비자에게 시각적 만족을 주는 것이 팬시 산업이다.최근 캐릭터 사업은 황금알을 낳는 사업이며 고부가가치 사업이라는 말로 화려하게 포장되어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어 여러 캐릭터 업체가 창업되고 있으며 또 대다수 업체들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캐릭터 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턱없이 부족한 탓이다. 지금의 한국 캐릭터의 발전 과정은 인식부족과 시행착오를 겪고 있는 과정에 있다. 현재 국내 캐릭터 시장의 80%이상이 외국캐릭터 들로 자유와 개성과 풍요를 누리려는 민감한 청소년층에게 우리나라의 정서를 잘못 인식시키고 있다. 이렇게 외국 캐릭터들로 점령당하고 있다는 사실이야 말로 캐릭터 산업에 대한 우리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 하겠다.이에 본 논문은 국내 캐릭터들이 지나온 짧은 발전과정을 시대별로 구분하였으며, 국내ㆍ일본ㆍ미국 캐릭터들을 비교분석하여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정서에 맡는 성공 캐릭터인 블루베어(Blue Bear) 캐릭터를 중심으로 더 나은 국내 캐릭터 산업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외국의 무분별한 캐릭터 사용을 자제하고 우리의 정서에 맞는 캐릭터를 개발하여 보고, 느끼고, 생각할 수 있는 문화 감각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올바른 캐릭터 정착을 위해 장기적 안목과 아낌없는 투자 및 우리의 정서를 담아내는 창조적 디자이너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닝글로리의 캐릭터인 <블루베어>를 세계시장에 진출시켜 장수하는 영구 캐릭터로 키워나가고 또한 우리나라 팬시캐릭터의 개발 산업방향을 모색하고 인식 전환시도를 위한 목적으로 하여 세계시장에 경쟁력 있는 캐릭터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려 한다.우선 첫 번째로는,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정신문화를 기본 바탕으로 더 이상 외국캐릭터에 방황하지 않고, 독자적인 우리나라만의 팬시상품 캐릭터와, 국제화된 세계시장의 캐릭터를 창조해야 한다. 그리하여 세계시장에서 한국캐릭터의 위치를 뚜렷하게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두 번째는, 팬시상품은 소비자가 아직 자라나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 인 학생이기 때문에 적지 않은 소비 풍조를 유발 할 수 있으므로 가격 면에서 또한 신경 써야 할 것이며 디자인만 지나치게 치중하다보니 디자인과 상품과의 관계에서 실용성이 떨어진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때문에 디자인의 철저한연구와 시대에 대비한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세 번째로, 새로운 캐릭터 상품의 탄생과 캐릭터상품에 수명 연장을 위해 시대흐름에 맞춰 재 디자인이 요구 되며 우리나라 캐릭터 이미지의 장점인 깜찍하고 귀여운 따뜻한 이미지를 적극 활용하면서 이국적인 수수한 면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또한 캐릭터 비즈니스를 디자인적인 면과 마케팅적인 면의 전략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므로 우리 정서에 깊이 반영한 창의적인 캐릭터 개발과 오랫동안 사랑받는 생명력이 긴 캐릭터를 만들어 21세기 캐릭터 문화산업에 더욱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 영문초록:Character business, which has been established at the central position among other cultural businesses in the 21st century, is considered as another character product with value added as capitalism develops and mass media are widely distributed and diversified. And, in fact, the value of products increases highly and is recreated by investing capital and efforts under the character business. It is characte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fancy products. The character transforms products into new valuable items by giving design factors to the products and animating those products. It will functions as a pivotal role in consumers' purchase activities as they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 character. In other words, it is the fancy business that gives aesthetic and visual values to a product - a fruit of material civilization - to provide abundant feelings and to satisfy consumers visually.Recently, the character business is called "the goose that lays golden eggs" and "highly value-added business" with exaggeration and attracts public attention, causing multiple character companies to be started for operations. However, in fact, most companies struggle desperately. The reason is severely poor recognition on the character business. Currently, the character business in Korea experiences the lack of the recognition and trials and errors. Foreign characters account for 80% or more of the domestic character market so that it makes juveniles, who ask freedom, individuality and abundance, recognize Korean unique emotions inadequately. Like this, considering our character market is occupied by foreign characters, conversion of our recognition on the character business must be an urgent problem.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divide short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characters by periods,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s of Korea, Japan and U.S. and ultimately find a solution for creating high value added. For this objective, this study was focused on a successful character "Blue Bear,"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emotions, to develop the domestic character business. Thus, consumers should control themselves the thoughtless use of foreign characters while designers should develop characters suitable for Korean emotions, provide a cultural feeling opportunity to see, feel and think, have a long-term insight and invest full-fledgedly for establishing good characters and ultimately make the best efforts as a creative designer for expression of our emotions.Consequently, in order to introduce a character of Morning Glory <Blue Bear> to the global market, develop into the lasting and permanent character, fi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n fancy characters and convert people's recognition, this study concludes strategies for developing competitive characters in the global market as follows.First, we should not be confused of foreign characters any more on the basis of Korean unique mental cultures but create our original fancy product characters and characters suitable for the internationalized global market so that those characters should establish their firm position in the global market. Second, fancy products' consumers are children and juvenile students and may cause going with a consuming trend, so their pric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In actual fact, an excessive attention to design leads poor practicability in so many cases. Therefore, in-depth study of design, lasting efforts for preparing changes in period as well as scientific and systematic management are required.Third, creation and redesign of new character products considering the current main stream for long-lasting life cycle are also required. Merits of our character images (e.g. cute, pretty and kindly image) should be applied actively and supplemented with exotic aspects.Thus, the recognition on character business should be strategic converted with a viewpoint of marketing and desig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characters reflecting our emotions and creation of long-lasting characters are required to contribute to the 21st character cultural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