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A Pragmatic Study of Euphemism in English and Chinese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婉曲話法)에 대한 화용적 연구 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전공 ( 지도교수 이 상 철) 완곡화법(婉曲話法)의 고안과 사용은 언어활동 중의 보편적 현상의 하나로, 영어와 중국어의 완곡화법은 동일한 의미 전달의 기능, 기피기능, 간접표현의 기능, 경의를 표하는 기능과 수사적 기능이 있고, 그 모두는 Grice의 협동의 원칙을 따른다. 완곡화법은 서로 다른 언어 중에서도 자기만의 독특한 기원과 구성방식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발전에 있어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다. 또한 일종의 문화현상으로써 완곡화법은 중국과 서방 국가간의 풍속이나 습관 혹은 사회심리의 서로 다른 면을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국어와 영어의 언어 표현상의 차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영어와 중국어 상의 완곡화법의 구성 방식과 사용방법을 연구하여, 양자간의 접촉 시에 불필요한 번역상의 착오와 잘못된 의사 소통을 방지하고자 함에 있다. 본 논문은 공히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부분은 도입, 둘째 부분은 배경 연구로 중국과 외국 학자들의 완곡 화법에 관한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에 대한 고찰, 셋째 부분은 중국과 서방의 완곡화법 구성방식에 관한 비교연구로 영어에서는 표기를 바꾸거나 어순 혹은 발음, 어법이나 수사법 등의 수단을 사용해 완곡화법을 완성하지만, 중국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사법을 사용한 감추어진 함의를 사용하여 완곡화법을 표현하므로 중국과 서양의 언어 사용상의 다른 점을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한다. 넷째 부분은 사망, 은밀한 사생활, 신체, 성 혹은 참혹한 전쟁 등의 일부 방면에 사용되는 완곡화법을 중국과 서방의 완곡어의 사용 방식상의 차이와 응용 상의 구별을 비교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한다. 죽음과 연관된 완곡어법의 사용에 있어서 중국과 서방간의 문화적 차이는 서양인은 기독교에서 유래된 어휘의 사용이 많고, 중국인은 불교에서 유래한 어휘의 사용이 많은 편이다. 사적인 비밀에 관한 생각 또한 중국인과 서양인 간의 차이가 커서 서양인들은 개인의 은밀한 사생활에 관해 많은 어휘를 만들어 냈으나, 중국인들은 개개인의 사생활의 향유를 그리 중요시하지않아 나이까지도 일종의 자산으로 여기는 편이라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어휘가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신체와 성 생활에 관한한 영어와 중국어 모두 상당히 많은 표현이 있으며, 비교하자면 그 표현이 명확하지 않아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많으며 주로 문학 작품속에 많이 나타나며 일상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다. 전쟁과 연관된 완곡어법은 중국과 서방 공히 모종의 사건을 통해 만들어 졌으며, 지금까지 그대로 쓰이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다섯째 부분은 전체적인 결론이다. 완곡한 표현을 쓸 때에 서양인은 예의적인 면을 더 중시하지만, 중국인은 기피적 용법에 더 주안점을 둔다. 완곡화법 사용시의 준수 원칙을 알게 된다면, 언어 학습자들은 국제교류 상의 실수를 줄여, 언어상의 장애를 극복하여 그 교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중점단어 : 완곡화법, 공손성, 화용적 기능, 문화적 차이
문장 속의 새로운 정보가 주어진 부분을 초점이라고 정의하고, 대화 상에서 나타나는 초점은 의미론적인 특징 뿐만 아니라 소리에도 뚜렷한 특징이 드러날 것 이라고 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점을 유도하는 질문과 그에 대응하는 대답으로 이루어진 대화쌍을 실험문장으로 만들어서 실험참가자에게 녹음하게 한 뒤, 이를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와 운율 기술 시스템인 K-ToBI(Korean Tone Break Indices)로 분석하였다. 초점을 분석할 때에는 낱낱의 소리보다는 초분절음(강세, 길이, 피치, 성조 등)에 중점을 두어 관찰하였다. 좁은 초점에서는 대체로 초점과 강세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길이는 초점이 아닌 경우에 비해 1:1.1의 비율로 늘어났다. 초점 전 강세구의 길이는 초점 전 강세구가 아닌 경우에 비해 1:1.5의 비율로 늘어났으며 75%가 억양구로 실현되었다. 우리말에는 초점에 강세가 실현되지 않는 대신 초점 앞이 문장단위로 끊어읽음으로써 초점을 두드러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석된다. 넓은 초점에서도 핵심어에 강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말은 초점의 위치와는 상관없이 발화의 첫머리에 강세가 주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A focus being defined as the part in a sentence where new information is given, it is assumed that foci in verbal communications show distinctive prosodic features as well as semantic ones. This research examined the hypothesis by recording and analyzing spoken Korean sentences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read aloud carefully. Sentences were given in pairs and each pair contained a question inducing a certain focus and an answer to it. PRAAT and K-ToBI (Korean Tone Break Indices), a phonetic analysis program and a prosodic descriptive system respectively, were used in analyzing the data. Suprasegmental features -- stress, duration, pitch and tone -- were investigated in priority to detailed physical features of separate sounds. Generally, a narrow focus didn’t show any special correlation with stress, but had longer duration in proportion of 1:1.1 in comparison to non-focused parts. An accentual phrase before a focus showed 1onger duration in the ratio of 1:1.5, and 75% of accentual phrases were actualized as intonational ones. It is suggested that a focus in Korean sentences becomes distinct not by being embodied with stress, but by remarking an accentual phrase before it as pause in an intonational phras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e cases in English. Broad foci also were not stressed. Korean sentences were observed to have a stress at the beginning of an utterance irrespective of focus
한국 소설 <그 여자의 연애사>의 한중 번역에 관한 연구
중국과 한국은 예로부터 경제, 역사, 문화, 사회 쪽에서 다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양국 간 교류가 점점 많아지고 있는 현재 시기에는 문학작품을 통해서 양국 문화 중 존재한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방식은 문화교류 중에 중요한 수단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 소설을 번역하는 것으로 한중 문화 교류를시키고 양국 간의 이해를 촉진하도록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은 한국 소설가 한창훈 님의 작품 《그 남자의 연애사》 중 단편소설 <그 여자의 연애사>를 대상으로 중국어로 번역 및 연구한 것이다. 한창훈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주로 서민들이고 그들의 삶에는 판타지나 어떤 낭만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 여자의 연애사>는 너와 나, 그리고 우리의 사랑 이야기다. 섬에서 포장마차를 하며 정이 안가는 백수 남편과 살아가는 중년 여자의 객쩍은 일탈한 이야기다. 외롭다는 혼자라는 섬같은 생각을 많이 달고 사는 편인데, 직장 다니고 잘 사는 동네친구들과 야시장 포장마차에서 소주 기울이며 행복한 나날들을 살고 있는 것과 별개로 그건 항상 그 자리에 꼿꼿이 서있는 외로운 존재일 뿐이다. 1장에서는 서론 부분으로 연구 목적,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2장에서는 주로 소설 번역하는 과정에서 나타낸 대표적인 단어를 분석한다. 이를 연구의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정문에서 번역 방법을 주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첫째는 한 한국어 단어가 대응되는 중국어 뜻이 하나만 있는 경우이다. 즉 1:1 번역이다. 둘째는 한 단어가 다의어의 경우이다. 한국어단어의 의미가 여러 개 있을 때 문장 내용을 이해한 바에 대응되는 중국어 단어 중에서 잘 어울리는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즉 1:다 번역이다. 셋째는 한국어 단어에대응되는 중국어 단어가없거나 직역하면 어색한 경우이다. 이때는 문장 이해한 동시에 문맥을 해석에 따른 견해차도 함께 이뤄져야 하는 경우이기도 한다. 즉 의역된 번역이다.3장은 결론 부분이다. 본 논문을 연구한 결과와 한계점을 제시하고 미해결된 문제들을 향후 남기면서 결론을 맺었다.
셰일저류층의 다단계 수압파쇄에서 응력그림자 효과를 고려한 수압파쇄 균열형태 분석
투과성이 극히 낮은 셰일층에서의 다단계 수압파쇄 시, 파쇄단계 간의 서로 근접한 균열로 인해 균열 주변의 지층응력에 간섭현상이 발생하는‘응력그림자 효과(stress shadow effect, SSE)’가 나타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수압파쇄 시, 전 단계 균열의 발생으로 인하여 수평정 주변 지층의 응력이 변화하게 되고 그로 인해 다음 균열이 저류층을 벗어나거나 비정형적인 형태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수압파쇄 모델링에서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제 생산성과 크게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러한 응력그림자 효과는 파쇄단계 간의 간격과 지층의 영률, 포아송비와 같은 지력학적 물성에 따라 영향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셰일저류층에서의 다단계 수압파쇄 시, 지층의 응력변화에 따른 수압파쇄 균열 형태와 그에 따른 생산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용 수압파쇄 시뮬레이터인 『GOHFER 3D』를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선행 파쇄단계의 균열에 의해 발생한 응력변화는 지층의 최소수평주응력에 더해지는 효과로 작용함으로 인해 균열의 방향성을 결정하게 되는 지층의 최대수평주응력과의 차이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최대-최소수평주응력 방향의 역전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다음 단계의 균열은 수평정의 횡방향(transverse, T-방향)으로만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종방향(longitudinal, L-방향)으로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쇄단계 간 간격이 가까울수록 응력그림자 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T-방향보다는 L-방향 균열이 주로 발생하였고 이는 파쇄균열의 유정자극 면적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다단계 수압파쇄 시, 파쇄단계 간 적정 간격 설계가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어 지층의 지력학 물성인 영률과 포아송비의 비로 나타내는 취성특성에 따른 응력그림자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Marcellus 셰일과 Eagle ford 셰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Marcellus 셰일의 경우 연성 특성을 갖는 Eagle ford 셰일에 비해 높은 취성으로 인해 균열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균열 체적이 더 크게 산출되었다. 결국 Marcellus 셰일에서 발생된 파쇄균열들이 저류층과의 접촉면적을 더 크게 형성하면서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arcellus 셰일지층의 영률이 Eagle ford 셰일층에 비해 크게 낮은 값을 가지므로 응력그림자 효과가 보다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파쇄단계 간 간격뿐만 아니라 지층의 지력학적 물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응력그림자 효과의 영향성이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유정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강원도의 항만처럼 중소형 항만에 적합한 항만경쟁력요인을 분석하고, 경쟁력요인 상의 문제점 도출을 통해 동해·묵호항의 항만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강화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포터의 국가경쟁력 분석기법인 다이아몬드 모델을 응용하여 강원도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의 분석을 위해 AHP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항만과 관련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요인별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상위요인 중요도 분석 결과, 물동량 및 항로 → 항만인프라 → 배후산업 → 항만운영전략 및 정책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위요인에 따른 12개의 하위요인의 복합가중치를 분석한 결과, 항만물동량 → 항만시설 → 항만입지 → 신규화물창출가능성 → 시설능력 → 배후지여건 → 국제항만 접근성 → 내륙연계성 → 항만서비스 → 항만운영관리 → 정책 및 제도 → 항만운영전략 순으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또한 동해·묵호항과 속초항 간의 요인별 경쟁력 분석과 동해·묵호항이 갖춰야 할 항만경쟁력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항만경쟁력 요인 상에서 동해·묵호항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강화전략을 제시하였다. 강원도 주요 항만의 경쟁력 결정요인 분석은 최근 북방경제, 환동해권, 남북경협 등에 강원도의 중추적인 역할이 기대되는 가운데, 동해·묵호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시기적절한 연구이며, 동해·묵호항의 항만경쟁력 요인 상의 문제점 도출과 그에 따른 강화전략을 제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rt competitiveness factor suitable for small and medium sized ports like those in Gangwon-don Province and find relevant problems to come up with strategy to strengthen and improve competitiveness of Donghae-Mukho Port. To accomplish a goal of research, Porter's Diamond Model that is designed to analyze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was applied to establish research model to analyze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in Gangwon-do Province. Using AHP, th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pecialists related to the port to collect data and discover order of priority by factor for analysis of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Importance analysis on top determinants were as follows: Cargo Volume & Sea Routes → Port Infrastructure → Underlying Industry → Port Operation Strategy & Policy. Analysis on complex weight of 12 sub-determinant considering top determinants indicated that priorities were as follows: Cargo Volume in Port → Port Facility → Port Location → Potential to create new cargo → Facility Capability → Hinterland Conditions → International Harbor Access → Inland Connectivity → Port Service → Port Operation & Management → Policy & Institutions → Port Operation Strategy. Moreover, this study analyzed competitiveness by factor between Donghae-Mukho Port and Sokcho Port and analyze priority in port competitiveness that Donghae Mukho Port should improve on in order to raise some questions about Donghae-Mukho Port in term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come up with strategy to strengthen it. Since the Gangwon-do Province has been required to play a pivotal role these days for norther economy, Korean east sea rim,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this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determinants of major ports in Gangwon-do is well timed to explore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in Donghae-Mukho Port and successfully discovers problems that lie in port competitiveness of Donghae Mukho Port and suggests the strategy accordingly.
한국과 중국의 만 5세 유아 언어교육에서 읽기?쓰기 지도 내용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유아 읽기⦁쓰기교육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지도내용이 무엇인지, 교사가 지도내용을 어떻게 선정하는지, 선정할 때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조사하여, 이를 통해 우리 자신의 과거를 잘 이해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현재를 정확히 알게 하고, 우리 읽기⦁쓰기의 미래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서술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 국가수준에서 계획된 교육과정의 읽기⦁쓰기 교육의 목표가 교육현장에서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에서 실제로 행해지고 있는 유아의 읽기⦁쓰기 교육내용과 지도방법에 대한 실태를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 현재 중국 유아 읽기⦁쓰기교육의 문제점을 알고 바람직한 교육을 위한 개선책을 모색하여 앞으로 나가야 할 읽기⦁쓰기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언어교육과정에서 유아 읽기⦁쓰기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교육 목적과 내용은 무엇인가? 2. 한국과 중국의 유아 읽기⦁쓰기 지도내용 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군 내 다문화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에 관한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eptability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ir perception of service adaptations, and to suggest ways to resolve and manage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soldiers based on this ba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ldiers currently serving in the military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Sejong and Cheonan area, and soldiers who are serving in the barracks with so-called, lieutenant offic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wh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detail. In addition,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on existing long-term soldiers living with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literature study, we looked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rior studies. Further in-depth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Through the interview,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soldi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soldiers are derived and the interview results are studied and analyzed to present solutions to problems regarding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 soldier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multicultural soldiers.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as a pers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in the existing Korean military, creating questionnaires consistent with the detailed items, which were distributed in advance and concluded after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ior officials were more likely to understand multicultural soldiers in conducting the military service, but the soldiers were directly on duty and served in the barracks, and although they understood multiculturalism, they expressed their difficulties due to frequent conflicts. Second, the officials who are supposed to lead the warriors also have to command multicultural soldiers at a time when they are not educated on multiculturalism. In addition, the soldiers are also on a military barracks with multicultural soldiers,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ilitary police will be manipulat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mutual communication exchanges by increasing the time of communication with commanders of existing Korean soldiers and multicultural soldiers, and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to activate communication in case of problems such as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converged together within the unit, regular counseling for lifeguards in barracks and counseling for fellow soldiers. It is also necessary to invite instructors who are practically related to multicultural soldiers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units to conduct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before transferring to the military, and to invite multicultural members in the areas where the military is located to improve the military's image and carry out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The research limit is limited in that the samples did not vary in size, so the entire military could not hear the opinions of the soldiers, and the research was centered on the opinions of the South Korean military without asking questions directly to the multicultural soldiers.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ith surveyor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are needed by varying the size of the samples.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장병의 수용성 실태와 복무적응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장병의 갈등해소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세종 · 천안 지역에서 현재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 중인 장병들이며 세부적으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하는 하사, 중사, 소위, 중위 간부들과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는 용사들이다. 또한 연구방법은 다문화 장병과 함께 군 복무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하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다문화 수용성 및 다문화가정의 이해에 필요한 이론과 연구결과를 살펴보았다. 추가적으로 심층 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해당 인터뷰를 통해 현 시점에서 다문화 장병에 대한 기존 장병들의 인식 실태와 문제점을 도출하고 인터뷰 결과를 연구 분석하여 다문화 수용에 대한 문제점의 해결 및 다문화 장병의 효율적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한국군의 다문화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해 세부 항목과 부합하는 질문지를 만들어 사전 배부 후 토의를 거쳐 결론을 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부들의 경우 지휘를 하는데 있어서 다문화 장병들을 이해하려는 인식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용사들의 경우는 직접적으로 임무를 함께 하며 병영생활을 해본 결과 다문화를 이해하고 있지만 잦은 갈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표출하였다. 둘째, 용사들을 이끌어 나가야할 대부분의 간부 역시 다문화에 관련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다문화 장병들을 지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일반 용사들도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부족한 상태에서 다문화 장병들과 함께 병영생활을 하고 있어 병영부조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는 것이다. 연구결과 시사점은 기존 한국군과 다문화 장병들과의 지휘관 주관 하 소통 공감의 시간을 늘려 상호 의사소통 교류가 있어야 하며, 부대 내에서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기적인 병영생활상담관의 상담을 늘기고 또래 상담병의 상담활동 강화 등 의사소통을 적극 활성화해야 하며, 전입 전 교육을 체계화 시켜야 한다. 특히 다문화 관련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다양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하며, 군부대 인근 지역에 있는 다문화 가족들을 초청하여 다양한 봉사 및 친선활동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00부대를 한정하여 연구하여 표본이 다양하지 못하여 군 전체 장병들의 의견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표본의 크기를 다양화 한 설문조사와 전문상담가에 의한 심층면접 등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