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툴리눔톡신의 장딴지 근육내 주사가 척수 운동신경 형태에 미치는 영향

        유종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유종호 박사논문 한글 초록 보툴리눔톡신의 장딴지 근육내 주사가 척수 운동신경 형태에 미치는 영향 보툴리눔톡신A는 신경-근육 연접부에서 아세틸콜린의 분비를 억제하여 화학적으로 신경과 근육의 교통을 국소적으로 차단한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이 독소는 사시, Frey 증후군, 막통증증후근, 눈꺼풀연축, 사경, 다한증, 편두통 등의 여러 임상 분야에 적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주름 제거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독소단백의 일부가 축삭말단에서 신경세포체쪽으로 이동한다는 보고가 있어 독소의 단백의 일부가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늘어 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정도의 보툴리눔톡신A의 주사 후 중추신경에서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하기 위하여 흰쥐의 내측 장딴지근육에 보툴리눔톡신A을 주사한 후, 1주에서 12주에 걸쳐서 척수신경체와 축삭의 형태학적 변화를 입체해석학적인 방법과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척수신경의 축삭이 주사 후 3주 정도까지는 미엘린의 풀림현상들이 관찰되었으나, 12주에는 거의 대조군에 가까운 형태를 유지하였고, 척수운동신경세포의 부피도 보툴리눔톡신 주사에 의하여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다만, 주사 1~3주에서 닛슬소체의 형태가 변화를 보이면서 자유리보소체의 비율이 올라가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12주에 이르면 대조군과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치료수준에서의 보툴리눔 독소가 신경 중추 쪽에 위치한 세포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나는 비물성 표현에 관한 연구 : 쿠마겐코와 헤르조그&드뮤론을 중심으로

        유종호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건축은 세계적으로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산업재료의 발달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해 각 지방에서 나는 재료로 건축을 하는 것이 아닌 어느 지역에서나 거의 같은 보편적인 재료(콘크리트)로 건축을 하게 되어 지역적 특성은 사라지고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는 건축을 만들어 내었다. 이는 시공의 간편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고, 이는 물질에 대한 지각의 중요성을 떨어뜨렸다. 물질의 표층만 화장하듯이 덧칠해진 깊이감 없는 재료는 오랜 기간의 사용으로 나타나는 고색(古色)(건축의 재료에 시간의 경험이 풍부하게 덧입혀진 상태를 의미)은 찾아 볼 수 없게 되었으며 인간미를 느낄 수 없는 잿빛의 무미건조함만이 남게 되어 인간의 감성을 무디게 만들었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의 본질을 이해하고 각 물질의 다양한 구축법을 ‘비물성‘이라는 화두를 통해 회복하려고 하였다. 비물성이란 물성(물질의 고유성질)이 아닌 것이 아닌, 물성을 바탕으로 발현되는 개념으로서 단순히 물질의 사용에 있어 재료 고유의 물성으로 건축을 구축하기 보다는 고유한 성질을 변형하고 타 물질과 융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물질의 고유한 성질을 초월하거나 반하는 성질을 새롭게 만들어 다양하게 표현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고 본 논문에서는 재료적 관점으로 비물성을 바라보았다. 건축적 재료가 비물성화가 이루지는 과정은 물질에서 시작하여 물성으로 발현되고 비물성으로 치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실현하는 두 건축가 쿠마겐코와 헤르조그&드뮤론을 통해 특성을 비교하여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었다. 비물성화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크게 물질의 요소, 비물성 발현요소, 비물성 치환요소를 거치고 이를 통해 비물성화가 이루어진 것은 각각의 성격을 나타내게 된다. 쿠마겐코와 헤르조그&드뮤론에서 나타나는 비물성화 과정을 통해서 현대건축공간에 나타나는 비물성 표현 방식을 크게 변형, 융합, 혼성 이라는 3가지의 범주 아래에 세부적인 특성을 알아 볼 수 있고 3가지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관찰자로 하여금 물질적 혹은 심리적으로 형태나 성질을 변형 하여 부유성과 교란성을 지각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는 물질의 조작 혹은 자연환경의 요소를 통하여 물질의 고유한 성질의 한계를 극복하고 초월하려는 방식이다. 두 번째, 관찰자로 하여금 물질적 혹은 심리적으로 형태나 성질을 융합 하여 투명성과 부유성을 지각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는 주변환경을 고려하는 물질 조작을 통하여 주변환경과 동질화되 방식이다. 세 번째, 관찰자로 하여금 물질적 혹은 심리적으로 형태나 성질을 혼성 시켜 교란성을 지각하게 하는 방식으로 이는 재료와 재료 혹은 레이어와 레이어를 병치 시킴으로서 다양한 지각 결과를 만들어 내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쿠마겐코와 헤르조그&드뮤론의 비물성 표현방식을 비교 해 볼 수 있었다. 쿠마겐코는 투명성과 부유성을 통한 비물성 표현방식이 두드러지는 반면에 헤르조그&드뮤론은 교란성을 통한 비물성 표현 방식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재료에 있어서 그 차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쿠마겐코는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비물성 표현을 시도하여 투명성과 부유성을 만들어내는 반면에 헤르조그&드뮤론은 인공재료를 사용하여 재료자체의 성질을 다양하게 지각하게 하는 비물성 표현을 시도하여 교란성을 만들어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의 비물성 표현방식은 물질을 다루는데 있어서 다양한 측면에서 시도를 꾀하는 동양의 대표적인 건축가 쿠마겐코와 서양의 대표적인 건축가 헤르조그&드뮤론를 통하여 물질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는 물질의 본질을 망각한 채 건축 활동이 이루어지는 현 시대에 필요한 연구로 그 가치를 다 할 것이라는 목표 아래 진행하였다.

      • 안락사에 대한 태도 분석 : 전공의와 사법연수생의 비교

        유종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With the recent status of serious legal arguments on the doctors'' medical acts, Korea is facing with the controversies over the legal and ethical issues relative to euthanasia such as the right of the patient at a terminal stage who does not have any possibility of recovery but wishes to die gracefully, the agreement of the patient''s family, the doctor''s act to help the death, and so on.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the attitudes on euthanasia between a legal group to participate in the legislation and to execute the laws and a medical group to directly treat the patient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judicial apprentices and medical residents playing the leading parts on the legal and medical circles in the 21st century.Methods: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the 35th-group of the judicial apprentices on March 24, 2004, and on the residents of 6 university hospitals and 2 general hospitals from April 2 to May 22, 2004. Total 636 respondents consisting of 460 judicial apprentices and 176 residents were compared in their attitudes on euthanasia, and the correlations of each factor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Results: Of total 636 subjects, the ethical justness of the passive euthanasia was recognized by 373 (81.1%)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49 (84.7%) of the residents,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tatistics (p>0.05).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justness of the active euthanasia was more significantly agreed with 59 residents (33.5%) than 112 judicial apprentices (24.4%) (p<0.05). 397 (86.3%) of the judicial apprentices and 160 (91.4%) of the residents answered that the law to allow euthanasia is necessary, without show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However, of these supporters, the respondents who even considered the allowance of the active euthanasia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judicial apprentices (23.4%) and residents (33.8%) (p<0.05). In addition, the features of the suppor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be higher in men (28.8%) than women (17.9%), and in non-religious respondents (31.8%) than religious respondents (Christians 24.0%; Catholics 20.0%; Buddhists 22.0%) (p<0.05). Conclusion: This study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the necessity of the law to allow euthanasia, but had the significantly higher respondents to answer that the active euthanasia should be also admitted. Therefore, the legal agreement and guidelines on euthanasia between the legal and the medical circles are necessary for preventing the legal disputes caused by the differences of the views between two groups. 연구배경: 최근 의사의 의료 행위에 대한 법적 논란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회복 가능성이 없는 말기 환자의 품위 있게 죽을 권리와 환자 가족의 죽음에 대한 동의 및 의사의 죽음을 도와주는 행위 등 안락사와 관련된 법적, 윤리적 문제가 국내에서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법제정에 관여하고 법을 집행하는 법조계와 말기 환자를 직접 치료하는 의료계간에 안락사에 대해 어떤 가치관과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두 집단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1세기 법조계와 의료계의 주역이 될 사법연수생들과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방법: 2004년 3월 24일 사법연수원 35기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4월 2일부터 5월 22일 사이에 6개 대학병원과 2개 종합병원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응답이 완료된 사법연수생 460명과 전공의 176명 등총 636명을 대상으로 두 집단간에 안락사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와 각 인자들 간의 관련성을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결과: 총 636명 가운데 소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이 사법연수생 373명(81.1%), 전공의 149명(84.7%)으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적극적 안락사가 윤리적으로 정당하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112명(24.4%), 전공의 59명(33.5%)으로 전공의들이 유의하게 더 많았다(P<0.05). 또한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사람이 사법연수생 397명(86.3%), 전공의 160명(91.4%)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는 사람은 사법연수생 93명(23.4%), 전공의 54명(33.8%)으로 양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고 답한 사람 중 남자(28.8%)가 여자(17.9%)보다, 종교가 없는 사람(31.8%)이 종교가 있는 사람(기독교:24.0%, 천주교:20.0%, 불교:22.0%)보다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는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론: 본 연구에서 안락사를 허용하는 법이 필요하다는 데에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적극적 안락사도 허용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이 전공의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안락사에 대한 두 그룹간의 가치관 차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논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법조계와 의료계간에 안락사에 대한 법적인 합의와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무선 광 통신을 위한 변복조 기법 연구

        유종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무선 광 통신을 위한 변복조 기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무선 광 통신 변복조 기법 중 가시광 통신 표준(IEEE 802.15.7)에서 디밍 제어와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가능한 변복조 기법인 VPPM (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에 제안하였다. 그러나 VPPM을 적용한 시스템 모델이 존재하지 않으며, 성능 분석 또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VPPM 기법에 대한 시스템 모델 제안하고 무선 광 통신 채널 환경에 따른 성능 분석을 통해 실제 무선 광 통신 환경에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그리고 기존 MC-VPPM에 level cutting 개념을 추가한 새로운 변복조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기존 MC-VPPM과 유사하게 데이터 전송을 위해 신호의 두 그룹은 직교코드에 의해 다중 코드화되며, 이 때 다중 코드화된 절대값이 상대적으로 큰 값들은 낮은 발생 확률로 인해 cutting threshold 값으로 변환하는 Level cutting 개념을 적용한다. Level cutting으로 인해 복조를 위해 요구되는 correlation metric이 줄어들게 되어 수신 단의 복잡도가 줄어들며, BER 성능 향상과 데이터 전송률이 증가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level cutting이 적용된 MC-VPPM 기법이 VPPM 기법 및 기존 MC-VPPM 기법 보다 우수한 BER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CD, CMOS 같은 영상 센서 기반 무선 광 통신 변복조 기법을 제안한다. 송신기를 LED array로 이용함으로써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MIMO 기법과 유사한 효과로 인해 데이터 전송률 증가가 가능하다. 수신기로 사용되는 영상 센서는 여러 광원 및 광 잡음을 공간적으로 분할이 가능하여, 신호 및 잡음을 구별할 수 있다. Test-bed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 공공 소프트웨어사업의 과업변경에 대한 적정대가 산정에 관한 연구 : 소프트웨어 특성을 반영한 과업변경 대가 조정의 제도 개선과 식별 방법을 중심으로

        유종호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Software Technology of Korea has greatly advanced for 20 years and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business. Particularly, It has performed the work of constructing the best E-government in the world. Though such contributions, concerned companies have economical difficulties in public business of market. These have happened because of low price tendered, unreasonable budget and payment, modifications of tasks or requirements, until now and caused unfair subcontract, damage transference and other problems. The development of softwares is a brain business of creating a new informative value. However, contract and customer contracted merely without specifying works and requirements clearly. In this condition, it produced low quality software, extra cost by delayed developing period and other incidental cost. Thus, they are the basic reasons causing deficit administration of software companies. However, the following conditions give a number of difficulties to related-companies; construction-centered law and system, additional or changed tasks, absence of a identified methodology and unreasonable payment method, etc. Software companies aren't properly given their own cost for performed tasks by the environmental problems. First, the investigation presents improvement policies in law and system. Second, it presents to discuss objectively and correctly on changed tasks and interact a number of information and make a acceptable method between parties. Third, it presents to adjust and plan a proper program concerned with payment decision. 1.It presents properly to reflect the property of software business and add a new separate clause into the national law of contract concerned with lawful and system. 2. Based on software properties as brain business, it is difficult to quantify a modified size and task of contents, so it gives improvements in order to support them. It makes a methodology to accept interactively, carrying out baseline specification of task contents, modifications identification and modifications statement on general forms. 3.It presents the method of counting payment and adjusting process based on criteria of a specified size and quantity. It enable to mediate in “Adjustment Committment for Changing Tasks" when a dispute happened The investigation began, questioning whether deficit of software companies can resolve if reasonably paid for task modifications between parties based on law and system. According to these real problems,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to make applicative directions in real for business rather than academical aspects. It was not possible to use a lot of academic reference for the investigation because there isn't a lot of previous investigations due to its characterist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erform continuous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 다문화 가정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광주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광주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유종호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analysis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y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Gwangju propose measurements for improvement of the role and function of library. For this,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asked about their forms of usag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In doing so, questionnaire has been performed on two libraries, which operate multi-cultural family programs, among twenty one public librarie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Korean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as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foreign labors and married immigrants. National-level efforts are being put on social, cultural integrations and helping multi-cultural families to settle well in the society through recogniz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our society. Public libraries provide equal information service and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for all residences in the area without limitation. However, services including multi-cultural information room and multi-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are not sufficient. Further, the current state and require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analyzed in details for provision of service for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study, therefor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investigated to analysis weaknesses of the current public library through literature review. Further, questionnaire has been performed on multi-cultural family. The requirements found from the questionnaire have been analyzed to find out multi-cultural service measurements by which public libraries can operate

      • 獨居老人의 生活實態 및 福祉서비스慾求에 관한 調査硏究 : 龜尾地域 中心으로

        유종호 慶雲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Gumi city, in which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ave inhabited, has gone thoug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s a national industrial complex began to be established there in the 1970s. Now, it has become a city containing both urban and rural features. The living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is different from those of typical urban or rural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welfare policies and services for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by explicit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and environment of the district and elderly people's individual features, living conditions and desires for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achieve such aim, the research examin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four areas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first,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second, the subjects' family relations, housing conditions, economic life, health and medical service conditions and leisure activities; third, the subjects' desire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urth,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s' living conditions and desires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featu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184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in Gumi. A survey and interviews involving the subject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into the subjects' general features, women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The elderly aged between 75 and 79 accounted for larger proportion of the subjects than any other age group. As for the subjects' academic level, those who completed elementary education course or lower made up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Second, an examination into the subjects' living conditions found that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subjects got to live alone due to a spouse's death. Their' relationship with children turned out to be good, but hardly met or exchanged phone calls with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y turned out to have severe financial difficulty. With regard to the housing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many of those surveyed owned their own detached house, but a very small proportion of them were financially independent. They were especially dependent on their children financially. Housing costs and medical cost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living costs. An examination into health and medical service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 had difficulty in taking a bus by themselves and that most of them were not healthy, and that they felt a big burden of paying medical expenses With regard to the use of leisure time, most of respondents spend their time watching TV, listening to radio or talking with their friends and neighbors. Many of them do not want to participate in special social activities. Third, an examination into elderly people's desires for social welfare services found the elderly people had higher desires for someone who looks after them when they become seek, movement services and domestic help services. Although they largely visited a hall for the elderly and a health center (medical check up, visiting nursing service), they are not satisfied. That is because they felt uncomfortable about using facilities. It was found that many of those surveyed demanded specialized services to resolve their living problems. Fourth, as for living conditions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elderly women hav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an elderly men have. Compared with women, men have more financial problems. Women have worse health status than men have, but have more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As for difficulties the elderly experiences according to their age, it wa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 got older, they have more physical difficulty attributed to natural aging,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more that do not require much movement. With regard to in-home services, the elderly people turned out to have more desire for in-home services. Moreover, it was found that elderly women have more experiences of in-home services than elderly men have. and that the elderly in rural areas have more experiences of in-home services than their urban counterparts, and that elderly people aged more had more experience of in-home services. In conclusion, most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Gumi city, which have both rural and urban features, suffered financial difficulty, have bad health status and enjoy leisure activities less. Furthermore, they have higher desire for elderly welfare services though they fail to receive much welfare benefi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resolve the financial difficulty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criteria for the beneficiary of public assistance should be changed to include more elderly people. Besides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easily accessible to help the elderly to prevent diseases and manage their health conditions. Moreover, social programs the elderly can easily participate in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leisure and social life. Furthermore, there are also needs to establish an in-home service system that takes into account individual differences. 본 연구의 대상자가 거주하고 있는 구미시는 1970년대 이후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면서 급격하게 산업화가 진행된 도․농 복합도시이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생활실태도 전형적인 도시나 농촌의 독거노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과 환경, 개인의 특성과 생활실태 및 복지서비스 욕구 등을 명확하게 파악, 조사․분석하여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에 대한 합리적인 노인복지정책 및 복지서비스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둘째, 조사대상자의 가족 관계, 주거실태, 경제생활 실태,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 여가 생활 및 사회 활동 실태, 셋째, 조사대상자의 노인복지서비스 욕구 실태,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실태 및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의 차이 등에 대해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상북도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은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났고, 연령은 75~79세, 최종학력은 초졸 이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생활실태조사에서 혼자된 이유로는 ‘배우자 사별’이 높게 나타났고, 가족과의 관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가 좋은 독거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만남이나 전화통화가 거의 없었고 경제적으로도 매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독거노인들의 주거실태는 본인소유의 단독주택이 많았고, 경제적 자립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적으로 자녀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생활비의 사용도로는 주거비 및 의료비가 주를 이루었다.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를 살펴보면, 일상 생활시 혼자 버스를 타는 것이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으며, 의료비지출에 많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여가 시간의 활용 상태를 살펴보면,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TV 시청, 친구 및 이웃과의 담소나누기가 대부분이었으며, 다수가 특별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복지서비스 욕구를 살펴보면, 몸이 아플 때 보살펴 줄 사람에 대한 욕구, 이동서비스에 대한 욕구, 가사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노인정(경로당) 및 보건소(건강진단, 방문간호)를 이용하였으나 만족도는 높지 않았다. 불만족 이유로는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다수의 독거노인들이 자신들의 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실태에 있어서 가족관계는 남성보다 여성이 좋았으며, 경제적 상태는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건강상태는 남성보다 여성이 나쁘며, 여가생활은 여성노인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의 어려움은 연령이 높을수록 자연적인 노화현상에 의해 육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여가생활 활용은 연령이 높을수록 정적인 여가 생활을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재가서비스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서비스를 받아 본 경험은 여성보다는 남성이, 농촌보다는 도시가, 연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구를 요약하면, 도․농 복합지역으로서의 구미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들의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는 좋지 않았고, 여가 활동정도가 낮았으며, 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욕구는 높은 반면, 실질적인 혜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독거노인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적 부조의 지급기준을 확대하여야 하고, 건강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치료기관으로의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도록 해야 하며, 여가 및 사회생활 향상을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야 하며, 개인 특성과 차이를 고려한 재가복지서비스 시스템을 재구축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 진해지역부대 자연환경조사를 통한 생태보전에 관한 연구

        유종호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해군부대 중 모항으로써 대표성을 지니며 약 70여년간 독립적으로 폐쇄적인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는 진해지역 부대의 자연환경조사를 실시하고, 군부대 자연생태계 보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자연환경조사는 해군 진해지역 부대가 위치하고 있는 산성산 및 평지봉 지역, 모도산지역, 고절산 및 고출산 지역 등 3개 지역 14㎢을 대상으로 2013년 3회 실시하였고, 식생, 동물상, 포유류, 조류, 양서·파충류, 육상곤충, 담수어류,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기상, 지형 등 10개 분야를 실시하였다. 자연환경 조사결과 생태자연도는 대부분 2등급지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법정보호종은 식물상으로는 백양꽃, 포유류는 담비, 수달, 삵 등 3종, 조류는 붉은배새매, 참매, 조롱이, 큰말똥가리, 황조롱이, 긴꼬리딱새 등 6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산림식생은 크게 참나무류혼효군락, 곰솔군락, 편백군락 세가지로 대표되며 1960대 이후부터 편백, 화백, 삼나무, 곰솔 등을 조림하여 오랜기간 보존된 산지로 수고 및 수령이 높고, 생육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비, 수달, 삵 등 법정보호종 보존을 위해서는 서식지 보호, 먹이자원 존치, 수목잔존물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연생태계를 효율적으로 보전, 복원하고 이용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판단근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기초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군부대는 각 군별 자연생태계 조사를 추진하고 있으나, 생태계의 기본 원리 및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효율적인 자연환경보전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자연생태계 조사사업의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조사자료를 장병이 이해하기 쉬운 생태지도(A0 크기)로 제작, 장병이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게시하여 자연환경보호 자료로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군부대는 훈련과 작전 등 군사활동시 환경분야를 고려하여 환경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군 시설사업시 계획단계에서 사업지역 자연환경현황 확인 및 주변 경관을 고려한 시설 설치, 나대지·경사면 녹화, 야생생물 서식처 확보, 부대내 인공습지 조성 등 자연생태를 고려한 사업추진을 하여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