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영이 졸업공연 “Rhythm Night”

        손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실용음악 석사과정의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 <Rhythm night>에서 발표 된 자작곡 및 편곡들과 공연의 내용을 부석한 것이다. 본 논문은 대학원에서 습득한 음악 이론, 작곡 기법, 편곡과 노래 방식을 바탕으로 공연 노래의 형식, 악기 편성 등 각 작품에 대한 주제와 내용에 대한 설명 몇 본석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은 < Rhythm Night>라는 주제로 노래를 통해 금요일 Live club 현장 같은 분 위기를 만들고 누구나 음악 속에서 즐길 수 있는 공연을 하고자 한다, 졸업 작품은 자작곡 두 곡과 네 곡의 편곡으로 포함해서 총 여섯 곡으로 각기 다른 느낌으로 대표 한다. 생활에서 모든 고민이나 슬픔을 잠시 내려놓고 나랑 같이 즐겨보자 하는 주제 이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된 여섯 곡은 피아노, 건반, 일렉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드럼, 베이스, 코로스, 보컬로 편성되었다. 곡마다 악기의 편성을 다르게 하였으며, 보사노바, 팝, 락 등의 스타일로 구성이 되어있다. 그중에서 중국어 노래 두 곡, 한국어 노래 한 곡 , 영어 노래 세 곡이 풍부하게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내용이 상세하게 전달되고 공연의 예상, 공연장, 출연자, 스태프 등의 설명이 상세히 담겨 있는데, 이 논문을 통해 부족한 점을 찾아 자신을 더욱 보완하게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ccompanied by self-composed songs and arrangements and performances presented at the graduation performance "rhythm night" for the completion of a master's course in practical music. Based on the music theory, compositional techniques, arrangement and singing methods acquired in graduate school,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few examples of explanations on the theme and content of each piece, including the format of performance songs and instrument composition. Under the theme of "Rhythm Night," the performance will create a live club-like atmosphere on Friday and a performance that anyone can enjoy in music. The graduation work is represented by a total of six songs, including two self-composed songs and four arrangements. It's a topic that I want to put down all my worries and sorrows in my life and enjoy with me. The six songs played in the graduation performance consisted of piano, keyboard, electronic guitar, acoustic guitar, drum, bass, chorus, and vocals. Each song has a different arrangement of instruments, consisting of bossa nova, pop, rock, etc. Among them, two Chinese songs, one Korean song, and three English songs appeared in abundance. Through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are delivered in detail, and the expectations of the performance, the venue, the cast, and the staff are detailed, and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us find shortcomings and learn more about ourselves.

      • 또래교수의 집단구성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과학과 연구

        손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해 학생 중심의 수준별·개별화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다인수 학급 현실에서 대안적인 교수방법으로 또래교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존 또래교수 선행연구는 학습부진아·학습장애아를 통합학급에 적응하기 위해 특수교육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일반학급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주로 국어, 수학과 같은 도구 교과와 또래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 편향되어 연구되었고, 또래교수 성패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또래교수 집단구성유형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부족하여 또래교수 상호작용의 본질을 명료하고 상세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위계성이 크고 개인차가 심한 과학과 수업에서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으로 집단구성유형을 달리하여 또래교수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M초등학교 6학년 10개 학급 중 동질성을 확보한 3개반을 선정하여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 1개반(30명),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 1개반(31명), 전통적 교수 집단 1개반(3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학습과제는 6학년 2학기 ‘일기예보’ 단원로 한정하였고 실험시작 전에 또래교수 집단을 대상으로 또래교수 관련 사전교육을 1차시(40분)실시하였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세 집단 모두 실험처치를 위하여 운영된 시간은 정규수업시간 총8차시이다. 실험처치 전에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 후 학업성취도 검사, 교과 흥미와 동기 검사, 또래교수 활동 프로토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또래교수의 집단구성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명백한 차이로 더 높은 학업성취를 나타냈다. 또한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 있어서는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나타내었다. 둘째,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명백한 차이로 더 높은 교과 흥미와 동기 향상을 보였고,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셋째, 일대일 또래교수와 삼대일 또래교수에 능력별로 세분화된 또래교수 집단간에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학업 성적이 상위 50%에 해당하는 또래교수자 집단간 학업 성취 점수는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일대일 또래교수에서는 또래학습자, 삼대일 또래교수에서는 또래교수자에 해당하는 상위 51%~75% 집단의 학업성취 향상정도는 삼대일 또래교수가 유의한 차로 높았다. 또한, 일대일 또래교수와 삼대일 또래교수에서 또래교수자에 해당하는 집단의 학업성취 향상정도 역시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나 삼대일 또래교수는 학업성취 향상에 명백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하위 25%에 해당하는 또래학습자 집단간 학업 성취 점수는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또래교수 활동 프로토콜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또래교수 학습방법이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응답으로 ‘본인 스스로의 역할’과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으로 응답하였다. 또래교수 활동 중 성공이나 좋은 경험으로 두 집단 모두 ‘인지적인 도움’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재미·흥미’, ‘보람’, ‘친근하고 편안한 분위기’ 등이 있었다. 또래교수 활동의 실패나 불쾌 경험은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은 ‘장난·집중하지 않음’, ‘과제 불이행’,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은 ‘없음’, ‘교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 전혀 없는 ‘교수 어려움’이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난 이유는 또래교수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은 또래 학생을 일대일로 지도하는데 있어 어려

      • 독일 예술가곡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중국 예술가곡의 음악특징 및 연주법 연구

        손영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예술가곡(Art song)’은 전문적인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고 예술적인 연주가들에 의해 연주되는, 대중노래(folk song)와는 반대 되는 진지한 노래를 뜻한다. 이 용어는 다성부적 노래(polyphonic songs) 보다는 19세기의 독일 리트(Lied)와 선율을 포함한, 주로 독창에 자주 쓰인다. 특별히 독일어로 된 예술가곡을 리트라고 부른다. “리트란 시와 음악의 결합이다”라고 언급되는 것처럼, 흔히 ‘음악적이지 않은 언어’로 여겨졌던 독일어의 아름다움이 피아노의 선율과 만나 더 깊은 정감을 줌으로써 시와 음악이 협동적업을 하는 독특한 예술 장으로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독일의 리트는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비서구의 여러 나라의 음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러한 영향은 중국의 현대 예술가곡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의 예술가곡에서 독일 리트의 영향은 첫째, 슈베르트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청주의 『아주장강두』에서 ‘가사그리기’ 수법과 형식에 있어서도 가사의 구조가 곧 형식이 되는 점은 슈베르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만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시의 운율을 살린 성악선율과 시가 가진 구조가 음악의 형식으로 되는 점, 그리고 피아노의 역할을 강조하여 음악의 흐름을 이끌어가도록 하는 기법 등을 조원임의 『규아여하불상타』에서도 볼 수 있다. 셋째, 볼프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볼프가 ‘문학적인 면에서 음악에 접근하려 시도’처럼 조원임의 『규아여하불상타』 작품에서도 시가 지닌 형식이나 또는 시의 운율을 음악에 구현하려는 점 등은 볼프 가곡의 영향으로 보인다. 넷째, 힌데미트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상동의 가곡 『임화사료춘홍』에서 인상주의와 무조 음악에서 흔히 발견되는 수법들인 ‘화음의 색채적 효과’로서의 사용, ‘잦은 변박의 사용’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다섯째, 쇤베르크 12음기법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라충용의 『섭강채부용』은 중국 ‘오성(五聲)’의 특징과 12음기법을 결합한 중국의 첫 12음 음렬작품이다. 여섯째, 서양의 전통적인 화성이론과 음악이론들을 받아들여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작품을 시도하는 것인데, 여영해의 『풍교야박』은 당나라 시인 장계의 시를 가사로 중국의 민족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하고 서양의 이론들을 결합한 새 시대 예술가곡의 이정표로 불린다. 본 논문은 “독일 예술가곡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중국 예술가곡의 음악특징 및 연주법 연구”를 통해 중국 예술가곡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 나은 연주가 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rt Song refers to a sincere song written by a professional composer and played by an artist, contrary to popular song(folksong), which is composed by a professional composer. This term is often used in solo, mainly including 19th century German Lied and melody, not polyphonic songs. In particular, German's art song is called Lied. As mentioned in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in liedland, the beauty of german, which is usually considered a non-musical language, meets the melody of the piano, giving people deeper feelings and developing into a unique art field in which poetry and music cooperate. This kind of German Wright has experienced several times, has also had the great influence to the music of many countries in the non-Western, this kind of influence also has the great influence to the Chinese modern art song. The influence of German Lied in Chinese art song is mainly reflected in: first, the influence of Schubert's songs can be cited. In Qing Zhou's 『I live in the upstream of Changjiang River』, the technique and form of "Word painting", the structure of lyrics is the form. This can be seen as Schubert's influence. Second, the influence of Schumann's songs, the vocal melody that embodies the rhythm of poetry and the structure of poetry become the form of music, as well as the techniques of emphasizing the role of piano and guiding music. The third is the influence of Wolf's songs, who tries to approach music from the literary aspect. Similarly, in Zhao Yuanren's 『Haw can I stop missing him』, the form of poetry, or try to reflect the rhythm of poetry in music, are influenced by Wolf's songs. Fourth, for example, the influence of Hindemith's songs, in San Tong's song 『The flower of the forest are red in spring』, we can find the use of impressionism and harmony color effect, frequent change use and so on. The fifth is the influence of Schoenberg's twelve-tone technique. Luo Zhongrong's 『Pick lotus in the river』 is the first 'twelve-tone' series works which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entatonic scale' with the twelve-tone technique in China. Sixth, absorb western traditional harmony theory and music theory in various novel ways. Li Yinghai's 『Mooring at night by maple bridge』 is a milestone of the new era art song based on the poetry of Tang Dynasty poet Zhang Ji's poem, Chinese traditional music and the western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eople have a deeper understanding and better performance of Chinese art song through the study of the value of Chinese art song in the 20th century influenced by German art song.

      • 호텔직원의 일-생활 균형에 따른 주관적 웰빙이 직무열의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손영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Even though human resources are really important in hotel industry, the accelerated environmental changes and irregular working environment have caused not only health problems and imbalances in work-life but dispute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ndividual inner conflicts.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to seek for measures for overcoming the presenteeism lowering the work efficiency and also improv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rsonal life and job engagement in accordance with the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composing the work-life balance, targeting hotel employee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subjective well-being, job engagement, and presenteeism of hotel employees.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employees working for the current hotel for a year or up out of employees of four & five star-hotels in Seoul, with the use of convenience sampling. After distributing total 480 questionnaires to 16 hotels, total 397 effective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2.0 and AMOS 22.0.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ternal consistency between each measurement items, and also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tool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hypotheses, first,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hotel employees were examined. All the composition factors of work-life balance such as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job engagement of hotel employees were examined. Third,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presenteeism of hotel employees was examined. The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hotel employees showed the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relation lowering the presenteeism. Fourth,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and job engagement, in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job engagement, work-family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play a role of partial mediating variables. work-family balance, work-growth balance, the job engagement also show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leisure balance and job engagement. Fifth,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presenteeism. Even though there were no direct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presenteeism, the subjective well-being completely mediated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family balance, work-leisure balance, work-growth balance, and presenteeism. The significance of this empirical analysis is to verify the influence relations between work-life balance, subjective well-being, job engagement, and presenteeism of hotel employees, and also to provide the academic/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it. Keywords : Work-Life Balance, Subjective Well-Being, Job Engagement, Presenteeism 호텔 산업은 인적자원이 매우 중요한 산업이지만, 가속화되어가는 환경적 변화와 불규칙한 근무환경으로 인하여 직원들의 건강문제 및 일-생활의 불균형 등으로 인한 직원 개인 내면의 갈등, 직원과 호텔 기업과의 다양한 갈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호텔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일-생활 균형을 구성하는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에 따른 개인적인 삶의 주관적 웰빙과 직장에서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고 업무의 효율성을 낮추는 프리젠티즘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변수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 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일-생활 균형, 주관적 웰빙, 직무열의, 프리젠티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서를 작성하였으며, 편의표본 추출법을 활용하여 서울지역 4성 호텔, 5성 호텔직원 중 현 근무 호텔 1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직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개 호텔 480부의 설문서를 배포하여 유효 표본 397부를 연구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항목 간의 내적 일관성을 평가하고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 첫째, 호텔직원의 일-생활 균형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일-생활 균형의 세 가지 구성 요인인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 모두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직원의 주관적 웰빙이 직장에서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호텔직원이 인지하는 주관적 웰빙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호텔직원의 주관적 웰빙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호텔직원이 인지하는 주관적 웰빙은 프리젠티즘을 낮추는 유의한 부(-)의 영향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주관적 웰빙이 일-생활 균형과 직무열의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주관적 웰빙은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과 직무열의와의 영향관계에서 일-가정 균형, 일-성장 균형은 부분매개역할, 일-여가 균형은 직무열의를 통해서만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유의성 검증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주관적 웰빙이 일-생활 균형과 프리젠티즘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일-생활 균형과 프리젠티즘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주관적 웰빙을 통해 일-가정 균형, 일-여가 균형, 일-성장 균형이 프리젠티즘 간의 영향관계에 완전 매개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통해 호텔직원의 일-생활 균형, 주관적 웰빙, 직무열의, 프리젠티즘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학문적 시사점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생활 균형, 주관적 웰빙, 직무열의, 프리젠티즘

      • 중국어 ‘구별사区别词’의 오류분석 및 교수·학습방안 연구

        손영 韓國外國語大學敎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现代汉语"区别词"偏误分析以及教学方案研究 本论文主要目的是考察韩国学习者区别词的教学和习得情况,归纳分析区别词的偏误类型和偏误原因,并将分析结果运用到汉语区别词的教学中。 本文的研究步骤如下: 首先,运用数据统计法、归纳法和演绎法相结合的方法,对《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中的区别词进行了分析与研究,并运用标记理论,以“的”为依据,对其进行了分类;其次,收集《HSK动态语料库》中所记载的区别词病句,总数为5040个;从中筛选出有关区别词的偏误,共616个;分析对象的区别词共有79个,其中有关“丙级区别词”的平均偏误率最高,为30.5%,其后依次是“丁级区别词”(30.2%)、“乙级区别词”(18.1%)、“甲级区别词”(15.1%);第三,通过对区别词教学现状的试卷调查,分析学习者在学习过程中产生的偏误,确认并补充了《HSK动态语料库》的偏误;最后,以偏误分析理论和区别词的语法功能为依据进行了偏误分析,总结了区别词的偏误情况、偏误类型,并找出产生偏误的原因。在分析结果的基础上建议了适当的汉语区别词教学建议。 分析结果如下: 一、各偏误类型的偏误率情况。误加占20.1%(124个)、遗漏占46.6%(287个)、误代占24.4%(150个)、杂糅占8.9%(55个)。可以看出,遗漏最多,其后依次误代、误加,杂糅最少,几乎没有错序偏误。 二、各偏误类型中偏误率比较高的项目。区别词修饰名词时,遗漏“的”情况最多,占23%。其次分别是:区别词修饰名词时误加“的”、区别词与所修饰的中心语搭配不当各占10%。因此在区别词教学时需要强调区别词修饰名词时是否能带“的”。 三、偏误产生的原因。由于中高级学习者将已经学过的形容词语法功能滥用到区别词的情况较多,因此因语内负迁移而产生的偏误最多,占52.4%。其后,因母语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33.9%,因英语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7.6%。因交际策略而产生的偏误占6%。 根据本论文分析结果,本文提出两点区别词的教学建议。 一、根据分析结果,设计了误加、遗漏、误代、杂糅等各偏误类型的教学建议以及练习题。这些方法能在教学现场运用,从而可以使学习者在学习汉语区别词的过程中避免产生偏误。 二,加强偏误语料库及研究结果的运用。通过这些资料能预测学习者将会产生的偏误,进而根据此研究成果改进教学方法,有效地防止学习者走向语言误区。 综上所述,本论文通过分析有关汉语区别词的偏误情况,充分了解了对外汉语教学中韩国学习者对区别词的习得情况。探索了偏误产生的原因,并通过深入的探讨研究提出了针对区别词的教学建议。希望本论文的研究成果能作为区别词教学的参考资料,对汉语教师及汉语学习者有所帮助。

      • 위쳇(wechat)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구매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손영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이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위이상 종사자에게 위쳇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설문 조사는 2018년 3월 27일부터 4월 8일까지 위쳇을 이용하여 한국 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중국사람 4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적합한 답변 9부를 제외하고 총 397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은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 问卷星https://www.wjx.cn/에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응답자들은 위쳇과 설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들을 통해서 모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위쳇 사용에 대한 소비자 편의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 작용성, 만족도, 충성도와 일반적 특성이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은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먼저 중국 소비자들이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하는 현황을 파악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위쳇을 통한 소비특성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위쳇 소비자들은 나이, 교육 수준, 직업, 결혼 여부, 월수입에 따라 소비태도와 구매 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구매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 작용성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은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매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이상 종사자가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가설2.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충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은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이상 종사자가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가설3. 구매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와 고객충성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구매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충성도에 있어서는 구매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구매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buying Korean cosmetics among Chinese consumers and to provide marketing strategies to WeiShang employe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406 Chinese consumers who bought Korean cosmetics before using WeChat from March 27 to April 8, 2018. A total of 397 copies excluding 9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Chines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ebsite ‘WJX (https://www.wjx.cn/)’, and respondents were chosen among the WeChat and WJX members. The survey items include consumer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interactivity, satisfaction, loyal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WeChat in buying Korean Cosmetics. I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t p<.05, p<.01, p<.00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Chinese consumers’ purchase of Korean cosmetics through WeCha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through WeCha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Chat consumers revealed differences in consumption attitude and purchasing power by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Hypothese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I: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purchase satisfaction from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reliability revealed greater influence than any other factors. To enhance purchase satisfaction, therefore, WeiShang employees may be able to manage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reliability. Hypothesis II: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loyalty by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eliability revealed greater influence than any other factors. To enhance customer loyalty, therefore, WeiShang employees may be able to manage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given to reliability. Hypothesis III: Purchase satisfaction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According to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purchase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former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the latt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purchase satisfaction is a crucial element in customer loyalt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o increase Chinese consumers’satisfaction and loyalty in buying Korean cosmetics through WeChat, it is a good idea to manage the WeChat features such a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Reliability particularly requires greater attention as it has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 한중(韓中) 사동표현의 대조 연구

        손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scribed with which method the grammatical category called 'causative(使動)' is realized, respectively, in Korean language and Chinese language that have different language style, and which meaning these realizing methods in each language indicate primarily, from the morphological,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 and examined difference and mutual correlation with causative category of each language in the functional relationship through comparison and contrast. A research, which was progres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writer accepts it based on definition called 'Tae(態:voice) that a causer allows causee to do any behavior or to be put in any situation' by Lee Ik-seop·Chae Wan(1999). This definition asserted that there should be these four compositional elements such as a causer of leading to causative case, a causee of performing Pisadong(被使動) behavior, causative case that causer gives directions to causee, and the consequence that a cause comes to do any behavior or to face any situation according to a causer's direction, in order to be established the causative. Second, in a method of realizing the causative, it analyzed by dividing the causative expression of Korean language into short-form causative, long-form causative, and lexical causative and by dividing the causative expression of Chinese language into syntactic causatives and lexical causative. Third,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function of the causative in the morphology were mainly discussed in the lexical structure. Both a causative verb, which was derived as the causative suffix in Korean language, and a causative verb, which was combined as the resultative complement structure in Chinese language, dominate even the syntactic sphere as well as the morphological combinatory relation. By the way, the causative suffix in Korean language performs only the function of the typical causative. However, the root, which performs the causative function in the resultative complement structure of Chinese language, indicates a meaning of causative, and also simultaneously functions even as substantial lexical meaning. And, as for realization of causative functional element(機能素), a case of Korean language is revealed hugely and externally. On the other hand, a case of Chinese language isn't almost existed a visual formal marker. Thus, the causative functional element(機能素) is inherent in causative verb. The causative functional element(機能素) in Korean language performs the function of external and pure causative. However, in case of Chinese language, the external and pure causative functional element(機能素) is implemented only ‘Sa(使), Ryeong(令).’ Fourth, in semantics, it described on the aspect of realizing predicative auxiliary, on the modifying scope of adverb, on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auser and causee, and on the features of causative verb. In the predicative auxiliary, it analyzed on tense, aspect, mood, and the aspect of being realized the subject honorific ‘-시-.’ The functional marker, which indicates tense and aspect in Chinese language, is mainly attached to the back of a predicate in the original leading sentence. However, in case of Korean language, it is attached to the back of auxiliary causative verb ‘하다.’ Mood in Chinese language is implemented as auxiliary verb. It can come only to the front of simple causative verb in causative sentence, but is attached to the back of huge auxiliary causative verb ‘하다’ in Korean language. ‘-시-’ in Korean language is available for honorific causer, honorific causee, and simultaneous honorific causer and causee in the syntactic causative. There is no formal honorific marker like ‘-시-’ in Chinese language. And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auser and causee was described by being divided into 3 kinds. Archetypal causer and causee allow only Yujeongche(有情體:creature of having consciousness), which has intention. In the non-principle relationship, the causer is Yujeongche(有情體). Causee is Mujeongche(無情體). Also, a causer is Mujeongche. A causee is Yujeongche. In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causer and causee, there is no formal distinction in case of Korean language. In case of Chinese language, ‘使’ causative is mainly shown Mujeongche(無情體) by causer and Yujeongche(有情體) by causee. And, ‘給’ causative and ‘叫’ causative can be shown the archetypal causer and causee. And the aspect of realizing causative verbs is different between Chinese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 causative verb in Korean language has intransitive verb, adjective, and transitive verb as the main verb of corresponding with it. However, a causative verb in Chinese language is existed only intransitive verb and adjective as the main verb of corresponding with it. The causative verb and the main verb in Korean language are corresponded one by one. However, in case of Chinese language, one main verb is corresponded with several causative verbs. Fifth, according to causer's domination and causee's performance ability, it is distinguished into direct causative and indirect causative, into forced causative and non-forced causative, and into demonstrative causative and controlled causative. As for whether a causer is involved in causee's action, it was divided into direct causative and indirect causative. In Korean language, the short-form causative indicates a meaning of direct causative. The long-form causative indicates a meaning of indirect causative. In Chinese language vocabulary, ‘給’ causative indicates a meaning of direct causative. ‘使’ causative, ‘叫’ causative, and ‘讓’ causative indicate a meaning of indirect causative. When causer and causee are indicated to be archetypal relationship, a causer's domination was divided into forced causative and non-forced causative according to strength and weakness. In Korean language, it is what is divided mainly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showing volitional adverb. In Chinese language, it is what is decid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simple causative verb. And, according to the causee's performance ability, the demonstrative causative and the controlled causative were divided. In Korean language, the demonstrative causative and the controlled causative are possible, but are not related to a type of realizing causative. In Chinese language, the syntactic causative indicates mainly the demonstrative causative. The lexical causative may thoroughly indicate the demonstrative causative and the controlled causative. Key Words: Causative, Grammatical theory, Semantics, Causative category, Tae(態:voice), Causative suffix, ‘-게 하다’ causative, ‘(-)시키다’ causative, Syntactic causatives, Lexical causatives, Causative functional element(機能素), Causer, Causee, Causative verb 본고에서는 ‘使動’이라는 문법범주가 다른 언어 유형을 가지고 있는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각각 어떠한 방법으로 실현되며, 각 언어의 이러한 실현 방법들이 어떤 의미를 주로 나타내는가를 형태론적, 통사론적, 의미론적 관점에서 기술하고 비교와 대조를 통해 기능 관계에서의 각 언어 사동법의 차이성과 상호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진행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자는 이익섭·채완(1999)의 ‘사동주가 피사동주로 하여금 어떤 행위를 하게 하거나 어떤 상황에 놓이게 하는 태’라는 정의를 토대로 받아들인다. 이 정의는 사동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사동 사건을 일으키는 사동주, 피사동 행위를 수행하는 피사동주, 사동주가 피사동주에게 지시하는 원인 사건, 사동주의 지시로 피사동주가 어떤 행위를 하게 되거나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결과 사건 이 네 가지 구성 요소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둘째, 사동의 실현방법에서는 한국어의 사동표현을 단형 사동, 장형 사동, 어휘 사동으로 나누고 중국어의 사동표현을 통사적 사동, 어휘적 사동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셋째, 형태론에서 사동의 기능을 수행하는 성분은 어휘구조에서 주로 논의했다. 한국어 사동 접미사로 파생된 사동사와 중국어의 결과보어구조로 복합된 사동사는 모두 형태적 결합 관계뿐만 아니라 통사적인 영역까지 지배한다. 그런데 한국어의 사동 접미사는 전형적인 사동의 기능만을 수행하지만 중국어의 결과보어구조에서 사동 기능을 수행하는 어근은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동시에 실질적인 어휘 의미로도 작용한다. 그리고 사동기능소의 실현은 한국어의 경우는 거대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반면에 중국어의 경우는 가시적인 형식 사동표지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동기능소는 사동사에 내재되어 있다. 한국어 사동기능소는 외형적이고 순수한 사동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중국어의 경우 외형적이고 순수한 사동기능소는 ‘使, 令’만 구현된다. 넷째, 통사론에서는 서술어 보조소의 실현 양상, 부사의 수식 범위,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작용관계, 사동사의 특징에 대해 서술했다. 서술어 보조소에서 시제, 상, 서법, 주제 높임 ‘-시-’ 가 실현하는 양상에 대해 분석했다. 중국어에서 시제와 상을 나타내는 기능 표지는 주로 원주동문의 서술어 뒤에 붙지만, 한국어의 경우는 보조 사동사 ‘하다’의 뒤에 붙는다. 중국어 서법은 능원동사로 구현되어 사동문에서는 단순 사동사의 앞에만 올 수 있는데 한국어에서는 거대 보조 사동사 ‘하다’의 뒤에 붙는다. 한국어 ‘-시-’는 통사적 사동에서 사동주 높임, 피사동주 높임, 사동주와 피사동주 같이 높임을 할 수 있다. 중국어에서는 ‘-시-’와 같이 형식적인 존칭 표지가 없다. 그리고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작용관계는 3가지로 나누어 서술했다. 원형적인 사동주와 피사동주가 의지를 가진 유정체만 허용한다. 비원칙적인 관계에서는 사동주는 유정체이고 피사동주는 무정체, 혹은 사동주는 무정체이고 피사동주는 유정체이다.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작용관계에서 한국어의 경우는 형식적 구별이 없는데 중국어의 경우는 ‘使’ 사동에서 사동주는 주로 무정체를 나타내고 피사동주는 유정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給’ 사동과 ‘叫’ 사동은 원형적인 사동주와 피사동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사동사의 실현 양상이 다르다. 한국어의 사동사는 그와 대응하는 주동사로 자동사, 형용사, 타동사가 있다. 그러나 중국어의 사동사는 그와 대응하는 주동사가 자동사와 형용사만 존재한다. 한국어의 사동사와 주동사는 일일이 대응되지만, 중국어의 경우 하나의 주동사가 여러 사동사와 대응된다. 다섯째, 사동주의 지배력과 피사동주의 수행능력에 따라서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강제 사동과 비강제 사동, 그리고 지시 사동과 조종 사동으로 구별된다. 사동주가 피사동주의 동작에 관여하는지를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으로 나누었다. 한국어의 단형 사동은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고 장형 사동은 간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중국어 어휘 사동, ‘給’ 사동은 직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내고 ‘使’ 사동, ‘叫’ 사동, ‘讓’ 사동은 간접 사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사동주와 피사동주가 원형적인 관계로 나타나는 경우에 사동주의 지배력이 강약(强弱)에 따라 강제 사동과 비강제 사동으로 나누었다. 한국어에서는 주로 의지 부사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나누는 것이고 중국어에서는 단순 사동사의 작용 기능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피사동주의 수행능력에 따라 지시 사동과 조종 사동을 나눴다. 한국어에서는 지시 사동과 조종 사동이 가능하지만 사동의 실현 유형과 무관하다. 중국어에서 통사적 사동은 주로 지시 사동을 나타내고 어휘 사동은 지시 사동과 조종 사동을 두루 나타낼 수 있다. 핵심어: 사동, 문법론, 의미론, 사동법, 태(態), 접미사 사동, ‘-게 하다’ 사동, ‘(-)시키다’ 사동, 통사적 사동, 어휘적 사동, 사동기능소, 사동주, 피사동주, 사동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