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콜래보레이션(Collaboration)을 통한 브랜드의 전략에 관한 연구

        안현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래 콜래보레이션은 전자제품, 생활용품, 잡화, 자동차, 의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자이너와 브랜드, 아티스트와 브랜드, 브랜드와 브랜드간에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각 영역별 프리스티지 브랜드와 매스 브랜드에서부터, 고가 라인과 중저가 라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례로 나타나며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즉 콜래보레이션은 기업 및 브랜드 간 경쟁력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시너지를 발휘하는 전략으로써, 장르와 영역을 넘나들면서 여러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이어주는 21세기의 새로운 마케팅 전략으로 발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력의 상향 평준화와 소비자들의 욕구의 다변화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환경 속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중인 콜래보레이션을 최근 사례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콜래보레이션을 위해 선행연구를 통한 성공 노하우를 연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우선 콜래보레이션이 나타난 배경을 사회, 문화, 소비심리의 측면에서 고찰하며, 성공적인 콜래보레이션을 위한 전략적 특징과 장단점,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사례를 브랜드 포지셔닝 방법으로 구분하여 1석3조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콜래보 믹스 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설정된 가설 브랜 간의 콜래보레이션 작품을 제안해본다. Recently Collaboration is widely spreading in various fields which are the electronics, household goods, accessories, cars, clothing, etc. Collaboration is appearing in a wide range of cases which is from prestige brands and mass brands, a high line to low line. Companies and brands' competitiveness strategy to organically combine the synergy Collaboration is breaking down without genres and restriction and being developed as a new marketing strategy following a new lifestyle in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upward and rapidly changing technology and value-creation strategies environment is analysis the Collaboration and will study the successful collaboration through case study. Collaboration appeared to background is analyzed in terms of social, cultural, consumer confidence. Strategies for Successful Collaboration are examined and examine the Collabomic effect. Finally, a set of hypotheses suggest the Collaboration works between brands. The results of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Collaboration in the form of collaboration is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Unlike strategic alliances and co-branding, Collaboration is more extensive cooperation and the way of cooperation for pursuing the intangible value of the target. Second, Collaboration with appeared background was taken as a social background, environment, cultural environment, Changes in consumer sentiment factor. Collaboration was happen due to era of infinite competition, Snack Culture, Fast Culture. In a short time to do something simple and easy to enjoy the culture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a new brand and marketing strategies were analyzed. Third, collaboration features based on the strength of its market leading to cooperate. The result of collaboration for the brand's identity will continue to reflect positively. In addition to the visual aspects of brand identity component is focused. Two kinds of peers as well as the combined company could also widely select the partners. Fourth, Collaboration appeared between the brand positioning strategy is the strengthen brand image, complement, spread the brand. In this study, Collaboration phenomenon which was done between similar and different concepts of the brand was seen in the category Case Collaboration. Fifth, Conservative, but the national recognition of the high domestic stationery Monami brand was chosen as a collaborator. To be a successful collaboration with fashion brand Paul Smith and the interior of brand Elssi are selected as a collaboratee partner and present selection of exotic collabo-product. Finally, Rather than Following the earlier success stories, the scarcity and availability unexpected resistance should be considered the novelty of animated Collaboration. Collaboration with the adequate access for consumers need to be intentional and compact for satisfaction. In the future, anticipate the many examples of Collaboration together with planning and strategy.

      •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현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을 측정하여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기질과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와 장학 경험에 따른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와 장학 경험에 따른 기질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와 장학 경험에 따른 놀이성은 어떠한가? 2-3.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와 장학 경험에 따른 음악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1. 유아교사의 기질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2.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교사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서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성인용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척도를 이은주(2005)가 번안, 수정한 것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유아교사의 놀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Glynn과 Webster(1992)가 개발한 성인용 놀이성 척도를 박현숙(2003)이 수정, 번안한 검사도구 그대로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 장학 경험에 따른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산출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산출하였다. 넷째,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의 수준은 모두 다소 높은 중간수준으로, 유아교사들이 자신의 기질, 놀이성,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교사의 음악 연수 경험 유・무에 따른 기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장학경험에서는 정서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장학 경험이 있는 집단의 정서성이 낮았다. 정서성이 낮다는 것은 긍정적 정서를 많이 갖게 된다는 의미이므로, 장학 경험이 있을수록 정서가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놀이성은 음악 연수 경험 유・무와 상관없이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장학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학경험이 많을수록 쾌활하고 상상력이 있는 놀이성 성향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악교수효능감에서는 음악연수경험에서 개인적 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악장학경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음악연수와 장학경험이 있을수록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차이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교사의 기질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음악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과 기질 하위요인 간 모두 높은 상관이 나타났으며, 음악교수효능감 총점은 활동성과 사회성에서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정서성에서는 높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안정적 기질의 교사가 음악교수효능감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음악교수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쾌활성과 상상력에서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 모두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수효능감 총점과 개인적 효능감에서는 쾌활성, 상상력, 기발성 모두에서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즉흥성과는 부적(-)상관을 보였으나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넷째, 유아교사의 기질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성이 일반적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정서성과 활동성이 개인적 효능감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아교사의 기질이 쾌활하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정서가 안정적일수록 음악교수효능감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쾌활성이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영향력을 미쳤고, 즉흥성이 일반적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에 유의미한 부적(-)영향력을 미쳤으며, 전체 놀이성이 전체 음악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유아교사의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사의 기질 및 놀이성은 음악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질과 놀이성이 음악교수효능감을 촉진하는 중요한 내재적 변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음악활동 실행과 실제에 자신감과 긍정적인 신념을 갖게 되는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에 있어 다양한 심리적・환경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by measuring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tudy problems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2. What are the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raining and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2-1. What is the temperament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raining and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2-2. What is the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raining and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2-3. What is the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raining and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4. What is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4-1. What is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4-2. What is the influence of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2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Kyonggi – do. In order to measure the tempera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EAS) scale developed by Buss and Plomin (1984) was used as it was modified by Lee Eun Ju (2005) Adolescent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Glynn and Webster (1992) was used as a modified and modified test tool by Park, Hyun Sook (200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Firs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test was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music training experience,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Pearson '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ccording to study problem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omewhat higher than middle level, and it i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positive about their temperament, playful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mpera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music training educ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ity in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emotionality of the groups with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were low. The fact that emotionality is low means that it has a lot of positive emotions, so that the more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were, the more stable the emotions we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fulness between groups with or without music training experience. The greater the experience of music scholarship, the more pleasant and imaginative playfulness tendency was. In music teaching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efficacy in musical training experience and in music scholarship experienc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musical training and scholarship experience, the higher the difference in music teaching efficac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music teaching efficacy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b - factors of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emperament sub – factors. The total score of music teaching efficacy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ity and sociability,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ity. The teachers with stable temperament were found to have higher music teaching 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musical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both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h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pleasant and imagination. In music proficiency efficacy total score and personal efficacy,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easant, imagination, and evo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improvisation, but it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temperament on music teaching efficacy showed that socia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general efficacy. In addition, emotionality and activity influenced personal efficacy.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cheerful, the students were well matched, and the more stable the emotion was, the higher the music teaching efficacy was. The effects of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sic teaching efficacy, the pleasant were positive (+) influence on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and it was also found that improvis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general efficacy and personal 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usic teaching efficac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emperament and playfulness are important intrinsic variables promoting music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support is needed for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musical teaching efficacy, which has confident and positive belief in the practice and actual practice of early childhood teacher 's music activities.

      •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 이미지와 뷰티 스타일링

        안현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뷰티·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music video image and beauty styling of Bangtan Boys, which has caused a great sensation as a global K-POP idol group, and tries to exam the relation between music video and beauty styling. Based on this,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some assistance to professional beauty image artists and provide data that contribute to the beauty industry development. For the analysis, five songs including “NO More Dream”, “Run”, “Blood, Sweat, & Tears”, “DNA”, and “IDOL” among many hit songs were selected, which best express the group’s identity and show various aspects of their fashion and beauty. Various information regarding photographs, press articles, press releases, and papers related to music videos was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the vocabularies mentioned when explaining the features of fashion and beauty were extracted. Secondly, based on the meaning of the vocabularies, the terms that express the images were derived by using the language image scale and the color image scale. Considering their Music video image and styling, analysis items of makeup, hair, and fashion were selected and their detailed elements as of music characteristics, music video concept, vocabulary expression, and representative color were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the hair and makeup of each BTS member, the conceptual pictures shown on the official BTS homepage and the pictures on fan club homepages were captured using the AL capturing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s were analyzed with the experts who majored in fashion and beaut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ailed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POP grew rapidly in the 1990s when recording agencies were established in Korea. SM Entertainment was established in 1995, JYP Entertainment was in 1996, and YG Entertainment was in 1998. Social change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3 big Entertainment companies caused K-POP to become known all over the world. In the 2000s, K-POP idol music spread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 (SNS) and K-POP spread rapidly among young people around the world. K-Beauty has been spreading online. At the beginning, it adopted the strategy of high quality with reasonable price and then it succeeded to enter the global market with the Korean Wave marketing. The growth rate exceeded $2.5 billion in 2015. Second, the analysis of the music videos indicate that the image terms extracted from the image scale were ‘dynamic’ for “No More Dream”, ‘modern’ and ‘dynamic’ for “RUN”, ‘gorgeous’ and ‘chic’ for “Blood, Sweat, & Tears”, ‘casual’ for “DNA”, and ‘casual’ and ‘dynamic’ for “IDOL”. Third, the beauty styling was divided into hair and makeup and was examined separately. Their hair colors generally corresponded to the image colors of the music videos. Their makeup change with the music videos was small, and only the eye makeup and eyebrow shape appeared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the music videos. Fourth, it was found that images in the music videos were related to beauty styling and the styling of BTS is leading the trend of modern men and represents the popular style of the public. The images derived from BTS music videos were ‘dynamic’, ‘modern & dynamic’, ‘gorgeous & chic’, ‘casual’, and ‘casual & dynamic’. To check whether the image concepts and the beauty styling are related to each other, they were examined through language image scale and color image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ages in the music videos and the beauty styling of BTS members coincided with each other.

      •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가 노년기 우울증(Geriatric Depression)에 미치는 영향 분석

        안현진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노인 인구에 따른 문제 중의 하나인 노인 우울증이 높은 노인 자살률로 인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치료로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s)와 같은 항우울제 약물들이 처방되기도 하나 이는 약물 부작용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어서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와 같은 대체요법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재활전문병원 및 J노인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노인들을 대상으로 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나누어 각각 아로마 손마사지와 일반 손마사지를 일주일에 2번 6주간 시행한 후 실험 전ㆍ중ㆍ후에 노인 우울척도(GDS­K)와 간이 인지검사(MMSE­K)를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역시 실험 전ㆍ중ㆍ후에 타액채취와 채혈을 실시하여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RT­PCR)을 통해 세로토닌 수용체(HTR1A, HTR2C, HTR6)와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증감 여부를 비교하였다. GDS­K 검사 결과 실험군 평균과 대조군 평균 모두 우울도가 낮아졌지만 실험군은 우울증 감소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난데 반해, 대조군의 경우는 실험 초기에는 마사지의 효과로 우울증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못했다. MMSE­K에서도 실험 전후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인지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나, 실험군의 경우 인지점수의 총합의 평균이 평균 2점 상승한데 반해 대조군의 경우는 0.5점 상승하는데 그쳤다. 실험 대상자 수가 적어 일반화시키기 어려운 점이 있으나, 아로마 손마사지를 실시한 실험군이 일반 손마사지만을 실시한 대조군보다 효과적인 우울증 감소와 인지 향상을 보였다고 할 수 있겠다. 타액 샘플 RT­PCR 결과 ‘Hot phenol method'로 인간의 타액에서 RNA를 추출하였고, RT­PCR을 통하여 인간의 타액 내에 HTR1A, HTR2C, HTR6, SERT 등이 존재하며, HTR1A와 HTR2C의 발현량이 HTR6나 SERT의 발현량보다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액 샘플 RT­PCR 결과에서는 각 대상자별, 대상물질 유전자별로 실험 전ㆍ중ㆍ후의 발현량의 정도가 제각각이어서 세로토닌 관련 물질의 실험 전ㆍ중ㆍ후의 발현량의 공통점을 찾기는 쉽지 않았지만, 우울증 향상군과 비향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우울증 향상군에서 세로토닌 수송체(SERT)를 비롯한 세로토닌 수용체(HTR1A, HTR2C, HTR6)들의 발현량이 실험 후에 대체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로토닌 수송체(SERT)가 신경세포의 시냅스에서 세로토닌을 연접 이전 세포로 재흡수시키기 때문에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활성이 떨어지면 시냅스 공간에서의 세로토닌의 양이 많아져 우울증이 감소한다는 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As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soars recently, the high suicide rate of the elderly who suffer from depression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though anti-depressant medicines, such as serotonin absorption inhibition agents, etc., are being prescribed, they have side effects and therefore, alternative therapies such as aromatherapy has gained much attention. In this study, the elderly, hospitalized in rehabilitation hospitals or recuperative hospital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8 persons, respectively. For them, aroma hand massage was conducted twice for 6 weeks. Later, the depression scale and simple cognition test results of the elderly were compar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Saliva and blood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to compare the increase or decrease in serotonin receptacles(HTR1A, HTR2C, HTR6) and serotonin transporter(SERT) through th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The depression scale test results of the elderly showed that the average intensity of depression decreased in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group showed the constant decrease in depression, while the depression-reduction effect did not continue in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massage had an effect in reducing the depression at the early stage of experiment in the control group. Bot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an increase in the cognition score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during the simple cognition test. The average of the combined cognitive scores increased by 2 points on the average in the experiment group, while the average of the combined cognitive scores increased by only 0.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It was difficult to find any correlation between the improvement in the intensity of depression and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Based on RT­PCR, RNA was collected from human saliva using the ‘Hot phenol method' and it was found through the RT­PCR that HTR1A, HTR2C, HTR6, SERT, etc., existed in human saliva and that more HTR1A and HTR2C manifested compared to HTR6 or SERT. In relation to the results of blood sample RT­PCR, the manifested quantity differ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based on the gene of the concerned substance by each subject, and resultantly, it was not easy to identify the common features of the quantity manifest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xperiment of the matter related to serotonin.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that showed improvement in depression and the group that did not show any improvement i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manifested quantity of serotonin receptacles(HTR1A, HTR2C, and HTR6) generally decreased in the group that showed improvement in depression, including the serotonin transporter(SERT), after the experiment.

      • 형강접합부 목골조의 탄소성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안현진 동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struction of wood-framed houses, a new type of house, has been increasing in rural cities nearby large cities over the last couple of years. In particular, four-floor low-rise wooden apartments are generally constructed in the North America. The lower floors of these houses are made by RC and upper floors are made by wood (vertical hybrid). Therefore, in order to actively use structural laminated timbers as structural members, a hybrid system with the wooden types material with fire-resistive construction ability, steel structure or reinforced concrete should be used to satisfy required design level and residence level such as fire-resistant, earthquake-proof and noise isolation. Structural laminated timber is used to make up the defects of wood, but since joint by existing joint tools such as drift pin or bolt has narrow pressure area, there is partial destruction occurred, and it is difficult to design it by fully reflecting timber strength.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e structural performance as an outermost material through mechanical tests(compression test, partial compression test, bend test and tensile test). Also, this study suggested a joint method by using section steel for the joint of glued-laminated timber column and beam, and assessed the structural ability for beam composed of these materials. Also, as a method to increase strength and deformances of structural timber frame, the structural ability of timber frames stiffened with bracing, Hwang-toh bricks and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bricks are evaluated. (1) In evaluat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outermost glued-laminated timber, test results satisfies KS and JIS. (2) In H-1.5D specimen and H-2.0D specimen with inserted glued-laminated timber into H section steel by 1.5D(195mm) and 2.0D (260mm), the strength was rapidly decreased after maximum strength, and thereafter, the strength is recovered. Its strength is increased by 7.7% compared to existing joint PL-1.5D specimen, but in case of initial stifness, it is improved by more than 33%. This is because the pressure area of suggested specimens is larger than those of specimen with existing joint method. (3) The initial stiffness, maximum strength and energy absorption ability was excellent in the order of ALC brick > Hwang-toh brick > bracing according to reinforcement type of wood frame. (4) The contribution of wood part to drift angle of wood frame without reinforcement accounted for 61-68% out of total regardless of elasto part and plastic part. In case of reinforced specimens, the bigger the reinforcement effect is, the greater contribution of timber to elasticity is. However, it shows similar result with wooden frame without reinforcement in case of plasticity. 최근 수년간 새로운 주택형태인 목조주택의 시공이 대도시 근교의 전원도시를 중심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북미에서는 4층 정도의 중 저층 목조공동주택이 일반적으로 건설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물은 기초부분에 해당되는 하부층은 RC조로 하고, 상부층은 목조(입면적 하이브리브)로 하는 구조형식이 보급되어 있다. 그래서 집성재를 구조부재로 적극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화구조성능을 갖는 목질부재나 S조나 RC조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내화성, 내진성, 차음성, 등의 현재 요구되어지는 설계수준, 거주 수준, 등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재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구조용집성재가 사용되고 있지만, 기존의 드리프트 핀이나 볼트와 같은 접합장치에 의한 접합은 지압면적이 작기 때문에 국부적인 파괴가 발생하여, 실질적인 목재강도를 충분히 반영한 설계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조용집성재 최외층재의 물성시험(압축시험, 부분압축시험, 휨시험, 인장시험)을 통하여 최외층재로서 만족여부 및 시험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구조용집성재의 기둥과 보의 접합에 형강을 이용한 접합형식을 제안하여 이들로 구성된 보부재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목골조의 내력 및 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가새, 황토벽돌, ALC블록을 사용한 벽체에 대한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1) 구조용집성재의 최외층재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파악한 결과, KS규준치와 JIS규준치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2) 구조용집성재를 H형강에 1.5D(195mm), 2.0D (260mm)삽입한 H-1.5D실험체와 H-2.0D실험체는 최대내력 후에 급격하게 내력이 저하되었으며, 그 후에 내력이 회복되었다. 그리고, 기존 접합형식인 PL-1.5D실험체에 비해서 내력은 7.7%정도 상승하지만, 초기강성의 경우는 33%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접합형식에 비해 지압면적이 크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3) 목골조의 벽체보강형식에 다른 초기강성과 내력 및 에너지흡수능력은 ALC블럭>황토벽돌>가새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무보강형식의 목조골조에서 층간변형각에 대한 목재의 기여분은 탄성, 소성영역과 무관하게 전체의 61%~6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벽체를 보강한 실험체의 경우는 보강효과가 클수록 탄성에서의 목재변형기여분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성의 경우는 무보강형식의 목조골조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

      •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가족지지 및 극복력의 상관성

        안현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incident rate of cervical cancer among female genital cancer has decreased, endometrial cancer and ovarian cancer have increased, and the 5-year survival rate has increased, but female genital cancer patients with stages or metastasis still have to continue chemotherapy. This study confirms the degree and correlation of distres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of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cancer, and the difference of population sociology and diseas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took place in a hospital in Seoul from July 13, 2018~ August 16 and was performed on 143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receive chemotherapy for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Data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y using Distress measurement developed by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 Kang’s Family Support Scale and Korean Version of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for Resilience. For survey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 Mann-whitney and Kruskal-wallis test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4.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54.52 years, and the 50’s age group represented the majority (39.9%), and the participants with husband were 101(70.6%). The Participants with the stage of cancer Ⅲ and Ⅳ were 96 participants (67.2%), and 50 participants(35%) had metastasis and 52patients(36.4%) had recurrences. 132 participants underwent operations prior to undergoing chemotherapy. 2. The values of distress of the participants was 62.55(37 ~ 131 points) out of 175, Family support was 48.54(33 ~ 55 points) out of 55, and resilience was 68.83(22 ~ 100 points) out of 100. 3. In female geni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r = 0.391, p <0.01), and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istress and resilience(r = -0.251, p <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support and distress. 4. There were no factors affecting distress, and the period after diagnosis (χ2 = 5.94, p <0.05) and the number of chemotherapy (χ2 = 8.24, p <0.05)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to family support. The factor that affected resilience was economic status(t = 2.36, p <0.05). This study shows that the resilience can be improved by family support, and improved resilience leads to decrease in distress. Additionally, well-managed distress may lead to improved resilience. Accurately assessing and managing the distress of the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cancer is crucial, and nursing intervention that decreases the distress and increases family support and resilience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여성생식기암 중 자궁경부암은 감소하고 있으나, 자궁내막암과 난소암은 증가하는 추세이고, 여성생식기암의 5년 생존율은 증가하였지만 병기가 높거나 전이 소견이 있는 경우는 항암화학요법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게 된다.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 가족 지지 및 극복력의 정도와 관계를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일 종합병원의 부인과 병동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서 입원한 143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3일부터 8월 16일까지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로 시행되었다. 연구 도구는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에서 개발한 디스트레스 도구, 강현숙(1984)의 가족지지 도구,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을 활용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정보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와 ANOVA, Mann-whitney와 Kruskal-wallis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54.52세이었으며, 50대가 39.9%로 가장 많았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101명(70.6%)이었다. 암의 병기는 Ⅲ, Ⅳ기가 96명(67.2%)이었으며, 전이가 있는 대상자는 50명(35%), 재발한 환자군은 52명(36.4%)이었다. 143명 중 11명을 제외한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 시행 전에 수술을 시행하였다. 2. 대상자의 디스트레스는 175점 만점에 62.55점(37~131점), 가족 지지는 55점 만점에 48.54점(33~55점), 극복력은 100점 만점에 68.83점(22~100점)이었다. 3.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 암환자에서 가족 지지는 극복력 과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r=0.391, p<0.01), 디스트레스는 극복력과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가(r=-0.251, p<0.01) 있었으나, 가족지지와 디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 관련 특성 중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으며, 가족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단 후 기간(χ2=5.94, p<0.05), 항암화학요법 시행횟수(χ2=8.24, p<0.05)이었으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제상태(t=2.36, p<0.05)이었다. 가족지지를 통해서 극복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극복력이 증가하면 디스트레스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 극복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여성생식기암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정확하게 사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며, 디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가족지지와 극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 씨네리터러시 수업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 재량활동 수업을 중심으로

        안현진 부경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상은 청소년들의 문화를 주도하고 그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현재 영상교육은 ‘씨네리터러시’ 실현으로 청소년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의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여 주체적인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영상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 시키는 교육으로 영화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영상, 영화관련 연구에서는 미디어 교육의 목표만을 당위적인 수준에서 제시할 뿐 아니라 영상교육의 목표마저도 제안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다. 그리하여 이 논문은 영상의 시대에 적합한 영화교육의 목표를 제시하고 그 방법적인 수단으로 영화교육을 학교 내 창의적재량활동 수업시간을 이용해 씨네리터러시교육을 실현하고 이를 위한 이론적 기반과 틀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씨네리터러시를 실현할 수 있는 수업모형에 대한 경험연구를 통해 수업모델의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해 진단해 보았다. 이러한 3가지 연구목적에 대한 결론과 논의를 정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영화교육의 목표 설정을 위해 연구자는 미디어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 으로 매체환경과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구성주의 교육패러다임과 영화교육의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수업사례에 대해 문헌고찰과 영화예술강사의 면담을 통해 설정하였다. 2. 변화가 많은 영상매체를 가지고 효과적인 씨네리터러시 수업을 진행하 기위해서 다양한 학습방법과 내용에 적용 가능한 수업모형을 필요로 한 다. 이에 연구자는 탄력적인 형태를 지닌 교육 수업모형에 제작과 읽기 영역의 수업을 적용하여 경험수업을 실시하고 그 수업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 수업모형의 실현가능성을 가늠해 보았다. 3. 영화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의 수준을 벗어나, 영화수업의 연간 교육과정과 구체적인 수업사례를 통해 영화교육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우리 의 영화교육의 상황과 현실을 진단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영화예술강사에 대한 심층 면접과 국내 공교육 내에서의 영화교육의 맥락, 문헌자료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한 및 제언을 갖는다. 1. 인터뷰내용은 연구자에 의해 달리 해석되고 분류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차후에는 공동의 연구자를 통해 보다 깊이 있게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2. 공교육 내에서의 영화교육 뿐 아니라, 다양한 단체에서 실천하고 있는 영화교육에 대한 자료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의 한계점을 갖는다. 3. 영화교육의 목표와 방법을 씨네리터러시로 한정지어 다양한 영상에 대한 리터러시 교육의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Education for people of all actions necessary to learn to live and that means the process of making a series of human activities that is to be human. Today, in a society such as the video image is very important for education. Therefore, in various ways in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will be on video. This research, training students on how images and video training instructors to see the five men was selected. To resolve the difficulties of video training for trainers will be. In this research to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a variety of educational research methodology and models of class and video training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of education. In this process, education, and the movie made a film on video in education. This is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in education in the film only in the form of independent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made of the most active education and a variety of visual media and has the artistic history and is the oldest.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of film and video education instructor 5-member visual methods and the analysis of problems and methods of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training methodology selected practical training model applied to image analysis was possible . Video on how to improve education and research to find the problem follows. 1. The curriculum of the film classes (curriculum) What about? 2. What is an effective way to film education? 3. Videos for developing a class on how to improve system and what are they? Has chosen three. The first study of the instructor to analyze the educational process during the actual class to any film education, and to proceed with the type of training to learn the movie through the video to communicate with Cineliteracy aims to education in was confirmed. The second class research activities at the sole discretion, complemented with a learning model for cineliteracy can be activated education a reality and seek concrete measures and practical attention to the configuration model of learning in the class, was applicable. The third clas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film to find ways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f visual education in the country made under the Education and Culture and Tourism, the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Agency's education in the coming issue of the unification and the Republic of Korea does not occur go to the education system of the issue to interfere with the education of the movie as it was revealed, and to improve the system and the long-term perspective on how to improve steadily with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he integration of students can be recognized personality Admission system will require the conversion to. Researcher whom education directly from the school. Through this research, I know the importance of visual education, film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know what I saw. This is effectively the future of film education.

      • 미혼남녀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 20대를 중심으로

        안현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성태도와 성행동을 이해하고 심리학적 입장에서 그들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남녀의 차이를 고려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성교육 및 성상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성의식은 성태도와 성행동을 포함한 개념으로써, 성태도는 성견해, 성느낌, 성장기 성환경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행동은 자위행위 빈도, 자위행위 후의 죄책감, 포르노 시청빈도, 혼전 성경험 빈도, 혼전 성경험 후의 죄책감으로 모두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하였다. 분석은 20대 미혼인 남자 149명(55.2%)과 여자 121명(44.8%)으로 총 270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조사도구는 성의식 질문지 23문항, 자아존중감 검사 24문항, 간이정신진단검사 90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성의식 척도간의 차이와 성의식 척도간의 상관을 살펴보고, 성의식 하위척도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남녀의 성별에 따른 성의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혼남성이 여성보다 성의식이 더 개방적이고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성의식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성의식의 하위척도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미혼남성이 미혼여성보다 성견해와 성느낌이 개방적이고, 긍정적이며 자위행위, 포르노 시청, 혼전 성경험이 많음을 보여주어 성행동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위에 따른 죄책감도 남성이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혼남녀의 성태도와 성행동간에 관계를 알아본 결과, 성태도와 성행동은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8개의 성의식 하위척도들간에 서로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본 결과, 성장기 성환경과 혼전성경험 후 죄책감에서 부적상관을 보이고, 성견해, 성느낌, 자위행위 빈도와 죄책감, 포르노 시청빈도, 혼전성경험 빈도와의 관계에서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미혼남녀의 성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개방적인 성견해와 높은 사회적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는 사교적인 대인관계와 관련이 있었으며, 여성에게 있어서 긍정적인 성느낌은 정신건강 전반에 걸쳐 관련성이 있었으며 원만한 인간관계와 자유분방하고 자발적인 성향의 특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즉, 남성과 여성은 성에 대한 신체적 반응에서보다 심리적ㆍ정서적 반응에서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성장기 성환경과의 관계에서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미혼남녀의 성행동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자위행위가 남성에게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으나 여성의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증,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편집증, 정신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의 경우, 자위행위 죄책감과 정신증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인 것으로 미루어, 자위행위가 미치는 영향이 아니라 죄책감이 미치는 영향으로 볼 수 있다. 포르노 시청에 있어서 남성의 경우, 대인예민성이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정신건강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전성경험에 있어서 남성은 일반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신건강에서 적대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혼전성경험 후의 죄책감은 남성의 경우, 정신건강에서 신체화와 공포불안과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여성은 신체화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고 분석결과 연구가설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의식과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알 수 있으며, 성의식이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함으로써 심리치료 장면에서 평가와 치료에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exual consciousness and self-esteem, and the correlation of sexual consciousness and mental health. Sexual attitude comprised sexual view, sexual feeling and sexual environment. Sexual activity comprised masturbation, guilt feeling after masturbation, pornography,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and guilt feeling after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149(55.2%) males and 121(44.8%) females of 20's unmarried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ith 173 question was used for the study. It was composed of 23 questions on 'sexual attitude & sexual activity questionnaire', 24 questions on the self-esteem scale by Coopersmith and 90 questions on the Symptom Check List-90(SCL-90).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for win 10.0.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sexual consciousness was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Males displayed higher level of opening and approving sexual attitude and sexual activity than females. Second, the variable sexual attitude and sexual activity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ird, sexual attitud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ome aspect of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Males were some correlation between sexual attitude and general self-esteem. Females were some correlation between sexual feeling and mental health. Fourth, sexual activ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ome aspect of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the case of males, guilt feeling after masturbation was related to psychotics of mental health, and pornography was related to interpersonal sensitivity. Also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and general, social self-esteem wa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ut interpersonal sensitivity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Guilt feeling after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was related to general, social self-esteem, somatization and phobic anxiety. In the case of females, masturbation and pornography were related to mental health. Guilt feeling after masturbation wa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 Also pre-marital sexual experience was related to hostility, and guilt feeling about it was related to somatiz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bout sexual attitude and sexual activity influence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For the unmarried adults, sexual attitude and sexual activity program should be differ for respective genders. Also the psychotherapist who interested mental health must consider client's sexual consciousness in assessment, treatment and mental health of unmarried.

      • 협동학습을 활용한 시 교육 방안 연구

        안현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교육과정의 변화와 함께 문학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현장에서의 문학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문학에 대한 지식은 문학 작품의 수용을 통해 인간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능력과 심미적 정서를 함양하는 데 지적 기반이 된다. 이러한 지적 기반이 시를 감상하고 이해하는 능력과 사상과 정서를 효과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게 한다. 7차 교육과정에 이어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고 새로운 작품으로의 생산을 언급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이러한 교육과정의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제대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단순히 지식과 지능을 학습한다고 해서 저절로 담화와 글의 수용, 생산 능력이 신장되는 것은 아니다. 학습자의 국어 능력은 다양한 담화와 글을 직접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 속에서 신장되므로 교육 현장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법 중 협동학습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협동학습은 소집단이 공동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동료들과 함께 학습하는 구조적이고 체계적인 수업 방법이다. 즉, 소집단 구성원들이 공동의 학습 목표를 가지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역할을 분담하고 개별적인 책무성을 가지고 다른 구성원들과 도움을 주고받아 집단 구성원 모두에게 유익할 결과를 얻고자 하는 학습전략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협동학습에 개념 정의와 모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협동학습의 모형 중 두 가지 JigsawⅡ와 LT 모형을 선택하여 수업을 계획하였다. 총 2차시의 수업으로 계획하여 1차시에서는 시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과 감상을 중심으로 하고 2차시에는 시 감상과 창작에 중점을 두는 학습을 하여 연결시키는 과정을 학습에 적용하였다. 협동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강의식 교수․학습을 적용한 반과의 비교를 위해 형성평가를 실시해 결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와 함께 두 반의 학습자들이 같은 성취기준을 가진 새로운 시를 감상할 때 어떠한 효과가 발생하는지 확인해보았다. 협동학습을 활용한 시 교육을 통해 시에 대한 이해와 감상 그리고 창작으로 까지 발전된 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들 사이의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언어 사용능력을 신장시키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JigsawⅡ모형을 통해서는 시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을 익히고 LT모형을 통해서는 창작의 부담을 줄이고 학습자들의 소통을 통해 창작의 과정을 교육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가지의 협동학습을 통해 공통적으로 다른 학습자의 다양한 감상과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었고, 다른 학습자를 설득하기 위해 논리적 의사 전달 또한 터득하는 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를 새로운 시에까지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문학의 비중이 늘어나 시 단원이 따로 편성되어 있는 대부분의 교과서에 맞추어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일회적인 수업이 아닌 지속적인 적용을 하면 협동학습의 장점을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협동학습의 구체적 수업의 활용을 통해 시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주체적인 학습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방안이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