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체감탕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박중현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gam-tang in Lipopolysaccharide-Exposed RAW 264.7 Cells Joong Hyun Par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Sangji University Directed by Yun-Yeop Cha, K.M.D., Ph.D.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erim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gam-tang(CGT)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 exposed RAW 264.7 cells. Methods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such as control group, LPS-exposed CGT extract group (0 μg/mL, 10 μg/mL, 30 μg/mL, 100 μg/mL). A cytotoxicity analysis of CGT was performed by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GT, we measur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 (PG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L-10). Results 1. All four of LPS-exposed CGT(0 μg/mL, 10 μg/mL, 30 μg/mL, 100 μg/mL) extract group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on RAW 264.7 cell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 The production of plasma NO and PGE in CGT extract group got low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3. The production of plasma IL-1β, IL-6, and TNF-α in CGT extract group got low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4. The production of plasma IL-10 in CGT extract group got high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GT extract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rough the inhibition of NO, PGE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Key Words Chegam-tang, Anti-inflammatory effect, RAW 264.7, Lipopolysaccharide, Cytokines ABSTRACT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gam-tang in Lipopolysaccharide-Exposed RAW 264.7 Cells Joong Hyun Park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College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Sangji University Directed by Yun-Yeop Cha, K.M.D., Ph.D.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erim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Chegam-tang(CGT)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 exposed RAW 264.7 cells. Methods Experimental groups were classified into 5 groups, such as control group, LPS-exposed CGT extract group (0 μg/mL, 10 μg/mL, 30 μg/mL, 100 μg/mL). A cytotoxicity analysis of CGT was performed by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GT, we measur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NO), prostaglandin E2 (PG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IL-10). Results 1. All four of LPS-exposed CGT(0 μg/mL, 10 μg/mL, 30 μg/mL, 100 μg/mL) extract group ha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on RAW 264.7 cells during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2. The production of plasma NO and PGE in CGT extract group got low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3. The production of plasma IL-1β, IL-6, and TNF-α in CGT extract group got low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4. The production of plasma IL-10 in CGT extract group got higher as CGT extract concentration got higher.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GT extract exerts anti-inflammatory activities through the inhibition of NO, PGE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Key Words Chegam-tang, Anti-inflammatory effect, RAW 264.7, Lipopolysaccharide, Cytokines

      • 효율적인 사이버범죄 국제 공조를 위한 집중 수사 국가 제도 도입 효과 연구 : 이메일 무역사기 사건을 중심으로

        박중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와 해외 기업 간 협력 업체를 가장한 이메일 무역사기(비지니스 스캠, Business Scam)는 스피어 피싱(Spear Phishing)방식으로 기업내 사용되는 이메일 주소를 해킹하여 거래 대금 정보를 가로챈 뒤 제3국으로 해외 송금 하도록 하여 이를 편취하는 범죄수법이다. 경찰청 사이버 안전국과 한국무역협회에 보고되고 있는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과 국가 간 무역거래 사기 사건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최소 3개국 이상을 경유하여 발생하는 범죄 수법의 특성상 사건의 시작부터 수사 단서를 수집하기가 쉽지 않고 범인 검거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집중적으로 수사를 진행할 국가의 선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은 피해자가 거주하는 국가· 범죄자가 해킹을 시도한 국가 ·해외 송금이 이루어진 국가 등 최소 3개국 이상을 경유하여 발생하는데, 수사의 개시는 어디서 이루어지고 증거 수집은 어느 국가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통로가 없으며, 현행 유지되고 있는 사이버범죄 국제 공조 수사의 방식으로 과연 단 한 건의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으로 인해 회사의 존폐가 결정되는 만큼 초동조치부터 수사 진행과 범인 검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없다는게 문제이다. 반면에 국내 일선 경찰서 사이버범죄 수사팀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사건중의 하나인 인터넷 직거래 사기 사건의 경우 피의자를 검거하게 되면 전국 경찰서에 분산되어 신고 접수된 사건을 최초 피의자를 검거한 경찰서로 이송하도록 하는 「직거래 사기 사건 집중 수사 지침」은 효율적인 국내 공조 사건으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메일 무역사기 사건과 관련된 논문 및 관련 기관에서 발행한 자료와 연구 보고서 등을 토대로 분석하는 문헌 연구와 함께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 실제로 취급했던 3건의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을 소개하고 분석하고자 하며, 현장 수사관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의 경우 현행 국제 공조 수사의 문제점 및 집중 수사 국가 선정에 대한 의견과 효율적인 국제 공조 수사 제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집중 수사 국가 방식으로 진행하게 될 경우 경제성 효과를 분석하여 실제 취급한 사건 및 일선 수사관들 설문조사 경제성 효과성 등을 토대로 집중 수사 국가의 효율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증가하고 있는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의 특성과 현행 사이버범죄 국제 공조 방식의 한계점을 다루면서 이메일 무역 사기 사건의 경우 집중 수사 국가를 선정하여 수사 진행시 효율적인 사이버범죄 국제 공조 수사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entralized investigation country for efficient cyber crime international cooperation : Focus on E-mail trade business scam The E-mail trade business scam (Business Scam), which pretends to be a cooperative company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hacked e-mail addresses used in the company by spear phishing method, and finally the criminal makes the victim send money abroad to another country. E-mail trade business scam and trade fraud cases reported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Cyber Safety Bureau and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KOTRA) are increasing each year.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criminal, it is not easy to collect investigative clues from the beginning of the case, and in order to lead to the arrest of the criminal,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country to carry out the investigation intensively. E-mail trade business scam cases occur via at least three countries, including the country where the victim resides, the country where the offender attempted to hack, and the country where the remittance was made. There is no route to where the investigation is initiated and the collection of evidence should be done in any country, and the existing cybercrime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is the only way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e company due to a single e-mail trade fraud incident. The problem is that the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arrest of the offender can not be done efficiently from the initial action.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Internet direct fraud case(for example Joongo nara) ,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ses in the cyber criminal investigation team in the domestic front line police station, it is dispersed to the police stations when they are arrested and transferred to the police station where the first cases are reported. The direct investigation guideline of direct fraud incidents is recognized as an efficient domestic cooperation case. This study introduces and analyzes three email trade fraud cases that were handled from January to July 2017, along with a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papers related to the e - mail trade business scam. In the case of e-commerce fraud cases, we would like to present opinions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investigation and the opinion on the selection of the intensive investigation country and the eff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vestigation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e-mail trade business scam, I intend to emphas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nsive investigative coun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 and the actual cases and the survey of the front line investigator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e-mail trade business sccam and limitations of current cyber-crime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 부자탕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박중현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자탕의 항산화와 항염증 및 MIA로 유발한 골관절염 rat에 대한 연골보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골관절염은 rat의 무릎 관절강에 MIA(50 ㎕ with 80 ㎎/㎖)를 투여하여 유발하였다. rat은 5군으로 나뉘어 졌다 (정상군, 대조군, Indomethacin 처리군, 부자탕 저농도 처리군, 부자탕 고농도 처리군, 각 군은 7마리). 정상군은 골관절염을 유발하지 않았다. 대조군은 MIA로 골관절염을 유발시키고 증류수를 섭취했다. Indomethacin 처리군은 MIA로 골관절염을 유발시키고 indomethacin 5 ㎎/㎏을 경구 투여하였다. 부자탕 저농도 처리군은 MIA로 골관절염을 유발시키고 부자탕 100 ㎎/㎏을 경구 투여하였다. 부자탕 고농도 처리군은 MIA로 골관절염을 유발시키고 부자탕 200 ㎎/㎏을 경구 투여하였다. 저자는 혈액학적 분석, 뒷다리 체중부하 검사, 관절조직 내 산화적 스트레스 관련인자 분석, 항산화 단백질 분석, 염증성 단백질 분석, 염증 매개 인자 분석 cytokine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H&E 염색법, Safranin-O 염색법을 이용하여 무릎 연골조직 구조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도 시행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뒷다리 체중부하 검사에서 통증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관절 조직에서 NOX4와 p22phox의 발현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Nrf2와 HO-1, SOD의 발현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NF-κBp65, p-IκBα, iNOS, COX2, IL-6, IL-1β, TNF-α의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MIA에 의해 손상을 받았던 연골 조직은 부자탕 처리군에서 현저하게 회복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부자탕은 항산화 및 항염증 작용과 통증 감소 효과가 있으며, MIA로 유발한 rat의 골관절염 진행을 억제한다고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and possible underlying mechanism of Buja-tang, a herbal complex formula on experimental MIA-induced osteoarthritis. Osteoarthritis models were created via intra-joint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 (MIA, 50 ㎕ with 80 ㎎/㎖) in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control, Indo, BJTL, BJTH, and each group consisted of seven). Normal group was not injected MIA and did a normal diet. Control group injected MIA and received distilled water. Indo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5 ㎎/㎏ of indomethacin. BJTL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100 ㎎/㎏ of Buja-tang. BJTH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200 ㎎/㎏ of Buja-tang. The author analyzed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oxidative stress related factor, antioxidant protein, inflammatory protein, inflammatory messenger and cytokine in joint tissue. Pathological observation of knee cartilage tissue structures was also performed with H&E and Safranin-O chromosomes.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showed a tendency to reduce pain. The incidence of NOX4 and p22phox in articular tissu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incidence of Nrf2 and HO-1 and SOD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p-IκBα, NF-κBp65, COX2, iNOS, TNF-α, IL-6 and IL-1β decreased significantly. In pathological observation, cartilage tissue damaged by MIAs in biopsy has significantly recovered from Buja-tang adminis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Buja-tang has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pain relief effects. So This is thought to inhibit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in rat caused by the MIA.

      • 일부 농촌 지역 노인에서 시행한, 낙상두려움과 신체수행능력, 신체적 특성 및 골밀도의 연관성

        박중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낙상두려움은 노인들의 일상 생활 수행 제한, 신체 기능 쇠퇴, 기능적 독립의 제한 등의 결과를 일으키는데, 노인 인구에서 낙상두려움은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낙상두려움은 낙상 이후 즉각적 결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추가적인 낙상의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하여서, 낙상과 낙상두려움은 반복되는 악순환을 그리게 된다. 낙상과 다른 요인들과의 연구는 많으나, 낙상두려움과 신체수행능력, 신체적 특성 등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Korean version of falls efficacy scale- international(KFES-I)을 이용하여 낙상두려움을 평가하고, 신체수행능력, 체질량지수, 유연성, 골밀도 등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부터 2010년 8월까지 한양대학교 양평 역학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주민 가운데 88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기초설문조사를 통해 대상자들에 대한 기본 조사를 하였으며, KFES-I를 이용하여 낙상두려움을 평가하였다. KFES-I의 총점과 세부항목별 점수, 낙상 염려군과 비염려군으로 나누는 기준을 이용하였다. 신체수행능력은 간단 신체수행능력 검사, 악력 평가, 앉았다 일어서서 걷기 평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체질량지수, 체전굴, 골밀도 검사 등을 통해 신체적 특성도 확인하였다. 결과 KFES-I는 낙상 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은 점수를 보였고, 악력과 음의 상관관계를, 일어서서 걷기 평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KFES-I와 신체적 특성과 살펴본 결과, T-score와 음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낙상경험에 상관없이 일관적인 양상을 보였다. 낙상두려움을 기준으로 염려군과 비염려군으로 나누어 본 결과, 낙상 염려군에서 간단 신체수행능력 검사 총점 및 모든 항목, TUGT에서 더 낮은 점수를 보였고 악력과 골밀도가 더 낮았다.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KFES-I 가 높았는데, 본 연구 이전에 골다공증 진단을 받았고 본 연구에서도 골다공증이라고 진단한 군에서 KFES-I가 가장 높았다. 결론 지역 사회 노인들에 대한 본 연구를 통해 낙상두려움이 높을수록 신체수행능력이 떨어지는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었고, 낙상을 경험한 군에서 낙상두려움이 크고, 신체수행능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여성이 낙상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큰 경향을 보였고, 골밀도가 낮을수록 낙상두려움이 더 컸다.

      • 철골보가 매립된 플랫 플레이트 바닥 구조시스템 개발

        박중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사회적 요구에 따라 초고층 건물의 건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초고층 건물의 건설 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경제성과 구조의 안전성 및 공간의 유연성의 확보이다. 이를 위해서 초고층건물의 각층의 층고를 줄이고, 건물의 내부공간의 유연성을 확보함으로서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본 논문에서는 초고층건물에 적용 가능한 초슬림형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철골 기둥과 슬래브 내부에 매립한 ERECTION GIRDER(EG)를 이용하여 기존 플랫 플레이트 시스템의 취약점인 전단성능을 향상시키고 연성도를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복합구조 형식의 바닥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해석법과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전단성능 및 내진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본 연구의 실험 및 해석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1)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플랫 플레이트의 전단 성능에 철골 EG의 전단성능을 복합한 제안시스템에 적합한 새로운 전단성능에 대한 식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제안 식에 비하여 62~69% 초과하였다.2)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위험단면영역에 대한 단조 하중 실험 결과, 기존 철근콘크리트 플랫 플레이트의 표준시험체는 슬래브와 기둥 경계면과 유효춤 범위에서 균열이 집중되어 발생한데 비하여, SRC기둥과 EG를 적용한 제안 시험체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슬래브 전 영역에 걸쳐 균열이 분포하였으며, 최대내력 이후의 하중-변위곡선이 매우 안정적으로 하강하였으며, 연성적인 거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복주기하중 실험 결과, SRC 기둥과 EG를 적용한 제안 시험체는 이력거동이 안정적이고 접합부의 강성이 표준 시험체에 비하여 25% ~ 71% 증가하였다. 3) SRC기둥과 EG의 접합부분을 볼트를 이용하고 STUD로 보완한 실험체와 접합부분을 용접으로 되어 고정접합인 실험체를 비교한 결과, 극한강도는 거의 비슷하고 극한하중 이후의 하중-변위 곡선의 거동도 매우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Recently, as the society requires, more and more high-rise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What are important during construction of high-rise are, above all, economy, structural safety and spatial flexibility. Thu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tectonic system which will help to reduce the height of each floor and enhance the flexibility of inside spaces for their efficient us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uper-slim flat plate system applicable to high-rise building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ggested a new floor system of complex structure which would use erection girders(EG) buried inside slabs to improve the shear capacity of the conventional flat plate system and enhance its flexibility. The new floor system was tested by a new method of analysis, centering around the risky sections or the joints between slab and column to evaluate its shear capacity and earthquake-proof. The results of test and analysis can be concluded as follows;1) The researcher suggested a new formula about shear capacity suitable to the new system covering the combined shear capacity of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and steel EGs. The results of the test indicated that the shear capacity of this system exceeded the value expected by the formula by 62~69%.2)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notonic load of the system, it was found that while in case of the standard test pieces of th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the cracks occurred primarily on the border planes between column face and within the effective depth distance of slab, the test pieces applying SRC column and EG showed cracks distributed across the slab with its load-displacement curve falling very stably due to flexible behaviors after the maximum yield strength. Moreover, its hysteretic behaviors were found stable against the repeated cyclic load, and the strength of its joints increased 25~71% compared with the standard test pieces.3) As a result of comparing test pieces with its joints bolted between SRC column and EG and complemented by studs with the test pieces with fixed joints, it was found that extreme strength was similar between two test pieces, while the load-displacement curve behaviors were very stable after the extreme load point.

      • 역사교육을 통한 한·일간 ‘역사화해’ 방안 연구

        박중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necessity of exchange and cooperation is growing in various fields between Korean and Japan or among East Asian countries. One of the obstacles to this cooperation, however, is the disputes and confrontation about history. Therefore, there is no guarantee of true peace and cooperation in East Asia without overcoming the historical issues. History education may differ between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systems, but has played the central role of cultivating the people. Consequently, history education has increased the disputes. On the contrary, if history education can contribute to settlement of the disputes, it will form the basis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was done in the following two ways: Firstly,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were defined, and the strategies to achieve this goal was established. Secondly, the effort for historical reconciliation was made through exchange of history education, development of a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and teaching on history. The processes and the features of exchange of history education were examined in order for searching of progressive and meaningful exchange through sharing of experience acquired from past exchange cases. The development of a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should be reviewed focusing on not only the meaning of its publication, but also the fact that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had been overcome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This study also sought the way to apply the results of the exchange and the publication of the joint compiled textbook to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rimental. The classes developed based on this model will help the students acquiring a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building up a bright future. Historical reconciliation does not simply mean a cleaning-off of the past, but also guaranteeing of the future. The foundation of overcoming historical distributes, which are most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urposes, is the global citizens who value human rights and peace. In order to form this foundation, governments, societies (citizens) and students (teachers) have to do their best at their own levels for reconciliation. Exchange of history education for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first discussed between the two countries under the lead of UNESCO when the nations' diplomatic relations were restored, but was failed due to the situations of Japan. By 1990s,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were performed centering on the experts. Exchange in this period focused on Korea's criticism on Japanese history textbooks. In 2000s, exchange of citizens and students of the two countries became lively. Exchange of citizens and students has grown in both width and depth despite the newly raised issues, such as Japans's distortion of textbook, Japanese lawmakers' visiting of Yaskuni shrine, and Japan's declaring sovereignty over Dokdo. Developing a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is an active way to overcome the historical disputes following the textbook talk in Europe. Textbooks were developed with different time, format and content, maintaining complementary relations between each other. They were published despite many disputes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and have had many readers. Readability and consideration for the readers, however, remain to be improved. History class for reconciliation is the final destination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the purpose itself. It is also a way of overcoming the wasteful war on history. If history classes lay stress on own standpoint of the nation's history, reconciliation will never come true. The methodologies introduced to develop the history class for reconciliation include multi-dimensional research, reading history based on metadiscourse, and researching and discussing based on H.G. Gadamer's hermeneutic dialogue.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formed by education and media to strongly represent the standpoint of their own countries. History classes have helped the students to aware that they should understand others and to find the solutions. In this class, two points needs to be highlighted in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One is that it cultivates the spirit of tolerance and compromise for reconciliation. Political compromise between countries plays an critical role in solving historical disputes. Under a dispute, insisting one's standpoint does not work for reconciliation. It is because a reconciliation cannot be achieved without tolerance and compromise. The other point to be highlighted is that the class extends the students' historical thinking power. Students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history in the course that they are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their counterpart, questions on hidden historical facts, uncertainty and ambiguity. Students get to understand that stories and images on the past or disputes are depending on who gives the information, through which it is delivered, and under which circumstance and in which position the receiver receives the information. By this point, students become historians, and 'do' history. It is not easy to transfer directly from dispute to reconciliation. It is the history class that links between dispute and reconciliation,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communication. What is needed in East Asia under the historical disputes is to raise self-controlled and well-balanced people who are ready to live together with others. To help students of both countri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history' is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the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It is also important to find the way to implement this function in the history class. If the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can extend depth and width of communication, it can be said to have contributed, to some degree, to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East Asia. Historical reconciliation exists not only between Korea and Japan but also in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class for reconciliation may be also applied to the past affairs problems of Korea. Democratization process in East Asia has demonstrated that from-bottom-to-top efforts have the potential to realize reconciliation. History education in school and for citizens using the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is a part of such efforts. Reconciliation is not a concession, but a positive effort to achieve piece based on the self-respect as global citizens. Keywords: Historical reconciliation, Historical disputes, Exchange, Joint compiled history textbook, Hermeneutics

      • 모바일 멀티미디어 업로드를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박중현 선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세상은 시간과 장소, 컴퓨터 여건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세상을 선도하는 핵심 중 하나가 모바일 인터넷이고,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매개체는 휴대폰이다. 그러나 모바일 휴대폰에서 제작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의 콘텐츠를 모바일 카페(Cafe), 블로그(Blog), 미니홈페이지(Mini Homepage) 등에 연동하기 위해서 왑서비스를 중단하고 모바일 콘텐츠를 업로드한 다음 다시 접속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휴대폰 사용자가 왑서비스 접속중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고 휴대폰으로 촬영된 다양한 사진, 동영상, 녹음소리 등을 왑서비스 이용환경에서 업로드가 지원되고 카테고리별로 콘텐츠가 분류되어 관리 될 수 있는 콘텐츠관리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였다. In a ubiquitous society, the world is changing to the place where we can access to network anytime, anywhere, on any device. The mobile internet is leading the ubiquitous world and the most commonly used medium is a cell phone. However, it is uncomfortable to link to cafe, blog, and mini homepage. Because we have to stop wap service in order to upload the mobile contents like photos, videos, sound recordings produced by mobile phones. Also we have to re-access. So, in this paper content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hich mobile users don't have to stop wap service in order to upload photos, videos, sound recordings produced by mobile phones. Also it supports upload in wap service and contents can be managed by category.

      • POE를 통한 가구형 집합주거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중현 서울산업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목 : POE를 통한 가구형 집합주거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 공동주택 단지의 고밀화 전략이 주거동의 고층화, 격자배치, 인동계수 축소등 공용공간의 양을 축소하고 그 환경을 약화시키는 쪽으로 진행되었으며, 단지에서 이어지는 가로와의 경계도 내적 공간부족으로 인하여 최소한의 확보를 위해 가로와의 구분을 지을 수밖에 없는 내적 밀폐공간을 만들었다. 이에 가구형 집합주거는 중정에서 시작해 건물, 가로가 이어지는 가구형 집합주거로써 도로나 광장의 동(動)적 공간에서의 활성화를 극대화하여 개인적 시설들의 정적 공간으로 인한 안정적 생활을 가질 수 있으며, 양방향적인 성격의 공간을 매개로한 중정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만으로도 단독주택에서 마당의 역할과 출입구적 역할을 가져다주는 것은 물론 공공영역에서 사회적 방법으로 참여자들의 관심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구형 집합주거의 성립과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도시조직과 함께 변화하여 가는 모습을 확인함에 있으며, 한국과 일본의 가구형 집합주택의 비교사례를 통하여 유사점․상이점에 대한 계획적 특성을 도출하여 거주자들에 계획적 만족도를 조사하고 장․단점 및 주요 물리적 관점에 대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후속 연구 및 계획 시에 대한 고려 사항들을 제공함에 있다. 가구형 집합주택의 유효성 모색을 위하여 현재 일본 치바현의 마쿠하리 베이타운 신도심 주택지구와 한국의 은평뉴타운 1지구의 기획․계획적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해당 지역 거주자들의 거주 의식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로인한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사례 모두 다양한 방법으로 중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정 공간 비교 시 한국이 일본에 비해 1.6:1 정도로 컸으며, 주차시설 등의 생활이 저해되는 시설을 배제한 것이 활동성과 주민들의 커뮤니티에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의 중정은 한국의 중정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주차시설 및 상업시설이 조밀하여 폐쇄적 주동에 의한 답답하게 느끼는 요인이었다. 반면 한국의 중정의 크기에 비하여 5, 6층의 층고는 적당한 수준이었으며, 필로티와 변화 있는 주동의 구성, 브릿지 등으로 개방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에서는 두 단지 다 조금 조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량 및 생활 소음을 고려하여야 하며 주차장 및 어린이 놀이터를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위치에 고려하여야 한다. 그에 따른 건축적 장치가 요구되며 중정이라는 반사적 정적 공간에 대한 커뮤니티을 부여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주동내에서 일본이 복도형 주동이 많았고 한국이 계단실이 많아 일본에 비해 복도에서의 접촉은 적었지만 세대현관에서는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한국의 기타의견으로는 지하주차장등의 계획요소도 유효하여 보였다. 주동출입 방식에서 거주자는 두 가지 방법의 진입 중 잘 계획되어진 곳으로의 선호를 보였다. 셋째, 한국과 일본의 경우 소음, 일조, 환기, 조망, 프라이버시, 방범/안전 부분에서 높게 만족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한국형 단위세대에서는 계속되는 평형개발로 인한 계획 수법에 대하여 대단히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칸을 기본으로 한국의 단위주택은 일본의 2칸을 기본으로 한 단위세대에 비하여 세대 확보 면에서는 불리하지만 생활 만족도에서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세대 거실 향에 대한 만족에서는 두 단지다 남향선호가 있었으며 경관에 대한 고려로 계획 반영할 시 다른 향에 대한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의 가로는 단일 주 가로에 의한 집중과 차량 및 보행자의 집중 적하물 등에 의한 혼잡이 일어나며 2, 3지구의 미 준공으로 가로의 활력은 많이 떨어져 있었다. 한국의 가로는 물건구매에 집중된 반면 일본 가로의 경우 물건구매, 운동, 대화 등이 이루어지며 두 개의 주 가로로 이어진 9개의 간선가로로 인한 소 도시의 형태를 갖추고 있었다. 가로의 시각적 변화 및 커뮤니티 증진이 가능하도록 시설물들이 배치되어있었다. 가로의 안전성은 생활가로에 대한 차량 차단시설 등을 고려함에 있어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로의 역할의 시작일 것이다. 다섯째, 기존에 없었던 주거유형으로서 다른 단지들과의 비교에서는 두 단지 모두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한국은 단위세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가로가 전체 평균에서 조금 못 미쳤다. 일본은 주동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중정은 평균에서 조금 못 미쳤다. 본분에서 다루었던 문제들에 의한 당연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와 같이 가구형 집합주택의 도입은 아파트에 대한 단절된 도시성과 주민들 간의 커뮤니티, 즉 살기 좋은 주거유형의 일부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아쉽게도 연구기간 상의 한계로 은평뉴타운 2, 3지구의 준공을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앞으로 후속연구의 진행으로, 전체 준공 후 1, 2지구의 중정형 블록의 비교와 3지구의 기존 아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