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중나무의 Phenolic Compounds에 의한 수 종 식물의 Bioassay와 항균활성

        서상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Ailanthus altissima by HPLC, 4 phenolic compounds; chlorogenic acid(2,629㎎/ℓ), ρ-hydroxybenzoic acid(1,294㎎/ℓ), coumaric acid(1,079.4㎎/ℓ) and gentisic acid were assayed. In A. altissima extracts, the germination ratio of 6 seedling except Echinochloa crus-galli were generally inhibited according to the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germination ratio of Rumex acetocella and Oenothera odorata over 50% extract concentration were dramatically dropped, even not germinated at 75% and 100% treatment of Oenothera odorat. The germination of all seedlings were inhibited in 100% treatments comparing with the control, and especially the germina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in each treatments except 100%, were promoted than the control. The seedling growth of each plant tends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A. altissima extract concentration, and the radicle was more inhibited than the shoot. All accept plants tended to be de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The germination ratio and seedling growth were varied in accept plants by phenolic compounds. In the case of Echinochloa crus-galli, the seeds were germinated 100% in 10-4M treatments of each phenolic compound, and the shoot growth of Rumex acetocella, Oenothera odorata, Portulaca oleracea and Phytolacca americana were promoted by gentisic acid. Comparing with the control, their seedling growth tended to be decreased in extract treatments, but increased in gentisic acid treatment. As for Portulaca oleracea, the shoots were promoted than control in each phenolic compounds, even they were inhibited their germination ratio and seedling growth by each extract treatment. Among the 4 plant disease fungal species, Penicillium expansum and Aspergillus usamii mut. shiro-usamii showed the 22mm and 18mm clear zone. Bacillus thuringiensis ssp. toumanoffi and Bacillus thuringiensis ssp. caradensis showed the respectable higher antifungal activities among the soil bacteria as 25mm and 20mm clear zone.

      • 중학교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수요자 인식 연구

        서상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교 「방과후학교」가 보편화된 상황에서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체제 요구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식을 통해서 「방과후학교」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고 그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중학교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교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고찰은 이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방과후학교」프로그램 운영체제 요구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지도교수의 자문을 받아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일반중학교에서 임의로 10개교를 선정하여 2·3학년 학생과 그 학생의 학부모 각각 400명을 단순무선 표집 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질문지 중 학생 361부와 학부모 361부를 각각 통계 처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 1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인식을 보면 「방과후학교」에 참여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학교교사의 권유가 참여의 가장 큰 이유였다. 학생들은 「방과후학교」계획수립 및 운영 시 본인들의 희망을 반영해 줄 것을 원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예체능 및 특기·적성 관련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1일 1시간 정도로 지역사회 및 단체와 연계하여 부서별 특성을 살린 학년수준별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해 줄 것을 원하였다. 한편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 프로그램 부족으로 특기·적성을 살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둘째, 학부모 인식을 보면 자녀가 「방과후학교」에 참여하고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역시 학교교사의 권유가 참여의 가장 큰 이유였다. 학부모들은 「방과후학교」계획수립 및 운영 시 학생과 학부모의 희망을 반영해 줄 것을 원하였다. 그리고 교과관련 심화․보충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1일 1시간 또는 2-3시간 정도로 지역사회 및 단체와 연계하여 부서별 특성을 살린 학년수준별 프로그램으로 운영해 줄 것을 원하였다. 한편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부모의 만족도는 높았다. 그 이유는 수강료가 저렴하고 학교 공부에 도움 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과후학교」의 참여 이유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식 차이를 보면, 학생은 부족한 교과목의 보충학습, 다양한 예체능 및 특기·적성 관련 프로그램 개설, 1일 1시간 이하의 운영 때문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부모는 학원비 및 기타 교육비 감소, 교과관련 심화․보충 프로그램 개설, 1일 2-3시간 정도의 운영 때문에 자녀를 「방과후학교」에 참여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만족도는 학생에 비해 학부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는「방과후학교」운영주체로서 틀에 맞추어진 프로그램을 공급할 것이 아니라 충분한 사전조사와 홍보를 통해 교육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학생 및 학부모의 「방과후학교」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또한, 교육활동에 필요한 공간과 시설 및 등하교 안전을 확보하고 학생 및 학부모의 요구와 각 학교의 교육적 환경을 고려한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학생동아리중심으로 운영하면 「방과후학교」가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 새롭게 고안된 Canopy chamber를 이용한 생태계 탄소수지 모니터링

        서상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Current environmental issue is the global warming due to the increasing CO2 concentration in atmosphere. For decelerating the global warming, carbon absorption capacity of terrestrial ecosystems are in the limelight recently.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ecosystems as a carbon sink, comprehension of carbon flux of ecosystems must be preceded. In an effort to gain insight into the diurnal and seasonal carbon cycle dynamics of ecosystems, newly designed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 (ASCC) system was constructed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The ASCC system was designed to minimize disturbances to cultivated plants (often referred to as the chamber effect), and also allowed for real-time monitoring. This system could cover a plant canopy, permitting synergistic effects to be monitored. The ASCC system was shaped like a greenhouse: 20m long, 1.8m wide, and 1.4m high, with 5 sectors. Each of the sectors was covered with a sliding cap only at the time of measurement, such that the rest of the time it remained open to the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remove chamber effects. On the basis of the open-flow method, we had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O2 between the air inlet and outlet. Thus, we may estimate the CO2 absorption or CO2 release. In order to verify environmental changes caused by the ASCC system, a verification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field condition in 2005. As for temperature changes owing to the greenhouse effect, less than a 1oC difference was noted in the majority of cases under plant cultivation conditions. In leakage test, it showed a 4.4% leakage (r2 = 0.98**) with ASCC system. On the field test with plant cultivation with barley (Hordeum vulgare), net ecosystem productivity (NEP) and heterotrophic respiration (HR) showed good reflection of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 After the application of manure treatment (FMT treatment: fertilizer, manure and tillage treatment) to barley, soybean, and red pepper, increases in net primary productivity (NPP) were noted?with the exception of the soybean, in which manure treatment exerted an insignificant effect. As for the increases in NEP and NPP per supplied tonCO2 ha-1, without manure treatment (FT treatment: fertilizer and tillage treatment) caused 3x to 8x increases. As a consequence, soybeans treated with FT treatment evidenced the most profound increases in NEP and NPP. Thu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increase CO2 absorption in plants was the cultivation of soy-beans immediately after barley without manure treatment, and the potential CO2 sequestered from atmosphere was measured at 7.9 tonCO2 ha-1. Overall, the ASCC system is a useful tool for monitoring CO2 flux with minimized disturbance on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Also this ASCC system can be applied for study on such as plant growth responses by O3 and various air pollution?NO2, SO2, not only in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but in artificial conditions. Additionally, with regard to the convertibility of the ASCC system into any other ecosystems with transforming frames and of gas analyzer into other greenhouse gas (GHG), the ASCC system can be applied to research on any GHG exchange, and can provide baseline data in a variety of ecosystems. In order to utilize the predictive models for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GHG emission inventory in Korea, the accurate monitoring of GHG flux followed by environmental changes is initially required. In this reg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GHG flux and environmental alterations in various ecosystems using the ASCC system could provide the parameters by which the actual measurements and the model equations might be linked for the near future. 생태계에서의 탄소순환의 일변화와 계절적 변화를 정확한 이해를 위하여 수원 국립농업과학기술원 포장에 장기간 연속 모니터링이 가능한 Automatic Sliding Canopy Chamber(ASCC)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ASCC 시스템은 고정 프레임 위를 canopy chamber가 총 5개로 구성되어진 각 섹터를 순차적을 이동, 밀폐시킨 후 측정하는 장비이다. 한 섹터는 20x1.8x1.4m(LxWxH)로 구성되어 섹터 내부에 실제 작물재배 조건과 동일한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각 섹터는 측정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작물재배 시 자연환경의 교란을 최소화하였다. 밀폐된 각 섹터의 양 말단에서의 농도차이를 통해 측정된 CO2는 섹터 내부 식물체의 광합성, 호흡량과 토양미생물의 호흡량에 따른 CO2의 배출 또는 흡수량을 의미한다. 장비검증 실험을 통해 canopy chamber 내외부의 온도차이는 작물재배 시 1oC이하였으며, 측정 시 canopy chamber의 밀폐율은 95.6%이었다. 보리(Hordeum vulgare) 전체 재배기간을 통해 측정된 NEP와 HR는 각각의 일변화와 계절적 변이를 잘 반영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계산된 NPP는 3.0 ton ha-1으로 이는 재배 직후 biomass 측정을 통해 측정된 NPP 2.8 ton ha-1와 유사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재배면적을 차지하며 재배되고 있는 보리, 콩 (Glycine max), 고추 (Capsicum annuum)의 3 종을 선정하여 작물재배 실험을 해 본 결과, 퇴비처리와 미처리구에서의 유의적 차이를 찾을 수 없었던 콩을 제외한 보리와 고추에서 퇴비에 의한 NPP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급된 CO2에 따른 NEP와 NPP의 증가는 퇴비 미처리구가 퇴비 처리구보다 최소 3배에서 최대 8배까지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퇴비를 처리하지 않은 콩의 NEP와 NPP 증가효과가 가장 컸으며, 고추가 그 다음이었다. 경작지에서의 잠재적 CO2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보리와 콩을 퇴비를 처리하지 않고 연속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약 7.9 ton ha-1의 CO2가 대기 중으로부터 격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종합하여 보면 ASCC 시스템은 자연환경의 교란을 최소화하며 장기간 연속적인 CO2 모니터링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한 경작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태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가스분석기의 이용으로 CO2 플럭스 뿐만 아니라 다른 온실가스 기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온실가스와 다양한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축적된 기초자료를 축적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기초자료는 향후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인벤토리 산출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량 예측 모델 구축에 있어 다양한 환경인자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파라메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맥주를 이용한 제빵특성에 관한 연구

        서상욱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unctionality and palatable bread with three kinds of beer(beer(MOB), black beer(BOB), draft beer(AOB)) in place of water. It was analyzed the dough characteristics by mixograph, pH and fermentative rate. Also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ere measured by texture, digital image analysis using CrumScan software, specific volume, color, pH, storage and sensory analysis(attribute different test, acceptance test). 1. Mixogram All samples were proper between 3~5 minutes in terms of peak time except MOB. As for peak value, all samples were at the level of 60% or higher. 2. pH of dough pH of dough were measured during after mixing, fermentation and proofing. As time goes by, pH of dough were lower. 3. Fermentative rate As for the fermentative rate of dough, all samples added beer were lower than CON. As time goes by, volume of dough increased using beer but CON didn`t after 90 minutes. 4. Texture In texture analyzing,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CON were higher than beer additional samples. Beer made it be soft. 5. Analysis using CrumScan Analysis using CrumbScan, the thickness of crust was the thickest in CON and was the thinnest in BOB. BOB of crumb fineness was the dens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Elongation of crumb was the highest score in C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6. Specific volume Scores for volume of bread showed that AOB was the highest score and specific volume was the highest score in AOB and BOB. Using beer had a influence on the volume. 7. Color value BOB was shown as the highest score in L, a, b value and CON was the lowest score in L, a, b value. 8. Sensory evaluation 1) Attribute different test The result of attribute different test in sensory evaluation, volume, springiness, moistness were the highest in AOB. Firmnes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Crust color, Crum color, uniformity, beer flavor, alcohol aroma, sour taste and bitter taste were the highest in BOB and grain size was the highest in CON. 2) Acceptance test The acceptance test showed that BOB was the most preferable for appearance, MOB was the most preferable for color. AOB showed as good in texture,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beer has positive effects on brea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producing bread of optimal quality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ods and the advance of the food industry.

      • 산채류의 항산화활성 평가 및 섬쑥부쟁이, 서덜취의 항산화성분 분석

        서상욱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울릉, 영양, 군위 지역에서 구입한 산채류 15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다양한 항산화활성 측정방법(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에 따라 항산화 능력을 평가하여 이 중 함량 및 활성이 가장 우수한 섬쑥부쟁이와 서덜취를 선정, 이를 대상으로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분획별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분획추출물 중에서 함량 및 활성이 가장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대상으로 GC와 GC/MS를 이용하여 개별 페놀산 성분을, HPLC와 LC/MS/MS로 개별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확인 및 정량하였다. 이들 중 확인된 개별 페놀산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표준물질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다시 측정하여 성분별 항산화활성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채류 15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의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서덜취와 섬쑥부쟁이에서 가장 높은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섬쑥부쟁이와 서덜취의 분획추출물을 대상으로 총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 및 활성을 나타내었다. 섬쑥부쟁이와 서덜취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대상으로 GC 및 GC/MS를 이용해 개별 페놀산 성분을 측정한 결과, 섬쑥부쟁이에서는 caffeic acid(2,487.9 ㎍/g), ρ-coumaric acid(939.7 ㎍/g), protocatechuic acid (835.3 ㎍/g), 4-hydroxybenzoic acid(239.8 ㎍/g), salicylic acid(224.9 ㎍/g), vanillic acid(22.7 ㎍/g), ferulic acid(20.6 ㎍/g), cinnamic acid(17.2 ㎍/g)가 검출, 정량되었으며, 서덜취에서는 caffeic acid(4,035.9 ㎍/g), 4-hydroxybenzoic acid(514.2 ㎍/g), protocatechuic acid(461.9 ㎍/g), ρ-coumaric acid(181.8 ㎍/g), salicylic acid(141.0 ㎍/g), vanillic acid(27.1 ㎍/g), cinnamic acid(25.5 ㎍/g), syringic acid(7.8 ㎍/g)가 검출, 정량되었다. 섬쑥부쟁이와 서덜취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대상으로 HPLC 및 LC/MS/MS를 이용해 개별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측정한 결과, 섬쑥부쟁이는 astragalin(7,953.04 ㎍/g), hyperoside(7,107.99 ㎍/g), kaempferol(361.40 ㎍/g), rutin(335.14 ㎍/g), quercetin(44.05 ㎍/g), cosmosiin(0.27 ㎍/g), luteolin (0.19 ㎍/g), vitexin(0.13 ㎍/g), apigenin(0.07 ㎍/g)이 검출, 정량 되었고, 서덜취는 hyperoside(13,816.02 ㎍/g), rutin(584.59 ㎍/g), vitexin(385.42 ㎍/g), astragalin(78.72 ㎍/g), quercetin(47.66 ㎍/g), kaempferol(3.53 ㎍/g), apigenin (2.94 ㎍/g) cosmosiin(2.37 ㎍/g), luteolin(0.94 ㎍/g), quercitrin(0.54 ㎍/g)이 검출, 정량 되었다. 검출된 개별 페놀산 및 플라보노이드의 표준물질(농도 0.1 ㎎/mL)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caffeic acid(82.1%), quercetin (77.3%), protocatechuic acid(68.6%), luteolin(52.6%), ferulic acid(47.0%), syringic acid(46.3%), kaempferol(39.2%), hyperoside(36.9%), rutin(24.3%) 순으로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주요 산채류에 대한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다양한 항산화활성을 비교 평가하였고, 섬쑥부쟁이와 서덜취의 개별 항산화성분을 확인 및 정량해 봄으로써 천연 항산화제의 원료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research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s from 15 kinds of Korean wild vegetables, purchased in Ulleung, Yeongyang and Gunwi areas.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methanol extracts of the dried wild vegetables were evaluated by analyzing total poly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measuring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RAP activity. Among the 15 vegetables, Aster glehni and Saussurea grandifolia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since they showed the most excellent content or activity in methanol extracts.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ose two selected vegetables were measured by extracting after solvent fractions in the following order: methanol,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s a result, extracts from ethyl acetate showed the best content and activity. Therefore, extracts from ethyl acetate were checked each phenolic acid component by using GC and GC/MS and, each flavonoid component by using HPLC and LC/MS/MS. The results of phenolic acid analysis showed that caffeic acid (2,487.9 ㎍/g), ρ-coumaric acid (939.7 ㎍/g), protocatechuic acid (835.3 ㎍/g), 4-hydroxybenzoic acid (239.8 ㎍/g), salicylic acid (224.9 ㎍/g), vanillic acid (22.7 ㎍/g), ferulic acid (20.6 ㎍/g), cinnamic acid (17.2 ㎍/g) for Aster glehni, and caffeic acid (4,035.9 ㎍/g), 4-hydroxybenzoic acid (514.2 ㎍/g), protocatechuic acid (461.9 ㎍/g), ρ-coumaric acid (181.8 ㎍/g), salicylic acid (141.0 ㎍/g), vanillic acid (27.1 ㎍/g), cinnamic acid (25.5 ㎍/g), syringic acid (7.8 ㎍/g) for Saussurea grandifolia. The flavonoid content showed astragalin (7,953.04 ㎍/g), hyperoside (7,107.99 ㎍/g), kaempferol (361.40 ㎍/g), rutin (335.14 ㎍/g), quercetin (44.05 ㎍/g), cosmosiin (0.27 ㎍/g), luteolin (0.19 ㎍/g), vitexin (0.13 ㎍/g), apigenin (0.07 ㎍/g) for Aster glehni, and hyperoside (13,816.02 ㎍/g), rutin (584.59 ㎍/g), vitexin (385.42 ㎍/g), astragalin (78.72 ㎍/g), quercetin (47.66 ㎍/g), kaempferol (3.53 ㎍/g), apigenin (2.94 ㎍/g) cosmosiin (2.37 ㎍/g), luteolin (0.94 ㎍/g), quercitrin (0.54 ㎍/g) for Saussurea grandifolia.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measured for each phenolic acid and flavonoid standard materials (concentration 0.1 ㎎/mL) which were detected. As a result,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caffeic acid (82.1%), quercetin (77.3%), protocatechuic acid (68.6%), luteolin (52.6%), ferulic acid (47.0%), syringic acid (46.3%), kaempferol (39.2%), hyperoside (36.9%), rutin (24.3%). Overall, total polyphenol content, total flavonoid content and various antioxidative activities for 15 Korean wild vegetables were compared. Antioxidative activity of Aster glehni and Saussurea grandifolia was evaluated and each antioxidative component was confirmed and qua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scientific data of a natural antioxidative material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for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improvement, such as medicine development, healthy food manufacture.

      •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한 국민연금 동향 분석

        서상욱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모바일 인터넷과 정보통신의 발달, 특히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확산으로 인하여 정보량에 대한 증가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달로 기업 및 사회는 대량으로 유입되고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과 예측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처리, 분석, 활용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전명진, 2015). 이러한 소셜미디어의 전 세계적 확장은 새로운 온라인 인맥 형성과 기존 인맥 관계의 강화, 일상생활의 표현 및 다른 주요 정보의 획득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으로 정보통신환경에 혁신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추세이다(고준영 외, 2014). 데이터 수집을 위해 사회복지의 한 부분인 ‘국민연금’을 키워드로 선정하고, 인터넷뉴스에 존재하는 ‘국민연금’에 대한 내용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크롤링’하였다. 소셜미디어는 크게 블로그, 인터넷카페, SNS, UCC 등으로 분류가 가능한데, 본 연구에서는 오픈소스 ‘파이썬’을 통해 포털사이트에서 운영하는 인터넷뉴스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정제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오픈소스 ‘R’을 이용해 전처리 및 주제어빈도분석과 워드클라우드를 실시하였다. 주제어 : 빅데이터, 분석, 국민연금, 뉴스, 비정형데이터, 소셜미디어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bile internet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especially social media,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increasing exponentially. With these developments, companies and society are in need of technology to process, analyze and utilize data to analyze and forecast based on massive data (Jeon, Myeongjin, 2015). This global expansion of social media is chang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with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a new online network, the strengthening of the existing social networking relationship, the expression of daily life and other important information (Ko JY, et al., 2014 ). To collect data, 'National Pension', a part of social welfare, was selected as a keyword and 'crawl' data corresponding to 'National Pension' existing in Internet news. Social media can be categorized as blog, internet cafe, SNS, UCC, etc. In this study, we collected internet news text data operated by portal site through open source 'Python'. Because the collected data is not in a refined state, pre-processing and subject-matter frequency analysis and word cloud are performed using open source 'R'. Key words: big data, analysis, national pension, news, unstructured data, social media

      • 웹 취약점 공격 대응을 위한 알림 시스템 개발

        서상욱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기술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금융, 온라인, 전자상거래,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새로운 보안위협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계속해서 지능화되는 웹 취약점 공격을 탐지하고 대응하기 위해 공공기관 또는 기업체에서는 보안관제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보안관제 센터의 업무에서 가장 요구되는 사항으로는 기본 웹 취약점 공격이나, 최신 공격을 빠르게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보안시스템에서 1차적으로 탐지된 웹 취약점 공격을 인지하기 위해서 검색 및 알림 기능이 지원되는 웹 취약점 알림 시스템이 필요하다. 국내에서의 웹 취약점 공격 대응시스템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크롤링, SIEM를 이용한 탐지 시스템 그리고 웹 취약점 공격 대응시스템인 웹 방화벽 등이 있으며, 설치 위치와 동작 방식에 따라 물리적 구성 방식과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총 28가지로 구분된 웹 취약점 공격 이벤트와 6가지 그룹의 취약점 점검 대상을 나뉘어 관련된 웹 취약점 알림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자 한다. 구현 결과 웹 취약점 공격 알림 시스템에서 검색과 알림 기능 지원이 가능하게 설계하였으며, 기능 설계는 순서도 및 구성도 작성을 통해 진행하였다. 따라서 보안시스템에서 1차적으로 탐지된 웹 취약점 공격을 인지하고 검색 및 알림 기능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인 결과물로 웹 취약점 알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외부 전기장과 역학적 응력의 상호작용에 의한 K_(2)ZnCl_(4)의 비정합상 연구

        서상욱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commensurate phase in the dielectric crystals which are ferroelectric in their commensurate phases have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in the several decades. Recently, the influence of external electric field and mechanical stress on incommensruate phase have been studied by several researcher. Although it is a new physical phenomenon that both external electric field and mechanical stress are coupled by lattice modulation theoretically, it has not yet been supported by experiment. We studied the coupling between external electric field and mechanical stress in the incommensurate phase of K_(2)ZnCl_(4),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Using the Landau theory, we could derived theoretically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external electric fields and mechanical stress. The effect of coupling between external electric field and mechanical stress could be visualized by applying the electric and mechanical field to the samples near the commensurate-incommensurat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T_(c)). When the external electric field is shut off, the strain-stress curve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electric field of 3kV/cm is applied, hysteresis appeared. Experimental results support that both external fields are coupled in the incommensurate phase. By comparing exermental data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we showed that there exists coupling between polarisation and strain in the incommensurate phase.

      • 승용차 충돌특성 및 변형양상에 관한 연구

        서상욱 아주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마다 자동차 보급 대수가 늘어남에 따라 교통사고의 발생 건수 또한 늘어났다. 이러한 교통사고의 진상규명을 위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벽 완전 정면충돌시험과 측면충돌시험, 후방충돌시험, 40%옵셋 정면충돌시험 등의 시험을 통해 차체감가속도, 차체감가속도 지속시간, 변형량, 속도 및 운동에너지 등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충돌시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데이터는 선형보간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험방법에 대한 속도-최대변형량(), 속도-최대감가속도(), 속도-최대감가속도지속시간(), 차량중량-최대변형량(), 차량중량-최대감가속도(), 차량중량-최대감가속도 지속시간(), 차량중량-최대변형량(), 속도-운동에너지() 등으로 관계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 경찰청 및 보험개발원등과 같은 연구기관과 사고 자동 녹화 시스템(AARS)등의 사고 재구성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