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상적 소재의 푼크툼적 표상화 연구

        오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적 표현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나타난 언어 이전의 최초라 말할 수 있는 기록 활동이다. 자신을 기록하고 표출하길 원하는 본능적 욕구인 그리는 행위는 언어보다 포괄적인 영역을 표현하기에 적당하다. 그것은 직접적인 언어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복잡하고 모호한 의식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순간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시간 안에 존재하는 인간으로서 매 순간을 기억하기는 불가능하다. 시간의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 스스로의 삶을 기억하고, 동시에 타인에게 기억되기 위해 인간은 흔적을 남기기 시작했다. 미술적 표현을 기록매개로 하는 우리는 그 과정을 통해 새롭게 존재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인은 작업을 통해 자아 정체성 찾기를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다. 일상에서의 푼크툼적인 메시지를 통해 회화적 기록을 하고 사진적인 의미에서뿐 아니라 나아가 감상자들에게 작용하는 회화적 푼크툼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자 한다. 푼크툼(punctum)은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마지막 저서인 「카메라 루시다」에 언급한 용어이다. 그는 사진을 바라보는 방식을 두 가지로 제시하는데, 하나는 스투디움(studium)으로서, 문화적으로 약속된 의미 속에서 이해되는 개념적인 모든 것이고, 다른 하나는 푼크툼으로, 응시자의 내재적 시각에 의해 감지되는, 절대적 외시와 관객과의 지극히 주관적인 관계에서 이해되는 것이다. 푼크툼은 라틴어로 찌름, 작은 구멍, 작은 반점, 작은 틈을 의미하는 말로써, 바르트는 이를 개인적 감정을 환기시키고 자극하며, 혹은 상처 입히는 사진의 어떤 부분이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본인은 일상에서의 뭉클한 순간들을 즉시적으로 카메라에 담아내고 유일무이한 회화로 옮기는 작업에서 ‘비밀글’ 로서의 개념의 확장을 시도하였다. 개개인이 푼크툼을 느끼는 순간이 다르듯이 일상에서 각자가 뭉클함을 느끼는 순간은 다를 수밖에 없으며 본인은 그 순간을 회화로 옮기는 과정에서 느껴지는 자기 고백적 과정에서 일기 쓰는 형식과의 공통점을 찾아냈는데, 이를 ‘비밀글 쓰다’ 라는 과정으로 보았다. 일상에서의 푼크툼적 메시지를 사진으로 담아내고 회화로 옮기는 과정에서 본인은 예술이 실제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는 데에 의의를 두며, 아울러 이전 작업과 같이 자아를 찾는 또 다른 방식으로 조형화 하였다. The artistic expression has been the first recording activity, appeared even before languages, within human history. Drawing and painting activities, the instinctive desire to express and record themselves, are more suitable to depict such comprehensive fields compared to languages. That's because they make the expression of vague and complicate consciousness possible, which immediate languages can not. It is impossible for human to remember every seconds of time that has been built up by the continuance of moments. Human beings have started to leave signs to remember their own lives, just little part of time, and to be remembered by others at the same time. We have become renewed by using artistic expressions as recording mediation. Therefore I intend to find ego through the process of art works. Through pictorial records from the ‘punctum’ messages of daily life, I have tried to create pictorial ‘punctum’ images, which can act on audiences besides the meaning of photography. ‘Punctum’ is the word from Roland Barthes's last book, 'Camera Lucida'. He presented two ways to look the photograph, one is 'Studium', every recognizable notions under the cultural promises and the other is 'Punctum', perceived by viewer's immanent vision and understood only within extremely private relations between the absolute forms and audiences. Punctum of Latin means piercing, a small hole, a small spot and a tiny crevice. Barthes used this word as the part of photo that awakes, stimulates, or hurts the personal feeling. By catching impressive moments of ordinary life to camera and rendering to the unique painting, I have tried to expand the concept as 'secret writing'. Every single person has different moments to experience Punctum, impressive moments, then I founded out the confession in common between rendering the moment to painting and writing a personal diary, therefore I consider it as 'writing private diary' I believe that the art is about life according to the process of taking photo about daily life's Punctum message and rendering to painting, and with past works, I made it to be formative as another way to find the 'I'.

      • 한국어 높임표현과 중국어 높임표현 대비 연구

        오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 사람들의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한국어 문법에서 특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어만이 지닌 특징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은 높임표현, 그리고 중국어의 높임표현에 대한 검토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의 연구 목적을 위해 기초적인 자료 검토의 성격을 띤다. 검토의 내용은 첫째 높임표현과 관련하는 개별 언어 형태들은 어떤 것들이 언급되어 있으며 그 통사적 특성 및 의미적 기능은 어떻게 기술되어 있는지에 대한 것이고, 둘째 전반적인 높임표현 체계와 어휘적 높임표현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 높임표현과 중국어 높임표현을 제시하였다. 둘이 다 주체, 상대, 객체 세 개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중 높임표현 분류에 대한 연구하였다. 3장은 어휘적인 층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높임표현을 분류하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양국의 어휘 높임표현을 대비하였다. 4장에 문법적인 층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높임표현을 분류하고 제시하였다. 그리고 양국의 문법 높임표현을 대비하였다. 중국사람들은 항상 다름사람의 억양을 통해서 의도를 알 수 있지만 보통 한국사람은 알 수 없다. 5장은 앞에서 제시하던 내용을 다시 정리하고 한중 높임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Honorific expressions in Korean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life style and culture. Koreans express respect and manners as well as closerelationships according to honorific expressions. It is rather easy for Chinese to understand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the Korean Language, since they exist in Chinese Language as well. However,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modern Chinese are not as highly developed, which causes difficulties for Chinese to learn Korean Language. This five-chapter thesis, adopting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nguistics,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honorific address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Chapter One offers a brief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subject, goal, and methodology, as well as a literary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findings in this field. In Chapter Two, the author first classifies honorific addresses in Chinese and Korean Languages respectively, and then expresses the principles and characters of classification. Chapter Three explor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onorific addresses in Korean and Chinese depending on lexical variations. Chapter Four identifies grammatical contrasts between Chinese and Korean honorific addresses. Chinese speakers realize honorific addresses through one's attitude in the tone of voice, which do not occur in Korean. Chapter Five summarizes the above analysis and points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ubject honorific addresse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s.

      • 원자힘 현미경을 이용한 자기조립된 organosilane 레지스트의 나노패턴 형성

        오영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Scanning probe microscope (SPM) such as the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STM) and th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have been used to modify the surface on a nanometer-scale utilizing various interactions between a tip and substrate. For lithography, the AFM has a distinct advantage over the STM because AFM can be used for insulating as well as conducting materials. And patterning by the AFM tip can be used for nanometer scale lithography with narrower than those obtained by the use of photon, electron and scanning probe lithography. We demonstrate the nanolithography of a silicon substrate by modification of ultrathin films of octadecyldimethyl methoxysilane (ODMS) and poly(1,3-bis(trimethylsilyl) isopropyl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 methyl methacrylate) (P(BPMA-MAA-MMA))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followed by wet etching. The patterning of ODMS monolayer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localized degradation of the monolayer as a result of anodic reaction induced by an AFM tip. The fabricated patterns on the resist were transferred to the Si substrate by wet etching in a dilute HF solution. Consequently, grooves of 75 nm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In case of P(BPMA-MAA-MMA) we obtained the patterns as small as 70 nm. And ammonium chloride-modified monolayer was prepared on negatively charged Si-wafer surfaces with 1,12-diaminododecane (DAD)·2HCl by self-assembly method and methyl modified monolayer was prepared with n-tridecylamine (TDA)·HCl. The nano-patterns of these monolayers at the various anodization conditions demonstrated that the anodic reaction on DAD·2HCl monolayer has an enhancement effect to generate the protruding lines.

      •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 비교 연구

        오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untry’s future is depends on its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the first stage of one’s education experience. Pre-school teachers’ quality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it is apparently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Now there are much exchanges in much areas between Korea and China. It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hrough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and analysised undergraduate cour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pre-school teachers’ pre-service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and China.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of study have been set up: 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1-1.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Korea? 1-2. What is the purpose and targets of pre-school teacher education in China? 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2-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2-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 How is the subjects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3-1.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ina? 3-2. What is the content of undergradua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Capital Normal University, Tianjin Normal University, Northeast Normal University, Shanxi Normal University, Northwest Normal University In China, and Ewha Womans University, Chongang University, Paichai Universi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amples. The training objectives, training targets, curriculum structure and content in the universities of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and compar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1. As for the training objectives, Universities in China focus on fostering excellent pre-school teacher, researchers and managers. But most Universities were reserched in Korea focus on fostering an excellent pre-school teacher first, and set up to fostering a specialist or a manager as a second focus. 2. As for training targets, Universities in China have different formulations. Similarly, they requirements students’ professional ability, research ability, management ability. Besides this, Universities in China require students’abilities in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political quality and professional. Universities in Korea have different targets according to different educational ideas. They are more focus on students’ abilities and expound them. 3. As for curriculum structure, it is similar between Korea and China’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just differents in names and proportion. 4. As for curriculum content, Universities of China offer similar subjects in common curriculum. Subjects of politics, moral,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take the most part and there are not many elective subjects. Universities of Korea offer various subjects in its liberal art course include foreign language and computer or other subjects as required subjects. Universities of China offer less elective subjects in other major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t takes less credits than universities of Korea. In specialized curriculum China pay much attention to theoretical subjects and artistic subjects. But Korea pay much attention to subjects that combinate theory and practice. In teaching practice, there is only one style. But in Korea there is also child care practice, beside teaching practice. 교육은 한 나라의 미래를 결정한다. 유아교육은 교육의 첫 단계로써 유아교육의 질은 물론 유아교사의 질에 달려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질은 유아교사의 양성 교육의 질에 달려있다. 한국과 중국은 각 영역에서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 유아교육 영역에서도 양국 간의 교류를 통해서 교육의 발전을 더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4년제 대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 및 목표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1. 한국과 중국의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 목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 인가? 1-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의 목표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 한국과 중국 4년제 대학교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은 어떠한가? 2-1.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2-2.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양성교육과정의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의 5개 4년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중국의 5개 4년제 사범대학교의 학전교육의 교육과정을 조사했고 양국의 교육목적 및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의 목적에 있어서 중국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 연구원, 관리자의 세 가지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대부분의 대학교는 우수한 유아교사를 육성을 하는 것을 기초로 하고 나아가 전문가로써의 성장에 교육목적을 두고 있다. 교육 목표에 있어서 중국의 각 학교는 교육 목적에 따라 전문 능력에 대한 교육 목표를 다르게 진술하지만 공통적으로 교사로써의 전문능력, 연구자로써의 연구능력, 관리자로써의 관리능력을 요구한다. 그밖에 직업 도덕, 정치소양, 외국어와 컴퓨터 능력에 대한 요구에 대해서도 진술하고있다. 한국 대학교의 교육 목표는 각 대학교의 교육 이념에 따라 차이가 크다. 중국의 교육 목표에 비해서 전문 능력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하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교육과정 구조는 거의 비슷하고 명칭과 각 부분의 비중이 다르다. 또한 중국이 전공 과정을 세분화 하는 학교가 한국보다 많다. 셋째, 교육과정의 내용에 있어서 중국 각 대학교의 공공(公共)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교양과정의 역할과 비슷한데 각 대학교가 개설하는 교과목은 큰 차이가 없다. 정치·도덕, 외국어의 비중이 가장 크며 대부분은 필수과목이고 선택과목은 적다. 한국의 교양 과정은 중국보다 학점이 적고 비중도 작다.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각 학교가 개설한 교양 과목의 차이가 크며 공통적으로 외국어와 컴퓨터를 개설한다. 중국의 타과(他科) 선수 과목은 학점이 적고 선택할 수 있는 과목도 많지 않은 반면 한국의 일반선택 과정은 선택할 수 있는 교과목이 많고 학점도 중국보다 많다. 중국 대학교의 전공과정은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보다 이론과 예능을 더 중요시하고 한국 대학교의 전공과정 중에 이론과 실천이 결합되는 교과목이 중국 대학교보다 더 많다. 중국은 교육 실습만 있으나 한국은 교육실습과 보육실습 두 가지가 있다.

      •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실험에 적용한 MBL 실험의 효과 연구

        오영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과학’은 국민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하여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과 과학의 기본적인 개념을 습득하고 과학적인 태도를 기르기 위한 과목으로 정의되고 있다. 근래에 MBL 실험에 대한 활발한 연구는 MBL 실험방식이 기존의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에 비하여 좀 더 정확한 실험결과와 결과분석에 걸리는 시간을 줄임으로써 학생들이 실험 결과 분석 능력 및 해석능력, 토론, 수업 흥미도 및 참여도,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65명을 대상으로 물질대사 단원 중 빛의 세기에 따른 광합성량 측정 실험에 본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MBL 실험방식을 적용하여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변화와 MBL 실험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t-검증을 통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탐구능력에 있어서 예상, 자료해석, 가설설정 등의 요소에서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이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관찰과 측정 등의 자료수집 활동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실시간으로 나타나는 실험결과와 그래프에 대한 토론과 해석에 많은 시간을 투입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있어서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MBL 실험방식이 센서와 컴퓨터를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실험결과를 정확하다고 신뢰하며 이론과 일치하는 실험결과를 얻음으로써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MBL 실험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조사에서 MBL 실험방식은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제시된 실험보다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켜 수업 참여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학생들에게 있어 수업내용보다는 실험 장치에 더 관심을 갖는 것과 수업 시 토론 활동으로 인해 산만해지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tandards which is a part of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is identified as a subject area of acquir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basic science concept and of nurturing scientific attitude. In recent times numerous researches about MBL repeatedly have reported that the MBL method can produce more precise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can reduce the time requirements for the experimental analysi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suggested in the general science textbooks. It is consequently studied that the MBL method can help students to enhance their abilities of experimental analysis, discussion, study interest, participatory roles, and motiv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as 65 high school students-10th gr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tudents'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ce learning attitude, and students' responses towards MBL method by applying myself-developing MBL apparatus to the measure of the amount of photosynthesis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in the metabolism unit by using t-test.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ments of prediction, data analysis, establishing hypothesis in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se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udents could spend less time in data collection such as observation and measurements, instead, they could invest more time in discussions about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graph analysis.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ments of attitudes about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in science learning attitude. This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students could obtain precise and reliable and experiment-theory-consistent data by using MBL sensors and computers and hence experienced positive effects in relation to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Students' responses test to the MBL method showed positive effects in students' engagements in science learning by way of increased interests and curiosities differently from the experimental methods in science textbooks. it needs to be noted, however, that some students tends to show more interests in experimental apparatus itself than the subject matter and are easily lose attention due to the discussion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