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자 및 투자자의 성별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배혜경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자의 성별 및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이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같은 경우,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다른 경우에도,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 및 투자자 집단에 관계없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의 관계는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넷째, 투자자 집단의 특성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ICT 분야의 동일한 사업계획서에 창업자의 성별 및 사회적 자본만을 다르게 표기하여 창업전문가 집단인 창업대학원생 및 스타트업 지원경험이 있는 창업유관기관 직원, 벤처캐피탈리스트, 엔젤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실험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73명의 설문결과를 취합하고, 교차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창업자의 창업투자유치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여 창업투자생태계에서 여성 창업자 및 여성 투자자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사업타당성과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같은 동성 그룹은, 사업타당성 및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자의 성별과 투자자의 성별이 다른 이성 그룹은,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창업자의 성별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 중 사업타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는데 통제변수로 투자자의 성별과 투자자 집단을 투입한 경우 창업자의 성별은 창업투자유치 가능성 중 사업타당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없었다. 또, 창업자의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및 투자자 집단특성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은 창업자의 성별은 투자자의 성별에 따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창업자성별-투자자성별 그룹을 동성그룹과 이성그룹으로 나눴을 때 동성그룹은 사업타당성 및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성그룹은 투자매력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과의 관계에서 통제변수로 투자자의 성별과 투자자 집단을 투입했을 때는 창업자의 성별이 창업투자유치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창업자의 성별과 창업투자유치 가능성과의 관계에 투자자의 성별이라는 중요한 변수가 있음을 시사한다. 즉, 선행연구에서 검증되어진 것처럼 남성 창업자에 비해 벤처캐피탈이나 엔젤 자금조달을 시도하는 비율이 낮은 여성 창업자는 동성인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로부터 투자를 받는 것을 더 선호하고,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는 남성 벤처캐피탈리스트보다 전체 투자금액은 작지만 여성 창업자에게 더 많은 투자를 한다. 결과적으로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 및 여성 엔젤투자자 등 여성 투자자의 역할이 여성 창업자의 창업투자유치가능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Sohl 등(2007)이 주장했듯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여성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 창업생태계에서도 성장가능성이 높고 확장성 있는 기술 산업에서 여성창업벤처의 활성화를 위한 창업환경 조성이 필요하며, 여성창업에 영향을 주는 여성 투자자 즉, 여성 벤처캐피탈리스트, 여성 엔젤투자자를 양성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샘플 수는 확보하였으나, 전체 샘플의 크기가 173개로 작다. 이와 같은 샘플 크기의 한계는 여성 창업자 및 여성 투자자의 숫자가 남성에 비해 적어 표본집단을 확보하기 어렵고 투자자 집단인 벤처캐피탈과 엔젤투자자의 성별 통계수치가 부정확하며 투자자 정보 중 공개된 성별 통계정보를 얻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한계점에 따른 것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발견한 몇 가지 연구결과를 향후 국내 창업투자생태계를 대상으로 연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창업자의 성별 및 사회적 자본과 투자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연구된 사례가 비교적 적으므로, 여성 창업자의 창업지원 및 육성 측면에서 어떠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국내 창업투자생태계에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청소년 기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배혜경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 시대와 위드 코로나 시대에 필요한 미래인재 역량으로서 기업가정신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도 기업가정신 교육이 청소년들의 창의융합적 역량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 기업가정신이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와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전후의 기업가정신 변화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총 5차시로 실시한 후, 최종 선정된 129부의 설문 내용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청소년 기업가정신은 진로개발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개발역량의 하위요인인 진로설계와 개척정신에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기업가정신이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서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교육 여부가 조절효과로는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청소년 기업가정신과 진로개발역량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청소년 기업가정신이 진로개발역량보다 더 크게 향상되었다. 청소년 기업가정신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기회발견의 상승폭이 창의성보다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로 인해 원격수업으로 진행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청소년의 진로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기업가정신 교육 콘텐츠의 개발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더불어 공교육에서의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해본다. The interest and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 as a future talent competency living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pandemic.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also actively carried out at school sites as a free semester program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of teenager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youth entrepreneurship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at purpose, after conducting five time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129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youth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students, and also on both the career design and pioneer spirit, which are sub-factor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does not act 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ird, after the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conducted, both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found to have improved, and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of entrepreneurship was greater than tha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mong the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the improvement in opportunity discovery was found to be twice as high as that of creativity. Lastly, it was proved that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ich was conducted as an online class due to COVID-19, has a positive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mo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by developing various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the career of youth and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 집단미술치료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아동의 위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배혜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위축행동을 보이는 청각장애아동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로서, 미술의 창조적인 치유의 힘과 집단의 지지적 상호작용을 통한 심리치료과정에서 긍정적인 관계형성 및 자존감의 회복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집단미술치료과정이 청각장애아동의 위축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가지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07년 3월부터 11월까지 초등학교 저학년인 청각장애아동 5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시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제공하였고 연구의 효과성을 밝히기 위해 자아개념 척도, 사회성 발달 척도, 사회ㆍ정서발달 평정척도를 사전, 사후 검사로 적용하였고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활동을 실시한 연구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용 척도에서 안정감, 호기심, 사회ㆍ정서 발달과 사회기술이 향상되었고 교사 의존성이 줄어들었다. 또한 자아수용과 자아개념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위축행동을 보이는 청각장애 아동의 자존감과 사회성의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각장애아동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사회적 관계의 경험이 자존감과 사회성을 향상시켜 위축행동 감소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Withdrawal Behaviors of Hearing Impairment Children Bae, Hye-Ky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Adviser: Kim, Jin-Sook, Ph.D., A. T. 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ssumption that group art therapy which utilizes the healing power of creative art can provide the children who have hearing impairment and show withdrawal behaviors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and restore their self-esteem, which leads to the decrease of their withdrawal behaviors. Five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ere the subjects. They were all in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e., in an environment of inclusive education. A total of 16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was administered. The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from March to November in 2007.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several rating scales which measure self-concepts, social developments, affect developments of the children were adopted. Findings on changes between the measures before and after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measures collected from pre- and post-therapy examination indicated that sense of security, inquisitiveness, social and affect development, and social skills of the subjects were enhanced. On the other hand, their dependance on teachers were decrease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concept and self-acceptance of the children.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exhibited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ociability of th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ho had been showing withdrawal behaviors. The results prove that social relationships experienced in group art therapy can be opportunities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to enhance self-esteem and sociability and that therefore the therapy is effective in decreasing their withdrawal behaviors.

      • 『 東醫寶鑑』 『婦人』 引用文에 대한 연구

        배혜경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부인 질환은 부인과라는 전문분야가 있을 정도로 일반 성인 질환과 구별되는 특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東醫寶鑑』에는 「婦人」을 두어 부인질환에 대해 의학이론과 임신전, 임신중, 임신후 등 시기별 부인질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치료법으로 처방을 제시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東醫寶鑑』은 편찬당시까지의 中國醫書와 韓國醫書를 망라하였는데, 각 門의 서술체계는 의서의 인용문 출전을 문장 말미에 기록하여 引用處를 밝히는 동시에, 각 문마다 분류를 통해 질환을 감별하고 이에 따른 처방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저자는 평소 부인과 질환에 대해 관심을 갖고 『東醫寶鑑』「婦人」을 살펴보던 중 『東醫寶鑑』의 인용문에 관심을 갖게 되어 이를 직접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東醫寶鑑』 원문의 각 문장 마지막에 기재되어 있는 인용표기를 중심으로 해당 서적의 원문과 대조하고 그 차이점과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東醫寶鑑』「婦人」 인용문 및 인용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東醫寶鑑』「婦人」 인용서는 中國醫書로 34종이 있었으며, 韓國醫書로 2종이 있었다. 둘째, 『東醫寶鑑』「婦人」 인용서를 時代순으로 살펴보면 中國은 漢代 『黃帝內經』으로부터 明代 『古今醫鑑』까지 다양한 서적에서 婦人과 관련이 있는 문장들이 인용되었다. 韓國醫書는 朝鮮초기의 의서가 인용되었다. 셋째, 『東醫寶鑑』「婦人」 인용표기의 빈도를 살펴보면 『醫學入門』이 126회로 가장 많았고 총 50개 인용표기로 인용되었다. 넷째, 『東醫寶鑑』에서 引用書로 언급되었으나 ‘諸方’, ‘俗方’, ‘海藏’, ‘濟陰’, ‘集畧’, ‘易簡’, ‘産寶’ 등은 어떤 서적인지 상고할 수 없었다. 『東醫寶鑑』「婦人」 인용문 대부분의 경우는 인용표기된 대상 서적에서 원문을 상고할 수 있었으나, 人名을 인용처로 밝힌 경우와 일부 인용서에서는 원문을 상고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Gynecological diseases have unique properties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adult diseases, so there is a specialized field called gynecology. The chapter of 「Buin(It means ‘Women’.)」 in 『Donguibogam』, tri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explaining the medical theory of gynecological diseases in detail and sort the symptoms by period, such as before, during, and after pregnancy, and at the same time, suggesting prescriptions for proper treatments. 『Donguibogam』 covers both Chinese and Korean medical books up to the time of compilation. The style of description of each chapter is listing the quotations from medical books, and cite the source at the end of each quotations. In each chapter of the book, the diseases were classificed by specific categorie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er prescriptions were suggested accordingly. I always have been interested in gynecological diseases; therefore, I decided to examine how the quotations from 『Donguibogam』 would match up to their original sources. This study was focused on comparing the quotations of 『Donguibogam』 with the text of their original citations, which were stated at the end of each ci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otations and their sources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35 citations from the Chinese books, and 2 from the Korean books. Secondly, when we looked at the quotations of the 『Donguibogam』「Buin」 in chronological order, the sentences that were related to women were cited from various periods of China, starting from the Han dynasty; yet, the Korean medical books were starting from the early Choseon Dynasty. Thirdly, the most frequently cited book were 『Yixuerumen』, which was quoted 126 times. Lastly, some citations stated in 『Donguibogam』, such as 'jebang(諸方)', 'Sokbang(俗方)', 'Haehang(海藏)', 'Jeum(濟陰)', 'Jipryak(集畧)', 'Egan(易簡)', and 'Sanbo(産寶)' could not be found. Many quotations of 『Donguibogam』「Buin」 were matching up with the text from their cited sources; whereas some cases, a source itself was vague and unclear. For examples, a name of a person was stated as the source, and some quotations were not found in their cited books. Therefore, when using 『Donguibogam』 for study,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Donguibogam󰡕's quotations do not always correspond to the original books.

      • 황기 추출물과 황기 생물전환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비교

        배혜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hysiological activity,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A. membranaceus; AM) ethanol and A. membranaceus bioconversion (AMB) extracts. To demonstrate the purpose, the following tests were performed: ① Measur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 ② Assessment of anti-inflammatory effects on RAW264.7 cells, ; ③ Evalu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and ④ Determination of the influence of MMP-1 manifestation in HDF cells. Initially, 70% ethanol was used to acquire AM extract, and by the addition of accellerase, AMB extract was acquired. As a result of comparing both extracts’ anti-oxidative activitie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M extract was observed to be higher than that of AMB extract. And it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employing AM exs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o measure the anti-inflammatory influence on RAW264.7 cells, AM and AMB extracts were treated through their concentration. It was then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impact on NO production was dependent on concentration, and that AMB extract exhibited profound inhibition of NO production, even at low concentrations. As a consequence of measuring ability of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both of extraction methods were found to possess high melanin bio synthesis inhibitory effects. In addition, the AMB extract was established to be superior to arbut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erms of inhibiting melanin biosynthesis,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MITF expression was confirmed. The impact of HDF cells on MMP-1 expression was examined. It was confirmed that each sample had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ory effect on MMP-1 expression, and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AMB extract inhibited MMP-1 expression through the p-JNK signaling pathway. The results that presented above confirm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s well as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of AM and AMB extracts, rendering them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s. In order to determine the value of future clinical use, a validation study of the efficacy of AM and AMB extracts that also considers safe bioconversion methods through animal and human experimentation as well as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본 논문은 황기 ethanol 추출물과 생물전환 황기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과 산업적 활용가치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논문에서 실시한 실험방법은 항산화력 측정, RAW264.7세포에 대한 항염효과 측정, B16F10 melanoma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측정 그리고 HDF세포에 대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 측정 등이다. 연구결과 먼저 70% ethanol을 이용하여 황기 추출물을 얻었고 이에 accellerase 효소를 사용하여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이들에 대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70% ethanol을 이용한 황기 추출물에서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 보다 높은 항산화력이 확인되어 70% ethanol을 이용한 황기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 효과를 보기 위해 황기 추출물과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농도 의존적인 NO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고,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NO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세포에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 실험 결과, 두 추출방법에서 모두 뛰어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가 확인 되었다. 또한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보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MITF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HDF 세포에 대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험한 결과, 각 시료 모두 농도 의존적인 MMP-1 발현 억제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생물전환된 황기 추출물은 p-JNK 신호전달 경로를 통하여 MMP-1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황기 추출물과 생물전환 황기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 시, 항산화 효과와 피부 염증 예방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와 피부 노화 예방 관점에서 산업적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임상적 활용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동물 및 인체 시험을 통한 황기 추출물의 효능과 생물전환 방법의 안전성에 대한 검증 연구가 보다 더 체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산화염료의 시술 방법에 따른 모발의 착색 지속 효과

        배혜경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 coloring durability of hair in relation to two hair dyeing operations, ie. a typical operation and a pre-pigment penetrative operation, by oxidative dyes. Color density of hair are compared in two oxidative dyeing processes of hair between a typical operation and a pre-pigment penetrative operation. In addition, coloring durability of hair was also determined by colorimeter in relation to using a neutral shampoo after two above hair dyeing. Color density of hair dyed by a pre-pigment penetrative operation is superior to that of hair dyed by a typical operation due to a significant coloring difference between a^* value (16.95) and b^* value (5.81). Meanwhile, there are big changes in color values between two hair dyeing processes in relation to using a neutral shampoo after two above hair dyeing. L^* values of two hair dyeing processes increased greatly with a increase of use frequency of a neutral shampoo, while a^* values did somewhat. However, and a^* values in a typical operation decreased greatly with a increase of use frequency of a neutral shampoo but increased preferably in a pre-pigment penetrative operation. In particular, when a neutral shampoo used seven times, slight differences in L^*, a^* and b^* values was only found in two hair dyeing proces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eneficial effects of a pre-pigment penetrative operation in hair by a oxidative dyeing may not be expected for hair dyeing operation when used a neutral shampoo several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