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시간 운영체제를 위한 가상 파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송재영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RTOS(Real-Time Operating System) and Embedded System is more developed and more used, requirement of RTOS with VFS(Virtual File System) is increased. Every storage device needs filesystem to handle data as file. In case of using different filesystem with different storage device, user may feel inconvenience to use them simultaneously. The role of VFS is providing common interface to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which filesystem must be used.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rtual file system for the real- time operating system developed by Parallel Processing Lab.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유스 시어터 창작 과정에서 연극놀이 리더 역할 연구 : 국립극장 창극 아카데미 '혹부리 쌍둥이'를 중심으로

        송재영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ollowing study explor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that a drama leader plays throughout the youth theatre production.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expla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reveal and examines the meaning and value by analyzing a case study. Children and Youth could feel the fun and pleasure of making plays through creative drama. Youth theater has a goal of performing in front of the audience, it could give tension and burden to the children and youth as the participants. However, when I first participated in the creating process of youth theater, my perception of youth theater changed through the appearance of children and youth who face their limitations. I think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youth theater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play that children and youth freely challenge, experiment and make as the subject of creation. For this, I thought that children and youth should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reating process in youth theatre. Based on this recognition, I participated as a drama leader in the youth theater ‘Twin with a lump in their faces’ which is centered on Changgeuk. A youth theater production, much like creative drama, is process orientated. However, unlike creative drama, youth theater production presents more complexities because it involves an audience, and accordingly needs to consider the experiences of both the participants and the audience. The essence of the youth theatre production process is to find a balance between the progress and outcome, and the leader is a critical artist who can guide the participants to achieve this. Bearing these in mind, I have taken part in a youth theatre production ‘Twins with lumps on their faces’ of National Theatre of Korea’s <Changgeuk Academy>. The theatrical thinking and behaviour based on if and make-believe, the basis of creative drama, are significant factors in youth theatre. The leader plays a vital role in youth theatre by encouraging young people to continue to make creative progress. The leader motivates the participants to develop creative drama into playmaking, and then into a full-scale play. The outcome, the full-scale play, reflects the experiences and improvements that the participants made throughout the process. The most crucial part of the youth theatre-making is the rehearsal process, where all the work and developments made earlier in the process brought together to make it presentable for the stage, and only after this process, can youth theatre productions constitute an intricate art. The leader needs to ensure the participants understand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participant-focused process to the audience-focused proces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ion and that they should not feel left out. The role of the leader expands here to guide the participants to produce a full-scale play. The leader’s involvement in youth theatre urges the other participating artists to have a fresh perspective over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These artists offer various opportunities for the participants to challenge further and experiment more throughout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is amplifies the artistic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Being on the stage facing the audience is also a challenging moment for the participants. This series of challenges makes youth theatre productions original. Considering this context, the participation of leaders is essential in youth theater, and the unique value and meaning of youth theater is highlighted through the role of leader.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이 활동의 주체가 되는 유스 시어터의 창작 과정에서 연극놀이 리더의 역할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는 이를 밝히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실제 수행한 사례 안에서 발견되는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 필자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연극놀이를 통해 연극을 만드는 재미와 즐거움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유스 시어터는 관객 앞에서 공연을 하는 목표가 있는 만큼 참여자인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긴장과 부담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스 시어터의 창작 과정에 처음 참여했을 때 자신의 한계에 맞서는 아동청소년의 모습을 통해 유스 시어터에 대한 필자의 인식은 달라졌다. 필자는 아동청소년이 창작의 주체로서 자유롭게 도전하고 실험하며 만든 연극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것이 유스 시어터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 창작 과정의 중심에 아동청소년이 위치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필자는 창극이 중심이 되는 유스 시어터 ‘혹부리 쌍둥이’에 연극놀이 리더로서 참여하였다. 필자는 아동청소년이 무대에 오르는 유스 시어터에 연극놀이와 마찬가지로 과정 중심적 특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연극놀이와 달리 유스 시어터는 관객을 염두에 두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참여자의 경험과 관객의 경험 모두를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특성을 가진 연극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과정과 결과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유스 시어터의 핵심이라고 보고, 참여자가 아동청소년인 특성을 고려할 때 리더가 유스 시어터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예술가라는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연극놀이의 특성인 ‘인 ~것처럼’ 과 자발적 믿음(Make-Believe)을 근간에 두는 연극적 사고와 행동은 아동청소년이 배우가 되는 유스 시어터에서 공연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유스 시어터에 참여하는 아동청소년의 창조적 행위의 바탕이 된다는 점에서 이를 촉발하는 리더의 역할과 필요성은 강조된다. 리더가 이끄는 창작 과정은 연극놀이에서 연극 만들기로 나아가는 흐름을 타고 이어지며 그 안에서 참여자는 창작의 주체가 되어 작품을 만들어 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근간에 두는 공연이라고 하는 결과는 참여자의 경험과 성장의 측면에서 과정의 완성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발견하게 한다. 과정이 잘 이어지더라도 무대화를 위한 통합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점이 유스 시어터를 매우 복합적인 예술 형태로 만든다. 이로 인하여 참여자 중심의 과정에서 관객 중심의 과정으로 변화될 때 참여자가 활동의 목적이 달라진 것처럼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합 과정은 더 나은 공연이 될 수 있게 다듬어가는 시간이라는 점을 참여자에게 이해시키는 것 또한 필수적인 부분임을 주지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리더의 역할은 새롭게 확장되는 데, 이는 과정을 이어온 참여자들이 공연을 완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리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유스 시어터에 리더가 참여하게 될 때, 아동청소년과 연극놀이를 하는 리더의 역할을 통해 다른 참여예술가들이 과정 전체를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리더와 마찬가지로 참여예술가들은 참여자가 과정 안에서 수많은 도전과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도전거리를 제시한다. 이를 마주한 참여자는 제시된 과제를 뛰어넘기 위해 실험하고, 한계에 끊임없이 도전하면서 이들의 예술적 경험은 한껏 확장된다. 이러한 과정의 정점에서 참여자는 관객을 만나게 되고, 관객 앞에 서는 무대 위의 경험 또한 하나의 도전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점이 유스 시어터를 독특한 형식의 연극으로 만든다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맥락을 고려할 때 리더의 참여는 유스 시어터에서 필수적이고, 리더의 역할을 통해 유스 시어터의 고유한 가치와 의미는 부각된다.

      • 한국어 인칭대명사 연구 : 인칭표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송재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mploys the methods of discourse analysis and corpus linguistics to investigate the usage and function of Korean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in a variety of linguistic environments. Previous literature, which has focused on the grammatical features without specifying pragmatic features of personal pronouns, can not explain under which circumstances Korean speakers choose and use personal pronouns. Because of the strong influence of social hierarchy in Korean society, discour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a key element in determining the usage and function of personal pronouns in Korean language. Here, I investigate three discourse factors - age, gender, and the social status of speakers - which are necessary for pronoun usag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I have extracted 25 conversation samples (95,114 words) from the ‘Yonsei Spoken Language Corpus’ based on a wide diversity of speakers of varying ages, genders, and social statuses. The extracted corpus included 16 same age groups versus 9 different age groups and 12 same gender groups versus 13 different gender groups. Participants’ social status was also considered based on their job and physical context, such as various conversations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doctors and patients, salesmen and clients, parents and their children, radio hosts and guests, colleagues at work, friends at colleg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My research revealed several previously unknown features of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usage across age, gender, and social status dimensions. First, corpus data analysis showed that frequency of usage of the first person pronoun is relatively high, while frequency of second and third person pronouns are relatively low. It is a surprising result that the personal pronouns for the second and third person are not well developed in the Korean language despite a strong exaltation system. This is likely due to the use of person-referring expressions rather than personal pronouns being more appropriate when gender, age, social relations, and the purpose of conversation are all considered. This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efforts to keep social etiquette and to communicate smoothly. Second, I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depending on speaker-listener factors and conversational purpose. The speaker-listerner factors were divided into gender, age, and social relations. Age difference greatly influenced the choice of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However, it was social relations that had a greater impact than age difference. When social relationship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uch as in private discourse, age differences were found to still be the most influential. However, in public discourse, social relationships were greater in choosing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than age differences. The gender variables, such as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howed differences in usage. Women were more likely to use person-referring expressions than men, as a discourse strategy to form bonds and buil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listener. In addition, I foun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c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of discourse purpose categories, supporting the view that language extrinsic factors, such as the purpose of discourse,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the use of personal pronouns and intellectual expressions. Finally, by examining the usages in chapter 3 and 4, I found that the function of personal pronouns could be divided into discourse and social deixis. Specifically, personal pronouns function to link language expressions with participants in a discourse: this 'pointing ability' which directly points to the object at the time and place where the discourse takes place can be explained as a discourse deixis. Also, when using personal pronouns or person-referring expressions, the age, gender, occupation, social relations, purpose of the discourse, background,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is ‘relation ability’ can be explained as a social deixis. This study consists of six chapters.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previous research. It also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orpus data. Chapter 2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gives a definition of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in pragmatics. In Chapter 3, I explore the usage of the personal pronouns and person-referring expressions depending on type. In Chapter 4, I discuss the usage of personal pronouns and personal expressions according to three factors and six purposes of discourse. In Chapter 5, two functions of discourse deixis and social deixis are examined. Chapter 6, the conclusion, describes the remaining issues of this study. 이 연구는 실제 담화를 담고 있는 구어 말뭉치를 분석하여 국어 인칭대명사의 기능과 용법을 살펴보고, 여러 형태의 인칭어 가운데 인칭대명사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그 사용 환경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 인칭어를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으로 세분하고, 담화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 담화 목적과 배경 등을 변인으로 삼아 국어 인칭대명사의 구조적 측면뿐만이 아닌 기능적 측면을 함께 살펴본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인칭대명사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의 대상과 영역을 확장해 나간다. 첫째, 연구 대상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어온 인칭대명사의 목록을 그대로 취하지 않고, 인칭대명사보다 형태적·의미적으로 확장된 표현으로까지 확대한다. 대명사는 품사의 한 유형으로 하나의 단어라는 형태적 제약을 갖는다. 하지만 이런 형태적·의미적 제약에서 벗어난 인칭표현은 인칭대명사와 비교·대조의 대상으로서 용법, 기능, 사용 환경 등을 살펴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인칭대명사가 수행하는 기능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인칭표현을 설정하고, 이를 비교·대조의 대상으로 삼는다. 둘째, 실제 담화에서의 인칭대명사의 용법과 기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담화분석적 연구 방법론과 말뭉치언어학적 연구 방법론을 택한다.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용법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 화자와 청자의 성별·연령·사회적 관계 등과 같이 언어 외적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살아있는 언어 자료인 말뭉치를 분석하여 담화가 이루어지는 환경, 담화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담화의 목적 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에 따라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사용 양상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살펴보는 화용론적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화자와 청자라는 화용론적 변인에 따른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사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말뭉치 분석 자료로서 구어 자료를 활용한다. 문어 자료를 통해서는 화자와 청자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담화 상황과 같은 언어 외적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연세 구어 말뭉치>에서 담화 참여자의 성별, 연령, 직업과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여 총 25개의 담화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용례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특성을 살펴보는 귀납적인 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기존의 연구에서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을 어떻게 정의 내렸는지 살펴본다. 인칭에 대한 정의는 ‘사람’을 해석하는 범위에 따라 둘로 나뉘어졌는데, 화용론적 연구에 이르러 담화참여자의 역할로서 인칭대명사를 파악해야 한다는 논의가 시작되었다. 대명사에 대한 연구는 대명사의 특성을 ‘대신하다’와 ‘가리키다’로 설명한 전통문법과 대명사와 선행어의 관계를 ‘대용성’으로 설명한 변형생성문법을 거쳐 왔는데, 화용론적 연구로 그 연구 영역이 확대되면서 대명사가 가리키는 대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참조하는 범위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담화에서의 역할에 따라 인칭대명사를 구분하고 4가지 유형의 인칭표현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말뭉치 용례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유형과 사용 빈도를 살펴보고 가리키는 대상의 범위를 살펴본다. 1인칭대명사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2인칭대명사와 3인칭대명사의 사용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는데, 높임 체계가 발달한 국어에서 2인칭과 3인칭을 가리키는 높임의 인칭대명사가 발달하지 않은 것은 의외의 결과였다. 이는 화청자 간의 성별, 연령, 사회적 관계, 담화 목적 등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인칭대명사보다는 인칭표현의 사용이 더 적절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는데, 화청자 개개인의 관계와 담화 상황에 가장 적절한 인칭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예절을 지키고 의사소통을 원활히 이어가려는 노력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4장에서는 화청자 변인과 담화 목적에 따른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용법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화청자 변인은 화자와 청자의 성별, 연령, 사회적 관계에 따라 나누었는데, 이러한 변인에 따라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 사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인칭대명사가 사용되는 환경을 살펴보았다. 또 담화 목적에 따라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높임의 표현, 친밀함의 표현, 신정보 제시, 구체적 대상 지시, 지시 대상의 강조, 물리적·심리적 거리감의 표현과 같이 여섯 가지의 목적에 따른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의 용법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국어에서 인칭대명사와 인칭표현 중 어느 한 가지가 기본값이 되고 다른 하나가 대신 사용되는 것이 아닌, 화청자의 관계와 담화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임을 밝힌다. 5장에서는 인칭대명사의 기능을 살펴보는데, 인칭대명사의 특징인 deixis를 담화 직시와 사회 직시로 나누어 살펴본다. 인칭대명사는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담화 참여자와 언어 표현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데, 담화가 이루어지는 시간과 장소에서 가리키고자 하는 대상을 직접적으로 가리키는 ‘가리킴성’을 담화 직시적 기능으로 설명하였다. 또 인칭대명사나 인칭표현을 사용할 때에 화자, 청자, 주제인물 사이의 연령, 성별, 직업, 사회적 관계, 담화의 목적, 배경 등을 고려해야만 하는데 이러한 ‘관계성’을 사회 직시적 기능으로 설명한다. 6장에서는 이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한다. 다양한 연령과 사회적 관계를 포함하는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고, 구체적이고 다양한 화용론적 변인을 설정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 공간 네트워크 상 노드 임베딩을 위한 거리 기반 어텐션 GNN

        송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 네트워크는 노드와 엣지가 거리 공간에 속하는 그래프 자료구조로 지표면 상의 여러 현상과 문제를 표현할 수 있다. 최근 딥러닝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더불어 그래프를 학습하는 다양한 딥러닝 모델들이 연구되고 있지만 노드 사이의 거리 요소를 고려하지 않아 공간 네트워크가 가진 거리 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공간 네트워크에 속하는 거리 특성을 가진 노드들의 이웃 관계에서의 영향력을 알 수 있는 거리 기반 어텐션 기법을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그래프 딥러닝 모델인 DWGNN을 제안한다. DWGNN은 임베딩 과정 중 대상 노드에게 더욱 가까운 이웃 노드의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한 이웃 노드들의 영향력보다 크게 주어 공간 네트워크 상 각 노드의 특징 추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실세계 노드 임베딩 문제에 대한 제안한 기법의 다양한 적용을 위하여 실내, 실외 공간 네트워크 노드 임베딩 실험을 진행했다. 기존에 정립된 GNN 모델과 제안한 기법을 활용한 모델을 비교해본 결과 노드 분류와 특성 벡터 추출에 더욱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제안한 모델을 목적에 맞는 다양한 딥러닝 아키텍처 내 하나의 요소로서 개발했으며 공간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분석을 위한 모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patial network is a graph data structure consisting of nodes and edges in a metric space, used to represent various real-world problems and phenomena. Recently,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iques,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for graphs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se models barely utilize distance information as they did not consider the distance factors between nodes present in spatial networks. This paper introduces the distance-based attention mechanism, which can measure the attention values from the relationship among the nodes with distance features in a spatial network, and proposes Distance-Weighted Graph Neural Networks(DWGNN). DWGNN effectively extracts features of each node in a spatial network by making the nearby neighboring nodes more influential to the target node than the distant neighboring nodes in the embedding update process. Two node embedding experiments with indoor and outdoor spatial networks have been conducted, to apply the proposed GNN model to real-world node embedding problems in spatial networks. Compared to the existing GNN models, DWGNN shows performance improvement in node classification tasks and extracting latent feature vectors. The suggested model is developed as an element for various GNN architecture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odel for analyzing various problems on spatial networks.

      • 국어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기술 방안 연구

        송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국어사전 13종을 선정하여 국어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고 사전학적 관점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조어 정보를 정의내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를 선정하였다. 먼저 조어 정보는 공시적 조어 정보와 통시적 조어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 낱말이 만들어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두 조어 정보가 모두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되는 언어형태로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를 선정하였는데, 이는 기존의 형태론 연구의 조어법 대상과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대상이 복합어에만 한정되어 있던 것을 확대시킨 결과이다.3장에서는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크게 낱말 유형별과 사전 유형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먼저 낱말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 쟁점이 되는 사항을 ‘조어 정보의 제시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의 분석 범위’,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복합 형태소/낱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다섯 가지로 선정하고 복합 형태소와 복합어의 조어 정보가 제시된 예를 살펴보았다. 사전 유형별로는 조어 정보 제시 범위와 올림말의 분석 범위에 따라 ‘공시적·통시적 조어 정보 제시’, ‘다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이원 분석에 의한 공시적 조어 정보 제시’, ‘조어 정보 미제시’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사전에서 조어 정보를 제시한 기준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전의 편찬 시기와 편찬 목적, 사전 편찬자들의 문법관에 따라 조어 정보의 기준과 방법이 다르게 제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4장에서는 국어사전에서 효율적으로 조어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조어 정보 제시 대상’, ‘조어 정보 제시 범위’, ‘올림말의 분석 범위’, ‘올림말 구성 요소의 계층 정보’, ‘올림말 구성 요소의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 ‘조어 정보의 제시 위치와 기호’의 여섯 가지 항목을 통하여 사전 사용자들에게 올림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국어사전은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사전의 성격을 띠므로 낱말이 만들어지게 된 과정을 모두 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조어 정보를 제시할 때의 기준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는 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지침’과도 같은 것으로 이를 통해 특수 사전이 아닌 일반 국어사전에서의 조어 정보 제시 기준과 방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riteria and method in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thirteen Korean dictionaries and propose efficient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a view lexicographical context.In chapter 2,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defined and language unit which is an object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s selected. Firs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onsists of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the entry has been made, two kind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are needed. Second, complex morphemes and compound words are selected as a language unit which need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is is an expanded result of previous studies which examined only compound words as an objec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In chapter 3,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in each dictionary are examined in two different contexts: language unit and dictionary unit. First, in language unit, examples a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issues: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Second, in dictionary unit, dictionaries are analyzed according to extent of present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nd extent of analysis of complex morpheme and compound word. Thirteen dictionari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and dia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dualistic division, dictionaries that present synchronic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using plural division, and dictionaries that does not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From this we are able to check that the criteria and method to present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period and purpose of publishing dictionary, and a lexicographer's view on grammar.In chapter 4, the method which present information of the entry's word formation are proposed according to six issues: objects of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extent of analysis of entry, classical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meaning and grammar information of component part of entry, and location and symbol that indicates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Through these six issues, efficient ways of presenting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for dictionary user are listed. However, Korean dictionaries that are examined in this study have general purpose, not special purpose. Therefore, all information of word formation can not be presented in Korean dictionary. So, some limitations also are proposed together in this study. This can be a guide in presenting information on the entry's word formation in Korean dictionary.

      • 축제 방문객 동기요소에 따른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 김제지평선축제를 중심으로

        송재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축제관광객 시장세분화전략은 관광객의 시장을 세부적으로 나누고 관광객의 욕구를 정확히 파악하여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써 관광객의 필요나 욕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축제관광객 지향적인 전략이다. 현재 상품시장세분화전략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축제 방문객에 대한 시장세분화전략분석은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문화관광축제중에서도 김제지평선 축제의 시장세분화 연구는 미흡할 뿐만 아니라 독특한 주제인 농경문화축제의 시장세분화분석 연구는 더욱 의미 있는 연구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축제 방문동기를 파악하고 파악된 동기를 근거로 축제 방문시장을 유형화시켜 각 세분시장에 효율적인 축제 마케팅전략 및 홍보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관광객 지향적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방문 동기를 파악하여 요인분석과 함께 시장세분화를 위한 군집분석을 통해서 동기에 따른 군집별 차이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김제지평선 축제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260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SPSS 18.0 통 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김제지평선 축제 방문동기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교육성, 일탈성, 체험관람성 총 3개의 방문동기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축제 방문동기 항목에 따른 시장세분화 분석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다. 군집1은 교육일탈추구집단, 군집2는 소극적동기집단, 군집3은 적극적동기집단으로 나타났다. 셋째, 축제 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군집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동기 요인, 즉 체험관람성, 교육성, 일탈성 순으로 방문동기에 대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넷째, 축제 방문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 군집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 소득, 동반그룹, 거주지 중 동반그룹과 거주지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축제 방문동기 시장세분화 군집별 신규, 재 방문객에 대한 교차분석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제 방문동기 시장세분화 군집별 축제장내 소비지출 또한 군집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실무적인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시장별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축제 만족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그램 상품개발이 시급하다. 또한 시장별에 맞는 구체적인 재원마련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구체적인 시장별 홍보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였다.

      • 범죄피해자지원 구조의 개선방안 연구 : 범죄피해자지원센터와 경찰의 연계를 중심으로

        송재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형사사법에서 피해자학에 대한 연구가 비약적으로 많아지면서 경찰이나 검찰과 같은 공공기관과 학계, 관련 기관에서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많이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책이 기관별로 수립되어 발표됨으로서 상호 중복되거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등 기관 간 업무의 연계가 되지 않아 효율적인 범죄피해자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특히 대표적인 사법기관인 경찰과 검찰에서는 범죄피해자지원 업무를 선점하려고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로 양 기관에서 범죄피해자지원에 대한 제도와 대책을 상호 논의 없이 추진하고 있어 향후 문제가 될 소지도 있어 보인다. 범죄피해자는 수사단계, 기소단계, 재판단계, 재판 후 단계 등 형사절차진행에 따라 그 지위가 변하고, 경제적 지원, 의료적 지원, 법률적 지원, 상담·심리적 지원 등 지원을 필요로 하는 분야가 방대하므로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업무가 어느 한 기관에만 국한되어 이루어 질 수 없다. 이는 위 모든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지원을 하여야만 신속하고 효율적인 지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수사단계가 끝나면 경찰이나 검찰이 피해자에게 계속해서 관심을 가지면서 지원 활동을 계속 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피해자에게 꾸준한 지원이 되기 위해서는 수사가 끝난 후에도 피해자가 안정적으로 생활하며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필요한 부분의 지원업무가 필요하다. 또한 민간단체의 경우에는 각 분야별 지원 업무가 세분화되어 있어 하나의 민간단체에서 피해자에게 필요한 지원을 모두 해결할 수 없고, 특히 민감한 범죄 관련 정보가 필요하지만 민간단체라는 지위 때문에 공적업무에 접근할 수 있는 한계가 존재하여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지원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범죄피해자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국가기관과 민간단체를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상호 보완하여 줄 수 있는 허브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관이 요구되어지고 있는데, 현재 법무부의 주도로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는 민간단체인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위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적합한 기관으로 보여 진다. 이에 여러 선행연구와 설문지 분석을 통해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를 극복하고, 범죄피해자 지원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계 기관으로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현재의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법무부 산하가 아닌 국무총리실이나 국민권익위원회 소속의 비영리사단법인으로 변경하고, 센터 임원 및 구성원도 피해자 관련 유관기관 임직원을 포함하고, 사무실도 누구나 접근이 쉬운 행정기관 등에 설치하여 산재해 있는 피해자업무를 통합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범죄피해자 지원업무는 범위가 광범위하고 유형이 다양하므로 효율적인 피해지원을 위해 범죄피해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나 민간단체 연계를 체계화하고, 피해가 회복될 때까지 피해자를 관리할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를 제도화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센터가 순수 민간단체로 발전하기 위해 인력 및 재원 마련이 중요한데, 인력은 직원 외에 퇴직 경찰관이나 피해자, 전문가 등을 자원봉사자로 모집하여 일정 교육 후에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고, 재원은 기부금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벌금 등을 기금으로 마련하고, 센터에서 가해자를 상대로 구상권 행사를 대리하여 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범죄피해자도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민이므로 피해자들의 빠른 피해 회복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지원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므로 센터와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를 위한 제도적, 법률적인 장치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범죄피해자지원 업무가 다양하여 여러 부처에 산재되어 운영되다보니 소관 부처별로 필요시마다 법률이 제정되어 많은 법률과 제도가 중복되거나 난립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법제를 정비하고 중복된 법률을 통합하여 범죄피해자에 대한 효율적인 보호·지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국가적으로 법제 정비가 시급하다 할 것이다. In recent years, research on victimology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public institutions such as police and prosecutors, academia,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announced a number of measures to support victims of crim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support for victims of crime has been established and announced by each institution, so that there is no link between the agencies such as overlapping or blind spots. In particular, there is a suspicion that police and prosecutors, the representative judicial authorities, are trying to preoccupy victims of crime, and both organizations seem to be problematic as they are pursuing systems and measures for crime victims without mutual discussion. The crime victims are those who have changed their status in the course of criminal proceedings such as investigative stage, trial phase, trial phase, and post-trial phase, and there are areas that need support such as economic support, medical support, legal support,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upport therefore, support for victims of crime can not be limited to only one organization. This would be a quick and efficient support if all of the above organizations are organically linked and supported. In reality, however, when the investigation phase is over, it is difficult for the police or prosecutors to continue to support the victim as they continue to be interes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victim to have a steady suppor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victims in order to survive and return to society after the investiga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civilian organizations, support services for each sector are subdivided so that a single civil society organization can not solve all the necessary support for the victims. Especially sensitive crime related information is needed. However, due to its status as a private organization, There is no practical and efficient suppor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gency that can act as a hub to efficiently link and complement each other with state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that are supporting crime victims. Currently, it i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which is a private organization operated, is seen as a suitable organization to perform the above rol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questionnaire analysis, the crime victim support center overcame these problems and limitations and suggested a model as a linkage organization that can efficiently perform crime victim support tasks. First, the present crime victim support center is changed to a non-profit corporation belonging to the Prime Minister's Office or the National People's Interest Committee, not the Ministry of Justice. The center officers and members also include executives of relate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victims. And to integrate the victims' work, which is scattered. Second, crime victim support services are broad in scope and range of types, so it is important to classify crime victims according to their type, to organize system for supporting them, to organize linkage with private organizations, and to manage victims until the damage is restored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ird, it is important for the center to develop into a pure private organization. It is important to recruit volunteers as retired police officers, victims, and experts in addition to employees, and to use them after a certain period of training. The funds are limited by the donations, a plan should be prepared to provide fines and other funds for the victims and to represent the victims in the center against the perpetrators. Fourth, since victims of crime are also local people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 interest and support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is absolutely critical for the rapid recovery of the victims, so institutional and legal devices must be provided for linking the centers with local governments will be. Fifth, since crime victim support activities are diversified and operated by various ministries, the law has been enacted for each ministry, and many laws and systems are overlapped or faded. Therefore, unnecessary legislation is revised and the duplicated laws are integrated into crime victims It is urgent for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legal system so that effective protection and support can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