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뉴타운과 재개발사업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송현정 동의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뉴타운사업과 재개발 사업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뉴타운사업과 재개발사업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197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 과정에서 건축법⋅주택건설촉진법 등의 뒷받침을 통하여 대량으로 공급되었던 공동주택들이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노후⋅불량화 되었다. 이에 2003년 7월1일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으로 통폐합하면서 정비사업을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 재건축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으로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재개발사업은 이와 같이 제도적으로는 많이 발전하였으나 실제 시행과정에서는 아직도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사업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재개발사업은 도시계획적 문제에 따른 난개발발생, 원주민 재입주율 저하, 사업추진의 지연, 주민참여의 결여, 공공부문의 지원 부족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어 사업시행에 있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업의 일관성 및 선계획 - 후개발에 입각한 도시관리를 도모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주거⋅환경⋅교육을 동시에 해결하고 지역균형발전 지원을 위한 뉴타운(재정비촉진사업)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뉴타운사업과 재개발사업을 사업방식 차이성 검토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사업의 정의 및 주요용어들과 시행방식, 구역의 유형, 구역지정, 계획수립절차, 비용부담 및 사업지원, 계획특성 및 계획수단 등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사업시행방식 비교⋅분석이다. 뉴타운사업은 도정법에서 정하고 있는 4가지 사업방식인 재개발사업, 재건축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도시환경정비사업 등과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재래시장육성법에 의한 시장정비사업 등 7가지의 사업방식 중 각 구역마다 그 구역의 실정에 맞는 사업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그러나 재개발사업방식은 뉴타운사업방식에 포함되는 방법으로 구역에 맞는 실정을 대표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구역유형 및 지정규모이다. 재개발사업은 유형이나 지정규모에 있어 법적제한이 없지만, 뉴타운사업의 경우 중심지형 20만㎡ 주거지형 50만㎡이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부산시 뉴타운 구역현황에서 충무뉴타운에서 정비사업예정구역이 11곳, 서⋅금사뉴타운 4곳, 진구뉴타운 8곳, 영도뉴타운 3곳으로 뉴타운계획에 의한 구역면적이 재개발사업방식의 구역면적보다 넓게 지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구역지정 및 계획수립절차이다. 뉴타운사업은 선계획 - 후시행에 의해 촉진구역으로 지정되면 먼저 사업계획에 의해 토지이용과 사업방식 등이 정해지면 이후 결정된 사업방식에 의해 개별법의 절차를 따르게 된다. 반면에 재개발사업은 처음 지구지정과 계획입안으로부터 사업시행까지 전체적으로 도정법이 적용을 받게 된다. 뉴타운과 재개발사업방식은 개별법의 절차에서는 같은 절차를 거치므로 법적⋅행정적 절차를 간소화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비용부담 및 사업지원이다. 뉴타운사업과 재개발사업 모두 사업시행자 부담원칙이지만 사업지원측면에서 뉴타운사업은 시와 각 구청의 의지가 크다 그래서 시나 구청이 보유하고 있는 국⋅공유지의 무상지원이나 또는 도로 등의 기반시설 설치 등의 지원을 인해 재개발 사업보다는 뉴타운사업의 진행시 주민들에게 더 좋은 환경의 사업방식이 될 거라 기대가 된다. 다섯째, 계획특성 및 계획수단이다. 계획의 특성 상 뉴타운사업은 사업단위가 광역적개발이기 때문에 광역적 기반시설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사업성격은 공공성과 사업성 모두 가지고 있으며 사업성 결정요인으로 수준 높은 주거환경과 사업기간 단축효과가 있다. 그러나 재개발사업은 단위 블록 개발로서 광역적 기반시설 설치가 어려우며 국지적 난개발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성격은 사업성 중심이며 사업성결정요인은 용적률이고 사업기간 단축효과가 없으며 기본계획과 사업계획이 분리 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뉴타운사업, 재개발사업의 이러한 다섯까지의 비교⋅분석에서 기반시설부담으로 인한 용적률 상승이 예상되고, 비용부담과 사업지원측면에서 유리하며, 사업진행에 있어 광역적이며 사업기간의 단축효과가 있는 뉴타운사업이 재개발상업보다 유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중학교 학교급식의 식당과 교실 배식의 비교 연구 : 급식장소별 학생만족도 및 환경위생면, 잔반비교 중심으로

        송현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교 급식에 있어 양적으로 많은 성장을 거듭해왔으나, 질적인 면에 있어서는 아직도 부족한 부분이 많으며, 특별히 학교급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급식환경에 관한 연구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교급식의 급식장소별 학생 급식만족도와 환경 위생적 특성, 장소별 잔반 측정을 통해 급식장소별 만족도와 학교급식의 보다나은 환경개선점을 모색하여 급식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영역으로, 중학생의 급식장소(식당, 교실)에 따른 급식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1학년 학생 중심으로 급식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는 선행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영역으로, 환경위생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급식장소별 3개 구역(출입구, 배식대, 식사테이블)의 낙하균(일반세균)을 측정하였고, 3M Petriplate Film을 이용하여 해당 구역에 15분간 노출 후 32℃에서 48시간 배양 후 형성된 세균수를 계수하였다. 세 번째 연구영역으로, 급식장소별 잔반 측정에서는 2주간 급식 후 잔반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Even middle school meals have largely enhanced in quantity but nevertheless the quality of them is in fact not enough to reach a satisfactory standard, and especially in the aspect of studies on the environment of school meals, it is true that there seems to have little attention of it. In this study, satisfaction degree that students actually feel of their school lunch and its environmental and sanitary condition in middle schools is researched and through measurement of leftover food in each school, some measures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school feeding and increase satisfaction for it are sought. Firs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degree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ir dining places (school cafeteria, classroom), questionnaire was sent out to most 14-year-ol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survey was made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Second, for the study on environmental and sanitary condition of school lunch facilities, dropping bacteria (general bacteria) are measured in three parts of dining places(entrance, food-distributing table, table) and 3M Petriplate was exposed to the responsible places for 15 minutes and then cultivated at the temperature of 32℃ for 48 hours before counting the number of bacteria formed. Third, leftover food was measured and compared after a two-week feeding.

      • 조직 내 갈등이 조직 구성원의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서조절양식을 중심으로

        송현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tas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focuses on regul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Even though a few research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on the issue of conflict in the past, were rarely executed. Conflict management behavior was remarked frequently as a regulation variable between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receding studies. However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emotional regulation style due to the recent conflict study investigated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conflict. This study was surveyed from 265 office workers, for about a month. The data was used for empirical to prove the initial hypothesis of this study. As a result, both task conflict and relational conflict not only negatively effected on task performance but also showed identical resul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sides problem-focused reg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task performance while emotion-focused regul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conflic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of sugg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control factor. In spite of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several limitations. This study simplifies the relationship among conflict,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we can’t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nflict on emotional regulation style concretely. To conclude, further studies on this thesis are necessarily required to develop the theory on the co-relationship among conflict, emo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과 글로벌 기업들의 출현은 조직의 경쟁 시장을 국내에 국한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급속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해야 한다. 조직은 작은 단위의 수평적 구조로 바뀌고 있고, 이에 조직 구성원들간 교류의 빈도와 강도는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직장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끊임없이 부딪히면서 생활한다. 이런 과정에서 조직 구성원들간의 갈등을 필연적인 것이다. 최근 갈등과 정서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밝혀지고 있다. 갈등으로 유발된 정서는 조직 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조직 유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정 정서는 최소화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정서적 고통은 줄이고, 적응 기능은 극대화 시키기 위한 정서 조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따라 조직 전체의 성과가 좌우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갈등과 수행 및 태도에 대한 조절변인으로 갈등관리 행동이 대부분 제시되었는데, 이는 갈등상황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개인의 인지적, 정서적인 역동에 대한 고찰 없이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 차원에서만 접근했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등 상황에서 발생하는 개인의 정서적인 면을 고려하여, 정서조절 양식이 갈등과 수행 및 태도 간의 관계에 있어 보다 유의미한 조절 변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이것은 갈등에 대한 개인 수준의 정서조절 양식이 효과적인 조절 변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인 방법으로 최초로 밝히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연구 결과 조직 내 갈등은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조직 내 갈등이 과업수행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정서조절 양식이 유의미하게 조절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갈등관리 행동 대신 정서조절 양식을 조절변인으로 최초로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또한 직장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정서조절은 중요한 요인으로 주목 받고 있는 후속 연구에 좋은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갈등으로 유발된 정서의 종류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며, 우리 문화에 맞게 좀 더 구체적으로 정서조절양식을 세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가 긴 시간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시간을 두고 설계한 연구도 필요하다.

      • 상호문화교육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프랑스 사례를 중시으로

        송현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랫동안 단일민족 이데올로기에 젖어있던 한국은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 및 유학생의 유입으로 커다란 사회적 변화를 맞이하였다. 1988년 이후 국내 이주자의 규모는 급속도로 증가해 현재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계 주민의 규모는 1백 4십만 명 전체 주민등록인구 2%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가 다민족⦁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모해가는 과정에 접어든 것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이러한 변화의 구체적인 결과로 학교 현장에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이 증가했고, 이들을 위한 교육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일찍이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회적,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이를 꾸준히 발전시켜 온 서구 사회에 비해, 비교적 단일한 문화권 내에서 살았던 우리 사회는 비판적인 검토의 기회를 갖지 못한 채 갑작스럽게 다문화교육을 하나의 과제로 떠안게 되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정책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를 경험하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친 외국의 사례를 본보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분석할 사례 국가로 우리보다 40여년 앞서 다문화교육에 관한 논의를 시작한 프랑스를 선택하였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프랑스는 유럽의 다른 어떤 나라보다도 이민 문제와 종교 및 타문화의 갈등을 가장 먼저 겪은 나라이자, 총 육천만 인구 중 천 사백만이 외국계 이민자이거나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대표적인 다민족 국가이다. 전통적으로 프랑스는 이민자들을 위해 동화주의 교육정책을 고수해 왔으나 이민가정 자녀의 언어적, 문화적 정체성을 존중하는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그 한계를 보완해 왔다. 이러한 상호문화교육은 타인의 문화에 접근하기 전에 자기의 문화에 대해 성찰해보고 그 문화와 일정한 거리를 두게 한다는 점에서, 한국처럼 자민족중심주의와 외국인에 대한 편견이 유난히 심한 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랑스 상호문화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식 다문화교육에 적합한 상호문화교육콘텐츠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의 기본 개념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개념을 정리하였고, 이어 배경 및 역사,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보다 앞서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프랑스의 상황과 이로 인하여 대두된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상호문화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고, 학교교육과 특수교육시설에서의 상호문화교육을 분석하였다. 이어 기존 연구와 여러 통계 자료를 이용해 한국의 다문화적 현황과 이를 위한 다문화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분석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주자와 내국인 사이의 쌍방향의 적응과 존중이 일어날 때 다문화사회로 순조롭게 진입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상호문화적 요소를 강화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시하였다. After an era soaked in single race country ideology, Korea is facing a major socialogical change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the incoming of individual foreign workers and students. since 1988, the number of immigrants settling in Korea has elevated rapidly and is now summing over 1.4 million, rating over 2 perc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is indicates that Korea is entering a fast changing phase to a multiracial•multicultural society. specifically this change has resulted in the rise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schools, raising the need of "intercultural education" to comprehend the situation.
 While western societies have had socialogic, scholastic interest in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much earlier times, Korea's relatively homogenous society didnt have the chance to study and prepare for the change to multicultural society before hand and now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to be solved. Therefore, to minimize the confusion of policies we should take the example of countries who are more experienced in comprehending new cultures and have already had trials and errors to learn from. this is a study of France, where the study of intercultural education began 40 years ahead of us, and the selection is based on the following. France faced immigration problems, conflicts of religion and foreign cultures earlier than any country in europe, and is a representative multicultural country with immigrants and foreigners adding up to 14 out of 60 million of the total poputalion. traditionally, France stuck to an assimilationistic education policy towards immigrants, afterwards providing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ir lingual, cultural heritage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olicies. this kind of intercultural education makes a point of stepping back and studying one's own culture before approaching the incoming culture, which could be a challenge to the society of Korea, a race centered society with strong stereotypes regarding foreigne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inter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development plan that is suitable fo Korea.
for this purpose the basic concept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explained in the beginning to assist understanding, followed by the background, history and contents regarding intercultural education. as France has developed intercultural education to resolve various conflicts arising while changing into a multirace/multiculture societ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progress throughout the development and has analyzed the inter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an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is is followed by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various statistics,  which serves as an evaluation of Korea's current multicultural status, it's comprehending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ie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and their limitations. finally an intercultural element enriched program is suggested, assuming that multicultural societies can be built with minimum resistance when immigrants and natives adapt interactively and respect each other.

      •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및 성격특성이 현재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현정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의 행동문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와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어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와 성격특성이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과거 경험이 현재생활과 대인관계에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나타나는가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 문제나 행동문제를 가지고 있는 임상 아동군과 비임상 아동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어머니의 성격특성,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집단 각각에 대해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탐색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어머니의 성격특성,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이 아동이 지각한 현재 모-자녀관계에 어떤 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사이의 임상군 아동 142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동일한 학년의 비임상군 아동 172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를 측정하는데 허묘연(2000)이 개발한 양육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성격특성을 측정하는데는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Costa & McCrae, 1992)을 안창규와 채준호(1997)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어머니가 지각하는 현재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성연과 이숙(1990)이 개발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부모 자녀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 Furman(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NRI)를 한종혜(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t-test,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군과 비임상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때 자신의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해서 비임상군 어머니들 보다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데 반해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특성에서도 임상군 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반면에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긍정적 정서를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군 어머니들은 비임상군 어머니들 보다 자녀에게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상군 아동들이 비임상군 아동들 보다 자기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성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부정적 경험의 하나인 과잉간섭이 성격특성 중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신경증 요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긍정적 경험의 하나인 애정이 긍정적 정서, 온정과 같은 긍정적 성격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어머니의 현재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의 경우에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합리적 설명만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인 합리적 지도, 애정, 성취, 적극적인 참여에 영향을 주었다. 비임상군 어머니들은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애정과 감독이 합리적 지도와 애정, 적극적인 참여를 늘리고 권위주의적 통제는 감소시키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아동이 지각하는 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임상군에서는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가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비해 비임상군에서는 애정과 감독 같은 아동기의 긍정적 모-자녀관계는 현재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그대로 전해져 아동이 어머니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과잉기대와 학대 같은 부정적 모-자녀관계도 현재 자녀를 대하는 태도에 그대로 전해져 아동이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임상군과 비임상군 아동이 지각하는 현재 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인들의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두 집단은 서로 다른 경로모형을 나타내고 있으나, 두 집단은 각각 유사한 경로모형을 반복하여 나타내었다. 먼저, 임상군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와 우의에 대한 경로모형에서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과 과도한 간섭을 받았던 경험과 아동기 때 학대받은 경험이 사회적 영향력과 지배력에 대해 강한 욕구를 형성하였고, 이러한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적절한 보살핌과 지지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상군의 처벌/주도권, 친밀, 대립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로모형이 나타났다. 즉,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을 받지 못하고, 과잉간섭을 많이 받을수록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며 무기력해지는데, 이러한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하게한다. 또한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지나친 기대를 많이 받으며 성장할수록 적대감과 분노가 강해져 일상에서 쉽게 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러한 성격특성 역시 과보호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게한다. 이러한 양육행동은 자녀로 하여금 어머니와의 관계를 처벌적이며 대립적인 관계로 지각하게 할 뿐 아니라 친밀한 것으로 지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임상군에서는 친밀과 우의, 그리고 처벌/주도권과 대립 변인에서 유사한 경로를 나타내었다. 즉, 아동기 때 어머니로부터 애정적 양육을 받을수록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는 경향성이나 사람들과의 친밀감 강한데, 이러한 어머니의 성격특성은 자녀와의 관계에서 애정적 양육행동이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육행동을 증가시키고 강압적인 태도는 감소시켜 자녀가 어머니와의 관계를 친밀하며 처벌적이거나 대립적이지 않은 것으로 지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임상군 어머니의 아동기 모-자녀관계 중 방치 경험은 처벌/주도권, 친밀, 우의에서 유사한 경로모형을 나타내었다. 아동기 때 방치 경험을 많이 할수록 어머니의 충동성이 높아지고 이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부정적 영향을 주어 결국 아동도 어머니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지각하였다. 반면에, 아동기의 방치 경험이 충동성을 거치지 않고 바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그대로 전이되는 경우에는 방치 경험을 많이 할수록 오히려 자녀에게 긍정적 양육행동을 나타내어 아동도 어머니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eply understand how past experiences are connected with current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by examining how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nd her personality affects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in studying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on child's behavio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mother in behavioral problem group and mother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bou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And this study tries to research what effects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has on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for each of two groups. Finall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rough what rout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other's personality,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effects on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42 children between 3rd grader and 6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172 children between 3rd grader and 6th grader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This study uses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that Heo Myo-yeon (2000) developed in measuring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nd uses NEO-PI-R(The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Costa & McCrae, 1992) that An Chang-gyu and Chae Jun-ho (1997) adapted. This study uses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that Park Seong-yeon and Lee Suk (1990) developed in order to measure current parenting behavior that mother perceives, and uses Furman(1985)의 Network of Relationship Inventory(NRI) that Han Jong-hae (1996) adapted in order to measure current parent-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This study analyses the data through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it is shown that while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perceives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during their childhood more negatively tha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perceives it positively. Also for personality, it is found that while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experience more negative emotio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experience positive emotion more. And it is shown that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do negative parenting behaviors more to their children than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nd children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perceive more negatively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than children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mothers' personality, the intrusivenes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for mothers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have much effects on the factor of neuroticism of personality features. It is shown that affec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for mother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effects on positive personality features like positive emotions, warmth.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current parenting behaviors, only reasoning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influences reasoning guidance, affection, achievement, involvement that ar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It is shown that affection and monitoring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increases reasoning guidance, affection, involvement and decreases authoritarian control, and namely influences positivel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that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has on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does not affec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currently perceives. Compared to this result, it is shown that posi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 hood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like affection and monitoring is conveyed to mother's attitude of treating currently children as it is, and thus child positively perceives the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mother, and negative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like over-expectation and physical abuse is conveyed to mother's attitude of treating currently children and thus child negatively perceived the relationship with his or her mother.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oute models of explanation variables affecting current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both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and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perceives, two groups show different route models each other, but two groups shows similar route models repetitively. First of all, in behavioral problem groups, over-expecta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ffects mother's anger/hostility and the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indirectly, and affection and intrusiveness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affects mother's vulnerability and then mother's overprotection directly, and thus punishment/initiative power, intimacy, conflict of mother-child relationship that child perceives. In behavioral non-problem groups, affection of mother-child relationship during mother's childhood mediates mother's personality like warmth or positive emotions or through affection and involvement, authoritarian control of mother's current parenting behaviors, and affects punishment/initiative power, intimacy, conflict, companionship indirectly.

      •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가 장애아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현정 숙명여자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And this study compared family of the handicapped child with family of the nonhandicapped children for understanding the handicapp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 The samples selected for this investigation were 93 sibling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special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and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their mothers. And 199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were 5th and 6th graders.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Furman & Buhrmester, 1985),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Oh Sung Sim & Lee Jong Seung, 1982) and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were responsed by children, couple relationship was answered by mothers. The 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have four main factors, namely Warmth/intimacy, Conflict, Relative status/power and Rivalry. The Parental Rearing Attitude Questionnaire have also four major factors such as Affection, Autonomy, Achievement and Rationality. The Olson et al's Couple Relationship scale are consist of five factors such as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personality of spouse, life style, leisure activity and sharing of role. The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tepwise) using SAS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difference between handicapped family and nonhandicapped family o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and sibling relationship,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couple relationship. Parents-child relationship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more hostile, controlled and irrational than nonhandicapped family in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 even sibling relationship, sibling of handicapped family appeared less warmhearted, intimate and to perceive sibling partiality very muc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uple relationship and parents-child relationship on sibling relationship were as follow : In case of warmth/intimacy of factors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and life style variable had influenced on the handicapped family. And affection-hostility, autonomy-control,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Variables of effect on conflict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were rationality-irrationality and personality of spouse in the handicapped family, rationality-irrationality, autonomy-control and leisure activity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In estimating relative status/power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relationality-irrationality and autonomy-control in the handicapped family, accomplishment-nonaccomplishment in the nonhandicapped family were influential variables. In rivalry factor of sibling relationship, affection-hostility, affection and conversation with spouse variables had influenced on both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family. In addition to, rationality- irrationality had influence on the nonhandicapped family. 최근 대가족이 핵가족화 되고 인구 이동율이 높아지고 맞벌이 부부가 증가함에 따라 아동들이 어른들보다는 비슷한 나이 또래인 형제들과 상호작용 할 기회가 증가되면서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장애아 가정의 경우에도 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의 형제관계의 중요성은 예외일 수 없고, 오히려 장애아동의 특성상 더욱 부각될 필요가 있다. 또한 장애아 가정에서의 형제관계는 장애아와 비장애형제 모두의 발달과 행복을 위해서 중요하다. 최근에는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가족을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사회체제로 보는 가족체계이론에 근거하여 형제관계를 살펴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제관계와 함께 가족을 구성하는 하위체계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를 형제관계에 대한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 가족 전체의 맥락 속에서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를 파악하고,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과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장애아 가정의 형제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에서의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관계는 형제관 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일반학교 내의 특수학급 4개 반과 특수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93명의 장애아동 어머니와 그들의 비장애 형제, 그리고 서울시내 3개 일반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99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형제관계를 측정하고자 Furman과 Buhrmester(1985)가 제작한 것을 박영애(1995)가 번안한 형제관계 조사도구(Sibling Relationship Questionaire ; SRQ)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고자 이종승과 오성심(1982)이 제작한 "부모 양육태도 지각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부부관계 측정도구로는 1982년 David H. Olson, David G. Fournier, Joahn M, Druckman 등이 개발한 ENRICH(Enriching and Nurtur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를 김윤희(1989)가 요인분석을 통해 8개 하위요인 73개 항목으로 추출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형제관계를 예측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가정과 일반 가정의 부부관계, 부모-자녀관계, 형제관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자녀관계의 경우 장애아 가정의 부모-자녀관계가 일반가정의 부모-자녀관계 보다 적대적이고 통제적이며 비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제관계에 있어서도 장애아 가정의 형제들이 덜 온정적이고 덜 친밀하며 형제편애를 많이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아 가정의 비장애형제들은 장애형제를 돌보거나 지배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관계와 부모-자녀관계가 형제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형제관계의 하위요인 중 온정/친밀감 요인에 대해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애정-적대와 성취-비성취, 생활태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가정은 애정-적대와 자율-통제,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정/친밀감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모-자녀관계 중에 애정-적대 변인이 공통적으로 큰 기여도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부부관계 보다는 부모-자녀관계가 형제의 온정/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제관계의 갈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장애아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배우자의 성격이 나타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 여가활동이 나타났다. 갈등 요인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두 집단 모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지위와 권력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부관계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고, 부모-자녀관계에서 장애아 가정은 합리-비합리와 자율-통제가, 일반가정은 성취-비성취가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경쟁의식에서는 장애아 가정과 일반가정 모두 애정-적대 변인과 애정 및 배우자와의 대화 변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가정의 경우 합리-비합리 변인이 형제간 경쟁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부모애착, 부모의 부정적 정서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송현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n investigation f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First, for a structural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parent of childhood in Deagu-City and Gyeongbuk province and others in Korea were surveyed questionnaires from May 21th to Oct 8th in 2013. They answered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scale, SCL-90-R, K-CBCL(1.5-5). A total of 616 parent of childhood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rough using SPSS 18.0, th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showed normal distribution in all variables, and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Cronbach alpha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all the measures used met the standards. A variance-covariance matrix of this sample was analyzed using AMOS 18.0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via SRMR, RMSEA, with a 90% confidence interval, CFI, TLI.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in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Second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parent’s negative emotion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is a significant internal variable indirectly affecting early childhoo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 Thirdly,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directly affects parent’s negative emotion.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arent’s negative emotion took a role of an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adult attachment towards their parents,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e parent’s negative emotion reduce was reduced for early childhood problem behavior. The present study results can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plan and the construction of parent’s education and counseling

      • 우리나라 초등학생에 대한 구강보건사업의 우식예방효과 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송현정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자는 구강보건사업 평가를 목적으로 2003년 전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시 표본으로 추출된 지역 중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 지역 아동,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사업 대상 아동과 이와 비슷한 지역 아동을 대상으로 사업군 1,792명, 비교군 1,620명 아동의 구강검사기록을 근거로 우식경험 관련 통계치를 비교, 검토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 대상아동과 비교군 아동에서 유치와 영구치의 우식예방효과는 차이가 없었으며(p>0.005), 우식경험유치율은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우식경험영구치율은 10세와 11세에서,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0세 연령층에서 오히려 사업군이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2.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 대상지역 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 아동에서, 우식경험유치면지수는 9세 아동에서 사업군이 오히려 비교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반적으로 수돗물 불소농도조정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는 대부분 사업군의 실시기간이 4년 미만이므로 큰 우식예방효과는 보이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p>0.05). 3. 학교구강보건실운영 대상아동 중 우식경험유치율은 6세와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났고(p<0.05), 영구치우식경험율은 8세, 우식경험영구치율은 8세와 9세,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8세에서 비교군이 사업군보다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학교구강보건실운영 사업으로 인한 우식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4. 우리나라 아동들의 우식예방과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구강보건사업을 확대하여야 하며, 또한 학교불소용액양치사업은 보건기관의 철저한 지도 감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The author has analysed the data of the National Dental Survey in 2003, in order to appraise such public dental health programs for school children as school based fluoride mouthrinsing project, school dental clinic project and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project. 1,792 children's survey charts for experimental groups and 1,620 chart's for control group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obtained data was as following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ies prevalances on primary and permainent dent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of the school based on fluoride mouth rinsing project(p>0.05). In spite of reporting to perform the projects for several years, df rate in age 9, DMFT rate in age 10, 11 and DMFT index in age 10 were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2. Gener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ies preven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s lived at the average 4 years water fluoridated areas and the control group residency of children. Otherwise df rate in age 6 and dfts in age 9 were revealed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control group(p>0.05).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df rate of age 6 and 8, in DMF rate of age 8 and 9 in DMFS of age 8,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included in the project for school dental clinic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p<0.05), so it revealed the caries prevention effects through the programs. 4. It needed more active supervisions and reasonable appraisals to develope and to spread the school based dental health programs in all around of Korea, in order to promote the oral health level for Korean children.

      • <국민교육헌장>반포 이후(1969~1979) 학교통일교육의 성격 : 초·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송현정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understand how Unification Education worked in school after proclamation of < National Chart > in Park Jung-hee regime.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ast dealt with anti-communism mainly, and students learned anti-communism systematically after proclamation of < National Chart >. Park Jung-hee regime declared < National Chart >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right people' at the time, and < National Chart > included the ideology that was mixed with 'nationalism', 'militarism', 'economy first policy' and 'anti-communism'. The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y reflected this situation very positively. The background of proclamation of < National Chart > was due to which occurred according to the changed 'American policy of Korea' and 'North Korean military provocations' late in 1960's. For the reason, Park Jung-hee regime crammed the discourse on nationalism related to 'national consensus', 'all-out security', 'self-defence', 'economic development plan', 'national identity establishment' and 'Korean-style democracy' to Korean continuously through education in school. This effected the revision of 2th curriculum from March in 1970, and was showed in 3th curriculum directly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the enforcement of military education. The government systematized the nationalism included anti-communism more through education in school. This paper analyzed the textbook of 『Barun Saenghwal』 in elementary school, the textbook of 『Social Study』 in middle school, and 『Hangyeol』, school magazine for studying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Character of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1969~1979) is as follow. First,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followed completely the ideology of 'economy first polic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in < National Chart > from 1969. It emphasized national identity to Korean students through education, and it made the frame "Peaceful Unification = Unification through a victory over communism" Second, Unification Education was one of ways Park Jung-hee to govern Korean for long time. After proclamation of < National Chart >, the education goal emphasized 'anti-communism education', 'national identity', 'fondness of cultural properties'.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changed more systematically and severely to educate anti-communism after 1968. For example,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place for anti-communism', 'the place for unification through a victory over communism' in school. Korean was often demanded memorizing of < National Chart > to realize Korean themselves. Korean should always consider what they do for Korea through' Seamaul movement'. Also, Korean should help pity North Koreans through thrift and saving. Moreover, the government controled making a textbook, so it just represented opinions of the government. Third,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was more complicated in 3th curriculum. The government insisted Peaceful Unification externally, but it did not allow the existence of North Korea. This fact can be found contents of the textbook in 3th curriculum. For example, the textbook explained real cases to show how communism had many problems. Finally, the government used Unification Education in school as means to educate systematic 'economy first policy',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after proclamation of < National Chart > in 1968. 본 논문은 박정희 시기 <국민교육헌장>의 반포 이후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현재의 통일교육은 상대측을 인정하는 면에 관점을 둔다. 그러나 과거의 통일교육의 형태는 반공교육이 주를 이루었고, 학교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것이 <국민교육헌장>반포 이후이기 때문이다. 박정희 체제는 국가주의와 군사주의, 경제제일주의, 반공주의를 결합하여 그 시대가 필요로 하는 인간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국민교육헌장>을 반포하였다. 이것은 학교교육과정과 교육정책에 매우 적극적으로 반영되었다. 그 배경에는 1960년대 후반부터 변화하는 미국의 대한정책과 냉전완화의 흐름을 타고 역공세를 펼치는 북의 무력도발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굴욕적인 한일회담, 농촌을 희생시킨 공업화정책, 베트남파병 등 국내외의 문제가 겹치면서 국가주의정책을 펴나가던 박정희 정권은 학교교육의 이념과 내용의 변화를 주어야만 했다. 이런 이유에서 박정희 정권은 국민총화, 총력안보, 자주국방, 경제개발 계획, 민족주체성확립, 한국적 민주주의 등의 국가주의 담론을 학교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담아내고자 했다. 이는 1970년 3월부터 제2차 교육과정을 부분개정하는 과정으로 나타났으며 곧이어 제3차 교육과정에도 직접적으로 반영되었다. 반공교육의 강화, 한글전용화, 국사교육강화, 군사교육 실시를 통해 이전보다 구체적인 국가주의와 반공주의를 내포하면서 교육에서의 국가주의를 체계화시켜 나갔다. 반공교육의 경우 단위 수를 늘리거나 다른 교과목과 대등하게 독립교과로 편성되었다. 민족주체성 교육의 일환으로 한글전용화 정책과 국사교육을 강화하였으며 제3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사과목이 독립교과로 분리되기도 하였다. 또한 교련교육을 실시하여 학원을 군대화하였고 자주국방태세를 강화하였다. 또한 근대화를 내세우면서 근대화만이 통일을 이룰 수 있다는 승공통일의 개념을 통해 국가에서의 통일정책 이외의 통일논의를 배제하여 학교에서도 근대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결국 이러한 승공통일의 개념은 통일교육의 내용이 되었고 반공교육의 내용과 동일하게 형성되었다. 이런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서 국민학교 『바른생활』과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학교생활교육 속에서 나타나는 통일교육의 모습을 알아보기 위해 당시 교사들의 글과 사대부여중의 교지 『한결』을 참조하였다. 이런 내용들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9년을 기점으로 학교통일교육이 <국민교육헌장>에 나타난 경제개발우선주의, 국가주의, 반공주의라는 이념을 철저하게 따라 간다는 것이다. 그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교육정책이 자주국방, 총화단결 등의 구호를 외치면서 ‘국적 있는 교육’과 ‘주체성 교육’을 실시하면서 ‘평화통일=승공통일’의 도식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둘째, 학교통일교육이 장기집권을 위한 수단이 되었다는 점이다. <국민교육헌장>이 발표된 이후 교육목표는 반공교육생활화, 민족주체의식, 문화재 애호 등의 윤리관을 확립할 것을 강조하였다. 학교에 반공관, 승공관 등을 설치하고, <국민교육헌장>을 시시때때로 암송하게 하면서 개인이 국가의 일원임을 잊지 않도록 했던 작업들, 새마을 교육을 통해 자나 깨나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고민하고, 하다못해 근검절약을 하면서 까지도 북에 있는 불쌍한 동포를 구해줘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만들만큼 1968년 이후의 학교통일교육을 더욱 체계적이고 경직된 반공교육으로 치달아 가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의 국정화도 교과내용을 천편일률적으로 만들어 이런 교육의 국가주의화에 한몫을 하였다. 이것은 반공과 경제발전의 이념을 도식화하여 박정희 식의 민족주의(국가주의)와 군사주의, 경제성장제일주의가 만나면서 정통성이 미약한 박정희의 체제를 장기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반공교육이 실시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이시기 학교통일교육의 성격도 국가통제하의 철저한 반공교육, 즉 체제수호적 반공교육이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제3차 교육과정에 들어서면서 학교통일교육의 반공적인 측면이 좀더 교묘해졌다는 것이다. 1972년에 있었던 남북대화를 통해 표면적으로나마 ‘평화통일’을 주장했던 것이 교육정책에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이러한 이면에 여전히 통일논의를 국가가 주도하고 북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통일을 지향하겠다는 명분을 내건 독재적 권력집중의 제도화에 학교통일교육이 이용된 측면이 강하다. 교과서의 내용 속에서도 3차 교육과정에 가면 실질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등 신빙성 있는 내용을 통해 공산주의를 비난하고 있다. 결국 1968년 <국민교육헌장>이 반포된 이후 체계화된 경제성장우선주의, 반공주의, 국가주의라는 국가시책이 하나로 맞물려서 결국은 학교통일교육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