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2 월드컵 마스코트를 이용한 팬시상품 디자인 연구

        유경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사회의 변화는 문화를 한 지역이나 국가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삶의 여러 형태를 보여 주는 소극적 개념에서 문화를 이용한 전략 상품개발로까지 확장되고 있다. 문화는 점점 그 부가가치가 높아져서 다른 정치, 경제, 산업 활동 보다 미래를 보장하는 확실한 바탕이 될 것이며, 급속도로 팽창하는 국제 문화시장 환경을 한 나라가 얼마만큼 점유하는가가 각 나라의 문화적 역량, 문화 산업의 활성화정도에 따른 생산품목의 질과 비례함을 의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의 문화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문화상품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나 성과물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 때문에 개발 된 문화상품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최근 문화관광부에서는 문화산업별 조직이 강화되고 문화상품과가 신설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문화상품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커지고 있으며, 한편 생활 및 문화수준의 향상에 따라 현대인들은 미적인 감각과 기능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 상품을 요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란 국가와 지역의 특수한 문화가치를 바탕으로 하여 이를 산업화하고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등 경제성을 목표로 하는 문화전반에 걸친 활동을 의미한다. 2002 월드컵대회 기간동안 엄청난 부가가치의 창출효과를 기대하였고, 고부가가치의 월드컵 문화상품이 ‘월드컵 특수’를 누렸다. 그러나 그 실상을 알고 보면 기존의 관광정책이나 상품을 고수하고 단지 그 명칭에 월드컵이라는 단어를 덧붙이는데 그치고 말았다. 월드컵 기념품점에서 판매하는 상품들은 개최국의 문화를 이해시키고 문화수준을 인식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관람의 시작과 종착점이자 미니갤러리의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국가이미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캐릭터 상품개발은 필수적이며, 수요층을 국내시장으로 한정하지 말고 거시적인 안목과, 다품종 소량생산의 품질과 디자인이 뛰어난 상품으로 승부를 걸어보는 적극성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월드컵 마스코트를 이용한 캐릭터상품의 개발 유형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월드컵경기가 끝난 이 시점에서 향후 상품의 판매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탈북자 난민인정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 인간안보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시론

        유경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미국과 일본, 중국과 러시아의 탈북자 난민인정 여부의 원인을 고찰하는 데 있어 현실주의적 입장인 전통안보의 관점과 더불어 인간안보 관점을 적용한다. 이를 통해 주로 전통안보의 대립과 갈등으로 설명하는 국제정치논의에 인간안보적 관점의 중요성 혹은 필요성을 강조한다. 민족국가 중심의 국제체제에서 국가안보는 개인으로서의 인간보다 중시되었다. 탈냉전 이후, 세계화는 국가와 여러 행위자의 상호의존을 심층화했고 다양하고 많은 문제들이 국제사회의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국제정치의 변화로 발생한 인간안보는 안보의 대상이 인간이다. 인종, 민족, 국적, 계급, 성에 상관없이 출생자체가 목적 그 자체이다. 개인, 집단, 공동체, 국제사회 모두가 인간안보의 행위자로서 인간의 생명과 존엄성의 보장을 통해 평화를 구축한다. 그 동안 인간안보에 대한 비판과 위기가 있어왔지만 공포와 결핍의 정치, 경제, 공동체의 문화와 존엄성, 보건, 환경의 다양한 문제로부터 인간을 보호하는 것이다. 인간안보의 시각을 헤게몬 충돌과 이해 갈등의 전통안보가 우선하는 동북아에 인권문제인 탈북자 사례에 적용한다. 인간안보의 부재로 양산된 탈북자들은 국제사회로부터 난민지위를 받지 못해 북한경내를 벗어난 이후에도 불안보에 시달린다. 중국과 러시아가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강제송환조치를 취하기에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 이 논문에서는 미국과 일본은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는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불인정하는 원인에 대해 살펴본다. 현실주의적 전통안보의 관점에서는 국제체제적 분석과 북한과의 4개국간의 양자관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냉전의 흔적으로 복합적 상호의존의 관계임에도 부상하는 중국과 러시아의 세력을 미국과 일본은 잠재적 위협으로 인식한다. 혈맹과 이념으로 묶였던 과거, 자원의 점유와 무역의 교두보로서의 경제적 이익, 자유주의의 압력에 대한 사회주의권 방벽, 북한 문제에서 국제사회의 입지 강화를 위해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에 협력하여 탈북자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반면, 미국과 일본은 직접적 위협인 북한과는 적대적인 관계에 있다. 그리고 미국과 일본은 북한체제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북한인권법과 납북자 문제를 동시에 사용하면서 탈북자를 난민으로 인정하고 있다고 본다. 인간안보적 관점에서 접근하기 위해 4개 국가의 정치안보와 공동체안보, 경제안보와 난민상황을 비교하여 분석한다. 권위주의적 정치체제의 중·러는 민주국가로서 인간중심적 정책결정을 위한 창구가 열린 미국과 일본에 비해 제한적이고 관료적 결정과정을 가진다. 탈북자문제의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언론 또한 통제된다. 미·일에 비해 중·러의 비민주적인 정치특징이 탈북자 난민지위 결정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미국은 다문화·다원국가이며, 일본은 단일문화국가이지만 타문화를 인정한다. 그러나 중·러는 다문화, 다민족 국가이지만 국가중앙의 일방주의에 의해 타문화와 타민족을 배제·소외시켜왔다. 중국과 러시아가 탈북자들을 집단난민으로 인정한다면, 국민이지만 타자로 배척당했던 소수민족들의 불만이 표출될 것이다. 그리고 북한국경과 접한 지역 소수민족들의 희소한 자원을 탈북자들에게 분배하는 것은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민족분쟁의 부담으로 중·러는 탈북자 대량유입가능성이 적고 안정적인 미·일보다 탈북자 난민인정에 부정적이다. 미국과 일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국과 러시아는 인간안보에 필요한 필수요소들을 충족하지 못한 최하층의 인구가 많다. 중국과 러시아는 인간불안보 상황으로 타자 보호보다는 자아인 국민 보호와 안정에 집중한다. 국제난민인정으로 난민기금을 받는 경우를 제외한, 일반 비호신청자인 탈북자에 난민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국가부담으로 작용한다. 중국과 러시아는 난민을 배출하는 국가로서, 타자에 대한 인도적 관심은 매우 낮다. 최하층의 인간안보 상황은 4개국의 탈북자 난민인정 여부에 영향을 준다. 탈북자에 대한 미국과 일본의 난민인정 입장과 중국, 러시아의 난민불인정 입장차의 원인에 대해 전통안보적 입장과 인간안보적 입장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안보적 관점은 비단 탈북자의 사례만이 아니라 여러 현상과 정책결정에 대한 분석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determining factor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refugee status among the US, Japan, China, and Russia by applying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as well as the traditional security perspective of realism. This study aims at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refugee issue. In traditional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consists of sovereign nation-states, state security has been seen more importantly than individual human securit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various problems have posed new threat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long with tremendous changes in the real world, a new security concept, namely, human security has been developed to explain the complex nature of new security threats. Human security focuses on individual human beings. Human security is to protect human beings from a variety of threats through freedom from fear and wants. Individual persons, groups, and international community are all parts of human security, and they all strive to secure life and dignity. This study applies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to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attempt is particularly challenging since the Northeast Asian region has been conflict-ridden and physical security-heavy for a long time. North Korean defectors flee the country mainly for lack of human security. After leaving North Korea, they are often subject of mal-treatment and discrimination, since it is extremely hard for them to acquire refugee status. The problem is more dire and desperate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China and Russia, where the bulk of them are staying, because these nations often expel the defectors back to North Korea where harsh punishment is certainly waiting. In contrast, the US and Japan normally recognize North Korean defectors as refugees. What makes such different treatments across these countries? From the traditional realist perspective, the reasons behind their contrasting policies regarding the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regional rivalry and each nation's particular bilateral relationship with Pyongyang.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the US and Japan consider "rising China" and reasserting Russia as a potential threat to the region. China and Russia want to check the US preponderance and its strongest ally in the region, Japan. Furthermore, Beijing and Moscow need cooperation with Pyongyang for its traditional relationship as a blood ally, a place where they expect trade benefits and natural resource access, a strategic buffer against the western pressure, etc. That is why they are sided wit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enceforth not recognizing the refugee status. In contrast, the US and Japan recognize the refugee status as a way of pressuring the North Korean regime along with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From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this research has compared and analyzed political security and public community security, economic security, and condition of refugees among the four nations. In authoritarian China and Russia, the public has a limited access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Media's role is also quite limited to deal with such a sensitive issue. In contrast, the US and Japan allow democratic access to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media is also free to cover any issue in the open society. China and Russia, although being multi-ethnic and multi-culture states, have centralized the authority and ethnic and cultural diversity have been constrained. If they allowed the refugee status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ould have a serious repercussion by enraging minority groups, which would threaten their social stability. Also, the recognition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defectors due to the geographic proximity, which would be a severe strain for resources and social infrastructure in the regions close to the North Korean border. Thus, China and Russia, refugee producing nations themselves because of their poor human security condition as indicated by Human Security Index, Human Poverty Index and refugee influx or efflux situation, are extremely reluctant to change the current hardline policy about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is useful and valuable approach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refugee issue. The author believes the application of the human security perspective could be further used to analyze various challenging issues and foreign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 兒童畵와 PAUL KLEE 회화의 表現樣式과 유사성에 관한 硏究 : 線描를 中心으로

        유경아 江原大學校 敎育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Art makes people aware of "seeing." "Seeing begins with to see what is reflected in the eyes, and further, we are able to see the essence of it. Thus art leads us to the real figures of things and people. With the sudden changes of the Western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view on the children also changed. As juvenile paintings were attributed to some artistry, we came to admit mental and psychological sides of juvenile paintings to a large extent, It is not that their paintings are mean and of no value, but their innocent feelings and lives are expressed in them. To develop these is the aim of art education. The soul of Juvenile paintings is the free expression of children's own feelings and thought. They can develop the self-expression, emotions and originality of their own. Various trends of art in the early 20th century, Klee (Paul, 1879-1940), absorbing these trends but not indulging in one of them, at last constructed most original style of work. He was called for by the surrealism, but didn't inspired. He shows multiple aspects of geometrical abstractionism, dreamlike symbolism, and cubism, In this regard, he can be said to have shown the diversity of contemporary art. There appears the childlike factors in Klee's paintings. This is the evidence of his efforts to approach the essence of subject or form in relation to the juvenile paintings. This article begins with Klee's sympathy with juvenile paintings as away to approach the essence of art. It aims at studying and applying it to the art education : what juvenile inclinations do his works have, what similarity is between his works and juvenile paintings, and how did they influenced him in the formative aspects? Especially, I focused on the line drawings, the first motive of creation, and on the children's drawings in their pre-symbolic and symbolic period among their developing stage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line drawings appear fully. It gives an cutline of juvenile paintings and contemporary art at first, then compares and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paintings and works of Paul Klee, who stands for the contemporary art. At

      • 노인 입원환자의 의존성, 주관적 스트레스가 간호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개별간병서비스 비교를 중심으로

        유경아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노인인구 비중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핵가족화 및 가족규범의 약화 등으로 노인건강이 악화되는 경우 노인환자가 입원하였을 때 간병문제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가족 및 간병인 돌봄에 의존하는 개별간병서비스와 더불어 전문적인 간호간병서비스도 일부 병원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개별간병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 입원환자의 의존성, 주관적 스트레스, 간호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여 노인 입원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인천 소재의 병원에 입원하여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자 80명, 개별간병서비스 이용자 80명으로 총 160명의 노인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의존성, 주관적 스트레스, 간호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도구로 의존성은 남정자(1992)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주관적 스트레스는 Neuman(1982)의 스트레스 검사를 태선화(2006)가 이용한 도구의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간호만족도는 La-Maonica 등(1986)이 개발한 만족도 측정도구를 장복순(2017)이 이용한 도구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간호서비스 이용별로 볼 때 연령, 성별, 배우자유무, 동거유형, 부양책임에서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는 개별간병서비스이용 대상자보다 연령이 높았고, 여자, 배우자 없음, 독거 빈도, 부양책임 없음의 비율이 높았다. 의존성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이용하는 대상자가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하위요인으로 볼 때 신체적, 경제적 요인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의존성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요인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가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관적 스트레스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가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하위요인으로 볼 때는 경제·환경적 하위요인에서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만족도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가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요인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이용 대상자가 신체적, 심리적, 치료적 간호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개별간병서비스 이용 대상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의존성은 주관적 스트레스와는 양의 상관관계, 간호만족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상자의 주관적 스트레스는 간호만족도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이 간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모형에서 의존성은 설명력이 34%, 주관적 스트레스는 44%로 나타나, 대상자의 의존성보다 주관적 스트레스가 간호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볼 때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 입원환자가 개별간병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 입원환자보다 의존성 및 주관적 스트레스는 낮았고 간호만족도는 높았다. 또한 간호만족도는 주관적 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개별간병서비스 보다는 최근 일부 병원에서 도입되고 있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확대 운영하도록 하고 노인 입원환자의 주관적 스트레스의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를 통해 간호만족도를 높여 앞으로 증가되는 노인 입원환자에게 더 나은 간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낙동강의 수환경과 동물플랑크톤의 동태학 연구

        유경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본 연구는 낙동강 수계 7조사 지점을 인공댐 호(안동호, 합천호, 진양호)와 하천(상주, 고령, 삼랑진, 낙동강 하구언)으로 분류하여 수환경과 동물플랑크톤의 동태학에 대하여 분석하였다.각 댐 호의 수온은 하천보다 계절별 변화폭이 컸으며 pH는 평균치로 볼 때 계절과 상관없이 댐 호가 하천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댐 호보다 하천이 높았으며 부유물질 역시 하천이 댐 호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용존산소는 일반적으로 하천이 댐 호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총 질소와 총 인 농도는 댐 호에서 낮았으며, 댐 호는 계절별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하천에서는 상대적으로 유입 부하량이 많고 변동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AGPT값은 chl. a의 결과와 대조적으로 2월~4월보다 7월~9월에 더욱 증가하였다. 또한, 정점별 요인간의 상관에서 하천 본류의 고령-낙동 구간은 다른 정점에 비해 chl. a와 AGPT값이 직선적 관계에 있었는데 이것은 하류로 갈수록 수질의 fertility가 떨어지면서 생물량은 증가하는 양상이 반영되었기 때문이었다.본 연구에서 낙동강 수계 인공댐 호와 하천간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밀도는 수문학적 요인(유량, 유속)에 따라 그 변화가 매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몬순 전 유량이 평수기 혹은 갈수기 시점일 땐 댐 호와 하천간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밀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몬순 후에는 집중 강우로 인해 댐 호에 비해 하천의 동물플랑크톤 유실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체내 C:N:P 비율은 종조성에 따라 그들의 C:P 비율이나 C:N 요구도가 다르며 또한 먹이원에 의해 제공된 필수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정도에 있어서도 상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물플랑크톤의 종에 따른 차이 뿐 만 아니라 먹이원의 C:N:P비율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초록: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water environment and zooplankton dynamics between dam reservoirs (Andong, Hapcheon, Jinyang) and main river regions (Sangju, Koryeong, Samranjin, Nakdong) in Nakdong River basin, Korea (February, April, July, September, 2003). Nutrients concentrations at the river sites were higher than dam sites. Seasonal fluctuation of nutrients (TN, TP) in the reservoirs was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at river sites. Relationship between AGPT and Chl-a indicated that water fertility was caused by the summer monsoon. Both mean abundance and biomass of zooplankton in the reservoirs were higher than those at river sites. Abundance and biomass of zooplankton were relatively high during spring, compared with other season. Dominant zooplankton in Nakdong River sites were rotifers during the study period. They included Asplanchna herricki, Brachionus calyciflorus, Keratella cochlearis, Polyarthra trigla, Pompholyx complanata. Especially during summer, mainly zooplankton were dominated by copepods (mainly, Diacyclopsis) and cladocerans (mainly, Bosmina longirostris). Seasonal change of zooplankton abundance were correlated with environmental factors(for example, water temperature etc.) in the reservoirs. However, river zooplankt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hydrologic factors (current). The amounts of C, N, and P in relation to dry weight were measured in natural populations of zooplankton community .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showed a little seasonal variation. The mean C:N:P atomic ratio ranged from 102:26:1 in rotifers to 43:12:1 in Diacyclops thomasi(copepod), 45:11:1 in Bosmina longirostris(cladoceran). Comparisons with published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is pattern is quite general and constitutional. However, P ratio were low in rotif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