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악 제1소구치 발치공간 폐쇄시 견인 루프에 부여된 gable bend양에 따른 치아이동 양상

        양은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71

        하악 제 1소구치가 발치된 증례에서 bull loop을 견치 후방에 제작하여 6전치 견인(en-masse)시 gable bend(이하 게이블 벤드라 함)를 어느 정도 부여할 때 하악 전치부의 해부학적 제한안에서 효과적인 치축조절과 후방 이동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치부 고정원 상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지를 3차원으로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양악 치조성 전돌로 밀집 없이 배열된 하악 왁스 모형에서 제 1소구치를 제거하고 bull loop가 형성된 .016″× .022″스테인레스 스틸 호선에 10°, 15°, 20°의 게이블 벤드를 부여한 후 6전치를 후방견인(en-masse) 하였다. Calorific Machine^(ⓡ)(이하 칼로리픽 머신이라 함)을 이용 치아에 열을 가해 인공 치조골부 상에서 발치공간을 폐쇄하였다.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모형을 CT로 촬영한 후 Rapidform 2004™을 이용 3차원 모형으로 전환하고 인공 치조골부에 식립 된 금속 표지물을 V-Works 4.0™으로 중첩하여 치관과 치근의 수평, 수직, 전후방 이동량을 측정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치부에서 근원심과 구치부의 협설측의 치아이동 양상은 게이블 벤드 양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 할수록 전치부와 구치부의 정출량은 감소하였다. 시상면상 이동에서 게이블 벤드의 양이 10° 일 때 중절치는 비조절성 경사 이동양상을 보이나, 15° 이상 증가할수록 치체 이동양상을 보였다. 게이블 벤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전치부의 후방 이동량은 증가하였고 구치부의 고정원 상실은 감소했으며 이 양상은 10°와 15°, 20° 간에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구치 발치 후 전치부의 견인시 정출량의 감소, 고정원 유지, 전치부의 치체 이동을 위해서는 견치 후방에 부여된 게이블 벤드의 양은 15° 이상이어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 case of extraction of mandibular first premolar for the maximum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and for the minimum anchorloss of the posterior teeth. In bimaxillary dentoalveolar protrusion arranged without crowding, the extracted space of the first premolar in Calorific machine^(ⓡ) was closed with 016″× 022″ SS arch wires which was combined with the gable bends of 10, 15, 20 degrees. The closed aspect of extracted space was transformed into three-dimensional modeling data by using CT. Superimposi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placement of teeth in three directions.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one way ANOVA and Scheff post hoc test were used to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attern of tooth movement in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direction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gnitudes of the gable bend. 2.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and posterior tooth extrusion decreased. 3.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sagittal movement of anterior part was the bodily movement. 4. As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s increased, the amount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increased and anchorloss of posterior tooth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agnitude of the gable bend should be above 15° for the decrement of extrusion and anchorloss and for the bodily movement of anterior tooth in case of anterior tooth retraction.

      • 李商隱 初期詩 硏究

        양은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유미주의적인 愛情詩로 유명한 李商隱의 초기시 64首 중에는 당시 사회현실을 바탕으로 한 시와 개인적인 감회를 비교적 솔직하게 드러낸 시가 상당수 존재한다. 여기에는 무능한 군주와 甘露의 變, 환관의 전횡과 藩鎭의 할거와 같은 현실 제반의 문제와 이상은 개인의 ‘懷才不遇’에 대한 감회가 주로 묘사되어 있다. 그의 초기시는 格律과 對仗이 잘 이루어져 있는 근체시와 격률에 구애를 받지 않아 감정의 표현이 자유로운 고체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근체시에서 사용되는 對仗의 방법을 고체시에 사용함으로써 시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에 ‘몽롱하고 난해’하지 않다. 또 객관적인 사실에 주관적인 허구적 묘사를 적절히 조화시켰으며, 글자 수가 엄격한 특징을 갖는 시에 典故와 虛詞를 사용하여 시어를 단련하고 의미를 확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의론을 전달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對比와 反問의 수사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杜甫의 社會詩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이상은의 초기시는 詩敎說에서 탈피하였다는 것과 현실의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以詩補史’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겠다. 이는 만당 후기의 사실주의 시인인 皮日休, 陸龜蒙, 羅隱, 杜荀鶴 등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 명상수련과 현대인의 자기치유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 대구시 단월드 A센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은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about 'why is the number of people practicing at the Meditation Center increasing in today's society?'. I tried to figure out what this phenomenon implied socioculturally. Ethnographic research took place to understand the relations of trainer(master)-practicer(student), healer-sufferer in Dahnworld A center, B yoga class, C qi(氣) massage shop. The contents discussed in the current study are follows. The chapter two covers practicers' training process and motives. In the chapter three, the roles of the meditation center were classified as medical, mental and social functions. Finally, the chapter four was described about the meditation center's meaning with Michel Foucault‘s theory. Here more attention was paid to the 'self-healing' and 'self-oriented concern' that the practicers can accomplish through the meditation center.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at makes practicers come to the meditation center is the recommendation by others and needs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y are practicing in the meditation center not only for physical health but for stress relief and mind control. That is, the self-healing experienced by the meditation center includes invisible mental & spiritual healing as well as visible physical health. So these effects are based on practicers' belief system about the meditation training although there can be a degree of individual difference. Seco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most people at the Meditation Center are having mental difficulties like the emptiness, the loneliness, and the desolation because of materialism. And most of practicers are training to relieve their stress, depression and sleeplessness caused by jobs or relationships and their stiff neck or shoulders by a state of tension. In other words, meditation training helps practicers to heal themselves. Third, individual suffering from these mental problems tries to achieve 'self-care' toward oneself, 'self-improvement' as ' technologies of the self'. This study which is based on Michel Foucault‘s theory thinks of the individual in the modern society as 'fictional existence' made by the invisible power under the capitalism. So some people are taking a meditation training to be free from the 'fictional existence'. Finally,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meditation center in a socio-cultural context. In general, we may think that Individual' problems mainly come from our social structure. But despite that, people participating in the meditation center have actually tried to turn these social problems into their own personal problems to cure their problems. However, this process still can not solve the problems of the social structure, even helps to support the existing society eventually. Key Words: Meditation training, Dahnworld A center, Self-healing, Michel Foucault‘s theory, self-care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행동 : 성별의 조절 효과

        양은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의 각 관계에서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328명(164쌍)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수준을 조사하고 그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주요 변인들은 모두 자기 보고형 도구를 통해 측정하였다. 일-가정 양립 갈등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의 두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4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 수준은 CES-D(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로 측정하였다. 양육 스트레스는 총 11문항으로 이루어진 도구였으며, 양육 행동은 온정적 양육 행동과 통제적 양육 행동을 하위요인으로 하는 12문항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내적 일관성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과 대응표본 t-검정 및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이용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때 자녀 수, 자녀 성별 및 월령, 부모 학력 및 연령, 가구 월평균 소득, 하루 평균 근무 시간 · 주중 가사 시간 · 주말 가사 시간을 통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에서 부모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양육 행동에서는 성차가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은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양육 스트레스와도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온정적 양육 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일-가정 양립 갈등과 통제적 양육 행동의 관계는 서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요 변인 간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일-가정 양립 갈등은 우울 및 양육 스트레스와 각각 정적 관련이 있었고 온정적 양육 행동과는 부적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가정 양립 갈등과 양육 스트레스의 관계, 일-가정 양립 갈등과 온정적 양육 행동의 관계에서는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나타난 성별의 조절 효과 검정 결과, 부모 모두 일-가정 양립 갈등이 증가할수록 우울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일-가정 양립 갈등이 증가할수록 모의 우울 수준이 더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 갈등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우울, 양육 스트레스, 온정적 양육 행동과 각각 관련성이 있고 그중에서도 일-가정 양립 갈등과 우울의 관계는 부모 성별의 조절 효과가 있음을 밝혀냈으며, 일-가정 양립 갈등과 성차에 관한 이해를 넓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유발하는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부모 성별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ith parental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warmth and control). Also, the role of gender (husband or wife) as a moderator was explored. A total of 328 parents (164 couples) in dual-earner Korean household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Control variables were numbers of children, gender and age of youngest children,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age,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 average daily working hours, and average housework hours in week and week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parental gend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arenting behaviors (warmth and control). Secon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work-family conflict, parent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warm parenting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s. Third, work-family conflict showed not only positive links betwee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but also negative links to warm parenting behaviors. Furthermore, parental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However, parental gende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stress, and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behaviors.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association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parenting in dual-earner couples with young children. This study finds out that parental gender plays a significant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Mothers were more likely to vulnerable to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fathers when they confront work-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gender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issue when we intervene in the work-family conflict of dual-earner couples.

      • 과학-미술 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양은선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빠르게 변하는 시대적 상황속에서 미래를 이끌어 갈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인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 창의성과 융합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미술 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첫째, 과학-미술 융합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과학-미술 융합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A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일반학급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 과학-미술 융합수업 프로그램을 4주간 12차시에 걸쳐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일반적인 단일교과의 과학수업과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에 이경화(2014)가 제작한 표준화된 ‘초등학생용 통합창의성검사’와 김효남(1998)등이 개발한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 평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test와 ANCOVA로 과학-미술 융합수업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미술 융합수업은 초등학생의 전체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능력과 그 하위변인(유창성, 정교성, 상상력, 융통성, 민감성, 독창성)과 모든 창의적 성향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과학-미술 융합수업은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영역의 인식과 흥미, 태도 중에서 특히 흥미와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과학-미술 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므로 초등학교에서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을 위해 과학-미술 융합수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In a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situation, creative and convergent-gifted human resources are in great demand. Against this backdrop, creativity and convergence have emerged as new educational alternativ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ha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set up two study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ether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not? Second, whether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a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no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targeting two fifth-grade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ity A’, and by dividing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the experiment treatment, a total of 12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were offer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period of 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to the regular single curriculum classes of arts and science. The pre-test and the post-hoc test were conducted by using the standardized ‘Elementary School Student Integrated Creativity Test’ developed by Lee Gyeong-Hwa (2014)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Evaluation Checklist’ developed by Kim Hyo-Nam (1998).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2.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t-te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le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levels of improvement in creativity and all its sub variables (fluency, accuracy, imaginativeness, flexibility, agility and originality). Second, the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were observ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levels of enhancement in interest and attitude among the three domain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perception, interest and attitude). All in all, as the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ity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deemed necessary for elementary schools to offer their students science-arts confluence lessons in order to nurture their creative mind and scientific attitudes.

      •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이 우울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은선 청주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들은 심리적 만족과 건강증진을 위해 여가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복지관 이용특성,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 및 만족도와 같은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 요인이 노인의 우울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노인복지 프로그램 및 정책개발의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적 고찰과 함께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 노인의 우울 및 행복감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은 청주시에 있는 3곳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설문지 총 300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38부를 제외하고 26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복지관 이용 기간은 최단 1개월~최장 15년으로 평균 3.9년 정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로 살펴보면 1년~3년 이하, 3년~5년, 5년 이상, 1년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관 주 이용횟수는 주 1-2회, 주3-4회, 주 5회 이상 순으로 복지관 이용이 노인들에게 주요한 여가활동 대상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복지관을 이용하는 동기는 건강을 위해서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164명(62.6%), 자아실현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98명(37.4%)으로 건강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복지관 이용에 대한 가족의 지지여부는 지지 한다 201명(76%), 지지하지 않는다 61명(23.3%)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 참여수준은 5점 만점에 2.5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조사대상자의 여가활동 만족도를 살펴보면, 5점 만점에 4.12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노인이 지각하는 우울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53점으로 다소 낮은 수준을 보였고, 행복감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56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우울 정도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 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한 집단보다 불건강한 집단의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상태 또한 마찬가지로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은 집단보다 좋지 않은 집단의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행복감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상태, 종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변수별로 살펴보면,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경제상태의 경우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좋은 집단이 좋지 않은 집단보다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의 경우 천주교 집단, 불교 집단 및 기독교 집단, 종교가 없는 집단 순으로 천주교 집단의 행복감 수준이 가장 높고, 종교가 없는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지관 이용특성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주 이용횟수가 주 1-2회 이용하는 집단이 2.62점, 주 3-4회 이용하는 집단이 2.49점, 주 5회 이상인 집단의 우울정도가 2.40으로 복지관 이용횟수가 주 5회 이상인 집단보다 주 1-2회 이용하는 집단의 우울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행복감은 5점 만점에 건강을 위한 집단이 3.52점, 자아실현을 위한 집단이 3.64점으로 자아실현을 위해 복지관을 이용하는 집단이 건강을 위해 이용하는 집단보다 행복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여가활동 관련요인들이 우울 및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여가활동관련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여가활동 만족도가 낮을수록(β=-0.311), 주관적 건강상태가 불건강할수록(β=--0.207), 복지관 주 이용횟수가 적을수록(β=-0.179), 주관적 경제상태가 나쁠수록(β=-0.148), 여가활동 수준이 낮을수록(β=-0.141) 노인의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여가만족도가 높을수록(β=0.346), 여가활동 수준이 높을수록(β=0.282), 경제상태가 좋을수록(β=0.172), 주관적 경제상태가 좋을수록(β=0.131) 행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개인의 연령, 성별, 학력수준, 생활수준, 건강상태, 종교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여가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노인이 건강상태가 안 좋다거나 여가활동을 이용하고 싶지만 경제적 제약이 많아 이용을 못하는 경우, 또는 가족관계가 좋지 못한 노인들의 경우, 개개노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가프로그램이 보편화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노인복지관에서는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자아실현을 위한 다양한 여가프로그램을 만들어 노인들이 복지관을 자주 이용하도록 유인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여가활동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용하는 모든 노인들에게 최대의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여가활동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노인들의 여가활동 참여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여가활동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노인 개인뿐만 아니라 노인 주변의 다양한 환경체계, 즉 가족, 사회가 노인의 여가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노인의 여가활동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조력자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 넷째, 정부 차원에서도 노인이 여가활동을 활발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가복지정책을 추진해야 하는데, 노인 관련 스포츠 산업 육성과 노인여가시설에 전문지도자를 배치하여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 여가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겠다. 또한 노인들에게 무료로 개방하는 강좌를 더욱 다양하게 만들고, 노인을 위한 연극이나 콘서트도 지방까지 확대하여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밖에 자녀와 같이 사는 노인보다 독거노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독거노인들이 자녀와 같이 사는 노인보다 소외감이나 우울을 더 많이 느낀다고 한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가 독거노인가구를 더 세밀하게 살피고 독거노인들이 여가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 Nitric oxide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한 항산화 효소의 방어기작 및 isocitrate dehydrogenase와 질병과의 연관성

        양은선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Nitric oxide (NO) is a messenger molecule with multiple biological functions. NO or its derivatives also interact with the thiol groups of proteins and glutathione to form nitrosothiols. The interaction of NO with sulfhydryl-containing molecules and enzymes have gained considerable importance. The isocitrate dehydrogenases (ICDHs; EC 1.1.1.41 and EC 1.1.1.42) catalyze oxidative decarboxylation of isocitrate to a-ketoglutarate and require either NAD^(+) or NADP^(+), producing NADH and NADPH. NADPH is an essential reducing equivalent for the regeneration of reduced glutathione (GSH) by glutathione reductase and for the activity of the NADPH-dependent thioredoxin system, both being important in the protection of cells from oxidative damages. Therefore, NADP^(+)-dependent ICDH may play important antioxidant roles during oxidative stre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SOD, catalase, and ICDH in cellular defense system against the nitric oxide-mediated oxidative damage and apoptosis. U937 cells were pre-treated with 1 mM DETC (SOD inhibitor), 20 mM ATZ (catalase inhibitor) or 3 mM oxalomalate (ICDH inhibitor) and exposed to nitric oxide.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ere decreased upon exposure to nitric oxide. The cellular redox status in inhibitor-treated cells, reflected by an increased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as well as a decrease in the ratio of [NADPH]/[NADPH + NADP^(+)] and the efficiency of glutathione turnover, was shifted to prooxidant state compared to control cells. The cellular damage in inhibitor-treated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cells. Furthermore, apoptotic cellular damages like chromatin condensati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transition and caspase-3 activation were observed in inhibitor-treated cells. The nitric oxide mediated damage to antioxidant enzymes may result in the perturbation of the cellular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and subsequently lead to a prooxidant condition. Modific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which induced with ethanol will likely have biological and medicinal significance. When HepG2 cells were incubated with 100 mM ethanol,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cytosolic and mitochondrial ICDH activities were observed. Using immunoprecipitaion, we were also able to isolate and positive identify S-nitrosylated and nitrated mitochondrial ICDH from ethanol treated HepG2 cells. Intracellular ROS and nitrite levels were increased with ethanol treatment, and mitochondrial dysfunction was observed. We observed a decrease in mitochondrial ICDH activity and the modulation of the cellular redox status in the liver from the ethanol-fed rats. S-nitrosocysteine and nitrotyrosine adducts of mitochondrial ICDH purified by immunoprecipitation were also detected. It has been reported that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increases peroxynitrite hepatotoxicity by enhancing concomitant production of nitric oxide and superoxide. The present results show that the accumulation of NO and O_(2)^(-) in liver from the ethanol-fed rats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reduction of Mn-SOD and CuZn-SOD activities and increased iNOS activity and induction of iNOS protein. Therefore, it is tempting to speculate that inactiv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is, presumably, at least in part responsible for the perturbation of cellular redox status and oxidative damage in chronic alcoholism. The possibility that inactivation of ICDH by peroxynitrite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diabetes, and chronic inflammation is worthy of further consideration.

      •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활용한 온라인 마일리지 사이트 운영 사업계획서

        양은선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정보의 기록/판독이 가능한 RFID 시스템과 상권 내의 협의체 센터들을 네트워크로 연계하고 사용자의 마일리지를 적립, 사용, 교환, 대여할 수 있는 사이트를 구축하여 운영함

      • 청국장김치의 품질특성과 학교급식에서의 수응도 평가

        양은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함유한 청국장가루를 첨가한 김치의 표준레시피 결정과 다양한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단체급식실에서의 잔반율을 통해 청국장김치의 수응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국장김치의 제조를 위해 예비 실험을 거친 결과 청국장가루 첨가 비율을 고춧가루 대비 0 %, 20 %, 40 %, 60 %로 결정하였다. 2. 청국장김치의 일반성분 결과 김치의 최적 pH 4.2~4.5 수준에 도달했을 때 측정하였고 수분은 청국장가루 60 % 첨가군에서 유의적(p<0.05) 낮았다. 조지방 조단백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p<0.01) 차이를 보여 청국장 가루 60% 첨가군에서 높았다. 조회분은 시료 간에 1.52~1.55 % 수준이었고 청국장 가루 20 %, 40 %, 60 % 간에 차이를 보였다. 3. 청국장김치 pH 측정 결과 발효가 진행될수록 pH는 감소하였고, 청국장가루 첨가에 따른 pH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4. 청국장김치의 총산도 변화는 제조 당일 전 시료 간에 0.24~0.25 % 수준을 나타내었다. 김치의 적숙기의 산도는 0.6~0.8 % 수준이었고, 발효가 진행될수록 총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 청국장김치의 염도는 2.32 %였다. 발효가 진행될수록 염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각 처리구 간의 염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6. 색도는 제조 당일 김치의 명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청국장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명도는 청국장가루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고, b값은 증가하였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b값은 증감의 경향을 보였다. 7. 관능평가결과 김치제조 당일 외관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발효 6일째 시료 간에 외관에 차이를 보였다(p<0.05). 또한 발효 20일째 시료 간에 외관에 차이를 보였으며(p<0.01), 청국장가루 40 % 첨가군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 있어 발효기간이 길어질수록 외관의 점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신맛은 발효가 진행될수록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고 사각거림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효 3일째 시료 간에 유의적 차이(p<0.01)를 나타냈고 발효가 진행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향은 초기에는 유의적으로(p<0.001) 차이를 보였으나 발효가 진행될수록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인 수용도는 청국장가루 40 %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8. 잔반율을 통한 수응도 평가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초등학생 단체급식실에서는 20 % 첨가 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청국장가루 첨가량은 40 %일 때 전반적인 수용도가 높았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응도 평가에서는 20 % 첨가 시 기호도가 높았으므로 각 단체급식실에서는 급식 대상자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로 총균수 및 젖산균에 대한 연구가 청국장김치의 품질특성 평가에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ndard recipe decision and various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Kimchi(Kimchi added with Chungkukjang powder which has many functional ingredients), and evaluate its acceptability. Accept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hecking the plate waste rate at the school dining room. Results were as the followings: 1. After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addition rates of Chungkukjang powder to the Chungkukjang-Kimchi were decided to 0 %, 20 %, 40 % and 60 %. 2. The general ingredients were measured at pH 4.2~4.5, the optimum pH of Kimchi. Water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p<0.05) in 60 % adding group. Crude fat and crude protein content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1)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were high in 60 % adding group. Crude ash contents were between 1.52~1.55 %, and showed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groups. 3. The pH of Chungkukjang-Kimchi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ceeded, and showed no notable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groups. 4. The total acidity of Chungkukjang-Kimchi was 0.24~0.25 % in all samples at the preparation day, and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The acidity at the optimal maturity was 0.6~0.8 %. 5. The salinity of Chungkukjang-Kimchi was 2.32 % showing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6. Concerning the color values, the L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reatment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preparation day, and decreased significantly(p<0.001) as the addition rate become larger. The b value increased in the beginning, but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fermentation. 7. In the sensory evaluation, appearanc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preparation day, but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6th day(p<0.05) and 20th day(p<0.01), and got high score in 40 % adding group. The longer the fermentation period, the lower the appearances score. Sourness increased significantly(p<0.001) in all samples during the fermentation. Crisp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01) at the 3rd day among the treatment groups, and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Flav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0.001) at the early stage, but no difference as fermentation proceeds.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 in the 40% adding group. 8. Acceptability evaluation by the plate waste rate at the school dining room showed high score in the 20 % adding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 groups. According that overall acceptability was high in 40 % adding group, b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eptability was high in 20 % adding group, it is desirable for each food service institution to consider the service client. Research on the total bacteria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is thought to be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Kimc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