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분야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효율적 운영방안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중심으로

        심혜정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창의성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지식 기반사회로서 이러한 시대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상의 전환을 통해 지식을 창출해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의 육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대학입학을 위한 암기위주의 획일적 교육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시키는 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고, 개개인의 독특한 개성, 적성, 능력, 흥미 등을 살리고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다양한 문화예술 관련분야 특기 · 적성교육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특기 · 적성을 기르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운영에 있어서 제반 고려사항을 점검해보고, 서울시 교육청 특기 · 적성 교육 활동 운영지침을 참고하여 연구의 기초로 삼았다. 또 현재 초등학교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특기 · 적성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제도적 측면, 환경적 측면, 인력적 측면, 프로그램 측면, 평가 측면, 대상자 측면, 이렇게 6가지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점을 찾기 위해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After-School Activities)의 운영사례로 오진 초등학교(Odgen Elementary School), 세인트루이스 공립학교(St. Luise Public School), 댈러스 자치학교(Dallas Independent School District)와 지역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있는 21세기 커뮤니티 학습센터(21st Century Community Learning Center), 법원 청소년 센터(Court Youth Center)에서의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 있어서 예술분야 특기 적성 교육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첫째, 특기 · 적성교육을 위한 운영체제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둘째, 예술교육에 필요한 시설 및 환경을 마련해야하고, 셋째,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계속적인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다양하고도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하며, 다섯째,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자체발표의 기회가 주어지고 더 나아가 문화예술축제로 발전해야 한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에서의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가적으로도 예술교육의 성공을 가져올 수 있다. 초등학교 시절의 예술에 대한 경험은 학생의 평생을 좌우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에 풍부한 예술적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정규 예 · 체능 교과 시간만으로는 부족하며,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금 현재 처해진 상황에서의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문제점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실천해나감과 동시에 인적 ·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21th century is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creativeness and diversity are required. In this respect, in order to cope with this age in a flexible way, it is needed to foster the talented who can break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thoughts and create new knowledge through original conception, and work in a creative way. However, since Korea has focused on memorization-based uniform education only for university admission exam,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speciality and aptitude of each student is not being fully conducted. 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and needs, and to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rewarding by developing individual's peculiar personality, aptitude, competence and interest, it should educate students in specialty & aptitude in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reas from early ag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present state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that is being conducted for developing speciality and ap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t presenting effective operational plans. To this end, I checked considerations in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ferred to the "Guideline fo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ssu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the base of this research. Besides,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at elementary school, and through the result, I also presented problems with the education. I divided the problems with the program into 6 sections.; Systematic aspect, Environmental aspect, Human aspect, Programatic aspect, Evaluation aspect, and Object aspect.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US, such as Odgen Elementary School, St. Luise Public School, Dallas Independent School District, the 21st Century Community Loaming Center which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a regional network, and after-school activities of Court Youth Center. And then, I suggested effective operational plans for Speciali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In order for th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o be effectively carried out, first, the operational system for Speciality & Aptitude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in order. Second, proper facilities and environment needed to the education in arts should be arranged. Third,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fostered, and sustainable reeducation is conducted. Fourth, diverse and profess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ifth, the programs should be systematically evaluated. finally th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 with each school presenting its own program. I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in elementary school is effectively conducted, it will ultimately lead to the national success in artistic education. The experience in art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can determine the whole life of the students. Regular class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re not enough in order for full artistic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can supplement them. In conclusion, the important thing is to seek the best way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order for the effectiv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we need to understand what is wrong and to take due steps for the problems, while driving the best way to make good use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 김정은체제 권력엘리트 연구

        심혜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은 2012년 4월 11일 제4차 당대표자회,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5차회의를 연이어 개최하고, 김정은을 당 제1비서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추대함으로서 공식승계 절차를 마무리했다. 김정일을 영원한 총비서,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같은 권한을 갖는 당 제1비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란 새로운 직책을 신설하여 그 자리를 차지했다. 이와 같이 북한은 김정은의 새로운 지위에 맞게 당규와 헌법을 개정하고 파워엘리트를 재편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김정은 체제는 급속히 빠르게 제도적으로 유일영도체제의 구축, 내용적으로 김정은-장성택 협력체제의 강화, 신속한 군부 영향력의 재편 그리고 김일성과 김정일의 수령제 통치시스템 계승 등을 통해 정권의 안정을 꾀하고 있다. 북한의 정치체제 속성상 김정은의 권력승계에 대한 직접적 저항, 야심가의 쿠데타 등이 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나 장기적으로 핵심엘리트 층에서 권력투쟁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의 경우 권력의 분산은 존재하지 않고 절대적인 수령만이 모든 권력을 소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북한 역시 정책결정을 위한 수령이 최종결정할 수 있도록 보좌하는 일단의 인적집단이 존재할 것이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황장엽 전 비서는 “김정일이 독재자이기는 했지만 그가 생시에 모든 것을 판단하고 결정한 것이 아니라 100명이 넘는 파워 엘리트들의 보좌에 의지해 통치했고, 이들 파워엘리트들은 김정일 없이도 북한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김정은 체제 권력엘리트를 분석하고 특징짓는데 중요한 대목이다. 지도자 교체는 김정은 체제에 걸 맞는 권력층 인물들로 새롭게 정비되는 핵심엘리트의 교체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권력개편 과정을 통해 김정은 체제가 공식출범하고 권력을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김정일 시대 인물들이 퇴진하고 김정은 체제를 떠받칠 새로운 인물들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김정일 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김정은 제1위원장이 독주체제를 갖추면서 발생하는 권력엘리트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김정은 체제를 떠받치는 핵심엘리트 및 강등된 엘리트를 찾아내고 그들의 변화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통제와 노동당 정치의 부활이다. 2010년 당 대표자회를 계기로 당 기능이 정상화되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김정은 제1위원장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당 중심의 정치가 되살아나고, 자연스럽게 당 관료의 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리영호 인민군 총참모장 실각에 이어 대장에서 차수로 승진했던 현영철 총참모장이 갑자기 대장계급을 달고 등장했으며, 김영철 군 정찰총국장이 대장에서 중장으로 2단계나 계급이 강등되었다. 이를 통해 군부 엘리트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위상에 대한 재조정 작업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본다. 둘째, 김정은 체제의 당과 국가기구 인적구성은 김일성 종합대와 평양·평안남도 출신, 남성이 핵심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출신대학은 김일성 종합대학이 35.5%로 가장 많으며, 출신지역은 평안남도가 18.6%로 가장 많다. 남녀성비는 남성이 94.3%를 차지해 북한 사회의 남성중심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셋째, 김정은 제1위원장을 둘러싼 백두산 혈통의 권력계승을 통한 지배구조는 여전히 건재하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 후계체제의 구축과정 역시 혈연적 귀속관계를 근거로 구축되었으며 이는 권력구조의 또 다른 특징으로 간주할 수 있다.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도 당 부장에서 당 비서로 승격하면서 로열패밀리로서의 변함없는 위상을 과시했다. 또한 김정일은 죽기 전까지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에게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과 노동당 행정부장을 맡기면서 김정은의 막강한 후견인이자 최고의 실세로 자리매김했다. 장성택 부위원장과 김경희 비서가 부부라는 점에서 이 두 사람은 실질적 권력과 상징적 권력을 동시에 쥐고, 김정은 체제를 막후에서 후견하고, 실세로서 역할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에 충분하다. 넷째, 장성택 계의 측근 엘리트들이 부상하고 있는 반면 김정일 시대의 원로들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고 있다. 4차 당대표자회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원로인사들에 대한 부분적 상향 인사조치가 있었으나 대부분 실권이 없는 예우 차원으로 추측된다. 이상 김정일과 비교할 때 김정은의 위상은 약화되었고 향후 엘리트 분쟁에 의한 불안 발생은 불가피하다. 현재 추세 상으로 볼 때, 김정은 시대에는 부하통제의 복잡한 장치가 김정일 시대와 같이 기능하고 효과를 낼 수 없을 뿐 아니라, 김정은 자신의 권력 행마 능력이 아직 검증되지 않아 권력투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김정은 체제 하에 핵심엘리트에 대한 연구는 향후 북한의 정책 뿐 만 아니라 체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어떠한 북한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연구

        심혜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15개 도서관 중 지역구 형평성을 고려하여 8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문화프로그램 강사에 대한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이용시 공공도서관 시설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강사, 내용, 시설, 운영 전반적인 만족도 (문항 외에 만족요인)등 5개 항목에 대하여 성별, 연령, 학력, 운영주체별,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대한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301부 설문지를 토대로 사회분석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이용하여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을 보면 여성(64.1%)이 남성(35.9%)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40대 이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업분포는 주부(37.5%), 무직(19.9%), 학력은 대졸(44.9%), 기혼(93.0%)이 많았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서 강사, 문화프로그램 내용,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전체적으로 3.0이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라 성별,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별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영주체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는 문화프로그램 이용경로, 진행방식, 관심영역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화프로그램 이용목적, 수강횟수, 선택기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이 이용자 중심이 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운영방안이 수립되어 실질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첫째, 다양한 계층이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연령에 따른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의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진행 방안이 필요하다. 여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d the current status of using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in Gwangju and users' satisfaction to identify their problems and counter measures. Targeting eight of 15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tudy interviewed users of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using a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ed satisfactions of each group in five items of instructors, program contents, facilities of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 management and general management according to age, sex, education, subjects of operation and recognition on the programs.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a use of the questionnaire and 301 copies of the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a use of SPSS 20.0.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grams and use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to demo-statistical characteristics, 64.1% of users were female and 35.9% were male. Most of the users were in forties and 37.5% were housewives and 19.9% had no job. 44.9% were college graduates and 93.0% were married. Second, in respect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users' satisfaction in instructors, contents, program management and facilities were above 3.0. Third, according to demo-statistical factor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and educat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Four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jects of manage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Fif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routes, progress methods, and area of interes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purposes, frequency of using programs and standards of choice. Therefore, for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to be user-oriented and efficiently managed, these results lead us to make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 First, the programs should be further expanded so that more diverse classes can join in. Second, user-tailored promo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ir age. Third,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 high-quali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fth, directions to enhance interest in cultural programs are needed. Sixth, faciliti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ultural programs are supplemented.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ibrary staff.

      • 고강도 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대구경 고강도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강도 평가

        심혜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Headed bars develops the anchorage strength by attaching head plates to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Headed bars do not have a bend with hooks, so the headed bars ease construction and solve the problem of steel congestion. Headed bars is mainly applied to beam-column joints, slab-wall joints, and column-foundation joints, which have problems of steel congestion. In particular, if the head plate is located on the compression strut of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s, the headed bars is restrained by the strut and the headed bar can be effectively used. The anchorage strength of headed bars terminated within exterior beam-column joint has various types of failure such as side-face blowout, joint shear, pullout, and concrete breakout, and the anchorage strength of each type of failure is also different.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is divided into exterior beam-column joints and other cases.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consider the type of failure that may occur in the beam-column joint. Pullout failure does not occur when the provision of the net bearing area by KS D 3871(KS, 2017) are satisfied. Concrete breakout failure can be prevented by compression struts formed at the joint when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beam acts within 1.5 times the embedment length. Therefore, the KCI(2017) define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through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test of side-face blowout failure, and the joint shear failure should be reviewed separately. However,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limit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o 70MPa and the yield strength of bar to 600MPa, and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n the layer-to-layer spacing. The headed bars terminated to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may be reinforced in two or more layer.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2-layer headed bars on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is smaller than twice the strength of a single-headed bar, due to the overlapping failure area of the individual headed bars. In this study, the anchorag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side-face blowout failure test of the headed bars at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The applicability of the KCI(2017) provision to high-performance materials such as high strength concrete, high-strength headed bars, and large-diameter headed bars was evaluate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s of two-layer headed bars were investigated, an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two-layer headed bars predicted by applying the spacing factor of group anchor to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A total of 180 test were performed, and side-face blowout failure occurred in all specimens except for 25 tests in which loading was stopped after the yield strength of the headed bar was developed for safety. In 2-layer specimen,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the individual headed bars decreased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failure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st results with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the design equation safely evaluated the anchorage strength of the single-layer specimen, but overestimated the anchorage strength of the 2-layer specime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s on the layer-to-layer spacing by applying the spacing factor of group anchor under tension to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the safety factor decreased as the layer-to-layer spacing increased. If the layer-to-layer spacing increases, the overlapping failure area decreases, but the total failure area increases. As the failure area increase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decreased compared to the specimen with a narrower spac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ze effect for the uncertainty of the concrete.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factor of the specimen with spacing of 4, the equation of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was proposed by modifying the coefficient. The proposed equa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test results of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of previous study, A 5% safety factor with 90% reliability was applied to proposed a design equation for the development length of headed bars. 확대머리철근은 철근 단부에 정착판을 부착하여 정착강도를 발현한다. 철근 단부에 갈고리 대신 정착판을 부착하여 배근 작업을 간소화하고, 갈고리철근의 철근 간 간섭 및 복잡한 배근 문제를 해결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 밀집 부위의 과밀 배근을 해소하여 갈고리철근의 콘크리트 충전 불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확대머리철근은 주로 과밀 배근의 문제를 가진 보-기둥 접합부, 슬래브-벽체, 기둥-기초 접합부에 적용된다. 특히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압축 스트럿에 확대머리철근의 정착판이 위치하면, 스트럿에 의해 철근이 구속되어 확대머리철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강도는 측면파열파괴, 접합부 전단파괴,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 등 발생 가능한 파괴유형이 다양하고, 파괴유형에 따라 정착강도의 차이도 크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최상층을 제외한 부재 접합부와 그 외 경우로 나누어 확대머리철근 정착길이를 규정하고, 접합부에 발생 가능한 파괴유형을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최상층을 제외한 부재 접합부의 확대머리철근 정착길이 산정식은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통해 규정되었다. 뽑힘파괴는 KS D 3871(KS, 2017)의 확대머리철근 순지압면적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발생되지 않는다.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는 정착길이의 1.5배 이내에 보의 압축력이 작용하면, 접합부에 형성되는 압축 스트럿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통해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를 산정식을 두고, 접합부 전단파괴는 별도로 검토하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70MPa, 철근의 항복강도를 600MPa로 제한하고,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되는 확대머리철근은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배근 되기도 하는데, 이때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2단 배근된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파괴강도는 철근 단 간격이 좁을 경우,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파괴면적이 중첩되어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된다. 이 논문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수행하여 정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철근, 대구경 철근 등 고성능 재료에 대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설계식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2단 배근에 대해서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인장을 받는 그룹앵커의 간격계수를 적용하여,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총 180개의 실험결과 중, 안전을 위해 철근의 항복강도가 발현 후 가력을 중단한 25개의 실험을 제외한, 모든 실험체에서 측면파열파괴가 발생하였다. 2단 배근 실험체는 파괴면의 중첩으로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되었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의 설계식으로 실험값을 평가한 결과, 1단 배근에 대한 정착강도는 안전하게 평가하지만, 2단 배근의 측면파열강도를 과대평가하였다. 인장을 받는 그룹앵커의 간격계수를 적용하여,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확대머리철근 단 간격이 넓어질수록 안전율이 저하되었다. 철근 단 사이 간격이 증가하면, 중첩되는 파괴면적은 줄어들지만, 전체 파괴면적은 더 증가하게 된다. 파괴면적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의 불확실성에 의한 크기 효과의 영향으로 철근 단 간격이 더 좁은 실험체에 비해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되었다. 단 사이 간격이 4인 실험체의 안전율을 높이기 위해 계수를 수정하여 확대머리철근의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식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의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식을 검증하고, 90%의 신뢰도를 가지는 5%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 설계식을 제안한다.

      •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

        심혜정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Frequent change of educational system to meet fast change of time and social requirement asked teachers to make additional efforts to change their attitude or behavior. In addition, increasing maladjustment behaviors of students like school violence which is recognized to be a recent social issue cause for teachers to be vulnerable to stress. In case teachers are not able to effectively cope with these stressful environment, it will be possible for them to be psychological burnout and that they may make less efforts for their job, or their relations with students might be aggravated, so to finally hinder effectiveness of eduction. The study tri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following to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based on the relations among psychological burnout,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eacher efficacy, job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following to gender and teaching care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relations are there among teacher efficacy, job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how different there is in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llowing to their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A survey was conducted for 3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Gyeonggi-do and Incheon and 262 sheets were finally analyze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operated to find the differences among teacher efficacy, job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following to gender and teaching care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rrelation analysis was operated to find the relations among teacher efficacy, job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wo-way ANOVA was operated to find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llowing to their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Summary of the study result is as below.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following to gender, but female teachers were higher than male teachers in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longer teaching career, the higher teacher efficacy.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tress coping style following to teaching career. Seco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for teacher efficacy, job stress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burnout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allenging and emotion relieving coping style,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psychological burnout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allenging coping style, but positive relationship with aversive coping style. Third,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following to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showed main effect with teacher efficacy and challenging coping style. So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or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nout with higher teacher efficacy and more challenging coping style.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efficacy and challenging coping style was personal variable of teachers affecting psychological burnout through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burnout following to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coping sty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refore, if there are methods to improve teacher efficacy and challenging coping styl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will be positively prevented. 빠른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체제의 잦은 변화는 교사에게 태도나 행동의 변화와 같은 추가적인 노력을 요구하게 되었고 이와 더불어 최근의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학교 폭력과 같은 학생의 부적응 행동 증가는 교사를 스트레스에 취약하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환경에 교사가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져 직무에 대한 노력을 줄이거나 학생과의 관계의 질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고 결과적으로 교육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를 토대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라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라 심리적 소진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와 인천 소재의 초등학교 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262부를 최종으로 분석하였다. 교사의 성별과 교직경력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심리적 소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은 여자 교사가 남자 교사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소진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은 교직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소진의 상관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은 도전적 대처방식, 정서완화적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소진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소진은 도전적 대처방식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회피적 대처방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심리적 소진 차이는 교사효능감과 도전적 대처방식이 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효능감이 높고 도전적 대처방식을 많이 활용할수록 심리적 소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통해 교사효능감과 도전적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개인적 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교사효능감과 도전적 대처방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뒷받침된다면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데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 MZ세대의 온택트 문화 트렌드 코드(Trend Code) 척도개발

        심혜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표현되는 MZ세대들의 온택트 문화에 대한‘트렌드 코드(Trend Code)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예측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척도개발 8단계 과정을 수행하였다. 1단계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도출된 5개의 요인을 기초로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성항목을 선별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3단계는 전문가 회의 단계를 통하여 문항 분석 및 변별타당도 검증 결과 1개 문항 제거 후 총 19개 문항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4단계는 추출된 19개의 예비측정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개발에 필요한 1차 예비조사에서 총 1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5단계는 SPSS/Win ver. 23.0을 사용하여 1차 데이터 자료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MZ세대의 트렌드 코드를 측정할 수 있는 5개 요인(연결, 탐색, 공유, 체험, 소비),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문항을 추출하였다. 6단계는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최종 19개 문항에 대하여 본 조사 후 척도개발에 필요한 총 421명의 2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7단계는 SPSS/Win ver. 23.0을 사용하여 2차 데이터 자료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Win ver. 23.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연결, 탐색, 공유, 체험, 소비)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8 이상으로 적절하였다. 따라서 트렌드 코드에 대한 하위요인‘연결코드’,‘탐색코드’,‘공유코드’,‘체험코드’,‘소비코드’5개 요인으로 최종척도를 개발하였다. 8단계는 개발된 트렌드 코드 척도에서 나타난 각각 연결코드 4문항, 탐색코드 3문항, 공유코드 4문항, 체험코드 4문항, 소비코드 4문항을 포함한 총 19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의 예측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트렌드 코드를 독립변수로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을 결정변수로 설정하여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예측타당도 검증 단계를 거쳐‘연결코드’,‘탐색코드’,‘공유코드’,‘체험코드’,‘소비코드’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트렌드 코드 척도가 개발되었다. 둘째, 개발된 척도의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공감 척도, 트랜스포메이션 척도, 감성지능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척도의 전체 총점과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여 예측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타당도 검증 결과, 독립변인 트렌드 코드와 종속변인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과의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렌드 코드와 공감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연결코드, 탐색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트렌드 코드와 트랜스포메이션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연결코드, 탐색코드, 체험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 코드와 감성지능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는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활용 요인에서는 공통적으로 연결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조절 요인에서만 탐색코드, 체험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트렌드 코드가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개발된 트렌드 코드와의 예측타당도 검증 결과 결정변수와의 관계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며, 개발된 척도와의 효과검증을 통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예측 타당화 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트렌드 코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척도개발 결과는 그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트렌드 코드 척도는 단일차원이 아닌 MZ세대들의 행동적 양상이 반영된 사회문화 전반을 다차원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MZ세대의 온택트 문화 트렌드 코드 척도는 향후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정량적 실증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측정 도구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rend Code Scale Development of MZ Generation' to reflect sociocultural phenomena for on-tact culture expressed from online by modern MZ generations and to make it predictable. To achieve this research, at first, there are the eight-step for scale development process. Phase I,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 appropriate measurement item was derived for this study. Phase 2,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by deriving compositional items through five related prior studies of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and consume. Phase 3, the expert evalu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o derive a total of 19 preliminary questions after removing 1 question about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iscrimination through question analysis. Phase 4, preliminary surveys of 19 preliminary measurement questions extracted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112 preliminary surveys required for scale development. Phase 5,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imary data are extracting the final questions of five factors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consume) that can measure the trend code of the MZ genera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19 questions, using SPSS/Win ver. 23.0, Phase 6, we conducted this survey on the final 19 questions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421 people from the secondary main survey required for scale development. Phase 7, using SPSS/Win ver.23.0 for job feasibility validation of secondary data and AMOS/Winver.23.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feasibility and discriminant feasibility validation, the five factors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consume) were found to be good, and it was appropriate with a reliability coefficient .8. Therefore, the final scale was developed with five factors: ‘Connection Code’, ‘Search Code’, ‘Share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Phase 8, the developed Trend Code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19 measurement items, including 4 connect codes, 3 search codes, 4 share codes, 4 experience codes, and 4 consume codes, respectively. Trend code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sy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determinants. Finally a trend code scale consisting of five subfactors: "Connection Code", "Exploration Code", "Shared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was developed after the final predictive feasibility verification stage. Second, to verify the predictiv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athy scale, transformation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total and subfactors of each scale, indicating that the predictive feasibility is suitab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Trend Code for predictive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e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nd code and sympathy,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nection code, search code, and consumption code.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nd code and transforma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nection code, search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rend Code on sy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ll fact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predictive validity with the developed Trend Code show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terminant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with the developed scale makes predictive. This is a tool for measuring the trend cod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scale development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Trend Co d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the entire social cultur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reflects the behavioral aspects of the MZ generation rather than a single dimension. The Ontact Culture Trend Cod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great implications as a measurement tool that can contribute to quantitative empir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n the future.

      • 훔멜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 작품분석

        심혜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으며 교육자로 활동한 훔멜(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의 작품 분석이다. 훔멜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알아보고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Op.5 No.3의 악곡을 분석하여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소나타보다 훔멜의 소나타는 4마디 이상의 악구가 많아 선율선의 호흡이 길다. 둘째, 알베르티 베이스 반주가 자주 사용된다. 알베르티 베이스란 화음을 펼쳐 만든 반주형태를 말하는데, 모차르트나 베토벤이 자주 사용하였다. 셋째, 부점리듬이 매우 자주 사용되었다. 넷째,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이고, 2악장은 3부형식이며 3악장은 론도 형식인데 이 모두 고전주의적 형식을 따르기는 하지만 정형화된 형식 그대로가 아닌 부분적인 변화를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각 악장의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악장은 알레그로 모데라토 (Allegro Moderato)악장으로 서주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후주부로 구분되며 발전부의 모티브는 피아노 파트가 발전부를 발전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2악장은 아다지오 칸타빌레 (Adagio cantabile)악장으로 3부형식이다. 느리고 서정적인 선율이 강조된 악장이다. 3악장은 론도 콘 모토 (Rondo con moto)악장으로 론도형식의 악장이다. 구성은 A→B→A→C→B′→D로 나누어진다. 전형적인 론도형식과는 좀 다른 형태의 형식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for Hummel′s Sonata for Piano and Viola E♭Major Op.5 No.3. Hummel (1778-18837) is a pianist, composer and educator representing classicalism. After searching for Hummel's life and achievements, I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ummel's viola Sonata Op.5 No.3. First of all, there are long phrases in his music. Generally a phrase made by four bars. However his musical phrases consist on more than four bars. Second, the Alberti bass accompaniment is often used which could see the music by Mozart or Beethoven. Third, dotted rhythm has been used very often.Fourth, all three movements followed the classical form. However the form has been changed part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are as followings. The first movement is Allegro Moderato,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Coda. The piano has strong power to develop the part of Development.The second movement is called Adagio Cantabile. The form is the Tenery form. This movement is focused on lyrical melody. The third movement is the Rondo Concerto, which is the style of the Rondo. The composition is divided into A→B→A→C→B′→D. It's a slightly different form from the typical Rondo.

      •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의 성과

        심혜정 대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혼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개선 성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자녀를 둔 직장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임의 배정 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은 주1회 100분씩 총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측정에서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 집단 간 동질은 t-test검정으로 확인하였고, 집단 간 비교는 ANCOVA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기혼 직장여성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으며, 생활만족도는 증가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성격강점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성격강점을 강화함으로써 생활전반의 만족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반 여성으로서 산출된 성과는 시행된 프로그램의 효과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기여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아울러 추후 제안점으로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 성과가 유지되지는 확인하는 것과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시행하여 안정된 성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주요어: 성격강점, 기혼 직장여성, 직무스트레스, 생활만족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by performing a character strength group program for married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ing homes in Gyeongsangbuk - do and mothers who had children in kindergarte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8 experimental subjects and 8 control subjects. The program consisted of 100 minutes per week for 8 weeks. Job Stress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in pre - and post - measures. The homogeneity between the progroups was confirmed by t-test and ANCOVA was applied between the groups. Job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decreased and it was shown that it increased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rogram activities focusing on personality strength, we confirmed that we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whole life by strengthening personality streng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effects that various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women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program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roposal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performance is not maintained after the program ends and to verify whether stable performance is achieved by applying to more subjects. Key words: Personality Strength, Married Women,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 중년여성의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가 시술만족도 및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심혜정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외모는 표정이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하고 개성 있는 모습으로 연출되기 때문에 그를 표현 대상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눈썹의 경우 얼굴의 작은 부위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인상을 결정하는 요소라 말할 만큼 중요하다. 눈썹의 모양, 두께, 색상 등은 인상이나 성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눈썹 디자인의 변화만으로도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다. 반영구 화장은 메이크업을 하여 지속시킬 수 있는 화장기법으로 바쁜 일상에서 화장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숙련된 전문가를 통해 자신에게 어울리는 반영구 화장 시술 받음으로써 외모에 대한 만족감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눈썹 반영구메이크업은 피시술자의 전체적인 얼굴의 조화와 균형에 맞춰 디자인하고 피부 상부층에 천연색소를 주입하여 눈썹모양을 반영구적(1~3년 정도)으로 지속시켜주는 메이크업으로 특수메이크업의 한 분야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눈썹 반영구메이크업의 피시술동기가 시술만족도 및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SNS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50~60대의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절차는 반영구 눈썹화장을 시술받는 동기와 시술 만족도와 외모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설문지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 평정 및 검토를 통하여 설문지를 보완하였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 회수 후, 통계분석 후,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의 동기가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시술만족도 및 외모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피시술동기, 시술만족도, 외모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를 살펴본 결과, 눈썹화장에 대해 어려움을 줄이고, 눈썹 모양에 대한 만족감은 높이고, 콤플렉스 줄이기 위한 외모 단점보완 측면이 이미지 개선 측면, 대인지향 측면보다 상대적으로 큰 동기로 파악되었다. 둘째, 시술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가 도출되었으며, 눈썹 변화에 대한 만족, 단점 보완 및 자연스러움에 대한 만족, 눈썹 숱이나 비대칭 보완 만족, 눈썹 컬러나 디자인 만족, 주변 사람들에게 시술을 권할 의향도, 앞으로 보완 시술 계속 의향도, 실제 나이보다 어려 보이게 되는 만족도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가 도출되었으며, 매력 증가에 대한 만족, 원하는 외모 충족에 대한 만족, 타인이 자신의 외모에 호감을 느끼는 정도, 외모에 대한 자신감 상승 정도, 주변 사람들의 반응이 좋아진 정도, 거울에 비춰진 자신의 모습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에 대해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력, 배우자 유무, 직업,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동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술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외모만족도는 50~54세나 60세 이상에 비해 55~59세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년여성의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와 시술만족도, 외모만족도의 상관관련을 알아본 결과,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 하위요인인 외모단점보완,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은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술만족도와 외모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술만족도는 반영구 눈썹화장 피시술동기가 외모만족도의 매개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고 외모단점보완 동기, 이미지 개선 동기, 대인지향 동기가 외모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종합해보면 조사대상인 50~60대의 중년여성은 반영구 눈썹화장을 자신의 외모단점보완, 이미지 개선, 대인관계 및 사회생활 개선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미용시술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으며,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이미지 개선, 대인지향에 대해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반영구 눈썹화장에 대한 인식과 시술 그리고 외모변화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반영구 눈썹화장에 적극적인 의향을 가진 중년여성의 시술만족도가 높으며, 시술만족도가 높을수록 반영구 눈썹화장 시술로 변화된 외모에 대해 더 많은 만족을 느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importance of makeup as an expression object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because the appearance is often produced in various and individual ways depending on the expression or movement. With a sustainable makeup technique, one can shorten one’s makeup time in one’s busy daily schedule, and give one satisfaction with one’s appearance through makeup that suits one with the help of a skilled professional. In the case of the eyebrows, it is important enough to say that it is the part that gives a strong impression among various parts of the face, and the shape, thickness, and color of the eyebrows can show the impression or character and effectively change the image. Semi-permanent makeup for eyebrows is designed to match the harmony and balance of the entire face, and by injecting natural pigment into the upper layer of the skin, it is a makeup that maintains the shape of the eyebrows semi-permanently (about 1 to 3 years). It is a field of special make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n the procedur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motive for the procedure of middle-aged wom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use SNS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s for the research procedure, data on the motivation for receiving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ere collected, and a draft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questionnaire was supplemen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and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onduct the survey.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 and after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otivation for receiving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ffects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the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Based on this survey,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procedures and appear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for procedures, satisfaction with procedure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s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s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procedure showed that the aspect of compensating for shortcomings in appearance to reduce difficulties with eyebrow make-up, increase satisfaction with eyebrow shape, and reduce complex was relatively greater than image improvement aspec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aspect. identified as a motiv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high satisfaction was derived from all items. Satisfaction with eyebrow changes, satisfaction with shortcomings and naturalness, satisfaction with thinning eyebrows or asymmetry, satisfaction with eyebrow color or design, and recommendation for treatment to people arou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order of intention, the intention to continue the complementary treatment, and the satisfaction of making them look younger than their actual ag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appearance satisfaction, high satisfaction was derived in all items, satisfaction with increased attractiveness, satisfaction with desired appearance, the degree to which others feel favorable to one's appearance, the degree of confidence increase in appearance, and the It was found that they were satisfied in the order of the degree of response and satisfaction with their reflection in the mirror.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tiva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image 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no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55-59-year-olds compared to the 50-54 or 60-year-old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motive, operation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the sub-factors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operation motivation, such as improvement of appearance, image improvement, and interpersonal orientat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procedur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ppeared to be relat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was also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the appearance. In other word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the motiva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treatmen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played a mediating role in appearance satisfaction. In conclusion, middle-aged women in their 50s and 60s who are the subject of the survey perceive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smetic products that have an effect on improving their appearance, improving their image, and improving their interpersonal and social life. In addition, not only were the motivations high for interpersonal orientation, but overall, the perception of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and the perception of procedures and appearance changes were positively derive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women with an active intention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the more satisfied they were with the appearance changed by the procedure with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혜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ompartment so that you can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 actively apply evidence-based practice applied to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social work field. In the study, the attitude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EBP) was set up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ividual factors such as education, career, position, self efficacy, ability toward Evidence Based Practice, also perceived organization factors such as organization culture, frequency of supervision, frequency of education, working time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other variables(gender, age) were controlled in the data analysi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o collect the data, 20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extracted through system sampling with the list of 98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ASWC (Seoul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Under the agreement of the sampled center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social workers. With the collected data, analysis of frequency, descriptive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individual factor affecting on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self 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eemed that the higher the self efficacy level was,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EBP they showed. Second, as the sub-attributes of the EBPA, the requirement, the appealing and the divergence of the EBP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dividual factors and organization factors. But the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elf efficacy affect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on the openness of EBPA. In other words, the longer career in the current community welfare center nega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whereas the high level of self 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openness of EBPA. Some discussions about the result and application methods in the field are following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social workers on EBP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EBP and to provide them with the opportunities to apply to the work field. Also, social welfare studies usually involve ceaseless interactions between study and practice. Not only should the various research precede in the academic area, but also should the social workers try to be harmony in theory and practice through incessant studies and application of the preceded studi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for the organizations to develop the organization culture to accept various culture and viewpoints and to encourage the education for the social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generates discussion about the application of EBP by find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attitude toward EBP. However, this survey is conducted to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so there is limitation to apply to all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증거기반 실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 증거기반 실천이 활발히 적용될 수 있도록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증거기반 실천 적용에 대한 태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학력, 경력, 직위, 자기 효능감, 증거기반 실천 기초능력의 개인적인 요인과 조직적인 요인으로 조직문화, 슈퍼비전 빈도, 교육 참여 경험, 근무시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로는 성별과 연령을 설정하였고, 본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한 두 개의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사회복지관 협회 소속 총 98개의 사회복지관 목록표를 이용해 체계적 표집을 실시하여 20개의 복지관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20개의 복지관에 동의를 얻은 뒤 수락한 곳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의 하위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자기 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조직적 요인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었다. 즉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하위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요구도, 호감도, 불일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 기관의 경력과 자기효능감이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 기관에서의 경력이 길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증거기반 실천 태도의 개방성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연구결과를 통한 논의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사에게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여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겠다. 또한 사회복지는 실천 학문으로 학문과 실천 현장 간 활발한 연구와 실천 현장에의 적용이 필요한 학문이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서비스의 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하며 연구와 실천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겠다. 이에 학계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선행되는 것은 물론, 사회복지사들도 끊임없는 학습과 선행 연구 적용을 통한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루어야겠다. 그리고 조직에서도 사회복지사들의 교육을 적극 권장하며 다양한 문화와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증거기반 실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봄으로써 증거기반 실천의 적용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전체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서울지역에 국한한 사회복지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이를 전체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