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논문은 실용음악 석사과정의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 <Rhythm night>에서 발표 된 자작곡 및 편곡들과 공연의 내용을 부석한 것이다. 본 논문은 대학원에서 습득한 음악 이론, 작곡 기법, 편곡과 노래 방식을 바탕으로 공연 노래의 형식, 악기 편성 등 각 작품에 대한 주제와 내용에 대한 설명 몇 본석을 목적으로 한다. 공연은 < Rhythm Night>라는 주제로 노래를 통해 금요일 Live club 현장 같은 분 위기를 만들고 누구나 음악 속에서 즐길 수 있는 공연을 하고자 한다, 졸업 작품은 자작곡 두 곡과 네 곡의 편곡으로 포함해서 총 여섯 곡으로 각기 다른 느낌으로 대표 한다. 생활에서 모든 고민이나 슬픔을 잠시 내려놓고 나랑 같이 즐겨보자 하는 주제 이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된 여섯 곡은 피아노, 건반, 일렉 기타, 어쿠스틱 기타, 드럼, 베이스, 코로스, 보컬로 편성되었다. 곡마다 악기의 편성을 다르게 하였으며, 보사노바, 팝, 락 등의 스타일로 구성이 되어있다. 그중에서 중국어 노래 두 곡, 한국어 노래 한 곡 , 영어 노래 세 곡이 풍부하게 나타났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공연의 내용이 상세하게 전달되고 공연의 예상, 공연장, 출연자, 스태프 등의 설명이 상세히 담겨 있는데, 이 논문을 통해 부족한 점을 찾아 자신을 더욱 보완하게 배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ccompanied by self-composed songs and arrangements and performances presented at the graduation performance "rhythm night" for the completion of a master's course in practical music. Based on the music theory, compositional techniques, arrangement and singing methods acquired in graduate school,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few examples of explanations on the theme and content of each piece, including the format of performance songs and instrument composition. Under the theme of "Rhythm Night," the performance will create a live club-like atmosphere on Friday and a performance that anyone can enjoy in music. The graduation work is represented by a total of six songs, including two self-composed songs and four arrangements. It's a topic that I want to put down all my worries and sorrows in my life and enjoy with me. The six songs played in the graduation performance consisted of piano, keyboard, electronic guitar, acoustic guitar, drum, bass, chorus, and vocals. Each song has a different arrangement of instruments, consisting of bossa nova, pop, rock, etc. Among them, two Chinese songs, one Korean song, and three English songs appeared in abundance. Through this paper, the contents of the performance are delivered in detail, and the expectations of the performance, the venue, the cast, and the staff are detailed, and we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us find shortcomings and learn more about ourselves.
위쳇(wechat)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한국 화장품 구매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이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위이상 종사자에게 위쳇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설문 조사는 2018년 3월 27일부터 4월 8일까지 위쳇을 이용하여 한국 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중국사람 4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부적합한 답변 9부를 제외하고 총 397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조사 방법은 중국 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 问卷星https://www.wjx.cn/에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응답자들은 위쳇과 설문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들을 통해서 모집하였다. 조사항목은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위쳇 사용에 대한 소비자 편의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 작용성, 만족도, 충성도와 일반적 특성이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은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먼저 중국 소비자들이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하는 현황을 파악한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위쳇을 통한 소비특성 차이 분석 결과를 보면 위쳇 소비자들은 나이, 교육 수준, 직업, 결혼 여부, 월수입에 따라 소비태도와 구매 능력이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1.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구매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 작용성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성은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매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이상 종사자가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가설2.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충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은 고객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은 다른 요인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이상 종사자가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가설3. 구매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위쳇 특성에 따른 구매만족도와 고객충성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구매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충성도에 있어서는 구매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위쳇으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때 구매만족도와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위쳇 특성인 편리성, 즉시성, 즐거움, 신뢰성, 상호작용성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신뢰성을 더 중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buying Korean cosmetics among Chinese consumers and to provide marketing strategies to WeiShang employee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406 Chinese consumers who bought Korean cosmetics before using WeChat from March 27 to April 8, 2018. A total of 397 copies excluding 9 poorly answered on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Chinese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ebsite ‘WJX (https://www.wjx.cn/)’, and respondents were chosen among the WeChat and WJX members. The survey items include consumer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interactivity, satisfaction, loyal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WeChat in buying Korean Cosmetics. In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nalyzed at p<.05, p<.01, p<.00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Chinese consumers’ purchase of Korean cosmetics through WeChat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analysis of differences in consumption patterns through WeCha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Chat consumers revealed differences in consumption attitude and purchasing power by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Hypotheses test results are as follows: Hypothesis I: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purchase satisfaction from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satisfac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reliability revealed greater influence than any other factors. To enhance purchase satisfaction, therefore, WeiShang employees may be able to manage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It is particularly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reliability. Hypothesis II: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In terms of the factors affecting customer loyalty by WeChat feature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eliability revealed greater influence than any other factors. To enhance customer loyalty, therefore, WeiShang employees may be able to manage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given to reliability. Hypothesis III: Purchase satisfaction w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According to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purchase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the former revealed a positive effect on the latter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words, purchase satisfaction is a crucial element in customer loyalt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o increase Chinese consumers’satisfaction and loyalty in buying Korean cosmetics through WeChat, it is a good idea to manage the WeChat features such as convenience, immediacy, enjoyment, reliability and interactivity. Reliability particularly requires greater attention as it has a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독일 예술가곡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중국 예술가곡의 음악특징 및 연주법 연구
손영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예술가곡(Art song)’은 전문적인 작곡가들에 의해 작곡되고 예술적인 연주가들에 의해 연주되는, 대중노래(folk song)와는 반대 되는 진지한 노래를 뜻한다. 이 용어는 다성부적 노래(polyphonic songs) 보다는 19세기의 독일 리트(Lied)와 선율을 포함한, 주로 독창에 자주 쓰인다. 특별히 독일어로 된 예술가곡을 리트라고 부른다. “리트란 시와 음악의 결합이다”라고 언급되는 것처럼, 흔히 ‘음악적이지 않은 언어’로 여겨졌던 독일어의 아름다움이 피아노의 선율과 만나 더 깊은 정감을 줌으로써 시와 음악이 협동적업을 하는 독특한 예술 장으로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독일의 리트는 여러 시대를 거치면서 비서구의 여러 나라의 음악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이러한 영향은 중국의 현대 예술가곡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의 예술가곡에서 독일 리트의 영향은 첫째, 슈베르트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청주의 『아주장강두』에서 ‘가사그리기’ 수법과 형식에 있어서도 가사의 구조가 곧 형식이 되는 점은 슈베르트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만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시의 운율을 살린 성악선율과 시가 가진 구조가 음악의 형식으로 되는 점, 그리고 피아노의 역할을 강조하여 음악의 흐름을 이끌어가도록 하는 기법 등을 조원임의 『규아여하불상타』에서도 볼 수 있다. 셋째, 볼프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볼프가 ‘문학적인 면에서 음악에 접근하려 시도’처럼 조원임의 『규아여하불상타』 작품에서도 시가 지닌 형식이나 또는 시의 운율을 음악에 구현하려는 점 등은 볼프 가곡의 영향으로 보인다. 넷째, 힌데미트 가곡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상동의 가곡 『임화사료춘홍』에서 인상주의와 무조 음악에서 흔히 발견되는 수법들인 ‘화음의 색채적 효과’로서의 사용, ‘잦은 변박의 사용’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다섯째, 쇤베르크 12음기법의 영향을 들 수 있는데, 라충용의 『섭강채부용』은 중국 ‘오성(五聲)’의 특징과 12음기법을 결합한 중국의 첫 12음 음렬작품이다. 여섯째, 서양의 전통적인 화성이론과 음악이론들을 받아들여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작품을 시도하는 것인데, 여영해의 『풍교야박』은 당나라 시인 장계의 시를 가사로 중국의 민족전통음악을 바탕으로 하고 서양의 이론들을 결합한 새 시대 예술가곡의 이정표로 불린다. 본 논문은 “독일 예술가곡의 영향을 받은 20세기 중국 예술가곡의 음악특징 및 연주법 연구”를 통해 중국 예술가곡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 나은 연주가 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Art Song refers to a sincere song written by a professional composer and played by an artist, contrary to popular song(folksong), which is composed by a professional composer. This term is often used in solo, mainly including 19th century German Lied and melody, not polyphonic songs. In particular, German's art song is called Lied. As mentioned in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music in liedland, the beauty of german, which is usually considered a non-musical language, meets the melody of the piano, giving people deeper feelings and developing into a unique art field in which poetry and music cooperate. This kind of German Wright has experienced several times, has also had the great influence to the music of many countries in the non-Western, this kind of influence also has the great influence to the Chinese modern art song. The influence of German Lied in Chinese art song is mainly reflected in: first, the influence of Schubert's songs can be cited. In Qing Zhou's 『I live in the upstream of Changjiang River』, the technique and form of "Word painting", the structure of lyrics is the form. This can be seen as Schubert's influence. Second, the influence of Schumann's songs, the vocal melody that embodies the rhythm of poetry and the structure of poetry become the form of music, as well as the techniques of emphasizing the role of piano and guiding music. The third is the influence of Wolf's songs, who tries to approach music from the literary aspect. Similarly, in Zhao Yuanren's 『Haw can I stop missing him』, the form of poetry, or try to reflect the rhythm of poetry in music, are influenced by Wolf's songs. Fourth, for example, the influence of Hindemith's songs, in San Tong's song 『The flower of the forest are red in spring』, we can find the use of impressionism and harmony color effect, frequent change use and so on. The fifth is the influence of Schoenberg's twelve-tone technique. Luo Zhongrong's 『Pick lotus in the river』 is the first 'twelve-tone' series works which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entatonic scale' with the twelve-tone technique in China. Sixth, absorb western traditional harmony theory and music theory in various novel ways. Li Yinghai's 『Mooring at night by maple bridge』 is a milestone of the new era art song based on the poetry of Tang Dynasty poet Zhang Ji's poem, Chinese traditional music and the western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people have a deeper understanding and better performance of Chinese art song through the study of the value of Chinese art song in the 20th century influenced by German art song.
텍스트 데이터 기반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 담론 분석
전세계적으로 환경오염이 심해지면서 각국은 경제발전의 과정에서 녹색·저탄소·지속가능한 발전이념을 선도하고 있다. 중국은 석유 자원의 부족과 환경오염 등의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신에너지 자동차를 점차 발전시켰다. 신에너지 자동차는 신흥산업으로 전기 투입의 위험이 커서 정책 조합을 통해 산업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 현재 중국은 이미 일련의 신에너지 자동차 정책을 실시하여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전략 측면에서 구체적인 정책에 이르기까지 핵심 분야에 대한 지원을 끊임없이 강화하고 신에너지 자동차 사장을 지향하도록 유도하여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의 고속 발전을 촉진시키고 있다. 신에너지 자동차를 보급하는 것은 중국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안전에 대응하는 중요한 돌파구이다. 이와 같은 시기에 신에너지 자동차는 혁신형 산업으로서 충분한 기술 혁신을 통해 업그레이드를 선도하고 중국의 첨단제조업종으로의 전진을 촉진하여 자동차 산업의 형태 전환과 고도화를 실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시적인 시각으로 빅데이터를 통해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신에너지 자동차의 연구 배경을 소개하고 신에너지 자동차의 발전 배경과 현황, 선행연구와 정책을 분석하여 신에너지차 발전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의 최근 발전 추세를 감안하여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약 10년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중국 신에너지 자동차’를 키워드로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분석과 CONCOR 분석을 수행하여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텍스드 마이닝 분석을 통해 12・5규획 기간 중국은 녹색발전과 환경보호의 이념을 중시하여 특히 신에너지 자동차산업에 큰 관심이 있었다. 정책적 지원도 신에너지 자동차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3・5규획 기간의 중국은 환경보호를 위해 이미 신에너지 자동차를 발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특히 기술연구에 대해 더욱 중점을 두었다. 순수 전기자동차는 중국의 미래 자동차산업의 발전 방향으로 중국은 신에너지 자동차산업의 특허 기술연구에 주력하여 획기적인 발전을 이룩한다. 다음으로 CONCOR 분석을 통해 12・5규획 기간은 주로 정책적 지원으로 기업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정부는 발전 초기 단계에 있는 신에너지 자동차 신흥산업에 대한 경제적·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신에너지 자동차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13・5규획 기간은 신에너지 자동차산업 기술에 관한 연구와 신에너지 자동차산업을 공고히 하는데 더욱 치중했다. 중국은 전략적 지향이 명확해지고 점차 산업 지원 정책 체계도 보완되고 있다. 정책이 장기적인 선도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업계는 새로운 인프라 건설 주도 단계에 진입하였고, 새로운 에너지 인프라 건설은 고출력, 지능화, 네트워크 플랫폼화 등 고품질의 방향으로 발전하게 됐다.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시장 구조의 다각화, 경쟁 구도의 재구성, 점진적인 기술의 향상, 신속한 인프라 완비 등 여러 가지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중국은 신에너지 자동차 업계의 장기적인 고품질 발전을 위해 튼튼한 기초를 다졌다고 할 수 있다. With the increasing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countries have advocated the concept of green, low-carb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realistic problems of lack of petroleum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my country has gradually put the development of clean energy vehicles on the agenda. As an emerging industry, new energy vehicles have relatively high investment risks in the early stage, and require a combination of policies to drive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 At present, my country has promulgated a series of new energy vehicle policies, which have achieved good results. From strategic direction to specific policies, we will continue to strengthen support in core areas, gradually guide new energy vehicles to face the market, and promote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new energy vehicle industry. The promotion of new energy vehicles in the future development is an important breakthrough for my country to deal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ergy security. At the same time, as an innovative industry, new energy vehicles can fully lead industrial upgrading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accelerate my country's move towards a high-precision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alize the transformation and upgrading of the automotive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 vehicles through big data from a macro perspective. First, the research background of new energy vehicles was introduced, and the need fo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was examined by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current status of new energy vehicles, as well as previous studies and policy summaries. Considering the recent development trend of new energy vehicles in China, data for about 10 years from 2011 to 2020 was collected and set as an analysis target. Big data was collected as a keyword for 'Chinese new energy vehicle' and text mining was conducted. . In addition, the meaning was derived by performing network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exted mining analysis, during the Dec. 5 Plan period, China was very interested in the new energy automobile industry in many respects, focusing on the ideology of green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Policy support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 vehicles. In the period of Plan 13.5, China, in particular,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technological research, as well as developing new energy vehicl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Pure electric vehicles are the future direction of China's automobile industry. Next, through the CONCOR analysis, the 12/5 period led the growth of companies mainly with policy support, and the government provided economic and technical support to the new energy vehicle emerging industry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new energy vehicles. played a decisive role. And the 13.5 Plan period focused more on research on new energy automobile industry technology and announcement of new energy automobile industry. China's strategic orientation is clear, and the industrial support policy system is gradually improving. The long-term guiding role of the policy has gradually come into play, the industry has entered a new infrastructure-led stage, and the construction of new energy infrastructure is developing towards a high-quality, high-power, intelligent, and network-based platform. The scale of China's new energy vehicle market continues to break through, showing many characteristics such as diversified market structure, deep restructuring of the competition landscape, increasing technological level, and accelerated improvement of infrastructure,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the long-term high-quality development of the new energy vehicle industry.
[Abstract] Damages in Companion Animal Tort Case SON, YOUNG SIL Department of Law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KIM, JE WAN Under the Korean Civil Code pet animals are regarded as personal properties. Therefore damage claims arising from pet's injury or death shall follow basic principles of personal property tort. Under these principles,, describing in the Korean Civil code, when a defendant has broken a plaintiff's personal property, he shall compensate the repair cost. However the cost exceed too much the exchanging market value of the property, the compensation amount shall be reduced to the market value. Following the Korean tort principle, a plaintiff whose pet was injured by a defendant's negligence, he shall be compensated with a pet's veterinarian fees. However when the fee exceeds too much the pet's market value, the compensation amount shall be reduced to the market value. But it is unreasonable when a the owner have a pet without any transactions for example, one of his or he friend sent a pet as a gift. In this case he or she can not prove the market value. Korean personal property tort law shall not acknowledge the compensation of pain and sufferings or emotional distress of the owner of the property. Therefore a pet's owner shall not be compensated on his or her pain and sufferings or emotional distress resulting from his or her pet's injury or death caused by tortfeasor's intentional or negligence action. According to a 2015 research, the 21.8% of Korean homes have raised pet animals. Koreans nowadays have recognized pet animals as a one of his or her family members. Pet animals are far different from ordinary personal property because they can communicate with and exchange emotions with their owners. In recent pet tort cases several Korean districts courts have decided that the defendant shall compensate veterinarian fees exceeding market value of the pet. Even some court have decided that the defendant be compensate the pain and sufferings of plaintiff whose pet was dead by defendants intentional or negligence action. To correct discrepancy between tort law principles and real practice, the Special Act focusing on damage issues related with pet shall be enacted. Under the Special Act a pet shall be treated as quasi-person which shall be different from personal property and be governed by more legal protection. To provide more precise protection for pet animals, the definition provision of pet animal and owner of the pet animal shall be included in the Special Act. the Special Act shall describe actual value compensation which exceeding market value in pet tort case. Pain and sufferings or emotional distress of the owner of pet animal shall be included as compensated damages, however it is appropriate that the Special Act shall describe about 10,000 USD as a cap of the compensation following other countries' legislations.
또래교수의 집단구성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과학과 연구
손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 육성을 위해 학생 중심의 수준별·개별화 학습이 강조되고 있는 다인수 학급 현실에서 대안적인 교수방법으로 또래교수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기존 또래교수 선행연구는 학습부진아·학습장애아를 통합학급에 적응하기 위해 특수교육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일반학급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주로 국어, 수학과 같은 도구 교과와 또래학습자의 인지적 측면에 편향되어 연구되었고, 또래교수 성패에 있어 중요한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또래교수 집단구성유형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부족하여 또래교수 상호작용의 본질을 명료하고 상세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위계성이 크고 개인차가 심한 과학과 수업에서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으로 집단구성유형을 달리하여 또래교수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소재한 M초등학교 6학년 10개 학급 중 동질성을 확보한 3개반을 선정하여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 1개반(30명),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 1개반(31명), 전통적 교수 집단 1개반(3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학습과제는 6학년 2학기 ‘일기예보’ 단원로 한정하였고 실험시작 전에 또래교수 집단을 대상으로 또래교수 관련 사전교육을 1차시(40분)실시하였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세 집단 모두 실험처치를 위하여 운영된 시간은 정규수업시간 총8차시이다. 실험처치 전에는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 후 학업성취도 검사, 교과 흥미와 동기 검사, 또래교수 활동 프로토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또래교수의 집단구성유형이 학업성취도 및 흥미와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명백한 차이로 더 높은 학업성취를 나타냈다. 또한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 있어서는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나타내었다. 둘째, 또래교수 집단이 전통적 교수 집단보다 명백한 차이로 더 높은 교과 흥미와 동기 향상을 보였고,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셋째, 일대일 또래교수와 삼대일 또래교수에 능력별로 세분화된 또래교수 집단간에 학업성취도 차이를 검증해 본 결과 학업 성적이 상위 50%에 해당하는 또래교수자 집단간 학업 성취 점수는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로 더 높게 나타났다. 일대일 또래교수에서는 또래학습자, 삼대일 또래교수에서는 또래교수자에 해당하는 상위 51%~75% 집단의 학업성취 향상정도는 삼대일 또래교수가 유의한 차로 높았다. 또한, 일대일 또래교수와 삼대일 또래교수에서 또래교수자에 해당하는 집단의 학업성취 향상정도 역시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이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나 삼대일 또래교수는 학업성취 향상에 명백한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하위 25%에 해당하는 또래학습자 집단간 학업 성취 점수는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또래교수 활동 프로토콜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또래교수 학습방법이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응답으로 ‘본인 스스로의 역할’과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으로 응답하였다. 또래교수 활동 중 성공이나 좋은 경험으로 두 집단 모두 ‘인지적인 도움’으로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재미·흥미’, ‘보람’, ‘친근하고 편안한 분위기’ 등이 있었다. 또래교수 활동의 실패나 불쾌 경험은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은 ‘장난·집중하지 않음’, ‘과제 불이행’, 순으로 나타났으며,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은 ‘없음’, ‘교수 어려움’ 순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 전혀 없는 ‘교수 어려움’이 일대일 또래교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난 이유는 또래교수 경험이 없는 학습자들은 또래 학생을 일대일로 지도하는데 있어 어려
중국 신사실소설의 변화 양상 연구 : - 池莉, 方方, 劉震雲을 중심으로 -
Abstract A Study on the Aspect of Changes in Chinese New Realistic Novels –Focusing on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Sun Rong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thesis intensively considered a certain relation between new realistic novels of the 1980s-1990s in China and the novels created afterwards, focusing on the novels published in 1986-2017 by the relative authors of new realistic novels such as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based on the concept of post-new realistic novel. In the academia so far, there have been discussions focusing on the new realistic novel works published in the 1980s-1990s. It has been explained that the new realistic novels as a school or trend vanished into thin air after the 1990s. Howeve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in which those three authors were actively working in the literary world even after 2000, and they continued the significant literary writing targeting the reality of China in the 21st century, it would be difficult to say that there are no common features in their works any more based on the existing evaluation saying the creation of new realistic novels was stopped after the 1990s. Of course, after the 2000s, the three authors show distinct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author’s interest, materials of work,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works of the 1980s-1990s called the era of new realistic novels and after 2000s regarded as the era when the new realistic novels disappear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researcher found a common feature in which they concentrated on describing the ‘daily life of ordinary Chinese citizens’. In other words, in the aspect of continuously maintaining the basic creation attitude or perspective of new realistic novels published in the past even in the 2010s, the novels by the three authors must have the diachronic continuity. Thus,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suggests to examine the three authors’ works published from 1986 to 2017 by dividing them into different periods such as new realistic novels and post-new realistic novels. First, in order to explain the birth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new realistic novels, Chapter 2 in the body introduces the changes in urban daily life of ordinary citizens after the reform/opening by dividing them into the 1980s, after the South Tour Talks in 1992, and the 2000s. Based on the explanation of this background, the creation of novels by the authors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is described by dividing the writing in the period of new realistic novels and the period of post-new realistic novels into two paragraphs. And based on the concrete contents of ordinary citizens’ daily life shown in works, their creation of new realistic novels were classified into the former part and latter part. Chapter 3 discourses on the writing handling the ordinary Chinese citizens’ daily life by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in the period of new realistic novels. In the former stage of new realistic novels, the three authors describe the ordinary citizens’ daily life always suffering from the lack of goods, and their agony and helplessness felt from this life. In the latter stage of new realistic novels, even though the three authors still describe the ordinary citizens’ daily life, they start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daily life of ordinary citizens who are represented as successful people, and the ordinary citizens’ desire for it. In other words, the ordinary citizens’ envy of middle class has become the center of description. After discoursing on each author’s creation of new realistic novels, it discusses their criticism of reality behind their daily life. The ordinary citizens’ difficult life described by three authors in the former stage of new realistic novels is not a problem just limited to the individual level. The problematic phenomena such as corruption of government officials, double-price system, and black market trade in daily life are related to the irrationality inherent in the past planned economy system of China. For this reason, the writing of individual ordinary citizen’s daily life is indirectly reflecting the elements of system composing the condition and background of daily life such as national policy and economic system. In other words, those authors indirectly criticize the Chinese government of the time that could not guarantee the minimum material desire, through the description of economically-poor life of ordinary citizens. In the latter stage of new realistic novels, the three authors aimed to objectively show the problems of Chinese-characteristic soci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ordinary citizens’ desire for becoming the middle class. For example, many phenomena such as abuse of power, overflowing mammonism, unemploymen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hown in novels are connected to the irrationality shown in the process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e three authors completely got out of the tendency of literary marketization of the time. In this period, as intellectual writers, they not only showed the look of sharply pointing out the irrationality of society, but also showed a bit of vulgar taste such as beautifying a successful person and emphasizing some romantic elements to meet the readers’ expectation at the same time. Like this, the authors’ ambiguous and uncertain attitude of criticism could be understood as a method to express their internal contradiction they experienced in the commercialization era. Chapter 4 discourses on the writing of ordinary citizens’ daily life by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in the period of post-new realistic novels. In this period, the three authors’ creation gets changed a lot compared to the period of new realistic novels. The novel characters the three authors put up are not the ordinary citizens who are just obsessed about satisfying the needs of necessities of life any more. They are all the weak of Chinese society, face different difficulties and frustrations in daily life, and make different choices. The female characters of ChiLi’s novels in this period go through all sorts of frustrations, realize that the sexually-discriminative reality of society obstructs them, and then achieve their social success through economic independence after getting out of the dependence on men. Meanwhile, the unemployed laborer or the ant tribe described in FangFang’s novels are honest good-natured people even in their physically-poor situations. Through the irony in which such good-natured people face misfortunes, the author satirizes and criticizes the malformed society which is tougher for good-hearted people. The characters Liu Zhenyun describes endlessly fight against the government officials to keep their own rights and benefits. For example, in order to prove her innocence, a rural woman, Li Xuelian fought against the government officials for 20 years, and as a result, she dragged down many government officials. Revealing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personal incident is changed to a public incident, Liu Zhenyun exposes the social problems such as idle bureaucratic society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between citizens and the government. The three authors concentrated on illuminating the irrationality of Chinese society, and the intensity of their criticism gets very sharp. The ‘new realistic novels’ are more than a single literary trend, school, and trend of creation simply shown in a specific period of history. Even though the history of literature interprets that the creation of new realistic novels as a literary school or trend ended after the 2000s, the authors like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are still aiming for the post-ideological approach to the reality of life by intervening in reality through literature based on the realistic spirit just as the new realistic novels. That is why the creation by ChiLi, FangFang, and Liu Zhenyun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under the category of post-new realistic novels.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three authors went through lots of changes till the 21st century after starting from a single root of new realistic novel in the 1980s, they maintain the basic consciousness of problems as authors, and inherit the critical spirit of new realistic novels. Concretely, this spirit might be an attitude that endlessly faces the irrationality in Chinese society in the level of micro-politics. In the aspect of intervening in reality and criticizing the reality by using novels as a tool, their works in the period of post-new realistic novels still show the attitude of creation in the period of new realistic novels. The post-new realistic novels based on the spirit of new realistic novels need to be more explored in the future as a case of Chinese literature that has accomplished the historicality and nowness. keywords : ordinary Chinese citizens, daily life, new realistic novels, the critical spirit, ChiLi, FangFang, Liu Zhenyun Student Number : 2016-30738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포스트신사실소설이라는 개념에 입각하여 신사실소설의 대표 작가 池莉, 方方, 劉震雲이 1986-2017년 발표한 소설을 중심으로 1980, 90년대 중국 문단에 등장했던 신사실소설과 이후에 그들이 창작된 소설 사이 모종의 연관성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세 작가는 신사실소설이 성행하기 시작할 무렵 문단에 등장하여 지금까지도 중국 신사실소설을 대표하는 작가로 인정받고 있으며 중국 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신사실소설에 관해 1980, 90년대 발표된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해왔으며, 유파나 사조로서의 신사실소설은 1990년대를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고 설명해왔다. 다시 말하자면, 기존의 중국 문학사 및 선행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00년 이후 발표된 중국 소설은 더 이상 신사실소설이라는 범주를 통해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세 작가가 이후에도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했으며, 21세기 중국의 현실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문학적 글쓰기를 계속해왔다는 점에 주목할 때, 신사실소설 창작이 1990년대를 기점으로 단절되었다는 기존의 평가에 근거하여 이후 그들의 작품에서도 더 이상 공통점을 발견할 수 없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물론 2000년대 이후 세 작가는 관심사 및 작품의 소재, 미학적 특징 등 여러 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문학사에서 신사실소설의 시대라고 명명되는 1980, 90년대와 신사실소설이 사라진 시대로 간주되는 2000년대 이후의 작품에서 그들이 공통적으로 ‘소시민의 일상’을 묘사하는 데 주력해왔음을 발견할 수 있다. 소시민의 일상을 묘사함으로써 문학이 현실을 반영하고 현실에 개입할 수 있다는 그들의 창작 이념은 시기를 불문하고 일관되게 드러난다. 다시 말해 세 작가의 소설은 2010년대에 이르러서도, 과거 발표했던 신사실소설의 기본적인 창작 태도나 시각을 유지하고 이어받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실을 고려하여, 1986년부터 2017년까지 발표된 세 작가의 작품을 신사실소설과 포스트신사실소설이라는 새로운 시기 구분 아래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먼저 본론의 2장에서는 신사실소설의 탄생 및 발전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 개혁개방 이래 도시 일상의 변화 및 소시민의 일상 변천을 1980년대, 1992년 남방담화 이후, 2000년대로 나누어서 소개한다. 이러한 배경 설명을 바탕으로, 작가 츠리, 팡팡, 류전윈의 소설 창작을 신사실소설 시기와 포스트신사실소설 시기의 글쓰기로 나누어 서술한다. 그리고 작품에서 드러나는 소시민의 일상의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그들의 신사실소설 시기의 창작을 전기와 후기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신사실소설 시기 츠리, 팡팡. 류전윈의 소시민 일상을 다룬 글쓰기를 논술한다. 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 세 작가는 항상 물자 부족을 겪는 소시민의 일상과 그런 생활로 인해 느끼는 소시민의 번뇌와 무기력에 대해 묘사한다. 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도 세 작가는 여전히 소시민의 일상을 묘사의 대상으로 삼았지만 성공한 인물로 대표되는 소시민의 일상과 그것을 향한 소시민의 욕망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다. 즉, 중산몽(中產夢)에 대한 소시민의 선망이 서술의 중심이 된 것이다. 세 작가의 신사실소설 창작을 각각 논술한 다음에 일상의 이면에 대한 그들의 현실비판 의식을 논한다. 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 세 작가가 묘사한 소시민들의 어려운 생활은 개개인의 차원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며 일상에서 나타나는 관도(官倒),이중가격제도(價格雙軌制), 암시장(黑市) 거래 등 문제적인 현상들은 과거 중국 계획경제체제에 내재된 비합리성과 관련이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소시민 개개인의 일상에 대한 글쓰기는 국가 정책, 경제 체제 등 일상의 조건과 배경을 이루는 시스템적인 요소들을 간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즉, 이 작가들은 경제적으로 궁핍한 소시민의 생활에 대한 묘사를 통해 최소한의 물질적 욕구를 보장해주지 못하는 당대 중국 정부에 대해 우회적으로 비판한다. 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 세 작가는 소시민의 中產夢을 묘사하는 과정에서 중국 특유의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예를 들어 소설에서 나타난 관력의 남용, 배금주의의 팽배, 실업, 환경오염 등 여러 현상은 중국의 빠른 경제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부조리와 연관돼 있다. 그러나 이는 세 작가가 당대의 문학 시장화 경향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었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시기 그들은 지식인 작가로서 사회의 부조리 현상을 예리하게 지적하는 면모를 보이며, 동시에 독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로맨스적 요소를 강조하고 성공인사를 미화하는 등 다소 통속적인 면모도 드러냈다. 이처럼 모호하고 불확실한 작가들의 비판 태도는 창작 과정을 통해 작가 자신이 상업화 시대에 겪었던 내면의 모순을 표출하는 방식이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작가들 본인의 소시민으로서의 일상은 글쓰기 전략을 통해 표현된다. 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 세 작가의 작품에서는 생활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는 글쓰기 전략이 공통적으로 발견된다. 그것은 생활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내는 방식이다. 다시 말하여, 그것은 ‘생활흐름의 줄거리 구성’, ‘제로 감정의 서술 기법’, ‘일상 언어의 사용’ 등의 특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후기 신사실소설 단계에서는 독자의 흥미에 영합하는 상업적 글쓰기 전략이 비교적 강하게 드러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가독성이 높은 줄거리 구성’, ‘작가의 논평의 사용’, ‘시각적· 자극적인 표현’ 등의 특징으로 구성된다. 4장에서는 포스트신사실소설 시기 츠리, 팡팡. 류전윈의 소시민 일상에 대한 글쓰기를 논술한다. 이 시기 세 작가의 창작은 신사실소설 시기와 많이 달라진다. 세 작가가 내세우는 소설 주인공은 더 이상 의식주의 요구를 충족하는 데 집착하는 소시민이 아니다. 그들은 모두 중국 사회의 소수자이고 일상에서 각기 다른 어려움과 좌절에 직면하며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인물이다. 이 시기 츠리의 소설에서 중심인물로 등장하는 여성들은 온갖 좌절을 겪으면서 남녀 차별적인 사회 현실이 자신을 가로막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경제적 독립을 통해 남성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성공을 거둔다. 한편, 팡팡의 소설에서 묘사된 실직 노동자나 개미족(蟻族)들은 물질적으로 궁핍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정직하고 선한 품성을 유지하는 인물들이다. 작가는 이처럼 선한 인물들이 오히려 비운을 맞게 되는 아이러니를 통해 좋은 사람일수록 살기에는 더욱 힘든 기형화된 사회를 풍자하고 비판한다. 류전윈이 묘사하는 인물들은 자신의 권익을 지키기 위해 쉴 새 없이 관료들과 싸운다. 예컨대 농촌 여성 리설련은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기 위해 20년간의 상방으로 관료들과 싸우며 많은 관료들을 끌어내렸다. 류전윈은 한 개인의 사적인 사건이 공적인 사건으로 전환되는 일련의 과정을 드러냄으로써, 나태한 관료사회 및 민관 사이의 소통 부재라는 사회적 문제를 폭로한다. 세 작가는 중국 사회의 부조리를 조명하는 데 집중했으며 그 비판의 강도도 매우 날카로워진다. 이와 같은 작가들의 현실비판 의식은 또한 글쓰기 전략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포스트신사실소설 단계에서 현실에 개입하려는 세 작가의 서사 전략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츠리는 여성서사를 주로 채택하며 팡팡은 고난서사를 주로 차용하고, 류전윈은 부조리서사를 중심적으로 사용한다. ‘신사실소설’은 단순히 특정 역사 시기에 등장한 하나의 문학 사조, 유파, 창작 경향을 넘어선다. 비록 문학사에서는 2000년대 이후 문학 유파나 문학사조로서의 신사실소설 창작이 종결되었다고 풀이하지만, 여전히 츠리, 펑펑, 류전윈 등의 작가들은 신사실소설과 마찬가지로 현실주의 정신에 기반하여 문학을 통해 현실에 개입, 삶의 실상에 대한 탈이념적 접근을 지향한다. 때문에 츠리, 팡팡, 류전윈의 창작은 포스트신사실소설의 범주에 해당한다고 파악해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세 작가는 1980년대 신사실소설이라는 하나의 뿌리에서 출발하여 21세기에 이르는 동안 적지 않은 변화를 겪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작가로서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유지하고 신사실소설의 비판정신을 계승한다. 구체적으로 그 정신은 곧 미시정치의 차원에서 중국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부조리를 끊임없이 직시하는 태도라고 말할 수 있다. 소설을 도구로 삼아 현실에 개입하고 현실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포스트신사실소설 시기 그들의 작품에는 여전히 신사실소설 시기의 창작 태도를 발견할 수 있다. 신사실소설의 정신에 근거한 포스트신사실소설은 역사성과 현재성을 성취한 중국 문학의 사례로서 앞으로 더 탐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주민갈등 : 중국 장춘시를 대상으로
손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갈등은 오늘날 현대사회가 구조적, 기능적으로 다양화 세분화 되면서 개인 간 또는 집단 간 상대적 관계 및 차이가 부정적으로 발생하고, 경쟁적 상황으로 발생하면서 나타나는 부정적 현상이다. 갈등은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관광학에서도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환경 관련 이슈가 주목되고, 지속가능이라는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관광개발 역시 환경파괴, 지역사회·문화 파괴 등의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사회에 편익을 가져올 수 있는 지속가능한 개발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은 관광개발의 연속선상이며, 다양한 지표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을 추구하고 있다. 지속가능을 위해 제시하는 다양한 지표는 관광개발에 참여하는 집단 간 이해관계의 차이, 목적의 차이, 인식의 차이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갈등이 발생할 소지가 매우 높다. 그러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갈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관광개발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발생시키고, 자신의 속한 집단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려는 과정에 있어 이익집단과 희생집단이 발생한다. 최근 관광개발 대다수가 지역단위 또는 민간기업 위주의 개발방식으로 진행되면서 지역주민 및 지역시민사회단체의 참여는 활발해지고, 이로 인해 지역갈등은 더욱 복합하고 첨예하게 나타난다. 이처럼 관광개발에 있어 갈등 관련 문제는 그 중요성이 매우 깊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보면,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개발의 경우 현세대의 경제적 편익을 위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로, 미래세대를 위한 고려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관광개발은 이해관계자 갈등을 야기하며,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에 중국에서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전략도출과 정책제안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갈등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중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에 따른 갈등원인과 갈등유형 그리고 갈등결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주민갈등의 인과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현실적이며 구체적인 주민갈등 원인과 유형 등의 갈등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주민갈등을 최소화하고 갈등의 순기능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민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을 도출하고, 갈등의 순기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전략 및 정책방안 등의 시사점을 파악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가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은 중국 길림성 장춘시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장춘시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가운데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 가운데 유효표본 926부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중국 장춘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관광개발과 관련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의 차이에 따라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크게 경제적 지속성과 관광개발계획 지속성이 주요한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환경적 지속성은 갈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이 역시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 반면 이익갈등과 가치갈등은 개발을 지지하는 주민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중국 장춘시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과 관련한 갈등은 순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장춘시의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속성과 관광개발계획 지속성이 중요하며, 개발과정에 있어 주민이 얻을 수 있는 편익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환경보호 시설 설치 의무화 실시, 관련 프로그램 운영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갈등의 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중국어 ‘구별사区别词’의 오류분석 및 교수·학습방안 연구
손영 韓國外國語大學敎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现代汉语"区别词"偏误分析以及教学方案研究 本论文主要目的是考察韩国学习者区别词的教学和习得情况,归纳分析区别词的偏误类型和偏误原因,并将分析结果运用到汉语区别词的教学中。 本文的研究步骤如下: 首先,运用数据统计法、归纳法和演绎法相结合的方法,对《汉语水平词汇与汉字等级大纲》中的区别词进行了分析与研究,并运用标记理论,以“的”为依据,对其进行了分类;其次,收集《HSK动态语料库》中所记载的区别词病句,总数为5040个;从中筛选出有关区别词的偏误,共616个;分析对象的区别词共有79个,其中有关“丙级区别词”的平均偏误率最高,为30.5%,其后依次是“丁级区别词”(30.2%)、“乙级区别词”(18.1%)、“甲级区别词”(15.1%);第三,通过对区别词教学现状的试卷调查,分析学习者在学习过程中产生的偏误,确认并补充了《HSK动态语料库》的偏误;最后,以偏误分析理论和区别词的语法功能为依据进行了偏误分析,总结了区别词的偏误情况、偏误类型,并找出产生偏误的原因。在分析结果的基础上建议了适当的汉语区别词教学建议。 分析结果如下: 一、各偏误类型的偏误率情况。误加占20.1%(124个)、遗漏占46.6%(287个)、误代占24.4%(150个)、杂糅占8.9%(55个)。可以看出,遗漏最多,其后依次误代、误加,杂糅最少,几乎没有错序偏误。 二、各偏误类型中偏误率比较高的项目。区别词修饰名词时,遗漏“的”情况最多,占23%。其次分别是:区别词修饰名词时误加“的”、区别词与所修饰的中心语搭配不当各占10%。因此在区别词教学时需要强调区别词修饰名词时是否能带“的”。 三、偏误产生的原因。由于中高级学习者将已经学过的形容词语法功能滥用到区别词的情况较多,因此因语内负迁移而产生的偏误最多,占52.4%。其后,因母语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33.9%,因英语负迁移而产生的偏误占7.6%。因交际策略而产生的偏误占6%。 根据本论文分析结果,本文提出两点区别词的教学建议。 一、根据分析结果,设计了误加、遗漏、误代、杂糅等各偏误类型的教学建议以及练习题。这些方法能在教学现场运用,从而可以使学习者在学习汉语区别词的过程中避免产生偏误。 二,加强偏误语料库及研究结果的运用。通过这些资料能预测学习者将会产生的偏误,进而根据此研究成果改进教学方法,有效地防止学习者走向语言误区。 综上所述,本论文通过分析有关汉语区别词的偏误情况,充分了解了对外汉语教学中韩国学习者对区别词的习得情况。探索了偏误产生的原因,并通过深入的探讨研究提出了针对区别词的教学建议。希望本论文的研究成果能作为区别词教学的参考资料,对汉语教师及汉语学习者有所帮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