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유현숙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학업적 실패내성, 학업무기력은 상관이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공부를 포기하고 무기력하게 앉아 있거나 딴짓을 하는 학생들의 수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증가하고, 무기력이 심해질 경우 우울, 자살충동, 게임중독, 위험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현실에서 이를 조기진단하고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학업무기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연구함으로써 학업무기력 수준을 낮추기 위한 학업상담의 또 다른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학업상담 및 지도에 있어 학업무기력 수준을 낮추기 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개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부모교육 및 상담을 강조하는 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내적변인인 학업적 실패내성을 활용하여 보다 성공적인 학업상담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초등학생들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매개로 하여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강원지역 초등학교 5∼6학년 480명에게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 학업적 실패내성척도, 학업무기력척도로 설문조사를 한 후 자료를 통계처리 하였다.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적 실패내성은 정적상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은 부적상관,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무기력은 강한 부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무기력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업무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업적 실패내성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부모자녀 간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더불어 학업적 실패내성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학업무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강화하는 상담적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한국 노인의 재취업에 관한 연구

        유현숙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나라는 고령화사회를 맞이하여 노인인구의 증가와 저출산으로 인하여 노인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경제적인 성장,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평균 수명도 점차 증가하는 가운데 지금 세계는 급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가속도로 급변하는 이 시대에 인구 고령화가 뚜렷하게 반영된 사회복지정책 방향은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0년도 65세 이상 고령인구 7%로 UN이 정한 고령화 사회로 처음 진입하였으며 통계청의 조사로 2010년 고령인구의 비중이 14%이며 2026년에는 20%로 고령화 속도는 가속화되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생산과 노동구조 문제는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취업에 대한 욕구는 소득을 확보하려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노인 스스로 경제력을 가지게 함으로써 자녀의 부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의 사회참여 욕구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노인 취업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와 사회에서는 노인의 취업에 대해 별로 중요한 관심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운 심정이다. 노인의 취업증진과 정책적 프로그램은 정책 입안자의 관심부족과 사회의 전반적인 노인능력에 대한 부정적 사고로 인하여 거의 유명무실한 상태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노인문제는 다른 소외계층인 장애인, 아동, 여성문제들 만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이에 따라 국가에서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책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국가나 국민은 노인에 관한 인식의 전환 및 단기적인 해결책보다는 장기적이고 효율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노인들에 대한 임시방편적인 약간의 보조금이나 생활필수품의 지급으로 노인들을 달래기보다는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경제력이 뒤떨어지고 있는 노인복지에 대해서는 노인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적합직종을 개발하고 이러한 직종에는 노인이 우선 취업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의 마련을 통하여 스스로 경제력을 갖추게 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전문인력 양성을 제도화하기 위해 서비스의 질 보장, 전문인력 조기확보등 기존인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여기서 우리가 인식해야할 중요한 점은 사람은 누구나 노인이 된다는 사실과 노인 또한 생존을 위해서는 일 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 스스로의 자립역할과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취업의 배경과 필요성을 살펴보고 선진국의 노인취업프로그램의 사례를 제시했으며 우리나라의 재취업의 실태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노인인력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노인 스스로의 역할 기회를 부여하고 좀 더 풍요롭고 아름다운 생을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그 뜻을 두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 사회적인 문제가 고령화에 대한 사회복지가 완성되기까지는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다. Our country has entered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and the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 are serious social problem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we have experienced the growth of economy, the raise of the level of living, the longer average life, and rapid changes of the world. In this kind of era with rapid changes, the aging population is an important problem for policy making regarding social welfare. As of year 2000, in our country,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over 65 years old is 7% of the entire population, and our society has entered an era of an aging population defined by the United N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by the Statistics Agency, the population of aged people will reach 14% in year 2010, and 20% in year 2026, and the aging speed has been accelerated. Therefore, this will cause major changes in production and labor problems. Aged people will demand job opportunities, and their children can be escaped from taking care of their parents. Furthermore, as aged people also demand to take part in social activities, it is an important issue that they have job opportunities.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 country and the society have little interest in their job issues. The program for the job hunting program for aged people has not functioned well, due to the indifference by the policy makers and the non-reliance on the ability of aged people by the society as a whole. Furthermore, the problem of aging population has influenced other problems of handicapped people, children, and women,and we need effective policies by the state. The state and the nation need effective and long-term solutions rather than short-term solutions. Therefore, as we are economically weak in contrast to other advanced countries, we should make policies in such a way that we create appropriate jobs for aged people, and they can get jobs, and support themselve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keep their skills in order to institutionalize training of their skills. We need to recognize the fact that anyone becomes aged, and we need to insure the right to work for aged peopl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ging population, we need the aged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and government-level policies.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d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job opportunities by aged people, and presented cases of job hunting programs of advanced countries.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present policies to activate the skills of aged people,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bout re-appointment in the job market and its problems, and to suggest a way to make a society in which aged people can get job opportunities and live fruitful lives. We need to make efforts until we can solve the problem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nd complete a desired social welfare for aged people.

      •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비교

        유현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취학 전 유아의 초등준비에 관한 부모와 교사의 합의를 찾아내어 유아가 보다 바람직하게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2. 학교 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 수행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300명의 취학 전 유아의 부모와 아동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75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 7부를 제외하고 26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68명의 취학 전 유아의 부모와 35명의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연정과 정옥분(2008)이 개발한 ‘취학 전 아동의 학교준비도 척도’와 지성애·정대현(2006)의 ‘초등학교 1학년용 학교 적응’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연구자가 재구성 하였다. 재구성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준비도에 사용되었던 설문지 탐색을 통해 선정된 학교준비도 하위영역과 문항들을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인과 토의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1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수정 보완된 1차 설문지는 만5세 담당 유아교육교사 10명, 만5세 유아 학부모 10명, 초등1~2학년 교사 5명에게 설문지 형식으로 타당도를 검증하고 수정사항에 대해 문항을 추가, 삭제, 보완 하여 기본생활습관, 독립성, 사회성, 또래관계, 단체생활, 학습능력 6개의 하위 영역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통계 처리 하였다. 먼저 학교 준비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준비도의 중요도, 학교준비도의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의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Duncan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학교준비 만족도와 수행도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구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의 학교 준비도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1.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전반적 인식은 부모에 비해 교사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부모의 학교준비도 인식은 유아의 성별,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는 만5세반 경력에 따라 학교준비도 인식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은 기본생활습관이었으며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난 것은 학습능력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준비의 중요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유아교육 기관의 형태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개방형 질문에서 초등준비를 위해 행하고 있는것으로는 기본생활습관보다 학습적인 부분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중요도에 대한 인식과 실제로 학교준비를 위해 행하고 있는 부분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교준비 수행도는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행도 인식은 학교준비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아의 성별이 여아일수록 수행도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 부모의 수행도 인식에서는 학습능력, 단체생활부분에서는 유아에 대한 평가가 어느정도 일치했지만 또래관계, 독립성 부분에서는 유아에 대한 평가가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준비도의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차이에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의 점수가 낮았으며 특히 사회영역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에서 제시한 결론을 기초하여 본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는 기초자료로써, 부모와 교사가 인지하고 있는 것이 다름을 알 수 있었으나 이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한 부분이 부족함으로 현장에서 접목 가능한 다양한 부모교육과 교사교육의 개발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유아교육기관에 따른 교사의 학교준비도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두 교육기관의 차이를 줄이고자 2012년부터 누리과정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두 교육기관의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to properly help infants to become acclimated to the elementary school by finding agreement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of preschool children. Specific research problems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eachers and parents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are as follows. 1. How is parents and teachers overall awareness for school readiness? 2. What is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3. What is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4. Was there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for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parents and class teachers of 300 preschool children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and used 268 copies of questionnaire survey among the collected 275 copies excluding 7 copies with unreliable response on final analysis. This study took statistics on parents of 268 preschool children and 35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es. The researcher reorganized the questionnaire surve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referring to the ‘school readiness scale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ed by Park Yeon-Jung and Chung Ok-Boon(2008) and ‘school adaptability scale for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of Ji Sung-Ae and Chung Dae-Hyun(2006) to measur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Reorganization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1st draft proposal was organiz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subdomains and questions of school readiness selected by exploring questionnaires used in school readiness through discussion with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ly, validity of the 1st modified and supplemented questionnaire was verified in questionnaire format on 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f 5 year olds, 10 parents of 5 year-old infants, and 5 teachers of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organized into 6 subdomains as fundamental habits, independence, sociality, peer relationship, group life, and learning ability by adding, deleting, and supplementing the revised questions.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is study calcula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investigate general awareness of school readiness,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conducte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nvestigate influencing variables, and conducted Duncan’s post test to assess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is study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after investigating a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n school readiness and perception on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t-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Statistical treatment of all materials above was analyzed using SPSS 21.0 Statistics Program. A summary of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overall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on school readiness, parents showed higher points than teachers, parents perception on school read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and birth order of infants, an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chool readiness according to the career in five-year old class. Secondly, basic living habits showed highest point for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learning ability showed the lowest point, and parents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On the other hand, for things being done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in open-ended questions, it was identified that academic area was far higher than basic living habits as perception on importance and things actually being done for elementary school preparation differed. Thirdly, it was identified that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showed big difference by gender of infants, and showed higher recognition when satisfaction for school readiness was higher and when gender of infants was girl. For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nfants coincided to some extent but evaluation on peer relationship and independence showed difference. Fourthly,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wed lower points in performance than importance for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chool readiness, and specially, they showed the biggest difference in social area.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based on the conclusion sugge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preliminary data that helps to compare and identify differences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on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 children,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difference in parents and teachers awareness but development research of various parents and teachers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in the field would be necessary because there is lack of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that can bridge the differences. Secondly,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awareness of teachers on school readiness and awareness on importance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es. Nuri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since 2012 to reduc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institutes, b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ducational institutes were not resolved that follow-up studies on how 5-year old teachers of each educational institute are condu

      • 자질의 범주 모호성 해소를 통한 문서 범주화 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유현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서에 적합한 범주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문서 범주화는 매일 대량의 데이터가 새로이 출현하는 전자 정보환경에서 매우 유용한 정보처리 도구로 고려되고 있다. 그 결과, 다양한 문서 범주화 기법들이 제안 및 구현되고 있으며, 문서 범주화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 중 대부분의 연구는 문서 범주화의 대상이 되는 단어자질 공간의 고차원성 축소 및 잡음 데이터의 제거와 같은 문제에만 집중되었을 뿐, 학습단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다범주 단어 자질 자체가 지니는 범주 모호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함으로써 문서 범주화의 성능 향상을 유도하는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를 제시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는 해당 자질이 학습집단 전체에서의 빈도와 비교하여 특정한 범주에 치우쳐 출현하는 경우 큰 값을 갖도록 설계되었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문서 범주화 연구들 가운데 성공적인 결과를 보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다범주 자질의 범주 모호성을 해소하는 가중치 W를 적용한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직접 구축하여 문서 범주화 성능 비교에 사용하였다. 실험 과정은 주제범주가 사전에 부여된 KFCM-CL에서 추출한 신문기사 216건을 대상으로, Level-1(대분류 수준)에서 Level-2(중분류 수준) 순의 하향식으로 범주를 할당하는 실험 1과 Level-2로부터 Level-1의 범주를 찾아가는 상향식 범주 할당의 실험 2로 진행되었으며, 실험 1과 실험 2의 모든 분류 수준에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와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분류 순서와 분류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분류 순서를 기준으로 한 평가에서는,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하는 것보다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사용하는 경우, 실험 1에서 약 4.3%의 분류 정확도 향상, 5.5%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와 실험 2에서 약 3.6%의 분류 정확도 향상, 1.2%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를 보였다. 분류 수준을 기준으로 한 범주 할당 성능 평가에서도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를 사용하는 경우, Level-1 수준에서 약 5.3%의 분류 정확도 향상, 6.9%의 정확률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와 Level-2 수준에서 약 2.7%의 분류 정확도 향상, 7.4%의 재현율 향상 효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Level-2 수준에서는 이례적으로 0.31%의 정확률 저하 결과를 보였는데, 이 때에도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의 부적합률은 4.17%인 반면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는 3.24%로, 나이브 베이즈-W 분류기의 부적합 범주 할당 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해, 범주 모호성 해소 가중치 W는 현재의 분류기가 가지고 있는 자질 표현의 범주 모호성이라는 단점을 보완하고 분류기의 성능 향상을 유도함으로써 정보검색시스템의 검색효율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As vast data appear everyday in the electronic information era, document categorization, automatically assigning relevant categories to documents is considered a useful information processing tool. Consequently, various document categorization techniques have been suggested and implemented to improve the categorization performance. However, most of those efforts have not concentrated on the problem of multi-category term features that can considerably affect the result of training in document categorization, but on problems such as the removal of noisy data and the downsizing of term feature dimen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in order to induce the enhancement in document categoriz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rough experimentation. The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W is designed to have a higher value if a feature appears more frequently in a certain category than any other categories, compared to total appearances in train set. In the experiments, two classifiers are designed, implemented and then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first one is the basic Naive Bayes classifier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classifiers in many document categorization studies. The other is the Naive Bayes-W classifier designed to have the weight W for the purpose of disambiguating categories of features. Experiments in this study are composed of Test 1 and Test 2, and performed on 216 documents selected from KFCM-CL which has manually assigned categories on each document. In Test 1, categories are assigned downward from Level-1(broader category) to Level-2(narrower category). On the contrary, in Test 2, category assignment is done upward from Level-2 to Level-1. The Naive Bayes classifier and the Naive Bayes-W classifier are applied to assign categories to documents in both tests and at each level. The results of category assignment a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nd the level of classification, respectively. In the evaluation on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the Naive Bayes-W classifier outperformed the Naive Bayes classifier, with the result of about 4.3% accuracy improvement, 5.5%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Test 1, and about 3.6% accuracy improvement, 1.2%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Test 2. In the evaluation on the level of classification, the Naive Bayes-W classifier also outperformed the Naive Bayes classifier, with the result of about 5.3% accuracy improvement, 6.9% precision improvement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Level 1, and about 2.7% and 7.4% recall improvement in Level 2. By the way of exception, there is 0.31% precision deterioration in Level-2. However, while the fallout of the Naive Bayes classifier is 4.17%, that of the Naive Bayes-W classifier is 3.24% in Level-2. It shows that the assignment of irrelevant categories to documents occurs in the Naive Bayes-W classifier less than the Naive Bayes classifier. In this study, it is verified that the category disambiguation weight W can be used to completement the basic Naive Bayes classifier by disambiguating categories of features, so as to enhance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in the end.

      • Chopin Etude에 관한 연구 : Etude op. 10, No, 3, 5, 12의 연주법을 중심으로

        유현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Chopin's work, Etude is a finest masterpiece which is not only artistic but also technical. When it is played.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must be exactly the same as the original one. But some of the notes, presently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s because the were corrected by the editor during the process of editing. The central idea of this writing is to interpret the work revealing the composer's will fully searching for composer's directions for the play and origin sounds. The Object are Op.10, No. 3,5,12 which have sub-theme, referred to Paderewisk's edition. Therefore the techinque for the play,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in relation to the play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in Chopin's Etude Fingeration, Legato, Rhythm, Pedal, Rubato, Ornamentation, Phrasing, Articulation and dynamics were characterized in every note.

      •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 태도 및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유현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행동이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하여 탐색해보는 것이며 유아기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아동기 경험 및 인성 특성과 같은 어머니 관련변인과 아동의 기질 특성이 어머니 격리불안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어머니의 양육행동 특히, 과보호적 양육행동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격리불안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양육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어머니의 격리불안은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자녀의 어린이집 적응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정읍. 익산 지역 9개 어린이집의 교사들 27명과 어머니들 각각 325명을 상대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300 부가 회수되었으나 미기재 응답이 많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66부가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되었다.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양육행동을 놓고 볼 때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높을수록 과보호, 허용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면에서 볼 때, 어머니의 격리불안이 높을수록 아동의 친사회성, 어린이집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자아상태, 어린이집 일과에 대한 적응이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 면을 살펴 볼 때, 어머니가 한계 설정의 양육행동을 하면 아동의 친사회성, 어린이집에서의 정서상태, 또래간의 적응, 자아상태, 어린이집 일과에 대한 적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놓고 볼 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3세, 4세,5세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각 연령에서 나타나는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 면에서의 차이를 검증하지 못했다. 아동의 연령에 대한 정확한 차이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지금 드러나고 있는 어머니의 격리불안과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나 어머니의 정서 상태나 양육행동이 자녀의 출생 시부터 끊이지 않고 연결되어지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좀 더 지속적이고 구체적이면서 종단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research how mother's separation anxiety who has children and their caring behavior give effect on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of their children. and to analyze what relation has the variables like mother's experiences in childhood and their personal character and children's character with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o investigate what connection has the separation anxiety of the mother with the mother's caring behavior especially excessive caring behavior. The questions of the study are as below.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separation anxiety ?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with caring behavior ?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with 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what relation has the mother's caring behavior with 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 For this study tue questionnaire paper was distributed to twenty seven teachers and 325 mothers respectively to each 9 kindergartens in the region of chong-eup, and iksan. 300 questionnaire papers were recollected, but 266 pap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o the exclusion of the papers with many untruthful and omission of the answ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like this. From the aspect of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caring behavior, the higher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the bigger their excessive and permissive caring behavior. 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the adaptation of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the higher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the lower the sociality of the children, and the emotional state, and the adaptation to same age group, and ego state, and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s daily work. And examining the relation of mother's caring behavior with childre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when mother sets a limit in caring behavior, the children show positively sociality, and better emotional state, and the adaptation to same age group, and ego state, and the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s daily work. With the results up to now, some limitations were found, an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study. Firstly, this study had the target to the children age from three to five, and their mothers, but acute differences of the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he children's adaptation to the kindergarten were not proved which is shown in each step of age group. It is necessary to make a further study the precise differences in each age group. Secondly, in this study I looked into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mother's emotional state is connected with their caring behavior from the very birth of children, more continuous and concrete and vertical research is regarded to be done.

      • 20~30대 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이 비만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현숙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S.) Thesis The Effects of Subjective Body Image Perception on Obesity Stress Among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Yu, Hyun-suk Major. of Food Therapy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Chung, Chong-un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weight control and body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y classifying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to those groups of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on the basis of the body mass index calculated by height and weight and seeing effect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weight control on eating habits and obesity stress because of wrong perception of their own body type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bout 250 wo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visited Gi & Mi Obesity Clinic located in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for a year from May 1, 2007 to April 30, 2008; among them, 200 responders, except poor ones, went through cross-tabulation analysis using the body mass index to measure an objective obesity level by the body mass index of women in their twentie and thirties in order to see their subjective perception of body types, with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an spsswin 12.0 program,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the respondents, 71.95% was found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somatotypes, indicating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ir own body types, and 58.3% of the underweight group and 93.8% of normal weight wanted to lose their weight and 77.8% of all the respondents had interest in weight control. Looking at side effects during periods of weight control, dizziness was most (67%) followed by insomnia, hand tremors, palpitation, and etc., suggesting that wrong perceptions of one's own somatotypes could be motivation to attempt undesirable weight control causing health risks. Regarding eating habits, the more degrees of obesity, the more irregular eating patterns showed. Second, persons with overweight showed the highest level of obesity stress with persons with underweight (2.41 points), normal weight (2.72 points), and overweight (2.85 points). In addition, regarding obesity stress, persons with very dis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showed 3.00 and 2.72 points respectively, indicating higher obesity stress levels in the case of dissatisfaction rather than in the case of satisfaction, and also persons with interest in weight control showed 3.25 points, indicating the highest obesity stress level in higher interest in weight control, while persons with indifference to weight control indicated the lowest level of obesity stress. There showed no difference in obesity stress levels according to the kinds of side effects during periods of weight control, with nausea (2.96), dizziness (2.72), and irregular menstruation (2.68).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에 대한 애착과 우울감 및 분노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유현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ransition to college is a normal but often stressful life event, involving social, emotional, and academic adjustment.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o this dramatic change, many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Korean college students who have spent long preparation period for entering into a university, have reported lower level of metal health or emotional stability. However, appropriate expression of emotion including anger is very important to be a healthy and responsible adult. Research has shown that anger expression style is related to family environment factor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Few researchers, however, have focused on college students and on specific family-related factor. This research trie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s a family variable and depressive mood as an individual variable on anger expression styl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Anger expression style is divided into three domains such as anger-in, anger-out, and anger-control. The data are collected with 437 university students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ere higher in the level of anger-control than females, but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nger-in and anger-out between gender. In addition, anger-contr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attachment but not with depression, anger-in and anger-out were negatively related to parental attachment but positively to depressive mood, and parental attach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ve moo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gender, anger-out and anger-in expression styles were influenced by depressive mood but not by parental attachment. Finally,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clinicians working with college students and their family are discussed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suggested.

      • 崔氏 武人執權期 文士의 登用과 政治的 役割

        유현숙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毅宗 24년(1170)년에 일어난 武臣政變은 고려 역사상 정치·사회·경제·문화의 전 영역에 걸친 변동을 가져왔다. 그 결과 고려사회 정치권력의 기반인 문신 중심의 귀족사회가 붕괴되고, 문신 권력에 억압받아 오던 무신들에게 권력이 넘어가게 된다. 정권을 장악한 무인세력은 문인들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각 시기마다 문인의 지위 및 역할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崔忠獻 執權期는 文士의 등용, 崔瑀 執權期는 寒士를 등용, 발굴하여 최씨 정권의 유지 및 정권 안정을 꾀하였다. 최씨집권기 등용된 문인들의 특성은 최충헌과 최우 각 집권시기마다 차이가 있는데, 최충헌은 과거 급제자로, 최씨정권과 밀착한 문신들의 천거를 통해 문사를 등용하였던 반면 최우는 과거 급제자로서, 기존 세력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는 지방의 향리층이거나 중앙과 관련이 있다고 해도 미관말직인 관리 자체에 속한 사람, 그리고 과거급제자 가운데 무인집정자와 그 측근에 의해 다시 천거를 받은 사람들을 한사로 등용하였다. 이러한 개념의 문인 즉 한사들이 최우 집권기에 등용되어 최우의 정치세력의 기반이 되었다. 그러나 최충헌과 최우 모두 무신정권의 확립 강화를 위한 문사 등용이 이루어졌다는 근본적인 입장은 동일하다. 최씨정권은 지속적인 정권장악을 위한 기반 마련에 노력하였다. 그리하여 정권의 지지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과거제를 강화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최씨정권의 사적 권력기구로서 政房·書房을 통한 문사의 등용에 적극적이었다. 즉 기존의 문신을 포함하여 다수의 신진 문사를 등용함으로써 인적자원 확보 및 정권안정의 기초를 마련하게 되었다. 이러한 과거제와 정방, 서방의 권력기구는 최씨정권 강화의 중요한 제도적 기구가 되었다. 제도적 기틀 마련과 더불어 최씨 무인정권기에 발탁, 등용된 문사들은 최씨정권에 영합해 가면서 기존의 문신들과 함께 최씨 정권의 인사정책 및 무신정권의 합리화 및 정당성 확립, 유지에 기여하였다. A military revolution in the 24th year of Eui-Jong's reign (1170) had a wide variation throughout politics,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n Goryeo history. As a result, the literati based the aristocratic society that is a foundation in political power of Goryeo society is collapsed. A power was transferred to the military officials who were suppressed by literati's rule. A power of military officials that took the political power caused a lot of change in literati's social position and role in each of the times due to a difference of perception over literati. A maintenance and stability of Choi's government were attempted by appointing the Munsa in times of Choi, Chung Hyeon's rule and the military officials in the times of Choi, Woo's ruin, A Munsa's characteristic who were appointed in the times of Choi's rule has a difference from the times of Choi, Chung Hyeon' rule and Choi Woo' rule. Choi, Chung Hyeon appointed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state exam who were recommended from the military officials with a link to Choi's political power, on the other hand, Choi Woo appointed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state exam who had no link to the pre-existent political power and were a class of Hangri in local, although they were not rela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y were the lowest position in government. Among the successful candidates in exam, the people who were re-recommended by the military officials and their surrounding people were appointed as the penniless scholar(Hansa). Such the penniless scholars were appointed in the times of Choi Woo's ruin and a foundation of Choi Woo's political power. However, an essential standpoint that Choi. Chung Hyeon and Choi Woo appointed the Munsa for enforcing an establishment of military ruin was identical. Choi's government strived to prepare a foundation for holding the continuous political power so enforced the state exam for preparing the foundation of supporting the political power. On the other hand, enforced appointment of the Munsa through Jungbang and Seobang that were the private organization of Choi's government. Namely, as appointed many of new Munsa including the pre-existent literati, prepared the foundation for stabilizing the government and procuring the manpower. Such the state exam and authorized organization had Jungbang and Seobang became an important systematical organization in enforcing Choi's government. As well as preparing the systematical frame, the Munsa who were appointed and promoted in the times of Choi's military reign joined Choi's government and contributed to maintain and establish reasonability and justification in military reign and a polic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the pre-existent literat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