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예술분야 특기·적성 교육 프로그램 현황 및 효율적 운영방안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중심으로

        심혜정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는 창의성과 다양성을 요구하는 지식 기반사회로서 이러한 시대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기존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발상의 전환을 통해 지식을 창출해내고, 창의적인 방법으로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인재의 육성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대학입학을 위한 암기위주의 획일적 교육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시키는 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고, 개개인의 독특한 개성, 적성, 능력, 흥미 등을 살리고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기 위해서는 어려서부터 다양한 문화예술 관련분야 특기 · 적성교육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특기 · 적성을 기르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운영에 있어서 제반 고려사항을 점검해보고, 서울시 교육청 특기 · 적성 교육 활동 운영지침을 참고하여 연구의 기초로 삼았다. 또 현재 초등학교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특기 · 적성 교육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제도적 측면, 환경적 측면, 인력적 측면, 프로그램 측면, 평가 측면, 대상자 측면, 이렇게 6가지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점을 찾기 위해 미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방과 후 프로그램(After-School Activities)의 운영사례로 오진 초등학교(Odgen Elementary School), 세인트루이스 공립학교(St. Luise Public School), 댈러스 자치학교(Dallas Independent School District)와 지역의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있는 21세기 커뮤니티 학습센터(21st Century Community Learning Center), 법원 청소년 센터(Court Youth Center)에서의 방과 후 프로그램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 있어서 예술분야 특기 적성 교육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첫째, 특기 · 적성교육을 위한 운영체제가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둘째, 예술교육에 필요한 시설 및 환경을 마련해야하고, 셋째, 전문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며, 계속적인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다양하고도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하며, 다섯째,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교 자체발표의 기회가 주어지고 더 나아가 문화예술축제로 발전해야 한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에서의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가적으로도 예술교육의 성공을 가져올 수 있다. 초등학교 시절의 예술에 대한 경험은 학생의 평생을 좌우하게 된다. 초등학교 시절에 풍부한 예술적 경험을 하기 위해서는 정규 예 · 체능 교과 시간만으로는 부족하며,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지금 현재 처해진 상황에서의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부합하는 효율적인 예술분야 특기 · 적성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문제점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실천해나감과 동시에 인적 ·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21th century is the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creativeness and diversity are required. In this respect, in order to cope with this age in a flexible way, it is needed to foster the talented who can break from the framework of existing thoughts and create new knowledge through original conception, and work in a creative way. However, since Korea has focused on memorization-based uniform education only for university admission exam, the education for developing speciality and aptitude of each student is not being fully conducted. Therefore, in order to respond to the changes and needs, and to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rewarding by developing individual's peculiar personality, aptitude, competence and interest, it should educate students in specialty & aptitude in diverse cultural and artistic areas from early age.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the present state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that is being conducted for developing speciality and ap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t presenting effective operational plans. To this end, I checked considerations in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ferred to the "Guideline for Speciality and Aptitude Education Activities" issu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the base of this research. Besides,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e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at elementary school, and through the result, I also presented problems with the education. I divided the problems with the program into 6 sections.; Systematic aspect, Environmental aspect, Human aspect, Programatic aspect, Evaluation aspect, and Object aspect. In order to seek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US, such as Odgen Elementary School, St. Luise Public School, Dallas Independent School District, the 21st Century Community Loaming Center which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a regional network, and after-school activities of Court Youth Center. And then, I suggested effective operational plans for Speciali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In order for th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to be effectively carried out, first, the operational system for Speciality & Aptitude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in order. Second, proper facilities and environment needed to the education in arts should be arranged. Third,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fostered, and sustainable reeducation is conducted. Fourth, diverse and profess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ifth, the programs should be systematically evaluated. finally th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s a cultural and artistic festival, with each school presenting its own program. I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in elementary school is effectively conducted, it will ultimately lead to the national success in artistic education. The experience in art during elementary school years can determine the whole life of the students. Regular classes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re not enough in order for full artistic experience in elementary school,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can supplement them. In conclusion, the important thing is to seek the best way to solve the current problems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In order for the effective Specialty & Aptitude Education Program in Arts, we need to understand what is wrong and to take due steps for the problems, while driving the best way to make good use of human and physical resources.

      • 장류의 항산화력과 품질특성에 관한 주성분 분석

        심혜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된장과 간장은 대두로 만든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으로 제조방법에 따라 크게 한식과 개량식으로 분류된다. 한식 된장과 간장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자연발효 시켜 만들기 때문에 자연 유래된 다양한 미생물이 작용하여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에 단일 균을 접종하여 만든 개량식 된장과 간장보다 풍부하고 복합적인 풍미를 갖는다. 관습적으로 전통 된장과 간장은 숙성 6개월 또는 1년 이후에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된장과 간장의 최적 섭취기간을 판단하고 품질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선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원료 대두로부터 숙성 3년 까지 된장과 간장의 품질을 이화학적, 항산화적, 관능적 특성으로 평가하였고, 이 세 가지 품질항목에 속하는 수많은 요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숙성 기간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는 곰팡이, 효모, 고초균, 젖산균, 일반세균의 생균수로 보았고, 이화학적 특성은 pH, 총산도, 염도, 일반성분, 그리고 미량 구성성분으로 분석하였다. 항산화적 특성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포함한 다양한 in vitro 방법으로 확인하였고, 관능적 특성은 외관, 향, 맛, 기호도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된장과 간장의 종합적 품질특성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주성분분석, k-평균 군집분석으로 평가하였다. 된장과 간장의 유기산, 아미노산, 유리당, 항산화력 및 관능적 품질특성들은 크게 1년 간격으로 차이가 있었다. 즉 된장과 간장의 특성이 숙성 0 ~ 12개월, 18 ~ 24개월, 30 ~ 36개월 단위로 차이가 있었고 각각을 숙성 초기, 중기, 말기로 구분하였다. 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숙성 초기에 4756.3 ± 4166.7 mg/100g에서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여 숙성 말기에 30095.4 ± 1071.5 mg/100g이였다(p<0.01). 된장의 유리당 함량은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여 숙성 중기에 3.7 ± 1.1 mg/100g로 높게 나타났고 숙성 말기에는 측정 범위 이하로 검출되지 않았다(p<0.01). 유기산 총 함량은 숙성 말기에 31683.5 ± 1899.6 mg/100g로 숙성기간 동안 10배 증가하였다(p<0.01). 간장의 유리아미노산 총 함량은 숙성 초기에 2281.9 ± 2042.0 mg/100g에서 숙성 말기에 41970.4 ± 1849.4 mg/100g로 숙성기간 동안 20배 증가하였다(p<0.01). 유리아미노산에서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p<0.01). 간장의 유리당 총 함량은 숙성 중기에 1.8 ± 0.5 mg/100g로 높았고, 숙성 말기에 0.7 ± 0.2 mg/100g로 감소하였다(p<0.01). 유리당은 숙성 말기에는 glucose만 검출되었다. 유기산 총 함량은 숙성 말기에 21692.3 ± 11943.9 mg/100g으로 숙성 초기에 비해 20배 증 증가하였고, lactic acid 함량에 기인한 것이었다. 된장의 총 페놀함량은 숙성 말기에 5473.0 ± 349.2 mg/L로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 없이 숙성기간 동안 높았다(p<0.01). 된장의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력은 숙성기간 동안 우수하였다. 된장의 환원력도 숙성 초기 1.3 ± 0.1로 높았고, 숙성 말기에 0.9 ± 0.0%였으나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된장의 SOD 유사활성은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여 중기에 91.8 ± 3.2%로 가장 높았다(p<0.01). 된장의 아질산염 소거력은 pH 1.2에서 숙성 말기에 97.4 ± 0.1%로 높았으나 숙성기간 동안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된장의 지질과산화 억제력은 숙성기간 동안 93.6 ± 0.4% ∼ 94.5 ± 0.8% 로 높게 나타났다. 간장의 총 페놀함량은 숙성 초기에 4363.6 ± 3476.3 mg/L에서 증가하여 숙성 말기에 5473.0 ± 349.2 mg/L였으나 유의차는 없었다(p<0.01). 간장의 DPPH 라디칼은 숙성 초기에 96.8 ± 1.9%이였고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여 숙성 말기 99.1 ± 0.9%의 높은 소거력을 나타냈다. 간장의 ABTS 라디칼 소거력은 중기까지 감소하여 89.4 ± 0.1%이였다(p<0.01). 간장의 환원력은 숙성 초기 1.3 ± 0.1%였고 숙성기간 동안 감소하여 숙성 말기에 0.9 ± 0.0%으로 측정되었다(p<0.01). 간장의 SOD 유사활성은 숙성 중기에 96.2±1.2%로 가장 높았다(p<0.01). pH 1.2에서 숙성기간 동안 92.6± 8.1% ∼ 97.4 ± 0.1%로 높게 측정되었다. 된장의 관능품질 평가에서 갈색도(brown color)는 숙성기간이 길수록 높은 값으로 평가되었다. 된장의 콩 발효향기(fermented soy bean flavor), 치즈향기(cheese flavor), 캐러멜향기(caramel flavor) 모두 숙성 말기에 높게 평가되었다. 된장의 맛에서 짠맛(saltiness)은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단맛(sweetness)은 숙성 초기에 2.7 ± 1.8이었고 숙성 말기에 5.8 ± 1.6으로 증가하였다(p<0.01). 신맛(sourness)은 숙성 초기 3.7 ± 2.4이였고 숙성 말기에 9.4 ± 2.3로 증가하였다(p<0.01). 감칠맛(umami taste)도 숙성 초기에 5.2 ± 3.0에서 숙성 말기 10.1 ± 1.9로 숙성기간이 길수록 증가하였다(p<0.01). 된장의 기호도는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평가되어 숙성 말기에 10.3 ± 1.9이였다(p<0.01).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총 8개의 관능요인 중 감칠맛과 갈색도가 기호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된장에서는 갈색 색도의 예측 값은 0.384로 감칠맛의 예측 값 0.264보다 유효한 변수였고, 결정계수 R2은 0.534이였다. 간장의 품질 평가에서 갈색도(brown color)는 숙성기간이 길수록 높은 값으로 평가되었다. 간장의 콩 발효향기(fermented soy bean flavor), 치즈향기(cheese flavor), 캐러멜향기(caramel flavor)는 모두 숙성기간 동안 증가하여 숙성 말기에 높게 평가되었다(p<0.01). 된장의 맛에서 짠맛(saltiness)은 숙성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단맛(sweetness)은 숙성 초기에 2.5 ± 1.9이었고 숙성 말기에 6.7 ± 2.7로 증가하였다(p<0.01). 신맛(sourness)은 숙성 초기 4.1 ± 2.2이였고 숙성 말기 8.7 ± 2.80로 증가하였다(p<0.01). 감칠맛(umami taste)은 숙성 초기에 3.4 ± 2.6에서 숙성 말기 10.2 ± 2.2로 숙성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1). 간장의 기호도는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높게 평가되어 숙성 말기에 9.7 ± 2.6이였다(p<0.01).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관능요인 중 감칠맛과 갈색도가 기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간장에서는 감칠맛의 값 0.587이 갈색 색도의 값 0.249 보다 기호도에 유효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간장의 결정계수 R2은 0.735이였다. 된장의 숙성 말기에서 총 페놀 함량, SOD 유사 활성, DPPH 라디칼 소거력과 RSA에 속하는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로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였고 단맛에 영향을 주는 glycine, alanine, serine, lysine, proline, threonin 의 아미노산과 신맛에 영향을 주는 lactic acid, malic acid 함량이 주요 요인으로 평가 되었다. 기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 감칠맛과 관련된 glutamic acid, aspartic acid도 숙성 말기에 주성분이었다. 간장에서는 숙성 중기에 SOD 유사 활성, DPPH 라디칼 소거력으로 숙성 말기에는 총 페놀함량과 RSA에 속하는 tyrosine, phenylalanine, histidine 등의 아미노산으로 항산화 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숙성 말기에서 감칠맛의 glutamic acid, 신맛에 영향을 주는 lactic acid, malic acid, 맛과 관련 있는 glycine, alanine, serine, lysine 등이 아미노산들이 주성분으로 분류되었다. 결론적으로 된장과 간장은 숙성 기간이 18개월 이상 지나야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이 완성된다고 평가하였다. PCA 와 군집 분석으로 total phenolic, lactic acid, malic acid , glutamic acid과 aspartic acid 함량 등이 관능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도출했고, 유기산, 유리아미노산과 항산화력 지표가 된장의 관능 품질 관리에 대한 객관적 지표를 제시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Korean soybean paste and soy sauce, Doenjang and Kanjang, are largely classified to two types that are traditional and modified one according to manufacturing method. Because the traditional Doenjang and Kanjang are natural fermented by static methods, they have more abundant and complex flavor which is made from various microorganisms and derived from raw material than the modified product made by inoculation of single microorganisms. Traditional Doenjang and Kanjang are known to be intake after 6 months or 1 year of aging, conven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mmend the optimum intake period of Doenjang and Kangjang through experimental data and to select factors influencing preference of the Doenjang and Kanjang. From soybean which is raw material to Doenjang and Kanjang aged 3 years, the quality was evaluated by three categori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The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aging period were observed as growth curve of fungi, yeast, Bacillus subtilis, lactic acid bacteria, and general bacteria.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by pH, total acidity, salinity, general composition, and trace constituen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nfirmed by various in vitro method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color, flavor, taste, and preference. The comprehensi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nd Kanjang were evaluat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k-means cluster analysis. Organic acid, amino acid, free sugar,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nd Kanja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one-year intervals. Thus, the Doenjang and Kanjang aged from 0 to 12 months, from 18 to 24 months and from 30 to 36 months were classified in three stages: early, middle and late-stage. In Doenjan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from 4756.3 ± 4166.7 mg/100g at the early stage to 30095.4 ± 1071.5 mg/100g at the late stage(p<0.01). The free sugar content also increased during the aging period, reaching 3.7 ± 1.1 mg/100g at the middle stage of aging, however not detected at the end stage(p<0.01).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of end stage 31683.5 ± 1899.6 mg/100g was increased 10 times than early stage(p<0.01). In Kanjna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increased about 20 times from 2281.9 ± 2042.0 mg/100g at the early stage to 41970.4 ± 1849.4 mg/100g at the late stage(p<0.01). Glutamic acid was most abundant amino acid(p<0.01). Total free sugar was high at the middle stage as 1.8 ± 0.5 mg/100g and decreased to 0.7 ± 0.2 mg/100g at the end stage(p<0.01). Glucose was detected only in the end stage.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21692.3 ± 11943.9 mg/100g at the end stage, which was 20 times higher than that at the beginning of ripening and was due to lactic acid content. In Doenjang, total phenolic content was 5473.0 ± 349.2 mg/L at the end stag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p<0.01).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were above 90% during aging time. The reducing power was also high at the early stage as 1.3 ± 0.1 and was decreased at the end stage as 0.9 ± 0.0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 SOD-like activity increased during aging time and was highest at the middle stage as 91.8 ± 3.2%(p<0.01).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determined at pH 1.2 was high as 97.4 ± 0.1% at the end stag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was 93.6 ± 0.4% ~ 94.5 ± 0.8% during ageing period. In Kanjang, The total phenolic content increased from 4363.6 ± 3476.3 mg/L at the early stage to 5473.0 ± 349.2 mg/L at the end stage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p<0.01). The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ere increased from 96.8 ± 1.9% at the early stage to 99.1 ± 0.9% at the late stage. While the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as decreased to mid-term as 89.4 ± 0.1%(p<0.01). The reducing power was decreased from 1.3 ± 0.1% at the early stage to 0.9 ± 0.0% at the end stage(p<0.01). The SOD-like activity was highest as 96.2 ± 1.2% at the middle stage(p<0.01). Nitrite scavenging capacity was measured as 92.6 ± 8.1% ~ 97.4 ± 0.1% during the aging period at pH 1.2. In the sensory properties of Doenjang, brown color was higher with longer aging period. Fermented soybean flavor, cheese flavor and caramel flavor were all highly evaluated at the end stage. Saltines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ipening period, whileas sweetness increased from 2.7 ± 1.8 at the early stage to 5.8 ± 1.6 at the end stage(p<0.01). The sourness also increased from 3.7 ± 2.4 at the early stage to 9.4 ± 2.3 at the end stage (p<0.01). The umami taste was increased from 5.2 ± 3.0 at the early stage to 10.1 ± 1.9 at the end stage (p<0.01). The preferenc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ging period and was 10.3 ± 1.9 at the end stage(p<0.01).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umami and brown col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preference. The coverage value of brown color was 0.384 which was more effective than the value of umami 0.264, and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534. In Kanjang, brown color was higher with longer aging period. The fermented soybean flavor, cheese flavor and caramel flavor increased during the aging period and were highly evaluated at the end stag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ltiness according to the ripening period(p<0.01). Sweetness increased from 2.5 ± 1.9 at the early stage to 6.7 ± 2.7 at the end stage(p<0.01). Sourness was increased also from 4.1 ± 2.2 at the early stage to 8.7 ± 2.80 at the end stage(p<0.01). The umami tas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3.4 ± 2.6 at the early stage to 10.2 ± 2.2 at the late stage(p<0.01). The preference was higher as the ripening period became longer and was 9.7 ± 2.6 at the end stage(p<0.01).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umami and brown col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in preference. The umami with coverage value 0.587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preference than the brown color with 0.249.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735. The antioxidant capacity Doenjang was confirmed by the total phenolic content, SOD-like activity,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amino acids which are known to hav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RSA) such as tyrosine, phenylalanine and histidine. Glycine, alanine, serine, lysine, proline and threonin were important components in sweetness. Lactic acid and malic acid are related to sour tast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umami, were also abundant in the late stage. I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anjang, SOD-like activity and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were high in the middle stage while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d RSA were high at the end stage. Interestingly, glutamic acid contributing umami, lactic acid and malic acid contributing sourness and other taste-related amino acids such glycine, alanine, serine and lysine were major components at the late stage. In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hat the optimum intake period of Doenjang and Kanjang was over 18 months, because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be complete and preference was gradually increased with aging time. PCA and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otal phenolic content, lactic acid, malic acid,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wer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ensory quality.

      • 성공적 SOA 적용을 위한 핵심성공요인(CSF)에 관한 연구 : 탐색적 연구 관점으로

        심혜정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A adoption is expected to bring a significant paradigm change in IT industry as the Client/Server architecture did from a terminal based architecture in the past.As Gartner has predicted about 80% of new development projects will be based on the SOA by 2008, SOA is becoming a public attention because of its business agility and IT cost reduction benefit on today's business environment of growing diversity and convergence among various businesses. But since the SOA adoption level in Korea is still in early stage, many companies have difficulties both in setting a strategy and direction for adopting SOA and in achieving a goal of adopting SOA successfully.In addition, the SOA Maturity Model in Korea, a method of setting strategy of SOA adoption, is highly dependent on SOA vendor's technology and usually does not conform to standard. Therefore it makes difficult for vendors and users to measure performance of SOA adoption in a structured and standard way.Accordingly, this research exploits through 34 cases of literature study and 22 interview cases to define 20 CSF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successful SOA adoption and to extract the detail processes of execution for every CSFs. In addition, the research has analyz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both provider and user in order to plan for SOA adoption in a complementary way.The research is the first study ever and has a significant value in the aspect that it reflects the reality of SOA implementation in Korea and that no systematic study of CSF (Critical Success Factor) for SOA adoption has been done so far.In addition, through identifying th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in perspective between vendors and users, this research will provided optimized solutions for SOA adoption in real cases satisfying both vendors and users.Finally, in the corporate point of view,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fundamental basis for measuring SOA adoption performance quantitatively in a structured and standard way. SOA는 '2008년까지 새로운 개발 프로젝트의 80%는 SOA일 것이다.'라는 가트너의 예측과 같이 산업환경의 다양화 및 산업간 컨버전스의 가속화에 따라 비즈니스 측면의 민첩성과 IT 측면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하며 가장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국내 수준은 아직 초기 단계로서 많은 기업들이 SOA도입의 전략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SOA도입 목표 달성에 의구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SOA 도입 전략수립 방법으로 활용되는 SOA 성숙도 측정모델은 벤더의존성의 문제점과 SOA 도입 후 성과측정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4개의 문헌연구와 22번의 인터뷰를 통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성공적인 SOA 도입을 위한 핵심 성공요인 20개 항목을 도출하고 각 항목에 대한 세부 실행방안을 정의하였다. 또한 제공자 측면과 사용자 측면을 비교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사용자와 제공자모두를 고려한 상호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본 연구는 아직까지 SOA 구현을 위한 CSF(Critical Success Factor)에 체계적인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제시된 최초의 연구이며 특히, 국내 SOA 구현 현실을 반영한 연구결과 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제공자인 벤더와 사용자인 사업자 입장에서 공통적으로 고려 해야 하는 점과 다른 점을 식별함으로써 벤더와 유저 모두의 입장을 고려한 효과적인 SOA 수행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기업관점에서 SOA도입의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SOA 성과측정 모델 정립에 기초 요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김정은체제 권력엘리트 연구

        심혜정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은 2012년 4월 11일 제4차 당대표자회, 4월 13일 최고인민회의 제12기 5차회의를 연이어 개최하고, 김정은을 당 제1비서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추대함으로서 공식승계 절차를 마무리했다. 김정일을 영원한 총비서, 영원한 국방위원장으로 추대하고 자신은 같은 권한을 갖는 당 제1비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란 새로운 직책을 신설하여 그 자리를 차지했다. 이와 같이 북한은 김정은의 새로운 지위에 맞게 당규와 헌법을 개정하고 파워엘리트를 재편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김정은 체제는 급속히 빠르게 제도적으로 유일영도체제의 구축, 내용적으로 김정은-장성택 협력체제의 강화, 신속한 군부 영향력의 재편 그리고 김일성과 김정일의 수령제 통치시스템 계승 등을 통해 정권의 안정을 꾀하고 있다. 북한의 정치체제 속성상 김정은의 권력승계에 대한 직접적 저항, 야심가의 쿠데타 등이 출현하기는 어려울 것이나 장기적으로 핵심엘리트 층에서 권력투쟁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의 경우 권력의 분산은 존재하지 않고 절대적인 수령만이 모든 권력을 소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북한 역시 정책결정을 위한 수령이 최종결정할 수 있도록 보좌하는 일단의 인적집단이 존재할 것이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황장엽 전 비서는 “김정일이 독재자이기는 했지만 그가 생시에 모든 것을 판단하고 결정한 것이 아니라 100명이 넘는 파워 엘리트들의 보좌에 의지해 통치했고, 이들 파워엘리트들은 김정일 없이도 북한을 이끌어 갈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김정은 체제 권력엘리트를 분석하고 특징짓는데 중요한 대목이다. 지도자 교체는 김정은 체제에 걸 맞는 권력층 인물들로 새롭게 정비되는 핵심엘리트의 교체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권력개편 과정을 통해 김정은 체제가 공식출범하고 권력을 공고히 하는 과정에서 김정일 시대 인물들이 퇴진하고 김정은 체제를 떠받칠 새로운 인물들이 부상하기 시작했다. 본 논문은 김정일 위원장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김정은 제1위원장이 독주체제를 갖추면서 발생하는 권력엘리트의 변화에 관한 연구로 김정은 체제를 떠받치는 핵심엘리트 및 강등된 엘리트를 찾아내고 그들의 변화와 특징을 도출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군 통제와 노동당 정치의 부활이다. 2010년 당 대표자회를 계기로 당 기능이 정상화되기 시작했지만 본격적인 김정은 제1위원장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당 중심의 정치가 되살아나고, 자연스럽게 당 관료의 중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리영호 인민군 총참모장 실각에 이어 대장에서 차수로 승진했던 현영철 총참모장이 갑자기 대장계급을 달고 등장했으며, 김영철 군 정찰총국장이 대장에서 중장으로 2단계나 계급이 강등되었다. 이를 통해 군부 엘리트에 대한 정치적, 경제적 위상에 대한 재조정 작업은 지속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본다. 둘째, 김정은 체제의 당과 국가기구 인적구성은 김일성 종합대와 평양·평안남도 출신, 남성이 핵심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출신대학은 김일성 종합대학이 35.5%로 가장 많으며, 출신지역은 평안남도가 18.6%로 가장 많다. 남녀성비는 남성이 94.3%를 차지해 북한 사회의 남성중심 단면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목이다. 셋째, 김정은 제1위원장을 둘러싼 백두산 혈통의 권력계승을 통한 지배구조는 여전히 건재하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 후계체제의 구축과정 역시 혈연적 귀속관계를 근거로 구축되었으며 이는 권력구조의 또 다른 특징으로 간주할 수 있다. 김정은의 고모인 김경희도 당 부장에서 당 비서로 승격하면서 로열패밀리로서의 변함없는 위상을 과시했다. 또한 김정일은 죽기 전까지 김정은의 고모부인 장성택에게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과 노동당 행정부장을 맡기면서 김정은의 막강한 후견인이자 최고의 실세로 자리매김했다. 장성택 부위원장과 김경희 비서가 부부라는 점에서 이 두 사람은 실질적 권력과 상징적 권력을 동시에 쥐고, 김정은 체제를 막후에서 후견하고, 실세로서 역할하고 있는 것으로 보기에 충분하다. 넷째, 장성택 계의 측근 엘리트들이 부상하고 있는 반면 김정일 시대의 원로들은 상대적으로 부각되지 않고 있다. 4차 당대표자회와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원로인사들에 대한 부분적 상향 인사조치가 있었으나 대부분 실권이 없는 예우 차원으로 추측된다. 이상 김정일과 비교할 때 김정은의 위상은 약화되었고 향후 엘리트 분쟁에 의한 불안 발생은 불가피하다. 현재 추세 상으로 볼 때, 김정은 시대에는 부하통제의 복잡한 장치가 김정일 시대와 같이 기능하고 효과를 낼 수 없을 뿐 아니라, 김정은 자신의 권력 행마 능력이 아직 검증되지 않아 권력투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김정은 체제 하에 핵심엘리트에 대한 연구는 향후 북한의 정책 뿐 만 아니라 체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어떠한 북한의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연구

        심혜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15개 도서관 중 지역구 형평성을 고려하여 8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문화프로그램 강사에 대한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이용시 공공도서관 시설 만족도, 문화프로그램 운영 만족도, 강사, 내용, 시설, 운영 전반적인 만족도 (문항 외에 만족요인)등 5개 항목에 대하여 성별, 연령, 학력, 운영주체별,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대한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301부 설문지를 토대로 사회분석에서 주로 사용하는 자료 분석 프로그램인 SPSS 20.0을 이용하여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을 보면 여성(64.1%)이 남성(35.9%)보다 많았으며, 연령은 40대 이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업분포는 주부(37.5%), 무직(19.9%), 학력은 대졸(44.9%), 기혼(93.0%)이 많았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서 강사, 문화프로그램 내용,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전체적으로 3.0이상으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라 성별,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령별에 따른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운영주체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프로그램 인식도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는 문화프로그램 이용경로, 진행방식, 관심영역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화프로그램 이용목적, 수강횟수, 선택기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이 이용자 중심이 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운영방안이 수립되어 실질적으로 실행되어야 한다. 첫째, 다양한 계층이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확대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연령에 따른 맞춤형 문화프로그램의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진행 방안이 필요하다. 여섯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설의 보완이 필요하다. 일곱째, 공공도서관 직원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sed the current status of using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in Gwangju and users' satisfaction to identify their problems and counter measures. Targeting eight of 15 public libraries located in Gwangju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study interviewed users of cultural programs presented by public libraries using a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ed satisfactions of each group in five items of instructors, program contents, facilities of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 management and general management according to age, sex, education, subjects of operation and recognition on the programs.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a use of the questionnaire and 301 copies of the responses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a use of SPSS 20.0.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programs and user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spect to demo-statistical characteristics, 64.1% of users were female and 35.9% were male. Most of the users were in forties and 37.5% were housewives and 19.9% had no job. 44.9% were college graduates and 93.0% were married. Second, in respect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users' satisfaction in instructors, contents, program management and facilities were above 3.0. Third, according to demo-statistical factor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sex and education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Four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subjects of manage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items. Fifth, in respect to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recognition of cultural program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routes, progress methods, and area of interest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using purposes, frequency of using programs and standards of choice. Therefore, for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to be user-oriented and efficiently managed, these results lead us to make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recommendation: First, the programs should be further expanded so that more diverse classes can join in. Second, user-tailored promo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ir age. Third,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urth, high-qualit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ifth, directions to enhance interest in cultural programs are needed. Sixth, faciliti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cultural programs are supplemented. Seven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vers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library staff.

      • 일 병원 입원 노인환자의 수면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혜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Shim, Hye-Jung Advisor : Prof. Kim, Jin Su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Sleep disturbance is a common problem for the elderly. Moreover, elderly patients often have poor, fragmented sleep when they are in the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sleep promotion intervention for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Participants were 121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 a hospital located in a county.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r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in this study suffer from sleep disturbances. As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disturbed sleep among elderly hospitalized patients. However,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at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leeping patterns for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and these two factors accounted 33.1% of variance of sleep-ⅴ-ing patterns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Sleep assessments should be conducted on ward admission to identify sleep difficulties and thereby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care. Nurses and other health care personnels should make efforts to decrease anxiety and depression and to eliminate environmental barriers of sleep among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Educational programs for nursing staff that offer information about sleep and sleep promoting interventions for the elderly patients are critical. Moreover, sleep promotion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pplied and evaluated.

      • 고강도 콘크리트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대구경 고강도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강도 평가

        심혜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Headed bars develops the anchorage strength by attaching head plates to the ends of reinforcing bars. Headed bars do not have a bend with hooks, so the headed bars ease construction and solve the problem of steel congestion. Headed bars is mainly applied to beam-column joints, slab-wall joints, and column-foundation joints, which have problems of steel congestion. In particular, if the head plate is located on the compression strut of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s, the headed bars is restrained by the strut and the headed bar can be effectively used. The anchorage strength of headed bars terminated within exterior beam-column joint has various types of failure such as side-face blowout, joint shear, pullout, and concrete breakout, and the anchorage strength of each type of failure is also different.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is divided into exterior beam-column joints and other cases.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consider the type of failure that may occur in the beam-column joint. Pullout failure does not occur when the provision of the net bearing area by KS D 3871(KS, 2017) are satisfied. Concrete breakout failure can be prevented by compression struts formed at the joint when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beam acts within 1.5 times the embedment length. Therefore, the KCI(2017) define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through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test of side-face blowout failure, and the joint shear failure should be reviewed separately. However, the design equation of headed bars in KCI(2017) limit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o 70MPa and the yield strength of bar to 600MPa, and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n the layer-to-layer spacing. The headed bars terminated to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may be reinforced in two or more layer.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2-layer headed bars on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is smaller than twice the strength of a single-headed bar, due to the overlapping failure area of the individual headed bars. In this study, the anchorag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side-face blowout failure test of the headed bars at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The applicability of the KCI(2017) provision to high-performance materials such as high strength concrete, high-strength headed bars, and large-diameter headed bars was evaluate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s of two-layer headed bars were investigated, an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two-layer headed bars predicted by applying the spacing factor of group anchor to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A total of 180 test were performed, and side-face blowout failure occurred in all specimens except for 25 tests in which loading was stopped after the yield strength of the headed bar was developed for safety. In 2-layer specimen,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of the individual headed bars decreased due to the overlapping of the failure are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st results with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the design equation safely evaluated the anchorage strength of the single-layer specimen, but overestimated the anchorage strength of the 2-layer specimen.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effects on the layer-to-layer spacing by applying the spacing factor of group anchor under tension to the design equation of KCI(2017), the safety factor decreased as the layer-to-layer spacing increased. If the layer-to-layer spacing increases, the overlapping failure area decreases, but the total failure area increases. As the failure area increased,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decreased compared to the specimen with a narrower spac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ize effect for the uncertainty of the concrete. In order to increase the safety factor of the specimen with spacing of 4, the equation of the side-face blowout strength was proposed by modifying the coefficient. The proposed equation was verified through the test results of the exterior beam-column joint of previous study, A 5% safety factor with 90% reliability was applied to proposed a design equation for the development length of headed bars. 확대머리철근은 철근 단부에 정착판을 부착하여 정착강도를 발현한다. 철근 단부에 갈고리 대신 정착판을 부착하여 배근 작업을 간소화하고, 갈고리철근의 철근 간 간섭 및 복잡한 배근 문제를 해결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근 밀집 부위의 과밀 배근을 해소하여 갈고리철근의 콘크리트 충전 불량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다. 확대머리철근은 주로 과밀 배근의 문제를 가진 보-기둥 접합부, 슬래브-벽체, 기둥-기초 접합부에 적용된다. 특히 외부 보-기둥 접합부의 압축 스트럿에 확대머리철근의 정착판이 위치하면, 스트럿에 의해 철근이 구속되어 확대머리철근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된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강도는 측면파열파괴, 접합부 전단파괴,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 등 발생 가능한 파괴유형이 다양하고, 파괴유형에 따라 정착강도의 차이도 크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최상층을 제외한 부재 접합부와 그 외 경우로 나누어 확대머리철근 정착길이를 규정하고, 접합부에 발생 가능한 파괴유형을 고려하여 설계하도록 한다. 최상층을 제외한 부재 접합부의 확대머리철근 정착길이 산정식은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통해 규정되었다. 뽑힘파괴는 KS D 3871(KS, 2017)의 확대머리철근 순지압면적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발생되지 않는다. 콘크리트브레이크아웃파괴는 정착길이의 1.5배 이내에 보의 압축력이 작용하면, 접합부에 형성되는 압축 스트럿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통해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를 산정식을 두고, 접합부 전단파괴는 별도로 검토하도록 규정한다. 그러나,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은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70MPa, 철근의 항복강도를 600MPa로 제한하고,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정착되는 확대머리철근은 2단 또는 그 이상으로 배근 되기도 하는데, 이때 외부 보-기둥 접합부에 2단 배근된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파괴강도는 철근 단 간격이 좁을 경우,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파괴면적이 중첩되어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된다. 이 논문은 외부 보-기둥 접합부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파괴 실험을 수행하여 정착 성능을 평가하였다. 고강도 콘크리트, 고강도 철근, 대구경 철근 등 고성능 재료에 대한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설계식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2단 배근에 대해서는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 인장을 받는 그룹앵커의 간격계수를 적용하여,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총 180개의 실험결과 중, 안전을 위해 철근의 항복강도가 발현 후 가력을 중단한 25개의 실험을 제외한, 모든 실험체에서 측면파열파괴가 발생하였다. 2단 배근 실험체는 파괴면의 중첩으로 개별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되었다. 콘크리트구조 학회기준(KCI, 2017)의 설계식으로 실험값을 평가한 결과, 1단 배근에 대한 정착강도는 안전하게 평가하지만, 2단 배근의 측면파열강도를 과대평가하였다. 인장을 받는 그룹앵커의 간격계수를 적용하여, 철근 단 간격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결과, 확대머리철근 단 간격이 넓어질수록 안전율이 저하되었다. 철근 단 사이 간격이 증가하면, 중첩되는 파괴면적은 줄어들지만, 전체 파괴면적은 더 증가하게 된다. 파괴면적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의 불확실성에 의한 크기 효과의 영향으로 철근 단 간격이 더 좁은 실험체에 비해 측면파열강도가 저하되었다. 단 사이 간격이 4인 실험체의 안전율을 높이기 위해 계수를 수정하여 확대머리철근의 확대머리철근의 측면파열강도식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의 외부 보-기둥 접합부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식을 검증하고, 90%의 신뢰도를 가지는 5% 안전계수를 적용하여 확대머리철근의 정착길이 설계식을 제안한다.

      • MZ세대의 온택트 문화 트렌드 코드(Trend Code) 척도개발

        심혜정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상에서 표현되는 MZ세대들의 온택트 문화에 대한‘트렌드 코드(Trend Code)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예측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척도개발 8단계 과정을 수행하였다. 1단계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2단계는 도출된 5개의 요인을 기초로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성항목을 선별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3단계는 전문가 회의 단계를 통하여 문항 분석 및 변별타당도 검증 결과 1개 문항 제거 후 총 19개 문항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4단계는 추출된 19개의 예비측정 문항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척도개발에 필요한 1차 예비조사에서 총 11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5단계는 SPSS/Win ver. 23.0을 사용하여 1차 데이터 자료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MZ세대의 트렌드 코드를 측정할 수 있는 5개 요인(연결, 탐색, 공유, 체험, 소비), 총 19개 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문항을 추출하였다. 6단계는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추출된 최종 19개 문항에 대하여 본 조사 후 척도개발에 필요한 총 421명의 2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7단계는 SPSS/Win ver. 23.0을 사용하여 2차 데이터 자료의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고, 수렴타당도 및 판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AMOS/Win ver. 23.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연결, 탐색, 공유, 체험, 소비)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 계수는 .8 이상으로 적절하였다. 따라서 트렌드 코드에 대한 하위요인‘연결코드’,‘탐색코드’,‘공유코드’,‘체험코드’,‘소비코드’5개 요인으로 최종척도를 개발하였다. 8단계는 개발된 트렌드 코드 척도에서 나타난 각각 연결코드 4문항, 탐색코드 3문항, 공유코드 4문항, 체험코드 4문항, 소비코드 4문항을 포함한 총 19개의 측정항목으로 구성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의 예측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트렌드 코드를 독립변수로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을 결정변수로 설정하여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예측타당도 검증 단계를 거쳐‘연결코드’,‘탐색코드’,‘공유코드’,‘체험코드’,‘소비코드’의 5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트렌드 코드 척도가 개발되었다. 둘째, 개발된 척도의 예측타당도 검증을 위해 공감 척도, 트랜스포메이션 척도, 감성지능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척도의 전체 총점과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여 예측타당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측타당도 검증 결과, 독립변인 트렌드 코드와 종속변인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과의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트렌드 코드와 공감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연결코드, 탐색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트렌드 코드와 트랜스포메이션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연결코드, 탐색코드, 체험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 코드와 감성지능과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는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활용 요인에서는 공통적으로 연결코드, 소비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감성조절 요인에서만 탐색코드, 체험코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트렌드 코드가 공감, 트랜스포메이션, 감성지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개발된 트렌드 코드와의 예측타당도 검증 결과 결정변수와의 관계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며, 개발된 척도와의 효과검증을 통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예측 타당화 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트렌드 코드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척도개발 결과는 그 의미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트렌드 코드 척도는 단일차원이 아닌 MZ세대들의 행동적 양상이 반영된 사회문화 전반을 다차원의 관점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MZ세대의 온택트 문화 트렌드 코드 척도는 향후 문화예술 분야에서의 정량적 실증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측정 도구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rend Code Scale Development of MZ Generation' to reflect sociocultural phenomena for on-tact culture expressed from online by modern MZ generations and to make it predictable. To achieve this research, at first, there are the eight-step for scale development process. Phase I,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 appropriate measurement item was derived for this study. Phase 2,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prepared by deriving compositional items through five related prior studies of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and consume. Phase 3, the expert evalu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to derive a total of 19 preliminary questions after removing 1 question about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the discrimination through question analysis. Phase 4, preliminary surveys of 19 preliminary measurement questions extracted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112 preliminary surveys required for scale development. Phase 5,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primary data are extracting the final questions of five factors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consume) that can measure the trend code of the MZ generation consisting of a total of 19 questions, using SPSS/Win ver. 23.0, Phase 6, we conducted this survey on the final 19 questions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llect data from a total of 421 people from the secondary main survey required for scale development. Phase 7, using SPSS/Win ver.23.0 for job feasibility validation of secondary data and AMOS/Winver.23.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feasibility and discriminant feasibility validation, the five factors (connect, search, share, experience, consume) were found to be good, and it was appropriate with a reliability coefficient .8. Therefore, the final scale was developed with five factors: ‘Connection Code’, ‘Search Code’, ‘Share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Phase 8, the developed Trend Code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19 measurement items, including 4 connect codes, 3 search codes, 4 share codes, 4 experience codes, and 4 consume codes, respectively. Trend code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sy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determinants. Finally a trend code scale consisting of five subfactors: "Connection Code", "Exploration Code", "Shared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was developed after the final predictive feasibility verification stage. Second, to verify the predictiv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athy scale, transformation scal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total and subfactors of each scale, indicating that the predictive feasibility is suitab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sim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Trend Code for predictive feasibility verification and the dependent variable e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nd code and sympathy, i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onnection code, search code, and consumption code.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end code and transformation,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onnection code, search code, experience code, and consumption code.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of Trend Code on sympathy, transform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ll fact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of predictive validity with the developed Trend Code show a positiv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terminant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with the developed scale makes predictive. This is a tool for measuring the trend code presen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scale development are significant. Therefore, the Trend Co d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the entire social culture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reflects the behavioral aspects of the MZ generation rather than a single dimension. The Ontact Culture Trend Cod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great implications as a measurement tool that can contribute to quantitative empirical research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in the future.

      • 훔멜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 작품분석

        심혜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으며 교육자로 활동한 훔멜(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의 작품 분석이다. 훔멜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알아보고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Op.5 No.3의 악곡을 분석하여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소나타보다 훔멜의 소나타는 4마디 이상의 악구가 많아 선율선의 호흡이 길다. 둘째, 알베르티 베이스 반주가 자주 사용된다. 알베르티 베이스란 화음을 펼쳐 만든 반주형태를 말하는데, 모차르트나 베토벤이 자주 사용하였다. 셋째, 부점리듬이 매우 자주 사용되었다. 넷째,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이고, 2악장은 3부형식이며 3악장은 론도 형식인데 이 모두 고전주의적 형식을 따르기는 하지만 정형화된 형식 그대로가 아닌 부분적인 변화를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각 악장의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악장은 알레그로 모데라토 (Allegro Moderato)악장으로 서주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후주부로 구분되며 발전부의 모티브는 피아노 파트가 발전부를 발전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2악장은 아다지오 칸타빌레 (Adagio cantabile)악장으로 3부형식이다. 느리고 서정적인 선율이 강조된 악장이다. 3악장은 론도 콘 모토 (Rondo con moto)악장으로 론도형식의 악장이다. 구성은 A→B→A→C→B′→D로 나누어진다. 전형적인 론도형식과는 좀 다른 형태의 형식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for Hummel′s Sonata for Piano and Viola E♭Major Op.5 No.3. Hummel (1778-18837) is a pianist, composer and educator representing classicalism. After searching for Hummel's life and achievements, I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ummel's viola Sonata Op.5 No.3. First of all, there are long phrases in his music. Generally a phrase made by four bars. However his musical phrases consist on more than four bars. Second, the Alberti bass accompaniment is often used which could see the music by Mozart or Beethoven. Third, dotted rhythm has been used very often.Fourth, all three movements followed the classical form. However the form has been changed part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are as followings. The first movement is Allegro Moderato,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Coda. The piano has strong power to develop the part of Development.The second movement is called Adagio Cantabile. The form is the Tenery form. This movement is focused on lyrical melody. The third movement is the Rondo Concerto, which is the style of the Rondo. The composition is divided into A→B→A→C→B′→D. It's a slightly different form from the typical Rondo.

      •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의 성과

        심혜정 대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혼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개선 성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자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자녀를 둔 직장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8명과 통제집단 8명으로 임의 배정 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성격강점 집단프로그램은 주1회 100분씩 총 8주 동안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측정에서 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생활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전 집단 간 동질은 t-test검정으로 확인하였고, 집단 간 비교는 ANCOVA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기혼 직장여성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였으며, 생활만족도는 증가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성격강점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성격강점을 강화함으로써 생활전반의 만족을 증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반 여성으로서 산출된 성과는 시행된 프로그램의 효과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기여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을 갖는다. 아울러 추후 제안점으로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이후에 성과가 유지되지는 확인하는 것과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시행하여 안정된 성과가 나타나는지 검증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주요어: 성격강점, 기혼 직장여성, 직무스트레스, 생활만족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job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by performing a character strength group program for married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ing homes in Gyeongsangbuk - do and mothers who had children in kindergarte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8 experimental subjects and 8 control subjects. The program consisted of 100 minutes per week for 8 weeks. Job Stress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used in pre - and post - measures. The homogeneity between the progroups was confirmed by t-test and ANCOVA was applied between the groups. Job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decreased and it was shown that it increased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rogram activities focusing on personality strength, we confirmed that we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whole life by strengthening personality strength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effects that various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women as well as the effects of the program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proposal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at the performance is not maintained after the program ends and to verify whether stable performance is achieved by applying to more subjects. Key words: Personality Strength, Married Women, Job Stress, Life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