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지 기초구조물 발파해체에 의한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형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 목 : 도심지 기초구조물 발파해체에 의한 인접구조물의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Evaluation of Near Structure due to Explosive Demolition of Urban Foundation Structure 최근 도심지에서 노후 아파트 등의 재건축과 재개발의 수요가 증가하여 노후건물의 해체공사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체공사는 브레이커공법 및 전도공법 등 낙후된 공법 등이 사용되어 해체작업 시 진동, 소음 및 분진 등으로 인하여 환경 공해를 야기 하고 있어서 각종 민원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T=1000mm 이상의 기초 콘크리트의 경우에 재래식 타격공법인 브레이커 공법으로 해체작업을 시행하고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 공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화약을 이용한 해체공법을 도입할 시기가 되었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으며 발파실험을 통해서 객관적인 data를 수집하여 합리적인 화약의 사용량과 여기에 따른 새로운 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진동 예측식의 상수값은 암발파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 로 기초콘크리트 발파 시 사용할 수 있는 발파진동 예측식의 새로운 상수값을 도출 하였다. 2. 기존 타격식 공법과 발파해체 공법과의 진동을 비교하였다. 3. 기초콘크리트의 파쇄에 알맞는 비장약량 산출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비장 량에 따른 기초콘크리트의 파쇄도를 분석하였다. 4.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진동 규제치 범위 내에서의 화약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환경공해를 저감시키면서 경제성이 뛰어나고 시공성이 용이한 공법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Stability Evaluation of Near Structure due to Explosive Demolition of Urban Foundation Structure Park, Hyoung KI (Supervisor Lee, Young Seop) Dept. of Safety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cently as demolition resulted from reconstruction and redevelopment has frequently taken place, demolition industry has been laying its foundation as an axis of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due to the backward methods, it has raise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demolition process such as vibration, noise, and dust. Among them, foundation concrete with over T=1000mm is demolished with the breaker method, the conventional hammer ramming method, so it is causing problems like vibration or noise in a long-term period. For this reason,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demolition methods using explosive, and through experiment, objective data were collected to reduce an obscure sense of refusal for explosive use.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following contents. 1. This study draws the constant of the vibration of blasting prediction formula applicable to other foundation concrete explosion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stant used in the previous vibration of rock blasting prediction formula. 2. It makes easier the calculation of the proper specific charge of the diameter right for the purpose of foundation concrete demolition. 3. It compares the vibration between the previous hammer ramming method and explosive demolition method. 4. It analyzes the fragmentation of foundation concrete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ge. 5. It suggests the explosive volume in the range of vibration regulations applicable to the actual spot. This study aim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methods that have economic feasibility and high constructability and also can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

        박형기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산업현장에서 근로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위험요인 중 하나인 분진 노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호흡기 질환에 집중되어 있어 피부질환의 연구는 미미한 상태였다. 이처럼 분진과 피부질환에 대한 연구가 적은 이유는 피부질환은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고 인식되어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내외의 연구에서 분진 노출에 의한 피부질환 발생의 타당성을 확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기, 흄, 가루나 먼지에 노출되는 분진 작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성 피부문제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분진 작업장 근로자와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제 4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대상자는 임금근로자 30,751명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인구사회적 요인인 성별, 연령, 학력, 소득, 직무여건 요인으로 보호구 착용, 작업장 근무기간, 주당 근무시간, 고용형태, 직종, 직무정신적 요인으로 직무 스트레스, 근로환경 만족도, 유해작업환경 요인으로 고온 작업장, 유기용제 흡입 작업장, 화학물질 접촉 작업장, 건강인식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를 통제하고 분진 작업장 근로자와 직업성 피부문제 발생의 관련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근로자가 분진에 노출되는 빈도가 “심한 노출”로 심해지는 경우 피부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1.76배(p<0.05)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임금근로자의 분진 노출과 직업성 피부문제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인구사회적 요인, 직무정신적 요인, 직무여건 요인, 유해환경 요인, 건강인식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분진 노출 빈도가 증가할수록 피부문제를 호소하는 비율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분진 노출에 대해서는 호흡기 질환에만 치중된 정책과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 결과와 같이 분진 작업장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피부문제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피부문제는 심각한 경우 대인기피증, 우울증, 자살충동까지 이르게 하는 현대적 질환임을 감안하여 분진에 노출되는 작업자의 피부문제는 근로자 본인은 물론, 사회적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Nevertheless, some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validity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caused by dust exposure, most of the studies on dust exposure were focused on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researchs on skin diseases were very few.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kin problems and the workers exposed to smoke, fume, powder or dust in the working environmen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used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data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kin problems and workers exposed to dusts. A total of 30,751 workers, with adjusted gender, age, education, income, working stress, working environment satisfaction, protective equipments, working period, weekly working hours, employment type, working place of high temperatures, working place of breathing in vapours, working place of skin contact with chemical products, self rated health. And then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tes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to dusts and skin problems was examin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erms of frequency of exposure to dusts, the ratio of dermatological health problems was 1.76 (p<0.05) for the "severe exposure" group,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appealing to the skin problem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dust exposure increased after adjusting for the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past, policy and research focusing on respiratory diseases have been conducted on dust exposure, but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ust exposure and occupational skin problems. Considering that the skin problem is a modern disease that causes severe sociophobia,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the skin health care of the workers exposed to the dusts should actively intervene not only at the workers themselves but also at the social level.

      • Kinematic Effects of Newly Designed Knee-Ankle-Foot Orthosis With Oil Damper Unit on Gait in People With Hemiparesis : 뇌졸중 환자를 위해 새롭게 설계된 오일 댐퍼를 착용한 무릎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 편마비 보행의 운동형상학적 효과에 미치는

        박형기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보행에 있어서 발목과 무릎 관절을 조절하는 새로운 보조기의 개발과 뇌졸중환자의 신체를 조절하는 보행 운동형상학적 요소와 시공간 변수에 대하여 새롭게 설계된 보조기가 임상적으로 효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15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는 무작위 추점 방식으로 선택된 두 가지 종류의 보조기를 착용하고 보행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보조기는 전형적인 발목보조기인 단하지보조기를 착용하여 보행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보조기는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 보조기의 새로운 결합형 보조기는 발목 관절에 유압 댐퍼를 장착하여 발바닥 굽힘이 가능하게 하였고, 무릎 관절에 무릎 굽힘을 유도하였으며, 지지기시에는 무릎 관절에 굽힘 저항을 결합시켜 보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는 단하기보조기보다 건측에 보폭길이와 환측의 지지 시간을 더욱 길게 하였다(p<.05). 이는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가 초기 입각 기시 적당한 발바닥 굽힘의 저항을 제공하였고, 발바닥 떼기시에 발바닥 굽힘을 허용함으로써 입각기시 추진력을 제공하여 보행속도를 증가시켰다. 또한 유각기에 무릎 굽힘을 도와줌으로써 정상인과 가까운 무릎 각도를 유지시켜 주었다. 본 연구에서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는 단하지보조기보다 환측의 지지 시간의 증가와 한발지지 시간의 비대칭이 감소됨을 보여주었으며, 이로 인해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를 착용하여 보행을 실시하였을 때 보행 속도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는 보행 시 양다리 보폭 길이 비율이 대칭적이며, 단일지지 시간의 양다리 비율이 단하지 보조기보다 동일하였다(p<.05). 또한 보행 시 환측 엉덩관절의 굽힘 시 건측 어깨관절의 굽힘 각도의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r=.60), 최대 어깨관절 굽힘 역시 엉덩관절 굽힘 각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80). 어깨관절의 굽힘 각도의 증가는 보행속도의 증가를 나타내었고, 단하지 보조기보다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98). 이는 정상인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81). 어깨관절의 최대 굽힘각도와 엉덩 관절 최대 굽힘 각도의 시간차이는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 보조기에서 단하지보조기보다 휠씬 줄어드는 것을 보여 주어 사지간 조화의 향상을 보여주었다(p<.05). 유각기에 넓적다리 각도와 정강이 각도 변화가 보행하는 동안 정상인과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r=.57, r=.97), 보행시 각 시점별로 넓적다리 각도 변화는 발떼기 시점과 중간 유각기 시점에서 단하지 보조기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정강이 각도는 보행에서 발뒤꿈치 닿기와 중간 유각기, 마지막 유각기시에 단하지 보조기와 유의한 차이는 사지내 조화의 향상을 보여주었다(p<.05). 이러한 새롭게 설계된 무릎 굽힘-입각기 조절 장하지보조기는 만성뇌졸중 환자에게 보행의 비대칭성을 감소시키며, 보행의 성과를 증진시키는데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new orthosis controlling ankle and knee joint motion during the gait cycle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newly designed orthosis on gait kinematics and tempospatial parameters, including coordination of the extremities in stroke patients. The effects of the new orthosis were: first, the ankle-foot-orthosis (AFO) with the oil damper achieved sufficient plantarflexion of the ankle by adjusting a proper plantarflexion resistive moment during the initial stance phas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second, improved knee flexion after knee-flexion assistance, for example, lead to increased support time on the affected side, and stride length on the opposite side; and third a new type of orthosis has recently emerged to permit free knee motion in swing while providing knee-flexion in swing and providing knee-flexion resistance in stance. Fifteen individuals who had sustained a stroke with hemiplegia resulting from a single onset of stroke were recruited from the outpatient rehabilitation clinic of a local hospital in Masan. Using a stance-control knee-ankle-foot orthosis with oil damper unit (SCKAFO) in stroke patients has shown similar to normal walking speeds can be attained for walking efficiency and is therefore desirable. In this study, in wearing a the step length of the unaffected leg was longer than in wearing an AFOs (p<.05). Moreover, in wearing a SCKAFO, the stance time of the affected leg was longer than in wearing an AFO. This means that the SCKAFO helps to maintain knee extension during the stance phase, as with stance time of the affected leg, the step length of the unaffected leg was longer. In this study, the support time of the affected leg with the SCKAFO was longer than with the AFO and the asymmetry ratio of single support time decreased by more than with the AFO. This indicates that the SCKAFO was effective for improving gait symmetry, single-support-time symmetry. In walking with the SCKAFO, the gait was considerably velocity is greater. This may be due to the decrease of gait asymmetry, especially in the stance phase and an increase of inter and intra-coordination, especially in the swing phase. Thus, the newly designed SCKAFO may be useful for promoting gait performance by improving the coordination of the extremity and decreasing gait asymmet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북한 신체문화에 관한 연구

        박형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concentrate state power and maintain the system, socialist countries, including North Korea, introduced various system strengthening factors. In previous studies, factors for strengthening the North Korean regime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frameworks. Typical frameworks for analyzing elements of system strengthening include the element of the leader system that emphasizes the power of the leader, and the element of the party-state system, which operates as an institution that strengthens the system by prioritizing the party to the state. However, in analyzing these elements of strengthening the socialist system, in the totalitarian framework of analysis, the main method was to analyze the elements of strengthening the North Korean system according to the aspects of state institutions and the ruling class.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have provided an in-depth analysis framework for social members constitute a state.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strengthen the social system and power in a socialist country, the ideology of ‘physical culture’ mainly acted as the main factor in strengthening power in the socialist system. Michel Foucault said that the power of discipline is formed through the ‘politics of discipline’, which controls the behavior and appearance of the body. This discipline power induces submissiveness to the autonomous power of the members of the system, making it easier to carry out social system and power reinforcement. The phenomenon of controlling the body to form discipline power, that is, physical culture, was the discourse emphasized for the socialist system and socialist creation of human beings to strengthen power.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social behavior of North Koreans by examining the physical culture unique to North Korea from the various types of physical culture proposed to strengthen power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ocial behavior of North Korean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physical culture of North Korea during the Kim Jong-un regime through discourses and concepts of socialist physical culture, as well as by country and period. To this end,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physical culture by comparing the physical culture of North Korea in the previous period in a specific cultural area with that of the current Kim Jong-un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North Korean physical cultu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physical culture revealed in the visual image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culture specified in the North Korean original text. 국가 권력의 집중과 체제 유지를 위해 북한을 비롯한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다양한 체제 강화 요소를 도입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북한 체제 강화 요소를 다양한 틀에 의해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체제 강화 요소 분석 틀은 지도자 권력을 강조한 수령제적 요소, 당을 국가에 우선하여 체제 강화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작동하는 당-국가체제적 요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주의 체제 강화 요소를 분석함에서 있어서 전체주의적 분석틀에서는 국가기관 및 지배권력층의 양상에 따라 북한 체제 강화의 요소를 분석하는 방법이 주가 되었으며, 국가를 구성하는 사회구성원들을 통제하는 직접적인 방법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 틀이 제시된 연구는 많지 않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사회 체제 및 권력을 강화하는 여러 요소 중 ‘신체문화’의 이념은 주로 사회주의 체제에서 권력 강화의 주된 요소로 작용하였다. 미셸 푸코는 신체에 대해 행실 및 몸가짐을 통제하는 ‘규율의 정치’를 통해 규율권력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이 규율권력은 체제 구성원에 대해 자율적인 권력에 대한 복종을 유도하여 사회 체제 및 권력 강화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규율권력을 형성하기 위해 신체를 통제하는 현상, 즉 신체문화는 사회주의 체제 및 권력 강화를 위한 사회주의적 인간 창조를 위해 강조된 담론이었다. 이 논문은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권력 강화를 위해 제기된 신체문화의 여러 유형들에서 북한만의 신체문화를 규명하여 북한 주민들의 사회적 행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사회주의 신체문화의 담론 및 개념과 국가별, 시대적 양상을 통해 김정은 집권기 현재 북한만의 특징적인 신체문화를 규명하여 북한 주민들의 사회적 행태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특정 문화 영역에서 북한 사회주의 산업화 시기에서 드러나는 신체문화와 현재 김정은 집권기의 신체문화를 비교하여 북한의 신체문화의 특징을 분석할 것이다. 북한원전에 명시된 북한만의 신체문화 특징 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에서 드러나는 고유한 신체문화의 특징을 분석하여 현재 북한의 신체문화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 외국인 노동자의 근로 및 사회적 조건과 심리적 적응

        박형기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adjustment foreign workers in Korea. Especially, the study tries to examine how they adjust to various contingent conditions at their workplace and what are the main causes of their distress. For the study, a model with a set of exogenous variabl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job-related and social life factors and two endogenous variables, job satisfaction as an intermediate variable and distress as a dependent one, has been constructed. The last endogenous variable, distress, was measured by 14 indexes in the Hopkins Symptom Check List(HSCL). For the examination of the model the survey data collected by Seok, Hyunho and his colleagues in 1988 are utilized. The examination supports a set of hypotheses suggested by the model. The findings from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job-related variables are more explanatory of foreign worker's distress than social life ones. Second, among job-related variables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distress are wage, working hours, and breach experience of employment contracts. The last variable, experience of employment contract breach, is the strongest factor among the three. Third, it is found that age, education, and proportion of foreign workers in workplace, are important factors in causing job satisfaction and stress, but the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stress. Finally, contrary to the hypothesis,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s outside the work is negatively related to distress. This may be a spurious relations, reflecting what we can call "selectivity effect." That is, the two variable are negativlely related because those who have distres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social support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