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청소년에서 식사 패턴과 식행동과의 관련성 분석

        박지윤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dolesence’s food intake, dietary patterns through factor analysis, and analyze the relevance of food behavior. Among th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hich is a nationwide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156 people who responded faithfully using data from 2007 to 2018,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mber of people surveyed was 1,463 in the 4th phase, 1,391 in the 5th phase, 1,233 in the 6th phase, and 1,069 in the 7th phase, with the gender of those surveyed showing a highest number of male students(52.2% in 4th phase, 52.8% in 5th phase, 52.6% in 6th phase, and 52.2% in 7th phase). As time went by, the percentage of teenagers who were perceived as obese increased, a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said they had no experience in smoking tended to increase, and parents' educational level also increas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no drinking experience," "skip breakfast," "breakfast without family," and "eating out" has increased over time. Food intake was generally similar, with consumption of grains and vegetables showing a tendency to decline overall, and consumption of nuts, meat, fish, soft drinks, coffee, sugar drinks, fast food and breads tended to increase. Among them, male students eat much more meat, soft drinks, caffein drinks, sugar drinks, fast food and bread than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case of dietary patterns, all subjects,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were judged by factor analysis and scree plot to confirm that the three patterns were most prominent. It was derived from the 'Traditional dietary pattern' in which grains are main dishes and vegetables are side dishes,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 which meat, soft drinks and fast food are consumed mainly, and 'Healthy Western dietay patterns' in which bread and milk are consumed. These dietary patterns have shown that as times go by, the intake tendency of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creases, while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and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decrease.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three types of dietary patterns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quartiles showed that the more people took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the more they did not drink, take breakfast, take dinner, breakfast with family and dinner with family, which resulted in the same results for girls and boys, except for drinking and dinner with family. The more people consumed the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he more significant the tendency was for drinking, skip breakfast, take dinner, breakfast without family, dinner without family and eating out, except for dinner for male students, and for female students, drinking, skip breakfast, and skip dinner. The more people consumed the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he more significant the tendency was for non-drinking, take breakfast and breakfast with family, which was the same for boys and girl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dietary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ho takes 'Traditional dietary patterns' showed that they had relevance with no drinking experience, take breakfast and dinner, breakfast with family. This was the same for male students,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re was an additional relevance between dinner with fami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drinking. Research subjects who takes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tend to skip breakfast, eat dinner, breakfast and dinner witout families, and eat out frequently. These dietary pattern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who skip breakfast and eat out frequently, while female students shows significant relevance in breakfast and dinner without families, eat out frequently. The study's relevance to ‘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s’ indicated the relevance of eating breakfast with families. This is the same for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and healthy dietary habits and desirable dietary behavior is also great, and the connection between unhealthy and undesirable dietary habits is also great. In particular, the more you skip breakfast and take dinner, the more you consume high-calorie and low-nutritive foods such as fast food and soft drinks, which can be used as data when conducting research on the importance of breakfast in the future. Accordingly, education on dietary behavior as well as eating meals should be provided when nutrition education for healthy meals is conducted, and not only students but also their families should be educated as it is highly related to eating with their familie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식품 섭취에 대해 조사하고 요인분석을 통한 식사 패턴을 도출한 후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조사는 전국단위의 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데이터 중 2007년부터 2018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성실하게 응답한 대상자 5,15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기수 별 대상자는 4기 1,463명, 5기 1,391명, 6기 1,233명, 7기 1,069명이였으며 조사 대상자의 성별은 모든 기수에서 남학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4기 52.2%, 5기 52.8%, 6기 52.6%, 7기 52.2%). 시대 흐름에 따라 비만으로 인지하는 청소년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여부에 대해서는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부모님의 학력 또한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대상자의 식행동조사에 따르면 시대가 지나면서 음주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아침은 결식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외식을 자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식품별 섭취량은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곡류, 채소류 등의 섭취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견과류, 육류, 어패류, 청량음료류, 커피류, 당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빵류 등의 섭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중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육류, 청량음료류, 커피류, 당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빵류의 섭취 증가량이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요인분석과 스크리도표를 통해 전체 대상자, 남학생, 여학생의 식사 패턴을 분석한 결과 3가지 패턴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곡류를 주식으로 하고 채소류를 반찬으로 섭취하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과 육류, 청량음료류, 패스트푸드류 등을 주로 섭취하는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 빵류와 우유류를 섭취하는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이 도출이 되었는데 이러한 식사 패턴은 시대가 흐름에 따라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의 섭취경향이 증가하며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 및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은 섭취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3가지의 식사 패턴을 4분위수로 구분하여 각 분위군과 식행동을 비교해 본 결과, 전체 대상자에서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 경험이 없고, 아침섭취, 저녁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 가족 동반 저녁식사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여학생도 동일하게 결과가 도출되었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아침섭취, 저녁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의 식행동에서 유의한 경향이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에서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경험이 있고, 아침결식, 저녁섭취,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보였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음주경험이 있고, 아침결식,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 항목에서, 여학생의 경우에는 가족 동반하지 않은 아침식사, 가족 동반하지 않은 저녁식사, 잦은 외식횟수항목에서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서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할수록 음주경험이 없고, 아침섭취, 가족 동반 아침식사의 식행동과 유의한 경향을 나타냈고, 이는 남학생, 여학생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냈다. 도출된 식사 패턴에 따라서 식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을 섭취하는 연구 대상자는 주로 음주경험이 없으며, 아침과 저녁을 섭취하고,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하는 식행동과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남학생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전통적 건강 식사 패턴’과 가족과 함께 저녁을 섭취하는 식행동과의 관련성이 추가적으로 나타났으며 음주경험여부와는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하지 않은 서구적 식사 패턴’을 섭취하는 연구 대상자는 주로 아침을 결식하고, 저녁을 섭취하고, 아침과 저녁을 가족과 함께 섭취하지 않으며, 외식을 자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식사 패턴은 남학생의 경우 아침결식을 하고, 외식을 자주 하는 식행동에서만 관련성이 유의하게 나왔으며, 여학생은 아침과 저녁 식사를 가족과 함께 섭취하지 않으며 외식을 자주 할수록 관련성이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에서 ‘건강한 서구적 식사 패턴’과의 관련성은 아침을 섭취하며 아침식사를 가족과 함께 섭취하는 식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학생과 여학생에서도 동일한 관련성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통적이고 건강한 식사는 바람직한 식행동과의 관련성이 크며, 건강하지 않은 식사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생활과의 관련성 또한 큰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아침식사를 결식하고 저녁식사를 섭취수록 패스트푸드나 청량음료 등 고열량·저영양 식품의 섭취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같은 결과는 향후 아침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시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건강한 식사에 대한 영양교육을 진행할 시 식사섭취 뿐 아니라 식행동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가족과의 식사 등과의 관련성도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학생 뿐 아니라 가족까지 함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小型空港의 部分 平行誘導路 運營效率性 分析

        박지윤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 자치 단체는 왕래가 어려운 도서 지역에 중소형 공항을 설립하여 지역 경제 성장의 발판으로 삼고자한다. 성공적인 공항 유치는 관광 산업 성장 등 지역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으로도 의미가 있기 때문에 정부와 협약하여 국가적·지역적 발전을 가져오는 좋은 기회가 된다. 다만 한정적인 자원에 맞춰 해당 지역과 그 지역에 투자한 정부가 감당할 수 있는 규모의 공항을 건설해야 한다. 이때 건설비용을 감축하는 방안을 찾아 공항 시설을 축소해나가게 된다. 합리적인 수준에서 공항 시설을 줄이는 것이 자금을 감축할 수 있다. 공항 건설의 비용을 고민하는 도시 및 도서 지역이 본 연구를 통해 공항의 시설 일부(평행유도로)를 축소하여 소형공항의 건설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신뢰도 높은 미래 수요 예측이 이루어진다면 온전한 평행유도로 없이도 공항 운영에 차질이 없음을 확인하고 소형공항 건설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발달 특징

        박지윤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에게 수용언어와 표현언어 검사를 실시하고 자발화를 수집하여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언어연령과 의미론적 특성과 구문론적 언어발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 3, 4, 5, 6세 각 3명, 7명, 9명, 7명씩 총 26명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 3, 4, 5, 6세 각 3명, 7명, 8명, 6명씩 총 2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언어연령에서 수용언어연령의 경우 언어 환경 간 5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표현언어연령의 경우 언어 환경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언어연령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간 언어발달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수용언어연령의 경우 3세와 4세, 3세와 5세, 3세와 6세, 4세와 6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4세와 5세, 5세와 6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현언어연령의 경우 3세와 5세, 3세와 6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다른 연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의미론적 언어발달에서 의미유형의 경우 단일어와 개별의미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의미관계의 경우 4세의 3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중언어 환경 아동의 의미관계에 대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별 단일어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 환경 아동들과 단일언어 환경 아동들의 구문론적 언어발달에서 언어 환경 간 연령별 평균발화길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3세와 5세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to compar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languag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Subjects included 26 children of 3 to 6 years old in the bilingual environment, and 24 children of monolingu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5 years of receptive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ages in expressive age.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ge and expressive age among age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results of one-way ANOVA.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percentage of one-word and semantic role.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4 years of 3-words in semantic relations.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ges in one-word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results of one-way ANOVA.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and mono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3 years and 5 years in bilingual environment children in MLU-m in results of one-way ANOVA.

      • 포스트모더니티 시대 디지털 시네마의 탈선형적 시공간성

        박지윤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ssertation argues that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tiotemporality is associated with digitation of cinema and postmodernity which has started since the late 1960s. Digital cinema appeared during the gradual progress of postmodernity which is characterized as the advent of late-capitalism, development of cutting 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In this context, spatiotemporality of digital cinema is important because cinema as a medium which represents movement necessarily requires specific space and accompanies with the flow of time. While film cinema made movements through film, digital technology virtualized every process. Thus digitation of cinema means space-time of medium that generates movement is changed. This digital cinema’s spatiotemporality based on virtuality is related to postmodernity meeting digital environment. Digital cinema represents spatiotemporality of postmodernity such as fragmentation and expansion of space. This results from the fact that subjects living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space of flow and timelessness according to Castells. Digital technology made continuation of analog into two immaterial numbers; 0 and 1. As time does not exist in computer space, it is space-centered and replaces the role of time. It means that while spatial movement from one site to the other can be detected, it does not show passing of time accompanied with physical change. Digital blockbuster cinema, cultural product of condensed digital technology, tends to focus on spectacle image expanding the importance of space rather than narrative representing temporality. In this situation time is an optional variable rather than an unconditional restraint. In other words, digital cinema visualizing space-time of both digital and postmodernity through the spectacle as medium can be seen as post-linear as it breaks away from both film’s linear and non-linear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tiotemporality is divided to three parts. One is ‘New joint’ which first appeared along with the digitization of editing and post-production. The purpose of editing is to make spectacle action scene and it enabled cinema to produce meanings by not only continuation of shots but also overlapping of layers in one shot. The other two parts have to do with postmodernity’s plural and subjective spatiotemporality. Digital blockbuster makes spectacle image through surreal space like dream, universe or imaginary world. In those spaces, cinematic time flows in a different way depending on space, and it proves the overturn of space and time. Such ‘Plural spatiotemporality’ meshes with the contemporary experiences in digital environment. ‘Up sizing and downsizing’ is concerned with that unrealistically big or small subject experience space-time differently from normal person. Accordingly, it is plural in terms that cinema represents at least two space-time of human and virtual subject. Besides visualizing a viewpoint of virtual subject is related to fragmented and subjective spatiotemporality of postmodernity. In digital environment, subject is not restricted to human but opened to virtual beings such as countless accounts and game characters in the Internet. Therefore the representation of digital cinema’s post-linear space-time is not unrelated to the contemporary way of accepting space-time. 본 논문은 디지털 시네마의 탈선형적 시공간성이 영화의 디지털화 그리고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된 포스트모더니티와 관련됨을 주장한다. 디지털 시네마는 후기자본주의의 도래, 첨단 정보 기술의 발달, 세계화로 특징지어 지는 포스트모더니티가 고도화되는 와중에 등장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은 영화가 운동을 재현하는 매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대상의 움직임은 특정한 공간에서 시간의 흐름을 동반한 채 이뤄지기 때문이다. 필름 시네마가 필름을 통해 운동을 만들어냈다면 디지털은 그 모든 것을 가상화했다. 따라서 영화의 디지털화는 운동을 재현하는 매체의 시공간성이 달라졌다는 의미이다. 가상을 전제로 하는 이러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은 디지털 환경과 조우한 포스트모더니티의 문제이다. 오늘날 주체들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통해 현실과 가상을 자연스럽게 넘나들며 영화가 재현하는 가상공간과 그 속의 시간을 일상적으로 경험하기에 그러하다. 디지털 시네마는 파편화와 공간의 전면화라는 포스트모더니티의 시공간성을 재현한다. 이는 마뉴엘 카스텔의 말처럼 디지털 환경 속 주체가 흐름의 공간과 무시간성을 경험한다는 점과 관련된다. 디지털은 아날로그의 연속을 0과 1이라는 비물질적인 숫자로 만들었다. 아울러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컴퓨터는 공간을 중심화 한다. 이 사이트에서 저 사이트로의 공간 이동은 감지되지만 물리적 변화를 동반하는 시간의 흐름이 컴퓨터에 없다는 것이다.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성 또한 이 영향 아래 있다. 응축된 디지털 기술의 문화적 상품인 블록버스터는 영화의 시간성을 대변하는 서사가 아니라 스펙터클을 중시함으로써 그 터전이 되는 공간을 전면화했다. 여기서 시간은 절대적인 제약이 아닌 임의적인 변수이다. 스펙터클을 매개로 디지털과 포스트모더니티의 시공간성을 시각화하는 디지털 시네마는 모더니티의 산물인 필름과 그것의 선형적이고 비선형적인 시공간 모두로부터 벗어났다는 점에서 탈선형적이다. 그 양상은 크게 세 갈래이다. 하나는 편집과 후반작업이 디지털화됨으로써 등장한 ‘새로운 이음매’이다. 영화는 화려한 액션을 편집 기준으로 삼았고 디지털 합성을 통해 연속이 아닌 중첩으로 의미를 만들어낸다. 즉 새로운 목표의 이음매가 등장했다는 것이다. 나머지 두 갈래는 이러한 기법을 전제로 포스트모더니티의 복수적이고 주관적인 시공간성을 재현한다. 디지털 블록버스터는 꿈이나 우주, 환상의 세계와 같은 여러 공간을 볼거리로 삼는다. 이때 시간은 공간에 따라 다르게 흐름으로써 시공간의 위계가 달라졌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복수적 시공간’은 사람들이 현실과 컴퓨터상의 워드, 인터넷, 게임 등 다수의 시공간을 경험하고 있다는 현실과 맞물린다. ‘업 사이징과 다운사이징’은 비현실적으로 거대하거나 작은 대상이 경험하는 시공간이 인간과 다르다는 사실에 의한다. 이는 인간과 가상적 대상의 시공간을 모두 전제한다는 점에서 복수적이며 가상적 주체의 시각을 대변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더니티의 파편화되고 주관적인 시공간성의 재현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주체는 실제 인간에 국한되지 않으며 각종 인터넷 계정과 게임 캐릭터와 같은 가상적 대상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시네마의 시공간 재현은 현 시대가 시공간을 인식하는 방식과 무관하지 않다.

      • 지역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적자본 수준, 다양성, 지리적 불균등성을 중심으로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t the aggregate regional level in Korea by figuring out the impact of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productivity. As a knowledge-based society emerges recently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has been emphasized becau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human knowledge is a key factor for enhancing a reg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In this sense, a geographic concentration of highly educated workers leads to promoting the creation, diffusion, and accumulation of a new knowledge through exchanging their productive ideas and information.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and regional growth or productivity. In those studies, many researchers suggest that human capital externalities in the form of knowledge spillovers as grounds of improved productivity. However, they do not analyze how human capital externalities such as knowledge spillovers contribute to productivity. Only recently have som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y comparing the wages of similar individuals who work in same cities or states but have different average levels of education. However, the empirical literatures for the existence and the magnitude of human capital externalities have shown opposite results due to the limitations of statistics models, spatial range set, data collection, etc. Moreover, only the aggregate level of human capital on a local economy is considered as the source of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nd the externalities brought on by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are often ignored. Especially, domestic studies o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have been conducted by the extremely small number of scholars, and the regional labor market and the choice range of labor policy have been disregarded because the geographical scope was usually limited to "Si" areas. The efforts to identif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re needed in terms of academic aspects as well as policy aspects. That is, it is through analyzing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nd reviewing human capital externalities that reg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ment policy should be examined. Taking all these into account,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y clarifying how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in the aggregate form affect individual productivity. For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eing, the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must be able to create the social benefits beyond the private ones sinc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occur from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the workers with the sam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ight have different productivity depending on the average level of human capital in the regions where they work. Reflecting this logic,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assumption that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ffect individual productivity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In this paper,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education and the aggregate level of human capital for the region was measured by educational attainments, such as average aggregate educational level and the share of college educated workers as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he diversity of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fractional index. The spatial segregation of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the neighborhood index. Also, individual productivity a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average monthly wage of workers over 15 years. These are measured for the 15 metropolitan "Si" and "Do" (excluding Jeju) in Korea for the year of 2000 and 2005 considering labor market and policy range. Data for analysis were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5th and 8th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2000 and 2005 Censuses from the Statistics Korea. The multilevel models (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used for solving the problem using the nested data along with regression analysis by least square metho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s: First of all, the individual productivity i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level of human capital, that is, the educational level, among the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gional average educational level (more people with university degrees) is, the lower an individual's wage is; however,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se two has been shown only in some models. These study results showed opposite directions from domestic and previous overseas studies. It is assumed that in the labor market at cities and provinces level in Korea, the law of scarcity depending on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labor market exerts more power than the aggregat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doe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regional educational level is, the more highly the individual worker's educational level is valued; therefore, the worker would receive the higher wa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level does not play a role as public goods properly by showing that at least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is not verified at the productivity level, even setting aside its impacts on the productivity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evel turns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in a meaningful way throughout the most models. This indicates that the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evel can play a role as public good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Si" and "Do" in Korea. People with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interact among one another and generate synergy effect which brings forth the positive impacts on the regional productivit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that is, the effects of the knowledge spillovers, would be brought forth when there are people with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cluster regardless of the aggregate educational level in the region, rather than when the peopl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cluster. Moreover, in most models, the spatial segregation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and overall, these two do not seem to have any meaningful relation with since the relational directions vary depending on the timing and models. Furthermo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atio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i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agglomeration economy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knowledge spillovers can be brought on by the industry aggregation rather than b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which suggests that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can be overmeasured when the agglomeration is not controlled.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human capital has been shown in the educational diversity rather than in the educational level, which indicates that practically, the former rather than the latter has played a role as the educational public good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Si" and "Do". It also needs to be noted carefully that this study has analyzed cities and provinc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search results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geographical scope is a metropolitan or a state as shown in the United States case.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as the follows: First, few domestic study has been dealt with human capital extermalities. In particular, it is the first study targeting "Si" and "Do" area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such as diversity and geographical unevenness which have been often disregard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level of human capital as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generating the externalities. Even for the areas where average human capital levels are similar, the knowledge spillove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deviation of human capital level and gap of average human capital level between blocks within the region. So,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can be a key driver for human capital externalities. Second, it is through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nd industrial agglomeration tha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cepts could be established and identified. In fact,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have over-evaluated the effect of knowledge spillovers on growth of productivity without considering industrial agglomeration i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model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with considering an industrial agglomeration in conceptional and empirical ways. Third, in terms of methodolog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t employs the multilevel models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analyzing two different levels-individual and region-in one research model, which has not been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to solve the regression analysis assumptions problem. Finally, the opposit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were drawn from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us, the new interpretation about it was suggested.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alternatives for prospectiv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models and outcome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licy alternatives are needed to be searched to the direction to draw human capital externalities caused from education level positively. Therefore, policy to facilitate interaction among human capital is needed to create more benefit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to share knowledge and spill it over creating synergy effect in the level of groups promoting interaction as well as in the level of individuals. To this end, system to facilitate direct and indirect human capit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s required. Second, policy to promote diversity is needed for human capital diversity to affect significantly productivity in positive way. Regional employees'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facilitate diverse thinking ways to contribute to knowledge creation and expansion rather to be barriers against communication. Therefore, environment for many people who have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xperiences to work together is needed by adopting different standards. Fi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hare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affects productivity positively from empirical analysis, industrial policy to develop knowledge-based industries is required. Industrial structure highlighting strategy to regional-specific industries is needed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집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지역 차원에서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최근 지식과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와 함께 사람이 보유한 지식의 양과 질이 경쟁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높은 수준의 인적자본 집중은 생산적인 아이디어와 정보의 교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 확산시키며 혁신을 불러일으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지역경제 분야에서 많은 학자들이 인적자본과 지역성장 또는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에서 관련 학자들은 인적자본의 집중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근거로서 지식확산이라는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인적자본의 집중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식확산과 같은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생산성에 기여하는 바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해내고 있지 않다. 최근 소수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의 존재에 대해 입증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나 통계모형의 설정, 공간적 범위의 설정, 자료수집의 한계 등으로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존재 여부 및 강도에 대해 상반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의 수준만을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의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인적자본의 분포가 가져다주는 외부효과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국내에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며, 공간적 범위에 있어서도 주로 시군구로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지역노동시장 및 노동정책 결정 범위를 고려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은 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책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지식경제사회에서 지식이 단지 개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확산됨으로써 보다 생산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존재 및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지역 경제의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정책적 의미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생산성의 향상과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 인적자원 관리전략과 고용정책을 창출하기 위해 지역별 인적자본 특성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합적인 차원에서 지역의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적자본 외부효과는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부터 발생되므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존재하려면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사적인 이익을 넘어서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동일한 개인 특성을 지닌 근로자가 지역의 평균 인적자본 수준이 높은 A지역에 근무할 경우와 인적자본 수준이 낮은 B지역에 근무할 때 생산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인적자본 특성을 통제한 후에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적자본 외부효과로 간주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는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써 인적자본의 수준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간과하였던 다양성, 지리적 불균등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인적자본의 집중으로 인한 외부효과 즉 지식확산 효과를 엄밀히 측정해내기 위해 지식확산의 또 다른 요인인 집적이익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인적자본은 교육으로 측정하였으며,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수준은 평균교육수준과 대졸비율로, 다양성은 변이계수와 분할 지수, 지리적 불균등성은 neighborhood index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인 개인 생산성은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으로 측정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지역노동시장과 정책결정 범위를 고려하여 15개의 광역시, 도(제주 제외)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시점의 특수성을 배제하기 위해 2000년, 2005년 두 개 년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과 함께 개인과 지역이라는 2차원의 자료를 이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노동패널 5차, 8차 자료와 인구총조사 2000년, 2005년 자료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 중 인적자본 수준, 즉 교육 수준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역 평균 교육수준이 높거나 대졸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개인 임금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생산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모형에서만 유의미하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결과와 반대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한국의 광역시?도 차원의 노동시장에서는 집합적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보다는 노동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른 교육수준의 상대적 희소성 원리가 더 크게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지역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근로자 개인의 교육수준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높은 임금을 받게 되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별도로 하더라도 최소한 생산성 수준에는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검증되지 않음으로써 교육수준이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교육수준 다양성의 경우 다수의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광역시?도 차원에서 교육수준의 다양성이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교육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에 집중함으로써 그들간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자본 외부효과 즉 지식확산 효과는 고교육자가 모여있을 때보다는 지역의 전체적인 교육수준과 상관없이 다양한 학력수준을 가진 사람이 모여 있을 때 긍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리고 지리적 불균등성의 경우 대부분의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으며, 시점과 모형에 따라 관계의 방향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개인 생산성과 전반적으로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의 집적경제 특성 중 지식기반산업 비율은 개인 생산성에 강력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 확산이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보다는 산업의 집적을 통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집적 이익을 통제하지 않았을 경우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과대 측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인적자본의 긍정적인 외부효과가 교육수준보다 다양성에서 나타남으로써 교육의 공공재로서의 역할은 교육수준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성이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공간적 범위가 메트로폴리탄인지, 주인지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짐을 주목할 때 본 연구결과가 광역시 및 도를 대상으로 한 결과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관한 국내 연구는 극히 드물며, 광역시, 도 차원에서의 연구는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발생 원인인 지역의 집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써 인적자본 수준뿐만 아니라 다양성 및 지리적 불균등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평균 인적자본 수준이 비슷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역 내의 인적자본 수준의 편차와 지역 내의 구역간 인적자본의 격차의 크기에 따라 지식 확산의 정도가 다를 것이므로 인적자본의 분포는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식확산은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일 뿐만 아니라 산업의 집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일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인적자본 외부효과와 집적경제간 개념적, 실증적 관계를 밝히고자 노력함으로써 미약하나마 이들 간의 개념적 차이를 정립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해냈다. 넷째, 방법론적으로는 선행연구에서 활용하지 않은 다층모형 분석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지역, 개인이라는 두 차원의 변수를 하나의 모형에서 함께 분석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회귀분석 가정의 위배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와는 상반된 방향의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관한 연구 모형 및 결과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수준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긍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광역시?도 지역에 있어서 인작자본 수준에 의한 외부효과는 교육 수준의 상대적 가치 상승에 따른 희소성의 원리에 의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인적자본이 사적 수익을 넘어서 사회적 수익 차원에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간의 교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향의 정책적 방안이 요구된다. 인적자본 관련 정책이 개인을 단위로 추진될 뿐만 아니라 집합적 차원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식의 공유 및 확산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HRD)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인적자본간 교류 증진과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된다. 둘째, 인적자본의 다양성이 보다 유의미한 방향으로 생산성에 긍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에서 다양성을 촉진할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역 취업자들의 다양한 학력 수준은 커뮤니케이션의 장벽으로 작용하기보다는 다양한 사고를 촉진하여 지식의 창출과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학력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기준의 채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학력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 동종 산업의 집적, 특히 지식기반산업 비율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고려할 때 향후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기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산업 정책이 요구된다. 지식기반산업의 종류도 다양하므로 각 지역의 특화 산업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고도화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RuO₂ 박막의 형성 및 capacitor electrode로의 적용에 대한 연구

        박지윤 영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이 50nm이하로 고집적화 됨에 따라, 높은 capacitance density를 가지기 위해 leakage current와 누설전류를 낮추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따라서, 최근 DRAM cell에서는 유전체의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3차원 구조의 stacked 구조를 capacitor로 사용 하고 있으며, metal-insulator-metal (MIM) 구조의 capacitor 에서 high-k dielectric을 사용하고 있다[1]. 유전체로 high-k dielectric을 사용한 경우, 유전체와 금속 전극간의 계면 특성에 의해 capacitor의 정전 용량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금속 전극의 선택이 중요하다. 최근, Ru과 RuO2은 낮은 비저항(Ru: ∼7 μΩcm, RuO2: ∼46 μΩcm)과 높은 일함수(Ru:∼4.7 eV, RuO2: 5.1 eV)를 가지며 화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MIM capacitor의 하부 전극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Ru과 RuO2 를 하부 전극으로 이용하고, high-k dielectric으로 TiO2 이나 ATO등을 이용하여 0.5nm의 equivalent oxide thickness(EOT)를 갖는 capacitor가 보고되었다. 높은 일함수를 가지는 metal electrode를 사용하게 되면, metal-insulator junction 부분에서 shottky barrier의 높이 증가로 인해 leakage current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RuO2는 Ru 보다 MIM capacitor의 하부 전극으로써 더 좋은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자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최근에는 고단차 구조물에서 우수한 계단 도포성을 가지는 증착법인 atomic layer deposition (ALD)가 연구되고 있다. ALD는 precursor와 reactant가 순차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기판 표면에서만 제한되게 일어나는 self-limited growth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대면적에서의 uniformity 와 고단차 구조물에서의 계단 도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5]. 따라서, 이러한 ALD 증착법을 이용하여 MIM capacitor의 하부 전극으로써 이용 가능한 RuO2 film의 연구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수가 “2”인 유기 금속 선구체(metallorganic precursor)를 사용 할 경우, 대부분의 절연체 기판에서 잠복기(incubation time)가 길어, 연속적인 막을 얻기가 힘들며, 증착 된 막의 거칠기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산화수가 “0”인 Ru 선구체인 isopropyl-methylbenzene-cyclohexadiene Ru(0) (IMBCHRu, C16H22Ru) precursor 와 O2 molecular를 이용한 연구가 보고 되었다. IMBCHRu을 이용하면 SiO2 와 TiN 기판위에서 Ru의 incubation cycle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핵생성이 향상되어 증착된 막의 표면이 smooth하며, 우수한 conformality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금속의 산화수가 “0”인 새로운 유기 금속 선구체(metallorganic precursor)인 (ethylbenzene) (cyclohexadienyl)Ruthenium [EBCHRu, C14H18Ru] 과 EBCHRu의 cyclohexadienyl ligand가 1,3-butadiene으로 바뀐, 새로운 “0”가 precursor (ethylbenzene)(1,3-butadiene)Ruthenium [EBBRu, C12H16Ru] 를 사용하였으며, ALD-RuO2 박막을 만들기 위하여 여러가지 실험 변수들에 따른 실험을 진행 하였다. 그 결과, RuO2 phase는 reactant로써 들어가는 O2/(O2+N2)의 비율이 100%일 때와, precursor와 reactant의 pulsing time이 각각 5 초, 60 초일 때 가장 많이 발견되어, 이 조건을 기본 공정 조건으로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RuO2는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더 잘 형성되지만 낮은 crystallinity를 가지며, 고온으로 갈수록 Ru이 증착되었다. 이에 따라, 높은 RuO2 crystallinity를 가지는 225℃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본 공정 조건에서 증착된 ALD-RuO2박막은 약 2 cycle의 매우 적은 incubation cycle을 가지며 4.5의 trench구조물에서 우수한 계단 도포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처리를 통하여 700℃에서 N2와 O2 분위기에서도 상당히 안정성 있는 박막이지만, N2/H2 분위기에서는 Ru으로 상변화가 일어나면서 막 내의 oxygen을 감소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박막과 기판의 adhesion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IM capacitor로써 사용하기 위하여 고유전물질인 TiO2와 top electrode로써 Ru을 이용하여 ALD-RuO2 박막의 capacitor bottom electrode로써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CV측정을 통해, capacitance는 1.3 µF/cm2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 것을 알 수 있었고, 이 때의 dielectric constant는 약 44를 가지며 0.9nm의 EOT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IV 측정에 의하여 bottom의 leakage current는 +0.8V/cm에서 약 8.7 X 10-6 A/cm2 를 가짐을 알 수 있다. Recently, noble metals, such as Ir, Pt, and Ru,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for electrodes of next generatio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capacitors with TiO2-based high-k dielectric films. Among the many electrode materials available, Ru and RuO2 are promising materials because of their good susceptibility to dry etching, low resistivity (Ru: ∼7 μΩcm, RuO2: ∼46 μΩcm), high chemical stability and high work function (Ru:∼4.7 eV, RuO2: 5.1eV) compared to the currently used TiN electrode (∼4.2 eV). A high work function of the metal electrode is favorable for leakage current suppression because it increases the schottky barrier height at the metal-insulator junction of the capacitor and thus, RuO2 has a clear advantage compared with Ru. The device size will continue to shrink and novel 3D structure with high aspect-ratio will most likely be integrated for high-performance devices. Thus, a conformal deposition technique on a high aspect-ratio trench or hole structure with excellent thickness uniformity and process controllability is essential. In these respects, atomic layer deposition (ALD) for these materials have been drawn much attention because ALD uses a self-limiting film growth mode by surface-saturated reaction, which enables atomic scale control of the film thickness with excellent step coverage. Another concern on thin film growth with device shrinkage is the fast nucleation of material. As international roadmap for semiconductor (ITRS) tells us, the required thickness will continue to decrease for future technology nodes. Thus, one aims to develop the thinnest possible continuous film as a capacitor electrode. In this respect, a high initial nucleation density is essential to achieve continuity in ultra-thin RuO2 films. A recent investigation reported that the nucleation of ALD-Ru film was enhanced considerably by using a zero valent metallorganic precursor, isopropyl-methylbenzene-cyclohexadiene Ru(0) (IMBCHRu, C16H22Ru) and O2 molecules, compared to the utilization of precursors with higher metal valences. Based on th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LD-RuO2 process using three kinds of Ru(0) precursors, (ethylbenzene-cyclohexadiene) Ru(0) [EBCHRu, C14H18Ru] and (ethylbenzene)(1,3-butadiene) Ru(0) [EBBRu, C12H16Ru] with molecular O2. ALD-RuO2 films were deposited using a traveling wave-type ALD reactor (Lucida D100, NCD Technology) at the deposition temperature ranging from 180℃ and 270℃. We could successfully deposit the RuO2 thin film by controlling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precursor pulsing time, reactant pulsing time, reactant partial pressure and deposition temperature. The incubation cycle of deposited RuO2 was only 2 and continuous film forms after 50 cycles. Deposited RuO2 film showed excellent step coverage of 100% at the trench with the aspect ratio of ~ 4.5 (top opening diameter: ~ 25nm). Also, to evaluate the thermal stability of deposited RuO2 film, heat treatment was done at N2 inert ambient, oxygen ambient and N2/H2 reduction ambient, where RuO2 film were deposited SiO2 substrate. RuO2 film w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until N2 inert ambient and oxygen ambient of 700℃. But, at N2/H2 reduction ambient, deposited RuO2 film occurred phase transformation RuO2 to Ru starting at 500℃ due to reduction reaction. Finally, the deposited RuO2 film was evaluated as a bottom electrode of the capacitor with ALD-TiO2 as a high-k dielectric. MIM capacitor of structured Ru/TiO2/RuO2 has leakage current of 8.7 X 10-6 A/cm, capacitance of 1.3 µF/cm2 and EOT of 0.9 nm.

      • Claude Debussy의 가곡집 「Quatre chansons de jeunesse」 연구

        박지윤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Claude Achille Debussy(1962〜1918)는 프랑스 가곡의 대표 작곡가이며, 인상주의 미술과 상징주의 시의 영향을 받아 인상주의 음악을 성립하였다. 자연에 비친 빛을 회화적으로 표현한 Claude Monet(1840∼1926)의 「Sunrise (해돋이)」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인상주의 미술의 효시가 되었으며, 19C말 프랑스에서는 이와 같은 문학운동으로 상징주의가 시작된다. 대표 시인으로는 Paul Verlane(1844∼1896), Théodore de Banville(1823∼1891), Stéphane Mallarmé(1842∼1898)등이 있으며, 위의 시인들은 본 논문에서 연구한다. 그의 인상주의 음악은 선율이나 화성의 흐름이 불확실하고 모호하며 암시적이다. 게다가 비기능적 화음이나 복합리듬을 많이 사용 하였고, syncopation의 사용으로 자유로운 구성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그의 후기는 ‘고전적 시기’로 변화되어 시와 음악을 하나로 결합하였고, 인상주의와 전통적 양식을 잘 배합한 높은 차원의 작품이 둥장하게 된다. 드뷔시의 초기 가곡집인 「Quatre chansons de jeunesse (젊은날의 4개의 노래)」는 「Pantomime (무언극)」, 「Clair de lune (달빛)」, 「Pierrot (삐에로)」, 「Apparition (환영)」의 총 4곡으로 구성 되어있다. 「Quatre chansons de jeunesse」의 반주부는 특징적인 음형과 동기가 일관되게 반복되며, 선법, 비기능적 화성, 다양한 리듬을 사용하여 인상주의적 기법을 색채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성악부는 높고 넓은 음역을 사용하여 가볍고 유연한 소리에 잘 어울리는 곡들로 이루어져 있다. 꾸밈음이나 trill의 장식적인 부분을 사용하였으며, ‘Ah’를 통하여 목소리가 돋보이게 하는 기교적 성악부를 갖는다. 셈여림의 변화는 다양한 억양과 감정을 강조하여 암시적 인상주의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Debussy는 19C말 독일 Lied에서 벗어난 프랑스 mélodie로 민족주의적 분위기를 만들어 20세기 현대음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수업평가 사례 연구 : 초등학교 3학년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박지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blem-Based Learning(PBL)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approach to suit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PBL leads to teach a course of study as well as a creativ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by suggesting ill-structure problems, which come from the complicated real lif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 of evaluation in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the case study of C class of the third grade in E elementary school, what are served in PBL are the problem, the self-evaluation of teachers, and the estimating of the study of students. First, the problem was evaluated befor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teachers proceed it according to the previous classes. They considered the role, ill-structure and reality of the problem by modifying the past failure. Secondly, the teacher evaluated their teaching dur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the term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y had reconsider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question of themselves were appropriate or not through the result of the class by students. The third,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evaluated in the students' assessment. The ability creative problem solving was aimed in the curriculum and planed to be evaluated, but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cooperated skill is not planned to be. However, both of them has been done in the process of study to be self-assessed by students. This study results were revealed as on the followings: First, As evaluating the problem; and the self-assess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by teachers are interactive and complementary cooperative far from being divided in PBL.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problem. Suggesting the good problem is the most important in PBL. The teacher, who understands this, would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then could appraise the problem with the result of students' work, and teaching process. The modified problem through these evaluations is applied to the following class, which is evaluated by the result of this class. This evaluation would direct the way of the next class again, and these processes affect the full results of students. The teacher could asses the whole classes through these results, which is needed to review the problem. Therefo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ult is rotating in a cycle. Secondly,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self-directing; and the cooperated skill in the goal of PBL are assessed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result.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s scheduled to be evaluated by the result of course works, which means that the teachers value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lthough the ability of self-directing, and the cooperated skill are not designed to be assessed, these are self-reflected by students with reflective journal. The third, there are traditional methods to evaluate the student work. It is executed mainly by the teacher whose assessment about the final result of problem solving and the paper-and-pencil test. While the ability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s evaluated by students' own solutions, the knowledge of contents is estimated by the paper exam. This would reflect the traditional assessment is preferred. Hence force, the teacher is required to change the point of view point for PBL. They should devote deep study it, and approach it in diverse ways. The forth, the systemic teacher education is supported for the develop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fter self-evaluating of teacher, it is necessary to support professional education for good teachers. Theore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is finding of study are offered as follows; studying the case on evaluating problem based learning in other areas or subjects, studying how the evaluation is processed on the cla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developing assessment rubrics or checklist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skills for teachers. 현대 사회는 정보화 사회로서 문제해결능력 및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갖춘 사람을 필요로 한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적 접근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문제중심학습은 복잡하고 실생활의 맥락 속에서 비구조화된 문제로부터 수업을 시작하여 의미 있는 해결방법을 찾아내게 함으로써 교과 지식뿐만 아니라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동시에 가르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다. 이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에서의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현재 초등학교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시행하면서 이루어진 평가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학습 실행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셋째,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이 연구는 사례 연구로서 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해 오고 있는 E초등학교 3학년 C반에서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며 실시하고 있는 평가 내용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제는 교수-학습이 실행되기 이전인 문제중심학습 계획 단계에서 문제의 역할, 문제의 비구조성, 문제의 실제성을 고려하여 문제를 평가하였다. 둘째, 교수-학습에 있어서 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실행 이전, 실행 중, 실행 이후에 학생의 학습 결과물과 교사 자기평가 체크리스트를 통해 자기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로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요소인 교과 지식 내용 습득에 대한 평가에 비중을 두어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문제중심학습에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에 대한 평가, 교수-학습에 있어서 교사의 자기 평가,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는 분절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역동적이며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학생의 학습에 대한 평가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표인 창의적 문제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 능력이 평가되어야 한다.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교육과정 계획에서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목표로 인식되고 있다. 즉, 교육과정에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목표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평가가 계획되고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을 볼 때, 교육과정 목표에 있어서 수정이 필요하다. 창의적 문제해결력뿐만 아니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과 협동 학습 능력의 신장 또한 교육과정의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나 협동 능력의 경우, 성찰 저널을 통해 학생이 그에 대한 자기 평가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으므로 그에 대한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 및 평가 계획 및 실행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생이 ‘어떻게 학습했는가’에 초점을 둔 개개인의 변화와 발달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자기평가에 있어서 교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 교육이 필요하다. 교사의 자기평가 이후 교사 변화에 대한 시간과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의 자기평가가 일회적인 반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수업평가 이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성장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학습의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원과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제중심학습이 나아가야할 평가 방향의 위해 다른 영역이나 교과에서 실행되는 평가에 관한 연구, 교수-학습 수업과정 속에 일어나는 평가 유형에 관한 연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 능력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한다.

      •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 비교

        박지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 지도교수 권 치 순 ) 본 연구에서 초등영재의 정의적 특성 중 하나인 완벽주의 성향에 대하여 성별, 학년별 관점에서 분석하고,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이 대인관계 특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초등영재 112명과 일반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완벽주의 성향 검사, 대인관계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성별, 학년별로 구분하여 초등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의 검사 결과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초등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완벽주의 성향의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또 초등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은 일반학생 보다 높았다. 이로 인해 완벽주의 성향이 영재의 정의적 특성 중 하나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영재의 학년별 대인관계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성별 대인관계는 여학생의 유의미하게 높은 사회관계 성향, 표현 성향이 존재했다. 반면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은 남학생이 더 높았다. 일반학생의 학년별 대인관계 특성은 역할 성향, 사회관계 성향 등에서 6학년 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고, 성별 차이는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만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을 비교하면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은 영재가 높았고, 반항적․불신적 표현 성향은 일반학생이 높았다. 영재들이 자신이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기 위하여 대인관계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이 대인관계의 어려움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과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독립적․책임감적 역할 성향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사교적․우호적 사회관계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과 대인관계 특성의 항목에 정적 상관관계는 초등영재의 대인관계 특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뒷받침 하는 결과이다. 초등영재의 높은 완벽주의 성향은 대인관계에서 지배적․우월적 역할 성향, 과시적․자기도취적 표현 성향 등에 영향을 주어 대인관계 문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영재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영재의 심리적 지원과 진로 및 상담 계획을 수립하는데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영재 스스로 자신의 성향을 깨닫고, 대인관계를 효과적으로 이끄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