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안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심예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통적으로 수질 평가에 사용되고 있는 이화학적 방법은 하천의 수질을 종합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반면,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군집은 수중에 유입되는 오염물질에 대하여 서로 다른 내성을 가지고 있어 환경을 평가하는데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수환경 평가를 위해 군집 분석과 생물학적 지수를 이용하였다. 경북 상주시 이안천을 대상으로 2005년 4월부터 2005년 9월까지 생물 군집과 환경 수치를 측정하였다. 조사 하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4문 5강 12목 30과 60종이 보고되었다. 그 중 곤충강이 4목 26과 56종으로 출현하였고 우점 분류군은 하루살이목(25종), 날도래목(19종) 및 파리목(5종)이었다. 정량 채집(30×30cm2)을 통해 채집한 결과 전체 개체수의 96.60%가 수서 곤충류였으며 그 중 하루살이목 62.87%, 파리목 17.34 %, 날도래목 15.42%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 외의 비곤충류 중에서는 연체동물문 1.61%, 환형동물문 1.41%, 편형동물문 0.38%의 순으로 점유하였다. 전체 수준에서의 우점종은 하루살이목의 세갈래하루살이(Choroterpes altioculus Kluge)와 파리목의 깔따구류(Chironominae sp.)였다. 조사지점별로 우점도 지수를 측정한 결과 St. 3에서 0.36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St. 1에서 0.20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조사시기별로는 4월과 8월이 0.36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9월에 0.24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다양도 지수(H')의 조사지점별, 조사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St. 2에서 3.56으로 가장 높은 값을 St. 6에서 3.00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6월에 3.34, 4월에 3.14로 각각 최고치와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종 다양도 지수에 따라 오수생물계열을 평가하면 St. 6이 β - 중부수성 수질로 그 이외의 모든 지점은 빈부수성 수질로 나타났다. Benthic macroinvertebrates have differently sensitive to various pollutants are well presented water quality. And they are ubiquitous, abundant and relatively easy to collect in target sites. These organisms have life spans long enough to provide a record of environmental quality and integrate the effects of the interaction of mixed pollutants and determinants. In this paper, mathematical community index to use with the synthesis aquatic environment proposed for valuable factors.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environmental data were collected at seven sites in Ian stream in Korea from April 2005 to September 2005. As a result, it was known that Ian stream retained relatively well-preserved stream which may provide good habitat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However, disturbances of stream caused by flood was the major factor affecting on the survival and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the areas.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form surveyed stations were composed of 60 species, 30 families and 12 orders five classes in four phyla. In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Ian stream the most dominant group was insects. In occurrenc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quatic insects composed of 56 species, 26 families in four orders. Dominant taxa included Ephemeroptera (25 species), Trichoptera (19 species) and Diptera (five species). Based on quantitative sampling (30×30cm2), aquatic insects (96.60%), particularly Ephemeroptera (62.87%), Diptera (17.34%), Trichoptera (15.42%) occupied major proportion of the total individual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hile Platyhelminthes (0.38%), Mollusca (1.61%), Annelida(1.41%) occupied minor proportions. Ephemeroptera was the largest member in individuals and species among insect. Nearest neighbour clustering was implemented for environment factors in different month and each sites. The Analysis results of CCA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between benthic macro -invertebrates community and sediment grain size showed that Ephemeroptera were influenced by 8mm-16mm, and Non-insecta were influenced by 16mm-31.5mm. Dominant benthic macroinvertebrate species was mainly Choroterpes altioculus Kluge. The collection individual number in standard, the Dominance indices (DI) showed the highest as 0.36 at site 3 and the lowest as 0.20 at site 1. It was showed that April and August were the highest as 0.36 and September was the lowest as 0.24 by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DI). On the average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H') showed the highest as 3.56 at site 2 and the lowest as 3.00 at site 6. It was showed that June was the highest as 3.34 and April was lowest as 3.14. According to the saprobic system based on the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site 6 was determined as β-mesosaprobic but the other sites were showed oligosaprobic.

      •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심예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데 있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재학생 328명이었으며,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의 특성을 확인하기위해 평균, 표준 편차, 빈도 및 백분율을 포함한 기술적 통계를 수행하였으며 변인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21.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분석한 결과 최종모형으로 경쟁모형이 채택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 간의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우연대처기술에 의해 매개되어 간접적으로 직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우연대처기술에 의해 매개되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들의 우연대처기술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진로적응성을 발달해가는 과정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써, 향후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진로 상담 및 지도의 방식을 돕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몸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한 욕동의 시각적 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심예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몸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욕동(Trieb)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연구자의 두 가지 갈래의 작품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몸의 표피를 걷어내어 내부 세계에 천착하는 초현실적인 행위에 주목하며, 상호 유기적인 관계 속에 있는 몸, 세계, 무의식, 욕동, 꿈 등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 중 작품의 주요 소재인 몸, 욕동, 그리고 꿈을 중심으로 본 연구가 전개된다. 먼저 동시대 미술에서 중요한 담론으로 자리하게 된 몸이 상상 속에서 해체 및 재구성되면서 세계와 상호작용하거나 동일시됨을 살피고, 그 상상력의 원천이 되는 내부 세계를 조명한다. 또한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제2차 위상의 욕동 이론, 죽음욕동(Todestrieb)과 삶욕동(Lebenstrieb)을 기반으로 연구작품의 형식적 특성을 분석한다. 죽음욕동과 삶욕동 각각에는 해체와 재구성의 성질이 대응하고 있으며 이 대립항은 연구작품의 형식과도 맞물린다. 그리고 욕동을 반영하는 꿈에 대한 분석의 역사를 살피고, 꿈의 내용을 재현하는 일과 자동기술법이 맥락을 나란히 하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작품의 형식 및 내용적 특성과 연관을 가지는 한스 벨머, 프란시스 베이컨, 그리고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을 살핀다. 연구는 ‘몸’과 ‘꿈’의 두 갈래로 이루어진다. ‘몸’ 갈래의 작품부터 ‘꿈’ 갈래의 작품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별 변화는, 죽음에서 삶으로, 해체에서 통합으로, 그리고 죽음욕동에서 삶욕동으로의 전환을 반영한다. ‘몸’ 갈래의 전기 작품에 나타나는 몸은 죽음/잠이나 불안을 투영하기도 하고, 자폐적인 상태로 무의식 세계를 유영하기도 한다. 해체적이고 그로테스크한 몸의 형식은 후기 작품에 이르러 점차 상승적이고 통합되는 형식으로 변모하며, 이는 해체와 재구성, 죽음과 삶의 대립과 변화를 내포한다. ‘꿈’에서 연구자는 눈을 감고 침잠하여 무의식의 세계를 유영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들을 작품에 투영한다. 무의 공간에 해체되어 나열되었던 육신은 이 갈래에서 하나의 인격체가 되어 움직이기 시작한다. 본 갈래의 작품은 실재와 환상이 병치되고 원근이 교란되는 특징을 가지며, 해체되고 재구성되는 시적 세계를 표현한다. 해체와 재구성은 연구자의 작품론을 관통하는 형식적 특징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상상과 변용의 몸을 통해 욕동적 성질을 반영하는 내부 세계를 탐구한다. 이를 통해 관람자 각 개인이 가진 세계의 모양을 그리고, 유영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포착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This paper is based on two-pronged works by the researcher that represent drive(trieb) through deconstructive and reconstructive images of the body.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surreal act of removing the epidermis of the body and burrowing it into the internal area. The following works include considerations of the body, area, unconsciousness, drive and dream in an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m,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themes of body, drive and dream, which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work. First, the body, which has become an important discourse in contemporary art, has been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Also it interacts or identifies with other areas in imagination.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internal area, which is the source of the imagination. In additi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work were analyzed based on the drive theory of Sigmund Freud(1856-1939)’s second phase. The nature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corresponds to each of Todestrieb and Lebenstrieb. These confrontational terms coincide with the form of the work. Additionally,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analysis of dreams that reflect drives reveals that the reproducing the contents of dreams and the automatism are in line with each other. Furthermore, the works of Hans Bellmer, Francis Bacon, and Gustav Klimt, which are related to the form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examined. The research consists of two branches: "Body" and "Dream." The subsequent thesis draws on changes in the time period from the work of the body theme to the work of the dream theme, which reflects the transition from death to life, from deconstruction to reconstruction, and from Todestrieb to Lebenstrieb. In "Body," the body in early works projects death/sleep or anxiety and the works represent swimming body through the unconscious world in an autistic state. The deconstructive and grotesque form of the body gradually transforms into an upward and integrated form in later works, which implies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death and life confrontation and transition. In "Dream," the researcher projects what she finds in the process of sinking and exploring in the unconscious world. The body, which had been dismantled and placed in the space of nothing before, begins to move as an organism in this works. This theme of work represents the poetic world in which reality and fantasy are juxtaposed, and the perspectives are disturbed, de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are formal features that penetrate the theory of the researcher's work. She studies the internal area that reflects the properties of drive via the body of imagina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 this process, it is meaningful to draw, explore, and capture new possibilities in the shape of the world each viewer experiences.

      •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심예지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 대학원생이 초심 미술치료사이자 연구자로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을 완료한 졸업예정자 또는, 현재로부터 3년 이내의 졸업자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최종 6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연구참여자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 될 때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을 통해 25개의 하위 주제와 8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본질적 주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논문을 쓰고자 하는 의지를 갖게 됨>, <연구방법과 대상을 구하는 과정에서 좌절을 느낌>, <어려움을 맞서기 위한 도움을 구함>, <고민하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소진과 성장을 경험함>, <논문 완성에 대한 부담과 압박이 책임감과 자신감으로 변화함>, <미술치료의 정체성에 확신을 가짐>, <인고의 과정을 겪어 만들어 낸 결과물에 성취감을 얻음>, <미술치료라는 학문을 깊이 있게 배우며 더욱 발전하고자 함>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의 동기는 졸업과 박사과정 진학을 위한 외적 동기 외에도, 개인적 성장과 미술치료학의 발전에 기여를 위한 내적인 동기로 논문작성을 시작한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논문작성 경험은 인간에 대해 총체적 이해와 심리적 개념을 탐구하며 내담자를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태도를 형성한다. 이 경험은 미술치료사로 자신의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석사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으로 연구를 실제에 적용하는 법을 익히고, 연구자적 태도를 형성한다. 이 태도는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 석사학위 교육과정에서의 논문작성 경험은 보다 나은 미술치료 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논문을 작성하며 연구자 또는 치료사의 두 정체성을 구분 짓기보다는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겪으며 단지 논문작성 결과물에서 만의 성취감이 아닌 석사과정 전체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 다섯째, 논문작성의 결과물은 성취감과 더불어 자신감을 갖게 하고 지속적인 배움의 동기를 부여한다. 또한 석사학위과정에서 논문작성 경험은 후속연구를 이끌어 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는 미술치료학의 질적인 성장과 함께 전문분야로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연구의 수행 주체로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과정 대학원생이 배움의 주체이자 학문 후속세대로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와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 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체험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미술치료학 석사학위 논문작성에 관한 체험연구는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며 논문 작성 지도를 위한 교수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the experience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write a master's thesis as a beginner art therapist and researcher. As the in-depth interviews are the key research method to collect the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are recruited who are prospective graduates with their completed master’s thesis and the graduates in three years after their graduation in art therapy. The interview had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2020 to May 2021 until the data can saturate through the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derived twenty-five sub-themes and eight essential themes, based on the theory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The essential themes from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re as follows: <Becoming motivated to write a thesis>, <Feeling frustrated in process of finding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Seeking help in confronting difficulties>, <Experiencing exhaustion and growth in the process of agonizing and exploring>, <The burden and pressure of completing the thesis transforms into responsibility and confidence>, <Acquiring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the process of suffering>, <Being confident in the identity of art therapy>, <Being develop further by learning the study of art therapy in depth.>.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summarize into five subjects. First, the thesis study begins not only with external motivation for the graduation degree and to the futher doctoral studies but also with internal motivation for their personal growth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to the theory of art therapy from their first motivation of personal experience of the heals in art therapy. Second, writing papers in art therapy explores the holistic understanding and psychological concepts of human beings and forms an attitude of art therapists toward the client. This experience helps to solidify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Third, knowing how to apply the studies in practice from writing a thesis experience in master coursework and making the researcher’s attitude. This attitude then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searcher’s identity. Fourth, the experience also helps ones to grow into a better expert in art therapy. It goes through a process of integration in between as a researcher and a therapist rather than separating into two different fields. Thus it makes to feel the success not only from the result in one’s thesis but also from the master coursework itself. Lastly, the master’s thesis gives a sense of achievement as well as one’s confidence and makes motivation for constant learning. In addition, this experience helps to bring out the follow-up research, and it will attribute the field of art therapy to qualitative growth and will contribute to firm up into specialties. This study places significance on that one graduate student in art therapy has experienced the process to grow up as the next research generation and a professional art therapist. Furthermore, this research basis on the master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thesis writing helps to understand them in their perspectives and provide a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to guide these writing.

      • 2009 개정 3˜4학년군 과학과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목표 반영도 분석 및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 개발

        심예지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교 교육에서의 평가는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목표의 달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그 핵심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3~4학년의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을 교육과정의 목표 반영 여부와 비교해 본 결과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에서 비교적 반영도가 적었던 영역인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 사용한 목표 분류 틀은 2009 개정 교육과정 과학 학습 평가 영역틀이며 문항개발에 사용한 방법은 리커트식 척도법, 체크리스트법, 의미분석법, 서술형 평가 방법이다. 문항의 신뢰도는 재검사 신뢰도, 채점자간 일치도로 검증하였고 타당도는 안면 타당도와 공인 타탕도로 검증하였다. 첫째, 목표 분류 틀에 의해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목표와 학습목표, 평가 문항 목표 사이의 일관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상의 목표와 실제 지도서, 교과서에 나와 있는 학습목표 및 평가 문항 목표 사이에 심각한 불균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 1학기에서 학습목표의 과학 관련 태도 영역, 과학 탐구 능력 영역, 과학 지식 영역별 불균형이 가장 심했던 분야는 에너지 분야였다. 둘째, 교육과정 목표를 수업활동에 충실히 반영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3~4학년군 1학기 에너지 분야에서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였다. 첫 번째는 리커트식 척도와 의미분석법을 활용해 자기 평가를 실시하고, 같은 항목에 대하여 체크리스트법으로 상호 평가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향적인 학생의 경우 자기 평가와 상호 평가의 일치도가 높게 나왔고, 내향적인 학생의 경우 자기 평가와 상호 평가의 일치도가 낮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는 약 45% 비율로 일치했다. 따라서 3~4학년의 경우 관찰평가의 신뢰도가 높지 않다는 결과가 나왔다. 두 번째 유형으로 과학적 태도 중 창의성, 비판성, 계속성 등을 측정하는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고 답안을 유형화하고 점수화 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기존의 정성적인 관찰평가에 비해서 정량화 할 수 있는 태도 평가지를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의 변화를 비교하는데 유용하고 태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 관련 태도 영역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태도 평가지의 활용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 검증이 필요하다.

      •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동기분위기와 기본심리욕구가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동기분위기와 기본심리욕구, 운동몰입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여 청소년 골프선수들의 최상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대한체육회 산하기관에 등록된 청소년 골프선수 4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동기분위기, 기본심리욕구, 운동몰입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 후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검증한 후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𝑡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관계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 분석 방법을 통해 도출한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골프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동기분위기와 기본심리욕구에서 남녀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몰입에서 입상경력 유/무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님 경기 동행 횟수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운동몰입에서 부모님 경기 동행 횟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과 관여하는 부모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기본심리욕구와 운동몰입에서 성별과 관여하는 부모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운동경력과 입상경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운동몰입에서 운동경력과 입상경력의 상호작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모동기분위기 중 배움-즐거움은 기본심리욕구와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걱정-유발은 기본심리욕구와 운동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노력없는 성공은 기본심리욕구 중 자율성에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는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숙련 및 경쟁부모동기분위기, 기본심리욕구, 운동몰입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숙련부모동기분위기는 기본심리욕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본심리욕구 역시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쟁부모동기분위기는 기본심리욕구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숙련 및 경쟁부모동기분위기는 각각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동기분위기와 기본심리욕구, 운동몰입의 구조관계를 검증한 결과,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한 숙련부모동기분위기와 경쟁부모동기분위기가 운동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기본심리욕구를 통해 운동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 ship between adolescent golf athletes’ perception in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peak performance of adolescent athletes. A total of 429 adolescent golf athletes completed the survey for this study. After carefully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𝑡-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by the data analysis me-thods mentioned above are as the following : First of al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 golfers, there were significant di- fferences between the two genders in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as one observes the presence of an athlete's winn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parents accompany their child's game, the number affected the flow of an athlete. More specifically, depending on the gender, the interaction of parents with adolescent golfers significantly aff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Additionally, the interac- tion between an athlete's career and winning experience had a nota- ble impact on flow.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As a result, learning-enjoyment among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On the other hand, worry-conducive among parent-initiated motiva- tional climate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success without an effort affected one's autonomy negatively only from basic psycho- logical needs. Also,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d flow positively. Among task and performance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task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Moreover,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ed positively on flow. However, per- formance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negatively influenced basic psychological needs. Meanwhile, task and performance parent- 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on flow. Ultimately, after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flow, task and performance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did not directly affect flow. However, the flow was affected indirectly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eque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proposed a future research direction.

      •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발병한 급성백혈병의 특성

        심예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발병하는 백혈병은 일반 소아에서 발병한 경우에 비하여 그 빈도가 높으며, 종류 및 예후도 다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발병한 백혈병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함으로써 나아가 유전 상담 및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부터 2008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백혈병으로 진단된 다운증후군 환아 13례를 대상으로 염색체의 핵형, 임상 양상, 검사 소견, 항암 치료 후의 결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 1988년부터 2008년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다운증후군으로 진단된 356례 중 13례에서 백혈병이 발병하였다. 그 중 일과성백혈병이 3례, 급성골수모구백혈병이 9례,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이 1례였다. 일과성백혈병은 남아가 2례, 여아가 1례였으며 모두 21 삼염색체의 다운증후군이었다. 진단일은 평균 4.3일째(1~8일)였고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5.5년(22일~6년)이었다. 3례 중 2례는 생후 16일째, 42일째 저절로 혈액 검사에서 모세포가 사라지고 혈구가 정상화되었으며 4년 이상 외래에서 추적 관찰한 결과 급성거핵모구백혈병은 발병하지 않았다. 나머지 1례는 진단 당시 흉막 삼출, 자궁내 성장 장애, 저산소 뇌병증, 방실중격결손, 간비장비대 및 황달이 관찰되었다. 저절로 회복된 2례에 비하여 백혈구 수치 및 모세포 비율이 높았고 추적 혈액 검사에서도 혈구 이상이 지속되었으며 심폐기능상실로 생후 22일째 사망하였다. 급성골수모구백혈병은 남아가 4례, 여아가 5례였다. 진단 당시 연령은 평균 2.3년(0.9~4.2년)이었으며 21번 삼염색체가 7례, 섞임증이 1례, 전위가 1례였다. M0가 1례, M2가 3례, M3가 2례, M7이 3례였다. 진단 당시 혈색소치는 평균 9.7g/dL(5.2~17.0g/dL), 백혈구 수는 평균 60.000/μL(4,000~171,000/μL), 혈소판 수는 평균 390,000/μL(8,000~2,160,000/μL)이었다. 말초 혈액의 모세포는 평균 48%(21~83%), 골수 흡인 검사에서 모세포는 평균 38%(15~82%)였다. 9례 중 M2 1례, M3 1례, M7 1례에서 보호자의 동의로 항암 요법을 시행할 수 있었으며 2례 모두 관해 유도를 위하여 daunorubicin, cytarabin, 6-thioguanine, intrathecal cytarabin을 이용하였으며 관해 유지를 위해 cytarabin, L-asparaginase, intrathecal cytarabin을 이용하였다. 그 후 완치되어 재발 없이 지내고 있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4.5년(2~7년)이다. 나머지 1례는 M7으로 남아였으며 진단시 연령이 4.2년이었다. Daunorubicin 및 cytarabin으로 관해 유도를 시작하였으나 치료 18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은 남아 1례로 21 삼염색체의 다운증후군이었다. 진단 당시 연령은 6년이었으며 말초 혈액 검사에서 혈색소치 5.0g/dL, 백혈구 수 240,000/μL, 혈소판 수 23,000/μL, 모세포 90%였으며 골수 흡인 검사 결과 모세포가 98%였다. Vincristine, prednisolone, L-asparaginase로 관해 유도를 시행하였으나 패혈증 및 폐렴으로 사망하였다. 결론 : 다운증후군에서 발병하는 백혈병은 일반 소아에 비하여 빈도가 높고 치료에 대한 반응도 달라 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과성백혈병의 경우 초기 사망과 급성거핵모구백혈병으로의 이환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운증후군 환아에서 발병한 급성골수모구백혈병과 급성림프모구백혈병에 대한 항암 치료 후 생존율과 합병증에 대한 대규모의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 Patients with Down syndrome have higher risk of developing leukemia, and they have unique subtypes and prognosis compare to non-Down syndrome patients. But there are few studies in Korea about characteristics of leukemia in Down syndrome patients. Methods : We reviewed karyotype of chromosome,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findings, leukemia subtypes, and survival rate after chemotherapy in 13 Down syndrome patients with leukemia from 1988 to 2008 in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Results : 13 patients developed acute leukemia including 3 transient leukemia, 9 acute myeloblastic leukemia, and 1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There were 2 boys and 1 girl in transient leukemia and their karyotypes were all 21 trisomies. Their mean age were 4.3 days (1 ~ 8 days), and mean follow up duration was 5.5 years (22 days ~ 6 years). Two of them were resolved spontaneously at ther age 16 days and 42 days respectively. And they did not develop acute megakaryoblastic leukemia over 4 years follow up duration. The other one showed pleural effusion, intrauterine growth retaration,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atrioventricular septal defect, hepatosplenomegaly and jaundice. He had higher WBC and blast count, and his abnormal cell counts were persistent until expired at his age 22 days. There were 9 acute myeloblastic leukemia patients (4 boys and 5 girls). and their karyotypes included 7 21 trisomies, 1 mosaicism and 1 translocation. Their mean age were 2.3 years (0.9 ~ 4.2 years). The subtypes were 1 M0, 3 M2, 2 M3, and 3 M7. Their mean Hb was 9.7g/dL(5.2~17.0g/dL), mean WBC count was 60.000/μL(4,000~171,000/μL), mean platelet count was 390,000/μL(8,000~2,160,000/μL), and mean blast was 48%(21~83%) in peripheral blood and 38%(15~82%) in bone marrow. Three of them were treated with chemotherapy. Two were cured with daunorubicin, cytarabin, 6-thioguanine, and intrathecal cytarabin in induction regimen and cytarabin, L-asparaginase and intrathecal cytarabin in maintenance. their mean follow up dates were 4.5 years (2 ~ 7 years) without relapse until now. And the other was expired during induction chemotherapy because of sepsis. There was 1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patient. The karyotypes was 21 trisomy and age at diagnosis was 6 years. Initial Hb was 5.0g/dL, WBC count was 240,000/μL, platelet count was 23,000/μL. The blast was 90% in peripheral blood and 98% in bone marrow. He was treated with vincristine, prednisolone, L-asparaginase in induction chemotheraoy but expired because of sepsis and pneumonia. Conclusion : It is important to study characteristics of leukemia in Down syndrome patients, because of their higher incidence and different response to chemotherapy compare to leukemia in non-Down syndrome patients.

      • 2i 조건에서 Jmjd2c와 Prdm14를 통한 생쥐배아줄기세포의 stemness 유지에 관한 연구

        심예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Mouse embryonic stem cells (ESCs) are commonly cultured in LIF/serum condition to maintain a naïve state for their self-renewal and pluripotency. The novel culture method using 2 inhibitors (2i), the Mek inhibitor and the Gsk3 inhibitor, with LIF could allow ESCs to go a naïve ground state [1]. However, how 2i maintain the ground state in ESCs remains unexplored. Here I provide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2i down-regulate DNA methylation through Jmjd2c and Prdm14. Mek1 directly associates with and phosphorylates Jmjd2c that is a histone H3K9me3- and H3K36me3-specific demethylase. Phosphorylated Jmjd2c by Mek1 undergoes a phosphorylation-dependent ubiquitination pathway. Therefore, Mek1 inhibition causes to increase Jmjd2c protein levels and decrease repressive H3K9me3 levels. Moreover, stabilizing Jmjd2c interacts with Tet1, which is a methyl-cytosine dioxygenase to function as a DNA demethylase, and activates DNA demethylation levels through a Tet1-mediated conversion from 5-mC to 5-hmC. Furthermore, Prdm14 containing a zinc finger SET domain is increased by 2 inhibition. Prdm14 has a methyltransferase activity toward Dnmt3a and Dnmt3b. Methylated Dnmt3a and Dnm3b by Prdm14 are significantly degraded through the methylation-dependent ubiquitination pathway. Thus, decreasing Dnmt3a and Dnmt3b levels by Prdm14 lead to the decrease of DNA methylation passively regardless of Tet1 activity. Collectively, 2i confer ESCs to maintain their ground state pluripotency through Jmjd2c and Prdm14. Jmjd2c and Prdm14 in 2i/LIF condition activates the expression of pluripotent genes through the demethylation of histone and DNA for maintaining the ground state.

      • Prognostic Value of the Posterior Cricoarytenoid Muscle Atrophy in Computerized Tomography scans for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Recovery

        심예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To evaluate a prognostic value of the posterior cricoarytenoid (PCA) muscle atrophy observed on neck computed tomography (CT) in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Study design: Retrospective cohort study Methods: CT images of 87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UVFP) were evaluated to identify the PCA muscle atrophy and to measure the severity of the PCA muscle atrophy in semi-quantitative manner. The grading of the PCA muscle atrophy was compared with the recruitment pattern of laryngeal electromyography (LEMG) and restoration of vocal fold movement. Results: The PCA muscle was identifiable on CT in 73 subjects. Using the PCA muscle atrophy as an indicator of UVFP, we correctly predicted the paralysis in 69 (94.5%). Grade of the PCA muscle atroph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cruitment pattern of LEMG. If the positive result is defined as the PCA muscle showed moderate to severe degree of atrophy, we could predict the persistent UVFP in 88% of patients.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CA muscle atrophy is possible prognostic factor of UVFP with high positive predictive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