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본어 습득에 미치는 학습자 심리유형의 영향에 관한 연구

        신은정 동덕여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Rather than comprehensively dealing with features of the cognitive and definitive learning processes of students,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tudies on learner factor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 dealt independently with the influence of specific factors that were believed to be related to language studies. However, because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dividuality of students interact in an organic relationship, rather than acting independently,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 language, it has been difficult to find a common trait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learners from studies that dealt independently with specific factors. In addition, the fact that student factor studies so far were unable to provide theoretical evidence, but instead focused on cognitive elements that are easy to observe and measure, overlooked the definitive features implicated within the student and were unable to consider the individuality of the cognitive system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us, it has been unable to provide sufficient evidence to explain the diversity of the process of acquiring a foreign language.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psychological features individually contained in students can in fact comprehensively explain the definitive and cognitive factors, and is also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a student-centered teaching theory by examining how these features influence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Japanese language. This paper is made up of six main parts. Chapter 1 explains the meaning and need for learner-oriented education and examines the features and categorization methods of its ensuing learner feature research. In chapter 2, preceding studies 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ere outlined by categorizing them as the learner’s cognitive factors, definitive factors and personality factors. In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t factors did not function independently for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ut had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reciprocal influence over each other. Chapter 3 describes the need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student factors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preceding studies. It also explains that the psychological type features of students provide useful concepts for explaining the cognitive system features of students and the interrelation of the different factors. In chapter 4, the correlation of the student’s psychological type, motivation to learn and preferred type of learning was examined in order to learn what kind of influence the student’s psychological type features have on learning Japanese. Results showed that that the form of learning preferred by students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sychological type features of the cognitive stage in which information is received. In chapter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strategy trends used cognitively by students and the psychological type features of student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in the event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tudent’s psychological behavior was sensual or intuitive, there was a clear tendency for using study strategies.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ing studying strategies depending on the features (extroverted or introverted) of concentrating their attention. In chapter 6, the correl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learner’s grammatical and conversational performance, and the psychological type features were examined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psychological type features of students that were advantageous in attaining higher performance for acquiring Japanese. Results showed that sensual functions and thought functions applied in favor of better performance in grammar. Through the results attained in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understanding the student psychology type features provide very useful information for not only predicting the student’s responses to various learning and teaching methods during the process of acquiring foreign languages, but also for presenting effective learning methods for different students in terms of promoting voluntary studying among students. 지금까지 제2언어습득연구에서 이루어져 온 학습자요인 연구는 학습자의 인지적이고 정의적인 학습과정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언어학습과 관련 있다고 생각되는 특정요인의 영향을 독립적으로 다루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학습자의 개별성과 관련된 요인들은 언어를 습득해 가는 과정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서로가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상호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특정요인만을 독립적으로 다룬 연구결과로부터 다양한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보편성을 발견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지금까지의 학습자요인 연구가 이론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보다는 관찰과 측정이 용이한 인지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정의적 특성의 역할을 간과하고 인지체계의 개별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지 못함으로 해서 외국어 습득과정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한 충분한 근거를 마련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에게 개별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심리유형적 특성이 학습자의 정의적이고 인지적인 요인의 상호관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개념임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이 일본어 습득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통해 학습자중심 교수이론 개발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본 논문은 크게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학습자중심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기술하고 그와 함께 대두된 학습자요인연구의 특성과 분류방법을 조사하였다. 제2장에서는 지금까지 제2언어습득 연구에서 이루어져 온 학습자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크게 학습자의 인지적요인, 정의적 요인 성격적 요인으로 나누어 개관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요인들이 제2언어 습득에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며 상호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선행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외국어를 교육하는데 있어 학습자요인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 것의 필요성을 기술하고 학습자의 심리유형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학습자의 인지체계의 특성과 각 요인들의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유용한 개념을 제공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제4장에서는 일본어 습득과정에 학습자의 심리유형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습자의 심리유형과 학습동기 및 선호하는 학습형태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형태가 정보를 받아들이는 인식단계의 심리유형적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5장에서는 학습자가 인지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전략의 경향과 학습자의 심리유형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심적태도의 주기능이 감각기능이거나 직관기능인 경우 학습전략 사용에 있어 뚜렷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학습자가 주의를 집중하는 특성(외향이나 내향)에 따라서도 학습전략 사용에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6장에서는 일본어 학습 성취도에 유리한 학습자의 심리유형적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본어 학습자의 문법 및 회화 성취도와 심리유형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감각기능이나 사고기능이 문법성취도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심리유형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외국어 습득과정에서의 다양한 학습형태와 교수법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할 뿐만이 아니라 교사가 학습자의 자율적인 학습을 유도하는데 있어서도 각각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법을 제시하는데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줌을 알 수 있었다. 外国語を習得するということは長い時間を必要とする連続性のあるものである。人は生涯にわたって様々な学習過程の中で自分とは異なるものの存在を認知し、それを理解するという過程を通じて成長していく。このように、外国語学習も異なる文化、異なる思想、新しい言語に対する経験を通して絶えず成長と淘汰を繰り返していく過程と言えよう。しかしながら、学習者が長期間にわたって、新しい情報を受け入れ、それに適応していく状況においても情報を認知して処理する心理的な特性は一貫性を持って働いているということに対する気づきがこの論文執筆の切っ掛けとなった。ところが、目に見えない学習者の心理を類推し、それを記述することは、まるで当てもなく砂漠を彷徨っているかのように長くて険しい旅のようであった。それゆえ、多くの先生方のご指導とご助言がなければ、この論文は一歩も踏み出せなかったに違いない。 本論文の執筆にあたっては、多くの先生方にご指導を賜った。 まず、指導教授の李徳奉先生に感謝を申し上げる。李徳奉先生には、論文の構想段階から最終稿までの長期にわたって綿密なご指導をいただいた。それだけではなく、学部の時から大学院まで、常に、成長の原動力となるご助言をくださった親のような存在である。李先生のご指導とお考えに触れながら、研究を含めたすべてのことに関して物事の本質や異面を掴むことの大切さを学んだ。 次に論文審査委員の先生方に感謝を申し上げる。まず、論文審査委員長を引き受けてくださった中央大学校の任栄哲先生には、論文の全体的な構成、表記法などに関して、詳しくご教示をいただいた。啓明大学校の洪珉杓先生には、内容記述上の問題点や表とグラフの書き方など、細部まで目を通していただき、論文の歪みを修正するに必要な方向性を提示していただいた。同徳女子大学の奥山先生には統計処理や用語の問題、表現の不備などに関するご指摘を頂き、本論文をより分かりやすくするための方法を提示していただいた。同じく同徳女子大学の金栄敏先生には論文の章立て、論理展開の問題点などを指摘して頂き、また、研究課題を明らかにするための方向性を提案していただいた。 論文審査委員の先生方以外にも多くの先生にお世話になった。 まず、お茶の水女子大学の森山新先生に感謝のお言葉を申し上げる。森山先生には本論文の執筆の初期段階で研究課題設定の歪みなどに関する指導を賜った。本研究の方向を決める過程において、多様な研究方法を接することができたのも、先生のおかげである。また、同徳女子大学校の金東秀先生、盧英姫先生、尹福姫先生、鄭昌石先生にも感謝を申し上げる。 研究そして研究以外のことで悩んでいた時にも、絶えず応援してくださった先生方の支えがなければ、論文は完成しなかったと思う。その他にも、鮮文大学校の安容柱先生、韓国外国語大学校の金漢植先生にも日ごろの愛顧に感謝を申し上げる。 それから、本論文は次の方のご協力をいただいた。まず、MBTI検査やアンケート調査に協力してくださった306名の同徳女子大学の日本語科学部生をはじめ金英淑先生、尹明鉉先生、金琁姫先生、李鉉沃先生、尹福姫先生、鄭昌石先生、金栄敏先生、学科事務室の鄭眞さんにも、この場をお借りしてもう一度感謝の意を表したいと思う。そして、最終稿の日本語表現を細部までチェックしてくださった佐野澄子さんにも心から感謝のお言葉を申し上げる。また、出産の直前まで私のためにこの論文を初期段階から最終稿まで何度も目を通し、意味の分からない部分や日本語の間違いを指摘及び訂正してくれた友人の金世恩さんには言葉で表現できないほど、感謝の気持ちでいっぱいである。それから、20年近く変わりない友情で、論文執筆の過程を見守ってくれた友達の盧世銀、鄭虎峻にも感謝の心を表したいと思う。 最後に、いつも支えになってくれた家族に感謝したい。両親の愛情がなければ、本論文は完成しなかったと思う。

      •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및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인식

        신은정 영남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M.S. Thesis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Sexual Issues and Their Perception of Artificial Abortion of Pregnancy Eun-Jung Shin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Enviro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Associate Professor Kyeong-Soo L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purpose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sexual issues and their perception of artificial abortion of pregnancy. The subjects were 480 first grade students from class 1, 3 and 5 in two general high schools and two vocational high schools. Their knowledge and attitude in relation to sexual issues and perception of artificial abor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n anonymous,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11. As for data analysis, SPSS ver 19.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a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t-tes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Of the total subjects, 83.0% received sex education and 60.1% had an experience of viewing pornography. There were no gender or school type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score. However, the knowledge score of students who had previously received sex education was 8.58±1.7 poi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who had not received such education(7.96±1.98 points). With respect to attitudes towards sex,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more open compared to their female counterparts in terms of sexual intercourse, use of contraception and prostitution, whereas female students were more open about homosexuality. About thirty-one percent of the male students supported 'banning of artificial abortion,'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17.9%) who supported the opin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exposure to sex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ile at the same time create an education system and environment that can reduce their encounter with pornography. Also,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to establish a repetitive and systematic education system within high schools to ensure accurate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in relation to sex issues among students. 요 약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지식, 성태도와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인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자는 대구지역에 소재한 일반계와 전문계 고등학교 각 2개 총 4개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중 1, 3, 5반 학생 480명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성지식, 성태도와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무기명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4월부터 2011년 5월까지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학생 중 성교육 경험은 83.0%, 음란물 경험은 60.1%였다. 성별, 계열에 따른 성지식 점수는 차이가 없었고, 성교육 경험 이수여부에 따른 성지식 점수는 교육 경험학생이 8.58±1.75점으로 미경험 학생의 7.96±1.98점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성에 대한 태도에서 성관계, 피임, 성매매에 대한 태도의 결과가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훨씬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동성애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훨씬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임신중절의 불허용’에 대해서는 남학생이 31.3%로 여학생의 17.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성교육 경험군에서 선천성 기형이 있는 경우에 인공임신중절 찬성률이 50.6%로 성교육 미경험군의 36.7%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고등학생들의 성교육 경험률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음란물을 접촉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과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정확한 성지식과 긍정적인 성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반복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중고등학교에서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 수술실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번들 적용이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에 미치는 영향

        신은정 울산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수술실은 응급의료센터와 중환자실에 비해 환경이 청결하고, 응급수술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완벽한 전 처치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중심정맥관을 삽입하는 경우가 많아 감염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수술실은 개방된 공간이 아니라서 감염관리 중재활동에 대한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관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수술실에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CLABSI)예방을 위한 중심정맥관 삽입 시 Bundle 적용이 CLABSI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수술실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Bundle 수행에 대한 전후 비교 실험연구이다. 수술실에서 중맥정맥관 삽입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심정맥관 삽입 시 번들 적용 전 83명, 중심정맥관 삽입 시 번들 적용 후 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Bundle의 내용은 중심정맥관 삽입 필요성 검토, 삽입부위로 대퇴정맥 피하기, 손위생, 최대방어주의 준수(멸균가운, 장갑, 모자 착용, 멸균 대방포 사용), 피부소독제로 0.5%초과 클로로헥시딘 알코올 사용이다. 결과: 중심정맥관 삽입 시 Bundle 이행도는 Bundle의 다섯 가지 항목을 모두 준수한 경우가 중재 전 7.2%에서 중재 후 72.9%로 증가하였다. 세부 항목별로는 최대방어주의 준수는 마스크, 모자 착용은 중재 전·후 각각 100%였으나 손위생은 95.2%에서 중재 후 98.6%으로, 멸균가운 착용은 중재 전 73.5%에서 중재 후 88.6%였으며, 전신을 덮는 멸균 대방포 사용은 중재 전 9.6%에서 중재 후 75.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중심정맥관 삽입 시 Bundle 중재 전 후 모두 CLABSI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수술실에서 중심정맥관 삽입 시 Bundle적용 결과 멸균가운의 착용과 멸균 대방포의 사용 이행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CLABSI 예방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단일기관에서 짧은 기간 동안 수행된 연구이고, 연구 대상의 병원 수술실에서는 중재 이전에 Bundle의 일부를 이미 적용하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 조부모손자녀세대의 가족기능과 손자녀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신은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Grandchildren-headed home is the one which consists of onl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due to parents' death, divorce or leaving home. Because a family is the first system that an individual belongs to, it affects very much on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no matter what kind of family structure they have. Bu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oken family's children are found not only in the case of the family's brokeness but in the case of variety of environment, and particularly they are affected from the family background as the first social system that every individual belongs to and newly formed family-function after their dissolution. From the point of view abov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Grandchildren-headed home's family- background and family-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oken-process(e.g., the factor, the period) and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of grandchildren-headed home that perceived by grandchildre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m. The objects of this thesis are 77 children from 11 to 16 years living under the parental care of their grandparents who are serviced by community welfare center in Taegu. I used FACESⅢ by Olsen(1985) and PAC by Olsen & Barnes(1982) as inventory in order to measure family-function, Self-Esteem Scale by Rosenberg(1965), CDI by Kovacs(1981) and STAI-Ⅱ by Spielberger(1970)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ajor finding are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population-sociological characteristics, family pattern of the grandchildren-headed home is the case that more grandchildren are raised by one side grandparents than both sides, and father's side than mother's. And these results coincide with some results preceding. As for the cause of grandchildren-headed home, parent's divorce occupies the most importance, most of them have been living with their grandparents for over five years. Secondly, compared with the average value of generative family using the same sclae, grandparents headed home's family function showed lower scores in both family-cohesion and family-flexibility, and their problem in family communication is that they are closed in family communication more than open. Also, there are high level of co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family communication. Thirdly, grandchildren's self-esteem average value is found as the same compared with that of generative family using the same scale. But depression and anxiety's average value are higher than generative family's. Fourthly, among grandparents headed home's family background, the gender, the age, the family-type, brother, meeting gamily and the religion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grandchildren's physical character. Self-esteem are lower(p<.01) and depression score are higher(p<.05) in over 10 years than under 10 years. And depression score are lower(p<.05) in grandparent's age of 65∼70 than age of under 65 or over 75, and as grandchildren percept poor, depression score are higher(p<.05). Fifthly, among grandparents headed home's family function, family-cohesion and family-flexivility, open in family communication, and problem in family communication are mostly significantly related to grandchildren'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High group of family-cohesion are higher self-esteem(p<.01), lower depression score(p<.01), lower anxiety score(p<.05), and high group of family-flexivility are higher self-esteem(p<.01), lower depression score(p<.05). And high group of open in family communication are lower depression score(p<.05), lower anxiety score(p<.001), low group of problem in family communication are higher self-esteem(p<.05), lower anxiety score and anxiety score(p<.001). The meaningful implication from the above result is as followings: First, among family function, joint of leisure and friend and joint of family event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grandchildren'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family event or culture-support program of a unit family centering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the effect of family-cohesion. And that is easy to approach. Secondly, in order to promotive open in family communication between grandparent and grandchildren, communication-training program is necessary. Thirdly, in order to lighten a load of fostering and carry out a role as sarrogate parent, as program of grandparent, organization of self-helf group and parent-role -training program are really necessary. Fourthly, grandparents headed home's grandchildren are nega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n generation family's children. So individual and group counselling are necessary in order to raise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anxiety. Sixthly, there is no yet official conception about grandparents headed home's in our country, so there is no basic statistical date as a scale. Therefore national survey of leading government is necessary about grandparents headed hom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separately protect as child headed family or single-parent family. Seventhly, because grandparent grow older and do not have enough economic ability, economic burden is serious to grandparents headed home. So economic support are really necessary as the cost of living or the cost of bringing.

      • LPL 효소의 PvuII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형 대사증후군 발병에 미치는 영향

        신은정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사증후군이란 인슐린 저항성(IR ; Insulin Resistance)을 중심원인으로 하여 중성지방이 높고 HDL(High Density Lipoprotein) 콜레스테롤이 낮은 이상지혈증과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병 등을 포함하는 질병으로, 심혈관계 죽상동맥경화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대사장애를 말한다. 이러한 대사증후군을 판단하는 5가지 진단 기준 중,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콜레스테롤 혈증이 판단기준에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미루어 짐작 할 수 있듯이 체내 지질 대사와 대사증후군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식이로부터 섭취된 지질을 소장에서 흡수하여 형성된 중성지방이 많은 chlomicron(CM)을 CM remnants로 형성하는데 관여하는 LPL (lipoprotein liapse)은 중성지방 분해효소 중의 하나로서 성숙 형태에서 44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것을 담당하고 있는 유전자는 10개의 exon과 9개의 intron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까지 알려진 LPL 유전자의 제한 효소 단편 다형성 중 PvuII는 intron 6 내에서 C→T transtition으로부터 다형성을 일으킨다고 밝혀졌다. 특히 PvuⅡ RFLP의 P(+) allele는 높은 중성지방 농도와 낮은 HDL콜레스테롤 농도와 관련되어 있고 최근에 LPL-PvuⅡ 다형성이 심혈관질환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L 중 PvuⅡ 다형성 유전자의 혈중 생화학적 수준과 영양소 섭취 양상을 바탕으로 지단백질 분해효소인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이 인슐린 저항성 인자를 포함한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에서 대사증후군(MetS)에 속한 그룹은 50.8%로 총 285명이 대사증후군에 포함되었다. 연령별 분포로는 50~59세에서 가장 높았고 대사증후군 진단 항목에 포함되는 5가지 위험요인의 빈도 분포에서는 높은 혈압(57.0%), 높은 공복혈당(51.3%), 높은 허리둘레(50.8%), 높은 중성지방(47.1%), 낮은 HDL-c(36.9%) 순으로 높았다.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일반특성은 공복 인슐린농도, HOMA-IR과 동맥경화예측 인자인 AI가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아디포넥틴의 경우 남성인 대사증후군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2.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의 빈도는 wild type인 P1P1 정상형이 11.3%, hetero type인 P1P2형이 43.9%, mutant type인 P2P2 변이형이 44.8% 이었다(P1 allele; 0.332, P2 allele; 0.668). 중국이나 일본과는 상대 빈도수가 비슷하였으나 카코시안에 비해서는 정상형이 적고 변이형이 많았다. 3. LPL 활성은 Non-MetS 그룹이 MetS 그룹 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대사증후군의 위험 요인 개수가 감소할수록 LPL 활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서는 P1P1 정상형, P1P2형, P2P2 변이형 순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 성별에 따라서 남성에서는 P1P1 정상형, P1P2형, P2P2 변이형 순으로 유의하게 LPL 활성이 낮아졌으나 여성에서는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 대사증후군 유무와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LPL 활성은 Non-MetS그룹이면서 P1P1 정상형을 가진 그룹에서 LPL 활성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MetS그룹이면서 P2P2 변이형을 가진 그룹에서 LPL 활성이 유의하게 가장 낮았다. 이와 같은 경향은 남성에서는 같았으나 여성에서는 대사증후군 내에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4.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3그룹별로 신체적 일반 특성과 혈중 생화학적 지표들의 특성을 살펴보았을 때 허리둘레는 P1P2형에서 유의하게 컸고 BMI와 공복혈당의 경우는 P2P2 변이형에서 유의하게 높았던 반면 HDL-c은 낮았다. 이러한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일반 특성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에서 P2P2 변이형에서 HDL-c이 유의하게 낮고 공복혈당과 AI(TG/HDL-c)은 높게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유무를 판별하는 5가지 위험 요인과 LPL PvuII 유전자 사이의 빈도를 교차분석 한 결과 고중성지방과 저HDL-콜레스테롤의 빈도는 P1P1 정상형에 비해 P1P2형과 P2P2 변이형에서 높았다. 남성에서는 저HDL-콜레스테롤은 P2P2 변이형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5. 대사증후군의 유무에 따라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 별로 비교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인 경우(MetS)에서 중성지방과 AI(TG/HDL-c)가 P2P2 변이형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P1P1 정상형은 HDL-c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대사증후군이 아닌 경우(Non-MetS)에서는 BMI, 중성지방, 인슐린 저항성 관련 인자인 HOMA-IR, 동맥경화 관련 인자 AI(TG/HDL-c, TC/HDL-c)가 P2P2 변이형과 P1P2형에서 P1P1 정상형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HDL-c은 유의하게 낮았다. 공복혈당은 P2P2 변이형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Non-MetS 그룹의 남성에서는 공복혈당이 P2P2 변이형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에서는 P1P2과 P2P2 변이형에서 체중, 허리둘레, BMI와 인슐린과 HOMA-IR이 유의하게 높고 아디포넥틴은 낮았다. 또한 P2P2 변이형에서는 HDL-c이 유의하게 낮았다. MetS 남성에서는 중성지방과 공복혈당이 P2P2 변이형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HDL-c과 이완기 혈압은 P1P1 정상형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6.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과 관계없이 LPL 활성은 허리둘레, BMI, 중성지방, 혈압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HDL-c과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 중 LPL 활성은 HDL-c과 logTG와의 상관분석에서 남성은 P1P2형과 P2P2 변이형에서 각각 유의한 양과 음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여성은 P1P2형에서 HDL-c과 양의 상관관계, P1P1 정상형에서 logTG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Non-MetS그룹에서는 유전자 다형성에 상관없이 유의하게 LPL 활성과 HDL-c 사이에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고 MetS그룹에서는 P1P2형에서만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logTG와는 대사증후군의 유무와 상관없이 모두 P1P1형과 P2P2형에서만 음의 상관성을 나타났다 (MetS- P1P1형; r²=0.138, MetS+ P1P1형; r²=0.178). 또한 영양소와의 상관관계에서 P1P1 정상형에서의 탄수화물의 섭취는 허리둘레와 수축기 혈압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HDL-c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7. 생화학 인자와 에너지 보정 영양소의 3분위수에 따라 PvuII 다형성이 대사증후군 위험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1P1+P1P2형에서는 인슐린 수치가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증가하고, 아디포넥틴과 LPL은 각각 5.02ng/ml 이상과 49.51ng/ml 이상에서 위험도가 1분위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졌다. 생활습관을 보정한 후에 LPL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아디포넥틴은 3분위수에서만 유의하게 위험도가 0.108배로 낮아졌다. P2P2형에서는 인슐린이 3분위수에서만 대사증후군 위험도가 유의하게 높아졌고 아디포넥틴과 LPL은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낮추었다. 그러나 생활습관을 보정한 후에 LPL은 2분위수에서 유의하게 0.359배로 낮아졌으나, 3분위수에서는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열량 보정한 영양소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도에서는 지질 섭취가 51.40g/d 이상인 P1P1+P1P2형에서만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2.149배 높았고 콜레스테롤 섭취는 P1P1+P1P2형에서 생활 습관 보정한 후에 10.95mg/d이하를 섭취하였을 때보다 10.96mg/d 이상을 섭취할수록 위험도가 높아졌으나 P2P2형에서는 섭취량에 따른 위험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으로 P1P1+P1P2형에서는 영양소의 섭취량과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2P2형에서는 영양소의 섭취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PL은 중성지방을 처리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효소로 LPL 활성도와 중성지방 농도 사이에 역상관 관계에 있고 HDL-c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LPL 활성도를 결정짓는 LPL PvuII 유전자 다형성은 LPL 활성을 낮추고 이에 따라 중성지방 과다와 저HDL-c이 나타났다. 또한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라 PvuII 유전자의 영향력이 달랐는데 대조군에서는 P2P2 변이형에서 지질 대사, 인슐린 저항성, 동맥경화 관련 인자의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고 대사증후군 내에서는 P2P2 변이형에서 중성지방이 높고 HDL-c이 유의하게 낮은 것 이외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성별에 따라서도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고중성지방과 저HDL-c은 각각 P2P2 변이형 남성, P1P2형 여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유전자와 대사증후군과의 위험요인과 함께 아마도 생활습관(당뇨, 알코올 소비, 흡연, 운동, 약물, 폐경, 호르몬 대체 요법) 등도 지질 대사에 관한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LPL PvuII 유전자의 intron에 있는 다형성을 가지고 분석하고 유전자와 질환과의 연관성을 관찰한 연구는 실제적으로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을 만들게 되는 exon 부분의 다형성과의 연관성을 관찰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전자의 이상과 단백질 기능과의 연관성을 직접적으로 관찰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들은 mRNA의 turnover와 성숙, 그것의 사이즈, translatability, 단백질 생산물 형태의 수와 특성(nature)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대사증후군을 유발하는 SNP 발견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이 나타날 위험이 높은 사람을 미리 가려 약물이나 생활습관 변화를 유도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Metabolic syndrome(MetS) revolves around the management of a cluster of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dyslipidaemia(high TG, low HDL-c) and obesity. Me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reported to facing 'serious situation' that more than 30 percent of children has contraction of a MetS. Prevalence of MetS relevant to the effect of lipid metabolism, lipoprotein lipase(LPL) of which, is a key enzyme in the metabolism of serum triglyceride (TG) which is utilized in the peripheral tissue as free fatty acid and stored in adipose tissue. LPL gene consists of 10 exons which encode 475 amino acids and more than 9 intron of LPL gene polymorphisms have been reported. The LPL Pvu II polymorphism is caused by a C^(497)-T(CAG CTG→TAG CTG) transition within a PvuII site of intron 6. LPL gene polymorphism is related to lipids level and the severity of atherosclerosis in coronary artery disease. To clarify the characteristeics of LPL activity in MetS, 560 Korean subjects were stud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etS and LPL mass and compare with LPL PvuII genoty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incidences of LPL gene polymorphism and it's relationship with blood lipids level and the prevalence of MetS. 1. MetS prevalence was 50.8%. Maximum prevalence was in the 50?59 age group and the separate frequency of the five MetS risk factors prevalent i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high hypertension(57.0%), high fasting blood glucose(51.3%), high waist(50.8%), high TG(47.1%), low HDL cholesterol(36.9%). 2. The frequencies of LPL PvuII genotype were P1P1 type 11%, P1P2 type 43.9% and P2P2 type 44.8%. The frequencies of variant types of LPL found in this study was statistically identical to other Korean population studies and Japanese population studies. However the frequencies of PvuII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aucasian population studies. 3. The relationships between LPL gene PvuII genotypes and anthropometry, lipid parameters, insulin resistance related profile are as follow. P1P2 genotype was a significantly higher waist circumference(WC).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FBS between the PvuII genotypes where the highest level was observed in P2P2. The data were also analyzed separately in both genders. In men, FBS and AI(TG/HDL-c) were higher and HDL-c lower in P2P2 genotype. In comparison, women were higher insulin, HOMA-IR and lower adiponection as well as higher WC, BMI, FBS, AI(LDL/HDL-c, TC/HDL-c) in P1P2 genotype. 4. In the Non-MetS group, P1P2 and P2P2 genotype were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BMI, TG, HOMA-IR, AI(TG/HDL-c, TC/HDL-c) and lower HDL-c. MetS group was higher TG, TG/HDL-c in P2P2 genotype. Also HDL-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DBP) was higher in P1P1 genotype. In MetS men, P2P2 genotype had higher TG and FBS level. 5. LPL activity was lower in cases of MetS.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s of MetS and the level of LPL activity. The mean levels of LPL acitiv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number of MetS. In LPL PvuII getnotype, the order of P1P1, P1P2, P2P2 genotype gradually decrease. 6. LPL activity and WC, BMI, TG and BP correlated negatively in all LPL PvuII genotype and positively with HDL-c. From among these, men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respectively positive, negative correlation with HDL-c, logTG in P1P2, P2P2 genotype. Women correlated positively HDL-c in P1P2 genotype and negatively logTG in P1P1 genotype. LPL that catalyzed the hydrolysis of triglycerides in the blood. The LPL activ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G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DL-c. The catabolism of VLDL and chylomicrons by LPL results in formation of IDL and chylomicron remnants(CRs), which are both depleted of triglyceride and enriched in cholestryl esters(CEs). The latter is mediated via CE transfer protein, which transfers CE from HDL-c and LDL-c to triglyceride-rich particles in exchange for triglycerides. On further lipolysis, IDL-c becomes LDL-c. Apart from its lipolytic function, LPL binds to and travels with CR to the liver. In liver, hepatic lipase also acts on the triglycerides in triglyceride- enriched HDL-c and LDL-c. Dysfunctional LPL could therefore affect lipoproteins by a variety of mechanisms. In genetic epidemiological studies like the present one, the effects of genetic polymorphisms on. Gene analysis showed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ng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mutations. But Intron gene polymorphisms like LPL PvuII do not affect phenotype characteristic of the mature protein, but they could affect the muaturation and turnover of mRNA, its size, translatability, and the nature and number of the protein products formed. This could explain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ffect of the LPL PvuII genotype on HDL, TG. In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genetic variation in LPL PvuII genotype plays a role in interindividual differences in LPL acitivity concentration and in the risk of MetS.

      •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BTL광고의 유형별 활용방안 연구

        신은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문화 미술교육은 2000년대 초·중반에 등장한 미술교육 패러다임으로, 한국 미술교육계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시각문화 환경에 대한 영역이 신설되고, 관련 학문적·이론적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의미와 내용, 방법이 일부분에 치우쳐 적용됨으로써 교수-학습 실제에 있어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대중매체와 영상매체, 디지털 매체에 초점을 맞춘 내용구성, 비평과 감상활동에 치중한 교수-학습 활동이 바로 우리나라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일반적인 미술교육과의 간극이 발생하게 되었고, 교육 현장에의 적용과 원활한 운영에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접근과 실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전환하고 관련 이론과 내용, 방법, 특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주요 내용을 포함하면서도 기존의 미술교육의 내용과 방법적 특성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로써 시각문화 한 영역이자 광고미술의 한 분야인 BTL광고의 교육적 가능성을 고찰하고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BTL광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Ⅱ장에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정의, 등장배경, 특징, 내용에 관한 학문적·이론적 탐색을 기반으로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콘텐츠로써 BTL광고 영역을 소개하고 관련 문헌,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BTL광고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도모하고,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있어 교육적 의의와 가치, 활용 가능성의 근거를 탐색하였다. Ⅳ장에서는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시각문화와 BTL광고, 미술교육과 BTL광고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BTL광고의 교육적 가능성과 시각문화 미술교육에서 BTL광고의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육적 가능성과 기대효과를 충분히 살릴 수 있는 활용방안으로, BTL광고 유형의 범주별, 단계별 분류, 학년 군별 내용 체계에 근거하여 초·중·고등학교 각 단계에 적합한 BTL광고 유형별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활용방법의 세부내용을 미술과 교육과정의 일반적 내용체계인 미적체험-표현-감상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내용 및 특성과 미술교과에서 일반적인 목표와 방향을 포용하는 BTL광고의 특성과 각 유형별 공통점과 형태, 매체, 공간 속성 등의 변화, 심화를 고려한 BTL광고의 유형별 활용방안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로 이어지는 순차적이고 심화적인 교수-학습 내용의 구성 및 전개가 가능하다. 둘째, 미적체험-표현-감상과 순수미술-대중미술-응용미술의 통합적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 발달단계, 능력을 고려한 창의적 표현활동의 전개가 가능하다. 넷째, 학습자의 실생활과 관련된 대상,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미술교과의 내용 측면, 방법측면의 양적․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BTL광고를 통한 이미지 제작, 이미지 감상, 이미지 비평 활동을 통해서 광고영역과 더불어 시각문화 일반을 폭넓게 체험하고 이해, 판단하는 데 필요한 시각적 문해력과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있어 BTL광고의 유형별 활용방안은 시각문화 미술교육에 대한 기존의 제한적․편향적인 접근 및 실제에서 벗어나 내용 및 방법, 매체 등의 범주를 좀 더 폭 넓고 깊이 있게 확장하고 교수-학습의 실제에 있어서도 다각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양적·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BTL광고’영역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교육적 관심을 고무시킬 수 있기를 바라며,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교수-학습 실제에 있어 보다 원활한 적용과 운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신은정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미술치료사라는 직업이 유망직종의 하나로 떠오르면서 미술치료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미술치료사는 직업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직업’은 우리 삶에 있어서 의미가 있으며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미술치료사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명확할수록 미술치료사로서 살아가겠다는 의지가 강해질 것이다(Orkibi, 2010).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들이 정체성을 세워나가는 과정의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그것이 가지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5~10년 이상의 미술치료 임상경험이 있는 30대~50대의 여성미술치료사 5명이다. 2015년 9월~2015년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면담은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과 메모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회 면담은 120~160분 정도 소요되었으며 녹음된 면담 자료는 연구자가 그대로 필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Moustakas의 질적 분석 단계에 따라 연구자와 동료 미술치료사 2인과 면담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의미단위와 체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미술치료사가 되어가는 과정과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에 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사의 길로 들어서다>, <미술치료사의 삶에 매료되다>, <배움의 길을 걸어가다>, <미술치료사로서의 고단한 삶을 살아가다>, <그럼에도 나는 미술치료사로 살아가고 싶다> 로 5개의 본질적 주제 밑에 11개의 주제와 22개의 의미단위로 범주화 하였다. 첫째, 미술치료사들은 다양한 전공과 직업들을 가지고 있었고 기존의 직업이나 상황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가운데 미술치료를 접하면서 자신과 꼭 맞는 옷을 입은 것과 같이 운명으로 느낀다. 둘째, 다른 사람을 돕고 쉽고 삶의 돌파구를 위해서 시작한 미술치료였지만 미술치료를 알면 알수록 그림이 주는 강력한 메시지와 함께 미술치료사가 먼저 치료의 효과를 경험하면서 미술치료가 주는 매력에 빠지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는 사람의 심리를 다루는 전문적인 분야이므로 전문적인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해 학위과정과 전문적인 워크숍을 통해 이론을 습득하며 임상실습을 통한 수련의 길을 걸어가고 있다. 넷째,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이나 제도적인 문제로 인하여 수퍼바이저가 있는 임상실습기관에서 수련을 받기가 어렵고, 미술치료사가 된 후에도 임상현장의 열악한 환경과 미술치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미술치료사들은 전문적인 직업인으로서 인정을 받지 못하고 좌절을 경험하고 있다. 다섯째,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미술치료사들은 내담자가 변화되고 성장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치료사로서의 보람과 만족감을 느끼며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된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미술치료사로서 삶을 살펴봄으로써 미술치료사들이 겪을 수 있는 정체성 형성에 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며 앞으로 미술치료사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조선시대 의녀제도의 교육적 의미

        신은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선의 의녀제도를 면밀히 연구하여 당시 의녀제도의 설립이유, 의녀교육 및 활동을 살펴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왕실에서 이루어진 의녀활동을 보기 위해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등의 관찬사료를 참고하였고 궁 밖에서 이루어진 의료 활동을 파악하기 위해 『미암일기』, 『이재난고』 등의 일기류와 비석문등을 참고하였다. 서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의녀제도에 대한 연구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연구물들은 의녀제도의 성립배경을 남녀차별적 관습이나 내외법에서 찾고 있었으며 의녀의 기녀화에 필요이상의 의미를 두어 의녀제도의 문제점으로 삼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녀제도의 설립 배경을 연구하여 의녀제도의 설립이유를 다시 밝히고 의녀의 양성과 활동을 연구하여 의녀의 기녀화라는 오명을 벗기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의녀제도의 교육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의녀제도의 설립배경을 연구한 결과 민본정치 입각한 애민정신과 남녀를 동등하게 바라본 시각에서 남녀의 분별을 공고히 하기위해서 의녀제도를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의녀의 교육은 국가차원에서 의술을 가르쳐 장차 공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삼았다. 8∼13세가량 되는 어린 관비를 뽑았기 때문에 이들에게 우선 한자교육을 실시했고, 이후 『사서』 등을 배우며 의녀가 되기 위한 심성을 길렀다. 교육내용으로는 의학서적인 방서(方書)와 실습에 해당하는 내용인 진맥(診脈)·명약(名藥)·점혈(點穴) 등이 있었다. 의녀의 교육내용을 요약하자면 ‘강맥집침(講脈執針:맥을 읽고 침을 잡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의녀는 임금의 관심 속에서 교육받았다. 의녀는 의술에 정통한 훈도관이나 내의(內醫)에게 직접 교육받았다. 때로는 의술을 가진 일반인이나 천민에게서도 배울 점이 있다면 그들을 교수로 삼고 배우기도 하였다. 의녀들은 의서의 이해정도를 고강(考講)하거나 진맥(診脈)과 명약(命藥), 점혈(點穴)을 직접 해 보임으로써 시험받았다. 이것은 구술평가, 절대평가, 실기평가, 상대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평가됨을 뜻한다. 이 때 점수가 높은 자에게는 월급의 혜택이, 점수가 낮은 자에게는 다모(茶母)로 강등되거나 봉족을 빼앗는 등 신변상의 벌이 주어졌다. 의녀 교육을 통해 전문적 지식을 획득하게 된 의녀는 문해능력과 의술을 겸비한 재원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그들의 활동은 의료 활동과 비의료 활동을 넘나드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를 의료인으로서 활동, 후자를 국가소속 노비로서의 활동으로 나누어 설명 하였다. 의녀의 의료활동은 다시 간호활동, 진찰활동, 치료활동, 명약‧제약활동, 조산‧산후관리활동, 간심활동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간호활동은 의녀가 가장 많이 수행한 활동이라 추측되나 기록상에 많이 전하여 지지는 않는다. 진찰활동은 의녀의 대표적 의료 활동으로 의녀의 진맥기록은 구두보고나 증록(症錄)을 통해 의관들에게 전달되어 향후 쓸 약이나 치료를 결정하게 했다. 의녀는 부인들의 환부에 직접 손을 대야하는 뜸이나 침치료도 했다. 이 때, 의관과 혈자리를 상의하여 침을 놓거나 스스로의 판단으로 침을 놓았다. 명약활동을 통하여 의녀는 쓸 약을 정하거나 현재 쓰고 있는 약의 지속여부를 논의하였다. 또한 약에 관한 지식을 이용하여 제약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조산(助産) 및 산후관리는 의녀의 필요성이 가장 큰 분야로서 의녀는 분만을 위한 의료관청인 산실청(産室廳)이나 호산청(護産廳)에서 직접 분만과정에 참여하였다. 간심(看審)활동은 의녀는 의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사람의 신체 등을 자세히 살피는 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의녀의 의료활동은 궁내·외를 가리지 않고 이루어졌으며 궁 밖에서는 의녀의 주도적인 활동이 더욱 두드러졌다. 국가 소속 노비로서 의녀는 국가의 행사나 필요에 의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의녀는 글이나 재주를 가르치는 일을 하기도 하였다. 왕실 행사에서 의장(儀仗)을 받드는 일, 연회참석, 사신접대의 일에 동원되기도 했으나 모두 기녀를 쓸 형편이 못되었을 때 차선책으로 의녀가 투입된 것이었다. 따라서 기녀의 업무를 의녀가 대신 맡은 적이 있었다는 것을 근거로 의녀가 기녀화 되었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의녀는 그들의 업무상 공로를 인정받아 매년 쌀과 봉족 등을 지급받았고 특별포상으로서 음식, 포 등을 하사 받기도 하였다. 이 중 가장 큰 포상은 면천의 상이었는데 『승정원일기』의 기록에 의하면 26회의 면천의 상을 받음을 알 수 있고 이 모두 의녀의 의료 활동상 공로에 따른 것이었다. 조선조의 의녀제도는 여러 가지 면에서 교육적 의미를 가진다. 의녀제도는 국가의 교육시스템을 통하여 여성 전문 인력을 양성했다는 점에서 첫 번째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두 번째 교육적 의미는 의녀가 공적업무를 수행하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여성이 되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세 번째 교육적 의미는 천인이 교육적 성장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지위집단으로 옮겨가는 것이 가능했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조선시대 임금과 신하의 애민정신으로 탄생한 의녀는 교육을 통하여 전문 의료인으로 성장하였으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