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복지차원에서의 공공임대주택 공급·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숙녀 남서울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1311

        공공임대주택이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건설하는 주택으로써 저소득층과 사회적 약자의 주거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장가격 이하의 임대료로 주택을 공급하여 서민의 주거안정을 도모하여 국가의 사회복지정책을 달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임대주택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국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많은 재정을 들여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서 노력한 결과 2014년말 임대주택의 공급현황을 살펴보면 시·도별 임대주택 재고현황은 전체 1,708,716호 중 수도권이 50.8% 869,230호며, 그 중 서울이 374,968호, 경기가 411,407호, 인천이 82,855호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주체별로는 건설사업자가 324,426호, 매입사업자가 358,095호, 지자체가222,128호이며,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전체 재고의 47.1%인 804,067호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주거 빈곤층이 정책에서 소외되고 계층간의 주거 격차가 심하여 아직도 상당수의 취약계층은 최저주거기준 이하의 주택에 거주하고 있고 이를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도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이들은 소득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매우 높아 가계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어 인간답게 생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오늘날은 인간답게 생활할 있는 공공임대주택의 공급뿐만 아니라 공공임대주택의 관리차원에서의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주거복지정책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정부는 취약계층의 주거문제가 사회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들을 위한 주거복지실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선진국의 임대주택제도를 살펴보면 주요 선진국의 경우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임대주택 정책의 추진을 통해 공공은 물론 지자체, 공공기관을 통하여 여러 유형의 입주자를 대상으로 계층의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태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다. 또한 임대주택 재고가 부족한 시기에는 중앙정부가 주택시장에 광범위하게 개입하여 주택의 양적 확대를 주도하고 주택 재고 문제가 일정부분 해결되면 중앙정부가 직접개입을 축소하고 임대료보조 및 주거비지원 정책 등의 지원수단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영구임대주택 , 50년 공공임대주택, 30년․20년․10년 국민임대주택 , 장기전세주택 , 보금자리주택 등 매우 다양하게 공급되고 있고 주거복지차원에서의 관리에도 소홀히 하는 경향이 현실이다. 이러한 제도상의 미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임대주택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배분을 위한 입주자 선정기준에 있어 현재의 복잡한 입주자 선정 절차와 자격을 단순화하여 수혜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책의 연속성 부재, 주택 유형별로 상이한 대상계층, 주거소요를 고려하지 않은 공급 및 배분체계, 주택규모 및 단지구성, 주택관리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개선해야 할 것이다. 한편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향후 과제로서 임대료체계의 개편 및 관리운영체계 개선, 입주자의 주거복지관리, 지역복지체계연계와 사회 복지적 관리도입, 그리고 합리적인 주거소비의 유도 및 주거조절의 활성화 및 다양한 공공임대주택 건설, 공급방식의 역할을 일부 분담하는 형식이나, 소규모의 수요자 생활권중심의 전략적 개발공급, 원가절감을 위한 역할 분담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현시점에서 전월세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공임대주택을 확대 공급하여야 하며 도시재생사업의 주도적인 추진 및 민간지원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하여야 취약계층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취약계층, 공공임대주택, 주거권, 주거복지, 영구임대주택, 국민임대주택, 50년 공공임대주택, 장기전세주택 The public rental housing, in order to ensure the housing rights of low-income and socially vulnerable as housing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to construction to public funds, of the common people by supplying housing in the following rent market price the aim residence stability, it is called a rental housing to be supplied in order to achieve the social welfare policy countries.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over a lot of finances for the people of the residence stability result of the efforts for the people of the residence stability,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of supply of the end of 2014 rental housing, cities and provinces by rental housing stock status entire 1,708,716, the metropolitan area is No. 50.8% 869,230, in which Seoul is No. 374,968, Kyeonggi No. 411,407, Incheon is accounted for No. 82,855. Business entities another construction operators No. 324,426, purchase operators No. 358,095, is a municipality No. 222,128, Korea Land Housing Corporation owns the No. 804,067 is 47.1% of the total stock. However, housing the poor are marginalized in the policy, disparities in housing between the hierarchy violently, still a considerable number of vulnerable hierarchy are living below the housing minimum dwelling standards, insufficient also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is a reality that there. In addition, the ratio of housing costs of these income account is also very high, and has been acting as the burden of household, there is a difficulty to live like a human being. Not only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to live like a human being today, is a very important quality housing welfare policy to ensure that can improve the human life in the management dimen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short, the government recognizes that there is the weak hierarchy housing problem becomes a social problem, it shall take measures for the realization of these dwellings welfare. If we look at the rental housing system of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the case of the major developed countries, through the promotion of rental housing policy with a continuous and consistent, public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to target multiple types of ten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 it has supplied the rental housing of a variety of forms to meet the hierarchy of characteristics and needs. Moreover, at a time when rental housing stock is insufficient, the central government are involved extensively in the housing market and l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housing, and the housing inventory problem is a constant part resolution, the central government is are going to switch to the support means, such as a rent subsidy and housing costs support policy by reducing the direct intervention. South Korea permanent rental housing, '50 public rental housing, '30, '20, '10 national rental housing, long-term lease housing, such as roost housing, are very diverse supply, but in the management of a residential welfare dimension, is a real tendency to neglect. In order to overcome the deficiencies on this kind of system,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oncept of rental housing, the tenant selection criteria for the effective allocation, the current complex tenants selection procedures and qualifications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receiving object to be simplified. furthermore, the continuity member, target layer that is suitable for each type of housing policy, supply and distribution system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housing demand, the structure of the scale and bottle of house, it will be improved also to issues such as housing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as the future challenges of public rental housing, reform and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operating system of rent system, tenants of residential welfare management, induc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welfare system cooperation and social welfare management, and reasonable housing consumption and a variety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activation of housing regulation construction, and formats for sharing a part of the role of the supply system, small-scale consumer living strategic supply of development of the center, roles for cost reduction, etc. It can be mentioned. Therefore, the government for charter and rent market stabilization at the moment, leading promotion and vulnerable hierarchy If you do not develop a policy in the direction to expand the private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business, there must expand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olicy that can realize housing welfare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Keyword : The vulnerable, The public rental housing, Housing rights, Housing Welfare, Permanent Rental Housing, National Rental Housing, 50 public rental housing, long-term lease housing

      • 부동산거래사고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숙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 거래 사고의 유형을 법률적 측면에서 신뢰성, 투명성, 공정성, 안전성 부분으로 분류하였고, 부동산 거래사고를 경험한 일반인과 중개업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부동산거래사고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비교 분석하였다. 부동산거래사고 발생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과 중개업자 모두가 ‘계약금 지급단계’에서 가장 많은 거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했고, 부동산 거래사고의 과실 책임은 동일하게 중개업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이 인식하고 있는 ‘부동산 거래 사고의 발생원인’은‘거래당사자의 무경험 및 성급’인 반면, ‘에스크로우 제도의 미활성화’와 같은 전문적 용어에 대해서는 인식의 정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인이 인지하고 있는‘가장 높은 거래 사고 행태’로는‘매도인 등의 하자고지의무 위반’이었고, 중개업자의 경우에는‘중개대상물 확인 설명의무 위반’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거래사고 예방 및 개선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들은 등기와 지적의 일원화 및 등기관련제도의 개선을 중시여기는 반면 중개업자들은 에스크로우(escrow)제도의 활성화와 중개업자의 교육, 자격제도 개선을 중요시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인과 중개업자 모두가 가장 중요시 여기고 있는 거래사고 예방대책으로는 ‘권원보험제도의 활성화’로 나타났다. 일반인과 중개업자의 경우, 부동산 거래 사고방지의 사후 대책의 가장 높은 중요 순위와 가장 낮은 순위에서는 서로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부동산 거래 사고 방지를 위한 개선방안으로서 에스크로우업의 활성화로 거래의 신뢰성과 투명성․공정성․안전성 확보, 중개업자의 교육 강화로 거래의 신뢰성과 공정성 확보, 등기와 지적의 일원화로 부동산 거래의 신뢰성과 안전성 확보를 제시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부동산 거래사고 방지는 물론 국민들의 부동산 거래 활동의 신뢰성 및 공정성 확보, 투명하고 안전한 부동산 거래활동을 선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 부동산거래사고, 부동산거래행위, 부동산중개행위, 부동산거래사고행위, 에스크로우 The types of the transaction accident in the real estate were classified as reliability, transparency, the fair nature and a safety on the study. Questionary survey was carried out by a commoner and the broker who experienced a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It was analyzed with the cause and improvement ideas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and was compared.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cause of the accident outbreak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here is it below. First, all the commoner and the brokers recognized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s that was occurred at the payment stage of contract deposit, and all the commoner and the brokers recognized a broker has the responsibility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too. Second, the commoner recognized that the a major cause of the transaction accident in real estate was a lack of experience of trading partners and a rash decision.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the recognition for the professional term such as the escrow system was very low in commoners. Third, commoners recognized the highest transaction accident action was the breach of duty that a person of sale did not tell about a fault. In the case of a broker, the highest transaction accident action was the breach of duty confirmation and the explanation of the intermediation business object. As a result of having analyzed a prevention and improvements in real estate transaction, there is it below. First, commoners think of the registration and unification of the cadast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registration-related system momentously. On the other hand, brokers appeared by thinking of the activation of the escrow system and the education of the broker, qualification system improvement momentously. Second, the prevention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that all the commoner and the brokers thought of most momentously was activation of the entitlement to insurance regime. The activation of the escrow, education reinforcement of broker, the registr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land ownership records at government were shown in an improvement idea for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prevention. Such a conclusion is expected in a big helpful thing for reliability and equitability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activity of the nation, and transparent, safe real estate transaction activity not to mention the prevention in future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Key Words : Transaction Accident of Real Estate, Real Estate Transaction Act, Real Estate Brokerage Act, Act of Real Estate Transaction Accident, Escrow

      • 중학생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숙녀 숙명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311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 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 었다. 이를 위해 인천 연수구 소재의 중학교 1,2,3,학년 전 체 229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에 대한 설문조사와 영어 학업성취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 한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영어 학습동기의 차이는 여 학생이 도구적 지향성(Instrumental Orientation), 성취 지 향성(Achievement Orientation), 흥미(Interest), 학습동기 전체에서 평균이 높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년에 따라 서는 3학년의 불안 정도가 가장 높고 자기효능감과 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영어시간에 질문을 받는 것에 대한 것이거나 영어 시험 성적에 관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학습시간의 면에서는 학습시간이 길수록 불안은 낮고 자기효 능감(Self Efficiency), 성취 지향성, 태도(Attitude), 흥 미, 학습동기 전체에서 평균이 높아 학습량과 학습동기의 정 도가 긍정적으로 정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학습방법은 학원 및 과외 방식이 다른 방식과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고 평균 도 가장 높았다. 영어의 자신 있는 영역에 따른 학습동기의 차이는 쓰기와 듣기영역 중 자기효능감, 불안, 태도의 3가지 하위요인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해외체류경험에 따 른 학습동기에서는 통합적 지향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평균이 가장 높았다. 학습자 특성 중 학습전략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 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년에서는 학업성 취도가 중요해지는 2학년이 사회전략을 제외한 다른 5가지 전략 사용이 가장 높고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학습시간이 길수록 학습전략 사용도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학 습시간이 길수록 학습전략의 사용도 활발하였다. 영어의 자 신 있는 영역에 따른 학습전략에서는 정의적 전략에서만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순으로 평균값이 높았다. 학습방법, 해외체류경험, 해외체류경험의 유형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살펴 보면 도구적 지향성을 제외한 모든 학습동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별히 자기효능감, 불안, 태도, 흥미도, 성취 지향성, 통합적 지향성 순으로 차이가 높았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밝혀낸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는 긍정적인 상관 관계를 가진다는 연구와 일치하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학습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집단은 기 억전략, 인지전략, 보상전략, 초인지전략, 정의적전략, 사회 전략, 학습전략 전체에서 하위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는 좀 더 다양한 지역의 중학교 학 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표본 집단으로 실험 해 봄으로써 더 분명한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면 한다. 또한 최신의 이론인 L2 동기적 자아체계과 자기조절 능력에 대해 검증해 주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한 실제적 인 교수법이나 구체적인 교실환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실버세대 소득수준이 여가활동 및 공연선택에 미치는 영향

        숙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311

        As the birth rate and mortality rate decline, the aging of the population, which is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to the total population, is progressing unprecedentedly in the world. Improved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nutrition and strengthened the immune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diseases has also increased, but the number of treatable diseases has also increased. As a consequence, the mortality rate has decreased as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extended.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 takes place through leisure activities by being aged with the extension of an average life span and the prolonged silver life. Therefore, the study on the silver generation is needed as the elderly population gradually increase by becoming an aged society.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income level of silver generation affects leisure activities and performance selections. Moreover, we studied the marketing strategy for expanding the market for seeing performance of the silver generation, which will be the main agent of consumption.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derive the three primary variables that constitute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silver generation such as cultural performances-appreciation activity, self-improvement activity and family-oriented activity. In addition, we derive the major variables of Marketing Mix 4P, influencing the performance selection, such as performance value, location, promotion and price. We conducted an online and offline questionnaire survey on 274 people of the silver generation aged 50 or older who had experience watching performances or performing arts activity club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ome level of the silver gene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ordinate factor of leisure activities and performance selection. This means that as the level of income increase, so do leisure activities, and it also affects the performance value, location, promotion and choice of the price which are the main factors of Marketing Mix 4P in the selection of performances. Second, as the cultural performances-appreciation activities, self-improvement activities and family-oriented activities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silver generation increase, promotion and choice of the price in the performance selection become higher. Also, they tend to focus on the quality of the performance when their cultural performances-appreciation activity, self-improvement activity and family-oriented activity exten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isure activity difference by the age group of silver generation, it is found that the silver generation aged 65 or older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family-oriented leisure activities than the active seniors of the elderly aged between 50 and 54 and silver aged between 55 and 64,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ormance selection. In conclusion, Korea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and we need to perceive that we are faced with change. Recognizing this chan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for expanding the silver generation performance viewing market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selection of the leisure activity and performance of the silver generation who will be a new main agent of consumption. 출생률과 사망률이 저하되면서 전체인구 대비 노인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인구 고령화 현상이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영양상태가 좋아지고 면역체계도 강화되었다. 반면에 여러 가지 질병도 늘어났지만, 치료 가능한 질병도 늘어나 기대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사망률도 감소하게 되었다. 평균수명 연장과 빨라진 은퇴로 인해 노후기간이 늘어나면서 노인들의 사회참여는 여기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처럼 고령사회가 되면서 노령인구가 점차 증가되어 실버세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에 따른 실버세대의 소득수준이 여가활동과 공연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고 소비의 주체가 될 실버세대의 공연관람 시장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고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버세대의 여가활동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변수인 문화관람 감상활동, 자기계발 활동, 가족중심 활동과 공연선택을 구성하는 마케팅 믹스 4P 주요 변수인 작품성, 장소성, 프로모션, 가격을 도출하였고, 공연관람 경험이 있거나 문화예술 활동 동호회를 하고 있는 50세 이상의 실버세대 27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실버세대의 소득수준은 여가활동 및 공연선택의 하위 요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득수준이 높아지면, 여가활동도 많아지고, 공연선택에 있어서 마케팅 믹스 4P의 주요 요소인 작품성, 장소성, 프로모션, 가격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버세대의 여가활동의 하위 요인 중 문화관람 감상활동과 자기계발 활동, 가족중심 활동이 높아지면 공연선택에 있어 프로모션과 가격 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관람 감상활동과 자개계발 활동이 높아지면 공연선택에 있어서 작품성 선택이 높아지고, 문화관람 감상활동과 가족중심 활동이 높아지면 장소성 선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버세대 연령대 구분으로 여가활동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50세-54세 예비 노년층과 55세-64세인 액티브 시니어에 비해 65세 이상 실버세대가 가족중심의 여가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공연선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고령사회에 빠른 속도로 다가가고 있음을 인지하고 새로운 소비의 주체가 될 실버세대의 여가활동과 공연관람 선택에 관심을 더욱 기울여 실버세대 공연관람 시장 확대를 위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에 관한 연구

        숙녀 동의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1311

        학교교육은 전통주의 교육의 틀을 벗어나 융합의 시대에 핵심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사가 상호교류하며 지식의 장을 확장하는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제는 교수자가 생각하는 방향성, 교수자가 가진 교육 가치에 대한 내재성, 교수자가 교수행위를 예측하고 교육의 방향을 결정하는 교사의 교육정향성(Educational Orientation)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Educational Orientation)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교육정향성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교사의 교수방법의 개선 및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등교사의 페다고지 교육정향성과 앤드라고지 교육정향성을 비교 분석한다. 둘째, 중등교사는 교육정향성 하위 영역별 페다고지 정향성과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비교 분석한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문헌분석,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문헌분석은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 문헌, 석‧박사 학위논문, 보고서 등을 수집하여 교육정향성의 의미와 개념 형성, 교육정향성의 이론적 탐구, 교육 정향성의 유형, 중등교사와 교육정향성의 관계 등에 대해 차례로 논의 하였다. 교육정향성을 분석하기 위한 척도로는 Hardley(1975)에 의해 제작되고 성수현(2009)에 의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수정된 ‘교육정향성 설문지(educational orientatio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2012년 4월 양산시에 재직중인 중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247부 중 분석에 적절하지 못한 3부을 제외하고 244부를 이용하여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educational orientation)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교육정향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 244명중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가진 교사는 137명으로 전체의 56%로 나타났으며, 페다고지 정향성을 가진 교사는 84명으로 전체의 34%로 나타나,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가진 교사가 많았다. 이는 20세기말 ‘열린 교육’ ‘창의적 인성 교육’이라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당국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둘째, 하위영역에 따른 교사의 교육정향성을 교육 목적, 학습자 특성, 학습경험의 특성, 학습경험관리, 교육평가, 관계 등의 6개의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교육목적과 학습경험 관리영역에 있어서는 페다고지 정향성으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신뢰수준을 회복하지 못해 정향성을 파악하기가 힘들었다. ‘학습자 특성’과 ‘학습경험 관리 특성’, ‘교육평가’와 ‘관계’ 등의 영역에서는 앤드라고지 성향을 나타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정향성을 분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른 정향성에서는 남자 교사의 경우 전체적으로는 앤드라고지 정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각각의 하위 영역 중에서 ‘학습자 특성’은 페다고지 정향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평가’ 와 ‘관계’ 영역에서는 앤드라고지 성향으로 나타났다. 여자 교사의 경우 전체적으로 앤드라고지 정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6개의 하위영역중 ‘학습경험특성’, ‘교육평가’, ‘관계’ 등에서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보였다. 학력에 따른 정향성 분석 결과 대졸자나 대학원 졸업자 모두 전체적으로 앤드라고지 성향이 높은 것으로 파악 되었다. 대졸자의 경우 6개의 하위 영역 중 ‘학습경험 특성’, ‘교육평가’, ‘관계’ 등의 영역에서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나타냈다. 한편, 대학원졸업자의 경우 6개의 하위영역 중 ‘학습자 특성’, ‘학습경험 관리’, ‘교육평가’, ‘관계’ 등의 영역에서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나타냈다. 주당 수업시수에 따른 정향성 분석 결과 주당 수업시간이 20시간 이상이거나 이하이거나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앤드라고지 정향성을 나타냈으며, 20시간 이상이거나 이하의 교사들에 있어 6개의 하위영역 중 ‘학습경험 특성’, ‘교육 평가’, ‘관계’ 등의 영역에서 앤드라고지 성향을 나타내는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평생교육 연수 경험의 유무에 따른 분석 결과 평생교육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의 전체적인 교육정향성은 앤드라고지 성향이 높았으나 유의미한 신뢰수준을 확보하지 못해 정향성을 말하기엔 무리가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6개 하위영역 중 ‘학습자 특성’, ‘학습경험 관리’, ‘교육 목적’ 등의 영역에서는 페다고지 정향성을 보였다. 한편, 평생교육 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의 경우에는 앤드라고지 정향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교육목표’, ‘학습자 특성’은 어떤 일반적 특성 상황 속에서도 페다고지 정향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학교라는 교육사회가 가진 학생을 교사의 확신적 신념에 의한 저금식 교육의 선상으로 인지하고 획일화된 교육목표 실현이 교육의 방향

      • 고객서비스리더의 자기효능감 및 상사의 지원과 고객서비스 직무현장 교육활동간의 관계 : K의료원의 친절리더 직무현장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숙녀 高麗大學校 2006 국내석사

        RANK : 1311

        고객서비스향상을 위한 병원의 노력 가운데 교육은 빠지지 않는 요소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병원에 이미 종사하는 병원종사자들에게 고객서비스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즉각적으로 병원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병원의 고객서비스교육의 주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고객서비스교육의 학습내용을 병원종사자들에게 전파하고 병원문화에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 직무현장교육(On-the-Job Training: OJT)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병원은 고객서비스향상을 위한 직무현장 교육활동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직무현장 교육활동이 병원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병원에서 고객서비스 향상을 위한 직무현장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 교육활동리더 개인, 조직의 지원이 직무현장 교육활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직무현장 교육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하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 고객서비스에 대한 직무현장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친절리더 직무현장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병원을 대상으로 교육활동리더의 자기효능감 및 상사의 지원과 직무현장 교육활동실시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교사의 지도성 유형과 아동의 창의성의 관계

        숙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31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지도성 유형이 아동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사의 지도성 유형이 아동의 창의적 환경 변인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화 중심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은 과업 중심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보다 높을 것이다. 둘째 효율적인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은 비효율적인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보다 높을 것이다. 본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부산 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7개교를 무선 표집하여 표집된 학교의 4,5,6학년 담임 교사 65 명과 표집된 교사의 학급에서 아동을 각각 5명씩 무선 표집하여 32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교사용 지도성 유형 측정 도구는 Halpin(1959)의 LBDQ 지도성 유형 측정도구를 개작하여 만든 제용학(1992)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Likert식 5단계 측정에 의하여 배점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용 창의성 검사는 이영덕·정원식이 공동제작하고 코리아 테스팅 센터에서 발행한 간편 창의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의 신뢰도 계수는 교사용 지도성 측정 도구의 문항 내적 일치도는 전체 문항이 .91이고 하부 항목인 과업 중심 문항은 .84이며 인화 중심 문항은 .88이었다. 아동용 간편 창의성 검사지는 신뢰도가 .70∼.90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는 표준화된 검사 도구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화 중심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 점수와 과업 중심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 점수를 t검증한 결과 t=1.840으로 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성 하위 요인별로도 개방성과 유창성에서 각각 t=1.846과 t=1.541로 10%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율적인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 점수와 비효율적인 지도성 유형 교사 학급 아동의 창의성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성 하위 요인인 독창성 점수는 t=1.373으로 10%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인화 중심 지도성 유형을 가진 교사는 과업 중심 지도성 유형을 가진 교사보다 아동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의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교사의 지도성 행위를 인화 중심으로 유지함으로써 아동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중요한 환경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효율적인 지도성 유형을 가진 교사나 비효율적인 지도성 유형을 가진 교사는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던 것은 효율적인 교사일지라도 인화 중심의 행위는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과업 중심 행위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도 함께 미친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효율적이 교사나 비효율적인 교사는 아동의 창의성 점수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고 불 수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교사일지라도 인화, 과업 행위를 모두 높게 강조하면 아동의 창의성 신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adership style and children's creativity, and to serve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teacher's leadership style to the children's creativity background variables. For the purpose,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children's creativity level on class teacher's leadership will be higher in harmony-oriented leadership than in task-oriented leadership. Second the children's creativity level on class teacher's leadership will be higher in an efficient than in an inefficient leadershi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5 fourth-grade, fifth-grade and sixth-grade children, and 65 their class teachers from seven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Busan. As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class teacher's leadership in this study, Che Yong Hak's questionnaire that reconstructed based on alpin's leadership behavior description questionnaire to fit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the inner conformity between the credibility feature for measuring and teachers leadership style questions is .91 in the leadership style questions, .84 in the task-oriented style questions, and .88 in harmony-oriented style questions. As a questionnaire for measuring children's creativity, Lee young duk & Jung Won Sik's brief creativity questionnaire made by Korean testing center was used the children's brief creativity questionnaire is a standardized test with measuring ranged from .70 to .90 in the cred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orst the children's creativity score on class teacher's leadership is higher in harmony-oriented leadership than in task-oriented leadership. Also, the class teacher's style in harmony-oriented leadership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openness and fluency in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Second the efficient leadership style or the inefficient leadership style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hildren's creativity score. But i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originality in the sub-fator of creativ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harmony-oriented leadership style have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than task-oriented leadership style. Therefore, teachers should maintain harmony-oriented leadership among leadership styles to support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he efficient leadership style or the inefficient leadership style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hildren's creativity. Because harmony-oriented leadership style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ren's creativity but also task-oriented leadership style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it, when the efficient leadership is exercised.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fficient or the inefficient leadership style doesn't make a difference to the children's creativity score. Therefore, generally it is hard to say that teachers with efficient leadership can have always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ren's creativity, in case they emphasize both on task-oriented and harmony-oriented leadership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