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이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하지근력,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유요한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국 문 요 약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이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하지근력,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이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의 하지근력, 균형 및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 환자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을 시행한 실험군(n=18)과 탄력밴드운동만 시행한 대조군(n=17)으로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을 시행한 실험군은 스위스볼 운동 30분과 탄력밴드 운동 30분을 일주일에 세 번, 8주 동안 실행하였다. 탄력밴드 운동만 시행한 대조군은 탄력밴드 운동 30분을 일주일에 세 번, 8주 동안 실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첫 번째 치료 전에 하지근력, 정적·동적 균형능력, 통증 수치를 측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모든 치료가 끝난 8주 후에 아무런 치료 없이 결과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군은 하지근력, 정적·동적 균형능력, 통증 수치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탄력밴드 운동군은 정적 균형능력을 제외한 하지근력, 동적 균형능력, 통증 수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5).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한 탄력밴드 운동군이 정적·동적 균형능력과 통증 수치에서 탄력밴드 운동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스위스볼 운동과 탄력밴드 운동 모두 퇴행성관절염을 가진 중년여성에게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탄력밴드 운동에 스위스볼 운동을 병행 시행할 때 균형 및 통증에 더욱 유의한 효과를 발견하였다. 주요어 : 퇴행성관절염, 스위스볼, 탄력밴드, 균형, 통증 ABSTRACT The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Accompanied by Swiss Ball Exercise on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Balance, and Pain of Middle-Aged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by Jhon YOO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Jong-eun Yim, Ph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accompanied by Swiss ball exercise on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balance, and pain of middle-aged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The participants include 35 middle-aged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that met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tudy.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n=18), which did elastic band exercise accompanied by Swiss ball exercise, and the control group(n=17), which did only elastic band exercise. The experiment group did 30-minute session of elastic band exercise and a 30-minute session of Swiss ball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over eight weeks. The control group did 30-minute session of elastic band exercise three times per week over eight weeks. Both the groups were measured in the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and pain level before the first therapy session. All of the participating patients underwent an outcome evaluation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s after eight weeks of therap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 group of both elastic band exercise and Swiss ball exercise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and pain level(p<0.05). The control group of only elastic band exercise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dynamic balance ability, and pain level(p<0.05) with no such improvement in static balance ability. The exercise group made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and pain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p<0.05).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both Swiss ball exercise and elastic band exercise were effective for middle-aged women with degenerative arthritis and found that elastic band exercise accompanied by Swiss ball exercise generate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balance and pain. Keywords: degenerative arthritis, Swiss ball, elastic band, balance, pain

      • 선형 모션 스테이지용 수동 반발력 보상장치의 와전류 감쇠기

        유요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선형 모션 스테이지용 수동 반발력 보상 기구는 모션의 고가감속 구동 시 시스템 베이스로 전달되는 반발력을 보상한다. 수동 반발력 보상 기구의 효과는 실험으로 검증되었지만 고가감속 구동 시 수동 반발력 보상 기구의 고유주파수와 일치하는 모션 프로파일을 입력하면 자석 트랙이 공진하는 문제를 발생한다. 자석 트랙 공진 문제는 자석 트랙 양단에 도체 판의 와전류 감쇠기를 설치하여 해결 가능하지만 비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어 와전류 감쇠기의 동특성 해석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 모션 스테이지용 수동 반발력 보상 장치의 와전류 감쇠기를 연구하였다. 첫째, 유효 폭과 일정한 배열로 일정한 주기 함수를 갖는 자석 트랙의 자기장 특성을 고려하여 초기 위치에 따라 변하는 와전류 감쇠기의 비선형 특성을 수학적으로 유도한다. 수학적으로 유도한 와전류 감쇠기의 비선형 특성을 확인하고 속도, 재질, 두께 변화에 따라 감쇠를 측정하여 이론식과 오차를 확인한다. Passive Reaction force compensation device of linear motion stage compensates for the reaction force provided by the system-based high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t the time of driving the motion. Effect of passive reaction force compensation device experimentally verified. However if the frequency of motion profile include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passive reaction force compensation device, the problem of the magnet track resonance occur. These Problems can eliminated by installing the eddy currents damper with the conductive plate at both ends of the magnet track. However, a analysis of the eddy current damper is required by non-linear dynamic characteristic. In this work, an eddy current damper of linear motion stage for passive reaction compensation device is studied. First, a nonlinear characteristic of the eddy current damper derived according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gnet array. Second, the equation of the eddy current damper is verified by measuring the damping for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amper parameters.

      • 북한의 ‘핵무력 강화 정책’이 국방전략에 미친 영향

        유요한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북한의 ‘핵무력 강화 정책’과 ‘공세적 국방전략’의 관계를 규명하 는 것에 목적을 두고, 김정은 집권 이후 11년 동안 북한이 추진했던 핵무력 강화 정책과 국방전략을 분석했다. 북한의 핵무력 강화는 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부여했고, 이는 국방전략을 더욱 공세적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했다. 북한은 자신들의 정권을 지키고 고립된 상 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핵무력을 기반으로 역내 균형에 도전하며 주도권을 확보하고, 상대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노력하며, 국방전략의 공세성을 강화하 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군사적 오판이 한반도에서의 확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전망의 학술적 토대가 될 것이다. 핵무력 강화 정책과 국방전략의 관계는 국방전략을 목표, 운용, 건설의 측 면으로 구분하여, 신흥 핵 국가의 핵확산에 따른 행동패턴 특징으로 설명 할 수 있다. 핵무기는 신흥 핵 국가의 공세성에 영향을 미치며, 신흥 핵 국가는 대외전략에 자신감을 갖는다. 북한과 같은 신흥 핵 국가가 핵을 획득함으로 써, 현상을 변경하기 위해 더욱 공세적인 목표를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신흥 핵 국가가 핵무기를 통해 대담한 전략 목표를 추구하며 현상 변 경을 시도하고, 이러한 공세성은 국방력 운용 및 건설에도 영향을 미친다. 북한은 핵무력 강화 정책을 통해, 지속적으로 핵능력을 증진시켰다. 그 결 과, 북한은 최소 30기 이상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술핵 사용을 위한 소형화, 경량화를 위한 기술력도 일정 수준 향상 된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은 투발 수단의 다종화를 위해 지속적인 시험 발사를 강행하며, 기술력의 한계 를 러시아 등의 도움을 통해 극복하여 군사 목적의 정찰 위성까지 정상 궤도 에 진입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북한의 핵교리와 핵태세를 바탕으로 평가해 본 결과, 북한은 ‘확증보복’과 ‘비대칭확전’이 혼합된 공세적 핵전략을 추구하 고 있다. 한편, 북한의 핵 지휘통제 체계는 기본적으로 ‘부정적 통제’를 강화 하기 위해 김정은 중심의 ‘독단적’ 지휘체계를 유지할 것이다. 현재는 우발상 황에 대비하기 위해 ‘위임형’ 지휘체계를 법령에 명시해놓은 것으로 보이나, 궁극적으로 관리적 측면에서 지휘통제 체계 능력을 향상시켜 ‘위임형’ 지휘체 계도 가능토록 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북한의 핵은 더 이상 수세적 용도 가 아니며, 공세적으로 저수준 분쟁에서도 사용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북한의 국방전략은 핵개발 이전에도 공세적이었다. 북한은 김정은에게 세 습된 정권의 안보를 우선시하며, 정치ㆍ군사ㆍ경제적으로 고립된 자신들의 상황을 타개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한다. 핵무력의 강화는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기위해 시행된 정책이지만, 오히려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 북한 에게 가해진 제재들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았다. 오히려 핵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국방력 운용의 방향을 핵ㆍ재래식 통합, 협박과 무력도발을 순환적으로 사용하는 공세적 강압 등으로 지향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북한이 핵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한국 등의 적대세력과의 분쟁 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여길 수 있다는 것이며, 국방력을 더욱 공세적으로 운용하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 국방전략의 공세성은 건설적 측면에서 도 드러났다. 그들의 대남혁명전략을 달성하고, 화전양면전략을 지속하기 위 해서 핵전력을 보유했음에도, 여전히 대규모의 재래식 전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질적으로 열세한 재래식 전력의 차이를 극복하고자, 비대칭 전력인 핵 ㆍ생화학무기 등의 대량살상무기를 비롯해 특수작전군, 사이버전력 등을 강 화했다. 북한은 핵개발로 인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핵무력 강화를 통해 공 세적인 전략을 지향함으로써, 핵전략이 그들의 상위전략 전반의 공세성을 부 여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북한의 공세성은 군사적 오판을 초래 할 것이다. 특 히, 핵을 무장한 북한은 한국을 포함한 인접국가와의 분쟁을 쉽게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안정ㆍ불안정의 역설’의 현상이 한반도에서 쉽게 발생하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요어 : 핵무력강화정책, 국방전략, 북한, 공세성

      • 私人 公用收用의 합헌성 담보 방안에 관한 연구

        유요한 한양사이버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국민경제에서 민간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됨에 따라, 私人에 의한 토지수용을 허용하는 개별 법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인의 토지수용권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공용침해의 본질적 요소가 되는 공공의 필요, 즉 공공성이 있는 사인의 개발사업과 관련하여 헌법상 공공필요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범위가 과연 사인을 위한 공용침해의 허용범위가 되는지의 여부가 관건이 된다. 뿐만 아니라, 사인을 위한 토지수용권을 인정하는 경우, 특정 사업과 관련하여 특별한 희생을 감수하는 자들에 대한 기본권 보장의 입장에서 법의 합목적성 측면에서 여하의 제반 걸림돌을 어떻게 풀어갈 수 있는지 여부도 주된 쟁점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기한 쟁점들에 대한 해답을 얻고자, 사인에 의한 토지수용에 대하여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그에 대한 법리를 정립하고,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연구의 전제로서 사인의 토지수용에 대한 개념정립, 사인의 토지수용권에 관한 법적 근거, 외국의 입법례 및 미국와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의 판례 등을 고찰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2장과 제3장을 토대로, 현행 개별법의 불완전한 입법 장치에 대한 법·제도적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사인 공용수용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공적 주체에 의한 수용과는 달리, 공익사업의 계속적인 실현이 담보되지 않는다. 1차적으로 이윤추구를 목표로 하는 경제주체인 민간기업이 공적 과제 내지는 공익사업의 수행과 조화될 수 없을 때에는 해당 공익사업의 실현이 소흘히 될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인 공용수용 제도를 시행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계속적 공익실현을 담보할 수 있는 보장책을 마련해야 하고, 이러한 보장책이 강구된 이후에야 비로소 사인 공용수용은 헌법상 정당화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사인을 위한 공용수용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공공필요성을 확고히 인정받을 수 있는 방안과 공익성을 계속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사인 공용수용권의 행사요건 강화, 공익성판단기준의 법제화, 개발이익의 환수제도 보완, 행정청의 공익을 위한 처분 및 감독명령의 활용, 환매제도의 적절한 활용, 실효 및 취소 등의 행정행위부관의 활용, 조세 및 부담금의 감면 등의 입법적 보완책을 제시하였다.

      • Silane coupling제로 표면 처리된 ATO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제조된 대전방지 ATO/EPOXY 코팅 물성

        유요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For purpose of anti-static film remaining unchanged in the condition of 160℃, organic solvent, acid and base solution 0.01∼0.03&micro;m particles of Sb doped tin oxide(ATO) were grafted by 3-Glycidyloxypropyltrimethoxysilane(GPTS) for improving interfere bonding force between ATO and epoxy resin. The particles were dispersed in 2-methoxyethanol with YD-128(Bisphenol A type epoxy resin, Kukdo chemical) and 1-imidazole as hardener. The anti-static solutions were coated on PI film as thickness of 0.1&micro;m. Surface resistivity of anti-static film containing conductive polymer became 10¹²Ω/&#8414; after 32 hours in 160℃. The surface resistivity of ATO grafted by GPTS / Epoxy coating layer remained as 6.3x10^E+06Ω/&#8414; in 160℃ for 7 days. ATO grafted by GPTS / Epoxy coating layer coated on PI film was dipped in acetone for 7 days. The surface resistivity remained unchanged as 6.3x10^E+06Ω/&#8414;. The anti-static layer dipped in water solutions containing each KOH 10wt % and H₂SO₄2wt% was ultra- sonicated for 10 minutes per once until 30th. The surface resistance of anti-static layer containing ATO grafted by GPTS remained unchanged.

      • Risk factors for non-adherence to antiretroviral therapy in HIV-positive patients wherein government supports all of the medical costs

        유요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Background: In South Korea, expense of the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and patient care are fully supported to the patient by the gover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non-adherence to HAART in a setting wherein reimbursement is provided. Methods: HIV-positive patients who received HAART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19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s a measure of drug adherence,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was used, and those who had an adherence average of 95% or less were defined as the non-adherent group.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between adherent and non-adherent groups were compar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non-adherence. Results: Of the 448 HIV-infected individuals, 42 patients (9.4%) were non-adherent. In multivariate analysis, younger age (OR 1.055; 95% CI, 1.022-1.089), longer time from diagnosis to HAART (OR 1.011; 95% CI, 1.002-1.021) unemployed (OR 4.635; 95% CI, 2.103-10.216), distance between hospital and home (OR 3.095; 95% CI, 1.386-6.914), presence of psychiatric illness (OR 4.846; 95% CI, 1.972-11.910), and total pill count (OR 1.623; 95% CI, 1.282-2.055)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non-adherence to HAART. Conclusion: Beside total pill count, psychiatric disorders, time from diagnosis to HAART, and the distance from residency to healthcare clinic, unemployed was revealed as a risk factor for non-adherence to HAART despite the treatment reimbursement. 배경: 대한민국에서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제 요법(HAART) 진료비 전액은 환자에게 지원된다. 이 연구에서는 진료비 전액 지원이 제공되는 환자에게서HAART 복약 비순응에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국내 2개 대학병원에서 HAART를 처방받은 HIV 감염인들이 이번 연구에 등록되었다. 복약 순응도의 측정을 위해 약물 소지 비율(MPR)이 사용되었으며, 평균 95% 이하의 순응도를 가진 대상자들을 비순응군으로 정의하였다. 복약 비순응의위험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순응군과비순응군 사이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자료를 비교하였다. 결과: 448명의 HIV 양성인 중 42명이 HAART 비순응군으로 확인되었다(9.4%). 다변량 분석에서는 연령(OR 1.055; 95% CI, 1.022-1.089), HIV 양성일로부터 HAART 시작일까지의 기간 (OR 1.011; 95% CI, 1.002-1.021), 무직 (OR 4.635; 95% CI, 2.103-10.216), 병원 및 자택 간 거리(OR 3.095; 95% CI, 1.386-6.914), 정신과적 질환(OR 4.846; 95% CI, 1.972-11.910), 그리고 전체 약제 개수(OR 1.623; 95% CI, 1.282-2.055) 등이 HAART 복약 비순응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확인되었다. 고찰: 총 약제 개수, 진단일과 HAART 시작일 간의 기간, 병원-자택 간 거리 및정신과적 질환 외에, 무직은 진료비 전액이 지원되는 HIV 감염인에게서 HAART 비순응의 교정 가능한 위험 인자로 확인되었다.

      • A THEORY OF PUR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RELIGION

        유요한 Syracuse University 2005 해외박사

        RANK : 1839

        정결과 오염을 규정하는 체계들이 시대를 막론하고 거의 모든 문화들에서 발견되며 상이한 문화들의 정결 체계들 사이에서도 유사성이 주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종교학 분야에서는 정결과 오염의 개념에 대한 정교한 이론들을 발전시키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현재는 사회-기능주의적인 이론들이 정결과 오염의 연구에 있어 지배적이다. 이러한 사회-기능주의적인 이론들이 주로 정결의 사회적 차원에만 초점을 맞추어 온 반면, 본 논문은 정결의 종교적 차원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본 논문은 비교종교학의 관점에서 정결과 오염의 이론이 필요하다는 문제 의식 아래, 정결의 종교적 차원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은 고대 지중해 문화권의 세 종교 전통을 비교 연구하는 비교종교학의 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고대 이집트, 그리스, 이스라엘의 정결의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는, 내 이론적인 틀이 일반적인 정결 개념 뿐 아니라, 특정한 개별 문화들의 정결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본 논문의 이론에 따르면, "정결"은 첫째, 우주론적 세계관 내의 각 영역들의 필수적인 조건들을 가리키며, 둘째, 전체 우주론적 세계관을 구성하는 다양한 영역들 사이의 상호 관계를 규정하는 법칙들을 의미한다. "부정"은 한 영역이 그 영역의 필수적인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상태로 이해되며, "오염"은 한 영역이 다른 영역의 원리적 법칙들을 용납하지 못할 경우에 발생하는 영역들 간의 부정적인 영향을 가리킨다. 전술한 세 문화들의 우주론들에서는, 영역들은 신성의 영역- 비신성의 영역과 삶의 영역-죽음의 영역이라는 두 개의 기본적 구별에 근거하고 있다. 이러한 두 개의 큰 구별은 삶과 연관된 신성의 영역, 죽음과 연관된 신성의 영역, 삶과 연관된 비신성의 영역, 죽음과 연관된 비신성의 영역 등 네 개의 주요 영역들을 발생시킨다. 이 구별들의 특정한 방식들은 각 문화 내에서 다양하지만, 본 논문의 이론은 특정한 각 문화들에 적용된다. 이러한 것은 마지막 장에서 내 이론이 일본 종교의 정결 개념에 적용되는 모습을 통해 입증될 것이다. Though systems regulating purity and pollution are found in almost every culture and across historical time periods, and though the similarities among the purity systems of different cultures have been noticed, the field of comparative religion has failed to develop sophisticated theories about the concepts of purity and pollution. Currently, social-functionalist theories are dominant in the study of purity and pollution. While the social-functionalist theories have focused almost exclusively on the social dimensions of purity, my work has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also taking seriously the religious dimensions of purity. This dissertation represents my attempt to offer a much-needed theory of purity and pol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religion. A comparative study of three ancient Mediterranean cultures - ancient Egypt, ancient Greece, and ancient Israel - shows the usefulness of my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urity in general, as well as the purity ideas of individual cultures,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my theory, purity refers to, first, the requisite conditions or necessary qualities of each realm within a cosmological worldview, and second, the rules that regulate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various realms that constitute the total cosmological worldview. Impurity is understood as the failure of a realm to satisfy its requisite condition and pollution is the negative effects of one realm on another in cases when their rules cannot tolerate each other. In the cosmologies of these three cultures, realms were based on two basic distinctions - divine vs. non-divine, and life vs. death. These two distinctions generated four major realms: the divine realm of life; the divine realm of death; the non-divine realm of life; and the non-divine realm of death. While the specific way that the distinctions play out in a culture is variable, my theory of purity and pollution still holds, which will be affirmed through applying my theory to the Japanese case in the last chapter.

      • 한국어와 핑샹(萍?) 방언의 대조 연구 : 한국어 종결어미와 핑샹 방언 어기사를 중심으로

        유요 동국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한국어 종결어미와 중국 방언인 핑샹 방언 어기사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중국 핑샹 방언의 어기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우선 핑샹 방언을 개관하고 핑샹 방언 어기사의 특징을 살펴본 후 표준 중국어 어기사와 비교하였다. 이후에 한국어 종결어미의 분류, 기능, 통사와 의미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에 한국어의 종결어미와 핑샹 방언의 어기사를 대조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었다. 공통점은 네 가지가 있고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을 완성하는 기능이다. 한국어 문장에서는 종결어미가 있어야 문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어에서 종결어미는 문장을 완성하는 필수 요소라는 말이다. 핑샹 방언은 어기사가 없는 문장이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어기사가 없으면 어색하여 어기사가 없는 문장은 일상대화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핑샹 방언에서 어기사는 한 문장의 완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표준 중국어는 대부분 문장에서 어기사가 없어도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둘째, 문장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한국어는 종결어미를 통하여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청유문, 감탄문의 문장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핑샹 방언도 마찬가지로 어기사로 핑샹 방언의 문장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모두 다 문장의 유형이 무엇인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셋째, 화자의 감정이나 어기를 표현할 수 있다. 같은 내용의 문장이라도 어기사와 종결어미가 바뀌면 의미가 달라진다. 넷째, 문장 부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문장의 종결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앞에 언급한 화자의 의도, 감정 등도 표시한다. 어느 문장에서 종결어미나 어기사만 보아도 문장 부호가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종결어미와 어기사로 결정하는 문장 부호는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뿐이다. 이들은 문장 끝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여섯 가지가 있고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장의 의미에 영향을 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어 종결어미는 문장 유형을 바꾸는 기능이 있지만 그 내용의 뜻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한국어 문장에서 종결어미만으로 문장의 의미를 바꾸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다. 핑샹 방언 어기사는 문장 유형뿐만 아니라 문장의 의미도 바꿀 수 있다. 둘째, 억양에 따라 문장 유형이 변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한국어 종결어미들 중의 일부는 억양에 따라서 문장 유형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다. 이와 달리 핑샹 방언 어기사는 억양에 따라 문장 유형이 바뀌는 것이 일반적이고, 대부분의 어기사들은 두 개 이상의 문장 유형에 적용할 수 있다. 셋째, 문장에서 쓰이는 위치에 차이가 있다. 한국어에서는 연결어미가 종결어미화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결어미는 일반적으로 문장 끝에만 쓰이고, 연결어미로 쓰는 경우가 매우 적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하나의 문장에서 하나만의 종결어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달리 핑샹 방언 어기사는 기능이 다양하므로 문장 앞뒤에 쓰이고 중간에서도 쓰인다. 그 이외에 단독으로 쓰일 수 있고 단어로서 다양한 의미를 나타낸다. 넷째, 문장에서 필수 요소인지 아닌지에 차이가 있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필수 요소로 문장에서 종결어미가 없으면 문장이 될 수 없다. 이와 달리 핑샹 방언 에서 일부분의 어기사는 문장구조에서 필수 요소가 아니다. 즉 핑샹 방언 어기사는 표준 중국어 어기사보다 사용 빈도가 높지만 아직 필수 요소라고 할 수는 없다. 다섯째, 문법적 기능에 차이가 있다. 한국어의 종결어미는 독립요소가 아니라서 단독으로 쓰이지 못한다. 반면에 핑샹 방언의 어기사는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또 핑샹 방언 어기사의 기능과 사용법은 다양하기 때문에 대부분 문장 앞뒤에 쓰일 뿐만 아니라 중간에도 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국어 종결어미는 단어로 쓰이지 못하고, 핑샹 방언의 어기사는 독립요소인 단어로 쓰일 수 있다. 여섯째, 상대 높임을 표시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높임 등급을 표시하는 것이 한국어 종결어미의 기능과 형태적 특성 중에 하나다. 그러나 핑샹 방언은 표준 중국어와 동일하게 어기사가 높임 등급을 표시하는 것과 상관없다. 어기사는 소수의 닫힌 단어로서 변화무쌍한 의미를 지니며 유연하고 복잡한 사용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핑샹 방언의 어기사에 대한 전문 자료는 매우 적기 때문에 연구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핑샹 방언의 어기사를 종합적으로 수집하고 구성하려고 시도했으며 처음으로 핑샹 방언 어기사의 시스템을 확립하였다. 그러나 제한된 자료로 인해 수집된 정보가 상세하지 않으며 핑샹 방언의 기능만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가 언어 관련 학습자들을 위한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