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 검증

        박주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높은 직무 스트레스가 교직헌신을 떨어트려 교육 목표 달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에 대한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현재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특수학교의 초등부 및 일반초등학교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특수교사 188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교직헌신, 교사 임파워먼트, 교직선택동기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88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각 척도의 기술 통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전체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의 관계에서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헌신, 교사 임파워먼트, 교직선택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교직헌신 및 임파워먼트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교직헌신은 임파워먼트, 교직선택동기의 하위요인인 내재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교직선택동기의 하위요인인 외재적 동기, 수동적 동기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 임파워먼트, 교직선택동기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교직헌신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지만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 하위 변인인 내재적 동기는 교직헌신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외재적 동기는 교직헌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수동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교사 임파워먼트가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교사 임파워먼트는 직무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교직헌신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특수교사라 하더라도 교사 임파워먼트를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면 높은 수준의 교직헌신을 유지할 수 있음을 뜻한다. 넷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교직선택동기가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교직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외재적 동기와 수동적 동기는 직무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교직헌신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상황보다 높은 상황일 때 외재적 동기와 수동적 동기가 높으면 교직헌신을 높게 유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직 헌신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두 변인 사이를 교사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가 조절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면 교직헌신이 낮아지지만 교사 임파워먼트를 높일 수 있고 교직선택동기의 하위변인인 외재적 동기와 수동적 동기를 낮출 수 있으면 교직헌신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은 부적 상관이 있다는 것을 재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와 교직헌신의 관계를 중재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와 교직선택동기라는 조절변인을 발굴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ommitm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a critical mind that high job stress of teachers made commitment lessen and then it interrupted the educational goal to improve. After then, it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on relations between them. For verifying this hypothesis, I conducted a survey ,using a scale of job stress, commitment,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of 188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ork in special school and i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For apprehen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study based on the sample of 188 teachers, I calculat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found technology statistics of each scale. Also, for looking for the relationship among all variable, and I did Regression analysis for improving the regulation effect between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in the relationship of job stress and commitment. The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d relation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commitment,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and found commitment w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of commitment and empowerment. Commit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owerment and active motivation which was subfactor of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bu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material, passive motivations. Second, the study which searched the effec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on commitment found that job stress had negative correlations of commitment but there was no direct negative effect. Empowerment and inner motive which was component of active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while external motive which was component of active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 on commitment. Meanwhile, passive motivation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ird, the study about whether empowerment w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commitment found empowerment had significant impacts on commitment by interacting with job stress. This study indicated that if special education teacher would maintain high empowerment even in a high level of job stress, that teacher could maintain a high level of commitment. Fourth, the study about whether external motive and inner motive which were compone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otivation in the choice of teaching would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and commitment found had significant impacts on commitment by interacting with job stress. This result showed if material and passive motivation were on a high level,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uld not maintain their commitment when they were on a high level of job stress. Following this study,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mmitment, and we can find that teachers'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a choice of teaching can control between job str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mmitment. This means if job str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high, commitment would lessen, but teachers' empowerment could increase and if we could reduce external motive and inner motive which were compon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motivation, we could make commitment be stable.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reconfirming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job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commitmen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rther more, it discovered two moderator variables, empowerment and motivation in a choice of teaching, which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commitment.

      • ABM 조약의 체결 과정과 군비통제 정책의 경쟁적 본질에 관한 연구

        박주형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ABM 조약에 대한 연구로, 분석 대상은 조약의 체결 ‘과정’이며 분석의 틀은 ‘성 대결 게임’의 논리구조이다. 또한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가공되지 않은 ‘1차 자료’, 즉 미국 정부의 기밀해제 문건들을 분석의 자료로 활용했다. 이를 통해 경쟁의 억제 보다는 경쟁의 지속을 목표로 했던 ABM 조약을 재조명하고, 군비통제 정책에 내포되어 있는 경쟁적 본질에 대한 고민을 제언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핵 시대는 ‘모순적’이다. 핵무기를 만드는 국가들은 모순적이게도 그것을 사용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해, 또 다시 핵무기를 더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고, 핵사용의 신뢰성을 높이는 전략과 정책을 전개한다. 핵무기는 개발된 이래 단 한 번도 사용된 사례가 없는데, 이는 그저 이뤄진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핵 경쟁 속에 존재하는 공포와 억제, 확산과 군축, 공격과 방어, 전력과 전략, 이론과 역설들 간의 끊임없는 역동성을 이해하고 이용하려했던 처절한 노력의 결과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동성 중 공격-방어의 경쟁이 내포하는 모순에 집중했다. 방어는 도덕적이고, 공격은 비도덕적이라는 인식은 전통적 상식의 영역에서 실재해오고 있다. 하지만 핵 시대에서 방어는 나쁜 것이라는 역설적인 전략사고가 제기된 바 있었고, 미-소 냉전의 역사는 이를 입증했다. MAD(상호확증파괴)의 균형에서 국가의 방어력 제고(提高) 노력은, 결과적으로 그 국가의 안보보다는 상대방의 공격력을 제고시켰다. 이는 방어와 공격의 군비경쟁을 나사선처럼 치솟게 만들었고, 그 결과 전략적 불안정성을 높였다. 창과 방패의 자가당착적인 모순이었다. 따라서 핵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방어를 포기한 채로 서로의 공격에 확실하게 취약해져야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체결되었던 미-소의 ABM 조약은 양국의 방어력을 제한했다. 이후 국제사회는 ABM 조약이 냉전의 종식과, 미-소(러) 간 30년의 평화를 견인한 훌륭한 군축조약이라 평가했다. 또한 경쟁의 억제를 위한 방어의 제한, 국가의 취약성을 담보로 한 경쟁의 종식이라는 비합리적 합리성의 본보기로서 ABM 조약을 논했다. 특히 북핵(北核)의 위협 앞에 서 있는 한국에게 이 ABM 조약은, 방어력 증진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그 속도와 방향에 고삐를 가할 때 종종 거론되어 오고 있다. 나아가 북핵 고도화의 책임이 일정 정도 한국의 공세적인 미사일방어에 있다는 주장과,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에 반대하는 전략적 논리의 근거로서 제시되기도 한다. 이들은 창과 방패의 모순과, ABM 조약을 기억할 것을 경고한다. 하지만 본 논문은 ABM 조약이 창-방패의 모순을 해소하고 경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기보다는, 미국이 소련과 전략경쟁을 하는데 있어 이용했던 보다 효과적인 경쟁 수단이었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이 ABM 조약의 체결 과정에서 지향했던 실체적인 목표는 자국의 공격력을 보다 독보적이고 고도화된 것으로 만들기 위해 방어력을 일정 수준 조정하는 것이었음을 논증한다. 1차 협상 과정에서 미국에게는 ABM을 금지하거나 낮은 수준으로 제한하려는 의도와 선호가 없었다. 분석 결과, 미국은 ‘MIRV의 지속과 중간수준(세이프가드)의 ABM’을 협상의 선호로 삼았다. 이것이 회담 이후 자국에게 최적의 전략상황을 조성해 줄 전력조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미국은 당시 ABM 제한에 대한 협상을 진행함과 동시에, 자국의 ABM 시스템을 ‘센티넬’ 에서 ‘세이프가드 PhaseⅠ’으로 계승ㆍ발전시켰다. 2차 협상의 과정에서 미국은 군사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불가피하게 협상선호를 변경했다. 결국은 낮은 수준으로의 ABM 제한을 회담의 지향점으로 삼은 것이다. 하지만 공격과 방어를 연계한 최적의 전력조합을 회담결과로 도출하겠다는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MIRV 미사일의 지속과 함께 미사일 투하중량의 감축이라는 협상선호가 추가되었다.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위의 협상선호를 달성해야 했던 닉슨 행정부는, 국내정치적 반대를 무릅쓰고 자국의 ABM 시스템을 ‘세이프가드 PhaseⅡ’로 재차 증강했다. 이것은 소련의 회담에 대한 동기와, 낮은 수준으로의 ABM 제한이라는 선호를 자극함으로써, 미국의 협상선호를 수용케 만들 협상칩(bargaining chip)이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ABM 조약의 체결과정은, 성 대결 게임의 논리구조를 통해 온전한 이해와 설명이 가능하다. 이는 ABM 조약에 대한 미국의 실체적 목표가, 상대적 이익 배분 경쟁에서의 승리에 있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가 한국이 군비통제를 보다 폭 넓은 관점으로, 그리고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향후 펼쳐질 한반도의 전략상황을 유리하게 조성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f the ABM Treaty,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process' of signing the treaty,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i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battle of the Sex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e U.S. government's declassified documents, which are "primary data" that have not been processed, were used as data for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BM treaty, which aimed to continue competition rather than to curb competition, and suggests ideas about the competitive nature underlying the arms control policy. The nuclear age we live in is contradictory. The countries that make nuclear weapons hope, ironically, that they will not use it. To avoid this, they develop strategies and policies that make nuclear weapons easier to use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ir use. Since the two atomic bombs dropped on Hiroshima and Nakasaki in August 1945, no nuclear weapons have been used again, which has not just been done easily. Rather, it was the result of a desperate effort to understand and exploit the constant dynamism between fear and deterrence, proliferation and disarmament, offense and defense, force and strategy, theory and paradoxes that exist in the nuclear competition. Among these dynamics,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the competition of offense-defense. The perception that defense is moral and that offense is immoral has been real in the realm of traditional common sense. But in the nuclear age, paradoxical strategic thinking has been raised that defense is bad, and the history of the U.S.-Soviet Cold War has proved this. Efforts to enhance the nation's defense in the balance of MAD have consequently enhanced the opponent's offensive power rather than its own security. This has heated up the arms race of offense and defense, and as a result has raised strategic instability. It was a shiel-spear contraditi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nuclear war, each side had to give up its defense and be clearly vulnerable to each other's attacks. The U.S.-Soviet ABM treaty, signed in this problem consciousness, limited each other's defenses. Since t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alled the ABM treaty an excellent disarmament treaty that has led to the end of the Cold War and 30 years of pea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Soviet(Russia). It also discussed the ABM Treaty as an example of the irrational rationality of limiting defense to curb competition and ending competition with national vulnerability as collateral. The ABM treaty has often been mentioned for South Korea, especially in the face of the threat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to warn of the dangers of increased defense and to rein in its pace and direction. Furthermore, some argue that South Korea's offensive missile defense is responsible for reinforcing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to a certain extent, and it is also suggested as the basis for strategic logic against the deployment of THAAD on the Korean Peninsula. They warn us to remember a shield-spear contradiction and the ABM treaty. However,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the ABM treaty was an effective means of competition that the U.S. used in strategic competition with the Soviet Union, rather than to resolve a shield-spear contradiction and curb competition. Specifically, it proves that the real goal that the United States pursued in the process of signing the ABM treaty was to adjust its defenses to a certain level to make its attack more unique and advanced. During the first round of talks, the U.S. had no intention or preference to ban or restrict ABM to a low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nited States has made the continuation of the MIRV and the ABM of the medium level safeguard as a preference for negotiations. This is because they decided that this is a combination of forces that will create the best strategic situation for their countries after the talks. In that context, the United States then carried out negotiations on the ABM restriction, while inheriting and developing its ABM system from Sentinel to Safeguard Phase I. During the second round of talks, the United States inevitably changed its negotiating preference due to military and technical issues. After all, the low-level ABM restriction was the focus of the talks. However, the goal of achieving the best combination of forces linking offense with defense has not changed. Thus, with the continuation of MIRV missiles, the negotiation preference for reducing throw-weight of offensive missile was added. The Nixon administration, which had to achieve such negotiating preferences to win the competition, has again beefed up its ABM system to 'Safeguard Phase II' despite domestic political opposition. This was a bargaining chip that would have prompted the Soviet Union's motive for the talks and its preference for a low level of ABM restriction, thereby accommodating the U.S. preference for negotiations. The process of signing the ABM Treaty analyzed in this dissertation can be fully understood and explained through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Battle of the Sexes. This proves that the real goal of the United States for the ABM treaty was to win the competition for relative-gains problem.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Korea look at arms control from a broader perspective and from various aspects and create an advantage in the future strategic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박주형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과 부하의 위치가 체간 및 하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최소 1년 이상 스쿼트 운동을 수행한 숙련된 건강한 성인 남성 28명을 대상 으로 하이바 백스쿼트와 로우바 백스쿼트를 1회 최대 반복의 50%, 60%, 70% 부하에서 무작위 순서로 적용하였다. 실험 전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 넙다리 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배곧은근, 배가로근, 배바깥빗근, 척추세움근의 최대 수 의적 등척성 수축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3초간의 원심성 운동과 3초간의 구심 성 운동을 실시하여 각 근육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스쿼트 운동 시 부하량에 따른 근 활성도는 원심성 구간, 구심성 구간에서 모든 근육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5),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근 활성도가 높아짐을 나타냈다. 부하의 위치에 따른 근 활성도는 구심성 구 간의 배바깥빗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05). 또한 하이바 백스쿼트는 로우바 백스쿼트에 비해 원심성, 구심성 구간에서 하 지근육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로우바 백스쿼트는 하이바 백스쿼트 에 비해 원심성, 구심성 구간에서 체간근육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하이바 백스쿼트는 로우바 백스쿼트에 비해 하지근육에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특히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 강화에 이점이 있다. 반면 로우바 백스쿼트는 하이바 백스쿼트에 비해 체간근육에 더 많은 힘을 필요 로 하며, 체간 안정성의 이점으로 더 무거운 부하를 드는데 효과적이다.

      • 결합적 형상의 실내조명등 제작 연구

        박주형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명등은 유용성과 유의성이 적절히 균형을 이루고 있는 사물로서 공예가 가진 수공성과 일품성, 그리고 생활공간에서의 친밀감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품목이다. 빛을 밝히는 도구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 외에도 실내공간에 놓이는 미술품으로서 시각적 감상의 대상이 되는 한편, 실내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인테리어 소품이다. 융합, 결합, 맞물림, 관통의 제목을 가진 총 8점의 연구작품들은 모두 독립적 개체들의 일체화, 즉 결합적 형상을 이루고 있다. 둘 이상의 형태가 결합하여 생기는 우연적인 선들은 시각적 흥미를 만들어내고, 기하형태로 이루어진 추상적이고 결합적인 형상은 분리, 분열, 불합과 상대되는 함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와 의미는 조명등의 부드러운 빛의 산란을 통해 실내공간과 사용자의 마음에 온기를 전한다. 주로 판금기법을 이용하여 제작된 연구작품들은 비철금속으로 제작된 전등갓의 형태와 타공기법(드릴링)을 통해서 표면에 가해진 반복적 패턴의 구멍들로 이루어진다. 이 구멍들은 이들 조명등의 시각적 특징이 될 뿐 아니라 빛을 확산시키거나 억제하는 물리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부드러운 입체감을 강조하는 심미적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오늘날의 삶과 생활양식의 변화에 맞추어,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상징적, 심미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실내조명등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현대 실내공간의 쾌적하고 품격 높은 분위기를 만들고자 한다. As an object that preserves a balance of usefulness and significance, lighting is regarded as an example that satisfactorily describes the properties of handiwork, and the excellence and intimacy of living spaces. Not only as a tool to brighten up surroundings, but it also is a piece of artwork to be appreciated in an indoor space. Lighting can be used both as an interior decoration and an indoor objet. There is a total of eight pieces of my thesis work built upon the continuance of fusion, combination, interlocking and penetration. These are presented in a form of unification of independent entities. Also in other words, it is a form of combination. These random lines that create two or more of the forms combine with each other arouse visual interest. Also, they abstractly, combine forms consisting of geometrical shapes that are considered to be the results of how this study aimed to include the significance of opposite to separation, splitting and disharmony of the works. The lines, after all, deliver warmth to the indoor space and the user can feel the scattering of soft lights. This research work is basically produced by a plating technique who's physical function to emit lights either by partially spreading or controlling the lights. When nonferrous metallic light shades are repeatedly perforated, the works complete aesthetic responsibilities is to highlight gentle three-dimensional effects of lighting design. As trying to keep up with improvements in living quality and lifestyles of these tim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oor lighting lamps that would deal with not only these practical and instrumental aspects of lighting, but also symbolic and aesthetic aspects. The development of such indoor lighting lamps as above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refreshing, high-quality climates in modern indoor spaces.

      • 기업망 보호를 위한 컴플라이언스 블록체안 적용방안 연구

        박주형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업들은 다양하게 저장되고 있는 네트워크 정보 기반으로 보안관련 사전, 사후 대응 및 실시간 모니터링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으로 인하여 투명성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네트워크 도구는 트래픽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보존하지 못하고 있고, 보안 체계는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원격측정 정보에만 의존하여 중요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신뢰성을 높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컴플라이언스 측면에서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 관리하여 기업 입장에서는 활용이 필요하다. 투명하게 저장되지 않는 데이터는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고, 보안의 사각지대로 인해 인프라의 운영은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이를 위한 대안으로 기업망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적용방안에 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블록체인은 절대적인 보안과 신뢰 제공 모델을 바탕으로 구축된 탈중앙화된 분산원장이다. 거래는 암호화를 사용해 시간 순으로, 공개적으로 기록되며 이전 거래와 연결된다. 이런 디지털 '블록'은 모든 참가자의 동의를 통해서만 업데이트가 가능하므로 데이터 수정, 삭제가 거의 불가능하다. 블록체인은 데이터 무결성과 정보보호 안전성을 높여 신뢰의 시스템을 구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 실제로 블록체인은 'CIA의 3요소'인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을 포괄해 더 강화된 탄력성과 암호화, 감사, 투명성을 제공한다. 이런 블록체인의 기술을 사용자 행적의 투명성과 신뢰적인 측면으로 컴플라이언스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들어 국내외 보안 업계에서 블록체인으로 성장 동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암호 인증 분야의 기술을 갖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사업을 연계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연구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기업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지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Companies have been conducting security-related proactive and reactive responses and real-time monitoring based on network information stored in various ways. However, it is becoming difficult to manage transparent network information due to various network environments. Existing network tools do not transparently preserve information on traffic, and security systems rely only on application-level telemetry informa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network traffic. It collects and manages reliable network information in compliance, so it is easy for companies to use. Data that is not stored transparently creates blind spots in security and compliance, and the operation of infrastructure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ex due to the blind spots in security. As an alternative to this, we would like to study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o protect corporate networks. Blockchain is a decentralized distributed ledger built on a model of providing absolute security and trust. Transactions are publicly recorded in chronological order using encryption and linked to previous transactions. These digital 'blocks' can be updated only with the consent of all participants, making it almost impossible to modify or delete data. Blockchain has the potential to implement a system of trust by increasing data integrity and information security safety. In fact, blockchain provides enhanced resiliency, encryption, auditing, and transparency by encompassing the 'three elements of the CIA': confidentiality, integrity, and availability. This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used as a technology that can build compliance in terms of transparency and trust in user behavior. Recently, the security industry at home and abroad is promoting the strengthening of growth engines with blockchain.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the movement to link the block chain business is actively developing centering on companies with technology in the field of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block chain technology and how to apply block chain technology in the corporate network environment. Let's see if we can do it.

      • 한국 내 중국 조선족의 언어 태도 연구

        박주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anguage attitude of Korean-Chineses who have migrated to Korea, and analyzes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at Korean-Chineses feel and think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in Korea and thereby ultimately figure out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olicies have to be performed. This study examined the language attitude of Korean-Chineses by the method of questionnaire survey on Korean-Chinese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on Korean-Chines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First, surveyees think that although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are similar, they differ in ‘pronunciation, intonation, stress’, ‘use of loanwords and foreign words’, etc. Second, surveyees have similar feelings about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although male surveyees show ‘covert prestige’ about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their mother tongue. Third, with respect to their language difficulties while living in Korea, ‘pronunciation, intonation, stress’ and ‘use of loanwords and foreign words’, which are different between Korean language and Korean-Chinese Korean language, show a high response rate. Fourth, most surveyees respond that Korean language training is necessary. Also, regarding the fields of training they want, ‘pronunciation, intonation, stress’ and ‘use of loanwords and foreign words’, etc. showed a high response rate, same as in differe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eir languag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Korea, mentioned above. 본 연구는 한국에 이주해 살고 있는 조선족들의 언어 태도를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이들이 느끼는 한국어와 조선족 한국어에 대한 태도를 분석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는 조선족들이 한국 내에서 한국어와 조선족 한국어에 대해 느끼고 생각하는 바를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교육 및 정책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데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 남녀 유학생 70명과 광주광역시 및 전남에 살고 있는 결혼이민자 4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 방법을 통해 조선족들의 언어 태도를 확인하였는바, 그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은 한국어와 조선족 한국어가 비슷하지만, ‘발음, 억양, 강세’,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 등에서 비교적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은 한국어와 조선족 한국어에 대해 서로 비슷한 느낌을 가지고 있으나, 남자 조사대상자들에 한해서 자신의 모어인 조선족 한국어에 대하여 ‘숨은 위세(covert prestige)’를 보이고 있다. 셋째,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겪는 언어적 어려움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한국어와 조선족 한국어의 차이점인 ‘발음, 억양, 강세’, ‘외래어 및 외국어 사용’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넷째,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은 한국어 교육이 ‘필요하다’라고 하였다. 또한 이들이 학습하고 싶은 교육 항목은 위에서 살펴본 두 언어의 차이점, 한국에서 겪는 언어적 어려운 점 등과 동일한 ‘발음, 억양, 강세’와 ‘외래어 및 외국어’ 등이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 5년 경력 이상 되는 구미시 간호사들의 노인부양 의식에 관한 연구

        박주형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산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가족제도의 변화 등을 경험하고 있는 오늘날 사회에서 요양의 주 수발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부모에 대한 부양의식을 살펴보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미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으로는 연령에서는 30대가 많았으며, 학력은 전문대졸업자가 4년제 대학교 졸업자보다 많았고, 미혼인 경우가 기혼보다 많았으며, 출생순위에서는 첫째이상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종교에서는 무교인 경우가 가장 많았고, 가정의 월 소득에서는 100∼190만원인 경우가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부모님 또는 조부모님의 생존여부에서는 생존한 경우가 93.4%로 나타났다. 근무형태에서는 3교대 근무가 66.5%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노인부양경험에서는 부양한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가정교육상태에서는 보통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노인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서는 노인을 65세부터라고 한경우가 과반수정도로 나타났고, 노인과 함께 생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에는 ‘약간 도움이 된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노인을 어떤 존재라고 생각하는가는 항목에는 ’조언을 해주는 대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노인부양이유로는 ’책임감과 의무감‘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일반적인 노인부양의식에서는 노인문제 중 가장 큰 문제로는 ‘소외감’이라고 한 경우가 많았으며, 연령, 학력, 결혼여부, 출생순위는 노인문제에 대한 생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문제 상황으로는 ‘문제성이 부각되고 있다’라고 답한 경우가 많았다. 노부모님과의 동거의향에서는 동거를 원하는 경우가 원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거를 원하는 이유로는 ‘자식으로서 당연하므로’라고 한 경우가 많았으며, 동거를 원하지 않은 이유로는 ‘사생활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라고 한 경우가 많았다. 다섯째, 노인부양 책임은 ‘부모와 관계가 좋은 자녀’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으며, 노인의 부양형태로는 ‘자녀와 동거하면서 부모님 스스로 경제적으로 자립하는 형태’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조부모 생존여부의 항목에서 부모님 부양책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해 있다고 응답한 경우 ‘노인자신’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생존해 있지 않다고 응답한 경우는 ‘부모와 관계가 좋은 자녀’라고 응답한 경우가 많게 나타났다. 여섯째, 바람직한 노후생활방식으로는 ‘따로 사는 것’이라고 한경우가 많았으며, 노부모님과 동거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거할 수도 있다’라고 한경우가 많았다. 연령, 학력, 결혼여부에 따라서 노후생활방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0대, 30대 모두 원하는 경우가 많게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전문대졸업자의 경우가 원하는 경우가 더 높았고 원하지 않는 경우에서는 대학교 졸업자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은 원하는 경우가 높은 반면 기혼은 원하지 않는다는 경우가 많았다. 일곱째, 재가복지 서비스 이용 의향을 분석한 결과 학력, 결혼여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전문대졸업자인 경우에는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대학교 졸업자 이상일 경우에도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인 경우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기혼인 경우에도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복지 서비스 이용 의향을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인 경우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기혼인 경우에도 ‘무료라면 이용하겠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부양의식은 평균 18.9, 정서적 부양의식은 평균 20.7, 신체적 서비스 부양의식은 평균 22.1로 나타나 신체적 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부양의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경제적 부양의식에서는 ‘몸이 편찮으실 경우 병원비를 부담 하겠다.’가 평균 4.0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부양의식에서는 ‘집안일을 함께 의논하고 결정한다.’가 평균 3.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체적 서비스 부양의식에서는 ‘몸이 편찮으실 때 병간호를 잘해 드리겠다.’가 평균 3.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부양의식의 차이 중 연령, 결혼여부, 출생순위에 따라서 부양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종교, 월 소득, 부모님 조부모님 생존여부, 부양경험, 가정교육상태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0대는 3.76, 30대는 3.55로 20대가 30대에 비해 부양의식이 높다고

      • Decrease in the urine cotinine concentrations of Korean non-smokers : 한국인 비흡연자에서 금연정책강화에 따른 소변 내 코티닌 농도 감소

        박주형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if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smoking regulation policies and the urine cotinine concentrations of Korean non-smokers.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12 non-smoking Korean citizens (age range: above 19 years old) selected from the first stage of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from 2009 to 2011. Cotinine levels in urine were measured by GC-MS (limit of detection: 0.05 ng/mL). Changes in the urine cotinine concentration were analyzed using a weighted general linear model and linear regression and values were shown as geometric mean (GM). The GM urine cotinine concentration decreased over time (2.92 ng/mL in 2009, 1.93 ng/mL in 2010, and 1.25 ng/mL in 2011). Results : The GM urine cotinine concentration decreased over time (2.92 ng/mL in 2009, 1.93 ng/mL in 2010, and 1.25 ng/mL in 2011). The total decrease in the subjects’ urine cotinine concentration between 2009 and 2011 was 2.79 ng/mL, representing a relative decrease of 54.7%. The decrease in GM urine cotinine concentration in each subgroup ranged from 2.17 ng/mL to 3.29 ng/mL (relative decreases of 46.4% and 62.8%, respectively), with the largest absolute reductions in subjects in the following groups: females, aged 40–49 years, detached residence type, no alcohol consumption, employed, secondhand smoke exposure. All groups had negative regression coefficients, all of which were significant (p < 0.001). Conclusions : Our results provide indirect indicators of the effectiveness of smoking regulation policies including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in Korea.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금연정책과 비흡연자의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방법 : 2009 - 2011년 시행된 제1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 대상자 중 19세 이상의 국내 비흡연자 4,6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변 내 코티닌 농도는 GC-MS를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검출 한계치는 0.05 ng/mL이었다. 년도 별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변화는 가중치가 부여된 일반 선형 모델과 일반 선형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하평균과 95% CI로 나타내었다. 결과 : 년도 별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기하평균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2.92 ng/mL in 2009, 1.93 ng/mL in 2010, and 1.25 ng/mL in 2011). 2011년과 2009년의 전체 대상자의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산술평균 감소는 2.79 ng/mL (54.7%)이었다. 각 변수별 하위그룹의 소변 내 코티닌 농도의 감소는 2.17 ng/mL에서 3.29 ng/mL (46.4%-62.8%)이었으며, 여성, 40대, 단독주택, 비음주군, 직업군, 간접흡연 노출군에서 큰 감소를 보였다. 모든 그룹에서 음의 회귀 계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p < 0.001) 결론 : 이번 연구를 통하여 국내 비흡연자에서 소변 내 코티닌 농도 감소를 알수 있었으며, 국내 금연정책강화의 간접적 실효성을 판단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