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四溟 惟政(1544-1610) 眞影 硏究

        박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승 진영 중 현전 수량이 풍부하며, 수염 등의 특징적인 상호표현을 지닌 사명 유정의 진영에 주목하였다. 진영의 조성주체 및 조성목적에 관한 문제, 정밀한 양식변천의 양상, 그리고 동일한 인물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등장하는 사명 유정 진영의 현상을 사명 유정의 생애 및 그에 대한 각계각층의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사명 유정의 생애를 관련 문헌을 통해 정리하여 사명 유정이 어떤 인물로 인식되어왔는지를 유교계, 불교계, 민간 등 각 계층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현전하는 사명 유정 진영을 소장한 사찰의 법맥계보와 동반 제작, 봉안된 진영의 예를 살펴 사명 유정 진영의 조성 주체 및 목적을 유추해 보았다. 연구대상이 된 22점의 사명 유정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각 진영별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사명 유정 진영에 표현된 다양한 구성요소를 분석해 보았다. 구성요소는 좌식 및 배경, 상호, 의복, 지물 등 각 진영에 공통적으로 표현된 4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진영에 나타난 요소들에 대한 연원과 의미, 표현의 변화과정을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중, 보다 특징적인 변화과정을 보이는 상호표현을 중심으로 사명 유정 진영을 총 3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진영의 특징을 정리함과 동시에 진영에 표현된 인물상의 변화를 앞서 살펴본 사명 유전에 대한 인식과 연관지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사명 유정 진영은 진영의 일반적인 예와는 다르게 직계 법맥이 조성한 것이 아닌 18세기 이후로 경상북도 지역에서 활동하였던 편양법맥의 주도로 조성되었으며, 그 중심에는 도총섭 등 주요승직이 배치되었던 사액서원 표충사의 건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명 유정 진영의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을 종합하여, 생전에 사용한 가사 및 가사장식구, 지물 등의 유품을 표현하여 사명 유정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나타내려 하였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양식이 혼용, 변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1기의 진영에는 불교계의 인식이 반영된 이상적인 승려의 모습을 표현하려 하였지만, 2기 및 3기의 진영에서는 유교계, 민간의 인식이 크게 반영되어 사천왕 및 시왕, 산신 등의 상호와 유사한 표현을 사용한 의승장이라는 전에 없던 유형의 불교인물상을 표현하려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Portraits of Monk Samyeong Yujeong(四溟 惟政, 1544-1610)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arge number of portraits depicting the Joseon dynasty monk Samyeong Yujeong(四溟惟政). Of the many high priests of Buddhism represented in Korean portraiture, Samyeong Yujeong is portrayed in an abundance of extant examples that display unique sangho (相 好,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a) in aspects such as facial hair. In addition to an analysis of these physical traits and their stylistic transformation over time, the text examines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The results of this examination reflect a correlation between the systematic changes in Samyeong Yujeong’s appearance present in his portraits to an awareness of the different stages in the monk’s life as well as the existence of contrasting perceptions of Samyeong by the different social strata of the time. The first approach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various historical records regarding Samyeong Yujeong and his life. Through these historical records, we review the manner in which Samyeong was perceived during his life by the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religious sects of the time including Confucian or Buddhist groups, the common public, etc.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nd goal of the portraits’ creation is also determined by a study of the Dharma lineage of the temples that house extant examples of Samyeong’s portraits as well as a comparison to other portraits of Buddhist priests produced in the same period. A total of twenty two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analyzed and organized by the different visual elements expressed in each example. The apparent elements include the circumstances of production, background information, sangho, attire, and the various objects depicted among other visual details. These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nd their origins are ascertained in order to chart the changes of each element in a sequential manner. As for the portraits themselves, they are separated into three periods based mainly on the expression of sangho. Final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nd their systematic transformation are related to the varying perceptions of Samyeong that endured during and after the monk’s life. The results of this thesis show that the portraits of Samyeong Yujeong are unique in that they were created by the Pyeonyang(鞭羊) Dharma lineage active in the region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after the 18th century. This is an unusual event in that the Buddhist tradition dictated the assignment of such a task be given to the Jikgye Dharma lineage. At the center of the Samyeong portraits’ production is the construction of a seoak seowon(賜額書院), a confucian education institute, at the site of Pyochungsa (表忠寺) temple that served as the base of operations for the main priesthood of Dochongseop(都摠攝). In terms of the physical attributes of Samyeong portrayed in the portraits, it is clear that the initial portraits took a naturalistic approach to depicting the various articles of the deceased such as the gasa(架裟) or ceremonial robes, robe decoration, objects, etc. However, as time passed, the disparate manner of portraying these aspects were combined and transformed to take on a more stylized appearance. Thus the three periods of the Samyeong portraits can be described as an intial first phase during which the monk was portrayed as an ideal of the Buddhist faith and a second and third phase during which the portraits reflect a particularly Confucian and folk perception of the monk through the incorporation and reflection of figures such as the four heavenly guardian kings, ten kings of hell, mountain guardian spirit, etc. The last two phases are particularly noteworthy as the portraits of the two periods took on a new approach to portraying figures of the Buddhist faith to produce never before seen forms such as the uiseungjang(義僧將) or military monk general.

      • 유아교육에서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정은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71

        국문초록 유아교육에서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정은 유아교육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에서의 스마트기기 활용현황 및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253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스마트기기는 태블릿 PC와 스마트TV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의 현황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교사의 연령과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스마트기기 활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스마트기기 활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적절한 스마트기기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eachers' Perception of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You, Jeongeun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Research participants were 25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Incheon, Gyeonggi,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blet PCs and smart TVs were the most popular smart dev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urrent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age, work experience, and types of institution.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smart devices for effective teaching.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according to age, work experience, and types of instit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utilization of appropriate smart device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education.

      • 낭만주의 발레작품 「지젤」 에 나타난 비극성 연구

        유정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사회는 시대적 상황 따라 인간의 환경을 빠르게 변화시키며, 사회 변화에 따라 나타난 시대적 특징들은 당대의 문화와 예술에 반영된다. 발달하는 문화와 예술의 원인을 규명해보면 사회적 배경과 서로 교묘하게 상호보완하며 발달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예술분야에서 무용은 역사적으로 사회적 배경의 영향을 많이 받아온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떠한 양식의 예술이든 당시에 일어난 역사적, 사회적 배경을 떠나서 논의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낭만발레작품 「지젤」에 나오는 비극성이 어떻게 시대적 영향을 받으며 표현되는지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비극성의 고전적, 근대적, 현대적 시대적 유형을 탐색함으로써 지젤에서의 안무적, 음악적 측면에서 비극성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낭만주의 예술과 비극성의 정의, 비극성의 시대적 유형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하였으며, 이러한 문헌고찰을 토대로 지젤에서의 비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자는 비극성의 시대적 유형 중에서 고전적 비극성과 근대적 비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지젤」의 탄생시기가 프랑스 대혁명과 산업혁명이라는 시기를 고려하였을 때, 고전적 비극성과 근대적 비극성과의 접점은 찾아볼 수 있었으나, 지젤이 낭만주의시대를 배경으로 구성되어진 작품이니만큼, 현대적 비극성과는 연관되는 부분이 거의 미비했기 때문이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살펴본 지젤에서의 비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발레작품지젤에 1막과 2막에 나타난 안무적 측면을 가지고 비극성과 고전적, 근대적 비극성을 연관 지어 살펴보면, 1막에서 지젤은 알브레히트에게 약혼녀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에 빠져 죽게 된다. 2막에서는 알브레히트가 지젤의 무덤에 찾아오고 무덤 주변에 있는 윌리들은 알브레히트를 죽이려고 한다. 그 순간 아직도 사랑을 잊지 못한 지젤은 알브레히트를 살려준다는 아름답지만 비극적으로 끝나는 구성이다. ‘고전적 비극성’과 연관지어보면 지젤의 작품을 통하여, 우리는 극에서 관객이 모방을 통해 감정이입을 하면서 극중 인물에 대한 연민과 공포를 통하여 감정의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것이다. 또한 ‘근대적 비극성’에서 니체는 본질적으로 비극을 자신의 삶에 순응하여 주인공의 희생에 대해 동의하며, 이 상황을 초연하게 받아드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결과 비극적인 지젤의 삶의 고통을 보여주면서 주인공은 비극에 대해 초연하게 받아드리는 것과 연관을 지을 수 있다. 둘째, 지젤의 음악적 측면에서 비극성을 드러나게 했던 특징은 ‘유도동기’, ‘불협화음’, ‘반음계적 기법’, ‘잇단음표’, ‘다이나믹 효과’, ‘트레몰로 기법’을 사용하여 낭만주의 음악적 특성을 통해 표현했으며, 동작과 함께 연관되어 작품에 표현되고 내포된 극적인 대본의 내용과 다양한 정서의 반영, 등장인물의 심리적 변화, 내면 감정의 표출 등 보다 섬세하게 나타나 비극적인 장면을 더욱 실감나게 표현하였다. 그리하여 관객의 그의 몰입도를 더 높여주어 극에 나타난 정서에 흡수될 수 있도록 조력했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낭만주의 발레작품「지젤」에 나타난 비극성을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가 낭만발레「지젤」작품 분석의 관점을 다양화하고 지젤의 문학적, 발레사적 의무를 고양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여성 불임환자에 대한 한의 진단도구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유정은 大田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1855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how the oriental medicine diagnostic methods are the objective and effective examination for the women infertility. Methods : We have studied 38 women infertility patients in the Dunsan oriental hospital by using the oriental medicine diagnostic methods. There are 6 oriental medicine diagnostic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the women infertility: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e(DITI); Heart Rate Variability(HRV); body composition; pulse diagnosis analysis; Questionnaire for the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QSCC II); and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Results : 1. In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analysis, the patterns were observed in order of frequency: liver stasis; blood deficiency; kidney-yang deficiency; kidney-yin deficiency; damp-heat; blood stasis; and phlegm-damp. The group, who were less than 35 years old, had the higher average score of liver stasis (p<0.05). 2. In QSCC II analysis, the number of Soeumin, Taeumin, and Soyangin were similarly presented in the study, but there were no Taeyangin. Taeumin had the higher average score of phlegm-damp. 3. In pulse analysis, both right and left chi parts were stronger than other parts. Short pulse(短脈), fine pulse(細脈), skipping pulse(促脈), shallow pulse(浮脈) and deep pulse(沈脈) were often representative pulse types for the main organs of woman infertility. 4. In thermography analysis, DITI patterns were observed in order of frequency: 30 subjects(78.95%) for Lower abdomen-cold; 26 subjects(68.42%) for Chest-heat; 12 subjects(31.58%) for Hand & foot cold; and 5 subjects(13.16%) for Hand & foot heat. The group, who were more than 35 years old, had the higher different temperature (ΔT2) between left and right breast (p<0.01). 5. In HRV analysis, 68.42% of subjects showed decrease in autonomic nerve activity, and 31.57% of subjects showed autonomic imbalance. 6. In body composition analysis, the subjects, who were lack of water, protein, and fat, had the higher average score of blood deficiency (p<0.05). Conclusion : The subjects showed good compliance for the oriental medicine diagnostic methods, and there was no abnormal response during the study. Therefore, the oriental medicine diagnostic methods are objective and effective ways to exam factors of women infertility.

      • 무름 병에 걸린 능이버섯에서 분리한 MK1의 배양조건 최적화와 MK1의 EPS 특성 : Optimizing Culture Condition of MK1 Strain Isolated from Soft-Rotten Tissue of Neung-ee Mushroom and Its Exopolysaccharide

        유정은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MK1 strain producing a copious amount of exopolysaccharide (EPS) is an obligate aerobic heterotrophic novel bacterium isolated from soft-rotten tissue of Neung-ee mushroom (Sarcodon aspratus). A preliminary data showed that EPS produced by MK1 strain has an immunostimulating effect. In this study, optimal growth condition of MK1 strain and its EPS were studied, and then element analysis, sugar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MK1 EPS were characterized. MK1 was able to utilize glucose, galactose, fructose, lactose, and sucrose, but potato starch and dextrin not. However, lactose seemed to be a less favorable carbon source. Optimal growth of MK1 was obtained at pH 7.0, 30℃, and 200 rpm with 2% glucose, (NH4)2SO4 with C/N ratio of 10~40/1 (w/w). MK1 EPS obtained from an optimal growth condition was constituted of carbon (37.1%), nitrogen (2.2%), oxygen (49.3%), and hydrogen (6.4%), but no sulfur. This EPS composing glucose, rhamnose, mannose, arabinose, glucosamine, and glucuronic acid in an approximate molar ratio of 1.00: 0.08: 0.05: 0.03: 0.10: 0.008 was a heteropolysaccharide containing acidic and amino carbohydrate. Its molecular mass determined by SDS-PAGE/silver staining varied from 14.8 to 47.9 kDa. gluEPSs obtained at different medium pH differed in sugar composition, viscosity, and texture. Paper chromatograph of these gluEPSs showed that EPSs obtained from pH 6.0-, 6.5-, and 7.0 -medium were similar but dissimilar with that of pH 7.5 -medium. All of these gluEPS commonly have both rhamnose and amino group. Physical properties of gluEPSs such as relative viscosity and crystalline morphology of EPSs were rather dissimilar. Relative viscosity of gluEPS (0.1 g/㎖) obtained at different medium pH ranging from 6.0 to 7.5 was 1.23 to 1.39.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freeze-dried gluEPSs obtained at low pH (6.0 and 6.5) were fine crystals and water-soluble, whereas those obtained at high pH (7.0 and 7.5) were rather gluey and less water-soluble. The highest productivities of both glu- and fruEPS exhibited in unfavorable bacterial growth condition at pH 6.0, 7.5 and C/N 40, 80/1.

      •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유정은 평택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이야기를 탐색하 고 전체적 삶의 맥락 속에서 초등학생 자녀의 양육 경험이 시간적·공간적 흐름 에 따라 어떻게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시간적, 공간적, 사회적 관계의 3차원적으 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모두 두 명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두 자녀 모두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어머니들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0 년 6월부터 2020년 7월까지 1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후 연구 텍스트를 작성하 면서 필요한 부분에 대해 추가적인 면담은 2021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진 행되었다. 연구자는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경험을 통합적으로 이 해하고자 ‘초등학생 이전 자녀 양육이야기’, ‘초등학생 자녀 양육이야기’, ‘초등학 생 자녀와 살아가는 이야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에 이들이 경험한 이야기들을 의미하는 바를 왜곡하지 않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김선아]의 이야기는 <희미해지는 존재감>, <혼자 책임져야 하는 일>, <엄 마의 준비>, <준비되지 않은 것을 해야 하는 엄마>, <요구가 생김>, <희망에 부풀어지는 엄마의 마음>, <여러 모습의 내가 드러남>, <자녀의 살아가는 방 식을 존중하려는 노력>이었다. [박지혜]의 이야기는 <엄마라는 신호탄>, <아이 에게 쥐어주고 싶은 것>, <나와 다르게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 <아이의 미래 - iv - 를 염려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흔들리는 나를 발견함>, <다시 살아내는 어 머니의 삶>, <달라진 자신을 느낌>, <진정으로 느끼는 뿌듯함>이었다. [송미 라]의 이야기는 <돌봄에 사로잡힘>, <나만의 방식으로 풀어감>, <해야만 하는 쓴 소리>, <내가 꿈 꿔온 엄마의 모습>, <아이들을 통해서 존재감을 느낌>, <삶에서 느끼는 또 다른 활력>, <고비 끝에 만난 기쁨>, <계속해서 배워가는 과정 속에서 만난 나>이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양육 경험 이야기 속에서 발견한 경험의 의미는 <거대한 쳇바퀴와의 맞물림>, <내 삶과 사회적 삶의 줄다리기>, <의존과 독립 이 교차함>, <온 삶을 헤집어 나침반을 찾음>, <자녀에게로 이르는 길>로 이 렇게 다섯 개의 핵심적인 의미를 도출하였다. <거대한 쳇바퀴와의 맞물림>은 자녀들이 입학할 연령이 될수록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라는 공교육 시스템이라 는 환경에 자녀를 적응시키기 위한 노력뿐만 아니라 어머니들 또한 그 변화에 적응해야만 하는 어려움을 의미한다. <내 삶과 사회적 삶의 줄다리기>는 자녀 가 초등학생이 되면서 담임 선생님, 친구들 그리고 학원 선생님의 평가를 받게 된다. 그 과정에서 자녀에 대한 평가는 그동안 자녀를 양육해온 어머니가 받게 되는 성적표를 의미한다. 이처럼 어머니가 다양한 사람들에게 받는 평가를 통해 서 자신만의 양육방식과 자녀를 사회적 기준에 맞춰서 양육하는 사이에서 팽팽 하게 서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의존과 독립이 교차함>은 어머니는 성장한 자녀 에게 요구가 많아지고, 자녀는 초등학생이 되면서 자신의 사회적인 삶의 영역이 확장되고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들은 점차 적어진다. 이 사이에서 어머니는 자녀 가 스스로 하길 바라는 모습과 아직 자신의 양육 안에 좀 더 머물기를 바라는 모습이 교차적으로 존재함을 의미한다. <온 삶을 헤집어 나침반을 찾음>은 연 구 참여자들은 자녀와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 다. 그 결과 성찰을 통해서 자신의 성장과 함께 진정으로 원했던 양육의 방향성 을 찾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초등학생인 자녀에게 성적에 대한 압력을 가 하기보다 성인이 되어서도 살아갈 수 있는, 미래를 살아갈 아이의 삶에 대한 방 향을 찾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자녀에게로 이르는 길>은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자신의 양육 방식을 찾아가고, 그 지향점으로 이르는 길에서 자신만의 방식을 벗고 양육에서의 또 다른 주체인 자녀의 존재를 동반자로서 이해하고 그 존재의 방식을 배워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양육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지만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기에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어머니 - v - 들의 경험을 내러티브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 가 있다. 아울러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세세하고 총체적인 이해를 통해 경험을 밝히고 양육의 의미를 발견하고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되며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명상 수행을 통한 백자 제기(祭器) 연구 : 물레 성형 기법을 중심으로

        유정은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만족감과 흐뭇한 상태인 행복은 인생의 궁극적 목적이다. 육체적 건강뿐 아니라 정신적 행복을 염원하는 삶은 내면과 외면이 풍성해지는 평안한 행복의 상태를 경험하게 해준다. 인간은 사회를 구성하고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뿐 아니라 타인의 행복도 존중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비의 마음을 더불어 수행한다면 행복을 일구어 가는 삶의 방향을 가질 수 있다. 행복을 소망하기 위한 수행은 정신을 고요한 내면의 세계로 이끄는 몰입의 자세이다. 사람은 명상 수행을 통해 불교에서 지향하는 삼매(三昧)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여 산란하지 않은 상태. 마음이 들뜨거나 침울하지 않고 한결같이 평온한 상태. 마음을 집중⦁통일 시키는 수행, 또는 그 수행으로 이르게 된 평온한 마음 상태.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서울: 시공사, 322 를 경험할 수 있고 새로운 감정과 긍정적인 정신을 얻게 된다. 연구자는 행복을 염원하는 수행의 자세로 물레를 사용하여 조선시대의 백자 제기를 재해석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마음을 챙기고, 내면의 고통이 가라앉는 평안한 행복의 상태를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물레를 이용하여 제기를 제작하는 동안 물레 성형과정에 온전히 몰입하여 결과물을 완성시켰다. 이러한 작업과정은 수행적 행위인 명상과 같았다. 이를 통해 마음속을 들여다보는 차분한 감정을 느끼며 심적 안정의 상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완성된 제기를 돌탑과 같은 형태로 설치하며 진정한 행복을 찾는 계기를 얻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선행된 예술작품들을 분석하고 수행을 통해 내면을 직시하여 고통을 없앤 효과를 언급하며 연구 내용이 마무리된다. 본 연구는 행복을 소원(所願)하기 위한 몰입, 즉 명상 수행의 방법을 토대로 심리적 편안함을 느끼며 작품과정을 진행한 연구자가 행복에 대한 공감과 의문을 관람자에게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에 따른 소비가치 및 지속소비가능성 : MZ세대 여성소비자 중심으로

        유정은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psychology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of female consumers of MZ generation who are interested in or have purchased and used early anti-aging cosmetics and to find out whether they affect the consumption value and sustainability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543 copies of the online survey conducted from April 04 to April 7, 2022 for female consumers of MZ generation residing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analyzed the results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e's post-ver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hypothesis 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urchase status of cosme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anti-aging interes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early anti-aging cosmetics recognition, satisfaction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early anti-aging cosmetics consumption psychology, consumption value, and sustainability. Thi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purchas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y of consuming early anti-aging cosmetics, the consumption valu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nd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consumption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early anti-aging cosmetics consumption psychology, consumption value, and sustaina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nti-aging interest, early anti-aging cosmetics recognition, and early anti-aging cosmetics satisfaction. Fif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er sentiment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the consumption valu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nd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consumption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Sixth, the consumer sentiment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ffected the consumption valu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nd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consumption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Seventh, the consumption valu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ffected its possibility of continuous consumption. Eighth,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consumption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affected the consumption value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consumer sentiment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consumption value and sustainability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and be used for data for developing early anti-aging cosmetics and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to hel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arly anti-aging cosmetics market by understanding the consumer sentiment of early anti-aging cosmetics, the consumption value, and the sustainable consumption potential. 본 연구는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에 관심이 있거나 구매 및 사용해 본 적 있는 MZ세대 여성소비자의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를 파악해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의 소비가치 및 지속소비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MZ세대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2022년 04월 04일부터 04월 07일 까지 실시한 온라인 설문 5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탐색적 요인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s의 사후검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화장품 구매실태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티에이징 관심도,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인식,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만족도,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 소비가치, 지속소비가능성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화장품 구매실태 특성에 따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지속소비가능성은 차이가 있었다. 넷째, 안티에이징 관심도,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인식,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만족도에 따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 소비가치, 지속소비가능성은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지속소비가능성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여섯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는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지속소비가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는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지속소비가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지속소비가능성은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심리는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소비가치 및 지속소비가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의 소비심리와 그에 따른 소비가치, 지속소비가능성을 파악하여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시장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 얼리안티에이징 화장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자료에도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플루오르 원자와 알킬기를 동시에 도입한 친환경 유기태양전지용 공액 고분자의 합성 및 특성 연구

        유정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Non-fullerene organic solar cells (NFOSCs) are attracting increasing academic and industrial interest due to their potential uses for flexible and lightweight products using low-cost roll-to-roll technology. In this work, two wide band gap (WBG) polymers, namely P(fTh-BDT)-C6 and P(fTh-2DBDT)-C6, are designed and synthesized using benzodithiophene (BDT) derivatives. Good oxidation stability and high solubility are achieved using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fluorine and alkyl chains to a single thiophene (Th) unit. Solid P(fTh-2DBDT)-C6 films present WBG optical absorption, suitable frontier orbital levels, and strong π–π stacking effects. In addition, P(fTh-2DBDT)-C6 exhibits good solubility in both halogenated and non-halogenated solvents, suggesting its suitability as donor polymers for NFOSCs. The P(fTh-2DBDT)-C6:3,9-bis(2-methylene-(3-(1,1-dicyanomethylene)-indanone))-5,5,11,11-tetrakis(5-hexylthienyl)-dithieno[2,3-d:2ʹ,3ʹ-dʹ]-s-indaceno[1,2-b:5,6-bʹ]dithiophene(ITIC-Th)-based device processed using CB/DIO exhibits a remarkably high-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 of 11.1%. Moreover, P(fTh-2DBDT)-C6:ITIC-Th reaches a high PCE of 10.9% when processed using eco-friendly solvents, such as o-Xylene/DPE. The cell processed using CB/DIO maintains 100% efficiency after 1272 h, while that processed using o-Xylene/DPE presents a 101% increase in efficiency after 768 h and excellent long-term s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imultaneous fluorination and alkylation are effective methods for designing donor polymers appropriate for high-performance NFOSCs. Non-fullerene organic solar cells (NFOSCs)은 가벼운 무게와 유연성, roll-to-roll 공정을 이용한 낮은 생산 비용을 가져 학계와 산업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우수한 광전기적 특성을 갖는 유기태양전지의 개발로 실용적 적용 단계에 관한 연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효율의 친환경 유기태양전지를 위한 2종의 wide band gap (WBG) 고분자 P(fTh-BDT)-C6, P(fTh-2DBDT)-C6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고분자는 benzodithiophene (BDT) 유도체를 기반으로, 단일 thiophene unit에 플루오르 원자와 알킬기를 동시에 도입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좋은 산화 안정성과 용해도를 기대했다. 두 고분자는 EA, GPC, TGA, UV-vis spectroscopy, CV, XRD, AFM을 통해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 중, P(fTh-2DBDT)-C6는 높은 산화안정성과 WBG optical absorption을 가졌고, solid film에서 강한 π–π stacking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할로겐 및 비할로겐 용매 조건, 모두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 NFOSCs에 알맞은 고분자라는 것을 알 수 있다. ITO/ZnO/Polymers:ITIC-Th/MoO3/Ag의 inverted 구조를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제작한 결과, chlorobenzene/1,8-diiodooctane (CB/DIO)의 할로겐 용매 조건에서는 VOC = 0.94 V, JSC = 17.1 mA cm−2 그리고 FF = 62.8%로 11.1%의 가장 높은 PCE를 나타냈다. 또한, 비할로겐 용매 조건인, o-Xylene/diphenyl ether (DPE) 친환경 용매를 사용한 소자에서는 VOC = 0.92 V, JSC = 17.3 mA cm−2, FF = 68.4로 10.9%의 괄목한 효율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소자의 장기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CB/DIO에서는 1272 h 이후 초기 효율 대비 100%의 효율을 유지했으며, o-Xylene/DPE는 768 h 이후 101%의 효율을 나타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플루오르 원자와 알킬기를 동시에 도입하는 기술이 친환경 고성능 NFOSCs에 알맞은 공액 고분자를 설계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