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A Pragmatic Study of Euphemism in English and Chinese

        유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婉曲話法)에 대한 화용적 연구 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전공 ( 지도교수 이 상 철) 완곡화법(婉曲話法)의 고안과 사용은 언어활동 중의 보편적 현상의 하나로,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은 동일한 의미 전달의 기능, 기피기능, 간접표현의 기능, 경의를 표하는 기능과 수사적 기능이 있고, 그 모두는 Grice의 협동의 원칙을 따른다. 완곡화법은 서로 다른 언어 중에서도 자기만의 독특한 기원과 구성방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발전에 있어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다. 또한 일종의 문화현상으로써 완곡화법은 중국과 서방 국가간의 풍속이나 습관 혹은 사회심리의 서로 다른 면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어와 영어의 언어 표현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영어와 중국어 상의 완곡화법의 구성 방식과 사용방법을 연구하여, 양자간의 접촉 시에 불필요한 번역상의 착오와 잘못된 의사 소통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본 논문은 공히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도입, 둘째 부분은 배경 연구로 중국과 외국 학자들의 완곡 화법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셋째 부분은 중국과 서방의 완곡화법 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로 영어에서는 표기를 바꾸거나 어순 혹은 발음, 어법이나 수사법 등의 수단을 사용해 완곡화법을 완성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사법을 사용한 감추어진 함의를 사용하여 완곡화법을 표현하므로 중국과 서양의 언어 사용상의 다른 점을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넷째 부분은 사망, 은밀한 사생활, 신체, 성 혹은 참혹한 전쟁 등의 일부 방면에 사용되는 완곡화법을 중국과 서방의 완곡어의 사용 방식상의 차이와 응용 상의 구별을 비교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한다. 죽음과 연관된 완곡어법의 사용에 있어서 중국과 서방간의 문화적 차이는 서양인은 기독교에서 유래된 어휘의 사용이 많고, 중국인은 불교에서 유래한 어휘의 사용이 많은 편이다. 사적인 비밀에 관한 생각 또한 중국인과 서양인 간의 차이가 커서 서양인들은 개인의 은밀한 사생활에 관해 많은 어휘를 만들어 냈으나, 중국인들은 개개인의 사생활의 향유를 그리 중요시하지않아 나이까지도 일종의 자산으로 여기는 편이라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어휘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신체와 성 생활에 관한한 영어와 중국어 모두 상당히 많은 표현이 있으며, 비교하자면 그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많으며 주로 문학 작품속에 많이 나타나며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다. 전쟁과 연관된 완곡어법은 중국과 서방 공히 모종의 사건을 통해 만들어 졌으며, 지금까지 그대로 쓰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다섯째 부분은 전체적인 결론이다. 완곡한 표현을 쓸 때에 서양인은 예의적인 면을 더 중시하지만, 중국인은 기피적 용법에 더 주안점을 둔다. 완곡화법 사용시의 준수 원칙을 알게 된다면, 언어 학습자들은 국제교류 상의 실수를 줄여, 언어상의 장애를 극복하여 그 교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중점단어 : 완곡화법, 공손성, 화용적 기능, 문화적 차이

      • 한국어 문장에 나타난 초점의 운율적 특징

        유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장 속의 새로운 정보가 주어진 부분을 초점이라고 정의하고, 대화 상에서 나타나는 초점은 의미론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소리에도 뚜렷한 특징이 드러날 것 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점을 유도하는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대답으로 이루어진 대화쌍을 실험문장으로 만들어서 실험참가자에게 녹음하게 한 뒤, 이를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와 운율 기술 시스템인 K-ToBI(Korean Tone Break Indices)로 분석하였다. 초점을 분석할 때에는 낱낱의 소리보다는 초분절음(강세, 길이, 피치, 성조 등)에 중점을 두어 관찰하였다. 좁은 초점에서는 대체로 초점과 강세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길이는 초점이 아닌 경우에 비해 1:1.1의 비율로 늘어났다. 초점 전 강세구의 길이는 초점 전 강세구가 아닌 경우에 비해 1:1.5의 비율로 늘어났으며 75%가 억양구로 실현되었다. 우리말에는 초점에 강세가 실현되지 않는 대신 초점 앞이 문장단위로 끊어읽음으로써 초점을 두드러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석된다. 넓은 초점에서도 핵심어에 강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말은 초점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발화의 첫머리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 focus being defined as the part in a sentence where new information is given, it is assumed that foci in verbal communications show distinctive prosodic features as well as semantic on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hypothesis by recording and analyzing spoken Korean sentences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d aloud carefully. Sentences were given in pairs and each pair contained a question inducing a certain focus and an answer to it. PRAAT and K-ToBI (Korean Tone Break Indices), a phonetic analysis program and a prosodic descriptive system respectively,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Suprasegmental features -- stress, duration, pitch and tone -- were investigated in priority to detailed physical features of separate sounds. Generally, a narrow focus didn’t show any special correlation with stress, but had longer duration in proportion of 1:1.1 in comparison to non-focused parts. An accentual phrase before a focus showed 1onger duration in the ratio of 1:1.5, and 75% of accentual phrases were actualized as intonational ones. It is suggested that a focus in Korean sentences becomes distinct not by being embodied with stress, but by remarking an accentual phrase before it as pause in an intonational phras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ases in English. Broad foci also were not stressed. Korean sentences were observed to have a stress at the beginning of an utterance irrespective of focus

      • 한국 소설 <그 여자의 연애사>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유정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과 한국은 예로부터 경제, 역사, 문화, 사회 쪽에서 다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양국 간 교류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재 시기에는 문학작품을 통해서 양국 문화 중 존재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방식은 문화교류 중에 중요한 수단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소설을 번역하는 것으로 한중 문화 교류를시키고 양국 간의 이해를 촉진하도록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한국 소설가 한창훈 님의 작품 《그 남자의 연애사》 중 단편소설 <그 여자의 연애사>를 대상으로 중국어로 번역 및 연구한 것이다. 한창훈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주로 서민들이고 그들의 삶에는 판타지나 어떤 낭만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여자의 연애사>는 너와 나, 그리고 우리의 사랑 이야기다. 섬에서 포장마차를 하며 정이 안가는 백수 남편과 살아가는 중년 여자의 객쩍은 일탈한 이야기다. 외롭다는 혼자라는 섬같은 생각을 많이 달고 사는 편인데, 직장 다니고 잘 사는 동네친구들과 야시장 포장마차에서 소주 기울이며 행복한 나날들을 살고 있는 것과 별개로 그건 항상 그 자리에 꼿꼿이 서있는 외로운 존재일 뿐이다.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 목적,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주로 소설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낸 대표적인 단어를 분석한다. 이를 연구의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정문에서 번역 방법을 주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첫째는 한 한국어 단어가 대응되는 중국어 뜻이 하나만 있는 경우이다. 즉 1:1 번역이다. 둘째는 한 단어가 다의어의 경우이다. 한국어단어의 의미가 여러 개 있을 때 문장 내용을 이해한 바에 대응되는 중국어 단어 중에서 잘 어울리는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즉 1:다 번역이다. 셋째는 한국어 단어에대응되는 중국어 단어가없거나 직역하면 어색한 경우이다. 이때는 문장 이해한 동시에 문맥을 해석에 따른 견해차도 함께 이뤄져야 하는 경우이기도 한다. 즉 의역된 번역이다.3장은 결론 부분이다. 본 논문을 연구한 결과와 한계점을 제시하고 미해결된 문제들을 향후 남기면서 결론을 맺었다.

      •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 TV 드라마를 중심으로

        유정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류가 한국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대학생의 이모티콘 이용에 관한 연구 : 이용 동기 및 친밀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유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을 필두로 디지털 기기가 급격하게 발달함에 따라 오늘날 이모티콘을 이용한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 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다. 중국에서 가장 성공한 소셜 메신저 서비스 중의 하나로 QQ의 발표에 의하면 8억 명의 QQ 사용자들 중에 90% 이상이 이모티콘을 사용하고 있고 특히 바링허우(80后), 주링허우(90后)로 불리는 중국의 20대들에게 이모티콘 이용은 인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들 세대는 부모 세대에 비해 경제적으로 유복하고 디지털 기기 사용에 능숙할 뿐 아니라 자기표현에 적극적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은 중국 대학생들이 이모티콘을 왜 그리고 언제,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중국 대학생들이 이모티콘을 주로 이용하는 동기 요인은 무엇이고 이용 행태, 이용태도, 대화 상대와의 친밀도, 이모티콘 이용 후의 만족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려고 했다.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이모티콘의 주 이용자인 중국 대학생 69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진행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용 동기의 경우 요인 분석을 통해 정서적 표현, 인상관리, 친사회적 활용, 메시지 보완 등의 네 가지 요인이 주요 이용 동기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용태도, 이용 행태, 이용 동기, 태도, 횟수, 이용 기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들은 이모티콘이용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며, 앞서 제시한 네 가지 이용 동기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즉 이들 이용동기가 강한 사람일수록, 이모티콘을 더 자주 사용하며 이모티콘을 이용해온 기간도 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모티콘을 통해 소통하는 대상과 친밀도가 높을 경우, 이모티콘 이용 태도가 긍정적이며 이용해온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네 가지 이모티콘 이용 동기가 강할수록, 대화하는 대상과의 친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이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이모티콘 이용 후 느끼는 이용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중국 대학생들은 주로 본인의 정서적 표현, 인상관리, 친사회적 활용, 메시지 보완 등을 위해 이모티콘을 이용하며, 이들 동기들은 이용태도, 이용 횟수, 이용 기간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앞의 네 가지 이용 동기, 이용 대상과의 친밀도, 이용태도와 이용 후의 만족도 간에도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남자 대학생들의 경우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As the digital devices including smart phones develop rapidly, the nonverbal communication using emoticons is getting universal in the world including China. In China, as the release of QQ which is one of the most successful social messengers, 90% of the QQ users are using emoticons. It shows that the emoticons are very popular especially in the 80’s generation and 90’s generation who are in their twenties. These generations including most university students are affluent economically and familiar with the use of digital devices. Furthermore, they are also very active in self-expression. This study is aimed to study why and how th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se the emoticons. Namely, it is aim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ivation of the Chinese students’ using emoticons, the use manner, the use attitude, the intimacy of the conversation partners and the satisfaction after the use of emoticons. In order to reveal thes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king 695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use the emoticons as subjec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user motivation, through factor analysis, emotional expression, feature management, pro-social application and message improvement were identified as the major use motivations. Secondly, it is shown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use attitude, use manner, use motivation, attitude, use frequency and the use period. Namely, it can be known tha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s emoticons. The more positive they evaluate four motivations mentioned above, the stronger their use motivation will be, the more often they will use the emoticons and the longer they will use the emoticons. Thirdly, in the situation where people communicate with emoticons use, if the intimac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is high, the attitude of using emoticons will be positive and the period of using emoticons is longer. Fourthly, the stronger the four motivations of using emoticons is, the higher the intimac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is higher, and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of using emoticons is, the satisfaction of emoticon use will be higher. To summarize these research results,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moticon use motivations are mainly emotional expression, feature management, pro-social application and message improvement. These motivations showed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use attitude, use frequency, use period. Meanwhile, the emoticon use motivation, the intimacy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use attitude, and the satisfaction after use emoticons also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hich showed higher in the group of male university students.

      •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 연구

        유정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통일성, 정합성, 교육적 유용성을 갖춘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를 정립하려는 목적에서 쓰였다.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는 대등접속문, 종속접속문, 부사절 내포문, 인용절, 서술절을 구분하는 통사적 지표들 간에 통일성이 부족하고 학문 문법의 연구 성과가 교육적 여과 장치 없이 반영됨으로써 교육적 유용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먼저 접속과 내포의 구조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통사적 기준을 설정하여 대등접속문, 종속접속문, 부사절 내포문의 문법적 지위를 살펴본 뒤.종속접속문을 부사절 내포문의 하위 유형인 문장 부사절로 보고, 접속문 체계에는 대등접속문만 남기고 개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병렬문(학교 문법에서는 나란한문장)'으로 용어를 변경할 것을 제안하였다. 절 표지를 중심으로 인용절을 검토하고 간접인용절의 절 표지는 다른 내포절과 동일하게 어미로 볼 것을 제안하고 이를 부사절 내포문 내 술부 부사절의 하위 유형인 '필수적 부사절'로 보았다. 직접인용절의 경우, 절 표지'(이)라고'를 '이다'의 활용형으로 보되 학교 문법에서 '이다'를 서술격조사로 보는 관점을 수용하여 직접인용절의 절 표지는 조사로 보았다. 또 서술절을 겹문장으로 보고 임동훈(1997)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서술절의 절 표지를 '무형화 된 표지'로 볼 것을 주장하면서 서술절의 명칭을 품사명에 따라 '동사절 안은문장, 형용사절 안은문장'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반영하여 학교 문법의 겹문장 체계를 정립하였으며 간접인용절의 절 표지와 부사절의 절 표지 '-이'를 모두 부사형어미로 보고 동사절 안은문장, 형용사절 안은문장의 절 표지는 무형화 된 어미라고 하여 직접인용절의 절 표지를 제외한 모든 내포절의 절 표지가 '어미'임을 밝혔다. 끝으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학습자 수준에 적합하게 바꾼 겹문장 체계와 어미 체계를 제안하여 교육적 효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Depletion of embryonic stem cell signature by apicidin in NCCIT cells: involvement of nanog suppression

        유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mbryonic stem (ES) cell-like gene expression signature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poorly differentiated aggressive human tumors and has attracted a great attention as potential targets for future cancer therapies. Here, I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the ES signature as molecular target for the therapy and the strategy to suppress the ES signature. The core stemness gene Nanog is abnormally over-expressed in human embryonic carcinoma (EC) NCCIT cells showing gene expression profiles similar to ES cells. Down-regulation of the gene by either siRNAs targeting Nanog or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HDACI) apicidin causes reversion of expression pattern of ES signature including Oct4, Sox2, and their target genes, leading to cell cycle arrest, inhibition of colony formation in soft agar, and induction of differentiation into all three germ layers. These effects are antagonized by reintroduction of Nanog. Interestingly, EC cells (NCCIT, NTERA2, and P19) exhibit a higher sensitivity to apicidin in down-regulation of Nanog, compared to ES cells. Furthermore, the down-regulation of Nanog expression by apicidin is mediated by a coordinated change in recruitment of epigenetic modulators and transcription factors to the promoter reg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over-expression of stemness gene Nanog in NCCIT cells is associated with maintaining stem cell-like phenotype, and suggest that targeting Nanog might be an approach for improved therapy of poorly differentiated tum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