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펌제의 pH와 모질의 종류에 따른 모발구조 변화

        성경화 영산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hair structure and compare differences in hair damage in accordance with the pH of permanent wave lotions and hair textures by making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test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lassified the lotions into acid, neutral and alkali ones according to their pH values and hair types into fine straight, coarse straight, fine wavy and coarse wave hairs according to their textures. Type of hair have been determined by heredity, measured the thickness according to kinds of hair with Digimatic micrometer. Virgin hair was first chosen and treated with 3types of permanent wave lotions, perming were treatments of one time and three times in 3 days intervals, and in each case treated for 40 minutes at 50°c respectively. Next, morphological and physical and chemical change of treated hair wer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hair structure were examined through the PE-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 observation of hair samples to which permanent wave lotions were applied. Physical changes in hair structure were examined through measuring the degree of the swelling of the samples. And chemical changes in hair structure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ng the samples with the High Speed Amino Acid Analyzer.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when permanent wave lotions were applied, fine hairs were more morphologically and physically changed than coarse hairs, indicating that the former hairs are more likely to be externally damaged than the latter. Scales of virgin hair cuticle were overlapped regularly, the boundary was clear between each other. But the patterns of the scales on the cuticle after morphological changes of hair became irregula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cales was overlapped. Specifically, the hair treated with Alkaline permanent wave lotion was more severly damaged than the hair treated with Acidic, neutral permanent wave lotion. In addition, when such wave lotions were used, wavy hairs were more chemically damaged than straight hairs, indicating that the former hairs are more likely to be internally damaged than the latter. The 4 types of hairs were all little damaged by acidic permanent wave lotions. In contrast, even when alkaline permanent wave lotions were applied just once, hair damage was found in all of the four types. Such damage were more and more developed as the alkali agents were repeatedly applied. 모발은 인간의 두피를 보호하며 체온을 유지하는 생리학적인 기능 외에도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를 표현하는 장식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 과거에는 머리모양에 따라 신분을 구분하는 사회적인 기능을 갖고 있었지만, 현대에는 경제성장과 함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모발은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개인적인 기능을 넘어서서 유행을 창조하고 선도하는 미용예술로 승화 되었으며, 모발과 미용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하여 미용과학으로써 연구되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 이후 서양 문명이 들어와 미용에 대한 의식도 급격히 변화 되면서 여성들의 머리 스타일은 일제 말기에 금지 되었던 퍼머넌트 웨이브(Permanenet Wave; 이하 “펌” 이라 함)가 일반 여성들에게도 퍼머나 세팅 또는 아이론으로 웨이브 스타일이 유행하였다. 펌은 자연 상태의 모발에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가하여 모발의 구조나 형태를 영구히 변화 시키는 것으로 모발의 볼륨감과 방향감의 효과를 얻어 다양한 헤어 스타일의 표현을 가능케 하며, 두상의 결점을 보완해 줄 수 있고 머리 손질을 한결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직모가 대다수 인 한국인에게서 더욱 더 대중화 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최근 미용 산업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펌 테크닉과 기능성 펌제의 출시로 창의적인 펌의 트렌드를 제시 하고 있고, 고객들의 미적 표현 욕구도 다양해져 개성 있는 헤어스타일 연출을 원하면서 반복적인 펌에 의한 모발 손상의 직접적인 원인들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퍼머넌트 웨이브의 기본적인 요소로는 3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모질이며, 둘째로는 모질에 따른 펌 약제의 선택이며, 셋째는 모질에 따른 와인딩 기술이다. 이하나(2007)의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모질의 굵기와 상태에 따라 펌 웨이브 형성의 결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헤어 디자이너들은 미용 현장에서 수많은 펌 시술의 시행착오를 겪고 난 뒤에 경험으로 깨닫게 된다. 펌 와인딩의 기술은 미용 인턴과정에서 숙련되어 일정 수준에 도달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펌 약제의 선택에 있어서는 오랜 경력의 헤어 디자이너라도 펌 용제의 정확한 성분을 알고 선택하기 보다는 제품 광고 혹은 제품회사의 영업사원이나 교육 강사를 통해 사용방법을 교육 받기 때문에 펌제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므로 펌 웨이브 형성의 잦은 실패와 모발 손상을 경험 하게 되며, 헤어 살롱 고객의 불만과 클레임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외형적인 헤어 스타일의 아름다움을 위하여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인 펌과 펌제의 무분별한 사용은 모발 손상뿐만 아니라 결국 두피까지도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여 탈모의 원인이 되므로, 이런 현상들은 헤어 디자이너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와 신용을 떨어뜨리고 고객들이 미용시술에 대하여 불신하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손해경(2008)은 선행연구에서 펌 시술이 모발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하는 환원용제의 pH가 높으면 시스틴 결합과 염 결합을 절단하고 느슨하게 하는 효과가 높아져 펌 효과는 커지지만 모발 손상상태에 따라서 심하게 팽윤되어 쪼글쪼글 해지거나 용해되므로 모발 손상의 커다란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고, 일반적으로 미용 현장에서 퍼머넌트 웨이브에 의한 모발 손상은 콜드 퍼머넌트 웨이브 약제를 가온해서 사용했을 경우, 모질에 대한 약액 선정이 잘못된 경우에 주로 일어난다. 고객들은 아름답고 개성있는 헤어스타일을 연출하길 희망하면서 동시에 모발 건강도 지켜지기를 원하므로, 헤어 디자이너는 고객의 모질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펌 시술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으로 모질에 적합한 펌제의 선택과 사용량, 시술 시간 및 온도까지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을 갖추어야 하며, 보다 효율적인 웨이브 형성과 건강한 모발관리를 위해서는 펌제에 대한 실증적이며 과학적인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로 미용시술 현장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어 지고 있는 pH의 개념을 펌제의 분류 기준으로 삼아 산성펌제, 중성펌제, 알카리펌제로 나누어 분류해 보고자 하며, 모발의 질감을 가는 직모, 굵은 직모, 가는 곱슬모, 굵은 곱슬모로 나누어 펌 시술을 한 후 형태학적, 물리적, 화학적으로 변화된 모발구조를 관찰하여 모질마다 다른 모발 손상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미용 산업의 측면에서도 펌제가 모발 손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와 함께 모발손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지속 발전되어 종래에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웨이브의 컬 형성력이 뛰어난 제품이 출시되어지는데 있어서 이 연구가 기초자료로 쓰여 지길 바란다.

      • 2-Mehtylbutyric acid나 Linalool이 마우스의 뇌 내 후각 망울에서 일산화질소 효소에 미치는 영향

        성경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후각은 모든 동물의 생존을 위해 필수적이다. 후각 노출은 포유류와 설치류의 행동학적 변화, 지각능력, 그리고 감정적인 반응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후각 자극 물질 노출로 인한 신경전달과정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후각 자극 물질인 2MB acid나 linalool에 노출 된 마우스의 뇌 내 후각망울에서 nitric oxide(NO) 신경전달물질과 이로 인하여 운동 기능의 변화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NO의 작용 양상을 보기 위하여 NO합성 효소인 NOS를 억제하는 L-NAME를 복강 투여하였다. 8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에 후각 자극 물질인 2MB acid나 linalool을 노출시킨 군 그리고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시킨 군과 L-NAME와 linalool을 함께 노출시킨 군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군에서 마우스의 후각 회피도-선호도 실험, 운동기능 측정, 유전자 발현 분석, 후각망울의 nNOS, iNOS, eNOS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L-NAME를 단독 투여한 군에 비해 L-NAME와 linalool에 함께 노출된 군은 운동기능이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나타나지 않았다. L-NAME를 단독 투여한 군에 비해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 된 군은 운동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 본 실험에서 마우스의 후각망울 내 유전자 발현을 정량 PCR로 분석한 결과 2MB acid 단독 노출된 군은 NO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nNOS 발현이 4.16배 증가하였고 iNOS는 0.32배 감소하였으며 eNOS는 1.68배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된 군에서 NOS 생합성 관련 유전자인 nNOS는 4.61배 증가하였고 iNOS는 0.15배 감소하였으며 eNOS는 1.42배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마우스의 후각망울에서 nNOS, iNOS, eNOS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2MB acid나 linalool 노출된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된 군에서 nNOS와 eNOS의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를 볼 때,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된 군과 L-NAME와 linalool에 함께 노출된 군의 행동학적인 변화는 NOS 억제제인 L-NAME 투여로 인한 운동기능의 증가로 제시 할 수 있으며 L-NAME와 2MB acid에 함께 노출된 군과 L-NAME와 linalool에 함께 노출된 군에서 후각 물질인 2MB acid나 linalool은 마우스의 NO성 신경세포 함량의 변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후각 물질인 2MB acid나 linalool에서 행동학적 변화의 주요원인은 후각망울 내 NO성 신경전달물질의 항상성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Sense of smell is essential for the survival of all animals. Exposure of the odors is affected by behavioral changes, perceptual abilities and emotional reactions of mammalian and rodents. However, research data that identifies cause of neurotransmission process by exposure of olfactory stimuli are still not completely elucidat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of motor activity and nitric oxide(NO) neurotransmitter in olfactory bulb in the mice brain exposed to 2MB acid or linalool as olfactory sense stimulator. Also, to see the patterns of L-NAME that is enzyme to inhibit NOS composed NO was been abdominal cavity injection. The group a male 8year-old C57BL/6 mice was exposed to 2MB acid or linalool as olfactory sense stimulator, the group exposed to L-NAME and 2MB acid at the same time and the group exposed to L-NAME and linalool at the same time are classified. Olfactory preference-avoidance test, measuring motor activity, gene expression analysis and nNOS, iNOS, eNOS protein expression of olfactory bulb in the classified group was confirmed. Although the group exposed to L-NAME and linalool at the same time was increased in motor activity compared with the group injected solo L-NAM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group exposed to L-NAME in company with 2MB acid was increased in motor activity compared with the group injected solo L-NAM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p<0.01). In this study, result with gene expression in mice olfactory bulb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PCR, 2MB acid exposure alone group, NOS activity related to nNOS gene was increased 4.16 times, iNOS was decreased 0.32 times and eNOS was decreased 1.68 times, ther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 exposed to L-NAME in company with 2MB acid, NO biosynthesis related to nNOS was increased 4.61 times, iNOS was decreased 0.15 times and eNOS was increased 1.42 times, there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 of measurement of nNOS, iNOS, eNOS protein expression in the mice olfactory bulb, the group exposed to 2MB acid or linalool compared to contro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expression of nNOS and eNOS in the group exposed to L-NAME in company with 2MB aci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According to these data, we suggest that behavioral changes of the group exposed L-NAME in company with 2MB acid and L-NAME in company with linalool, L-NAME that is NOS inhibitor administration indicates to be due to an increase in motor activity function. And also, 2MB acid or linalool directly affects changes of neuronal NO content of mice in the group exposed to L-NAME and 2MB acid or L-NAME and linalool. These data indicate that altered NO neurotransmitter homeostasis in the olfactory bulb may be a contributing factor of 2MB acid or linalool induced behavioral change.

      • HepG2 cell에서 palmitic acid로 유발된 lipotoxicity에 대한 대추의 보호효과

        성경화 경희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비만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여러 질환들이 속발하고 있다. 지방독성이라는 것은 지방조직이 아닌 비지방조직에 지방이 과축척되어 세포 기능을 저하시키고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간에 일어난 지방독성을 비알콜성 지방간-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라 한다. NAFLD의 병리 기전은 명확히 밝혀진 것이 없으나, 간조직에 지방이 침착하고 여러원인에 의해 간조직내 산화스트레스가 발생하여 지질 과산화나 염증 반응이 진행되어 간세포를 손상시킨다는 가설이 인정받고 있다. 요즘에는 여러 연구나 논문에서 NAFLD를 간질환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비만이나 인슐린 저항성, 고혈압등을 포함하는 대사 증후군과 같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NAFLDFMF 대사 증후군의 mediator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고 이에 따라 NAFLD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대추는 신농본초경에 언급된 이래 약용 및 음식으로 애용되고 있는 본초로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간독성을 일으킨 후 혈청 및 간 조직의 효소 활성도 및 지질 함량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신생성을 억제시킨다는 연구보고가 있다. 본 연구는 지방독성을 야기한다고 알려진 palmitic acid을 간암세포의 일종인 HepG2 cell에 처리하여 lipotoxicity를 유발하고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여 대추의 지방독성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및 세포내 중성지방축적, reactive oxygen species 생성, 산화스트레스, 세포자연사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지방독성에 의해 감소된 cell viability를 증가시키고 cytotoxicity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2)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palmitic acid에 의해 증가된 세포내 triglyceride(TG)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3)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세포사 과정에 수반되는 reactive oxygen species(ROS)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4)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감소된 ATP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는 없다. 5)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방어기전의 일부를 담당하는 효소인 glutathiones S-transferase(GST) 활성을 높이는 효과는 없다. 6)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선명한 계단형태는 아니지만 DNA fragment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7) 대추 70% 메탄올 추출물은 세포사 과정에 수반되는 세포자연사(apoptosis)를 매개하는 단백질인 caspase 3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Zizyphus jujuba could protcet HepG2 cell from palmitate-induced lipotoxicity in an in vitro model. Methods To examine the effects of Zizyphus jujuba on palmitic-acid induced lipotoxicity in HepG2 cell, we measured the contents of cell viability, cytotoxicity, TG, ROS, GST, DNA fragments, ATP, and caspase 3 activity. Results The extracts of Zizyphus jujuba 1. have cell protective fuction, by incresing cell viability and improving cytotoxicity. 2. control TG-overaccumulation in the cell. 3. reduce overproduction of ROS, important regulator apoptotic pathways. 4. inhibit manifestaion of caspase-3, playing a key role in the final or execution phase of apoptosis. Conclusions The above data demonstarte that the extracts from Zizyphus jujuba have a cell protective effects on palmitic-acid induced hepatic lipotoxicity.

      • 부모와의 정서적 교류가 아동의 자기불일치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경화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arent-child affectionate interaction on children's self-discrepancy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74 primary school students in Cheong-ju cit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F-test, Scheffe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using SPSS 12.0 program. The test of model was done with analysis of correlational matrix in AMOS 7.0 program using a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parent-child affectionate interaction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 economic status,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elf-discrepancy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gender, grade,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economic status. Third,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had no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of class directly. Boys' adjustment of class was directly affected by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and girls' of that was influenced only b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Fourth, only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of parent-child affectionate interaction affected boys' adjustment of friends, which was affected by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Moreover, all girls' self-discrepancy such as appearance,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had a effect on adjustment of friends. Fifth, parent's non-verbal expressions of affection and emotional supportiveness directly influenced boys' adjustment of teachers, and girls' adjustment of teachers was only influenced by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In self-discrepancy variabl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discrepancy directly effected boys' adjustment of teachers, and girls' ones was effected b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ixth, in parent-child affectionate interaction for boys, parent's non-verbal expressions of affection had a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parents' verbal expressions of affection did on appearance,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and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did 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On the contrary, for girls, parents' non-verbal expressions of affection did not any self-discrepancy variables, but parent's verbal expressions of affection had a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and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impacted all self-discrepancy variables, which founded differential consequences for the boys. Seventh, it showed that both boys and girls' ability self-discrepancy was important factor for their adjustment of class, that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self-discrepancy was on main cause for their adjustment of friends, and that boys and girls' adjustment of teachers was prominently showed by parent's emotional support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inent results of this study have meaningful differences for adjustments of school according to their sex. Therefore, this study imply tha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e intervened by gender and dimension of adjustment and self-discrepancy.

      • INAR(p) 모형의 오차항에 대한 검정

        성경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자가 추정한 분포가 모분포와 잘 부합하는 지를 검정하는 것은 추정한 분포를 평가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형 및 이산형 자료에 모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검정하고자 하는 분포의 형태와는 상관없이 하나의 가설로 모형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이 방법을 INAR 모형에 적용할 경우 시점마다 불연속점의 집합이 달라 콜모고로프-스미르노프 검정을 바로 시행할 수 없으므로 오차항을 이용하여 모형을 평가하는 방법을

      • 성토재하에 따른 연약지반의 거동양상에 관한 연구

        성경화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ajor reclamation was undertaken to build up a Container habor in Gwang yang bay of the south coast by Korean container wharf Public Corpor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lem of uneven settlement and also accelerate the process of consolidation settlement, pack drains were constructed and then preloading was applied. During and after the construction, field measure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behavior aspect of soft ground. In this study, the behavior analysis of the soft ground is carried out by CRISP 4.02, finite element program using Modified Cam-Clay Model. The used values of the initial parameters were assumed rationally to represent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ground.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aspect of the soft ground, theory formula, field measure data,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respectively compar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ov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field measure data. However, field measure datd was ov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FEM concerning excess pore water pressure because of the efficiency degree of drain materials and decrease of permeability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on. Both the results of FEM and estimated values by hyperbolic model were overestimated in comparison with field measure data concerning settlement after three step embankment, but the results of FEM in comparison with estimated values by hyperbolic model were closer to field measure data. Therefore, FEM under the careful laboratory tests is recommanded as a future research concerning behavior aspect of soft ground.

      • 게임을 통한 효과적인 어휘 지도

        성경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거나 다른 사람의 생각을 이해하게 된다. 이때, 그 언어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를 모른다면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글이나 말로도 표현할 수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어떤 언어로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언어의 어휘를 많이 알아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초등영어 교육의 목표는 아동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켜 영어로 기본적인 의사 표현을 하는데 두고 있다. 아동들이 쉽게 간단한 말을 사용하여 의사를 표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우선 일상 생활 주변에서 많이 쓰이는 어휘들을 많이 알고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법으로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아동들이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에서 생활하고 있다면 아동들을 둘러싼 언어 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어휘들을 우연히 습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으면서 영어를 배우는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에서는 기본 어휘들이 우연히 습득되기만을 기다릴 수는 없으며, 가능한 빨리 그들 어휘를 가르쳐서 의사소통 활동에 직접 쓰이게 하여야 한다. Ⅱ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어휘의 중요성에 대한 시각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고 어휘 학습에서 논쟁이 되어 왔던 부수적인 어휘 학습과 의도된 어휘 학습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이론 및 연구 내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어휘의 충분한 습득을 위해서는 어떤 단계들을 거쳐야 하는지 살펴본 다음 어휘 지도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지도 방법들 즉, 시각 자료, 플래시 카드, 어휘 공책, 노래, TPR, 동의어 및 반의어, 번역, 그림 도식, 핵심어 및 문맥을 이용하여 가르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어휘 지도를 할 때 사용될 게임 활동의 정의, 특성 및 원리들을 살펴본 다음 각 언어 기능을 향상시키기에 알맞은 어휘 게임들을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아동들의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아동들의 언어 수준이나 흥미, 인지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목적에 도움이 되는 어휘를 선정하여 아동들이 좋아하는 게임을 통하여 어휘 지도를 함으로써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각 언어 기능을 골고루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게임들은 현재 초등학교에서 쓰이고 있는 영어교과서 및 외국의 액티비티 서적을 참고하고, 본 연구자가 현장에서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각 언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변형하거나 고안한 것들로서 각언어 기능별로 게임이 제시되었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고안한 게임들을 실제로 영어 시간에 적용하여 보고 아동들의 자기 평가 및 교사의 관찰 평가를 바탕으로 게임의 효과를 분석하여 보았다. 아동들은 게임 활동에 매우 높은 흥미를 보이며 적극 참여하였고 어휘 게임을 통해 단어를 배우면 어렵지 않게 쉽게 배울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 개인끼리 겨루는 게임보다는 같은 조나 팀이 한 편이 되어 겨루는 그룹 게임을 더 좋아하였으며 가만히 앉아서 하는 게임보다는 활동량이 많은 게임, 시간이 제한되어 있는 게임, 운이나 경쟁 요소가 가미되어 있는 게임을 좋아하였다. 아동들은 그룹 게임을 할 때 서로 힘을 합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으며 그룹 게임을 하면 아동들끼리 사이가 더 좋아지며 따라서 학급 분위기도 더 좋아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게임을 이용한 영어 학습은 반복되는 언어 사용 연습의 지루함에서 벗어나게 해 주었고 아동들에게 배우려고 하는 의욕을 보여해 줄 수 있었으며 적극적으로 학습 활동에 참여하게 하는 수단이 될 수 있었다. 또한 적용하고자 할 때 조금만 더 신경을 써서 어휘 게임을 고안한다면 영어의 듣기 기능뿐만 아니라 말하기, 읽기, 쓰기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게임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다.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 따라 적절한 것을 골라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같은 게임이라도 교사에 따라서 방법과 효과는 무궁무진하므로 교사들의 재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One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understand other people's thoughts by using language. If they do not know the vocabulary that is used in that language, no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So, if they want to communicate by any languages, they should know it's vocabulary as much as possible. In the very early stages of English learning, most children should know a common core of essential vocabulary and furthermore they should be taught through an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If the children live in the countries where English is used, they can acquire lots of vocabulary incidentally. But, in EFL circumstances, we cannot wait for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We should teach high-frequency words and wide range of words to be used in communication. In Chapter Ⅱ, I looked over a historical perspective about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teaching. I examined the theories of the researchers and their experiments. And then, I discussed five essential steps which learners take in vocabulary learning and some types of techniques for explicit vocabulary teaching. For example, visuals, children's flash cards, vocabulary notebooks, songs, TPR, synonyms and antonyms, translations, pictorial schemata, key word technique and context method were mentioned for vocabulary teaching. In Chapter Ⅲ, I studi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mes which will be used in vocabulary teaching. After that, I designed the vocabulary games that will be appropriate for improving each language skill: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There are 120 games that I altered or invented. It is because of the thought that we can improve children's language skills through games that children like. In Chapter Ⅳ, after applying some games to children to teach English vocabulary, I analyzed the effect of games through children's self-assessment and my own observation assessment that was done during teaching-learning processes. Some results of game-using vocabulary teaching were described. Games enhanced the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Children liked games very much, especially a game played in groups against other groups. They sometimes competed each other and co-operated one another to win the games. In short, using vocabulary games has been proved to be an effective way of making repetition of language natural and purposeful for children. The results imply the following. There are many games which can be used to teach vocabulary. If the teachers are careful to design a vocabulary game, children's language skill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can be improved. The teachers should choose the appropriate game to teach vocabular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goal that the lesson has. It requires teachers to have talent to choose the best game in each lesson.

      • 우방자와 홍화유의 표피 이상 증식 치료 효과 비교

        성경화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가 불포화지방산인 linoleic acid [LA; 18:2(n-6)]의 식이 결핍은 표피 이상증식을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표피에서의 LA 대사는 체내의 다른 조직과 상이한데, 이는 desaturase의 부재와 elongase의 강한 활성으로 설명된다. 즉 표피에서 LA는 γ-linolenic acid [(GLA; 18:3(n-6))나 arachidonic acid [AA; 20:4n-6]]로의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반면에 15-lipoxygenase에 의해 13-hydroxyoctadecadienoic acid(13-HODE)로 대사된다. 13-HODE는 표피에서 항증식 효과를 나타내는 LA의 주요 대사체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해 linoleic acid가 표피의 이상 증식을 억제함이 알려져 있으며 이미 linoleic acid를 다량 함유한 홍화유 등의 식이 공급을 통해 표피 이상 증식을 수반한 여러 피부 질환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양 의학에서는 국화과에 속한 2년생 초본인 우엉의 잘 여문 씨인 우방자(Arctium lappa L.)를 마진 등의 피부 질환에 널리 사용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피부 대사와 생리적으로 유사한 기니피그에 필수지방산 결핍 식이에 의한 표피 이상증식을 유도한 후 우방자 추출물 또는 홍화유가 함유된 식이를 공급하여 이상증식 및 13-HODE 생성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필수지방산이 결핍된 코코넛 유지(HCO)를 8주간 공급하여 표피 이상 증식을 유도한 후 군을 나누어 각각 홍화유(HS)와 우방자 열탕추출물(AW) 우방자 유기추출물(AO)을 포함한 식이를 2주간 공급하였다. 이때 홍화유와 코코넛 유지를 10주간 계속 공급한 군을 각각 양성대조군(SO)과 음성 대조군(HCO)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HCO 식이 급여는 표피 이상 증식을 유도하였고 SO군과 AO군이 표피 이상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냈는데, 특히 HPLC를 이용하여 불포화지방산 lipoxygenase 대사체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AO군에서 SO군과 AW군에 비해 13-HODE의 수치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표피 장벽 지질 층상 구조의 주된 성분인 ceramides의 생성 또한 AO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군에 비해 현저한 AO군의 표피 증식 억제 효과 및 13-HODE와 ceramide 생성 증가는 홍화유에 대한 우방자의 linoleic acid 대체 유지로써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