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노인의 재취업에 관한 연구

        유현숙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는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노인인구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하여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경제적인 성장,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평균 수명도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지금 세계는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가속도로 급변하는 이 시대에 인구 고령화가 뚜렷하게 반영된 사회복지정책 방향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7%로 UN이 정한 고령화 사회로 처음 진입하였으며 통계청의 조사로 2010년 고령인구의 비중이 14%이며 2026년에는 20%로 고령화 속도는 가속화되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생산과 노동구조 문제는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취업에 대한 욕구는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 경제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자녀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의 사회참여 욕구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노인 취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사회에서는 노인의 취업에 대해 별로 중요한 관심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심정이다. 노인의 취업증진과 정책적 프로그램은 정책 입안자의 관심부족과 사회의 전반적인 노인능력에 대한 부정적 사고로 인하여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는 다른 소외계층인 장애인, 아동, 여성문제들 만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이에 따라 국가에서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국가나 국민은 노인에 관한 인식의 전환 및 단기적인 해결책보다는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노인들에 대한 임시방편적인 약간의 보조금이나 생활필수품의 지급으로 노인들을 달래기보다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경제력이 뒤떨어지고 있는 노인복지에 대해서는 노인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적합직종을 개발하고 이러한 직종에는 노인이 우선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의 마련을 통하여 스스로 경제력을 갖추게 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전문인력 양성을 제도화하기 위해 서비스의 질 보장, 전문인력 조기확보등 기존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여기서 우리가 인식해야할 중요한 점은 사람은 누구나 노인이 된다는 사실과 노인 또한 생존을 위해서는 일 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 스스로의 자립역할과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취업의 배경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노인취업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했으며 우리나라의 재취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노인인력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노인 스스로의 역할 기회를 부여하고 좀 더 풍요롭고 아름다운 생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그 뜻을 두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사회적인 문제가 고령화에 대한 사회복지가 완성되기까지는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Our country has entered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and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are serious social problem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we have experienced the growth of economy, the raise of the level of living, the longer average life, and rapid changes of the world. In this kind of era with rapid changes, the aging population is an important problem for policy making regarding social welfare. As of year 2000, in our country,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over 65 years old is 7%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our society has entered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defined by the United N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by the Statistics Agency,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will reach 14% in year 2010, and 20% in year 2026, and the aging speed has been accelerated. Therefore, this will cause major changes in production and labor problems. Aged people will demand job opportunities, and their children can be escaped from taking care of their parents. Furthermore, as aged people also demand to take part in social activities, it is an important issue that they have job opportunities.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 country and the society have little interest in their job issues. The program for the job hunting program for aged people has not functioned well, due to the indifference by the policy makers and the non-reliance on the ability of aged people by the society as a whole. Furthermore, the problem of aging population has influenced other problems of handicapped people, children, and women,and we need effective policies by the state. The state and the nation need effective and long-term solutions rather than short-term solutions. Therefore, as we are economically weak in contrast to other advanced countries, we should make policies in such a way that we create appropriate jobs for aged people, and they can get jobs, and support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keep their skills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raining of their skills. We ne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anyone becomes aged, and we need to insure the right to work for aged peop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ging population, we need the aged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nd government-level policies.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job opportunities by aged people, and presented cases of job hunting programs of advanced countries.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present policies to activate the skills of aged people,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bout re-appointment in the job market and its problems, and to suggest a way to make a society in which aged people can get job opportunities and live fruitful lives. We need to make efforts until we can solve the problem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complete a desired social welfare for aged people.

      •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비교

        유현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취학 전 유아의 초등준비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합의를 찾아내어 유아가 보다 바람직하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 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 수행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300명의 취학 전 유아의 부모와 아동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75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 7부를 제외하고 26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68명의 취학 전 유아의 부모와 35명의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연정과 정옥분(2008)이 개발한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와 지성애·정대현(2006)의 ‘초등학교 1학년용 학교 적응’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 하였다. 재구성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준비도에 사용되었던 설문지 탐색을 통해 선정된 학교준비도 하위영역과 문항들을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인과 토의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1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수정 보완된 1차 설문지는 만5세 담당 유아교육교사 10명, 만5세 유아 학부모 10명, 초등1~2학년 교사 5명에게 설문지 형식으로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사항에 대해 문항을 추가, 삭제, 보완 하여 기본생활습관, 독립성, 사회성, 또래관계, 단체생활, 학습능력 6개의 하위 영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먼저 학교 준비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준비도의 중요도, 학교준비도의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Duncan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학교준비 만족도와 수행도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구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전반적 인식은 부모에 비해 교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부모의 학교준비도 인식은 유아의 성별,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는 만5세반 경력에 따라 학교준비도 인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기본생활습관이었으며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난 것은 학습능력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유아교육 기관의 형태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개방형 질문에서 초등준비를 위해 행하고 있는것으로는 기본생활습관보다 학습적인 부분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로 학교준비를 위해 행하고 있는 부분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준비 수행도는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행도 인식은 학교준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성별이 여아일수록 수행도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 부모의 수행도 인식에서는 학습능력, 단체생활부분에서는 유아에 대한 평가가 어느정도 일치했지만 또래관계, 독립성 부분에서는 유아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준비도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차이에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의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사회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제시한 결론을 기초하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는 기초자료로써, 부모와 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것이 다름을 알 수 있었으나 이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부분이 부족함으로 현장에서 접목 가능한 다양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의 개발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교사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두 교육기관의 차이를 줄이고자 2012년부터 누리과정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두 교육기관의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properly help infants to become acclimated to the elementary school by finding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of preschool children. Specific research problems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are as follows. 1. How is parents and teachers overall awareness for school readiness? 2. What is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3. What is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4. Was there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parents and class teachers of 300 preschool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used 268 copies of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collected 275 copies excluding 7 copies with unreliable response on final analysis. This study took statistics on parents of 268 preschool children and 35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es. The researcher reorganized the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o the ‘school readiness scale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ed by Park Yeon-Jung and Chung Ok-Boon(2008) and ‘school adaptability scale for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Ji Sung-Ae and Chung Dae-Hyun(2006) to measur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Reorganization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1st draft proposal was organ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subdomains and questions of school readiness selected by exploring questionnaires used in school readiness through discussion with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validity of the 1st modified and supplemented questionnaire was verified in questionnaire format on 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f 5 year olds, 10 parents of 5 year-old infants, and 5 teachers of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organized into 6 subdomains as fundamental habits, independence, sociality, peer relationship, group life, and learning ability by adding, deleting, and supplementing the revis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is study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investigate general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influencing variables, and conducted Duncan’s post test to assess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fter investigating a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school readiness and perception on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Statistical treatment of all materials above was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s Program. A summary of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overall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school readiness, parents showed higher points than teachers, parents perception on school read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birth order of infants, an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he career in five-year old class. Secondly, basic living habits showed highest point for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learning ability showed the lowest point, and parent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On the other hand, for things being done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in open-ended questions, it was identified that academic area was far higher than basic living habits as perception on importance and things actually being done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differed.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showed big difference by gender of infants, and showed higher recognition when satisfaction for school readiness was higher and when gender of infants was girl. For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ants coincided to some extent but evaluation on peer relationship and independence showed difference. Fourthly,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wed lower points in performance than importance for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and specially, they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social area.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conclusion sugge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preliminary data that helps to compare and identify differences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on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but development research of various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would be necessary because there is lack of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that can bridge the differences. Second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awareness of teachers on school readiness and awareness o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Nuri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since 2012 to reduc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institutes, b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institutes were not resolved that follow-up studies on how 5-year old teachers of each educational institute are condu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유현숙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업적 실패내성, 학업무기력은 상관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공부를 포기하고 무기력하게 앉아 있거나 딴짓을 하는 학생들의 수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증가하고, 무기력이 심해질 경우 우울, 자살충동, 게임중독, 위험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이를 조기진단하고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학업무기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함으로써 학업무기력 수준을 낮추기 위한 학업상담의 또 다른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학업상담 및 지도에 있어 학업무기력 수준을 낮추기 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개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부모교육 및 상담을 강조하는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내적변인인 학업적 실패내성을 활용하여 보다 성공적인 학업상담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로 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지역 초등학교 5∼6학년 480명에게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 학업적 실패내성척도, 학업무기력척도로 설문조사를 한 후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적 실패내성은 정적상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은 부적상관,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무기력은 강한 부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업무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업적 실패내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부모자녀 간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더불어 학업적 실패내성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강화하는 상담적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자질의 범주 모호성 해소를 통한 문서 범주화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유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서에 적합한 범주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문서 범주화는 매일 대량의 데이터가 새로이 출현하는 전자 정보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처리 도구로 고려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문서 범주화 기법들이 제안 및 구현되고 있으며, 문서 범주화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 중 대부분의 연구는 문서 범주화의 대상이 되는 단어자질 공간의 고차원성 축소 및 잡음 데이터의 제거와 같은 문제에만 집중되었을 뿐, 학습단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범주 단어 자질 자체가 지니는 범주 모호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함으로써 문서 범주화의 성능 향상을 유도하는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를 제시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는 해당 자질이 학습집단 전체에서의 빈도와 비교하여 특정한 범주에 치우쳐 출현하는 경우 큰 값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문서 범주화 연구들 가운데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하는 가중치 W를 적용한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직접 구축하여 문서 범주화 성능 비교에 사용하였다. 실험 과정은 주제범주가 사전에 부여된 KFCM-CL에서 추출한 신문기사 216건을 대상으로, Level-1(대분류 수준)에서 Level-2(중분류 수준) 순의 하향식으로 범주를 할당하는 실험 1과 Level-2로부터 Level-1의 범주를 찾아가는 상향식 범주 할당의 실험 2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1과 실험 2의 모든 분류 수준에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분류 순서와 분류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분류 순서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는,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험 1에서 약 4.3%의 분류 정확도 향상, 5.5%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와 실험 2에서 약 3.6%의 분류 정확도 향상, 1.2%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를 보였다. 분류 수준을 기준으로 한 범주 할당 성능 평가에서도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사용하는 경우, Level-1 수준에서 약 5.3%의 분류 정확도 향상, 6.9%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와 Level-2 수준에서 약 2.7%의 분류 정확도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Level-2 수준에서는 이례적으로 0.31%의 정확률 저하 결과를 보였는데, 이 때에도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부적합률은 4.17%인 반면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는 3.24%로,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의 부적합 범주 할당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는 현재의 분류기가 가지고 있는 자질 표현의 범주 모호성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고 분류기의 성능 향상을 유도함으로써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As vast data appear everyday in the electronic information era, document categorization, automatically assigning relevant categories to documents is considered a useful information processing tool. Consequently, various document categorization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categorization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ose efforts have not concentrated on the problem of multi-category term features that can considerably affect the result of training in document categorization, but on problems such as the removal of noisy data and the downsizing of term feature dimen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in order to induce the enhancement in document categoriz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rough experimentation. The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W is designed to have a higher value if a feature appears more frequently in a certain category than any other categories, compared to total appearances in train set. In the experiments, two classifiers are designed, implemented and then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first one is the basic Naive Bayes classifier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lassifiers in many document categorization studies. The other is the Naive Bayes-W classifier designed to have the weight W for the purpose of disambiguating categories of features. Experiments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Test 1 and Test 2, and performed on 216 documents selected from KFCM-CL which has manually assigned categories on each document. In Test 1, categories are assigned downward from Level-1(broader category) to Level-2(narrower category). On the contrary, in Test 2, category assignment is done upward from Level-2 to Level-1. The Naive Bayes classifier and the Naive Bayes-W classifier are applied to assign categories to documents in both tests and at each level. The results of category assignment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the level of classification, respectively. In the evaluation on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the Naive Bayes-W classifier outperformed the Naive Bayes classifier, with the result of about 4.3% accuracy improvement, 5.5%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Test 1, and about 3.6% accuracy improvement, 1.2%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Test 2. In the evaluation on the level of classification, the Naive Bayes-W classifier also outperformed the Naive Bayes classifier, with the result of about 5.3% accuracy improvement, 6.9%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Level 1, and about 2.7%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Level 2. By the way of exception, there is 0.31% precision deterioration in Level-2. However, while the fallout of the Naive Bayes classifier is 4.17%, that of the Naive Bayes-W classifier is 3.24% in Level-2. It shows that the assignment of irrelevant categories to documents occurs in the Naive Bayes-W classifier less than the Naive Bayes classifier. In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W can be used to completement the basic Naive Bayes classifier by disambiguating categories of features, so as to enhanc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in the end.

      • 기산 김준근 풍속도 고찰

        유현숙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그동안 기산(箕山) 김준근(金俊根) 풍속도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고, 앞으로 어떻게 접근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다. 기산 풍속도에 대한 선행 연구는 민속학적, 미술사적, 이미지 재현의 문제 등 세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특히 미술사적 연구에서, 기산 풍속도 양식이 중국 수출화와의 영향 관계를 가진다는 점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여, 그동안의 연구방향에서 배제되었거나 고찰의 대상에 넣지 않은 요소들을 살펴 보았다. 본문 Ⅱ장을 통하여, 기산 풍속도가 중국 수출화 양식의 영향을 받아 발생했다는 기존 연구 방향의 문제 제기로서 양식의 발생 근거를 조선 내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선 풍속화의 흐름과 조선 후기 화단의 경향을 살피고, 특히 조선 내에서의 회화 거래 시장의 상황을 중점적으로 들여다 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기산 풍속도는 조선 회화 시장의 활발하게 형성되어 있던 시장에 새로운 수요층이 등장하면서 발생한 양식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개항이라는 사회적 변화는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진 서구 이방인들의 조선 방문의 계기가 되었고, 그동안 감춰져 있던 조선을 알고 싶어 하는 이방인들의 요구는 조선 풍속화의 새로운 수요를 가져 왔다. 이 과정에서, 무명의 화가였으나 조선 풍속화의 전통성을 이어가려 했던 기산 김준근의 그림이 가장 인기를 끌었던 것이다. 본문 Ⅲ장에서는 현재 구미 각국에 소장되어 있는 기산 풍속도가 막연한 대상을 위한 수출 품목이 아니라, 대부분이 주문 제작된 정황들을 바탕으로 기산 풍속도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이 부분에서도 기산 풍속도의 특징과 조선의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발견할 수 있는 요소들을 연관지어 서술하였다. 기산 풍속도의 양식 뿐만 아니라, 묶음 방식, 제작 환경 그리고 내용적으로 가진 특징을 살펴보고, 거래 가격에 있어서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감안하여 정황 근거를 제시해 보았다. 기산 풍속도가 담은 내용에 있어서는 소재의 방대함이 기존 회화 양식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만큼의 가치를 가졌다는 점과 도상적으로는 조선 후기 풍속화들의 그림과 영향 관계에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19세기말 기산 풍속도를 가져간 서구인들이 어떤 목적으로 어떤 형태로 소비하였으며, 기산 김준근의 그림 조선 풍속 이미지들이 다른 저자들의 조선 풍속 이미지들과 어떤 식으로 영향 관계를 가졌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조선 풍속 이미지의 변천 과정에서는 기산 풍속도의 이미지가 서구인들에게 준 영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산 풍속도는 민속학적 시각 자료로 쓰임과 동시에 회화적으로도 독립된 가치를 부여받는 소비 형태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 했다. 따라서, 일각에서 제기된 기산의 조선 풍속 이미지가 제국주의의 시선이 내면화된 재현이라는 시각은 전체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적인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기산 풍속도는 19세기말 개항 전후의 조선의 사회 문화적 배경 아래 생산된 독자적인 양식을 가진 작품들이라는 점이 이 논문의 핵심적인 결론이다. 덧붙여, 기산 풍속도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연구는 활발해진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우리 스스로가 우리 문화 양식을 서구의 관점에서 타자화시키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The 1880s to the early 1900s began the height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on the Korean Peninsula. Today, there are over 1,547 pieces of this style on exhibit in over 20 museums and art galleries across the globe, forever preserving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is renaissance period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was artist Kim Jun-keun, who created illustrations to accompany the very first novel translated into Korean, 『The Pilgrim's Progress.』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how research on Kim Jun-keun has developed and how scholars may be able to conduct more precise analyses of his work in the future. Until now Korean scholars and Western scholars have produced markedly different analyses of the Ki-san genre paintings. This is because scholars out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ook an interest in the Ki-san paintings itself much before domestic scholars, who had largely centered on folk art until recently when the Ki-san genre paintings began to receive more attention. Recent research by art scholars in Korea have pointed at a connection between the form of Ki-san paintings and Chinese Export paintings of the same background, ‘open port area’. However, there is little concrete proof of the correlation, which has weakened much work surrounding this hypothesis. This thesis will attempt to address this issue.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rt was relatively easily accessible to the general public and commoners were able to purchase works at art markets. Simultaneously, Joseon was beginning to open its ports, and many of the Westerner traders took a keen interest in the scenes illustrated in these works. Kim Jun-keun's work was the most widely acclaimed at this time. The Ki-san genre paintings was highly regarded as a honest and descriptive representation of the culture and tradition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is context, the core of this thesis focuses on the uniqueness of this cultural art amidst an age of international influence. Although Kim Jun-keun's works became widely marketed among Westerners in the art market, the general ignorance of Joseon itself has resulted in many limited interpretations of the illustrations that are superficial at best. Likewise, it was difficult for Ki-san genre paintings to receive much serious attention within Korean academia, as it was branded as a "traditional" art. Taking into account the wide scope of subject matter and current forms of art distribution along with the radical Westernization (modernization) of Korea in recent history, this thesis will highlight the need for more precise evaluations of the rich culture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portrayed in Kim Jun-keun's work in future scholarship.

      •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남중생의 책임감, 자아존중감,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효과

        유현숙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ality-Therapy Group Counseling on the responsibility,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f boys' middle school students to universalize group counseling in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the second grade students in S boys' middle school,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1 each. Before the experiment, the tests of responsibility, self- esteem and internal-control were conducted. C. Floyd(1990)'s group counseling program, "Making the world I want" which was based on Glasser(1985)'s Choice Theor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eight times, 120 minutes each, and no action was taken in the control group. Three days later after the counseling finished, both groups took post test in the same way as the previous test. For data analysis, SPSS/PC Win 10.0 program was employed, and independent-samples and paired-samples t-test were utilized to find out intergroup gap and disparity between the previous and the post te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previous test and the post test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in general responsibility. But no difference existed in self-responsibility.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previous test and the post test in general self-esteem. Concerning individual changes of self-esteem and self-responsibility, this researcher's observ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embers of the experiment group were short of the need of accomplishment,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And because the period of planning at the latter half of the program was short, they wouldn't improve self-esteem and self-responsibility that they could fulfill when they brought the changes through the enough practice. They were in the middle of knowing themselv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 test at the 5% level of significance in the internal control. Concerning individual changes and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done by the students showed that they were able to open themselves and build familiarity with each other. So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feeling of belonging of the group and came to understand themselves. As the counseling proceeded, they were able to perceive their 'Five Basic Need' better. It can help them to improve the ability of planning for themselves in their real lif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Reality-Therapy Program served to nurture the general responsibility and internal control, bring a gradual positive change to their life and consequently help them grow to be more worthwhile. Therefore, middle school students will be able to lead a healthier and happier life if group counseling is widespread in school education. A thesis submitted to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Hanseo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Education in December, 2004

      • Chopin Etude에 관한 연구 : Etude op. 10, No, 3, 5, 12의 연주법을 중심으로

        유현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pin's work, Etude is a finest masterpiece which is not only artistic but also technical. When it is played.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must be exactly the same as the original one. But some of the notes, presently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s because the were corrected by the editor during the process of editing. The central idea of this writing is to interpret the work revealing the composer's will fully searching for composer's directions for the play and origin sounds. The Object are Op.10, No. 3,5,12 which have sub-theme, referred to Paderewisk's edition. Therefore the techinque for the play,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n relation to the play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in Chopin's Etude Fingeration, Legato, Rhythm, Pedal, Rubato, Ornamentation, Phrasing, Articulation and dynamics were characterized in every note.

      • Application of differential forms on surfaces : 곡면에서의 미분형식에 대한 응용

        유현숙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미분형식(differential form)은 현대 미분기하학의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분형식이 만일 어느 미분형식의 외미분(exterior derivative)과 같으면 완전(exact)이라 한다. 한편 외미분이 영인 미분형식은 닫혔다(closed)라고 한다. 외미분을 두 번 연속으로 적용하면 영이 된다는 것은 매우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모든 완전 미분형식은 닫힌 형식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닫힌 형식이지만 완전 형식이 되지 않음을 반례를 들어서 증명하였고, 단순연결곡면(simply connected surface)에 대한 정의와 기초적인 homotopy이론을 도입하여 닫힌 형식이 완전형식이 되는 조건들을 소개하였다.

      •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 태도 및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유현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행동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하여 탐색해보는 것이며 유아기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인성 특성과 같은 어머니 관련변인과 아동의 기질 특성이 어머니 격리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히, 과보호적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격리불안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양육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격리불안은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정읍. 익산 지역 9개 어린이집의 교사들 27명과 어머니들 각각 325명을 상대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300 부가 회수되었으나 미기재 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66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행동을 놓고 볼 때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높을수록 과보호, 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면에서 볼 때,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높을수록 아동의 친사회성, 어린이집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자아상태, 어린이집 일과에 대한 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면을 살펴 볼 때, 어머니가 한계 설정의 양육행동을 하면 아동의 친사회성, 어린이집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자아상태, 어린이집 일과에 대한 적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놓고 볼 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3세, 4세,5세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각 연령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 면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지 못했다. 아동의 연령에 대한 정확한 차이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금 드러나고 있는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어머니의 정서 상태나 양육행동이 자녀의 출생 시부터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좀 더 지속적이고 구체적이면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earch how mother's separation anxiety who has children and their caring behavior giv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of their children. and to analyze what relation has the variables like mother's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their personal character and children's character with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o investigate what connection has the separation anxiety of the mother with the mother's caring behavior especially excessive caring behavior.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below.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separation anxiety ?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with caring behavior ?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with 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caring behavior with 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 For this study tue questionnaire paper was distributed to twenty seven teachers and 325 mothers respectively to each 9 kindergartens in the region of chong-eup, and iksan. 300 questionnaire papers were recollected, but 266 pap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o the exclusion of the papers with many untruthful and omission of the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like this. From the aspect of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caring behavior, the higher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the bigger their excessive and permissive caring behavior. 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the higher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the lower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and the emotional state, and the adaptation to same age group, and ego state, and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s daily work. And examining the relation of mother's caring behavior with childre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when mother sets a limit in caring behavior, the children show positively sociality, and better emotional state, and the adaptation to same age group, and ego state, and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s daily work. With the results up to now, some limitations were found, an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study. Firstly, this study had the target to the children age from three to five, and their mothers, but acute differences of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he childre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were not proved which is shown in each step of age group. It is necessary to make a further study the precise differences in each age group. Secondly, in this study I looked into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mother's emotional state is connected with their caring behavior from the very birth of children, more continuous and concrete and vertical research is regarded to be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