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단풍취 주정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대한 연구

        서민규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단풍취 (Ainsliaea acerifolia Sch.Bip.)는 국화과 식물로 장이나물, 괴발딱지로도 불린다. 주로 그 잎을 나물로 식용하며 민간에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장염의 치료와 중풍 예방, 숙취해소에 사용되어 왔다. 단풍취는 apigenin, sesquiterpenes 등 flavonoid 계열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세포독성, 항균 등의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단풍취의 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부분이 많으며, 단풍취의 항염증 효과와 그 기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PS로 자극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단풍취의 항염증 효과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단풍취 주정추출물 (EAA)은 처리 농도에서 Raw 264.7 대식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EAA는 Raw 264.7 대식세포에서 LPS로 유도한 NO의 생산량과 iNOS, COX-2의 단백질 발현 수준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생산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EAA는 LPS로 유도되는 p65 NF-κB의 활성화를 억제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EAA가 iNOS, COX-2 단백질 발현 및 TNF-α와 IL-6 생산의 발현 조절을 통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EAA가 염증성 질환에 효과적인 치료약물로 사용될 수 있는 후보물질임을 시사한다. Among Korea medicinal herbs, Ainsliaea acerifolia (AA) belongs to the Compositae family,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ic arthritis. However, AA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erefore, I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A (EAA)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acrophage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MTT assay in RAW 264.7 macrophages.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with Griess reagent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were detected by enzyme immunoassay (EIA) kits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Protein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COX)-2 and p65 subunit of nuclear factor-κB (NF-κB)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EAA showed the inhibition of NO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Consistent with the observation, EAA reduced the expression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s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in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EAA inhibited the productions of TNF-α and IL-6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However, EAA did not inhibit activation of p65 NF-κB in LPS-s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wn-regulation of iNOS, COX-2 protein expression and TNF-α and IL-6 production by EAA are responsible for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 도시지역 도로의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연구 : 서울시 강남구 사례연구

        서민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도시지역은 60년 만에 급격한 도시성장을 이루었다. 반면, 1963년 7.8%에 불과하던 불투수면적률이 2010년에 와서는 27.7%에 이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63년 10.6%였던 빗물 표면유출량이 2010년 51.9%까지 증가되어 여러 도시 환경 문제의 원인이 된 것이다. 해가 지날수록 여름철 강우강도가 거세지는 등 예전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이제는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재해의 원인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갖는 수자원으로 바라보고 삶의 필수적인 공공재로 활용하기 위한 근본적인 변화의 패러다임으로 바라봐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자연적 수순환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이 주목 받고 있다. 자연적 수순환 체계는 유역 내에서 우수를 저류, 침투 및 이용함으로써 지표유출량을 줄여 침수피해를 저감할 수 있으며, 도시의 수순환체계를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자연적 수순환체계를 회복시키기 위해 도시지역 도로를 대상으로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연구를 진행하였다. 도시지역 도로의 기능은 다양하게 분류되나, 그 중 도시지역 내부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집산도로, 국지도로, 교차로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도시지역 도로의 수순환체계 회복을 위해 우선적으로 침투시설의 적용이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저류시설의 병행 및 녹지의 기능개선 등을 통해 이를 보완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적용 요소들에 대해 도로기능별로 침투·저류시설 배치계획을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자연적 수순환체계의 회복을 목적으로 도시지역 도로의 침투시설의 도입이 적합한 부분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주간선, 보조간선, 집산, 국지 도로에 침투 및 식생여과시설을 도입하고 주간선도로에 한하여 교차로의 교통섬에 저류시설을 도입하였다. 둘째, 침투시설의 적용만으로는 수순환 체계를 회복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저류시설인 빗물저류조를 설치하여 설계침투량을 보완하였고, 저류한 빗물은 조경용수, 살수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의 제시와 저류시설 설계량 산정을 통해 이용 가능량을 확인하였다. 셋째, 도입한 시설을 통해 녹지를 확보하고, 투수성포장의 도입으로 추가적인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기존의 획일적인 녹지 기능에서 벗어나 지표유출저감, 열섬현상 완화 등 도시환경문제 개선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도로의 기능별 수순환체계 구축 설계를 통해 향후 경제적인 방향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기대효과를 불러일으키는 도시 환경적 측면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 Development of Novel Control Scheme for Vehicle-to-Grid Aggregator : 전기자동차 집합 제어 방법론 개발

        서민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aggregate individual electric vehicles (EVs) into virtual EVs, which is called the EV aggregation cluster model (EACM). In addition, a multi-stage optimization method is also proposed to minimize the electricity cost for model buildings. The EACM and proposed multi-stage optimization method reduce the decision variables in an objective function while considering stage-of-charge (SoC) constraints for all individual EVs. As a result, the computational time is reduced and obtained schedules for individual EVs, allows for near minimal cost, which is validated by the simulation. In the simulation, the computational time using the proposed methods are 32% of the conventional method at most. The cost gap between an optimal EV charging schedule and an approximated one obtained by the proposed method is less than 5% regardless of the number of EVs.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필드에서의 전기자동차 최적 충·방전 스케줄 생성 및 적용을 위해 개별 전기자동차를 가상의 전기자동차로 통합하는 클러스터링 모델과 최적화 모델을 제안한다. 전기자동차의 최적 충·방전 스케줄 생성 문제는 NP-hard로 정의되는 최적화 문제로 실제 필드에서 계산하고 적용하기에 컴퓨터의 물리적 계산 용량 한계와 과도한 계산 시간 등 많은 제약이 있다. 제안된 클러스터링 모델을 통해 전기자동차를 가상의 전기자동차로 통합하여 계산하는 과정에서 시간별 충·방전량을 의미하는 결정 변수의 수를 경감되고, 결과적으로 물리적 계산 용량과 계산 시간을 경감할 수 있다. 통합된 전기자동차의 스케줄 생성 후 가상의 전기자동차에 할당된 충·방전 스케줄을 개별 전기자동차로 분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가상 전기자동차의 최적 스케줄 계산 과정에서는 개별 전기자동차의 물리적 조건이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스케줄 적용 시 배터리에 저장되는 에너지가 배터리 용량보다 커지거나 혹은 0보다 작은 값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전기자동차의 물리적 제약을 반영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주는 multi-stage optimization 모델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개별 전기자동차의 물리적 제약조건의 위배가 발생하지 않는 충·방전 스케줄을 얻을 수 있었고, 기존 방법론 대비 약 32%의 계산 시간 소요만으로 스케줄 생성이 가능하였다. 최적화 성능 검증을 위해 건물의 전기요금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설계하였고, 모든 것이 고려된 최적 비용 대비 제안된 방법론을 통해 얻은 비용은 전기자동차의 수와 관계없이 5% 미만의 차이를 보였다.

      • 응급실 이용자를 위한 의료 정보 서비스 디자인 연구

        서민규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apid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rings increasing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s, and patients with acute illnesses. Moreover, acceleration of aging population induce more incidences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Especially with the enforcement of 'Saturday Holiday System' expansion, more people take time to enjoy their leisure activities during such weekend. The occurrence has been follow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trauma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coming in via ambulance has increased from 8,380,000 in 2007 to 10,180,000 in 2013 and is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emergency rooms, it leads to increasing need for emergency rooms, and thus leads to longer wait-time for patents, ultimately aggravating medical attention. The out-patients and their guardians come into the emergency room nervous, anxious, and/or with any other forms of mental distress. As there are delays with the wait-time, lack of medical team,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 congested situations, patients' high expectations come close to the reality. Thus, a survey performed by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depicts a lower satisfaction of patients on emergency room compared to general practices. Due to this, there are potential factors, such as having a dissatisfied patient show violence, or having the patients' anxiety and nervousness escalate because of their own illness or injury. Therefore, a measure needs to take place to alleviate the negative experience b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team and the patients.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Korean emergency room environments are examined, and examples of medical environment and service design on the process of emergency medical attention are discussed. Specifically, emergency rooms of Samsung Seoul Hospital in South Korea and National Health Service (NHS) Hospital in England are examined as an example of advanced emergency room service design.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ere used as subjects in the study. Five center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having more than 25 numbers of bed hospitals, having more than 100 patients visit daily, and are well known by the general population. Our research was done on the visual and service design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data, we collected surveys for three months from 140 patients who had previously used these emergency medical centers to determine possible problems. Compiling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from the use of emergency rooms, a leaflet that visually informs ‘treatment processes for emergency room patients' was designed. An efficient and easily accessible five-fold leaflet and a large poster were planned, edited and finally designed according to three feedbacks from professionals. The design of guide maps for medical teams, visitors, and patients are mostly in neutral colors with the essential information highlighted for maximum legibility. The guide maps consist of one to five levels of gradations of color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patients-red for urgent patients, orange for emergency patients, and green for nonemergent patients. The customized colors let the patients easily determine the adequate guide map designed with texts and pictorials. In order to solve the biggest problem: 'long wait time (58%)' according to the emergency room survey, a clock-shaped icon was placed to explain the reason behind the wait including what the medical teams do in the time slot.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medical team's lack of explanation for the next steps (40%),' medical emergency treatment processes were divided into five steps, which consist of detailed information to facilitate users of the map to understand bette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help, such as advancing patient's negative experience of the emergency room,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by solv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among medical teams and patients, and improve emergency room environment.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산업재해, 교통사고, 급성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인구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됨으로써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토요휴무제의 확대 시행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여가생활이 집중되는 휴일에 교통사고, 외상환자 발생 건수가 평일보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응급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는 2007년 838만 명에서 2013년에는 1,018만 명으로 늘어났으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계속되는 응급실 이용의 증가로 인해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응급실 환자의 대기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응급실 내원 환자, 보호자의 대부분은 긴장이나 염려, 불안감을 가지고 흥분된 상태로 들어오게 되는데 대기시간의 지연, 의료진의 부족, 응급실 혼잡한 환경 등이 환자들의 높은 기대 수준과 맞물리면서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실시한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 조사결과 응급실의 만족도는 일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불만이 가중되어 폭력상황을 유발하는 잠재요소가 되기도 한다. 자신의 질병 및 외상, 응급실의 환경적 특성으로 긴장감과 불안감을 고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들의 부정적 경험을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응급실 환경과 특징조사 및 응급실 진료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의료 환경과 서비스 디자인의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응급실 서비스 디자인 선진 사례로써 국내 사례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과 해외사례로 영국 런던 NHS병원 응급실과 해외 의료환경 서비스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부산 ? 경남지역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병상 수가 25개 이상, 하루 평균 이용자 수가 100명 이상 규모의 인지도 높은 병원 5곳을 선정하여 현재 응급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정보 매체와 서비스 디자인을 중점으로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140명에게 응급실 서비스 디자인 관련 설문조사를 3개월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응급실 이용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전달의 시각화를 통한 ‘응급실 이용자를 위한 진료 프로세스 안내지도’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5단 접지 형태인 인쇄용 리플렛과 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인보드 형태로 디자인하였고 3회에 걸친 전문가 피드백을 통하여 개선하였다. 의료진과 이용자 간의 진료 진행과정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안내지도 디자인은 가로 400mm, 세로 280mm 크기로 제작되어 응급실을 이용하는 청년층에서 노년층까지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약간의 크기 조절은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뉴트럴(Neutral) 컬러를 사용하였으며 필요한 정보를 눈에 띄게 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주어 1단계에서 5단계까지 단계별로 진행되는 느낌을 주었으며, 진행되는 안내라인은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분류색으로 긴급환자는 적색, 응급환자는 주황색, 비응급환자는 초록색으로 각각 표시하여 환자에게 맞는 안내라인의 컬러를 따라가며 볼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으며 텍스트와 픽토그램을 함께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응급실의 가장 큰 문제점인 ‘긴 대기시간(58%)’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계와 단계 사이에 시계 아이콘을 표시 하여 이용자들이 왜 기다려야 하는지 의료진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지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다음단계에 대한 의료진의 설명 부재(40%)’를 해결하기 위해 응급실 진료 프로세스를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나타내었고, 단계별로 자세한 설명을 기술하여 이용자들이 응급실의 진료 프로세스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내지도를 통하여 응급실 이용자가 부정적 경험을 개선하고, 의료진과 환자사이의 부족했던 의사소통을 해결하여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응급실 환경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의 조절효과

        서민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내재적 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 및 직무조직(직무도전성, 변혁적 리더십, 동료지원, 지식공유)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전기 및 후기 밀레니얼 세대, Z세대) 변인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수준을 구명하였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창의적 행동 수준을 구명하였다. 셋째,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다섯째, 대기업 사무직 전기 및 후기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 근로자의 개인심리 및 직무조직 변인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집단은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이며, 공정거래위원회(2021)에서 발표한 71개의 공시대상기업집단에 소속된 지주회사 및 계열사 중 자산총액 5,000억원 이상의 기업의 사무직 MZ세대 근로자를 목표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세대별 150부를 배분하여 총 450부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50개 기업에 10부씩 500부를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78부를 회수하여 연구대상 기준에 맞지 않는 근로자와 불성실 응답자 42부를 제외한 후 436명(전기 밀레니얼 세대: 143, 후기 밀레니얼 세대: 149, Z세대: 144)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배치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PROCESS Macro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 수준은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창의적 행동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과 직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세대별로는 전기 및 후기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개인심리 변인에서는 내재적 동기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며, 직무조직 변인에서는 직무도전성과 지식공유가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 동료지원 및 지식공유와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이 조절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전기 밀레니얼 세대에서는 내재적 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 변혁적 리더십, 지식공유가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후기 밀레니얼 세대에서는 내재적 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도전성, 지식공유가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Z세대에서는 내재적 동기,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도전성이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기업에 새롭게 유입되는 세대들이 높은 창의적 행동을 발휘할 수 있는 조직적 지원체계 수립이 필요성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창의적 행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는 내재적 동기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의 이론 및 모델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창의적 행동은 개인의 인식 및 태도에 영향을 받는 개념이지만 업무와 조직환경 측면에서 향상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직무도전성, 지식공유가 창의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업무 및 조직 환경적인 요인이 개인의 역량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고 대기업의 조직구조와 문화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세대 변인은 변혁적 리더십, 동료지원, 지식공유와 창의적 행동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 동료지원 및 지식공유와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서 세대 변인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별 창의적 행동의 영향변인 분석을 통한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조직 변인은 세대 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 연구는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조직 변인을 세대별로 분석하여 차이점을 증명하였고 세대별 창의적 행동에 영향변인에 대한 논의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 관점의 제언은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에 대하여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변인과 세대별 영향변인을 추가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에 동료집단의 지원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동료지원과 유사한 변인을 통하여 탐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이 향상되는 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관점의 제언은 첫째, 첫째, 대기업 MZ세대 근로자가 높은 창의적 행동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적 지원체계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 향상을 위한 개인심리 측면의 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창의적 행동 향상을 위하여 직무조직 측면의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MZ세대 근로자의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창의적 행동 향상을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전기 및 후기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창의적 행동 향상을 위한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할 때는 세대별 창의적 행동 관련 영향변인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eration (early and latter-phas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among creative behavior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organization variables (job challeng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worker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hereinafter referred as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re were five verifications done to fulfill this purpose: First, the level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and job organization variables and creative behavi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ere verified. Second, the level of creative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as verifi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job organization variables was verified.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eration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job organization variable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ere verified.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and job organization variables of the early and latter-phas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ere verified.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nd the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as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corporations with total assets amounting to KRW 500 billion or more among holding companies and affiliates of the 71 business groups subject to disclosure announced by Fair Trade Commission (2021). As for data collection, it was aimed at collecting a total of 450 copies of survey responses by distributing 150 copies of questionnaire per generation. To achieve this goal,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to 50 companies (ten for each company), and 478 copies were collected. Then, by excluding 42 copies collected from workers not conforming to the criteria for study target and of unreliable responses, 436 respondents (Early-phase Millennial Generation: 143, Latter-phase Millennial Generation: 149, Generation Z: 144)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6.0 for Windows program,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PROCESS Macro.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reative behavi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as relatively lower that that in the previous stud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vel of creative behaviors according to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genders and by position. By gener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in the early-phase and latter-phase millennial and generation Z office workers. Third, among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intrinsic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 and, among job organization variables, spirit job challenge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Fourth, generation variable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worker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Fifth, in the younger millennial generation,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s and, in the latter-phase millennial generation,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job challenge,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s. Last, in the generation Z,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job challen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s above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for improving the level of creativ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discovered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an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that helps the MZ generation workers newly recruited by corporations to display a high level of creative behaviors. Second, creative behaviors are most affected by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indic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us proved the theory and model of the previous study. Third, although creative behaviors are a concept that is affected by individual awareness and attitudes, creative behavior can be improved in terms of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indicated that the spirit to job challenge and knowledge shar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eative behavior, and thus proved that the operational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c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workers' individual capabilities, and also implied the necessity for discussion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ulture of large corporations. Fourth, generation variabl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worker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indicated that generation variables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behavior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worker support, and knowledge sharing, and thus discovered the necessity to develop a customized support system through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creative behavior by generation. Fifth, the job organization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behaviors varied by generation.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analyzed, and thus proved the differences in job organization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behaviors by generation, and implied the necessity for expansion of discussion on the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behaviors of each gener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implications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cre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argeting various groups. Secon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investigate on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creative behavi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especially by generation.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impact coworker groups have on creativ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on variables similar to coworker support. Fourt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rocess of creative behavior improvement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As implication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organizational support system that enables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to display a high level of creative behavior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pport system in term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for improving creative behavi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pport system in terms of job organization variables for improving creative behaviors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creative behavior of the MZ generation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with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reflected. Fifth, when developing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creative behaviors of the early and latter-phase millennial generation and generation Z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differences of variables affecting creative behaviors by generation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서민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help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symbolic meanings of local landmarks and learn how to appreciate art, and (2) increase the creativity by designing their own landmarks for communities. Landmarks have represented various symbols and images of local commun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years, more cities and communities are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andmarks as a means to construct local identities and enhance the brand of cities. Building on the revised 2015 art education curriculum and emphasis on art subject competencies, this study identifies the need for a program that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their communities and design landmark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thereby strengthening the students’ creativity and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Also, the study shows the need for a program that can develop students’ independence and art appreciation by allowing them choosing their own topics and design their own landmarks. In Chapter 2, the study examines the existing literature on landmark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art education that utilizes landmark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Then, the definition of landmarks, their characteristics, and examples of landmark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re discussed. After that, nine textbooks for high school art education from 2015 revised curriculum are analyzed. Finally,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high school art teachers (n=12) and students (n=179)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is a great need for a program that utilizes the symbolic meanings of local landmarks. In Chapter 3, this study presents a new program for designing landmarks with symbolic meaning and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e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parts depending on symbolic meanings and structural types of landmarks: First, in the program for ‘sculptural landmarks,’ students make landmarks that symbolize their communities’ history. Second, in the program for ‘architectural landmarks,’ students are encouraged to design landmarks focusing on economy of their communities. Finally, students in the program for ‘facilities,’ use cultural or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ir communities in making landmarks. Chapter 4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program based on another survey that was conducted after the program. The survey indicates the following effects of the program: First, the program helped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ir communities by learning and thinking about landmarks. Second, students could practice how to design a concept and make it into a landmark. Third, students could enhance their creativity and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However, despite such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there is a limitation in utilizing the program at schools due to the time constraints and lack of facilities. Given the limitation, this study presents three ways of implementing the program with students that are: making use of thinking activities for creativity, providing information on how to use various activities, and offering more opportunities to visit landmarks and other cultural heritage in local communities. It should be noted that being able to design a quality landmark that effectively conveys a symbolic meaning is not easy. Still, this study expects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foster students’ independence, cooperative mindset, and creativity, as it allows the students to choose their own topics, engage in team work, and work through various activities. 본 논문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랜드마크에 내재된 상징적 의미의 이해를 통하여 미술 문화를 향유하는 즐거움을 가지게 하고, 지역의 상징성을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을 제작함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과거부터 랜드마크는 세계 곳곳에서 그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의미의 이미지로서 도시와 지역 사회의 상징성을 내포해왔다. 최근에는 랜드마크를 통하여 도시 정체성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도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도시 경쟁력을 제고하는 랜드마크의 역할과 기능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역량에 근거하여 지역 사회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 특징을 상징적 의미로 나타낼 수 있는 랜드마크 조형물로 제작함으로써 ‘창의·융합적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이라는 대주제 안에서 지역을 탐색 및 선정하고, 조각·건축·시설물 등의 유형을 선택하며, 매체나 규모, 형태도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제작하게 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또한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깨닫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선행 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랜드마크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고,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프로그램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랜드마크의 정의와 여러 가지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국내·외의 랜드마크 사례를 분석하여 랜드마크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9종을 분석하였고, 서울, 경기 소재의 미술 교사 12명과 고등학생 1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프로그램과 같은 수업이 현장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상징적 의미와 랜드마크 조형물의 유형에 따라 다음의 3가지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역사적·기념비적 의미를 적용한 환경조각형 랜드마크 제작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지역의 역사적 의미 혹은 기념비적 의미를 상징하는 조각물 형태의 랜드마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예술적·경제적 의미를 적용한 건축물형 랜드마크 제작 프로그램’에서는 예술적인 형태 혹은 경제적 상징성에 중점을 둔 건축물형 랜드마크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문화적·환경적 의미를 적용한 시설물형 랜드마크 제작 프로그램’에서는 해당 지역의 문화적인 특징이나 환경적인 특징의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시설물 형태의 랜드마크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4장에서는 본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결과물과 사후 설문지를 토대로 교육적 효과 및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상징적 의미를 적용한 랜드마크 조형물 제작 프로그램의 적용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마크와 상징성 이해를 통한 지역 사회 및 문화 이해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 둘째, 아이디어 구상 및 입체 조형 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창의적 표현능력을 향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매체와 수업 시수, 물리적 공간 등의 한계가 존재하여, 본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다음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아이디어 구상을 위한 다양한 창의적 사고 기법 활용, 둘째, 다양한 매체 활용 방법 제시, 셋째, 랜드마크 및 미술 문화재 탐방 기회 확대’이다. 창의적이고 완성도 높은 입체 조형물을 제작함과 동시에 상징적 의미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작업은, 아이디어 구상부터 다양한 매체를 통한 입체 작업까지 대다수의 학습자들에게 결코 쉬운 작업만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이 지역의 특징과 상징성, 그리고 매체 등을 자율적으로 탐색 및 선택함으로써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조별 작업을 통하여 협동심을 함양하며, 다양한 매체를 접해봄으로써 창의적 표현 능력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외국의 체육교사 양성 및 현직교육에 대한 고찰

        서민규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를 통하여 외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교육 및 현직교육에 대한 제도와 내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체육교육사교육과정의 개선을 위해 체육교사교육과정의 역사를 돌아보고 이에 관련된 제 철학의 입장을 살펴보았으며 현행 체육교사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이 거의 획일적이었다. 둘째, 교사교육기관의 정체성확립이 미흡한 교육과정이었다. 셋째, 교과교육학의 중요도에 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넷째, 체육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주기가 불규칙적이었으며 교육과정평가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섯째, 체육교사교육과정의 교과목 결정에 대한 준거나 지침 설정이 어려워 이론과목과 실기과목 개설 비율간의 불균형이 심했다. 여섯째, 교사양성대학의 졸업 이수 학점 수가 감소하는 추세이어서 전공에 대한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로 교사가 되는 경우가 많다. 마지막으로 외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고 형식적인 교육실습이었다. 외국의 경우처럼 장기간의 직무실습 교육은 무리일지라도 현장과 연계된 직무 실습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다양한 현직교육의 기회가 제공되고 의무화되어 전문적이고 능동적인 체육교사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review aims at providing an overview of the foreign college education system for building physical education(PE) teachers. Since PE teachers in foreign secondary schools should teach not only physical education but also an additional subject, candidate students should have completed the curriculums of two college majors to be qualified as a prospective PE teacher. Although the curriculums vary with federal states, the foreign teacher building system requires prospective teachers to have completed the course work of nine to ten semesters before taking the first national examination. Prospective teachers who have passed the first examination go through further capacity building programs including various forms of seminars and PE. practices in a couple of secondary schools before taking the fi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In foreign, the government, universitie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provide various and increasingly more opportunities for reeducating teachers. The foreign case can be used to improve PE teacher education and reeducation programs in Korea. First prospective teachers need to get experience as early as possible that they can determine their job aptitude. Second, the duration of internship head to be charged to reflect school conditions in Korea. Third, teacher qualification can be enhanced through compulsory participation in teacher reeducation programmes. Finally, PE teacher need to acquire experiences from community sports activities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Sports.

      • 엘스터의 방법론적 개체론 연구

        서민규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엘스터(Jon Elster)의 ´방법론적 개체론methodological individualism´을 이해하고, 이 방법을 사회 과학의 영역에, 특히 맑시즘의 대상이 되는 영역에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데 있다. 결론에서 논자는 과학적 설명과 관련한 그의 관점에서 뿐 아니라, 그의 맑시즘 해석의 측면에서 방법론적 개체론을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분석적 맑스주의자들 중 한 사람으로써 엘스터는 주류 과학철학(실증주의)의 방법으로 맑시즘을 재구성한다. 재구성의 지침을 찾는 과정에서 그는 사회과학의 적절한 설명 양식으로 ´인과-의도 설명causal-cum-intentional explanation´을 제시한다. 이는 과학적 설명 원리로 그가 옹호하는 메커니즘에 의거한 인과 설명에 기초하고 있다. 사회과학의 엄밀성과 설명력은 그 이론이 사회적 사건의 미시 기초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설명해 내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이 엘스터의 기본적 신념이다. 사회적 사건에서 이 미시 기초가 되는 것은 행위자의 행위를 동기 짓는 행위자의 의도로 분석될 수 있다. 과학적 설명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을 엘스터는 ´방법론적 개체론´으로 규정한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해 엘스터는 맑시즘을 재구성하면서, 맑시즘에 내재해 있는 ´방법론적 전체론´, ´기능적 설명´, ´변증법적 연역´ 등을 거부한다. 이러한 난점에도 불구하고 엘스터는 맑시즘을 잘못된 이론으로 완전히 기각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론적 개체론을 통해서 볼 때 몇몇 통찰들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평가한다. 엘스터의 이론을 논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비판한다. 첫째는 이 이론에 기초하고 있는 과학적 설명의 정당성 여부와 관련된 것이고, 둘째는 엘스터가 시도한 맑시즘 재구성의 적절성 여부이다. 첫 번째 문제와 관련하여 엘스터는 데이비슨의 행위 이론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따라서 데이비슨의 이론이 실패하게 된다면 그의 이론 역시 붕괴하고 마는 난점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 문제와 관련하여 엘스터의 이론은 거시적 사회 현상의 미시 기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맑시즘을 보다 정교하게 만드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방법론적 개체론은 맑스의 이론과는 상이한 존재론적 토대에 기초하기 때문에 그의 재구성이 맑시즘의 정확한 의미를 드러내는 데 실패한다는 것이 논자의 견해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Jon Elster'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how he applies this method into the realm of social science which has especially become the objects of Marxism. In the conclusion, I examine his method critically, concerning not only his views of scientific explanation, but also his interpretation of Marxism. As one of the analytical Marxists, Elster tries to reconstruct Marxism by the method mainstream philosophy of science (Positivism) uses. Finding the guide for reconstruction, he suggests a causal-cum -intentional explanation as a proper explanatory mode of social science which is based on the causal explanation by mechanisms. Elster's basic belief is that the rigor and explanatory power of a social theory depends on its ability to give an account of the micro-foundations of social interaction. These are understood to be the intentions which motivate the agent's behaviors. The scientific character of the approach is founded on a particular notion of explanation, i. e.methodological individualism. Based on this discipline, Elster rejects the methodological collectivism, functional explanation, and dialectical deduction which are internalized in Marxism. However, he also insists that many insights of Marx are still relevant even through the viewpoint of analytical thoughts. I criticize Elster's theory on these two problems: one is about the justifiability of scientific explanation on which the theory is based, the other is about the suitability of his reconstruction of Marxism. In the former problem, I insist that hi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is totally dependant on the action theory of Davidson. So, if Davidson's theory fails, Elster's theory also collapses. This is a crucial limitation on the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being dependant on the action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latter problem, the theory has an advantage in the sense that it provides the micro-basis of macro social phenomena. However, I insist that it is constructed on a different existential foundation than Marx, so his trial of reconstruction fails to show the proper meaning of Marxism.

      • 한민족 디아스포라 분석연구 : 조선족 사례연구

        서민규 숭실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민족 디아스포라는 비교적 짧은 이산(離散)의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720만 명이라는 엄청난 숫자와 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 170여개 나라에 분산(分散)된 특징을 갖고 있다. 특히 한민족 디아스포라 중 230만 이라는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조선족은 자신들의 위치를 표현할 때 종종 “사과배”라고 하는데 이는 ‘국적은 중국공민이지만 소수민족으로서 중국사회의 주류가 될 수 없고, 한민족의 언어(조선어)를 사용하고 삶의 방식도 비슷하지만 한국에서는 조선족의 바람과 다르게 성가신 동포나 외국인노동자’로 여김 받는 것에 대한 자괴(自愧)적인 표현이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로는 첫째, 한민족은 “One People, Three Koreans”이다. 둘째, 조선족의 정체성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민족 정체성의 변화를 겪고 있는 조선족이 한반도의 평화와 남북통일을 위해 글로벌 행위자로서 역할을 감당해야하기 때문이다. 넷째, 한민족(韓民族)에 대한 중국의 역사왜곡을 남한과 북한, 그리고 조선족이 함께 대응해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조선족을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규정할 수 있을 것인지, 규정할 수 있다면 언제부터인지를 보인다. 한민족 디아스포라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족이 기존에 연구된 디아스포라이론의 정의와 특성에 부합하는가는 (1) 거주국과의 관계를 민족이산(民族離散), 비(非)자발성, 민족 정체성 유지 측면에서 이주원인과 거주국의 경험으로 살펴보았고, (2) 모국과의 관계는 모국에 대한 기억, 귀환의식, 모국에 헌신하는 마음 측면인 심리적인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3) 국제환경과의 관계는 모국과의 연계, 초국적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초(超)국적활동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거주국과의 관계, 모국과의 관계, 국제환경과의 관계라는 3가지 측면, 8가지 특성에 모두 부합하는 시기는 중국의 개혁․개방 시기(1978년)부터이며, 특히 1992년 한중수교 이후이다. 둘째,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거주국-모국-국제환경 간의 관계’ 속에서 차지하는 ‘디아스포라 위치(place of diaspora)’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이 ‘국제환경-중국-한국 간의 관계’속에서 차지하는 조선족 위치는 정치, 경제, 사회영역에서 중국과 한국에서의 위치를 분석하고 국제환경에서의 위치는 중국과 한국과의 관계 및 세계화시대에 따른 초(超)국가적인 이동을 분석하였다.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의 위치는 1978-1992년까지는 경직된 국제환경과 한중간의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한국에서는 배제된 상태였음으로 ‘B’라고 할 수 있으며 1992년 한중수교 이후부터 현재까지 조선족의 위치는 ‘A′’라고 할 수 있는데, 세계화시대에 따른 유연한 국제환경 안에서 한국에서는 한민족 디아스포라를 민족의 자산(資産)으로 여기는 가운데 중국에서는 중국발전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조선족에 대한 포용정책이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연구의 확장성으로는 향후 북한의 정책적 변화를 포괄하여 조선족에 대한 논의를 확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민족 디아스포라로서 조선족뿐만 아니라 재미동포, 재일동포, 고려인 등으로 한민족 디아스포라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각각의 한민족 디아스포라들의 위치는 각자가 거주하고 있는 국가 정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거주국에 대한 위치를 연구해야할 뿐만 아니라 거주국과 모국(남․북한)과의 관계 및 중요도 또한 거주국마다 다르기 때문에 모국의 정책에 따른 위치를 개별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e Korean diaspora has a short history of migration, but there are 7,200,000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distributed among some 170 countries in the world. In particular there are 2,300,000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in China, which represents the country with the biggest portion of the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Those who belong to this population call themselves “apple-pears”; this term refers to people who are of Chinese nationality but are not included in mainstream Chinese society.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se “apple-pears” are Korean, but they are also unwelcome in Korean society and regarded as tiresome foreign labors. There are four reasons for studying the Korean-Chinese as Korean Diaspora. First, Koreans are “one people, three Koreans”; second, the identity of the Korean-Chinese is changing; third, the Korean-Chinese need to play the role of global activists for Korean unification; and fourth, South Korean, North Korean, and Korea-Chinese people all need to counteract China’s existing historical distortion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defining the Korean-Chinese as part of the Korean Diaspora and its time period. Features of Korean-Chinese people as a part of the Korean Diaspora can be considered by (a) their relationship with China through reasons and experiences of their migration, in the aspects of national separation, forcibleness, and maintenance of ethnic identity (b)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homeland, Korea, in the aspect of recollecting, returning to, and contributing to it, and (c)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looking at their ties with the homeland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se relationships and features mentioned above are more obvious starting in the year 1789 when China opened its market to the world—especially from 1992, when China and South Korea established diplomatic ties. Second, the research analyzes ‘the position of the diaspora’ in the aspect of the Korean-Chinese peoples’ relationships with China, Kore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osition of the Korean-Chinese is studied by their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tatus in both the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Also,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studied by looking at their super-national movements. The Chosun ethnic group was outcasted by all societies during the Cold War Era because of national conflicts between China and Korea; we can refer to this situation as “B”. However, it became “A” after the year 1992; this was due to the softened international atmosphere as the era of globalization emerged, and the Korean society’s increased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including Korean-Chinese in the Korean Diaspora while China made the engagement policy. This research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by studying North Korea’s policy changes. Also, we can extend the scope of Korean Diaspora by considering Korean-American, Korean-Japanese, and Korean-Russian populations, which all need to be studied more in the future. The Korean diaspora’s positions are affected by the countries that they live in, so they need to be research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ir countries of res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