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게리 스나이더의 '사물의 본성 ' 연구 : 생태문학적 접근

        윤미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생태문학의 개념 규정과 스나이더의 시를 생태학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생태문학이란 용어는 그 개념이 문학사적으로 확립된 것은 아니지만, 필자는 기존의 논의들을 전반적으로 검토한 결과 생태학적 문제의식을 계기로 삼아 창작된 작품을 생태문학이라 규정하였다. 따라서 생태주의 시인들이 생태계의 파괴를 인식하고 그에 대해 생태학적 상상력을 통해 시적 대응을 하는 것은 생태계 위기에 닥친 인간들에게 반성할 수 있는 계기와 생태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한 유효한 사고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러한 생태학적 인식을 토대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미국의 현역시인인 게리 스나이더(Gary Snyder)의 가장 최근 시선(詩選)집인 『사물의 본성』(No Nature)에 수록된 시편들을 다음 세 양상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현대 문명 비판에 관한 시편들이다. 둘째는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감수성이 짙은 작품들을 살펴보고, 셋째로는 생태학적, 유기체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형상화하여 생명공동체를 회복하는 시편들이다. 서구문명의 밑바닥에는 인간의 탐욕과 이기심 그리고 땅에 대한 불경스러운 태도가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고 본 스나이더는 이러한 서구문화의 병폐는 그 자체로서는 치유가 어렵고 현재의 지배적 삶의 구조와 가치와 한 대안을 상생과 조화를 바탕으로 하는 북미 인디언의 생활양식과 동양의 선 불교(Zen Buddhism)와 도교에서 찾는다. 그는 자신의 시를 ꡒ생존을 위한 기술ꡓ로 언급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시에서는 종교적 이데올로기나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 오늘의 생태위기를 가져왔다고 본다. 생태위기를 먼저 인식하고 문학적 대응을 보여준다. 절박한 생태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오늘날, 스나이더는 인간이 다른 생명들과 다르다고 보지 않고 식물들과 여러 동물들의 언어를 대신하며 우리 인간들도 그들의 소리에 귀기울일 것을 강조한다. 인간은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만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런 그의 사상 기저에는 모든 만물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는다는 불교의 연기론이 깔려 있다. 스나이더의 최대 관심은 이러한 공동체 구성원의 행복을 보장하는 참다운 공동체의 형성이다. 그가 말하는 공동체는 소유의 관계가 아닌 유기적인 관계로 공동체 구성원들간의 공존공생하는 사회이며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이므로 자연과 더불어 사는 것이 진정한 공동체라고 강조한다 . 스나이더의 시는 곧 자연이며 문화이다. 여기서 자연이란 인간을 위한 인간 위주의 인간에 의해 변형된 자연이 아니라 야생 그대로의 자연을 의미하며, 문화란 인간과 문명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종족과 국가, 종교를 초월하여 인간과 문명을 비롯하여 모든 것을 수용하는 문화이다. 따라서 스나이더의 이상적 공동체의 비전은 현대인에게 생태 환경파괴와 인간성의 오염을 조장하는 죽임의 문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스나이더의 생태학적 세계관을 토대로, 현대 생태계의 위기가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인간중심의 이원론적 사상에서 왔다는 전제 아래, 이를 반성하고 인간과 자연의 조화, 즉 자연의 일부로서 인간을 인식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모습을 노래한 시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상적 공동체의 실현을 주장하는 스나이더의 시 세계를 연구하였다.

      •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구조모형

        윤미순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경로를 탐색함으로써 임상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모형구축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과 Wrzesniewski & Dutton(2001)의 잡 크래프팅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임상 간호사의 직무배태성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변수 중 동기부여요인으로 역할갈등,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로 선정하였으며, 직무효과로는 직무배태성을 선정하였다. 각 선행변수로 외생변수는 역할갈등으로 내생변수로 긍정심리자본, 사회적지지, 잡 크래프팅, 직무배태성으로 하여 총 7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와 D시의 소재한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 근무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와 수간호사를 제외한 임상 간호사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여 졌으며 총 260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은 E대학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2년 1월10일부터 2022년 2월 22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프로그램과 AMOS 26.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적 기술통계, 연구도구 신뢰도,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CMIN/DF, GFI, AGFI, CFI, SRMR, RMSEA의 적합지수 기준으로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정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CMIN/DF=2.617, GFI=.884, AGFI=.840, CFI=.899, SRMR=0.76, RMSEA=.079로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설적 모형의 총 7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2. 긍정심리자본은 역할갈등(p<.001)으로부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받았고, 사회적지지는 역할갈등(p<.001)으로부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받았다. 잡 크래프팅은 역할갈등(p=.009)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았으며, 긍정심리자본(p<.001)은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았고, 사회적지지(p<.001)으로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배태성은 역할갈등(p<.001)으로부터 유의한 부의 영향을 받았고, 잡 크래프팅(p<.001)으로부터 유의한 정의 영향을 받았으며, 직무배태성에 대한 설명력은 60.4%였다. 3. 모델의 직∙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설적 모형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효과인 직무배태성에 대한 역할갈등은 직접효과(β=-.382, p=.007)와 간접효과(β=-.208 p=.003), 총 효과(β=-.589, p=.006)는 유의하였고, 긍정심리자본은 간접효과(β=.441, p=.005)와 총 효과(β=.441, p=.005)는 유의하였으며, 사회적지지는 간접효과(β=.247, p=.003)와 총 효과(β=.247, p=.003)는 유의하였다. 잡 크래프팅은 직접효과(β=.548, p=.005)와 총 효과(β=.548, p=.005)는 유의하였다. 이에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할갈등을 낮추고,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지지, 잡 크래프팅을 높일 수 있는 지지체계와 프로그램 개발과 훈련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임상간호사의 직무배태성을 높일 수 있는 중재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윤미순 을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를 제외한 간호사 187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응답이 미 완성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167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은 5점만점에 2.38±0.57점이며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40±0.33점이며, 조직몰입은 5점만점에 2.70±0.4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경험은 임상경력(F=6.4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결혼상태(t=-2.62, p=.010), 종교(t=2.29, p=.023), 연령(F=-2.99,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은 결혼상태(t=-4.73, p<.001), 연령(F=4.80, p=.003), 최종학력(F=4.33, p=.014), 임상경력(F=6.59, p<001), 근무부서(F=2.73, p=.021), 지위(t=-3.59, p<.001), 근무형태(F=-5.0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언어폭력경험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이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β=.249, p=.001)가 검증되었으며, Sobel검증공식에 따라 Z 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1.195, p=.026).

      • 아버지의 우울성향에 따른 영아와의 상호작용 특성 분석 : 6개월~8개월 대상으로

        윤미순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버지 우울 성향 상, 하 집단에 따른 영아와의 상호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비디오 녹화를 통한 질적 접근으로 진행하였으며 상호작용 평가도구인 Field(1980)의 IRS(Interaction Rating Scales)와 Bronfman, Parsons, Lyons-Ruth(1999)의 비전형적 행동 측정과 분류도구AMBIANCE(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아토피 천식 질환 원인 규명 코호트 연구에 동의한 자발적 산모의 6개월~8개월 사이의 영아와 그 아버지들 중 우울 성향 점수가 높은 아버지와 영아 11쌍과 우울 성향 점수가 낮은 아버지와 영아 20쌍으로 총 31쌍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울 성향에 따른 부모와 영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기술 통계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아버지-영아 상호작용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t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버지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비전형적 행동 특성 차이와 영아의 발달 수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t 검정을 사용하였고, 일상생활스트레스가 아버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아버지-영아 상호작용 특성 분석에서 아버지의 상호작용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아버지의 상태’, ‘신체활동’, ‘머리방향’, ‘응시행동’, ‘영아 시선 회피동안 기다리는 침묵’, ‘얼굴표정’, ‘발성’, ‘아이 같은 행동’, ‘유관적 반응성’, ‘게임놀이’, ‘애정적인 신체접촉’, ‘아버지의 상호작용 총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아버지의 우울 성향이 높을수록 위의 영역에서 아버지의 상호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상호작용 특성을 비교한 결과 ‘영아의 상태’, ‘신체활동’, ‘머리방향’, ‘응시행동’, ‘얼굴표정’, ‘발성’, ‘영아의 상호작용 총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아버지의 우울 성향이 높을수록 영아 상호작용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비전형적 행동 특성을 비교한 결과 ‘환경 변화와 관련 없는 갑작스런 기분변화’, ‘아이를 무생물처럼 다룸’, ‘신체적으로 부정적, 침해적인 행동’, ‘아이로부터 언어적 거리감을 둠’, ‘비전형적 행동 총합’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며 아버지의 우울성향이 높을수록 비전형적 행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영아의 발달 수준을 비교한 결과 아버지의 우울 성향이 높을수록 영아의 대근육 영역 발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인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버지 우울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적이 없는 아버지의 우울 성향 상, 하 집단 간 아버지-영아 상호작용 특성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우울 성향이 높은 아버지-영아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제작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father-infant inter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 of fathers depending on degree of depression. A qualitative approach was adopted via video recording, and Interaction Rating Scales (IRS) by Field (1980) and Atypical Maternal Behavior Instrument for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AMBIANCE) by Bronfman, Parsons, and Lyons-Ruth(1999) were administered to assess interactions and measure and classify atypical behaviors respectively. The subjects included 11 pairs of infants and fathers with a high degree of depression and 20 pairs of infants and fathers with a low degree of depression. The infants and fathers were the children and husbands of the women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cohort study to identify reasons of atopy and asthma of young children. The infants were aged six to eight months. In order to exam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par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pression,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Difference of father-infant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of fathers depending on degree of depression was measur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Differences in terms of atyp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level of infants between the two group of fathers were also investiga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The effect of stress from daily life on the degree of depression of fathers was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father-infant interac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of father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erms of father state rating, physical activity, head orientation, gaze behavior, silence during infant gaze aversion, facial expression, vocalization, infantized behaviors, contingent responsivity, game playing, affective physical contact, and father rating total, implying that fathers with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were less engaged in interactions. Regarding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infant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erms of infant state rating, physical activity, head orientation, gaze behavior, facial expression, vocalizations, and infant rating total, implying that infants whose fathers had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were less engaged in interactions. Second, comparison of atyp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of fathers,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erms of abrupt mood changes regardless of changes in environment, handling of infants as though inanimate, physical negative-intrusive behaviors, silent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atypical behaviors total, implying that fathers with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a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atypical behaviors. Third, comparison of degree of development of infants between the two groups of fathers found that infants of fathers with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showed a lower level of development in gross motor skills. Fourth,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stress of fathers from daily life on degree of depression found that a higher level of stress from daily life led to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of father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father-infant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pression of fathers, which is the first in its kind in Korea.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ment of interaction programs between fathers with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and their infant children.

      •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영·유아기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

        윤미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부모와 보육교사의 차이를 알아보고,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가 양성평등교육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영·유아기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에 있어서 부모 및 보육교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양성평등교육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 교육 간에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유아 부모 및 보육교사 중 부모 179명, 보육교사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응답자의 일반적인 사항을 묻는 문항과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 windows for 16.0 program을 통한 통계처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관한 연구결과 부모인 경우 전문기술직을 가진 부모가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에 있어서 양성성 성역할 태도와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인 경우 권위, 기회에 있어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양성성 성역할 태도를 보였으며, 학력에서는 고정관념에 있어서 대학원졸 이상이 가장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사기관에서는 국공립에 종사하는 보육교사가 권위, 성별분업, 전체성역할에서 가장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양성평등교육을 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 보육교사가 모두 평균적으로 바람직한 성역할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 총점이 부모의 성역할 태도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 보육교사 모두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장시간 영·유아를 돌보고 교육 하는 보육교사가 더 양성평등교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와 양성평등교육은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보육교사의 성역할태도가 양성성일수록 실제 가정에서나 교육현장에서 양성평등 교육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가정 및 보육시설은 교육 및 연수회 참여를 통해 양성성 성역할 태도 및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정부 또한 보육시설의 보육과정에서 운영 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분석과 성차별적, 성 고정 관념에 입각한 기존의 자료에 대한 수정 보완 작업이 이루어져 보급하는데 앞장서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or daycare workers)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or infancy/toddlerhood, to emphasize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role after reviewing the relationship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about proper performance of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re are four objectives in this study. At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ccording to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ackground. A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t fourth,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79 parents and 171 health care providers who responded surveys at Daycare Centres in Goyang-si, Gyeonggi-do, Korea. Research tool consists of surveillance studies by participants on general questionnaires and realities of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 windows for 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the research results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ccording to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background show that parents who have professional career seem to giv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more than unprofessional career parents to their children. Single health care providers appear to perform gender role attitudes more than married health care providers. In terms of stereotypes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postgraduates have strongly performed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Among the daycare centres, health care providers at national daycare centres appear to have the most positiv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regarding prestige,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unity role. At second, all of participants on average seems to have desirable gender role attitudes, but total score of health care providers is higher than that of parents. At third, both of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appear to have desirable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However, long-time care workers such as health care providers have performe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o the children more than parents. At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pending on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For example, the more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have positive mind on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 more they achieve the education of gender equality. Based on those results, parents and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attend training sessions as well as conferences to achieve desirable gender role attitudes and gender equality in education. The Government should perform the analysis of supportive materials such as on-line multi-media education based on a systematic curriculum. Also, it should play an crucial role as a hub for distributing and redesigning supportive models for gender equality by modifying information related to gender discrimination and sexual stereotype.

      • 게리 스나이더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심층생태적 사유

        윤미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첫 번째로, 스나이더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생태학적 사유가 모든 삼라만상의 상호 의존과 상호 침투를 강조하고 있음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스나이더는 『신화와 텍스트』에서 심층생태학이 강조하는 ‘마음’이 인간 문명이 발달하면서 자연을 지배하고 파괴시키는 원인이라고 고발한다. 한편 인디언들이 사냥 후 ‘먹는 것’에 대한 생각이 스나이더의 생태적 비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두 번째는 스나이더 작품 전체에 깔려있는 ‘상호의존’, ‘상호존중’이라는 개념의 불교적 의미를 심층생태학과 관련지어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스나이더가 북미 원주민들의 부족주의(tribalism)의 이상인 공동체적 삶에서 생태적 비전을 찾아야 한다는 단초를 『거북섬』이라는 시집과 산문집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스나이더는 일본에서 미국으로 귀국한 뒤 이런 생명공동체를 시에라 네바다를 중심으로 형성해 가고 있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매우 설득력이 있다. 심층생태론의 틀로 스나이더의 문학을 조망할 경우 그의 생태시와 산문에는 무엇보다 인간의 ‘원래의 마음’을 강조하는 심층생태학의 기본적인 입장이 잘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심층생태학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간이 자신의 내면을 되돌아보고 자신을 재발견하는 일이다. ‘원래의 마음’이란 인간으로 하여금 유기적이고 전체적인 우주의 질서를 인식하게 하고 그 인식에 따라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게 하는 마음이다. 스나이더는 이런 ‘원래의 마음’을 북미 원주민의 신화나 선불교, 생명공동체를 통해서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심층생태론 또는 마음의 생태학이 스나이더의 작품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생태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색의 과정이 문학적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논의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 같은 연구 결과로 생태시라 할 수 있는 스나이더의 생태문학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 더 이상 근대적 이성이 아니라 감성을 바탕으로 하나가 되는 신부족 공동체 사회를 이룰 가능성이 있음을 엿볼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 위기인 이 시기에 스나이더의 ‘원래의 마음’을 강조하는 심층생태적 사유로 문학 작품을 조명하는 것은 생태적 삶을 위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문학이 생태론적 인식을 환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변화뿐만 아니라 우리 자신의 근원적인 ‘마음’을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proposes to see how the ecological thoughts represented in Gary Snyder’s poems and prose emphasize the interdependency and inter penetration among everything in the universe. In his book Myths and Texts, he identifies the “mind,” which is stressed in deep ecology, as the very cause of the dominance over and destruction of nature amidst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s. He also attempts to demonstrate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his ecological vision and the native North Americans’ perspective about “eating” after hunts. This study also takes a look at the Buddhist significance of “interdependency” and “mutual respect” as underlying concepts across all his works in the context of deep ecology. Last but not least, this essay explores his collection of poems, Turtle Island, and his books of essays for the clue that an ecological vision should be sought from communal life as the ideal of tribalism for native North Americans. Snyder’s ideas prove immensely persuasive as he has formed such a life community around the Sierra Nevada since his return from Japan to the United States. A 0verview of Snyder’s literature in the framework of deep ecology vividly shows that his ecological poetry and prose embody the basic stance of deep ecology where the greatest emphasis is placed on the “original mind” of human beings. The biggest challenge in deep ecology is for human beings to reflect upon their inner selves and rediscover themselves. The “original mind” refers to the mind that leads humankind to recognize the organic and holistic order of the universe and live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e. This “original mind,” Snyder asserts, can be restored from the myths of native North Americans, the teachings of Zen Buddhism, and life communities. This dissertation examines how this theory of deep ecology is realized in Snyder’s works and particularly how ecological problems and the process of resolving them are discussed in a literary dimen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nyder’s ecological literature, which can be seen as ecological poems, will resonate in the “minds” of people and eventually give rise to a neotribal community where everyone becomes one based on emotions as opposed to modern rationality. Especially in these times of environmental crisis, shedding light on literary works on the basis of Snyder’s deep ecological thoughts that stress the “original mind” will help develop perspectives for an ecological life. Literature can play an integral role in raising ecological awareness, and most importantly, it has the power not just to drive social changes but also to change our own fundamental “mind.”

      • Controlled transdermal release of triprolidine using TPX membrane

        Yoon, Mi-kyoung Chonnam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2001 국내석사

        RANK : 247324

        항히스타민제인 triprolidine을 경구투여하면 일시적인 혈중농도상승으로 인해 구갈, 졸음,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발현될 수 있으므로 경피 흡수 시스템으로의 개발이 필요하다. TPX(Poly(4-methyl-1-pentene))는 구조적 강도는 좋지만 너무 딱딱하여 부서지기 쉬우므로 가소제를 첨가하여 소성을 주변 경피 제어 방출 흡수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새로운 소재이다. Triprolidine을 함유한 TPX 매트릭스를 casting법에 의해 제조하고 흰쥐 피부와 함께 또는 단독 TPX 막을 통한 triprolidine의 방출양상을 검토하였다. 또한 polyethylene glycol 400, 약물의 농도, 온도, 가소제, TPX의 분자량의 영향과 triprolidine의 흰쥐 피부를 통한 투과에 대한 흡수촉진제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난용성 약물인 triprolidine의 용해도 증가 및 boundary effect를 제거하기 위하여 친수성 PEG 400을 용해보조제로 첨가한 결과, PEG 400을 50%까지 증가시켜 보았을 때 지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약물투과도 또한 증가하였다. TPX 매트릭스에서 약물의 방출속도는 TPX의 분자량, 온도 및 약물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사용된 가소제 중 thethyl citrate가 가장 효과적이였으며 또한 흰쥐 피부를 통한 약물의 투과에 대한 흡수촉진제의 영향을 실험한 결과 diethylene glycol이 가장 우수하였다. PSA(압력 감응성 부착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부착력은 증가되었으나 약물의 방출속도는 감소하였다. 약물의 방출속도와 생부착력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6% DURO-TAK^� 87-2169 이 가장 적절하였다. PSA와 흡수촉진제를 함유한 TPX 매트릭스에서 흰쥐 피부를 통한 약물의 투과는 흡수촉진제가 없는 것에 비해 투과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가소제와 흡수촉진제를 함유한 TPX 매트릭스가 triprolidine의 제어방출 경피 흡수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Oral administration of triprolidine, antihistamines, may cause many adverse effects, such as dry mouth, sedation, dizziness and transdermal drug delivery was considered. TPX(Poly(4-methyl-1-pentene))membrane which has good mechanical strength was used in this transdermal drug delivery. TPX membranes was a little brittle and the plasticizers was added for preparig the membrane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TPX matrix system for transdermal delivery of triprilidine. The permeability of triprolidine through TPX and/or mouse skin was studied. The TPX matrix containing triprolidine was fabricated and the release patterns was observed. The effects of polyethylene glycol 400, drug concentration, temperature, plasticizers and molecular weights of TPX were studied. The effects of enhancer in the permeation of triprolidine through the excised mouse skin was also studied. The solubility of triprolidine increased exponentially as the increased volume fraction of PEG 400 in saline, and the rate of permeation through TPX membrane was proportional to PEG 400 volume fraction. The release rate of drug from TPX matrix increased with molecular weight of TPX, temperature and loading dose. Among the plasticizers used such as alkyl citrates, phthalates and sebacate. The best effective plasticizer for the release of triprolidine was the triethyl citrate. The permeation rate of drug through the excised mouse skin was also enhanced by an enhancer such as glycols and the best effective enhancer for the permeation of triprolidine was diethylene glycol. Increasing concentration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 showed the increased bioadhesive forces, but the reduced release rate. Considering the release rate and bioadhesiveness, 6% DURO-TAK^� 87-2196 was the proper adhesives. The permeation of drug from TPX matrix containing enhancers and PSA through mouse skin showed enhancing effects comparing with that from TPX matrix without enhancer through mouse skin. The transdermal controlled release of triprolidine system could be developed using the TPX matrix containing pernetration enhancer and plasticiz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