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견인 루프에 부여된 gable bend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

        양은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1

        하악 제 1소구치가 발치된 증례에서 bull loop을 견치 후방에 제작하여 6전치 견인(en-masse)시 gable bend(이하 게이블 벤드라 함)를 어느 정도 부여할 때 하악 전치부의 해부학적 제한안에서 효과적인 치축조절과 후방 이동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치부 고정원 상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를 3차원으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양악 치조성 전돌로 밀집 없이 배열된 하악 왁스 모형에서 제 1소구치를 제거하고 bull loop가 형성된 .016″× .022″스테인레스 스틸 호선에 10°, 15°, 20°의 게이블 벤드를 부여한 후 6전치를 후방견인(en-masse) 하였다. Calorific Machine^(ⓡ)(이하 칼로리픽 머신이라 함)을 이용 치아에 열을 가해 인공 치조골부 상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하였다.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모형을 CT로 촬영한 후 Rapidform 2004™을 이용 3차원 모형으로 전환하고 인공 치조골부에 식립 된 금속 표지물을 V-Works 4.0™으로 중첩하여 치관과 치근의 수평, 수직, 전후방 이동량을 측정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치부에서 근원심과 구치부의 협설측의 치아이동 양상은 게이블 벤드 양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 할수록 전치부와 구치부의 정출량은 감소하였다. 시상면상 이동에서 게이블 벤드의 양이 10° 일 때 중절치는 비조절성 경사 이동양상을 보이나, 15° 이상 증가할수록 치체 이동양상을 보였다.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은 증가하였고 구치부의 고정원 상실은 감소했으며 이 양상은 10°와 15°, 20° 간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구치 발치 후 전치부의 견인시 정출량의 감소, 고정원 유지, 전치부의 치체 이동을 위해서는 견치 후방에 부여된 게이블 벤드의 양은 15° 이상이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 case of extraction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for th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for the minimum anchorloss of the posterior teeth. I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rranged without crowding, the extracted space of the first premolar in Calorific machine^(ⓡ) was closed with 016″× 022″ SS arch wires which was combined with the gable bends of 10, 15, 20 degrees. The closed aspect of extracted space was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by using CT. Superimposi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placement of teeth in three direc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 way ANOVA and Scheff post hoc test were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in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rec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gable bend. 2.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and posterior tooth extrusion decreased. 3.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sagittal movement of anterior part was the bodily movement. 4.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increased and anchorloss of posterior tooth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 should be above 15° for the decrement of extrusion and anchorloss and for the bodily movement of anterior tooth in case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 元好問 詩歌의 탈경계적 상상력 연구 : 서사적 구성과 장르적 변용을 중심으로

        양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元好问为金元交替时期的代表诗人,他的诗被评价为“兼杜韩苏黄之胜,俨有集大成之意。”,他的词被评价为“可谓集两宋之大成者矣。”。所以,诗歌方面学者一般着眼于唐代的代表诗人李白和杜甫、宋代的代表诗人苏轼和黄庭坚诗歌的继承关系。词的方面亦如此,主要研究以苏轼为代表的豪放派或以周邦彦为代表的婉约派内部的继承关系。而元好问留存的作品除诗、词、曲之外,还有散文及笔记小说,是一位全才的作家。他的诗歌作品中,除具有诗歌本来的抒情色彩外,还呈现出散文及小说的叙事文学特征。这些特征无疑与这一时期文学发生的转向相关,即从以诗词为代表的抒情文学向以小说及表演艺术为代表的叙事文学的转换。 元好问诗歌作品的“非诗歌性”特征源于他超境界的想象力。本文所言的超境界想象力有两层含义。第一,体现在他突破了诗歌作品的“抒情诗境界”,在诗歌中融入了史实及虚构性故事等所有类型的中国式叙事。第二,体现在他突破了诗、词、散曲、散文及小说的体裁限制,且通过这种质的变化实现了体裁间的相互交融。 本文以时代背景及个人背景为基础对元好问超境界的想象力进行了考察。在金元交替时期,女真族、蒙古族、汉族及契丹族等多民族共存,出现了文化杂糅(cultural hybridization)现象。在少数的女真族和蒙古族的统治下,包括汉族在内的外族人都沦为非统治阶层,导致了文学共享的中心向下层阶级移动。在这样的大环境下,随着实录和叙事文学的发展,出版文化及表演艺术也得到了发展。占领北宋领土的金代文人们在接触北宋文物时有着便利性,因而其思想及文化也受到了北宋的影响。这样的历史背景在金代文学思潮中也得到了充分的体现。与欧阳修、梅尧臣为中心的诗文革新运动一样,韩愈“以文为诗”的风格在诗坛占据了主导地位,使诗开始向散文倾斜;而词人苏轼是以诗的方式作词,他的“以诗为词”使词向抒情诗的风格靠近。韩愈的“以文为诗”和欧阳修的“以诗为词”风格都属于体裁上的变型,二人的写作风格都对元好问超境界性想象力的形成产生了影响。 元好问曾随着他的养父居住在山东、河北、山西和甘肃等地,也与路泽、郝天挺、秦略及完顔璹等有过交流。入世后,他与赵秉文、完颜斜烈及移剌瑗等人也有过交流;金灭亡后,他在严实、史天泽及张柔的幕府中与不同的文人进行了交流。正因元好问对身份、民族及宗教的包容性,使他在思想上也吸取了儒教、道教、佛教、乃至民间信仰的精髓,可谓“杂学”者。元好问以著作为己任,将金代的历史、轶事,甚至周边发生的鬼神现象也一并记录了下来。这样的时代背景及元好问的个人经历是构成他诗歌中叙事化及体裁变型的超境界性想象力之基础。 元好问的超脱境界性想象力可以通过他诗歌作品的时空性叙事结构及叙事手法中体现的叙事性特征来考察。首先,他诗歌作品中设定的时间范畴通常以过去为主。过去的时间又可细分为对自己人生的回顾、对北宋宣和年间遗物的描述及个人奇闻的记录三个部分,在作品中主要以这些时间维度中存在过的朋友、歌词、花或古物等相关事物(analogon)将读者带入自己的虚构世界中。 空间叙事结构是以作品中人物经历的事件为中心来设定的。带有故事性的空间场所主要有并州、边境、緱山、半山亭及人的梦境。并州为元好问及其友人李汾等北方少年心中的故乡,是停留在记忆中那只能怀念而无法回去的场所;这些并州少年的气概常常以鸡鸣起舞的东晋刘坤和祖逖来比喻;边境常被描写为美人被逐去之地,这些美人常被喻为司马相如笔下的陈皇后;緱山和半山亭是元好问及追随自己的冯璧、雷渊及杜仁傑等人为成仙而醉酒之地,此处的酒如同陶渊明的“忘忧物”,饮酒之人常被喻为王子乔,所以与之相关的緱山也被认为是仙人的住所;梦境是元好问及友人们的作诗之地,梦中醒来的元好问或是将梦中所做的诗记录下来,或是将诗补完,可见梦境是他作诗的另一空间场所。 在叙事手法上,元好问主要通过三种手法来刻画叙事性内容。第一,通过以同一主题但各自独立的联章体来叙述时间及空间的移动或扩大,或是刻画出如同戏剧、电影的连续场景。第二,通过视觉、听觉、触觉及动觉等多样的意象重叠来获取产生移情效果的画面,这种叙事手法在描绘山水景物的作品中最为常见。第三,在作品中插入人物的对话来展开对故事的叙述。元好问突破了体裁固有的形式,例如为了故事的讲述曾在碑文中也插入了人物之间的对话,他的诗不仅在作品中插入对话,在诗歌的序文及题目中也有对话的插入。 元好问超境界性想象力的另一体现是对体裁的重塑,即“以诗为词”,是以“以文为诗”的方式作词。具体可分为以文为诗,以小说为诗,以及以诗为词曲三类。首先,以文为诗是以散文的方式作诗词,主要用来记录事实及诗歌评论。元好问在诗词作品前以散文形式来写序,用以传达作品的背景信息。也会附上用来记录诗中人物生平的小传,且以游览过程及位移为中心将旅程生动地记录下来。此外,以七言绝句形式的联章体创作而成的论诗诗是体裁变型的代表,是将以散文形式创作的诗歌评论应用于诗中。第二,以小说为诗是将小说的虚构性特征应用于诗歌中。与以文为诗词的情况相似,元好问也以序文的形式来交待叙事性背景。在元好问的诗词中,会记录体验超自然世界的事件,或与唐传奇一样对加入了虚构性的爱情故事进行细致的描述。亦或是如笔记小说那般描述街谈巷议的故事内容。第三,以诗为词曲是将应用于诗歌中的题材扩展到词曲的创作中。具体的作法是在诗中出现的题材中加上叙事性要素,如在与友人交流的题材上加上故事,在归隐题材的故事中加入前景化(foregrounding)处理方式,在战乱诗中加入对战争惨状的描写,在怀古题材中加入时间性的对比来表达评价及见解。 最后,是对诗歌作品中叙事性结构和技法的考察。该部分中将把诗、词、曲、散文及小说体裁间变型的超境界性想象力的意义分为正反两个方面进行考察。 第一,元好问继承了记录事件的纪实传统,序文中记录了包含事件的故事,由此可见元好问“以诗歌存史”的态度。但也正因他将焦点放在对事实的记述上,也使得诗歌的抒情性被弱化。诗歌与序文的结合可谓抒情与叙事的结合,在元好问918题的诗中,有序文的作品共115题;而在其388题的词中,有序文的作品共计166题;元好问通过诗歌与序文相结合的形式,使原本强调抒情性的诗歌在具有文学价值的同时,也兼具历史价值。但转向通俗的诗作中,叙事性的倾向也使其与散文、小说、杂剧的体裁界限变得模糊而终被淘汰。第二,抒情与叙事相结合的形式兼具了即事类新题乐府的精华及联章体诗歌的叙事效果。第三,第三层意义在于元好问敢于作出突破叙事界限的尝试,这种尝试主要体现在传奇体词和论诗诗中。传奇体词指以传奇小说内容而写作的词,其发展与中唐时期盛行的传奇小说密切相关。不仅如此,元好问的词中也有着许多传奇小说的相关内容。与元好问生活时期相近,常活动于南宋的吴文英或元好问的弟子白朴的词中也存在着传奇小说内容,他们所用的内容多为取材于唐代的典故。然而,元好问只是将自己所见所闻的新奇事物直接记录于词的序文之中,这种尝试使他的作品与崇尚雅的文人诗作体现出了质的差别,同时也造成其诗歌未能对后世产生深远的影响。与此相反,元好问以散文的手法所作的论诗诗却在清代引起强烈地反响。谢启昆读≪全唐诗≫、≪全宋诗≫及≪中州集≫后,作论诗诗360余首。此外,提倡神韵说的王士贞、主张性灵说的袁枚、主张肌理说的翁方纲及主张格调说的沈德潜都写过论诗诗,这种现象侧面反映出元好问论诗诗所产生的影响。此外,也解释了元好问与清代文人的诗学主张部分一致的原因。不仅如此,这也很好的说明了元好问模仿唐代杜甫<戏为六绝句>而作的论诗诗在主张复古宗唐的清代得到关注也是顺理成章的,他也正是因此而得到“少陵的后裔”及“在金元间无敌手”的诗人等美誉。 综上所述,笔者认为对文学史上未能得到客观评价及认可的金元文学进行研究,比对俗与雅的探讨更具研究意义。与此相比,在各个时代的不同趋势下,当下具有代表性的文学形式是如何发生融合与变化的,及其最终被重塑成何种形式才是更为重要的研究课题。同理,被重塑的文学形式在当时占据怎样的文学地位及其对后世文学的影响则更值得被关注。正如“一代有一代之文学”一语,楚有骚、汉有赋、六代有骈文、宋代有词、元代有曲、明清有小说及戏剧,然而遗憾的是金元时期的文学在文学史上却未能占据一席之地。本研究中对元好问诗歌的考察突破了传统研究的局限,不再从诗与词、诗与小说、古文与时文的雅俗论争角度进行探讨,而是将焦点放在由抒情向叙事转换的过渡期文学特征上来重新审视金代文学。本研究通过对元好问诗歌的文学史地位,及其叙事性结构、体裁变型等超境界性想象力特征的考察,能够使金元时期文学史的全貌及重要性更加完整的展现出来,为后续研究提供基础和平台。

      • 李商隱 初期詩 硏究

        양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미주의적인 愛情詩로 유명한 李商隱의 초기시 64首 중에는 당시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시와 개인적인 감회를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낸 시가 상당수 존재한다. 여기에는 무능한 군주와 甘露의 變, 환관의 전횡과 藩鎭의 할거와 같은 현실 제반의 문제와 이상은 개인의 ‘懷才不遇’에 대한 감회가 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초기시는 格律과 對仗이 잘 이루어져 있는 근체시와 격률에 구애를 받지 않아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운 고체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근체시에서 사용되는 對仗의 방법을 고체시에 사용함으로써 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몽롱하고 난해’하지 않다. 또 객관적인 사실에 주관적인 허구적 묘사를 적절히 조화시켰으며, 글자 수가 엄격한 특징을 갖는 시에 典故와 虛詞를 사용하여 시어를 단련하고 의미를 확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의론을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對比와 反問의 수사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杜甫의 社會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이상은의 초기시는 詩敎說에서 탈피하였다는 것과 현실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以詩補史’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겠다. 이는 만당 후기의 사실주의 시인인 皮日休, 陸龜蒙, 羅隱, 杜荀鶴 등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 명상수련과 현대인의 자기치유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대구시 단월드 A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은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about 'why is the number of people practicing at the Meditation Center increasing in today's society?'. I tried to figure out what this phenomenon implied socioculturally. Ethnographic research took pla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trainer(master)-practicer(student), healer-sufferer in Dahnworld A center, B yoga class, C qi(氣) massage shop.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current study are follows. The chapter two covers practicers' training process and motives. In the chapter three, the roles of the meditation center were classified as medical, mental and social functions. Finally, the chapter four was described about the meditation center's meaning with Michel Foucault‘s theory. Here more attention was paid to the 'self-healing' and 'self-oriented concern' that the practicers can accomplish through the meditation cent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makes practicers come to the meditation center is the recommendation by others and needs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y are practicing in the meditation center not only for physical health but for stress relief and mind control. That is, the self-healing experienced by the meditation center includes invisible mental & spiritual healing as well as visible physical health. So these effects are based on practicers' belief system about the meditation training although there can be a degree of individual difference. Seco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most people at the Meditation Center are having mental difficulties like the emptiness, the loneliness, and the desolation because of materialism. And most of practicers are training to relieve their stress, depression and sleeplessness caused by jobs or relationships and their stiff neck or shoulders by a state of tension. In other words, meditation training helps practicers to heal themselves. Third, individual suffering from these mental problems tries to achieve 'self-care' toward oneself, 'self-improvement' as ' technologies of the self'.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Michel Foucault‘s theory thinks of the individual in the modern society as 'fictional existence' made by the invisible power under the capitalism. So some people are taking a meditation training to be free from the 'fictional existence'. Finall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meditation center in a socio-cultural context. In general, we may think that Individual' problems mainly come from our social structure. But despite that, people participating in the meditation center have actually tried to turn these social problems into their own personal problems to cure their problems. However, this process still can not solve the problems of the social structure, even helps to support the existing society eventually. Key Words: Meditation training, Dahnworld A center, Self-healing, Michel Foucault‘s theory, self-care

      • 저강도 발살바 법이 뇌동맥 및 맥파 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유효성 확인과 장치 설계

        양은선 가천대학교 메디컬캠퍼스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39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높은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젊은 성인에서도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어 모든 세대에서 경각심을 가지고 관 심을 기울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뇌혈관 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이 원활해야 하며, 이는 동맥의 탄력성에 크게 영향 을 받는다. 실제로 동맥 경직은 혈관 기능 장애와 인지 기능 저하의 주 요 원인으로, 허혈성 뇌졸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뇌로 혈류 를 전달하는 총경동맥 (common carotid artery, CCA)의 경직수준을 관 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혈관 경직수준을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약리학 적 접근법의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약물의 부작용을 예측하기 어렵 고 약물 의존도를 높일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침습적인 자극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압력 반사 (baroreflex)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동맥압 (arterial pressure)을 조절할 수 있는 발살바 법 (valsalva maneuver, VM)을 30-35 mmHg의 저강도로 수행할 때 CCA의 경직도 완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VM을 저강도로 수행할 때 CCA의 수축 직경 (vasoconstriction diameter, VCD)과 이완 직경 (vasodilation diameter, VDD)의 변화를 진단용 초음파를 통해 관찰하였다. 동시에 혈압 (blood pressure, BP)을 측정하여 획득한 변수들로 평균 동맥압 (mean arterial pressure, MAP), 맥압 (pulse pressure, PP), 맥파 속도 (pulse wave velocity, PWV), 동맥 경직도 (arterial stiffness)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별 최대로 수행 가능한 VM 수준보다 낮은 강도로 중 재했을 때 BP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CCA의 동적 변화를 유도하여 혈관의 경직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VM 중재 이전과 비교했을 때, 중재 이후의 VCD는 2.15% 증가 (p=0.039), VDD는 4.55% 증가 (p<0.001), 그리고 DBP는 1.10% 증가 (p=0.029)가 관찰되었으며, PWV와 동맥 경직도는 VM 중재 이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0.001). 이러한 결과는 저강도 VM이 혈관 동적 기능의 변화에 효과 적이며 혈관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저강도 VM 수행이 CCA의 경직도 완화에 효과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단시간에 적용 가능하며 환경적 제약과 비용 부담 없이 수행할 수 있으며 객관적이고 맞춤형 자극을 유도하고 조절할 수 있는 VM 장치의 설계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설계된 장치는 VM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일상생활 중에서나 가정에서도 혈관 경직도를 관리할 수 있게 도와 혈관 건강 개 선과 뇌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행동 : 성별의 조절 효과

        양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의 각 관계에서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28명(164쌍)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수준을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주요 변인들은 모두 자기 보고형 도구를 통해 측정하였다. 일-가정 양립 갈등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의 두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4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 수준은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로 측정하였다. 양육 스트레스는 총 11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였으며, 양육 행동은 온정적 양육 행동과 통제적 양육 행동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12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 및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이용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자녀 수, 자녀 성별 및 월령, 부모 학력 및 연령, 가구 월평균 소득, 하루 평균 근무 시간 · 주중 가사 시간 · 주말 가사 시간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에서 부모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 행동에서는 성차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은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양육 스트레스와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온정적 양육 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일-가정 양립 갈등과 통제적 양육 행동의 관계는 서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은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와 각각 정적 관련이 있었고 온정적 양육 행동과는 부적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가정 양립 갈등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일-가정 양립 갈등과 온정적 양육 행동의 관계에서는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나타난 성별의 조절 효과 검정 결과, 부모 모두 일-가정 양립 갈등이 증가할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일-가정 양립 갈등이 증가할수록 모의 우울 수준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갈등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우울, 양육 스트레스, 온정적 양육 행동과 각각 관련성이 있고 그중에서도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는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일-가정 양립 갈등과 성차에 관한 이해를 넓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유발하는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부모 성별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ith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warmth and control). Also, the role of gender (husband or wife) as a moderator was explored. A total of 328 parents (164 couples) in dual-earner Korean household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Control variables were numbers of children, gender and age of youngest children,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age,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 average daily working hours, and average housework hours in week and week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parental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ing behaviors (warmth and control). Seco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work-family conflict, parent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arm parenting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Third, work-family conflict showed not only positive links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but also negative links to warm parenting behaviors. Furthermore, parental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However, parental gende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and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in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ds out that parental gender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Mothers were more likely to vulnerable to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fathers when they confront work-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gender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when we intervene in the work-family conflict of dual-earner couples.

      •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이 우울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은선 청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들은 심리적 만족과 건강증진을 위해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복지관 이용특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및 만족도와 같은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 요인이 노인의 우울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복지 프로그램 및 정책개발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과 함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 노인의 우울 및 행복감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은 청주시에 있는 3곳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총 3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8부를 제외하고 26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복지관 이용 기간은 최단 1개월~최장 15년으로 평균 3.9년 정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1년~3년 이하, 3년~5년, 5년 이상, 1년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관 주 이용횟수는 주 1-2회, 주3-4회, 주 5회 이상 순으로 복지관 이용이 노인들에게 주요한 여가활동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동기는 건강을 위해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164명(62.6%), 자아실현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98명(37.4%)으로 건강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복지관 이용에 대한 가족의 지지여부는 지지 한다 201명(76%), 지지하지 않는다 61명(23.3%)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5점 만점에 2.5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 만족도를 살펴보면, 5점 만점에 4.12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노인이 지각하는 우울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53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고, 행복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56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우울 정도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 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한 집단보다 불건강한 집단의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상태 또한 마찬가지로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은 집단보다 좋지 않은 집단의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행복감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상태,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변수별로 살펴보면,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의 경우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좋은 집단이 좋지 않은 집단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 천주교 집단, 불교 집단 및 기독교 집단, 종교가 없는 집단 순으로 천주교 집단의 행복감 수준이 가장 높고, 종교가 없는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관 이용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주 이용횟수가 주 1-2회 이용하는 집단이 2.62점, 주 3-4회 이용하는 집단이 2.49점, 주 5회 이상인 집단의 우울정도가 2.40으로 복지관 이용횟수가 주 5회 이상인 집단보다 주 1-2회 이용하는 집단의 우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행복감은 5점 만점에 건강을 위한 집단이 3.52점, 자아실현을 위한 집단이 3.64점으로 자아실현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집단이 건강을 위해 이용하는 집단보다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들이 우울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여가활동관련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여가활동 만족도가 낮을수록(β=-0.311), 주관적 건강상태가 불건강할수록(β=--0.207), 복지관 주 이용횟수가 적을수록(β=-0.179), 주관적 경제상태가 나쁠수록(β=-0.148), 여가활동 수준이 낮을수록(β=-0.141) 노인의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β=0.346), 여가활동 수준이 높을수록(β=0.282), 경제상태가 좋을수록(β=0.172),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β=0.131) 행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개인의 연령, 성별, 학력수준, 생활수준, 건강상태, 종교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여가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노인이 건강상태가 안 좋다거나 여가활동을 이용하고 싶지만 경제적 제약이 많아 이용을 못하는 경우, 또는 가족관계가 좋지 못한 노인들의 경우, 개개노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가프로그램이 보편화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복지관에서는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만들어 노인들이 복지관을 자주 이용하도록 유인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가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용하는 모든 노인들에게 최대의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여가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여가활동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인 개인뿐만 아니라 노인 주변의 다양한 환경체계, 즉 가족, 사회가 노인의 여가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인의 여가활동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 차원에서도 노인이 여가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가복지정책을 추진해야 하는데, 노인 관련 스포츠 산업 육성과 노인여가시설에 전문지도자를 배치하여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 여가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노인들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강좌를 더욱 다양하게 만들고, 노인을 위한 연극이나 콘서트도 지방까지 확대하여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밖에 자녀와 같이 사는 노인보다 독거노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독거노인들이 자녀와 같이 사는 노인보다 소외감이나 우울을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가 독거노인가구를 더 세밀하게 살피고 독거노인들이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Nitric oxide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한 항산화 효소의 방어기작 및 isocitrate dehydrogenase와 질병과의 연관성

        양은선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Nitric oxide (NO) is a messenger molecule with multiple biological functions. NO or its derivatives also interact with the thiol groups of proteins and glutathione to form nitrosothiols. The interaction of NO with sulfhydryl-containing molecules and enzymes have gained considerable importance. The isocitrate dehydrogenases (ICDHs; EC 1.1.1.41 and EC 1.1.1.42) catalyze oxidative decarboxylation of isocitrate to a-ketoglutarate and require either NAD^(+) or NADP^(+), producing NADH and NADPH. NADPH is an essential reducing equivalent for the regenera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by glutathione reductase and for the activity of the NADPH-dependent thioredoxin system, both being important in the protection of cells from oxidative damages. Therefore, NADP^(+)-dependent ICDH may play important antioxidant roles during oxidative stre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OD, catalase, and ICDH in cellular defense system against the nitric oxide-mediated oxidative damage and apoptosis. U937 cells were pre-treated with 1 mM DETC (SOD inhibitor), 20 mM ATZ (catalase inhibitor) or 3 mM oxalomalate (ICDH inhibitor) and exposed to nitric oxide.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decreased upon exposure to nitric oxide. The cellular redox status in inhibitor-treated cells, reflected by an increased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ratio of [NADPH]/[NADPH + NADP^(+)] and the efficiency of glutathione turnover, was shifted to prooxidant state compared to control cells. The cellular damage in inhibitor-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cells. Furthermore, apoptotic cellular damages like chromatin condensati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transition and caspase-3 activation were observed in inhibitor-treated cells. The nitric oxide mediated damage to antioxidant enzymes may result in the perturbation of the cellular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and subsequently lead to a prooxidant condition. Modific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which induced with ethanol will likely have biological and medicinal significance. When HepG2 cells were incubated with 100 mM ethanol,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cytosolic and mitochondrial ICDH activities were observed. Using immunoprecipitaion, we were also able to isolate and positive identify S-nitrosylated and nitrated mitochondrial ICDH from ethanol treated HepG2 cells. Intracellular ROS and nitrite levels were increased with ethanol treatment,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was observed. We observed a decrease in mitochondrial ICDH activity and the modulation of the cellular redox status in the liver from the ethanol-fed rats. S-nitrosocysteine and nitrotyrosine adducts of mitochondrial ICDH purified by immunoprecipitation were also detec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increases peroxynitrite hepatotoxicity by enhancing concomitant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superoxide.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accumulation of NO and O_(2)^(-) in liver from the ethanol-fed rats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of Mn-SOD and CuZn-SOD activities and increased iNOS activity and induction of iNOS protein. Therefore, it is tempting to speculate that inactiv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is, presumably, at least in part responsible for the perturbation of cellular redox status and oxidative damage in chronic alcoholism. The possibility that inactiv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diabetes, and chronic inflammation is worthy of further consideration.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활용한 온라인 마일리지 사이트 운영 사업계획서

        양은선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의 기록/판독이 가능한 RFID 시스템과 상권 내의 협의체 센터들을 네트워크로 연계하고 사용자의 마일리지를 적립, 사용, 교환, 대여할 수 있는 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