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기술특성과 경영지원특성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농협(지역농협)중심으로

        박종미 안양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It is important to satisfy customers for managing sudden change in corporate environment and achieving steady growth of a company alo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Likewise, being aware of IT user' s response and boεαd of directors' intentions are verγ crucial. Because it is easy for users to resist new IT systems continuously without an appropriate management by a company Thus, this is to improve corporate management efficiency by researching I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upports relating to the resistance of end-user.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verify the effect of I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upports on user' s resistance. In order to meet this purpose, this paper has employe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Definition of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IT Characteristics as a independent variable is defined as recognized usefulness and recognized ease of use. Also the other independent variable, management supports is defined as management supports and system establishment.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of end-user as a dependent variable is defined as a continuous resistance of us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have operated field research using survey. We took sample from employee using IT systems in their business, working at the branches of Nonghyup. We have received 670 copies out of 1000 copies that we distributed, yet we could not utilize 50 copies into our research, because they seemed to be insincere. Results of research based on the surveys are as below. First, IT characteristics have remarkable effect on users' resistance. Thus, users' resistance decreases as recognized usefulness and recognized ease of use increases. Second, management supports has remarkable effect on users' resistance. Thus, users' resistance decreases as management supports increases, users' resistance increases as system establishment increases. Finally, self-efficacy as a mediate variable in the research was found out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the resistance of end-us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port, the local NnongHyup should properly manage the recognized usefulness among IT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management support, system establishment variabes, in order to reduce the end-user's resistance in utilizing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recognized usefulness and the recognized ease of use which are IT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verγ crucial factors since the figure of regression coefficient is bigger than any other variables in end -users resistance. Therefore, the company would be beneficial in achieving the satisfactory output by activiating systems and mininal cost. 정보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업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하고, 기업의 목적을 달성하여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해서는 고객을 만족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정보기술을 이용 하는 사용자들의 반응을 고려하는 것과, 경영진의 의식은 매우 중요하다 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새로운 정보기술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사용자 저항이 나타나기 쉬운데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용 중 계 속해서 '저항'이 발생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기술특성 및 경영지원특성과 관련한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변수들을 실증적으로 연구 하여 기엽경영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 목적은 정보기술특성과 경영지원특성이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설문서를 이용한 현장연구방식을 적용하였으며, 통계 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변수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독립변수의 하나인 정보기술특성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으로 쟁의되었다. 또 다 른 독립변수인 경영지원특성은 경영진 지원, 제도수립으로 정의되었다. 한편 종속변수인 사용자 저항은 지속적사용반대로 정의되었으며, 조절변수로 개인특성인 자기 효능감을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서를 이용한 현장연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수도권 중심 자산이 2,000억 이상 되는 지역농협 15개 본, 지점에 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엽무를 수행하는 사무직직원을 대상으로 하였 다. 1,000부를 배포하여 670부를 수거하였으나, 불성실한 답변을 보인 50 개의 설문서를 제외한 62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정보기술특성과 사용자 저항 변수 간의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 된 용이성이 높을수록 사용자 저항은 낮아진다는 것이다. 둘째, 경영지원특성과 사용자 저항 변수 간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경영진 지원, 제도수립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 서 경영진 지원이 높을수록 사용자 저항은 낮아지고, 제도수립이 높을수록 사용자 저항은 높아진다는 것이다. 셋째, 정보기술특성, 경영지원특성과 사용자 저항 변수 칸 최종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정보기술특성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그리고 경영지원특성의 경영진지원, 제도수립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개인적 특성은 조절변수인 자기 효능감에 따른 정보기술특성, 경영지원 특성과 사용자 저항 변수 간 회귀모형 통일성 검증 결과에 의하면 종속변수인 사용자 저항에 자기 효능감이 '좋음'인 모집단은 독립변수 모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통'인 모집단은 유용성, 용이성, 그리고 제도수립의 독립변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 쳤지만, 경영진 지원 변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 효능감에 대한 설문에서 리컷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므로 '보통'과 '좋음'과 같이 설문항목의 차이가 없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역농협이 생산성향상을 위한 정보기술 사용 에 있어 사용자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정보기술특성 변수 중 지각 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경영지원특성 변수 중 경영진 지원, 제도수립 변수를 잘 관리하여야 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보기술특성 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변수는 사용자 저항에 있어서 회귀계수 의 값이 다른 변수들보다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기업경영에서 나타나게 되는 저항으로 인한 무형의 비용 을 최소화하고 시스템 활용으로 인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올리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분리균주 BM825로부터 열안정성 24 kDa endo-1,4-beta-xylanase 유전자의 분리, 대장균에의 클로닝, Bacillus subtilis WB700에의 발현 및 효소의 생화학적 연구

        박종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 thermo-tolerant extracellular xylanase was produced from Leuconostock mesenteroides BM825 strain that isolated from a sewage treatment plant in Chinju, Korea.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the strain was 37℃ and its optimum growth pH was 7.0. The xylanase gene was identified from a genomic 1.2 kbp BamHⅠrestriction fragment.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is fragment revealed an open reading frame (ORF) of 684 base pairs encoding a polypeptide of 228 amino acids. This ORF encoding endo-1,4-beta-xylanase exhibited a high homology (57% amino acid identity) with the corresponding proteins of Bacillus subtilis (P18429) and Bacillus circulans (P09850) endo-1,4-beta-xylanase. A strong promoter, BJ27, was applied to overexpress the Leuconostock mesenteroides BM825 xylanase gene in Bacillus subtilis. The shuttle (E. coli-Bacillus subtilis) expression vector, pJH27-xyl, was designed to contain the open reading frame of the xylanase. The recombinant plasmid DNA pJH27-xyl was transformed into Bacillus subtilis WB700. The expressed xylanase was partially purified. Its optimum temperature for activity was 70℃ and optimum pH was between pH 6.0 and pH 7.0. The enzyme was fairly stable even at pH 4.0 and 10.0. The activity of the partially purified enzyme was largely inhibited by acetonitrile and propanol, while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dithiothreitol (DTT), toluene and methanol didn’t affect its activity, where the concentration of the compounds for stability study was equally 30(wt/v)%.

      • 감정강도와 인지욕구에 따른 POP 광고 메시지 유형별 소비자 반응 연구

        박종미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구매욕구가 다양해지면서 모든 마케팅과 광고활동이 소비자 중심으로 더욱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 POP 광고는 소비자가 제품을 사게 만드는 설득 단서로써 소비자와 제품 사이에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고 있다. 즉, 제품 구매 현장에서 POP 광고를 어떻게 제시하느냐에 따라 소비자의 판단이나 구매의사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의 구매심리를 자극하는 POP 광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매장 내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POP 광고 연구는 대부분 형태와 소재, 컬러, 디자인 등의 외형적 요소나 제작자, 사용기간, 목적에 의한 제작,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형을 분류하고 있다. 실제로 소비자 입장에서 정보를 받아들이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의사소통의 장치로써 POP 광고 효과 연구는 미흡한 결과들을 도출하였다. 이는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POP 광고를 다르게 판단할 것이라는 메시지 정보처리 측면 보다는 POP 광고의 시각적 자극을 강조한 제작적인 측면에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POP 광고의 유형을 명확하게 구분하거나 메시지 유형별 광고효과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에 따라 POP 광고의 메시지에 반응하는 정도가 다를 것이라고 판단하여 소비자 개인적 특성인 감정강도와 인지욕구, POP 광고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고 메시지 정보처리적 관점에서 광고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두 번의 사전실험과 한 번의 주실험이 진행되었다. 사전실험은 1차적으로 소비자가 POP 광고의 메시지에 관심을 갖는 정도를 파악하고, 실제 어떤 메시지소구 유형에 따른 정보획득 및 구매시점에 정보처리를 하는지 유통매장을 통한 관찰조사가 진행되었다. 2차 사전실험은 주실험 광고물로 사용될 제품 범주를 선정하고 선정된 제품의 속성들을 바탕으로 POP 광고의 메시지소구 유형별 제작내용에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POP 광고의 메시지소구 유형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조작적 정의를 하고 주 실험에 사용될 POP 광고 제작물의 메시지 속성을 도출하여 POP 광고 메시지 유형을 세 가지 소구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즉, 이성적 소구의 제품정보형 POP, 감성적 소구의 광고이미지형 POP, 이성과 감성 결합소구의 프로모션형 POP로 구분되었다. 주실험은 소비자들의 의사결정과정에서 개인적 특성인 인지나 감정 어느 하나에만 의존하지 않을 것이라는 방향에 무게를 두어 메시지 유형의 소비자 정보처리에 따라 POP 광고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개인의 특성 변수(감정강도와 인지욕구)가 결합된 네 집단(복합적/감정적/수동적/인지적 정보처리자)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정보처리자 집단이 구매접점에서 어떤 POP 광고 유형의 메시지 소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인지에 대해 광고 태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개인적 특성이 결합된 각각의 집단과 POP 광고 유형의 상호작용에 따른 광고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는데 상호작용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인적 특성이 결합된 정보처리에 따라 POP 광고 메시지를 다르게 판단하여 광고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우선 감정강도와 인지욕구가 모두 높은 복합적 정보처리자는 POP 광고 메시지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광고 태도를 높게 형성하여 프로모션형 POP에 가장 많은 관심을 보였고, 광고이미지형 POP에 대해서도 긍정적 광고 태도를 나타냈다. 한편으로 구매 상황에서는 정보의 요인을 많이 고려하는 경향이 있어 개인이 인지와 감정상태 중 어느 쪽에 더 강하게 메시지 정보처리하느냐에 따라 구매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POP 광고에 대한 태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구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감정강도가 높고 인지욕구는 낮은 인지적 정보처리자는 제품정보형 POP로 인한 광고 태도가 광고이미지형 POP와 프로모션형 POP의 광고 태도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구매의도 역시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인지욕구가 높을수록 제품선택 이전에 정보탐색이 더 많고 브랜드 선택에 걸리는 시간도 길며, 제품 구매 시 고려하는 속성의 양이나 종류에서 인지욕구가 낮은 사람과는 정보처리에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결과적으로 인지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감정적 요인에 덜 영향을 받아 자극과 사건들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많은 인지적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 광고에 자연스럽게 노출되었을 때도 정보에 관심을 기울여서 적극적인 광고 태도를 높이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세 번째로 감정적 정보처리자는 기존의 전통적인 광고매체에서 나타낸 연구들과 같이 광고이미지형 POP에 대하여 프로모션형 POP나 제품정보형 POP보다 많은 관심을 보일것이라고 예측하였는데 연구의 방향성이 일치하지 않았다. 광고이미지형 POP보다 프로모션형 POP의 광고 효과가 높게 나타난 것은 고객감사 선물 증정 내용과 판촉제품, 사은품 이미지에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여 효익에 대한 정보적인 메시지가 제품의 이미지와 동일시 되어 감정강도를 더욱 높게 형성하여 프로모션형 POP에 관심을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개인들이 매장 내에서 POP 광고 자극으로 인해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여 이미 기억되었던 정보를 대체해야 한다면 개인들은 어떤 정보가 적합한지에 대해 스스로의 감정에 따라 정보를 취할 것이며, 결과적으로 선택은 구매시점에 형성된 감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수동적 정보처리자는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해석해 보면 인지와 감정 모두 낮은 정보처리자로서 일반적으로 정보를 처리할 때, 제품정보 처리량이 낮거나 그것에 대해서 잘 모르기 때문에 제품 정보를 찾고 생각하기 보다는 휴리스틱 처리를 하는 경향이 강할 것으로 해석된다. 즉 수동적 정보처리자는 인지욕구 또한 강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해 새로움을 추구하려 하지 않으며, 개인에게 정보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즉각적인 강력한 메시지에 구매의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광고 메시지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더라도 폭탄세일, 원+원 세일 등 혜택에 관련된 메시지가 강력하다면 프로모션 POP 광고를 휴리스틱 처리하기 때문에 구매의도는 증가하였다. 수동적 정보처리자는 주변적인 단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집단으로서 이들 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또 다른 메시지 소구가 필요할 것으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POP 광고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광고 태도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고, 이는 각 POP 광고 메시지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광고 반응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POP 광고의 효과를 증명해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소비자들이 메시지 소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POP에 대한 관심 정도는 달라질 것이며, 소비자 정보처리에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면 메시지 소구의 방향성을 적절하게 적용하여 POP 광고 효과를 성공적으로 수립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정보처리를 하는 데 있어서

      •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과 그 의미

        박종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을 알아보고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가 유아의 놀이에 지니는 의미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은 어떠한가? 2.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는 유아의 놀이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본 연구에는 C시에 위치한 N유치원의 만 5세 통통반 유아 20명과 연구자인 담임교사가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2020년 5월 29일부터 8월 31일까지 매일의 자유 놀이 시간과 온종일 놀이하는 해피데이가 진행되는 날에 생활용품을 가지고 놀이하는 유아들의 모습을 교실, 놀이실, 바깥 놀이터를 중심으로 참여 관찰하였다. 유아들이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를 하는 모습을 집중적으로 관찰하였고 관찰한 내용은 연구자의 현장 노트에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비디오 녹화 및 녹음자료, 사진 자료, 연구자 일지, 면담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읽으며 개념을 도출하였고, 개념들을 관련지어 범주화하였으며, 범주들의 구조를 확인하여 종합적으로 주제화하는 귀납적 분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중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생활용품을 활용하여 자유롭게 탐색하면서 ‘나만의 놀이’를 창조하였다. 유아들은 자신의 교실 안에 있는 생활용품을 이용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놀이로 만드는 자유로운 변형을 경험하기도 하고 자신의 경험과 상상을 반영한 새로움을 창조하기도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자신만의 놀이로 깊이 있는 경험을 한 후 친구에게 같이 놀자고 제안하거나 친구로부터 제안받아 ‘우리들의 놀이’가 됨을 경험하였다. 놀이하며 친구와 자연스럽게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로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경험과 앎을 공유하는 놀이로 확장되었으며, 모두를 위한 놀이와 놀잇감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는 순환되고 계속되는 놀이임을 경험하였다. 유아들에게 생활용품 놀이는 새로운 의미를 계속하여 창출하는 변신하는 놀잇감이 되었고 다양한 놀이로 표현되는 서로 뒤섞인 공간이 되기도 하였다. 연구자가 생활용품 놀이가 끝났다고 생각한 순간에 다시 놀거나 생활용품이 없는 순간에도 다른 물건으로 대체되는 모습을 통해 끝나도 끝나지 않는 놀이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가 유아의 놀이에 있어 지니는 의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복하며 찾게 되는 기쁨과 몰입으로 의미를 지닌다. 유아는 생활용품을 활용한 놀이는 해보면 해볼수록 재미있는 놀이와 놀잇감으로 창조와 재창조를 거듭하게 된다. 또한, 생활용품은 무엇이든 대체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든 놀 수 있기에 유치원과 가정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몰입하기 좋은 상황이 되어 유아의 삶 속에서 참 기쁨의 놀이로서 의미를 지닌다. 둘째, 놀이를 지속하는 힘으로서 공감과 존중의 의미를 지닌다. 유아들은 생활용품 놀이 속에서 또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며 놀이를 이어간다. 즉, 정해져 있지 않은 생활용품 놀이의 방법, 유형을 선정할 때 공감을 바탕으로 의사결정 하거나 서로의 놀이를 자연스럽게 존중하는 태도를 통해 놀이를 지속하게 된다. 셋째, 생활용품 놀이는 우리만의 특별한 놀이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우리반에서 준비한 놀이를 다른 교육 현장에 그대로 적용하더라도 유아들의 경험, 놀이 진행양상에 따라 전개하는 방향은 전혀 달라질 수 있다. 유아들은 비워진 공간을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주변의 생활용품으로 직접 채워나갈 수 있어 생활용품으로서 놀잇감은 유아의 생각, 경험, 정성과 사랑의 총체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생활용품은 유아의 놀이 속에서 자유롭게 탐색하고 놀이하는 가운데 끊임없이 탐구하면서 유아의 진정한 놀이와 놀잇감으로 만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생활용품을 스스로 찾고 이를 활용한 놀이방법을 고안하고 또래, 주변의 성인들과 다양한 놀이를 해보는 경험은 놀이와 놀잇감에 있어 주체로서 유아의 역할을 강조하는 놀이 문화의 기반이 될 것이다.

      •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호조직문화 및 이직의도 비교

        박종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and then to improve nurses` job satisfaction, develop appropriat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decline the turnover rat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94 nurses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City and 99 nurses medium-sized hospital nurses in Yeongcheon City, Gyeong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4 to 28, 2016, using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finally total 29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Compared with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 nurses at medium-sized hospital had higher degree of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 were more likely to turnover than nurses at medium-sized hospital.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hospitals nurses`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So,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But, turnover inten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For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significant variable in medium-sized hospital nurses was ward transfer experience, and that in university hospital age, education level, clinical career and plan to leave.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medium-sized hospital nurses, but current nursing unit work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 variabl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For factors affecting turno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in medium-sized hospital nurses, on the other hand, 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of nurses of university hospital were low than that of medium-sized hospital nurses, and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job satisfaction, commitment to organization,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Therefor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decrease turnover intention and enhance nursing practice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build effective and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enhance pride of professional job, autonomy in performing their duties and enhancement of positiv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nsider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compensation and supporting system, and welfare programs.

      • 모래놀이치료에 나타난 경주 지진 피해지역 유아의 지진 이미지 연구

        박종미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별모래놀이치료를 통해 경주 지진을 경험한 유아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 장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주제와 지진 이미지 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에 나타난 경주 지진 피해 지역 유아들의 주제는 어떠하였으며, 그들의 상징사용은 어떠한지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 지진을 경험한 3세~6세의 유아대상으로 경주지역에 있는 K어린이집 기관에서 개별모래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회기별 40분 주 1회 총 4회기의 개별모래놀이치료가 진행 되었다. 지진 경험 유아들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 모래장면, 상징 등을 토대로 그들의 이야기를 모으고 행동들을 관찰하여 모래놀이치료 장면에서 공통적으로 표현된 주제와 상징들을 범주화하였다. 유아들은 공통적으로 공격성, 혼란, 보호, 소중한 물건, 애도, 공허, 변화하려는 에너지 등 7가지 주제로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상징사용경향에 있어서 군인, 무기, 종교적 영적피겨사용이 보호의 필요성이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이 되어 줄어들었고 건축물, 건축설비, 보물 상징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늘어난 것으로 보아 지진을 경험한 유아대상으로 이루어진 개별모래놀이치료가 유아의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관찰되었다. 주요어 : 개별모래놀이치료, 유아, 피겨, 지진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play theme and earthquake image expression in the sand play therapy scene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he earthquake in Gyeongju area through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Method: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two research problems, what the play themes in the sand play of the children affected by the earthquake in Gyeongju area are, and what images they sel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hildren aged 3 to 6 years who experienced the Kyungju earthquake and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programs were performed. A total of 4 sessions of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40 minutes per session. Based on th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sand scenes, and symbols of children with earthquakes, we collected their stories and observed behaviors to categorize themes and symbols commonly expressed in sand play therapy scenes. Result: It was found that children‘s psychology are expressed in common in seven themes such as attack, confusion, protection, precious things, mourning, emptiness, energy to change. It was observed that the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with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earthquak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recovery of them considering that the tendency to use the figures of soldiers, weapons, and religious spiritual images decreased as they stabilized and the need for the protection diminished, and that of the images of building, building facilities, and treasure increased over time. Key ward : sand-play therapy, little child, figure, archetype

      • 청소년의 현시적 소비성향과 관련 변인 연구 : 서울시내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박종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대중사회는 '소비자본주의사회'라고 지칭할 만큼, 소비가 보편화되었다. 오늘의 소비자본주의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우리가 더 이상 생산물만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기호를 소비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이렇듯 오늘날의 후기 자본주의사회에서는 과거 생산물의 소비로 이해되던 소비의 의미가 기호가치의 소비로 변화되어 왔다. 한국사회는 부족한 부존자원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이후 공업화를 통한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어왔고, 이러한 공업화, 도시화, 핵가족화 현상은 사회적으로 사람들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시켜 결과적으로 사회의 경제적 생산성을 높임으로써 '풍요의 사회'를 창출하였다. 풍요의 사회에서 사람들은 물질적 혜택을 향유하게 되면서, 물질적 욕구의 기대수준 상승으로 소비를 통해 행복을 추구하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을 가지게 되었다. 아울러 소비 생활에 있어서도 과거에 비해 효율성을 고려하는 합리적 소비 성향보다는 현시적 소비(conspicuous consumption) 성향이 두드러지게 확산되고 있다. 이제 현시적 소비 현상은 소수의 특권층이나 지배층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계층·세대·성·지역에 관계없이 사회 전영역으로 확대되어 하나의 일반적 현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소비 중심의 사회에서는 생산을 통한 소득을 직접 갖지 않는 청소년들 또한 소비 사회의 중심에 놓여 있다. 최근 들어 경제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소비는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청소년들의 소비 행위가 '필요에 의한 소비'를 넘어 현시적 소비 수준에 이르고 있다는 점은 빈번히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기가 소비자 사회화의 결정적 시기이며, 앞으로의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청소년들이 현재 형성하고 있는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장차 우리 사회를 어떤 모습으로 만드느냐의 중요한 관건이 되므로 이 시기의 소비생활 습관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기초하여, 청소년들의 실제적인 소비생활 전반에 관해 살펴보고, 그들의 현시적 소비 성향, 그와 관련된 여러 변인, 그리고 현시적 소비와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 의식을 기반으로 청소년들의 실제적인 소비가 이루어지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소비현황을 알아보았고, 그들의 현시적 소비 성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청소년의 현시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 존중감과 물질주의 성향을 살펴보고, 청소년이 소비자로서 지니는 특성과 청소년 개인이 소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태도를 습득하는 과정인 소비자 사회화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이러한 소비자 사회화의 대행자로서 부모, 또래집단, 대중매체, 학교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청소년은 서울시내 고등학교 1, 2학년 남·여학생으로 한정하였고, 자료는 질문지법에 의해 총 480부가 수집되어 분석되었으며,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청소년들의 소비 행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 청소년들은 한 달 용돈을 주로 오락비, 식비 및 간식비, 의류 구입비로 사용하고 있으며, 용돈의 사용 중 1회 의류 구입 시 평균비용은 36000원 정도로 나타났다. 의류를 살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모양과 디자인, 유행을 우선시 하고, 친구와 함께 가서 사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자신의 의류소비에 관한 주관적인 지각수준은 남들과 비슷한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의 구입을 위한 비용 마련을 위해 아르바이트를 한 비율이 제법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들이 경험한 아르바이트 내용은 음식점 등에서 서빙, 패스트푸드점 보조, 음식점 배달 등이 있었다. 둘째, 조사 대상자들의 현시적 소비 성향은 척도를 통해 측정한 평균점수가 중간정도를 보여 청소년들의 현시적 소비 성향이 그리 높다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또, 현시적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자아 존중감, 물질주의, 또래집단의 영향력, 대중매체의 영향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집단의 영향력이 특히 높았다. 셋째, 청소년들이 소비와 관련하여 타나날 수 있는 문제행동은 부모님 속여서 돈 타낸 경험과 현금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적지 않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부모로부터 용돈을 받아쓰기 때문에, 청소년 자신의 물질주의로 인한 소비 욕구를 채우지 못한 경우 소비욕구의 충족을 위해서 청소년 범죄와 같은 일탈행위로 이어질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소비 행태와 현시적 소비성향, 그리고 청소년의 현시적 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위해 '청소년 소비'로 관심을 돌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미래 사회의 소비주체가 될 청소년 소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이들의 소비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소비자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In present mass society, consumption is universal as we name it "consumption-capitalism socie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oday's consumption-capitalism society is that we've got to consume our preference, not the products any more. In the post-capitalism society, the meaning of consumption, which was understood as the consumption of products in the past, has been changed to the consumption of our preference value. Korea has accomplished a high economic growth by industrialization since 1960's in spite of short natural resources.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nuclear family caused a big change in people's value system and behavioral pattern, elevating economic productivity of the society to create "society of abundance". In an affluent society, people enjoyed material benefits and drove to materialism value system in which people pursue happiness by consumption. Propensity to conspicuous consumption rather than efficiency-oriented rational propensity has been spread noticeably comparing with the past. Now conspicuous consumption propensity is not a issue limited to only a few privileged or governing class, but a universal phenomenon regardless of class, generation, sex, and region. In this consumption-centered society, the adolescents, who don't make income from production, are placed in the middle of consumption society. Recently, their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in spite of economic difficulty. It is one of the frequent issues that their consumption behavior has reached conspicuous consumption beyond "consumption by need". Adolescence is the decisive period for consumer socialization, and the adolescent‘s value and behavioral pattern are the important key to what our society will be like in the future. So, consumption habit in one's adolescence is very importa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olescents' consumption life to identify their propensity to conspicuous consumption, the variables, and possible problems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I investigate the adolescent's consumption facts and conspicuous propensity to identify the level of practical consumption; Self-esteem, materialistic disposition, characteristics as a consumer, socialization process when they obtain knowledge and attitude to play consumer role, and the influence of parents, peer group, mass media, and school as agent for consumer socialization. I surveyed 1st and 2nd graded students in high schools in Seoul. 480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 and analyzed with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adolescents in the survey consumed their allowances on computer games, foods, snacks, and clothing. Expenditures per clothing purchase was about 36,000won in average. Major considerations for clothing were design, pattern, and fashion. They were accompanied by friends in most cases. They thought they are similar to others for the perception on clothing consumption. Large portion of the respondents have ever experienced part-time jobs to make money to buy stuffs they wanted. The part-time jobs were serving at a eating house or a fast food shop, and food delivery. Second, the respondents' average score in conspicuous consumption was near to middle, which suggests that the adolescents' consumption propensity is not that high. impact factors to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self-esteem, materialism, peer group, and mass media. Peer group was most influencing. Third, possible problematic behaviors related to consumption were to make allowance by ling to parents and to get cash service. In general, most of the adolescents get allowance from their parents. If they can't meet their consumption desire from their materialism itself, they are likely to do deviant behavior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In investigating the adolescents' consumption pattern, propensit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relating impact factors, the study focused on "adolescent's consumption" to help understand their life. The importance of adolescents' consumption who will be the subject of consumption in the future society was addressed. Extended understanding on the adolescents and basic information for consumer education could be provided.

      •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학급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박종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formal education along with various education services such as after-school classes and edu-care at school has been expanding. Gradually, students have been staying at school for longer periods of time. Of course, schools have a strong influence on students' growth and development along with their home. Especially for elementary school, because it is targeted for young children,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fundamental habits compared with middle and high school. But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s large and many teachers lack teacher's training and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challenging behaviors and then have difficulty in dealing with these students. Punishment-based intervention was used in the past, as a quick and effective method. Punishment-based intervention was untested and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about the result of it was limited. Moreover, some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responsive and punitive intervention could increase challenging behaviors. That has heightened concern about alternative intervention dealing with challenging behaviors like PBS emphasis on context happening challenging behaviors . In the present study, the class-wide PBS has been applied to prevent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All of the students in the class were provided universal supports, and students who needed more help were provided group and individual support. A total of 33 students including 1 student with a disability in a 3rd grade elementary school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ir homeroom teacher, two of their subject teacher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during the research. As for the PBS at the universal level, reading aloud classroom rules, presenting daily routines every morning, adjust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such as the seating arrangement, chanting for paying attention, using token economy, checking lateness at school, program for class unity and a secret helper were implemented. At the group level, changing the seating arrangement and providing tokens for reinforcement as well as feedback to the student's parents, and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implemented. At the individual level, providing feedback to the student's parents in detail everyday, intervention based-on functional assessment, activities or reinforcers that the student preferred and peer support were implemented.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ve been compared with frequenc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the challenging behaviors was checked daily and reviewed monthly.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were measured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settings, and the changes in class climate have been evaluated by the ex pre-ex post analysis(dependent t-test). As a result of providing the class-wide PBS to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behaviors were observed. First, a reduction in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found. Second, a reduction in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was found. Third, the changes in the class climate in relationship to students, instructional environment, learning/evaluation, and attitude/culture aspects were found. The above results warrant that the class-wide PBS would be an effective approach in decreas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positively improving class climate. Also, this study was not limited to focus on the student with a disability, but provided all kinds of support levels(universal, group, individual), that made all students have high-quality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an intervention program and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use easily in their class. But this study was limited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because only 1 inclusive classroom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as targeted. It is necessary to conduct long-term research to improve student's quality of life. Also, it is necessary to describe qualitative changes along with statistical figures about the changes of the students' challenging behaviors and class climate for follow-up study. 최근 학교에서 정규교육과 더불어 방과후 교실이나 돌봄 교실 등 다양한 교육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이 학교에 머무는 시간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학교는 가정과 더불어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자원임은 두말 할 나위 없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나이가 어린 아동을 교육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중․고등학교에 비해서 기본생활습관 형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학급당 학생 수가 많고, 많은 교사들이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교사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학생이 지닌 문제행동을 다루는 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그동안 빠른 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처벌 중심의 중재 방법을 보통 사용해 왔다. 그런데 처벌 중심의 중재 방법은 중재의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몇몇 연구에서는 반응적, 처벌적인 중재가 오히려 문제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고, 행동중재 결과에 대한 일반화와 유지에 제한성이 있다고 지적되어왔다. 이로 인해 문제행동을 다루는 대안적인 중재 방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문제행동 뿐만 아니라 문제행동이 일어나는 맥락을 중시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교육받고 있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급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보편적 차원의 지원을 제공하고, 추가적인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 그룹 차원, 개별 차원의 지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3학년 통합학급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특수교사, 교과전담교사, 특수교육보조원, 부모 등이 참여하였다. 보편적 차원의 행동지원으로 학급규칙 선정 및 낭송, 하루 일과 제시, 교실 환경 중재, 집중 구호 익히기, 수준 시스템 및 토큰 강화, 지각 현황 체크, 학급 공동체 프로그램 및 띠앗활동이 실시되었다. 그룹 차원의 지원으로 자리 배치 변경, 수준 시스템 및 토큰 강화 기준 변경, 알림장을 통한 피드백 제공, 집단상담 프로그램 등이 실시되었다. 개별 차원의 지원으로 알림장을 통한 피드백 제공, 기능평가에 근거한 중재 제공, 선호하는 활동 및 강화물 제공, 또래 도우미 지원 등이 실시되었다.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은 중재 실시 전후의 문제행동 빈도를 비교하였고, 부가적으로 1개월 단위로 문제행동의 빈도를 통계 내어 비교하였다.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은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학급 분위기의 변화는 사전․사후 비교설계로 측정하였다.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제공한 결과, 첫째,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둘째,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셋째, 학생 간 관계, 교수 환경, 학습/평가, 태도/문화 영역에서 학급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고 학급 분위기를 개선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기존의 장애학생에게 초점을 맞춘 개별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국한되지 않고 보편적 차원, 그룹 차원, 개별 차원의 지원을 모두 제공함으로써 모든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및 학습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경기도에 위치한 한 통합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으며, 1년 이상의 장기적인 연구를 통해 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문제행동 및 학급 분위기의 변화를 통계적 수치로 기술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질적인 변화를 함께 기술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